KR100771340B1 -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340B1
KR100771340B1 KR1020000056192A KR20000056192A KR100771340B1 KR 100771340 B1 KR100771340 B1 KR 100771340B1 KR 1020000056192 A KR1020000056192 A KR 1020000056192A KR 20000056192 A KR20000056192 A KR 20000056192A KR 100771340 B1 KR100771340 B1 KR 100771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knitting machine
amount
knitting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626A (ko
Inventor
다케우치순지
기타가와쿄야
다니구치고조
나카무라야스오
가와세요지
나가이히로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1005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04B15/488Thread-feeding devices in co-operation with stitch-length-regulating mechanism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one set of needles
    • D04B9/025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one set of needles with stitch-length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편기의 회동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한 신호에 대응하여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설치한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다수의 편침(53)과 편사가 얀캐리어(35)를 개재하여 편침에 공급되는 급사장치와, 이 편침을 침홈에 수용한 실린더(7)와, 이 실린더에 대향하여 편침을 제어하는 제어캠을 구비한 캠홀더(8)와, 이 캠홀더를 지탱하는 캠링(9)을 구비하고 있다.
편기의 회동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수단(23)과,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6)을 지닌다.

Description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AN AUTOMATIC YARN-FEEDING AND CONTROL DEVICE AND AN AUTOMATIC FABRIC-DENSITY-ADJUSTING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도 1은 편기전체의 정면도.
도 2는 급사장치 구동장치(16)의 정면도.
도 3은 환편기의 니들실린더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편기회전수 검지장치(23)의 단면도.
도 4는 편성부의 주요부를 표시한 단면도.
도 5는 편성부의 구동장치를 표시한 단면도.
도 6은 급사장력을 검지하는 급사텐션센서(60)의 사시도.
도 7은 편지감는장치의 개략을 표시한 측면도.
도 8은 아우트 로터형 DC모터(71)의 단면도.
도 9는 급전장치(100)의 일부 단면부분을 표시한 확대 단면도.
도 10은 자동감는장치의 제2실시예로서 동력전달기구를 표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
도 12는 자동감는장치의 제2실시예로서 편지감는장치의 개략도.
도 13은 자동감는장치의 제2실시예로서, 편지전달기구를 표시한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
도 15는 자동감는장치의 제3실시예로서 편지감는장치의 개략을 표시한 측면도.
도 16은 자동감는장치의 제3실시예로서 동력전달기구를 표시한 측면도.
도 17은 자동감는장치의 구동롤러, 송출롤러 주변의 확대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장치의 블록도.
도 19 (a)는 편기에서 얻은 정보에 기초를 둔 편지 명세서의 일례이고, (b)는 그 식별코드이다.
도 20은 분주기ㆍ체배기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
도 21은 분주기ㆍ체배기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
도 22는 본 발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23은 도 20의 플로우 차트에 넣기전의 바람직한 처리스텝을 표시한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실린더 8 : 캠홀더
9 : 캠실린더 16 : 급사장치 구동장치
30 : 중앙스티치장치 60 : 급사텐션센서
53 : 복수의 편침 130 : 총합제어장치
본 발명은 환편기에 있어서 편기회전수, 급사장력, 편지감는장력 등의 변화를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급사량(급사속도 및 스티치량)의 조정을 자동적으로 하는 장치 및 이것을 지닌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편기가동중에 급사속도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공 평3-72738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치가 복잡해서 구성부품의 점수가 많고 제조 코스트도 고가였다.
또 편기의 스티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는, 나사 또는 회전캠의 편심에 따라서 가동지지부재를 개재하여 스티치캠을 이동시킨 후, 이 나사 또는 회전캠을 맞물림수단에 따라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통상 이들의 조작은 인위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이 인위적 조작에 의한 스티치의 조정은 번잡하여 숙련자만 취급할 수가 있었다.
근래 기계적 또는 인위적인 조작을 배제하여, 각종 센서를 구비한 자동검지장치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한 자동제어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왔다. 이러한 기구를 채용하는 선행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다음과 같은 요소 자체는 공지이다.
[편기회전수 검지장치]
니들실린더의 회전수를 광학 인코더에 의하여 검지하는 장치가, 예컨대 일본국 특허 제2895820호(미국 특허 제5816079호에 대응함)에 의하여 알려져 있다.
[캠링 승강수단 구동장치]
캠홀더를 지탱하는 캠링이 승강하는 승강수단에 따라서 스티치량을 제어하는 스티치량의 중앙제어장치가, 예컨대 일본국 특허 제2892392호(미국 특허 제5174133호에 대응함)에 의하여 알려져 있다.
[급사장력 검출장치]
공급사를 안내하는 적어도 1개의 가이드롤러와, 공급사의 계속 공급되는 장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의 이동을 감지하는 급사텐션센서와, 회전드럼의 회전을 검지하는 회전량센서로 된 실(絲)계측장치가, 예컨대 일본국 특허 제2892392호(미국 특허 제5174133호에 대응함)에 의하여 알려져 있다.
[급사속도 변경장치]
급사속도 검출수단과, 목표급사속도와 검출된 급사속도의 편차를 검출하는 비교수단과, 이 편차에 의하여 급사속도의 설정변경을 하는 무단변속기와, 이 변경된 출력을 급사장치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된 장치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 평7-126965호(미국 특허 제5511392호에 대응함)에 의해 공지이다.
