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875B1 -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4875B1 KR102564875B1 KR1020220104514A KR20220104514A KR102564875B1 KR 102564875 B1 KR102564875 B1 KR 102564875B1 KR 1020220104514 A KR1020220104514 A KR 1020220104514A KR 20220104514 A KR20220104514 A KR 20220104514A KR 102564875 B1 KR102564875 B1 KR 1025648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itting
- dust
- spoke
- unit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1246 Cycloloma atriplic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2—Devices for removing lint or fluf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를 개시하며, 수평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과 수직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상기 활동홈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다이얼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바디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편침과 수직편침의 편직운동을 유도하며, 상기 다이얼 및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으로 원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부가 설치되는 환편기의 편직부에 있어서, 상기 편직부의 내측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체와, 상기 수직지지체로부터 삽입 설치되는 상부고정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어, 길이 조절 및 각도 조절되면서 상기 수평편침과 상기 수직편침에 송풍팬을 통해 바람을 불어 상기 원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송풍수단 및 상기 수직지지체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편직부 내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먼지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직 과정에서 발행되는 먼지, 보프라기 등이 원단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편기(丸編機, circular knitting machine)는 바늘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원형의 통상(筒狀)의 천이 연속 적으로 생산되는 편직하는 작동에 따라 회전부와 고정부로 대변하는데, 회전부에는 실린더가 있고 실린더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수많은 홈을 파 그곳에 바늘을 꽂아 넣고, 실린더의 상단에는 수평으로 수많은 홈을 파 그곳에 싱카핀을 바늘과 엇갈리는 순서로 꽂아 넣게 회전하면서 편직하게 된다.
고정부에는 환편기가 편직작동을 위하여 실린더가 회전할 때 실린더에 꽂혀있는 바늘이 상, 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니들캠(NEEDLE CAM)이 캠홀더에 부착되어 있고, 싱카핀이 수평으로 꽂혀있는 싱카캠은 싱카플레이트에 있으며, 원사의 공급을 유도하는 사도(絲道)와 롤러가 있는 원사공급부위가 있다.
또, 편직부는 회전부와 원사공급부위인 고정부 사이는 수많은 니들과 싱카핀이 상, 하 및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환편기는 고속으로 회전하여 편직하는 편직부에 실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실을 편직부에 안내하는 사도와 실과의 마찰이 일어나고, 또 편직하는 과정에서 바늘의 상하이동으로 실의 부프라기 등 발생된 먼지 등이 고속으로 회전 하면서 편직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하는 바늘과 싱카핀에 내려앉아 편직되는 원단에 직접 들어가는 경우에는 불량원단을 생산하게 하기도 하지만, 바늘과 싱카핀을 조립 설치하는 공간에 달라붙거나 들어가는 경우에는 바늘과 싱카핀이 수직 및 수평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바늘 및 싱카핀이 실린더의 바늘홈 및 싱카핀홈에 끼어 들어가 함께 뭉쳐져 딱딱하게 굳어져 얇은 바늘과 싱카핀이 바늘홈 및 싱카핀홈에서 원활하게 작동을 하지 못하거나 정밀하게 조립되어 정확한 자리에서 이동하는 바늘과 싱카핀이 조립된 바늘홈 및 싱카핀홈으로부터 밀려나와 정상의 위치에 작동하지 못한 것에 의하여 실이 절사되거나 절사되는 경우에는 기계를 정지하여 실을 연결하여 작동하여야 하고, 또 편직된 원단의 조직은 불량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면으로 만들어진 특정 얀(익스텐션에서 사용하는 실로된 원사)을 사용할 때, 상기 섬유 퇴적이 많이 발생되며, 고성능 기계에서의 이와 같은 오염은 60rpm 이상으로 회전하는 니들 실린더에서는 특히 위험하다. 여기서 오염도는 청소 작동이 절박한 몇 시간의 시간이 진행된 후에는 이미 상당한 수준이 된다.
관련 기술에 따라 작동하고 편직 니들과 노킹-오버/홀딩다운 싱커가 루프 형성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상술한 형태의 원형 편직기의 경우, 먼지제거 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압축된 공기 흐름이 향하는 개구부를 통해 캠 세그먼트를 관통하는 하나이상의 개구부를 가진다. 상기 개구부는 필수적으로 외부에서 하부로부터 상부로 방사상 및 사선으로 향하고, 싱커의 선회 점위 및 싱커의 후방측면과 니들 실린더 사이에 배치되는 환상의 공간으로 열리는 방법으로 내부로 향한다.
상기 방법으로 섬유와 먼지가 싱커그루브내에 퇴적되는 것이 어느 정도 방지되기는 하나, 실제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결과에 따르면, 상기 기술은 먼지제거에 적절하지 않다.
또한, 다른 해결방법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외측 분사노즐을 고정배치한 후, 이를 통하여 분사하는 압축공기가 니들과 싱카핀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공기중의 작은 먼지는 편직부에서 제거된 효과가 있었지만 니들과 싱카핀에 생성되고 있는 뭉쳐진 먼지덩어리가 떨어져 나와 편직되는 원단에 들어가게 되어 회전하고 있는 회전부의 니들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미 니들홈에 먼지덩어리가 만들어지거나 또는 편직 하는 과정에서 작동을 멈추고 먼지덩이리 등을 제거할 수밖에 없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0561827호는 "실린더내측 중심에 설치된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된 수개의 압축공기분사노즐로 압축공기를 니들부위에 분사시키는데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작동과는 관련 없이 그 상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원통지지체와; 상기 회전축의 중심과 일치하는 상태로 그 상방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채 체결볼트에 의하여 상기 원통지지체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로 결합되며, 외주에는 고정부와 회전부를 향해 바람을 불어 주는 압축공기분사노즐이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압축공기분사노즐 회전체와;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 회전체의 하단 내측으로 연장된 고정축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의 편심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채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기어와; 상기 아이들기어에 치합되어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 회전체의 하단 내측에 형성되는 내치형 링기어를 구비히여 압축공기분사노즐과 회전부가 동심원 축상에서 독립적으로 서로 회전되게 하고, 압축공기분사노즐과 회전부의 회전속도는 상대적 속도차가 있게 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고정부와 회전부를 불어주게 함으로서 고정부와 회전부에 삽입 되어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가 제안되었고, 상기 공기분사튜브(6)는 도면(도 3,7,8 참조)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개 내지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한 공기분사튜브(6)는 연결공(35)에 일단 이 나사식으로 조립되는 고정튜브(61)와 이 고정튜브의 자유단측에서 출몰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동튜브(62)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상기한 고정튜브(61)의 자유단에는 조임너트(63)가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 조임너트(63)의 내측에는 조임너트의 나사 조임시에는 가동튜브(62)의 외주면을 압축하여 고정시키는 반면에, 조임너트의 나사 풀림시에는 가동튜브(62)의 출몰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압착링(64)이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튜브(62)의 자유단에는 압축공기는 분사하는 노즐(65)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가동 튜브(62)의 자유단측은 원사의 종류에 따른 린트슬러브의 생성량이나 환편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니들부위(12)를 향해 원하는 각도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며, 도시예와 같이 절곡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발명은 공기를 배출하는 노즐이 동일한 반경으로 회전되면서 배출하므로 공기가 분사되는 장소가 일정하여 랜덤하게 공기를 부로우하지 못해 편직부 먼지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외부에 노출되어 편직부에 실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회동되는 분사노즐에 실이 감겨 실이 절사되어 기계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가방류들의 문제점 및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직부를 향하도록 송풍수단이 설치되어 다수개의 팬으로 먼지를 부유시키고, 먼지제거수단으로 먼지,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사상에 따른 환편기는, 원형편기 중에서 주로 의류용 편물을 편성하는 편기로써, 바디본체와 상기 바디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편직되는 편직부 및 상기 편직부에 원사를 일정하게 적당한 장력으로 공급하는 급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본체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다리부와, 클러치와 모터 및 와인드 롤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편직부는 루우프(loop)를 형성하는데 원사와 직접 접촉하는 기계 요소로서 정밀도가 높아야 원활한 편성이 가능할 수 있으며, 다이얼과 실린더로 구성되는 침상이 회전함에 따라 침상에 결합된 다수의 래치(latch) 편침이 캠(cam)에 의하여 축방향 왕복 활동하면서 원사를 편성하여 관상의 편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환편기의 침상에는 다수의 활동홈이 절개 형성되는데, 침상을 구성하는 원반형 상기 다이얼에는 상면에 방사상의 상기 활동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상기 실린더에는 외주면에 수직의 상기 활동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각각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이 결합된다.
