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619B1 - 편물용 환편기 - Google Patents

편물용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619B1
KR101639619B1 KR1020160047469A KR20160047469A KR101639619B1 KR 101639619 B1 KR101639619 B1 KR 101639619B1 KR 1020160047469 A KR1020160047469 A KR 1020160047469A KR 20160047469 A KR20160047469 A KR 20160047469A KR 101639619 B1 KR101639619 B1 KR 10163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knitting
circular
s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4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4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8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물용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과 수직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다이얼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환편기 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편침과 수직편침의 편성운동을 유도하며, 상기 다이얼 및 실린더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으로 편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구가 설치되는 환편기에 있어서, 원형으로 상기 다이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환편기 본체에 고정되되, 상면의 단부에 외연을 따라 단차지도록 낮게 안착턱이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는 원형고정판과, 호형으로 상기 원형고정판의 외연을 따라 다수개 분할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착턱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면이 일측 하단부에 일정 단차로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수평편침의 편성운동을 유도하는 캠모듈이 설치되는 수평부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안착턱의 단을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일정깊이의 끼움홈이 안착턱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호형상의 끼움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며, 상기 수평부착판에서 상기 원형고정판으로 연통되는 핀삽입공이 상기 수평부착판과 상기 원형고정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핀삽입공에 핀을 삽입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고정판에 끼움홈과 안착홈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고, 수평부착판과 연통된 핀삽입공을 마련하여 다수개의 수평부착판 고정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다른 종류의 편물을 제조하기 위해 원형고정판을 탈부착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이용하여 수평부착판이 원형고정판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수평부착판의 축방향이 변형되지 않아 제품불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물용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CAPABLE OF PRODUCING FABRICS}
본 발명은 편물용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고정판의 외연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착판의 고정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장시간 운용시에도 수평부착판의 축방향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편물용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편물이란 실이 교차되지 않고 고리 형상의 편환(stitch)들이 서로 얽혀서 조직이 형성되는 포로서, 편물 또는 부직포 등 여타의 섬유제 포에 비하여 구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다공성 조직으로 인한 흡습성, 신축성 및 착용감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편물은 경방향 또는 위방향 중 한 종류의 편사(編絲)만이 사용되므로 교차 구조의 편물에서와 같은 경사 및 위사로 편사를 구분하지 않으며, 다만 포의 편성 방향을 구분하기 위하여 편환의 가로 방향 부위를 코스(course), 세로 방향 부위를 웨일(wale)로 구분한다.
이러한 편물을 생산하는 기계를 편기라 하는데, 편기는 선단부에 후크(hook)가 형성된 편침을 개별 또는 집단 운동시킴으로써 편환을 형성하고 인접한 편환을 상호 결속하는 편성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완성되는 편물의 편성 방향에 따라 경편기와 위편기로 분류된다.
이들 중 위편기는 다시 원형편기와 평형편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속하는 환편기는 원형편기의 일종으로서, 관상(管狀)의 편물을 편성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환편기의 외관 및 대표 단면을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환편기는 다이얼(42)과 실린더(43)로 구성되는 침상(needle bed)이 회전함에 따라 침상에 결합된 다수의 래치(latch) 편침이 캠(cam)에 의하여 축방향 왕복 활동하면서 편사(99)를 편성하여 관상(管狀)의 편물(98)을 제조하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환편기의 침상에는 다수의 활동홈(41)이 절개 형성되는데, 침상을 구성하는 원반형 다이얼(42)에는 상면에 방사상의 활동홈(4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실린더(43)에는 외주면에 수직의 활동홈(4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각각 수평편침(16) 및 수직편침(17)이 결합된다.