[총합제어장치]
편지에 관한 각종 요망을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각종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신호와 이 설정수단의 설정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이 비교수단에 의하여 출력된 비교결과를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으로 된 제어장치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 제2892392호(미국 특허 제5174133호에 대응함)에 의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자동급사장치의 전체적인 개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편기의 회동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설치한 자동급사장치 및 이 자동급사장치를 지닌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환편기의 자동급사장치는, 복수의 편침과, 편사가 얀캐리어를 개재하여 편침에 공급되는 급사장치와, 상기 편침을 침홈에 수용한 실린더와, 이 실린더에 대향하여 편침을 제어하는 제어캠을 구비한 캠홀더와, 이 캠홀더를 지탱하는 캠링을 구비한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편기의 회동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는, 소망하는 편지의 실량을 설정하는 수단과, 소망하는 편지의 실량에 따라서 급사량을 증감하는 상기 급사자동 제어장치와, 실량의 증감에 의하여 변화하는 급사장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된 급사장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편기의 스티치량을 증감하는 증감수단(스티치량 조정수단 구동장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상기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수단은, 예컨대 서브모터이고, 상기 편기의 회동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은, 예컨대 로터리 인코더이다.
상기 편기의 회동상태에 따라서 인코더 펄스를 발생시키는 상기 로터러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 펄스와 서브모터 피이드백 펄스를 비교 연산하여, 상기 2개의 펄스의 오차가 0이 되도록 제어하는 펄스제어장치와, 상기 펄스제어장치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서브모터와, 상기 인코더 펄스를 분주하는 분주기(分周器)와, 상기 인코더 펄스를 체배(遞倍)하는 체배기(遞倍器)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모터의 구동조건에 따라서 그 출력펄스를 상기 분주기와, 상기 체배기에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에는 소망하는 편지의 생산량을 설정하는 수단과, 소망하는 편지의 생산량에 따른 감는량을 증감하는 자동감는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망하는 편지의 생산량을 설정하는 수단과, 생산량의 증감에 의하여 변화하는 감는장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감는토크의 변화에 따라서 감는구동모터의 전류값의 변화를 검지하는 장치)과, 검출된 감는장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감는 양(量)을 증감하는 자동감는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소망하는 편지의 생산량을 설정하는 수단은 키보드 또는 마우스에 의한 입력이 다른 2차원 코드나 바코드 등, 식별코드의 데이터의 핸디 스캐너에 의한 읽어내는 입력이라도 좋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장치의 개략]
도 1은 적극식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驅動手段)으로서의 급사장치 구동장치(16), 급사장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檢出手段)으로서의 급사텐션센서(60), 스티치량을 조정하는 증감수단(增感手段)으로서의 중앙스티치장치(30), 환편기의 니들실린더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검지수단(檢知手段)으로서의 편기회전수 검지장치(23), 짜 올려지는 편지(編地)를 감는 자동감는장치(6) 및 총합제어장치(130)를 표시하는 편기 전체도이다. 이제, 도 1 및 도 2에는 급사장치 구동장치(16)에서 구동벨트를 개재하여 적극식(積極式) 급사장치(19)가 구동되어 있지만, 편의상 구동벨트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에 있어서, 복수개의 레그(1)에 따라서 지지된 베드(2)의 상방에 편성부(3)가 배치되어 있다. 베드(2)상에는 복수개의 포스트(4)가 세워져 있으며, 그 상부는 연결부재에 따라 수평부재(5)가 고정되어 있다. 베드(2)의 하방에는 자동감는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편성부(3)에서는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편침(53)이 실린더(7)에 활동이 자유롭게 침홈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7)에 대향하여 편침의 제어캠(52)을 구비한 캠 홀더(8)가 캠 링(9)에 지탱되어 있다. 편사(編絲)는 급사장치(19)(도 2)에 의하여 얀캐리어(35)를 경유하여 편침에 공급된다.
자동감는장치(6)에서는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편성부(3)에서 짜내는 편지(11)가 폭늘림장치(도시없음)를 개재하여 3개의 송출롤러(12, 13, 14)에 의하여 송출되고, 계속하여 자동감는장치(6)의 중앙부에 배치된 감는롤러(15)에 의하여 그 소요의 길이가 감겨 진다.
[급사장치 구동장치]
도 2는 적극식 급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급사장치 구동장치(16)를 표시한다. 이 장치는 서브모터(17)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풀리(18)를 지닌다. 이 풀리구동축에서 엔드리스 벨트(도시생략)를 개재하여 상기 급사장치(19)(예컨대, 독일의 Memminger-IRO사제 MPF 적극식 급사장치)를 구동한다. 서브모터(17)는 수평부재(5)로부터 아래로 드리운 연결봉(20)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급사장치(19)도 마찬가지로 수평부재(5)로부터 아래로 드리운 연결봉(21)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서브모터(17)로서는, 예컨대 일본국의 마쓰시타덴끼제(松下電器製) 로인너사타이프 MSM041A1G형 400 W를 사용할 수가 있고, 이 경우 첸지기어 없이 30 인치의 편기 1회전당 37.5 mm로부터 18700 mm의 실량(絲量)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구동풀리(15)는 모터축에 직결되어 있으므로, 기어와 같은 기계적 전달장치가 불필요하다. 또, 이것에 의한 부품 간의 백러시(back rush)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편기의 시동위치나 정지위치에서의 편지에 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엔드리스 벨트의 도중에서 테이프텐션 조정풀리(2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기회전수 검출장치]
도 3은 환편기의 니들실린더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편기회전수 검지장치(23)를 표시한다.
베드(2)내에는 실린더를 회전구동하는 기어링(24)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 기어링(24)의 측면에 장치된 로터리 인코더 구동용 스퍼기어(26)를 회전시키고, 그것에 의해 로터리 인코더(27)가 회동한다.
인코더 구동용 스퍼기어(26)의 상부에 백러시 제거용 기어(28)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리 인코더(27)에는 기어링(24)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광학식 회전량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검출한 회전량은 급사의 실량 데이터의 한개로서 총합제어수단에 보내진다. 회전량 센서는 투공(도시생략)의 이동을 검지하는 형식의 것으로 서 그 자체가 공지이다.