상기 다이얼과 상기 실린더의 상기 활동홈에 결합되는 편침은, 선단의 두부에 개폐식 후크가 형성된 래치 편침으로서, 편침의 몸체인 편침간에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침상이 회전함에 따라 후술할 캠(cam)에 의하여 상기 활동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축방향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환형래크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래크에는 모터와 연결된 피니언(pinion)이 치합되어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다이얼의 회전축에는 원형래크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래크에는 상기 피니언과 상기 샤프트로 동축 연결된 또 다른 피니언이 치합된다.
따라서 침상을 구성하는 상기 다이얼과 상기 실린더는 동심의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다이얼의 외곽과 상기 실린더의 상단이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동조 회전하게 되며, 상기 다이얼과 상기 실린더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이얼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본체에 고정된 원형고정판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곽에는 상기 바디본체에 고정된 상기 환형고정판이 형성되는데, 상기 원형고정판 및 환형고정판에는 각각 호형(弧形)의 수평부착판 및 수직벽체인 수직부착판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부착판 및 상기 수직부착판에는 각각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을 유도하는 캠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부착판에는 다수의 단위 캠이 조합 부착되어 상기 수평편침의 편침간 상에 형성된 돌출편을 유도하게 되며, 수직부착판에도 다수의 단위 캠이 조합 부착되어 수직편침의 돌출편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수평부착판에 부착되는 단위 캠은 할당된 수평편침의 유도 방향에 따라 상기 다이얼의 중심 측에 설치되는 전진캠과 상기 다이얼의 외곽 측에 설치되는 후퇴캠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부착판에 부착되는 단위 캠은 할당된 상기 수직편침의 유도 방향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강캠과 하측에 설치되는 상승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환편기에서, 상기 원형고정판, 상기 수평부착판, 상기 전진캠, 상기 후퇴캠, 상기 환형고정판, 상기 수직부착판, 상기 상승캠 및 상기 하강캠 등의 구성요소는 상기 바디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다이얼 및 상기 실린더 등의 상기 편직부 구성요소는 상기 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다이얼 및 상기 실린더의 상기 활동홈에 결합된 상기 수평편침 및 상기 수직편침은 상기 다이얼 및 상기 실린더와 동심의 궤도로 공전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편침은 방사상으로 돌출 및 후퇴를 반복하고 상기 수직편침은 승강을 반복하면서 상기 급사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사를 포착하여 편환을 형성하고 인접 편환을 결속하는 편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수평 부착판의 상부에 윤활유주입구를 하방으로 설치하여, 상기 윤활유주입구를 통해 윤활유가 상기 수평편침으로 공급되도록 하였다.
상기 급사부는 테이프식 장치이며, 미도시된 슬러브캐치(slub catch)와 장력조절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에서는, 바닥면에 지지되고 관상의 편물이 제조되는 바디본체와, 수평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과 수직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상기 활동홈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다이얼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바디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편침과 수직편침의 편직운동을 유도하는 편직부, 및 상기 편직부의 상측으로 상기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에 원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편직부의 내측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체, 및 상기 수직지지체로부터 삽입 설치되는 상부고정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어, 각도 조절 및 길이 조절되면서 상기 편직부측에 송풍팬을 통해 바람을 불어 상기 원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송풍수단이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상부고정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방사형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스포크지지체와, 상기 각 스포크지지체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송풍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상기 수직지지체는 중공의 수직 기둥 형태이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바디본체의 중앙에 지지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로 구동되며, 모터축에는 선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선기어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유성기어가 치합되고, 상기 유성기어에는 상기 수직지지체의 내측 하단부에 일정 길이의 링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유성기어들과 치합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공의 상기 수직지지체에 상부고정축이 돌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축 역시 중공으로 상기 수직지지체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되, 2단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직지지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직지지체와 같이 회전되는 제1상부고정축과, 상기 수직지지체의 상단에 상기 제1상부고정축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상부고정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고정축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기에 볼트마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먼지제거수단이 직교 방향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고정축에는 상기 수직지지체의 상단에 볼트로 설치되는 유니트베어링에 삽입되어 상기 직지지체의 회전으로부터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2상부고정축에는 상기 지제거수단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고정축의 상단에 회전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포크지지체와 상기 스포크지지체에 상기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포크지지체는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는 제1스포크와, 상기 제1스포크로부터 연결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상기 송풍모터가 설치되는 제2스포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포크의 단부측에 설치되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매개홀더와, 상기 제2스포크에 설치되며, 상기 매개홀더를 매개로 상기 홀더의 공간부에 회전볼이 위치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홀더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제1스포크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상기 홀더는 돌출된 홀더연결관을 통해 설치되며, 내부 공간부는 반구형의 홈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매개홀더는 상기 홀더에 맞대어져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홀더는 상기 제2스포크에 삽입 설치되도록 각도조절홀더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홀더관과 일체로 회전볼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스포크 및/또는 상기 제2스포크는, 이중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중관 중 어느 하나에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이중관에는 상기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고정팁이 위치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1스포크 및/또는 상기 제2스포크가 이중관으로 분리 형성되며, 어느 하나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상기 고정공이 나란히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연장관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고정공을 향하여 상기 고정팁과 상기 고정팁을 상기 고정홈내에서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팁에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턱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또 따른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에서는, 바닥면에 지지되고 관상의 편물이 제조되는 바디본체와, 수평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과 수직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상기 활동홈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다이얼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바디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편침과 수직편침의 편직운동을 유도하는 편직부, 및 상기 편직부의 상측으로 상기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에 원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편직부의 내측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체, 및 상기 수직지지체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편직부 내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먼지제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제거수단은, 상기 편직부를 향하는 노즐흡입부와, 상기 노즐흡입부의 후단으로 일체로 이어져서 상기 수직지지체의 내부와 연결되어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먼지이송관 및 상기 수직지지체로부터 삽입 설치되는 상부고정축을 통해 이송된 먼지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흡입부에는 상기 노즐흡입부의 주변으로 와류의 저기압대를 확장 형성시키는 스월러팬과, 상기 스월러팬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흡입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흡입부는 나팔 형태로 속이 빈 중공으로 상기 편직부를 향하는 일단이 직경이 확대되었다가 점점 줄어들어서 상기 먼지이송관에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흡입부의 전단으로는 노즐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노즐플레이트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일정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플레이트의 후단으로 상기 노즐흡입부 내부를 따라 주변으로 와류의 저기압대를 확장 형성시키는 상기 스월러팬과, 상기 스월러팬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상기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상기 흡입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월러팬은 상기 노즐흡입부 내에 중심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제1칸막이에 안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터는 상기 제1칸막이의 후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칸막이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제1칸막이와 상기 제2칸막이의 사이에 상기 흡입팬이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모터축은 연장되어 상기 흡입팬과 상기 스월러팬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스월러팬(axial swirler fan)은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상에 다수 개가 배열 설치되는 날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편직부의 주변으로 와류를 효율적으로 