다이얼(42)과 실린더(43)의 활동홈(41)에 결합되는 편침은 도 3에서와 같이, 선단의 두부(頭部)에 개폐식 후크가 형성된 래치 편침으로서, 편침의 몸체인 편침간에는 돌출편(15)이 형성되어 침상이 회전함에 따라 후술할 캠(cam)에 의하여 활동홈(41)을 따라 활동(sliding)하면서 축방향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환편기의 편성 운동 상태를 도시한 대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3)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환형래크(環形rack)(44)가 형성되고 이 환형래크(44)에는 구동모터(35)와 연결된 피니언(pinion)(45)이 치합되어 구동모터(35)가 회전함에 따라 실린더(43)가 회전하게 되며, 다이얼(42)의 회전축에는 원형래크(47)가 형성되고 이 원형래크(47)에는 상기 피니언(45)과 샤프트(46)로 동축(同軸) 연결된 또 다른 피니언(45)이 치합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침상을 구성하는 다이얼(42)과 실린더(43)는 동심의 회전축을 가지고 다이얼(42)의 외곽과 실린더(43)의 상단이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35)가 회전함에 따라 동조 회전하게 되며,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환편기에서는 다이얼(42)과 실린더(43)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다이얼(42)의 상부에는 환편기 본체에 고정된 원형고정판(31)이 설치되고, 실린더(43)의 외곽에는 환편기 본체에 고정된 환형고정판(32)이 형성되는데, 원형고정판(31) 및 환형고정판(32)에는 각각 호형(弧形)의 수평부착판(21) 및 수직벽체인 수직부착판(22)이 설치되며, 이들 수평부착판(21) 및 수직부착판(22)에는 각각 수평편침(16) 및 수직편침(17)을 유도하는 캠이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종래 환편기의 캠 및 수평부착판(21) 발췌 저면 사시도 및 저면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착판(21)에는 다수의 단위 캠이 조합 부착되어 전술한 수평편침(16)의 편침간 상에 형성된 돌출편(15)을 유도하게 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부착판(22)에도 다수의 단위 캠이 조합 부착되어 수직편침(17)의 돌출편(15)을 유도하게 된다.
도 6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부착판(21)에 부착되는 단위 캠은 할당된 수평편침(16)의 유도 방향에 따라 다이얼(42)의 중심 측에 설치되는 전진캠(18)과 다이얼(42)의 외곽 측에 설치되는 후퇴캠(19)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부착판(22)에 부착되는 단위 캠은 할당된 수직편침(17)의 유도 방향에 따라 실린더(43)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강캠과 하측에 설치되는 상승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환편기에서, 원형고정판(31), 수평부착판(21), 전진캠(18), 후퇴캠(19), 환형고정판(32), 수직부착판(22), 상승캠 및 하강캠 등의 구성요소는 환편기 본체에 고정되며, 다이얼(42) 및 실린더(43) 등의 구성요소는 구동모터(35)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다이얼(42) 및 실린더(43)의 활동홈(41)에 결합된 수평편침(16) 및 수직편침(17)은 다이얼(42) 및 실린더(43)와 동심의 궤도로 공전함과 동시에 수평편침(16)은 방사상으로 돌출 및 후퇴를 반복하고 수직편침(17)은 승강을 반복하면서 도 4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급사구(51)를 통하여 공급되는 편사(99)를 포착하여 편환을 형성하고 인접 편환을 결속하는 편성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편성 작업에서는 수평편침(16)이 반복적으로 작동되면서 마찰열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평부착판(21)의 상부에 윤활유 주입구(60)를 하방으로 설치하여, 윤활유 주입구(60)를 통해 윤활유가 수평편침(16)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이러한 윤활유가 하부로 침투되어 편성된 원단 위에 떨어지지 않도록 O링(미도시)에 의해 실링처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종래 환편기의 원형고정판(31) 외연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착판(21)은 하부에 수평편침(16)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상의 캠들이 부착되는데, 이러한 수평부착판(21)은 원형고정판(31)과 중심축이 흐트러지지 않고 최대한의 동심도가 유지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종래에는 수평부착판(21)과 원형고정판(31)에 최대 동심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연통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볼트공(21a)을 형성시키고, 수평부착판(21) 상부에서 볼트공(21a)으로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볼트체결과정에서 수평부착판(21) 하부에 실링을 위해 삽입된 고무재질 O링의 반발력으로 인하여 볼트를 고정하는 동안 동심도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다수개의 수평부착판(21)을 볼트로 일일이 고정시키기가 매우 번거롭게 된다.