[스티치량 조정수단 구동장치]
도 4, 5는 스티치량을 조정하는 중앙스티치장치(30)를 표시한다.
도 4의 싱글니트 환편기의 편성부를 표시하는 단면도에 있어서, 실린더를 구동하는 기어링(24)은 공지의 와이어리스ㆍ볼베어링에 따라서 베드(2)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링(24)의 지지부와 기어부는 베드(2)내에 수용되어 있다. 기어링(24)은 공지의 편기의 구동원(도시생략)에 따라 구동시키고 있다.
베드(2)의 중심방향에는 안내핀(29)에 따라서 연결되어 있는 캠링(9)과 안내링(31)이 매설되어 있다. 안내핀(29)은 캠링 원주상에 6개소 정도 설치되어 있다. 안내링(31)은 볼트에 의하여 베드(2)에 고정되어 있다. 캠링(9)은 후술하는 수단에 의하여 단독으로 승강이 가능하다.
캠링(9)상에는 등간격으로 4 내지 6개의 얀캐리어링 서포트(3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얀캐리어링 서포트(32)의 선단에는 볼트에 의해 얀캐리어링(33)이 장치되어 있다. 또, 얀캐리어링 서포트(32)를 캡링(34)상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얀캐리어링(33)의 하측에는 편사를 편침에 공급하기 위한 얀캐리어(35)가 홀더(36)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는 얀캐리어링(33)에 볼트(37)로 장치되어 있다.
한편, 안내링(31)상에는 얀캐리어링 서포트(32)의 대략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얀캐리어링 서포트(32)와 동일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캡링 서포트(39)가 있고, 이 캡링 서포트(39)의 선단에는 캡링(34)이 볼트(41)에 따라서 고정되어 있 다. 캡링(34)상에는 싱커캠이 부착된 싱커캡(40)이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캠링(9)은 단독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지닌다.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캠링(9)의 외경의 원주 밑(下)에는 6개 정도의 전달수단 [예컨대, 스프로킷휠(42)]이 수용되어 있으며, 각 스프로킷휠(42)에는 엔드리스체인(43)이 가설되어 있다. 전달수단으로서 톱니가 붙은 벨트, 기타 유사한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프로킷휠(42)은 수직축(44)에 고착되어 있으며, 이 수직축(44)의 상단부에는 숫나사(44a)가 마련되어서, 베어링부(45)의 암나사(45a)와 맞물리어 있다. 베어링부(45)는 끝판(end plate)(46)과 동시에 캠링(9)에 끼워서 볼트(47)로 고정되어 있다.
수직축(44)의 하단부는 축방향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안내링(31)의 하면에서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이것에 따라서 수직축(44)의 하단부와 끝판(46)이 동시에 볼트(47)에 따라서 장치될 때, 끝판(46)과 안내링(31)의 하면에 약간의 간격이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스프로킷휠(42)에는 캠링(9) 상면에 휠구동부(48)(도 5 참조)를 구비한 적어도 1개의 구동축을 지닌 스프로킷휠(42)이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리버서블모터(49)에서의 회전운동은 제1베벨기어(50)에 출력되어, 이것에 맞물리어 있는 제2베벨기어(51)를 개재하여 휠구동부(48)를 회전한다. 그리고, 그 회전운동이 스프로킷휠(42)을 회전시키고, 스프로킷휠(42)에 맞물리어 있는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이동에 따라서 일련의 스프로킷휠(42)을 회전시킨다. 이 스프로킷휠(42)의 회전운동은 상기 수직축(44)상의 상단부의 나사식 맞춤작용에 의하여 캠링(9)의 상하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캠링(9)에 지탱되어 있는 캠홀더(8)가 승강하고, 캠홀더(8)에 장치되어 있는 편침(53)의 제어캠(52)이 승강하여 제어캠(52)에 의해 제어되어 있는 편침의 스티치량이 변화하는 것이다.
[급사장력 검출장치]
급사장력(給絲 tension)에 변환가 발생하였을 때, 이 장력의 강약을 검지하여 급사 장력의 데이터로서 주제어수단에 데이터를 보내는 급사텐션센서(60)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급사텐션센서(60)는 2개의 고정풀리(61)의 사이에 배설된 1개의 가동풀리(62)에 가동축(63)을 개재하여 포텐션미터(64)를 장치한 것이다. 급사장력의 강약에 의하여 가동풀리(62)는 도 5의 상하에 이동하므로, 가동축도 그 영향을 받아서 요동한다. 포텐션미터(64)는 그 가동축(63)의 요동(搖動)정도에 의하여 실의 장력을 검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검출된 급사장력의 데이터신호는 총합제어수단(후술)에 보내진다.
[자동감는장치]
편지의 편조직, 사용사, 밀도 등의 변경에 의하여 편기의 1회전당 생산량이 다르므로, 감는 양이 일정하면 편지장력이 변화한다. 예컨대, 밀도를 거칠게 하면, 편기(編機) 1회전당 생산량이 증가하므로, 감는 양이 일정하면 편지장력이 약하게 되고, 송출롤러(13, 14)에 들어가기 전에 편지가 이완된다. 이 때문에, 편기 1회전의 생산에 따라 감는 양을 자동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편지의 편조직, 사용사, 밀도 등에 따라서 희망하는 감는장력을 설정하지만, 제어장치에 입력된 감는장력으로부터 변환데이터 베이스에 따라서 감는구동모터의 전류값이 변환하여, 변환된 전류값으로 감는구동모터를 회전시킨다. 제2실시예에서는 감는구동모터를 사용하여 모터의 전류값은 0∼5A의 범위에서 변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DC 모터에 정전류(定電流)가 흐르면 출력토크가 일정하게 되는 것은 공지이지만, 편지의 생산량이 변화하면, 그 변화에 따라 모터의 회전수가 증감한다. 이때, 모터에 흐르는 전류값은 소망하는 감는장력으로부터 변환데이터 베이스에 따라서 변환된 감는구동모터의 전류값과는 다르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감는제어장치는 감는구동모터에 흐르는 전류값을 설정하여 설정된 전류값과 일치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늘 비교하여, 설정된 설정값이 되도록 출력전력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감는구동모터의 회전 토크는 일정하게 보전된다. 결국, 생산량이 변화하여도 소망하는 감는장력이 자동조정된다.
