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573A - 와이어 그립퍼 - Google Patents

와이어 그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573A
KR20190116573A KR1020197029268A KR20197029268A KR20190116573A KR 20190116573 A KR20190116573 A KR 20190116573A KR 1020197029268 A KR1020197029268 A KR 1020197029268A KR 20197029268 A KR20197029268 A KR 20197029268A KR 20190116573 A KR20190116573 A KR 20190116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ipping body
gripping
wire gripp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모츠 이와마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1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화·중량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그립핑 힘을 작용시킬 수 있는 와이어 그립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와이어 그립퍼(1)에 의해 그립핑되는 피복전선(20)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와이어 그립퍼(1)의 베이스부(6)에는, 하방측에, 요동 가능해지도록 링크 편(8 및 9)이 축지지되어 있다. 링크 편(8)의 요동 단부(8a), 및 링크 편(9)의 요동 단부(9a)는, 모두 조작 아암(10)에 연결되어, 평행 링크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에 의해 피복전선(20)이 끼워져 지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중,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는 베이스부(6)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는,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에 대하여 진퇴 가능해지도록, 링크 편(8) 및 링크 편(9)에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그립퍼{WIRE GRIPPER}
본 발명은, 전선을 잘라 나누는 공사를 행할 때에, 전선을 끌어당기는(drawing) 공정에 있어서 전선을 그립핑(gripping)하는 와이어 그립퍼에 관한 것이다.
전선을 잘라 나누는 공사를 행할 때, 전선을 끌어당겨 잘라 나눌 부위에 느슨함을 부여하기 위해 와이어 스트레쳐(wire stretcher)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와이어 스트레쳐는, 신축 가능한 신축축(伸縮軸)의 양단에, 전선을 그립핑하기 위한 와이어 그립퍼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 스트레쳐를 이용하여, 양단의 와이어 그립퍼로 각각 전선을 그립핑하여, 중앙의 신축축을 수축시킴으로써, 양 와이어 그립퍼 사이의 전선을 아치형으로 느슨하게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전선을 그립핑 혹은 파지(grasping, 把持)하는 기술로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와이어 스트레칭 기능을 구비한 와이어 그립퍼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도 7의 와이어 스트레칭 기능을 구비한 와이어 그립퍼(100)의 지지 프레임(102)의 상방에는, 전선의 상면측이 맞닿는 전선 받이부(10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02)은, 중앙의 중계 부재(10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조작 볼트(103)의 조작에 의해, 중계 부재(104)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부착되어 있다.
중계 부재(104)의 양 측방에는, 2개의 연결 레버(105)가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연결 레버(105)를 통해 연결 단부(端部) 부재(101)가 연결되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전선의 하면측에 맞닿는 전선 리테이너(electric wire retainer; 106)는, 연결 레버(105)의 상방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단부 부재(101)에 의한 연결 레버(105)의 요동 조작에 의해, 전선 받이부(102a)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연결 단부 부재(101)를 화살표(107)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전선을 전선 받이부(102a)와 전선 리테이너(106)의 사이에 그립핑할 수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H10-094128호
그러나, 도 7의 와이어 스트레칭 기능을 구비한 와이어 그립퍼(100)에서는, 전선이 전선 받이부(102a)와 전선 리테이너(106)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었을 때에, 눌려 찌그러져 변형되기 때문에, 끼움지지력(sandwiching force)이 빠져나가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와이어 스트레칭 기능을 구비한 와이어 그립퍼(100)에 의해 전선을 그립핑한 상태에 대하여, 전선의 축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선 받이부(102a)와 전선 리테이너(106)는 모두, 전선(108)에 맞닿는 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선(108)의 상면과 하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끼움지지 상태에 있어서 측방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선(108)이 측방으로 부풀어 올라 끼움지지력의 일부가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문에, 그립핑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빠져나가는 힘의 크기를 고려하여, 그만큼을 보완하기에 충분한 끼움지지력으로 전선(108)을 조여 붙일 필요가 있다. 즉, 경도(硬度)가 낮은 전선일수록, 변형을 고려하여 크게 조여 붙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심선(芯線, core wire) 및 피복(被覆, sheath)에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또, 전선을 끼워 지지하기 위해 강대한 끼움지지력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와이어 그립퍼의 각 부재는 강화를 위해 대형화되어, 결과적으로 중량의 증대를 초래한다. 