아울러, 수평편침(16)이 다이얼(42)과 동심의 궤도로 공전함과 동시에 방사상으로 캠상으로 돌출 및 후퇴를 반복하면서 수평부착판(21)에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수평편침(16)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는데 장시간 동안 원단편성시 일방향의 힘이 수평부착판(21)에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되어, 수평부착판(21)의 고정위치가 변동되게 되어 원단 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환편기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원형고정판(31)과 최대한의 동심도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다수개의 수평부착판(21) 고정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수평부착판(21)이 원형고정판(31)과의 중심축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환편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1895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고정판에 수평부착판을 고정하기 위한 끼움홈 및 핀삽입공을 마련하여 다수개의 수평부착판 고정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편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수평부착판의 고정위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원단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평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과 수직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다이얼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환편기 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편침과 수직편침의 편성운동을 유도하며, 상기 다이얼 및 실린더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으로 편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구가 설치되는 환편기에 있어서, 원형으로 상기 다이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환편기 본체에 고정되되, 상면의 단부에 외연을 따라 단차지도록 낮게 안착턱이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는 원형고정판과, 호형으로 상기 원형고정판의 외연을 따라 다수개 분할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착턱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면이 일측 하단부에 일정 단차로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수평편침의 편성운동을 유도하는 캠모듈이 설치되는 수평부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안착턱의 단을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일정깊이의 끼움홈이 안착턱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호형상의 끼움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며, 상기 수평부착판에서 상기 원형고정판으로 연통되는 핀삽입공이 상기 수평부착판과 상기 원형고정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핀삽입공에 핀을 삽입고정시킨다.
아울러, 상기 원형고정판의 안착턱 상면에는 일정형상의 안착홈이 일정간격으로 상기 수평부착판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착판의 안착면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안착돌출몸체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의 일측면에는 상기 다이얼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통로의 폭이 좁아지는 연장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출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장홈부와 대응되는 연장돌출몸체가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수평부착판에는 상기 수평부착판의 상면 일측에서 상기 연장돌출몸체의 측면으로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고정판에 끼움홈과 안착홈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고, 수평부착판과 연통된 핀삽입공을 마련하여 다수개의 수평부착판 고정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다른 종류의 편물을 제조하기 위해 원형고정판을 탈부착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이용하여 수평부착판이 원형고정판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수평부착판의 축방향이 변형되지 않아 제품불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환편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 환편기의 다이얼 및 실린더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환편기의 편침 발췌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환편기의 작동상태 대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환편기의 캠 및 수평부착판 발췌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환편기의 캠 및 수평부착판 발췌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물용 환편기의 부분단면 발췌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편물용 환편기의 원형고정판에 수평부착판이 분리된 상태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수평부착판이 부착된 상태의 부분발췌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B-B'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물용 환편기의 원형고정판에 수평부착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물용 환편기의 부분단면 발췌 사시도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편물용 환편기의 원형고정판에 수평부착판이 분리된 상태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수평부착판이 부착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B-B'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물용 환편기는 