통상 편기의 편지 감는 양에서는 상기의 장치에 의하여 편지장력이 일정하게 보전되지만, 편지를 감는 편지롤이 더욱 커지면 그 편지롤의 크기나 무게의 변화에 의하여 감는토크가 변화하여 감는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포텐셔미터, 로드셀 등을 설치하여, 편지롤의 크기나 무게를 검지하고, 감는제어장치에서 감는 구동모토에 흐른는 전류값을 편지롤의 크기나 무게에 대응하여 보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편지장력은 일정하게 보전된다.
자동감는장치(6)의 구동기구 및 그 관련부분을 도 7∼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로터형 DC모터를 내장한 송출롤러(13)는 프레임(84)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84)의 내측에 제1스윙암(140)과 제2스윙암(141)이 설치되고, 제1스윙암(140) 및 제2스윙암(141)의 하부는 프레임(84)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송출롤러(12)는 제1스윙암(140)에, 같은 모양의 송출롤러(14)는 제2스윙암(141)에 송출롤러(13)를 포함하도록 축받이 되어 있다.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로터형 DC모터(71)(예컨대, 일본국 이도오덴끼 가부시키가이샤의 제조)는 모터(72)와 감속기구(7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아우트로터형 DC모터(71)는 송출롤러(13)와 동축적으로 장치되어 있으며, 이 출력축(74)이 베어링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출력축(74)은 회전하지 않고 아우트로터형 DC 모터(71)와 동시에 송출롤러(13)가 회전하는 것이다. 모터의 베어링 단면에는 스퍼기어(spur gear)(76)가 나사(77)에 의하여 장치되어 있다. 이 스퍼기어(76)는 모터측과 대칭위치의 롤러단면에 장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우트로터형 DC모터(71)는 다른 송출롤러(12, 14)에도 장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스윙암(140) 및 제2스윙암(141)의 자유단부에는 프레임(84)의 상단과 평행으로 나선상으로 깎인 구멍이 마련되어 제1스프링 조정나사(142) 및 제2스프링 조정나사(143)가 나사 맞춤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조정나사의 각 내측에는 스프링(144)의 일단이 걸리어 있으며, 스프링의 타단은 프레임(84)에 정착되어 있다.
상기 스퍼기어(76)는 다른 송출롤러(12, 14)와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는 2개의 스퍼기어와는 상기 스프링(144)의 장력에 의하여 맞물림과 동시에 송출롤러(12, 13, 14)는 압접(壓接)되어 있다. 그 결과 송출롤러(13)의 운동은 다른 송출롤러(12, 14)에도 전달되고, 그것들의 롤러 사이를 편지가 강제적으로 송출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 조정나사의 나사 맞춤상태를 조정하는 것으로, 송출롤러의 압접(壓接)상태의 압력을 변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해제레버(80)를 도 17의 화살표방향으로 1단(段) 기울이면 레버선단부에 설치된 캠작용에 의하여 송출롤러(13, 14)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제2스윙암(141)이 이동하고, 해제레버(80)를 도 17의 화살표방향으로 더욱 1단 기울이면 레버선단부에 설치된 캠작용에 의하여 송출롤러(12, 13)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제1스윙암(140)이 이동한다.
상기 송출롤러(12)의 타단에는 제3스윙암(도시생략)이, 상기 송출롤러(14)의 타단에는 제4스윙암(도시생략)이 각 롤러를 지지하고 있다.
편지텐션의 변화에 대하여 편지를 감는 감는롤러(15)에는 도 7,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편지롤 회전용 프릭션 롤러(friction roller)(89)가 감는롤러(15)와 평행으로, 또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편지롤 회전용 프릭션 롤러(89)는 상기 송출롤러(12)와 마찬가지로 아우트로터형 DC 모터(71)를 내장하여, 항상 감는롤러(15) 상에 편지롤과 접촉하여 편지롤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편지롤 회전용 프릭션 롤러(89)의 축단부(軸端部)는 회동암(93)에 고정되어 있다. 회동암(93)은 프레임(84)에 장치되어 있다. 프릭션 롤러(89)는 상기 송출롤러(13)를 구동원으로 체인을 개재하여 동력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송출롤러(12)의 모터, 편지롤러 회전용 프릭션 롤러(89)의 모터 및 근접 스위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베어링박스(98)(도 1)에 수용된 급전장치(100)의 일부 단면부분을 표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급전장치(100)에서는 로터리 접촉통전이 행하여진다. 주로 회전체 콘택트링(101)과, 고정단자의 카본 브러시(102) 및 수직축(103)으로 구성되어 있다. 급전장치(100)는 급전장치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통형상 박스(104)에 수용되어 있다. 이 급전장치(100)는 통형상 박스(104)의 하단부와 나사(105)로 장치되어 있다. 통형상 박스(104) 자체는 나사(106)에 따라 프레임(84, 96)과 일체로 베어링박스(98)의 커버(107)에 장치되어 있다. 수직축(103)에는 배선(108)이 통해 있으며, 이 수직축의 하단부에 롤핀(109)이 장치되어 있다. 롤핀(109)은 커버(110)의 긴구멍(111)에 맞물리어, 수직축(103)이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편기의 회전시에는 자동감는장치와 동시에 콘택트링(101)이 회전한다. 콘택트링(101)은 슬립링과 인터벌링이 교호로 배치되어 있으며, 카본브러시(102)를 개재하여 배선(配線)(112)으로부터 각 모터 및 근접 스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급전장치는 카본브러시 방식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시판(市販)의 수은접점방식을 사용해도 좋다.