전선을 잘라 나누는 공사에 있어서, 이러한 장치의 대형화, 중량의 증대는, 조작성이 저하되고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현저히 불리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대형화·중량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그립핑 힘(gripping force)을 작용시킬 수 있는 와이어 그립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립퍼는, 대향하는 상하 2 방향으로부터 선형상체를 끼워 지지하는 와이어 그립퍼로서, 선형상체의 적어도 상측 반원주면(semi-circumferential surface, 半周面)을 따르는 형상의 제 1 파지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 1 파지홈의 양 측방의 각각에, 끼움결합부가 적어도 한 곳 형성된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gripping body)와, 선형상체의 적어도 하측 반원주면을 따르는 형상의 제 2 파지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 1 파지홈 및 제 2 파지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가 폭보다 작아지는 위치까지 끼움결합이 가능해지도록, 끼움결합부와 끼움결합하는 피(被)끼움결합부가 형성된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립퍼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끼움결합부 및 피끼움결합부는, 각각, 오목형상 및 볼록형상이 일렬로, 또한 교대로 반복된 요철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립퍼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가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동시에,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에 대해 평행을 유지하며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해지도록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가 연결된 링크 편(片)과, 링크 편의 요동 단부에 연결된 조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립퍼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는, 링크 편의 요동에 의해 원호 운동이 가능해지도록, 링크 편에 축지지되며, 끼움결합부와 피끼움결합부의 사이에는, 각각에,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의 원호 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사면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 반원주면을 따른 제 1 파지홈이 형성된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와, 하측 반원주면을 따른 제 2 파지홈이 형성된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가 끼움결합하기 때문에, 끼움결합부 및 피끼움결합부는, 선형상체의 대략 중앙 측방에서 끼움결합한다. 이로써, 그립핑 상태의 선형상체에는, 전체 둘레에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 및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로부터 압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끼움지지력에 근거하는 압력이 빠져나가는 일 없이, 선형상체의 전체 둘레에 가해지므로, 선형상체에 변형으로 인한 손상을 일어나게 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그립핑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1 파지홈 및 제 2 파지홈으로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가 폭보다 작은 위치까지 끼움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선형상체의 외경(外徑)의 편차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충분한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양호하게 그립핑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선형상체의 전체 둘레에 충분한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이 길이방향에 있어서, 요철 패턴이 연속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선형상체에 충분한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링크 편(片)을 통해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와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간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끼움결합부와 피끼움결합부가 끼움결합할 때, 서로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부드럽게 끼움결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 그립퍼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와이어 그립퍼의 부분(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의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 및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에 의한 와이어 그립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와이어 스트레칭 기능을 구비한 와이어 그립퍼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와이어 스트레칭 기능을 구비한 와이어 그립퍼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부재·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1)의 전체 사시도이다. 와이어 그립퍼(1)에 의해 그립핑되는 피복전선(20)은 가상선(假想線, imaginary line)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와이어 그립퍼(1)의 베이스부(6)에는, 하방측에, 요동 가능해지도록 링크 편(8 및 9)이 축지지되어 있다. 링크 편(8)의 요동 단부(搖動端; 8a), 링크 편(9)의 요동 단부(9a)는, 모두 조작 아암(10)에 연결되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에 의해 피복전선(20)이 상하 2 방향으로부터 끼워져 지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중,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는 베이스부(6)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는,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해지도록, 링크 편(8) 및 링크 편(9)의 상방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 아암(10)을 화살표(31)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링크 편(8) 및 링크 편(9)이 요동함에 따라,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가 들어 올려지며,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에 가까워져 피복전선(20)을 그립핑할 수가 있다.