수평편침(160)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410)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420)과, 수직편침(170)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410)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430)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다이얼(420)의 상측과 실린더(430)의 외측에는 환편기 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120,130)이 설치되어 수평편침(160)과 수직편침(170)의 편성운동을 유도하며, 다이얼(420) 및 실린더(430)의 상측에는 수평편침(160) 및 수직편침(170)으로 편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구(51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에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다이얼(420)의 상측에 위치하여 환편기 본체에 고정되는 원형고정판(210)과, 호형으로 원형고정판(210)의 외연을 따라 다수개 분할되어 원형고정판(210)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착판(3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원형고정판(21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원형고정판(210)의 상부 단부면에는 외연을 따라 단차지도록 낮게 안착턱(211)이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고, 이러한 안착턱(211)의 단을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일정깊이의 끼움홈(212)이 안착턱(211)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안착턱(211)의 상면에는 일정형상의 안착홈(211a)이 일정간격으로 수평부착판(31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이러한 안착홈(211a)의 일측면에는 다이얼(420)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통로의 폭이 좁아지는 연장홈부(211b)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부착판(310)은 안착턱(211)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안착턱(211)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면(311)이 일측 하단부에 일정 단차로 형성되며, 수평부착판(310)의 하면에는 수평편침(160)의 편성운동을 유도하는 캠모듈(120)이 설치된다. 또한, 수평부착판(310)의 상면에는 하부에 설치되는 캠모듈(120)로 관통되는 윤활유 주입공(610)이 형성되어 수평편침(160)에 의해 마찰되는 캠 주변으로 윤활유를 공급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안착면(311)의 단부면에는 상기의 끼움홈(212)에 대응되는 호형상의 끼움돌기(312)가 단부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어, 끼움돌기(312)가 끼움홈(21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끼움홈(212)에 수평부착판(310)의 단부가 고정되어 다이얼(420)의 회전시에 원심력에 의해 수평부착판(310)이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고 끼움홈(212)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수평부착판(310)에서 원형고정판(210)으로 연통되는 핀삽입공(213,313)이 수평부착판(310)과 원형고정판(210)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핀삽입공(213,313)으로 핀을 삽입시켜 수평부착판(310)을 원형고정판(21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수평부착판(3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 볼트체결방식을 벗어나 간단하게 핀만 삽입시켜 수평부착판(310)이 고정되도록 한다.
더욱이, 수평부착판(310)의 안착면(311)에는 원형고정판(210)에 형성된 안착홈(211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착돌출몸체(311a)가 돌출형성되어 안착돌출몸체(311a)를 안착홈(211a)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원형고정판(210)에 형성된 안착홈(211a)의 형상은 사각형상으로 일측면에 돌출된 연장홈부(211b)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홈부(211b)는 다이얼(420)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통로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아울러 수평부착판(310)의 안착돌출몸체(311a)의 일측면에도 연장홈부(211b)와 대응되는 형상의 연장돌출몸체(311b)가 형성되어, 연장돌출몸체(311b)가 연장홈부(211b)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다이얼(420)의 회전에 의해 수평부착판(310)에는 다이얼(4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즉, 수평부착판(310)의 하부에 설치된 캠모듈(120)에 다이얼(420)과 일체로 결합된 수평편침(160)이 회전하면서 캠에 일방향의 마찰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마찰력이 수평부착판(31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수평부착판(310)이 다이얼(420)의 회전방향으로 밀리면서 수평부착판(310)의 하부에 형성된 연장돌출몸체(311b)가 연장홈부(211b)의 좁아지는 통로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더 강하게 삽입된다.
아울러, 수평부착판(310)에는 상면 일측에서 연장돌출몸체(311b)의 측면으로 연통되는 연통공(314)이 형성되어, 상기와 같이 수평부착판(310)의 연장돌출몸체(311b)가 연장홈부(211b)에 끼워지면서 연장홈부(211b) 내측의 공기가 연통공(314)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내부 공기압에 의한 결합 반발력을 줄이도록 한다. 더욱이, 수평부착판(310)의 분리시에는 윤활유 주입공(610)으로 주입되는 윤활유를 연통공(314)으로 주입시켜 연장돌출몸체(311b)와 연장홈부(211b)간의 접촉면에 윤활유에 의해 마찰이 감소되도록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편물용 환편기에 수평부착판을 원형고정판에 탈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원형고정판(210)의 상부 안착턱(211)에 형성된 안착홈(211a)에 수평부착판(310)의 하부 안착돌출몸체(311a)를 위치시키고, 안착홈(211a)에 안착돌출몸체(311a)를 삽입시킨다. 이와 함께, 수평부착판(310)의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돌기(312)가 원형고정판(210)의 안착면(311)에 형성되는 끼움홈(212)에 삽입된다.