근접 스위치는 모터의 회전을 확인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스위치의 사용 목적은, 감는구동모터가 회전해야 할 때에 회전하지 않고 있거나, 실이 끊어져서 편지(編地)가 없어진 때에도 감는구동모터가 회전을 계속하고 있으므로, 그것을 검지하여 이상(異常)을 검출(檢出)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도 14는 자동감는장치의 제2실시예이다.
도 10, 도 11에 있어서, 자동감는장치 프레임(84)의 내측에는 주지의 방법으로 감는구동모터(114)가 장치되어 있다. 이 모터(114)의 구동에 의하여 변속기어(115)를 개재하여 송출롤러의 한개의 송출롤러(110)가 회전한다. 송출롤러(110)에 장치되어 있는 스퍼기어가 다른 송출롤러(111, 112)에도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는 스퍼기어와 맞물리어 있다. 그 결과, 송출롤러(110)의 운동은 다른 송출롤러(111, 112)에도 전달되어, 이것들의 롤러 사이를 편지가 강제적으로 송출되는 것이다. 송출롤러(110, 111, 112) 사이의 접촉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때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해제레버(116)를 기울이면 된다.
송출롤러(110)는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자동감는장치 프레임(84)의 상측에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송출롤러(111)의 축단(軸端)에는 래치트휠(118)이 고착되었으며,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래치트클로(119)가 휠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래치트휠(118)의 측면에 고착되어 있는 스프로킷휠은 체인(120)의 이완됨을 조정하는 텐션롤러(121)를 개재하여 중간롤러(122)의 측면에 고착된 스프로킷휠을 회전시킨다. 중간롤러의 구동력에 의하여 체인기구(123)를 개재하여 편지롤러 회전용 프릭션 롤러(124)를 구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감는롤러(15)상의 편지롤(83)을 회전시켜서 편지를 감는다.
도 15, 16은 자동감는장치의 제3실시예이다.
제3실시예가 제2실시예와 다른 것은 편지롤을 자동감는장치의 하부에서 감는 것, 편지롤 회전용 프릭션 롤러는 편지롤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 중간롤러(122)를 배제(排除)하여 래치트휠의 구동력으로 직접 프릭션 롤러(125)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체인(120)의 이완됨을 조정하는 텐션롤러는 도시(圖示)를 생략했다. 그외 점(点)은 제2실시예와 같은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총합제어장치]
도 18은 본 발명장치의 블록도이다.
총합제어장치(130)는 각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모든 설정데이터와 비교연산을 하고, 보정신호를 발신하는 것이고, 주로 CPU가 맡는다. 입력장치(131)는 총합제어수단의 메모리에 편기의 종류에 의거하여 모든 조건이나 스티치의 설정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매체로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이 맡는다.
입력장치(131) 및 총합제어장치(130)로는, 예컨대 키보드, 플로피디스크, ROM 보드, RAM 보드 등의 공지의 요소를 지닌 노트형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편기의 커트수(cut數)(실린더침의 총 개수)를 설정하는 실량(絲量)을 입력한다.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사용하는 정보입력방법 외에 식별코드에 의한 정보입력도 가능하다. 여기서, 식별코드는 각종의 2차원 코드나 바코드의 총칭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예컨대 여러 가지 편지편성조건을 편기에서 텐션데이터로 끄집어내어 식별코드화한다. 예컨대, 도 19 (a)와 같이 편지 명세서와 동시에 그 데이터를 도 19 (b)와 같이 2차원 코드화하여 인쇄하여 둔다. 편지를 재현할 때에는 편지 명세서의 식별코드부분을 이미지 스캐너로 읽어내어 입력데이터로 한다. 데이터의 식별코드화의 기술은 그 자체가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에컨대, 일본국 특개 평9-171536호 기재의 기술을 사용할 수가 있다.
키보드입력과 비교하였을 때 식별코드입력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1. 특정의 편지를 편성하기 위하여 조정자가 편기를 조정하여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편성조건을 결정하고, 그것들을 데이터로서 인쇄하여 외부에 끄집어내어 보존할 수가 있다. 보존매체는 통상 종이고, 용이 또는 저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카드 사이즈에 인쇄하면 부피가 커지지 않아서 휴대에도 편리하다.
2. 인쇄한 식별코드를 편기부속의 이미지 스캐너로 읽어내므로서 순식간에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3. 너무 편지편성의 지식이 없는 현장의 편기 사용자라도 간단히 입력미스 없이 데이터설정이 가능하다.
4. 식별코드화된 정보는 편기부속의 개인용 컴퓨터 이외의 개인용 컴퓨터에도 입ㆍ출력이 가능하여, 편기에서 떨어진 장소에서도 편지정보의 작성, 보존 등을 실행해서, 그것을 인쇄하므로 편기에 데이터입력도 가능하다.
5. 편기의 데이터 이외의 실제정보 등도 편기데이터와 동시에 식별코드화
할 수 있다.