여기서, 도 2에 와이어 그립퍼(1)의 입체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의 상면 중앙에는 위치결정 구멍(2c)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부(6)의 상방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 위치결정 핀(6b,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핀의 선단은 도시 생략)이 끼워 넣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 핀(6b)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는, 배면측(지면 뒤쪽(紙面裏側))으로부터 삽입되는 배면(背面) 볼트(6c)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홀더(6a)에 고정된다. 상기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의 하면에는, 도 1에 나타낸 피복전선(20)의 상측 반원주면(半周面; 20a)을 따르도록 상측 파지홈(2a; 제 1 파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상측 파지홈(2a)의 양측방에는, 요철 형상(요철 패턴)의 반복에 의한 끼움결합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측 파지홈(2a)과 끼움결합부(2b)에 의해, 피복전선(20)의 적어도 상측 반원주면(20a)을 덮을 수가 있다.
이에 대하여,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는, 링크 편(8) 및 링크 편(9)에 연결된 가동(可動) 홀더(30)에 부착되어 있다.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의 하방측에는, 굴곡된 노치(notch, 切缺; 4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치(4c)에 가동 홀더(3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결합 볼록부(30a)를 걸도록 하여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가 가동 홀더(30)에 배치되며, 측면의 고정 나사(30b)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의 상면에는, 도 1에 나타낸 피복전선(20)의 하측 반원주면(20b)을 따르도록 하측 파지홈(4a; 제 2 파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측 파지홈(4a)의 양측방에는, 끼움결합부(2b)와 맞물리는 요철 형상의 피끼움결합부(4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측 파지홈(4a)과 피끼움결합부(4b)에 의해, 피복전선(20)의 적어도 하측 반원주면(20b)을 덮을 수가 있다.
여기서, 끼움결합부(2b) 및 피끼움결합부(4b)의 요철 형상에 대해 자세히 보면, 끼움결합부(2b)에는 경사면(12)이 형성되고, 피끼움결합부(4b)에는 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경사면(12)과 경사면(14)은, 피복전선(20)을 끼워 지지했을 때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들 경사면(12,14)을 포함하여, 끼움결합부(2b) 및 피끼움결합부(4b)의 요철 형상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 중에 2점 쇄선으로 둘러싼 부분(A)의 확대도이다. 도 3에는,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의 끼움결합부(2b)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의 피끼움결합부(4b)가 맞물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복전선(20)을 그립핑한 상태에 있어서, 끼움결합부(2b)와 피끼움결합부(4b)의 사이에는 체결 여유(tightening tolerance)로서 간극(間隙, gap; 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끼움지지력을 더 증대시키면, 피복의 변형을 수반하여 단단히 조일 수가 있다. 단, 간극(21)의 간격은 근소하며, 또한,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복에 손상이 생기거나, 심선(芯線)이 변형되는 것과 같은 일은 없다.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는, 링크 편(8) 및 링크 편(9)의 요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움직이므로, 도 3 중에 나타낸 화살표(32)와 같이 원호 운동을 한다. 상술한 경사면(12) 및 경사면(14)은, 상기 원호 운동과 대략 같은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서는, 경사면(12)과 경사면(14)은 거의 접해 있으나, 끼움지지력이 더 가해져도, 서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간의 간격을 좁힐 수가 있다.
도 3 중에는, 끼움결합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된(overlapped) 영역에 빗금을 쳐서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1)에서는, 피복전선(20)의 전체 둘레 영역에 걸쳐 접촉하도록 그립핑할 수 있기 때문에, 피복전선(20)과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 및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생겨, 안정적으로 피복전선(20)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
계속해서, 도 3에 나타낸 피복전선(20)의 그립핑 상태에 대하여, 방향을 바꾸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경사면(12,14)을 통과하는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피복전선(20)은, 전체 둘레에 걸쳐,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에 의해 그립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상하방향으로부터 받은 끼움지지력에 근거하는 압력이 빠져나가는 일 없이, 균등하게 피복전선(20)의 전체 둘레에 가해져 있다.