형성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흡입 배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흡입팬은 시로코 팬(sirocco fan) 등의 원심형 팬, 또는 프로펠러 팬 등의 축류형 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팬이 상기 스월러팬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도넛형 저기압대는 원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한 회오리 기류는 광범위한 영역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상기 흡입모터는 상기 흡입팬의 후측으로 배치되며, 모터축이 상기 흡입팬을 관통하여 상기 스월러팬에 연결되고, 이는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상기 흡입팬과 상기 스월러팬이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흡입팬의 후단으로 나사 체결되는 상기 먼지이송관은 빈 중공관으로 일단부는 상기 흡입팬)에 나사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상부고정축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흡입부에는 상기 편직부의 먼저를 측정하고, 측정된 먼지농도 산출값을 보내는 먼지측정센서와, 상기 먼지측정센서로부터 먼지농도 산출값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먼지 농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측정센서는 상기 노즐플레이트의 통공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먼지측정센서는 상기 편직부 지역의 먼지를 측정하며 측정된 먼지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편직부 지역의 먼지 농도값을 제어부에 보내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먼지측정센서로부터 먼지 측정명령신호를 수신하고, 먼지 농도값을 산출하여 기 설정된 먼지 농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먼지이송관에는 필터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금속재의 제1메쉬필터와 제2메쉬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메쉬필터와 상기 제2메쉬필터는 원형판 형태이고, 상기 제1메쉬필터 보다 상기 제2메쉬필터의 그물망 밀도가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쉬필터와 상기 제2메쉬필터는 교체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단부에 손잡이가 먼지이송관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먼지이송관에는 상기 제1메쉬필터와 상기 제2메쉬필터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은 적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먼지이송관의 둘레의 반 정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또 따른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에서는, 수평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과 수직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상기 활동홈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다이얼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바디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편침과 수직편침의 편직운동을 유도하며, 상기 다이얼 및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으로 원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부가 설치되는 환편기의 편직부에 있어서, 상기 편직부의 내측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체와, 상기 수직지지체로부터 삽입 설치되는 상부고정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어, 길이 조절 및 각도 조절되면서 상기 수평편침과 상기 수직편침에 송풍팬을 통해 바람을 불어 상기 원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송풍수단 및 상기 수직지지체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편직부 내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먼지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상부고정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방사형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스포크지지체와, 상기 각 스포크지지체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송풍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포크지지체는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는 제1스포크와, 상기 제1스포크로부터 연결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상기 송풍모터가 설치되는 제2스포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포크의 단부측에 설치되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매개홀더와, 상기 제2스포크에 설치되며, 상기 매개홀더를 매개로 상기 홀더의 공간부에 회전볼이 위치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홀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스포크 및/또는 상기 제2스포크는, 이중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중관 중 어느 하나에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이중관에는 상기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고정팁이 위치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흡입부에는 상기 노즐흡입부의 주변으로 와류의 저기압대를 확장 형성시키는 스월러팬과, 상기 스월러팬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흡입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흡입부에는 상기 편직부의 먼저를 측정하고, 측정된 먼지농도 산출값을 보내는 먼지측정센서와, 상기 먼지측정센서로부터 먼지농도 산출값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먼지 농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먼지이송관에는 필터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금속재의 제1메쉬필터와 제2메쉬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메쉬필터와 상기 제2메쉬필터는 원형판 형태이고, 상기 제1메쉬필터 보다 상기 제2메쉬필터의 그물망 밀도가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쉬필터와 상기 제2메쉬필터는 교체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단부에 손잡이가 먼지이송관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먼지이송관에는 상기 제1메쉬필터와 상기 제2메쉬필터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은 적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먼지이송관의 둘레의 반 정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에서는, 편직부를 향하도록 송풍수단이 설치되어 다수개의 팬으로 먼지를 부유시키고, 먼지제거수단으로 먼지,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원단에 먼지, 보프라기 등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질의 원단을 양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환편기의 편직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편직부의 일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편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환편기에서 A부분의 확대도로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의 캠 및 수평부착판의 일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캠 및 수평부착판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송풍수단과 먼지제거수단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송풍수단과 먼지제거수단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송풍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에서 각도 조절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13는 도 9에서 길이조절부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먼지제거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먼지제거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편직부에서 송풍수단과 먼지제거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환편기의 편직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편직부의 일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편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환편기에서 A부분의 확대도로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의 캠 및 수평부착판의 일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캠 및 수평부착판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송풍수단과 먼지제거수단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송풍수단과 먼지제거수단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송풍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에서 각도 조절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13는 도 9에서 길이조절부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먼지제거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먼지제거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편직부에서 송풍수단과 먼지제거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환편기의 편직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편직부의 일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편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환편기에서 A부분의 확대도로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의 캠 및 수평부착판의 일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캠 및 수평부착판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송풍수단과 먼지제거수단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송풍수단과 먼지제거수단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송풍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에서 각도 조절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13는 도 9에서 길이조절부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에서 먼지제거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먼지제거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편직부에서 송풍수단과 먼지제거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편기(1)는 원형편기 중에서 주로 의류용 편물을 편성하는 편기이다. 크게 바디본체(10)와 바디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편직되는 편직부(20) 및 편직부(20)에 원사를 일정하게 적당한 장력으로 공급하는 급사부(30)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본체(1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다리부(11)와, 미도시된 클러치와 모터(12) 및 와인드 롤러 등이 구비되어 편직부(20)를 통하여 관상(管狀)의 편물(3)을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편직부(20)는 루우프(loop)를 형성하는데 원사와 직접 접촉하는 기계 요소로서 정밀도가 높아야 원활한 편성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이얼(25)과 실린더(26)로 구성되는 침상(needle bed)이 회전함에 따라 침상에 결합된 다수의 래치(latch) 편침이 캠(cam)에 의하여 축방향 왕복 활동하면서 원사(2)를 편성하여 관상(管狀)의 편물(3)을 제조하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환편기(1)의 침상에는 다수의 활동홈(24)이 절개 형성되는데, 침상을 구성하는 원반형 다이얼(25)에는 상면에 방사상의 활동홈(2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실린더(26)에는 외주면에 수직의 활동홈(2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각각 수평편침(22) 및 수직편침(23)이 결합된다.