도 20은 분주기(分周器)ㆍ체배기(遞倍器)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로터리 인코더(27)에서의 인코더 펄스는 분주기 및 체배기에 전달된다. 그리고, 입력장치에서의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총합제어장치(130)에서는 인코더(27)와 급사장치용 서브모터(17)의 배율을 결정하여, 배율이 1 이하이면 분주기에, 1 이상이면 체배기에 배율이 보내진다. 배율을 받은 분주기 또는 체배기는 그 배율에 따라서 상기 인코더 펄스는 폭(幅)이 증감하여 펄스제어장치(132)에 전달한다. 펄스제어장치(132)에 보내진 폭 증감 인코더 펄스는 급사장치용 서브모터(17)에서의 피이드백 펄스와 비교하여, 폭 증감 인코더 펄스와 피이드백 펄스의 오차가 0이 되도록 적정한 펄스가 급사장치용 서브모터(17)에 보내진다.
도 21은 분주기ㆍ체배기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로터리 인 코더(27)에서의 인코더 펄스는 분주체배 전환기에 전달된다. 그리고, 입력장치에서의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총합제어장치(130)에서는 인코더(27)와 급사장치용 서브모터(17)의 배율을 결정하여, 그 배율은 분주체배 전환기에 전달된다. 인코더 펄스 및 배율을 받은 분주체배 전환기는 배율에 따른 인코더 펄스 및 배율을 분주기 또는 체배기에 전달한다. 이제, 분주기, 체배기, 전환기의 3개의 기능을 포함한 분주체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합제어장치(130)는 입력된 실량과 급사텐션센서(60)의 측정값을 기초하여 중앙 스티치용 리버서블(reversible) 모터(30)의 회전조건을 결정하여 리버서블 모터(30)에 보낸다(도 18).
동시에, 총합제어장치(130)는 입력된 실량에 의거하여 자동감는용 프린트모터(114)의 회전조건을 결정하여 프린트모터에 전달한다.
[플로우차트]
상술한 본 발명의 각종 자동제어에 있어서의 각 수단의 동작을 도 22의 플로우차트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에 있어서, N1∼N17은 플로우차트의 각 스텝(step)을 표시하고 있다.
스텝 N1: 입력장치(131)를 개재하여 편기커트수 (실린더침의 총 개수)를 입력한다.
스텝 N2: 입력장치(131)를 개재하여 설정 실량을 입력하여 시스템을 기동시킨다.
스텝 N3: 시스템이 가동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스텝 N4: 전회(前回)에 입력한 실량과 일치하는 경우, 장력 조정만을 한다.
스텝 N5: 전회에 입력한 실량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실량이 감소되어 있는가, 증가하여 있는가를 판정한다.
스텝 N6: N5에 있어서 실량이 감소하고 있을 때에는, 여기서 급사장력을 측정한다.
스텝 N7: 그 결과, 실이 끊어질 가능성이 있으면 N11에 이행한다.
스텝 N8: 실이 끊어질 가능성이 없으면 미소한 실량의 감소를 한다.
스텝 N9: 자동감는기구에 의해 감는장력의 변동에 대하여 자동보정을 한다.
스텝 N10: 실이 이완 가능성이 있으면 N12에 이행한다. 이완 가능성이 없으면 N11에 나아간다.
스텝 N11: 중앙스티치용 리버서블 모터(30)를 미소 역전시켜서 중앙스티치량을 감소시킨다.
스텝 N12: 설정 실량에 도달하였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도달하지 아니하면 N6에 되돌아간다.
스텝 N13: N5에 있어서 실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판정하였을 때, 여기서 급사장력을 판정한다.
스텝 N14: 그 결과, 실이 끊어질 가능성이 있으면 N17에 이행한다.
스텝 N15: 실이 끊어질 가능성이 없으면 중앙스티치용 리버서블 모터(30)를 미소 정회전시켜서 스티치량을 증가시킨다.
스텝 N16: 실이 이완될 가능성이 있으면 N19에 나아간다.
스텝 N17: 실이 이완될 가능성이 없으면 미소한 실량의 증가를 한다.
스텝 N18: 자동감는장치에 의해 감는장력의 변동에 대하여 자동보정을 한다.
스텝 N19: 설정 실량에 도달하였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도달하지 아니하면 N13에 되돌아간다.
스텝 N20: N5 내지 N19는 실량에 변화가 있은 경우, 실량에 대하여 편기의 스티치량을 변화시키고, 가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스텝으로서, 스텝 N20에서는 보다 정확하게 희망하는 급사장력에 설정한다. N12, N19에 있어서 설정 실량에 도달해 있는 경우에는 급사장력을 측정하여 희망하는 급사장력에 설정하기 위해 중앙스티치용 리버서블 모터(30)를 가장 적은 정(正)회전 또는 역회전시켜서 스티치량을 증감 또는 감소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편지정보의 입출력은 식별코드화가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도 22의 플로우차트에 들어가기 전에 도 2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식별코드 읽어내는 N21, 식별코드에서의 데이터 추출 N22의 스텝이 더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사구수(給絲口數)가 많아 번잡한 편기의 편지밀도의 조정을 자동화하므로서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적은 로트(lot)생산에 신속히 대응할 수가 있다. 설정수단 또는 각 계측수단에 의하여 얻은 데이터에 의거하여 일정의 급사량, 스티치량, 감는량을 자동조정하는 것으로서 고품질의 편지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과거에 편성한 편지를 재차 편성하는 경우에도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재현이 가능하다.