따라서, 피복의 외측으로의 변형(아웃플로우(outflow))이 방지되는 분량(分)만큼, 끼움지지력은 내압(內壓)의 증가분으로서 반영되기 때문에, 매우 큰 마찰력이 얻어진다. 또,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균등하게 압력이 가해지므로, 그립핑 상태가 안정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도 3의 간극(21)을 통과하는 C-C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3에 나타낸 간극(21)이며, 체결 여유이다. 즉, 도 4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이미 피복전선(20)은, 상측 파지홈(2a) 및 하측 파지홈(4a)(도 2 참조)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압력이 가해지는 형태로 그립핑되어 있지만, 또한, 도 5에 나타낸 간극(21) 분(分)만큼 단단히 조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맞물림 상태에 있어서 상측 파지홈(2a)과 하측 파지홈(4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가, 폭(피복전선(20)의 지름방향)보다 작아지는 위치까지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가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결합부(2b) 및 피끼움결합부(4b)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피복전선(20)의 외경의 편차에 대하여, 경사면(12,14)이 맞닿는 부분에서는 전체 둘레를 그립핑할 수 있는 상태(도 4 참조)를 유지하면서, 충분한 끼움지지력이 얻어지는 위치까지,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극(21)의 간격은, 상측 파지홈(2a) 및 하측 파지홈(4a)으로부터 피복전선(20)에 가해지는 압력이 피복의 변형에 의해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피복재의 경도(硬度)와의 관계에 따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간극(21)의 간격은, 피복재나 심선의 변형을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억제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피복재나 심선에 손상 레벨의 변형을 수반하지 않는 범위라면, 외측으로 불룩해진 부분을 적극적으로 그립핑 부분으로서 작용시킬 수가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1)에 의하면, 피복전선(20)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그립핑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증대되며, 축선 방향으로의 어긋남의 방지에 대해 유리하다. 이 때문에, 같은 끼움지지력이라 하더라도, 종래의 상하 2방향으로만 접하는 구성에 비해, 피복전선(20)을 그립핑하는 힘이 현저히 증대된다. 반대로 바꾸어 말하면, 필요한 그립핑 힘을 얻기 위해, 종래보다 작은 끼움지지력을 발생시키면 되게 된다. 따라서,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에 추가하여, 피복에 대한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차의 범위를 초과한 피복전선(20)의 지름의 차이에 대해서는, 상측 파지홈(2a) 및 하측 파지홈(4a)의 내경(內徑)이 다른 부재와 교환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립퍼 중,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52)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54)간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52)의 하면에 형성된 상측 파지홈(52a)과,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54)의 상면에 형성된 하측 파지홈(54a)의 사이에 피복전선(20)이 끼워져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52)의 끼움결합부(52b)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54)의 피끼움결합부(54b)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립퍼(1)와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에 있어서 오버랩되어 있다. 또, 체결 여유로서 간극(7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와이어 그립퍼(1)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립퍼도, 피복전선(20)의 전체 둘레에 걸쳐 압력이 가해지도록 그립핑할 수 있는 동시에, 피복전선(20)의 외경의 편차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끼움결합부(52b)와 피끼움결합부(54b)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대향한 경사면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54)의 원호 궤도를 나타내는 화살표(33) 방향을 대략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52)가, 베이스부(6)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와이어 그립퍼(1)에서는, 링크 기구가 2개의 링크 편(8, 9)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와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가 대략 평행 상태를 유지하며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한 