다이얼(25)과 실린더(26)의 활동홈(24)에 결합되는 편침은 도 4에서와 같이, 선단의 두부(頭部)에 개폐식 후크가 형성된 래치 편침으로서, 편침의 몸체인 편침간에는 돌출편(21)이 형성되어 침상이 회전함에 따라 후술할 캠(cam)에 의하여 활동홈(24)을 따라 활동(sliding)하면서 축방향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환편기의 편성 운동 상태를 도시한 A부분 확대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6)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환형래크(環形rack)(27)가 형성되고 이 환형래크(27)에는 모터(12)와 연결된 피니언(pinion)(28)이 치합되어 모터(12)가 회전함에 따라 실린더(26)가 회전하게 되며, 다이얼(25)의 회전축에는 원형래크(미도시)가 형성되고 이 원형래크에는 상기 피니언(28)과 샤프트(29)로 동축(同軸) 연결된 또 다른 피니언(28)이 치합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침상을 구성하는 다이얼(25)과 실린더(26)는 동심의 회전축을 가지고 다이얼(25)의 외곽과 실린더(26)의 상단이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모터(12)가 회전함에 따라 동조 회전하게 되며,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환편기에서는 다이얼(25)과 실린더(26)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다이얼(25)의 상부에는 바디본체(10)에 고정된 원형고정판(17)이 설치되고, 실린더(26)의 외곽에는 바디본체(10)에 고정된 환형고정판(18)이 형성되는데, 원형고정판(17) 및 환형고정판(18)에는 각각 호형(弧形)의 수평부착판(15) 및 수직벽체인 수직부착판(16)이 설치되며, 이들 수평부착판(15) 및 수직부착판(16)에는 각각 수평편침(22) 및 수직편침(23)을 유도하는 캠이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환편기(1)의 캠 및 수평부착판(15) 발췌 저면 사시도 및 저면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착판(15)에는 다수의 단위 캠이 조합 부착되어 전술한 수평편침(22)의 편침간 상에 형성된 돌출편(21)을 유도하게 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부착판(16)에도 다수의 단위 캠이 조합 부착되어 수직편침 (17)의 돌출편(21)을 유도하게 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수평부착판(15)에 부착되는 단위 캠은 할당된 수평편침(22)의 유도 방향에 따라 다이얼(25)의 중심 측에 설치되는 전진캠(13)과 다이얼(25)의 외곽 측에 설치되는 후퇴캠(14)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부착판(16)에 부착되는 단위 캠은 할당된 수직편침(23)의 유도 방향에 따라 실린더(26)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강캠과 하측에 설치되는 상승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환편기(1)에서, 원형고정판(17), 수평부착판(15), 전진캠(13), 후퇴캠(14), 환형고정판(18), 수직부착판(16), 상승캠 및 하강캠 등의 구성요소는 바디본체(10)에 고정되며, 다이얼(25) 및 실린더(26) 등의 편직부(20) 구성요소는 모터(12)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다이얼(25) 및 실린더(26)의 활동홈(24)에 결합된 수평편침(22) 및 수직편침(23)은 다이얼(25) 및 실린더(26)와 동심의 궤도로 공전함과 동시에 수평편침(22)은 방사상으로 돌출 및 후퇴를 반복하고 수직편침(23)은 승강을 반복하면서 도 1에서와 같이, 급사부(30)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사(2)를 포착하여 편환을 형성하고 인접 편환을 결속하는 편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편직 작업에서는 수평편침(22)이 반복적으로 작동되면서 마찰열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평 부착판(21)의 상부에 윤활유주입구(19)를 하방으로 설치하여, 윤활유주입구(19)를 통해 윤활유가 수평편침(22)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이러한 윤활유가 하부로 침투되어 편성된 원단 위에 떨어지지 않도록 오링(미도시)에 의해 실링 처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급사부(30)는 테이프식 장치이며, 미도시된 슬러브캐치(slub catch)와 장력조절장치(미도시)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편직부(20)측에 각도 조절 및 길이 조절되면서 상기 수평편침(22)과 수직편침(23)에 바람을 불어 원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송풍수단(200)과 송풍수단(200)에 의하여 비산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먼지제거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송풍수단(200)은 도 8 또는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바디본체(10)의 중앙에 상방을 향하여 수직하게 수직지지체(100)가 설치되며, 수직지지체(100)의 상부측으로 다수개의 송풍팬(2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체(100)는 중공의 수직 기둥 형태이며, 구동모터(110)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구동모터(110)가 바디본체(10)의 중앙에 지지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로 구동되며, 구동모터(110)는 수직지지체(100)에 연결되어 일정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110)의 모터축에는 선기어(112)가 설치되고, 선기어(112)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유성기어(114)가 치합되고, 유성기어(114)에는 수직지지체(100)의 내측 하단부에 일정 길이의 링기어(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유성기어(114)들과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선기어(112)의 회전에 따라 유성기어(114)에 치합된 링기어(102)의 회전에 따라 수직지지체(100)가 회전될 수 있다.
계속해서, 중공의 수직지지체(100)에 상부고정축(120)이 돌출 설치된다.