더욱이, 편기가동시에 발생하는 발열에 의하여 편성 각부(各部)가 열팽창하고, 급사텐션센서가 변화하여 편지에 악영향을 미치게 할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하면 계측수단에 따라 얻은 데이터에 의거하여 적정한 스티치량으로 자동조정하는 것으로 고품질의 편지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복수의 편침(53)과 편사가 얀캐리어(35)를 개재하여 편침에 공급되는 급사장치(19)와, 상기 편침을 침홈에 수용한 실린더(7)와, 이 실린더에 대향하여 편침을 제어하는 제어캠(52)을 구비한 캠홀더(8)와, 이 캠홀더를 지탱하는 캠링(9)을 구비한 환편기에 있어서,
    소망하는 편지의 실량을 설정하는 입력장치(131) 및 총합제어장치(130)와, 소망하는 편지의 실량에 따라 급사량을 증감하기 위한 상기 편기의 회동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수단(23)과 이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 된 신호에 대응하여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6)으로 된 급사자동제어장치와, 실량의 증감에 의하여 변화하는 급사장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60)과, 검출된 급사장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편기의 스티치량을 증감하는 증감수단(30)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소망하는 편지의 생산량을 설정하는 수단과, 소망하는 편지의 생산량에 따라 감는량을 증감하는 자동감는장치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소망하는 편지의 생산량을 설정하는 수단과, 생산량의 증감에 의해 변화하는 감는 장력의 검출수단과,
    검출된 감는 장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감는량을 증감하는 자동감는장치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생산량의 증감에 의하여 감는장력의 검출수단이 감는토크의 변화에 따라서 감는구동모터의 전류값의 변화를 검지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소망하는 편지의 생산량을 설정하는 수단이 식별코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식별코드 데이터가 2차원 코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서브모터(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13. 제6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기의 회동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이 로터리 인코터(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14. 제6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기의 회동상태에 따라 인코더 펄스를 발생시키는 상기 로터리 인코더(27)와, 상기 인코더 펄스와 서브모터 피이드백 펄스를 비교 연산하여, 상기 2개의 펄스의 오차가 0이 되도록 제어하는 펄스제어장치(132)와, 상기 펄스제어장치의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서 상기 급사장치를 구동하는 서브모터(17)와, 상기 인코더 펄스를 분주하는 분주기와, 상기 인코더 펄스를 체배하는 체배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 된 펄수와 상기 체배된 펄스를 상기 서브모터의 구동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그 출력펄스를 상기 펄스제어장치에 출력하는 전환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기의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KR1020000056192A 1999-09-24 2000-09-25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KR100771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989699 1999-09-24
JP1999-269896 1999-09-24
JP2000-255245 2000-08-25
JP2000255245A JP2001159056A (ja) 1999-09-24 2000-08-25 丸編機の給糸自動制御及び編地密度自動調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626A KR20010050626A (ko) 2001-06-15
KR100771340B1 true KR100771340B1 (ko) 2007-10-29

Family

ID=2654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192A KR100771340B1 (ko) 1999-09-24 2000-09-25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01938B1 (ko)
EP (1) EP1087048A3 (ko)
JP (1) JP2001159056A (ko)
KR (1) KR100771340B1 (ko)
TW (1) TW5365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834A (ko) 2022-01-07 2023-07-14 에코융합섬유연구원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128A (ja) * 2003-01-30 2004-08-19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丸編機におけるステッチ量の調節装置及び調整方法
GB0318271D0 (en) * 2003-08-05 2003-09-10 Univ Manchester Improved knitting machines and methods of knitting
DE102004058920B4 (de) * 2004-12-07 2007-01-11 Memminger-Iro Gmbh Rundstrickmaschine und Elektromotor
JP4916193B2 (ja) * 2006-03-08 2012-04-11 グンゼ株式会社 衣類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403964B2 (ja) * 2007-07-31 2014-01-2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紐状物製造装置
WO2009127255A1 (en) * 2008-04-16 2009-10-22 Memminger-Iro Gmbh Fabric draw-off device
CN101270544B (zh) * 2008-04-29 2011-05-11 上海好力纺织机电制造有限公司 纺织品织造过程的参数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US7793523B1 (en) 2009-10-01 2010-09-14 Innovative Designs, LLC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bearing-stabilized cylinder
TWI422721B (zh) * 2010-03-26 2014-01-11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整合多紗線改變裝置的圓形針織機
ITMI20111030A1 (it) * 2011-06-08 2012-12-09 Santoni & C Spa Procedimento per regolare la taglia di articoli tessili in produzione su macchine tessili circolari per maglieria o calzetteria
JP2013189719A (ja) * 2012-03-13 2013-09-26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丸編機におけるスリットヤーンの編成方法、その装置および編地
ITTO20120261A1 (it) * 2012-03-22 2013-09-23 Lgl Electronics Spa Metodo di alimentazione/recupero del filato per macchine tessili, ed apparato per l'esecuzione di tale metodo.