구성이라면, 1개의 링크 편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 52)를 고정하고,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 54)를 가동(可動) 상태로 설정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으나, 링크 편을 상측으로 연장하여,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를 그 연장한 링크 편에 연결하고,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를 베이스부(6)에 고정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링크 편(8, 9)은 하방측이 요동 가능하게 되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으나, 베이스부(6)의 상방으로 요동 단부를 연장시켜, 상방측에서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 54)를 요동 조작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끼움결합부(2b, 52b) 및 피끼움결합부(4b, 54b)가 모두,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2,52),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4,54)의 길이방향의 전체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끼움결합부, 피끼움결합부는, 각각, 적어도 1곳에 형성되어 있으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 및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 중 어느 일방(一方)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타방(他方)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각각에, 가동측의 와이어 그립핑 바디의 운동 방향을 따른 대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그리고,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 및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의 맞물림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가 폭보다 작아지도록, 볼록부 및 오목부가 끼움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1; 와이어 그립퍼(wire gripper)
2, 52; 상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
2a, 52a; 상측 파지홈(把持溝)(제 1 파지홈)
2b, 52b; 끼움결합부
2c; 위치결정 구멍
4, 54; 하측 와이어 그립핑 바디(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
4a, 54a; 하측 파지홈(제 2 파지홈)
4b, 54b; 피(被)끼움결합부
4c; 노치(notch, 切缺)
6; 베이스부
6a; 고정 홀더
6b; 위치결정 핀
6c; 배면(背面) 볼트
8, 9; 평행 링크 편(片)(링크 편)
8a, 9a; 요동 단부(搖動端)
10; 조작 아암
12, 14; 경사면
20; 피복전선(선형상체)
20a; 상측 반원주면(半周面)
20b; 하측 반원주면
21, 71; 간극(間隙)
30; 가동 홀더
30a; 걸림결합 볼록부
30b; 고정 나사
31, 32, 33; 화살표

Claims (2)

  1. 대향하는 상하 2방향으로부터 선형상체를 끼워 지지하는 와이어 그립퍼(wire gripper)로서,
    상기 선형상체의 적어도 상측 반원주면(semi-circumferential surface, 半周面)을 길이방향에 있어서 균등하게 따르는 형상의 제 1 파지홈(把持溝)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파지홈의 양측방의 각각에, 끼움결합부가 적어도 한 곳 형성된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와,
    상기 선형상체의 적어도 하측 반원주면을 길이방향에 있어서 균등하게 따르는 형상의 제 2 파지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파지홈 및 상기 제 2 파지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가 폭보다 작아지는 위치까지 끼움결합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끼움결합부와 끼움결합하는 피(被)끼움결합부가 형성된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와,
    상기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가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와이어 그립핑 바디에 대해 평행을 유지하며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가 연결된 링크 편과,
    상기 링크 편의 요동 단부에 연결된 조작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는, 상기 링크 편의 요동에 의해 원호 운동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링크 편에 축지지되며,
    상기 끼움결합부와 상기 피끼움결합부의 사이에는, 각각에, 상기 제 2 와이어 그립핑 바디의 원호 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사면이 접촉가능하게 대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립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부 및 상기 피끼움결합부는, 각각, 오목형상 및 볼록형상이 일렬로, 또한 교대로 반복된 요철(凹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립퍼.