상부고정축(120) 역시 중공으로 수직지지체(100)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되, 2단으로 이루어져서 수직지지체(1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직지지체(100)와 같이 회전되는 제1상부고정축(122)과, 수직지지체(100)의 상단에 제1상부고정축(122)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상부고정축(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상부고정축(122)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기에 볼트마개(122a)로 폐쇄시켰으며,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먼지제거수단(300)이 직교 방향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상부고정축(124)은 수직지지체(100)의 상단에 볼트로 설치되는 유니트베어링(126)에 삽입되어 수직지지체(100)의 회전으로부터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또한, 제2상부고정축(124)에는 먼지제거수단(300)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3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상부고정축(124)의 상단에 회전모터(210)가 설치되며, 회전모터(210)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포크지지체(220)와 스포크지지체(220)에 송풍팬(240)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회전모터(210)의 상단측 회전체(212)에 스포크지지체(220)가 방사 방향으로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포크지지체(220)는 다시 회전모터(210)의 회전체(212)에 연결되는 제1스포크(222)와, 제1스포크(222)로부터 연결 설치되고 송풍팬(240)을 포함하는 제2스포크(224)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팬(240)은 송풍모터(242)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팬을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포크(222)로부터 제2스포크(224)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서는 송풍팬(240)을 포함하는 제2스포크(224)가 제1스포크(222)로부터 각도 조절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스포크(222)의 단부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224b)가 형성되는 홀더(224)와, 상기 제2스포크(224)에 설치되며, 홀더(224)의 공간부(224b)에 회전볼(226b)이 위치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홀더(226)와, 상기 홀더(224)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회전볼(226b)의 이탈을 방지하는 매개홀더(224)로 구성될 수 있다.
홀더(224)는 돌출된 홀더연결관(224a)을 통해 제1스포크(222)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부(224b)는 반구형의 홈 형상을 가지게 된다.
매개홀더(224)는 홀더(224)에 맞대어져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홀더(226)는 제2스포크(224)에 삽입 설치되도록 각도조절홀더관(226a)이 돌출 형성되고, 각도조절홀더관(226a)과 일체로 회전볼(226b)이 형성된다.
도 12에서는 제2스포크(224)가 제1스포크(222)로부터 각도 조절을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이다.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1스포크(222)의 단부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224b)가 형성되는 홀더(224)와, 상기 제2스포크(224)에 설치되며, 홀더(224)의 공간부(224b)에 회전볼(226b)이 위치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홀더(226)와, 상기 홀더(224)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회전볼(226b)의 이탈을 방지하는 매개홀더(224)로 구성될 수 있다.
홀더(224)는 돌출된 홀더연결관(224a)을 통해 제1스포크(222)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부(224b)는 반구형의 홈 형상을 가지되, 반구형의 홈 내주연을 따라 돌기(225)가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홀더(226)는 제2스포크(224)에 삽입 설치되도록 각도조절홀더관(226a)이 돌출 형성되고, 각도조절홀더관(226a)과 일체로 회전볼(226b)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볼(226b)의 외주연에는 돌기(225)에 대응되도록 돌기홈(227)이 형성되어 각도 조절을 위한 회전시, 고정력을 높였다.
매개홀더(224)는 홀더(224)에 맞대어져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스포크(222) 및/또는 제2스포크(224)는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2스포크(224)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230)를 설명한다.
길이조절부(230)는 제2스포크(224)에 형성되는 고정공(232)과 고정팁(234)에 의하여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도 10와 도 13에서와 같이, 제2스포크(224)는 이중관으로 분리 형성되며, 어느 하나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공(232)이 나란히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연장관(224a)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224a)에 고정홈(23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35)에는 고정공(232)을 향하여 고정팁(234)과 고정팁(234)을 고정홈(235)내에서 지지하는 스프링(23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팁(234)은 고정홈(23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턱(234a)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2스포크(224) 중 고정공(232)이 형성된 이중관의 내부로 고정팁(234)이 형성된 제2스포크(224)가 삽입 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중관으로 분리 가능한 제2스포크(224)는 고정팁(234)을 사용자가 누른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면, 고정공(232)으로부터 고정팁(234)이 해제되어 전방 길이 가변이 가능하고, 일정 길이로 가변되면, 스프링(236)을 압축하여 있던 고정팁(234)이 선택된 고정공(232)에 위치하여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4 또는 도 15에서는 환편기(1)의 편직부(20)에서 송풍수단(200)에 의하여 부유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먼지제거수단(300)을 도시하였다.
먼지제거수단(300)은, 편직부(20)의 내측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체(100) 및 수직지지체(100)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먼지제거수단(300)은 다시 크게 노즐흡입부(310)와, 먼지이송관(320) 및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관(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노즐흡입부(310)에는 편직부(20)의 먼저를 측정하고, 측정된 먼지농도 산출값을 보내는 먼지측정센서(326)와, 먼지측정센서(326)로부터 먼지농도 산출값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먼지 농도값을 비교하여 구동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이송관(320)에는 필터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먼지제거수단(300)은 다시 도 9에서와 같이, 직교 방향으로 수직지지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앞서 설명한 송풍수단(200)이 설치되는 중공의 상부고정축(120) 중 제1상부고정축(122)상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노즐흡입부(310)의 후단으로 먼지이송관(320)이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며, 먼지이송관(320)이 제1상부고정축(122)상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흡입부(310)는 나팔 형태로 속이 빈 중공으로 편직부(20)를 향하는 일단이 직경이 확대되었다가 점점 줄어들어서 먼지이송관(320)에 결합되는 형태이다.
노즐흡입부(310)의 전단으로는 노즐플레이트(313)가 설치되며, 도 14에서와 같이 노즐플레이트(313)에는 다수개의 통공(313a)이 일정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313a)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노즐플레이트(313)의 후단으로 노즐흡입부(310) 내부를 따라 주변으로 와류의 저기압대를 확장 형성시키는 스월러팬(314)과, 상기 스월러팬(314)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흡입팬(315) 및 흡입팬(315)을 구동시키는 흡입모터(316)를 포함할 수 있다.
스월러팬(314)은 노즐흡입부(310) 내에 중심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제1칸막이(311)에 안착 설치된다.
흡입모터(316)는 제1칸막이(311)의 후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칸막이(312)에 관통 설치된다.
그리고 제1칸막이(311)와 제2칸막이(312)의 사이에 흡입팬(315)이 설치되며, 구동모터(110)의 모터축은 연장되어 흡입팬(315)과 스월러팬(314)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스월러팬(314:axial swirler fan)은 회전판(314a)과 회전판(314a)상에 다수 개가 배열 설치되는 날개(314b)로 구성될 수 있으며, 편직부(20)의 주변으로 와류를 효율적으로 형성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흡입 배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스월러팬(314)의 회전에 의한 기류는 스월러팬(314)의 외측을 향해 흐르다 되돌아오면서 저기압골을 형성하며, 스월러팬(314)의 외측 주변부에 일종의 도넛형 저기압대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저기압대로 인해 도넛형 와류의 중심부 역시 저기압이 형성되어 스월러팬(314)의 중심쪽으로 흡입기류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흡입팬(315)은 스월러팬(314)의 회전에 의한 흡입기류만으로는 원하는 수준의 흡입 효과를 얻을 수 없을 수 있기에 스월러팬(314)의 후측으로 추가하여 구동시킴으로써 강력한 흡입기류를 만들 수 있다.