그런 다음, 수평부착판(310)의 상부면에서 원형고정판(210)으로 관통된 핀삽입공(213,313)에 핀을 삽입시켜 수평부착판(310)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수평부착판(310)이 고정된 원형고정판(210)의 하부 다이얼(4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장시간동안 편물을 제조할 경우, 수평부착판(310)에 다이얼(420)의 회전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데, 이러한 장시간동안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수평부착판(310)의 축방향이 변형되지 않고 다이얼(420)의 회전방향으로 통로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연장돌출몸체(311b)가 원형고정판(210)의 연장홈부(211b)에 더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위치가 유지된다.
아울러, 다른 편물을 제조할 경우에는 수평부착판(310)에 부착된 캠모듈(120)의 구성을 변경해야 되어, 수평부착판(310)을 원형고정판(210)에서 분리시켜야 한다. 이에, 먼저 핀을 뽑은 후에 수평부착판(310)의 연통공(314)으로 윤활유 주입공(610)으로 주입되던 윤활유를 주입시킨다. 이와 같이, 연통공(314)으로 주입되는 윤활유는 연장돌출몸체(311b)의 측면으로 공급되어 연장홈부(211b)의 접촉면 사이로 스며들어 윤활유에 의해 마찰이 감소되어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물용 환편기의 원형고정판에 수평부착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형고정판(210)의 안착턱(211) 외연 단부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의 요철(215)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안착턱(211)에 안착되는 수평부착판(310)의 일측면에는 요철(215)과 대응되는 요홈(315)이 형성되어, 수평부착판(310)을 원형고정판(210)에 안착시키게 되면 요철(215)과 요홈(315)부분이 상호 결합되어 수평부착판(310)의 고정위치가 이탈되지 않고 유지된다.
아울러, 원형고정판(21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철(215)은 원형고정판(21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비스듬하게 다이얼(420)의 회전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다이얼(42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요철(215)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내려오면서 요철(215)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더 전방에 위치되도록 요철의 방향이 비스듬하게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215)의 경사면에 의해, 수평부착판(310)은 요철(215)의 경사면을 따라 다이얼(420)의 회전방향으로 더 조여지면서, 원형고정판(210)의 안착턱(211)에 더욱 밀착된다. 이와 같이 다이얼(420)의 장시간 회전에도 수평부착판(310)의 고정위치가 변형되지 않고 유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20 : 다이얼캠모듈 130 : 실린더캠모듈
160 : 수평편침 170 : 수직편침
210 : 원형고정판 211 : 안착턱
211a : 안착홈 211b : 연장홈부
212 : 끼움홈 213 : 핀삽입공
215 : 요철
310 : 수평부착판 311 : 안착면
311a : 안착돌출몸체 311b : 연장돌출몸체
312 : 끼움돌기 313 : 핀삽입공
314 : 연통공 315 : 요홈
410 : 활동홈
420 : 다이얼
430 : 실린더
510 : 급사구
610 : 윤활유 주입공

Claims (5)

  1. 수평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이얼과 수직편침이 결합되는 다수의 활동홈이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다이얼의 상측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는 환편기 본체에 고정된 다수의 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편침과 수직편침의 편성운동을 유도하며, 상기 다이얼 및 실린더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편침 및 수직편침으로 편사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사구가 설치되는 환편기에 있어서,
    원형으로 상기 다이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환편기 본체에 고정되되, 상면의 단부에 외연을 따라 단차지도록 낮게 안착턱이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는 원형고정판과;
    호형으로 상기 원형고정판의 외연을 따라 다수개 분할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착턱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면이 일측 하단부에 일정 단차로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수평편침의 편성운동을 유도하는 캠모듈이 설치되는 수평부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안착턱의 단을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일정깊이의 끼움홈이 안착턱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호형상의 끼움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며,
    상기 수평부착판에서 상기 원형고정판으로 연통되는 핀삽입공이 상기 수평부착판과 상기 원형고정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핀삽입공에 핀을 삽입고정시키는 것 특징으로 하는 편물용 환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고정판의 안착턱 상면에는 일정형상의 안착홈이 일정간격으로 상기 수평부착판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착판의 안착면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안착돌출몸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용 환편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일측면에는 상기 다이얼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통로의 폭이 좁아지는 연장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출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장홈부와 대응되는 연장돌출몸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용 환편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착판에는
    상기 수평부착판의 상면 일측에서 상기 연장돌출몸체의 측면으로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용 환편기.