KR1020197029268A 2012-12-27 2013-12-09 와이어 그립퍼 KR20190116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6230A JP5953227B2 (ja) 2012-12-27 2012-12-27 掴線器
JPJP-P-2012-286230 2012-12-27
PCT/JP2013/007218 WO2014103195A1 (ja) 2012-12-27 2013-12-09 掴線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909A Division KR102143999B1 (ko) 2012-12-27 2013-12-09 와이어 그립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573A true KR20190116573A (ko) 2019-10-14

Family

ID=510203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909A KR102143999B1 (ko) 2012-12-27 2013-12-09 와이어 그립퍼
KR1020197029268A KR20190116573A (ko) 2012-12-27 2013-12-09 와이어 그립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909A KR102143999B1 (ko) 2012-12-27 2013-12-09 와이어 그립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74038B2 (ko)
JP (1) JP5953227B2 (ko)
KR (2) KR102143999B1 (ko)
CN (1) CN104904082B (ko)
TW (1) TWI618607B (ko)
WO (1) WO2014103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7106B (zh) * 2015-07-03 2018-01-19 国网山东商河县供电公司 一种新型卡线器
USD850246S1 (en) * 2016-01-06 2019-06-04 Nagaki Seiki Co., Ltd. Wire gripper
CN107408799B (zh) * 2016-01-06 2020-09-11 株式会社永木精机 抓线器
US11233368B2 (en) 2017-09-29 2022-01-2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Wire clamp
US10431968B2 (en) * 2017-10-17 2019-10-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ductor positioning fixture for cable processing
JP6815653B2 (ja) * 2018-09-21 2021-01-20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活線振り分け工具
KR102657003B1 (ko) * 2019-01-12 2024-04-15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
CN109747914B (zh) * 2019-02-19 2024-04-26 苏州优得精智装备有限公司 一种电源线快速展开装置
CN110137884B (zh) * 2019-05-16 2024-05-10 中国能源建设集团南京线路器材有限公司 一种输电线路导线自转悬垂线夹
AU2021232252A1 (en) * 2020-03-02 2022-10-20 Nagaki Seiki Co., Ltd. Gripping tool
USD1002310S1 (en) * 2020-04-30 2023-10-24 Charles Alberti Wire pulling gri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128A (ja) 1996-09-17 1998-04-10 Hokkai Denki Koji Kk 張線機能付掴線器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131A (en) * 1899-03-28 dreyfusb
US531700A (en) * 1895-01-01 Wire-clamp
US935013A (en) * 1905-03-03 1909-09-28 Raymond B Gilchrist Bottle-capper.
US1025739A (en) * 1910-10-27 1912-05-07 Charles Henry Alexander Davis Holding-vise attachment.
US1244136A (en) * 1916-11-15 1917-10-23 Iver B Segerdahl Cable gripping and stretching device.
US1300752A (en) * 1918-07-16 1919-04-15 Jacob A Mattern Fire-escape.
US1361643A (en) * 1920-07-31 1920-12-07 Norman Read Wire and cable clamp
US1430783A (en) * 1921-04-21 1922-10-03 Washington Iron Works Cable clamp
US1464939A (en) * 1922-08-08 1923-08-14 James R Kearney Wire puller
US1504087A (en) * 1924-01-05 1924-08-05 Brady Judson Roy Wire-line clamp
US1591344A (en) * 1926-03-05 1926-07-06 Reeves Ida May Cable clamp
US1652537A (en) * 1926-06-19 1927-12-13 Thomas J Lewis Cleansing-cream filler
US1942625A (en) * 1933-08-15 1934-01-09 Crescent Tool Company Wire grip
US2140837A (en) * 1937-01-22 1938-12-20 Harry Edward Ross Attachment for lineman's grip
US2146575A (en) * 1937-05-18 1939-02-07 Hefftner Max Clamp
US2194647A (en) * 1939-02-20 1940-03-26 Vivian Rhoads Cable clamp
US2245811A (en) * 1940-10-11 1941-06-17 Mathias Klein & Sons Wire gripping tool
US2330736A (en) * 1943-06-24 1943-09-28 Lewis T Paulson Clamp
US2431819A (en) * 1944-05-25 1947-12-02 Robert L Meyer Cargo lash fastener
FR1342298A (fr) * 1962-09-27 1963-11-08 Pinces auto-serreuses pour appareil de traction et de levage ainsi que les appareils de traction et de levage pourvus desdites pinces auto-serreuses ou similaires