상기 흡입팬(315)은 시로코 팬(sirocco fan) 등의 원심형 팬, 또는 프로펠러 팬 등의 축류형 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팬(315)이 스월러팬(314)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도넛형 저기압대는 원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한 회오리 기류는 광범위한 영역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회오리 기류의 중심부는 매우 낮은 저기압대로서, 흡입팬(315)에 의해 흡입되는 기류는 스월러팬(314)의 중앙부를 고속으로 통과하여 노즐흡입부(310)를 거쳐 먼지이송관(3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모터(316)는 흡입팬(315)의 후측으로 배치되며, 모터축이 흡입팬(315)을 관통하여 스월러팬(314)에 연결되고, 이는 흡입모터(316)에 의해 흡입팬(315)과 스월러팬(314)이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노즐흡입팬(315)의 후단으로 나사 체결되는 먼지이송관(320)은 빈 중공관으로 일단부는 노즐흡입팬(315)에 나사 체결되고, 타단은 제1상부고정축(122)에 삽입 연결된다.
다시 말해, 중공의 상기 먼지이송관(320)이 제1상부고정축(122)에 연결되고, 역시 중공의 제1상부고정축(122)과, 수직지지체(100)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제2상부고정축(124)과 연통된다.
상기 제2상부고정축(124)상에는 배출관(330)이 연결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이송관(320)상에 일예로 필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는 금속재의 제1메쉬필터(322)와 제2메쉬필터(32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메쉬필터(322)와 제2메쉬필터(323)는 원형판 형태이며, 제1메쉬필터(322) 보다 제2메쉬필터(323)의 그물망 밀도가 더 높을 수 있다.
그리고 제1메쉬필터(322)와 제2메쉬필터(323)는 교체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단부에 손잡이(324)가 먼지이송관(3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이송관(320)에는 제1메쉬필터(322)와 제2메쉬필터(323)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절개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321)은 적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먼지이송관(320)의 둘레의 반 정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제1메쉬필터(322)와 제2메쉬필터(323)를 절개홈(321)으로부터 추출하여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필터부재 즉, 활성탄소 필터와 헤파필터 등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한편, 노즐플레이트(313)의 통공(313a)에 먼지측정센서(326)가 설치될 수 있다.
먼지측정센서(326)는 편직부(20) 지역의 먼지를 측정하며 측정된 먼지를 바탕으로 하여 편직부(20) 지역의 먼지 농도값을 제어부에 보내게 된다.
제어부에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먼지측정센서(326)로부터 먼지 측정명령신호를 수신하고, 먼지 농도값을 산출하여 기 설정된 먼지 농도값을 비교하여 구동모터(11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는, 다시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환편기(1)는 침상을 구성하는 다이얼(25)과 실린더(26)는 동심의 회전축을 가지고 다이얼(25)의 외곽과 실린더(26)의 상단이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모터(12)가 회전함에 따라 다이얼(25)의 회전축의 원형래크(27b)에 피니언(28)과 샤프트(29)로 동축(同軸) 연결된 또 다른 피니언(28)이 치합되어 회전되고, 침상에 결합된 다수의 래치(latch) 편침이 캠(cam)에 의하여 축방향 왕복 활동하면서 원사(2)를 편성하여 관상의 편물(3)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편물(3)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원사(2)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편직 과정에서 먼지, 보프라기 등의 이물질에 의하여 편물(3)에 불량을 초래할 수 있기에 이를 송풍수단(200)과 먼지제거수단(300)을 통하여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16을 참고하면, 송풍수단(200)과 먼지제거수단(30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수단(200)과 먼지제거수단(300)은 바디본체(10)의 중앙에 지지 설치되는 구동모터(110)와 구동모터(110)에 의하여 회전하는 수직지지체(100)에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먼저, 송풍수단(200)의 작동은, 회전모터(2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212)의 회전 작동에 의하여 방사 방향의 스포크지지체(220)가 회전되고, 스포크지지체(220)의 공전 회전과 같이 송풍팬(240)이 송풍모터(242)의 전원 인가에 의하여 자전 회전하여 원사(2)에 부착되어 있거나, 편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부유시키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수직지지체(100)는 구동모터(110)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에 연결된 선기어(112)가 회전하고, 선기어(112)를 중심으로 치합된 다수개의 유성기어(114), 유성기어(114)에 치합되고, 수직지지체(100)의 내주연에 형성된 선기어(112)에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수직지지체(100)의 회전에 따라 먼지제거수단(300)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지지체(100)의 회전과는 달리 상부고정축(120)에서 제1상부고정축(122)은 수직지지체(100)와 같이 회전되되, 제2상부고정축(124)은 유니트베어링(126)에 의하여 회전되지는 않는다.
제2상부고정축(124)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체(212)가 수직지지체(100)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송풍팬(240)이 작동되어 진다.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스포크지지체(220)는 그 길이와 각도가 조절되어 다양한 방향에서 바람을 불어 보다 효과적인 이물질을 부유시킬 수 있다.
스포크지지체(220)의 각도 조절은, 제1스포크(222)에 설치된 홀더(224)와 제2스포크(224)에 설치된 각도조절홀더(226)에 의해 가능하며, 홀더(224)의 반구형 공간부(224b)에 각도조절홀더(226)의 회전볼(226b)이 위치되어 제1스포크(222)를 중심으로 제2스포크(224)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홀더(224)의 반구형 공간부(224b) 내주연을 따라 돌기(225)가 형성되고, 회전볼(226b)의 외주연에는 돌기홈(227)이 형성되어 공간부(224b)에서 회전볼(226b)의 회전 시 돌기(225)가 돌기홈(227)에 위치되어 각도 조절 후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스포크지지체(220)의 길이 조절은, 제1스포크(222) 및/또는 제2스포크(224)에 설치되어 가능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제2스포크(224)를 일예로 설명한다.
제2스포크(224)는 이중관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팁(234)을 사용자가 누른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면, 고정공(232)으로부터 고정팁(234)이 해제되어 전방쪽으로 길이 가변이 가능하고, 일정 길이로 가변되면, 스프링(236)을 압축하여 있던 고정팁(234)이 선택된 고정공(232)에 위치하여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돌출된 고정팁(234)을 눌려서 길이를 줄일 수도 있다.
이어서 먼지제거수단(300)의 작동은, 수직지지체(1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편직부(20)측에서 부유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관(330)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나팔 형태의 노즐흡입부(310)로 이물질이 흡입되며, 노즐플레이트(313)의 통공(313a)으로 유입되되, 유입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흡입모터(316)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월러팬(314)에서는 외측을 향해 흐르다 되돌아오면서 저기압골을 형성하며, 스월러팬(314)의 외측 주변부에 일종의 도넛형 저기압대가 형성되고, 중심쪽으로 흡입기류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스월러팬(314)과 같이 회전하는 흡입팬(315)은 같이 강력한 흡입기류를 만들게 되고, 저기압대로 흡입팬(315)에 의해 흡입되는 기류는 스월러팬(314)의 중앙부를 고속으로 통과하여 노즐흡입부(310)를 거쳐 먼지이송관(3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진다.