JP2014001484A (ja) * 2012-06-21 2014-01-09 Eclat Textile Co Ltd 防風性メリヤス生地の製造方法及びその組成
JP2014095157A (ja) * 2012-11-07 2014-05-22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丸編機の巻取制御方法および装置
BR112017011566B1 (pt) * 2014-12-09 2022-01-25 Lonati S.P.A. Base para máquinas de tricotar circulares para artigos de malha ou similares
KR101699038B1 (ko) * 2015-04-06 2017-02-01 삼에스기계(주)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CN105019125A (zh) * 2015-07-30 2015-11-04 湖州新仲湖针织制衣有限公司 一种提花针织机的导向机构
CN106012255A (zh) * 2016-07-07 2016-10-12 广东汇益纺织有限公司 一种提高针织面料弹性的加工方法
KR101772994B1 (ko) * 2016-11-07 2017-09-12 이상용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KR101917986B1 (ko) * 2018-06-18 2019-01-29 김종식 편직장치
KR102181025B1 (ko) 2019-04-08 2020-11-20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자동으로 환편기를 교정하기 위한 직물 파일 배포 시스템
US10988873B2 (en) 2019-04-08 2021-04-27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abric file release system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a circular knitting machine
EP3722475A1 (en) 2019-04-10 2020-10-14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abric file release system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2058929B1 (ko) * 2019-08-19 2020-02-11 고원니트(주) 원사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환편기
CN114411321B (zh) * 2021-12-30 2023-07-07 石狮市成鑫针织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自适应送纱功能的针织大圆机
KR102599655B1 (ko) * 2023-05-03 2023-11-06 박영신 환편기용 가이드 롤러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1743A1 (de) * 1984-08-29 1986-03-13 Christian Montopoli Val d'Arno Bretscher Vorrichtung zur fadenzufuehrung fuer eine strickmaschine
US5511392A (en) * 1993-11-04 1996-04-30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titch length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78823A (en) 1969-03-13 1972-06-21 Triplite Ltd Circular knitting machines
CS179185B1 (en) 1975-07-28 1977-10-31 Pavel Bucek Apparatus for fabric density control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IT1083113B (it) 1977-05-18 1985-05-21 Marchisio Giovanni & C S A S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on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 velocita di alimentazione dei fili
US4236390A (en) * 1978-11-09 1980-12-02 Terrot Strickmaschinen Gmbh Knitting machine
DE3232643A1 (de) 1982-09-02 1984-03-08 Veb Kombinat Textima, Ddr 9010 Karl-Marx-Stadt Rundstrickmaschine mit hoehenregeleinrichtung fuer verstellbare nadeltraeger
JPS60209056A (ja) * 1984-03-29 1985-10-21 株式会社 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ステツチ量及び糸案内装置の中央制御装置
GB8410640D0 (en) * 1984-04-26 1984-05-31 Iropa Textile Accessories Positive feed
DD234453A1 (de) * 1985-02-06 1986-04-02 Textima Veb K Vielsystemige rundstrickmaschine, insbesondere rechts-/links-grossrundstrickmaschine
CS255035B1 (en) * 1986-07-29 1988-02-15 Pavel Uhlir Density control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frame
JPH0299648A (ja) 1988-10-05 1990-04-11 Wakayama Pref Gov 送りテープの速度制御機構
JP2892392B2 (ja) * 1989-08-31 1999-05-17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編機のステッチ自動調整装置および方法
DE3931997C2 (de) 1989-09-26 1998-08-27 Sipra Patent Beteiligung Antriebsrolle für eine Fadenliefervorrichtung
DE4012204A1 (de) 1990-04-14 1991-10-17 Sipra Patent Beteiligung Schlossanordnung fuer strickmaschinen, insbesondere rundstrickmaschinen
US5212967A (en) * 1991-06-10 1993-05-25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Automatic stitch adjusting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DE4128372A1 (de) * 1991-08-27 1993-03-04 Sipra Patent Beteiligung Rundstrickmaschine mit einem nadelzylinder und einer rippscheibe
JPH06173146A (ja) * 1992-10-09 1994-06-21 Fukuhara Seiki Seisakusho:Kk 丸編機における巻取部の駆動装置
DE4240037C2 (de) 1992-11-28 2001-02-08 Sipra Patent Beteiligung Schloßanordnung für eine Strickmaschine
JP2784502B2 (ja) 1996-11-18 1998-08-06 帝菱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記録紙の二次元データ記録読取方法およびその記録読取装置。
US5816079A (en) 1997-04-14 1998-10-06 Pai Lung Machinery Needle position detecting system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DE19733266A1 (de) 1997-08-01 1999-02-04 Sipra Patent Beteiligung Antriebsrolle für eine Fadenliefervorrichtung
DE19733263A1 (de) 1997-08-01 1999-02-04 Sipra Patent Beteiligung Fadenliefervorrichtung an einer Textilmaschine und Bandspannvorrichtung dafü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1743A1 (de) * 1984-08-29 1986-03-13 Christian Montopoli Val d'Arno Bretscher Vorrichtung zur fadenzufuehrung fuer eine strickmaschine
US5511392A (en) * 1993-11-04 1996-04-30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titch length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834A (ko) 2022-01-07 2023-07-14 에코융합섬유연구원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KR102590626B1 (ko) * 2022-01-07 2023-10-17 에코융합섬유연구원 집진기능이 구비된 환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01938B1 (en) 2001-10-16
EP1087048A2 (en) 2001-03-28
JP2001159056A (ja) 2001-06-12
EP1087048A3 (en) 2003-07-09
TW536569B (en) 2003-06-11
KR20010050626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340B1 (ko) 환편기의 급사자동제어 및 편지밀도 자동조정장치
US7493188B2 (en)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EP0181064B1 (en) Fixed head thermal printer
US4199965A (en) Yarn feed control system
JP2892392B2 (ja) 編機のステッチ自動調整装置および方法
US55113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titch length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EP17150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with elastomeric yarn that compensate for yarn package relaxation
US4671083A (en) Driving apparatus in take up unit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US5381676A (en) Fabric take-up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AU5919898A (en) System for controlling tension of a primary backing material in a tufting machine
TWI604099B (zh) 電子提花機之捲取控制方法及裝置
TW459082B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production of knitwear with selectiv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adjusting it
US6023949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drive roll feed back device for tensioning the knitted fabric
US5524461A (en) Control system for yarn feed gearbox
US5022335A (en) Upper thread supplying device in sewing machine
US4758106A (en) Bidirectional printer with voltage compensator
EP0440481A2 (en) Device for driving a take up unit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US4932346A (en) Feeding control apparatus for a plurality of threads
KR100641681B1 (ko) 와인더의 권취장력 조절방법 및 조절시스템
US653320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ing a roll from printed products
EP0933457B1 (en) Device for feeding an elastically extendable yarn to hosiery knitting machines
US4791877A (en) Feed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zigzag sewing machine
US37396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strands, and elements thereof
CN219099486U (zh) 一种双针床张力控制装置
JPH03264386A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インクリボン速度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