  5. 삭제
KR1020160047469A 2016-04-19 2016-04-19 편물용 환편기 KR10163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69A KR101639619B1 (ko) 2016-04-19 2016-04-19 편물용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69A KR101639619B1 (ko) 2016-04-19 2016-04-19 편물용 환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619B1 true KR101639619B1 (ko) 2016-07-14

Family

ID=5649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469A KR101639619B1 (ko) 2016-04-19 2016-04-19 편물용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875B1 (ko) * 2022-08-18 2023-08-10 송태종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41Y1 (ko) * 1998-07-15 2002-01-17 최형권 환편기의 상부다이알과 캠 조절장치
KR100929819B1 (ko) * 2008-03-31 2009-12-11 김민수 환편기 및 이를 이용하는 편직 방법
KR101189586B1 (ko) 2012-05-11 2012-10-10 김건훈 모듈형 캠식 환편기
KR101566280B1 (ko) * 2015-08-17 2015-11-05 주식회사 지아코리아 직물용 환편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41Y1 (ko) * 1998-07-15 2002-01-17 최형권 환편기의 상부다이알과 캠 조절장치
KR100929819B1 (ko) * 2008-03-31 2009-12-11 김민수 환편기 및 이를 이용하는 편직 방법
KR101189586B1 (ko) 2012-05-11 2012-10-10 김건훈 모듈형 캠식 환편기
KR101566280B1 (ko) * 2015-08-17 2015-11-05 주식회사 지아코리아 직물용 환편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875B1 (ko) * 2022-08-18 2023-08-10 송태종 환편기용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이물질 처리장치
KR20230123455A (ko) * 2022-08-18 2023-08-23 송태종 이물질 제거 기능의 편직물용 환편기
KR102617836B1 (ko) 2022-08-18 2023-12-28 송태종 이물질 제거 기능의 편직물용 환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104B1 (ko) 양말의 발끝 봉제방법과 장치
KR102498575B1 (ko) 표면에 탄성사를 갖는 환편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양면 환편기
JP2014505803A (ja) ダイヤル上に複数の編針を伴っている形式の、男子用靴下の為の丸編機
KR101639619B1 (ko) 편물용 환편기
KR101566280B1 (ko) 직물용 환편기
US10287715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1189586B1 (ko) 모듈형 캠식 환편기
JP2008280641A (ja) 給糸切換機におけるストライプ柄編成装置とその方法
CN106480593B (zh) 一种全电脑单针筒袜机双面罗纹编织装置
WO2006049369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organizing textiles with operating cam of catridge type
KR101195427B1 (ko) 양말 편직기 실린더부의 양말 내림튜브 회전장치
US4492097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articles
CN202030927U (zh) 一种针杆锁紧圈
KR102199261B1 (ko) 편성캠 높이조절이 용이한 직물형 환편기
CN108774801A (zh) 一种针织机械编织装置
KR200385786Y1 (ko) 플러쉬 자카드 환편기의 편물지지원반 가이드장치
JP6105009B2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成方法
KR101022825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
US20230272566A1 (en) A shaped sinker for knitting machines, in particular for manufacturing open-work knitted fabrics
KR101436739B1 (ko) 덧버선 편직기의 레이싱 캠뭉치와 트랜스퍼 캠뭉치의 구동수단 및 덧버선
CN216947409U (zh) 一种应用于钩针机的钩针头
KR100916811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편성장치
CN219670777U (zh) 手套机的选针轴
KR200405496Y1 (ko) 양말편직기 및 환편기
CN101586283B (zh) 圆编针织机的选色活动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