먼지이송관(320)으로 유입된 이물질은 제1상부고정축(122)과 제2상부고정축(124)을 통과하여 배출관(330)으로 배출되어 진다.
그리고 먼지이송관(320)에 설치되는 제1메쉬필터(322)와 제2메쉬필터(323)는 보푸라기 등의 비교적 큰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이들 제1메쉬필터(322)와 제2메쉬필터(323)는 절개홈(321)으로부터 손잡이(324)를 잡고 인출하여 유지보수 및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편직부를 향하도록 송풍수단이 설치되어 다수개의 팬으로 먼지를 부유시키고, 먼지제거수단으로 먼지,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원단에 먼지, 보프라기 등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질의 원단을 양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환편기 2 : 원사
3 : 편물 10 : 바디본체
11 : 다리부 12 : 모터
13 : 전진캠 14 : 후퇴캠
15 : 수평부착판 16 : 수직부착판
17 : 원형고정판 18 : 환형고정판
19 : 윤할유주입구 20 : 편직부
21 : 돌출편 22 : 수평편침
23 : 수직편침 24 : 활동홈
25 : 다이얼 26 : 실린더
27 : 환형래크 28 : 피니언
29 : 샤프트 30 : 급사부
100 : 수직지지체 102 : 링기어
110 : 구동모터 112 : 선기어
114 : 유성기어 120 : 상부고정축
122 : 제1상부고정축 122a : 볼트마개
124 : 제2상부고정축 126 : 유니트베어링
200 : 송풍수단 210 : 회전모터
212 : 회전체 220 : 스포크지지체
222 : 제1스포크 224 : 홀더
224a : 홀더연결관 224b : 공간부
225 : 돌기 224 : 제2스포크
224a : 연장관 226 : 각도조절홀더
226a : 각도조절홀더관 226b : 회전볼
227 : 돌기홈 228 : 매개홀더
230 : 길이조절부 232 : 고정공
234 : 고정팁 234a : 돌기턱
235 : 고정홈 236 : 스프링
240 : 송풍팬 242 : 송풍모터
300 : 먼지제거수단 310 : 노즐흡입부
311 : 제1칸막이 312 : 제2칸막이
313 : 노즐플레이트 313a : 통공
314 : 스월러팬 314a : 회전판
314b : 날개 315 : 흡입팬
316 : 흡입모터 320 : 먼지이송관
321 : 절개홈 322 : 제1메쉬필터
323 : 제2메쉬필터 324 : 손잡이
326 : 먼지측정센서 330 : 배출관
3 : 편물 10 : 바디본체
11 : 다리부 12 : 모터
13 : 전진캠 14 : 후퇴캠
15 : 수평부착판 16 : 수직부착판
17 : 원형고정판 18 : 환형고정판
19 : 윤할유주입구 20 : 편직부
21 : 돌출편 22 : 수평편침
23 : 수직편침 24 : 활동홈
25 : 다이얼 26 : 실린더
27 : 환형래크 28 : 피니언
29 : 샤프트 30 : 급사부
100 : 수직지지체 102 : 링기어
110 : 구동모터 112 : 선기어
114 : 유성기어 120 : 상부고정축
122 : 제1상부고정축 122a : 볼트마개
124 : 제2상부고정축 126 : 유니트베어링
200 : 송풍수단 210 : 회전모터
212 : 회전체 220 : 스포크지지체
222 : 제1스포크 224 : 홀더
224a : 홀더연결관 224b : 공간부
225 : 돌기 224 : 제2스포크
224a : 연장관 226 : 각도조절홀더
226a : 각도조절홀더관 226b : 회전볼
227 : 돌기홈 228 : 매개홀더
230 : 길이조절부 232 : 고정공
234 : 고정팁 234a : 돌기턱
235 : 고정홈 236 : 스프링
240 : 송풍팬 242 : 송풍모터
300 : 먼지제거수단 310 : 노즐흡입부
311 : 제1칸막이 312 : 제2칸막이
313 : 노즐플레이트 313a : 통공
314 : 스월러팬 314a : 회전판
314b : 날개 315 : 흡입팬
316 : 흡입모터 320 : 먼지이송관
321 : 절개홈 322 : 제1메쉬필터
323 : 제2메쉬필터 324 : 손잡이
326 : 먼지측정센서 330 : 배출관
Claims (9)
- 바닥면에 지지되고 관상의 편물이 제조되는 바디본체와,
수평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과 수직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상기 활동홈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다이얼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바디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편침과 수직편침의 편직운동을 유도하는 편직부, 및
상기 편직부의 상측으로 상기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에 원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편직부의 내측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체, 및
상기 수직지지체에 삽입 설치되는 상부고정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어, 각도 조절 및 길이 조절되면서 상기 편직부측에 송풍팬을 통해 바람을 불어 상기 원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송풍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상부고정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방사형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스포크지지체와,
상기 각 스포크지지체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송풍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지지체는,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는 제1스포크와,
상기 제1스포크로부터 연결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상기 송풍모터가 설치되는 제2스포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포크의 단부측에 설치되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매개홀더와,
상기 제2스포크에 설치되며, 상기 매개홀더를 매개로 상기 홀더의 공간부에 회전볼이 위치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홀더로 구성되는,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포크 및/또는 상기 제2스포크는,
이중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중관 중 어느 하나에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이중관에는 상기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고정팁이 위치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바닥면에 지지되고 관상의 편물이 제조되는 바디본체와,
수평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과 수직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상기 활동홈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다이얼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바디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편침과 수직편침의 편직운동을 유도하는 편직부, 및
상기 편직부의 상측으로 상기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에 원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편직부의 내측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체, 및
상기 수직지지체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편직부 내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먼지제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제거수단은,
상기 편직부를 향하는 노즐흡입부와,
상기 노즐흡입부의 후단으로 일체로 이어져서 상기 수직지지체의 내부와 연결되어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먼지이송관, 및
상기 수직지지체에 삽입 설치되는 상부고정축을 통해 이송된 먼지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흡입부에는,
상기 노즐흡입부의 주변으로 와류의 저기압대를 확장 형성시키는 스월러팬과,
상기 스월러팬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흡입팬와,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흡입모터와,
상기 편직부의 먼지를 측정하고, 측정된 먼지농도 산출값을 보내는 먼지측정센서, 및
상기 먼지측정센서로부터 먼지농도 산출값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먼지 농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흡입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이송관에는,
필터부재가 포함되는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바닥면에 지지되고 관상의 편물이 제조되는 바디본체와,
수평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과 수직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상기 활동홈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다이얼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바디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편침과 수직편침의 편직운동을 유도하는 편직부, 및
상기 편직부의 상측으로 상기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에 원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편직부의 내측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체와,
상기 수직지지체에 삽입 설치되는 상부고정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어, 각도 조절 및 길이 조절되면서 상기 편직부측에 송풍팬을 통해 바람을 불어 상기 원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송풍수단, 및
상기 수직지지체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편직부 내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먼지제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상부고정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방사형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스포크지지체와,
상기 각 스포크지지체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송풍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크지지체는,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는 제1스포크와,
상기 제1스포크로부터 연결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상기 송풍모터가 설치되는 제2스포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포크의 단부측에 설치되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매개홀더와,
상기 제2스포크에 설치되며, 상기 매개홀더를 매개로 상기 홀더의 공간부에 회전볼이 위치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홀더로 구성되고,
상기 먼지제거수단은,
상기 편직부를 향하는 노즐흡입부와,
상기 노즐흡입부의 후단으로 일체로 이어져서 상기 수직지지체의 내부와 연결되어 이물질을 이송시키는 먼지이송관, 및
상기 수직지지체에 삽입 설치되는 상부고정축을 통해 이송된 먼지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흡입부에는,
상기 노즐흡입부의 주변으로 와류의 저기압대를 확장 형성시키는 스월러팬과,
상기 스월러팬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흡입팬와,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흡입모터와,
상기 편직부의 먼지를 측정하고, 측정된 먼지농도 산출값을 보내는 먼지측정센서, 및
상기 먼지측정센서로부터 먼지농도 산출값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먼지 농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흡입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1561A KR20230123456A (ko) | 2022-08-18 | 2023-08-03 |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KR1020230101560A KR102617836B1 (ko) | 2022-08-18 | 2023-08-03 | 이물질 제거 기능의 편직물용 환편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103378 | 2022-08-18 | ||
KR1020220103378 | 2022-08-18 | ||
KR1020220103878 | 2022-08-19 | ||
KR20220103878 | 2022-08-19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1561A Division KR20230123456A (ko) | 2022-08-18 | 2023-08-03 |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KR1020230101560A Division KR102617836B1 (ko) | 2022-08-18 | 2023-08-03 | 이물질 제거 기능의 편직물용 환편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4875B1 true KR102564875B1 (ko) | 2023-08-10 |
Family
ID=8756070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4514A KR102564875B1 (ko) | 2022-08-18 | 2022-08-22 |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KR1020230101560A KR102617836B1 (ko) | 2022-08-18 | 2023-08-03 | 이물질 제거 기능의 편직물용 환편기 |
KR1020230101561A KR20230123456A (ko) | 2022-08-18 | 2023-08-03 |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1560A KR102617836B1 (ko) | 2022-08-18 | 2023-08-03 | 이물질 제거 기능의 편직물용 환편기 |
KR1020230101561A KR20230123456A (ko) | 2022-08-18 | 2023-08-03 |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564875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75905A (en) * | 1991-07-19 | 1993-01-05 | Alandale Industries, Inc. | Debris clean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
JPH0921043A (ja) * | 1995-07-03 | 1997-01-21 | Gunze Ltd | 丸編機用の防塵装置 |
KR100561827B1 (ko) | 2004-10-05 | 2006-03-21 | 유철 | 환편기의 압축공기분사노즐의 회전방법 및 장치 |
KR101639619B1 (ko) * | 2016-04-19 | 2016-07-14 | 주식회사 지아코리아 | 편물용 환편기 |
KR101835996B1 (ko) | 2016-10-19 | 2018-04-19 | 장혜연 | 환편기용 먼지제거 에어분사노즐 |
KR102295703B1 (ko) * | 2020-12-30 | 2021-08-30 | (주)서진니트 |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
-
2022
- 2022-08-22 KR KR1020220104514A patent/KR10256487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8-03 KR KR1020230101560A patent/KR10261783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8-03 KR KR1020230101561A patent/KR20230123456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75905A (en) * | 1991-07-19 | 1993-01-05 | Alandale Industries, Inc. | Debris clean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
JPH0921043A (ja) * | 1995-07-03 | 1997-01-21 | Gunze Ltd | 丸編機用の防塵装置 |
KR100561827B1 (ko) | 2004-10-05 | 2006-03-21 | 유철 | 환편기의 압축공기분사노즐의 회전방법 및 장치 |
KR101639619B1 (ko) * | 2016-04-19 | 2016-07-14 | 주식회사 지아코리아 | 편물용 환편기 |
KR101835996B1 (ko) | 2016-10-19 | 2018-04-19 | 장혜연 | 환편기용 먼지제거 에어분사노즐 |
KR102295703B1 (ko) * | 2020-12-30 | 2021-08-30 | (주)서진니트 |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17836B1 (ko) | 2023-12-28 |
KR20230123455A (ko) | 2023-08-23 |
KR20230123456A (ko) | 2023-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91536A (en) | Dust remov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 |
US7017375B1 (en) | Fiber blowing and heat dissipating system of single-sided circular knitting machine | |
US5373711A (en) | Apparatus for cleaning the dust collector/remover filter | |
KR100483354B1 (ko) | 편물기계의편물기구상에린트및부스러기가축적하는것을방지하기위한수단및방법 | |
KR101172266B1 (ko) | 다수개의 토출홀들이 형성된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 |
EP0609856B1 (en) | Fiber waste collector/remover and cooling apparatus for use with a circular knitting machine | |
EP0510508B1 (en) | Collector/remover of dust of flocks in knitting machine | |
KR102295703B1 (ko) | 린트제거장치를 구비한 환편기 | |
EP0918898A1 (en) | A circular sliver knitting machine | |
KR102564875B1 (ko) |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 |
US5175905A (en) | Debris clean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 |
US2325023A (en) | Apparatus for cleaning machinery | |
CN103952780B (zh) | 一种静电纺微纳米纤维的负压气流收集方法和装置 | |
US5327749A (en) | Circular knitting machine creel | |
GB2348889A (en) | Lint removal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 |
JPH06101146A (ja) | 丸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吸塵・排出装置 | |
CN219259129U (zh) | 一种具有高度调节功能的针织布纱线传输机 | |
DE3636327C2 (de) |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Faserflug von einer Rundstrickmaschine | |
US4703632A (en) | Lint remov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 |
EP1754815A1 (en) | Fiber blowing and heat dissipating system of single-sided circular knitting machine | |
EP0281792A2 (de) | Einrichtung zum pneumatischen Entstauben von Garnvorratsträgern von Textilmaschinen | |
KR100411836B1 (ko) | 환편기의 린트슬러브 제거 방법 및 장치 | |
EP0035977B1 (en) | A drawing frame for webs of textile fibres provided with a rotary comb head | |
JP2599049B2 (ja) | 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集塵・除去装置 | |
KR20210150448A (ko) | 환편기용 지지 및 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