US3262171A (en) * 1964-06-29 1966-07-26 Julian W Scholz Wire grip
US3599297A (en) * 1970-06-18 1971-08-17 Crescent Niagara Corp Wire grip
US3672636A (en) * 1970-11-20 1972-06-27 Edward M Parsen Cable gripping towing device
US3824653A (en) * 1973-06-13 1974-07-23 R Sholler Wire grip
FR2296588A1 (fr) * 1975-01-03 1976-07-30 Ogec Sarl Dispositif de dehalage pour un appareil de traction a cable a mouvement alternatif et auto-serreur
US4034828A (en) * 1975-04-14 1977-07-12 Rose Manufacturing Company Shock absorbing cable connector
JPS5234598A (en) * 1975-09-11 1977-03-16 Kuninori Handa Device for descending
US3971552A (en) * 1975-11-12 1976-07-27 Mayfield Johnny W Quick release pipe vise
US4077094A (en) * 1976-09-17 1978-03-07 Swager William E Clamping device for a rope, cable, annular bar, or the like
CH622131A5 (en) * 1977-03-29 1981-03-13 Innocente Riganti Off Mec Self-closing clamp for stretching conductors and electrical cables
EP0064571B1 (de) * 1981-05-13 1985-01-23 Secalt S.A. Vorrichtung zum Einklemmen und/oder Längsbewegen eines langgestreckten Zugmittels
US4483517A (en) * 1982-04-01 1984-11-20 Secalt S.A. Tractive apparatus for hauling a cable, a bar or a similar member
DE3307914C2 (de) * 1983-03-05 1985-01-17 Willy Habegger AG, Thun Klemmvorrichtung für Seile oder dergleichen
US4592117A (en) * 1985-02-11 1986-06-03 Ruehl William E Drop wire clamp
US4810837A (en) * 1988-02-02 1989-03-07 Giroux Pierre R Clasp for fixing an electrical wire to an insulator and method of fixation
JPH0616739B2 (ja) 1989-06-30 1994-03-09 株式会社ホリケン 穀類の連続処理装置における定量排出装置
JPH0732576Y2 (ja) * 1989-08-03 1995-07-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ケーブル類の引張用クランプ
US5058869A (en) * 1990-10-30 1991-10-22 Ruthven Ronald L Cable vise
US5647046A (en) * 1995-11-20 1997-07-08 Alcoa Fujikura Limited Wedge deadend to support aerial cables
JP3827393B2 (ja) * 1997-03-06 2006-09-27 株式会社永木精機 線状体把持器
SE513038C2 (sv) * 1998-11-25 2000-06-26 Ericsson Telefon Ab L M Hängdon med integrerad linvagn för kabel
JP4323038B2 (ja) * 1999-12-09 2009-09-02 中部電力株式会社 楔形引留クランプ
TW464120U (en) * 2000-04-19 2001-11-11 You Zhan Entpr Co Ltd Wire clip
JP4422994B2 (ja) * 2003-09-17 2010-03-03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CN200961239Y (zh) * 2006-09-09 2007-10-17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可转动的悬索桥索夹
CN201398055Y (zh) * 2009-04-29 2010-02-03 张班 新式多功能卡线器
US8720013B2 (en) * 2009-06-02 2014-05-13 Yasuharu Nagaki Trigger grip
US8720014B2 (en) * 2009-06-02 2014-05-13 Yasuharu Nagaki Trigger grip
TWM370875U (en) * 2009-06-12 2009-12-11 Pat Nbk Co Ltd Wire clamping device structure that is easy to operate
US8540215B2 (en) * 2009-06-30 2013-09-24 Nagaki Seiki Co., Ltd. Wire grip
US20120000037A1 (en) * 2010-04-14 2012-01-05 Chi-Yuan Chen Grip
US8984722B2 (en) * 2011-02-23 2015-03-24 Hubbell Incorporated Wedge dead end clamp assembly
CN102832570B (zh) * 2012-07-18 2015-12-02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大截面扩径导线卡线器
AU2013319594B2 (en) * 2012-09-21 2017-08-17 Nagaki Seiki Co., Ltd. Wire gripper
WO2014050171A1 (ja) * 2012-09-28 2014-04-03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128A (ja) 1996-09-17 1998-04-10 Hokkai Denki Koji Kk 張線機能付掴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999B1 (ko) 2020-08-12
US10574038B2 (en) 2020-02-25
CN104904082B (zh) 2018-01-12
TWI618607B (zh) 2018-03-21
WO2014103195A1 (ja) 2014-07-03
US20160218493A1 (en) 2016-07-28
CN104904082A (zh) 2015-09-09
TW201436960A (zh) 2014-10-01
KR20150100735A (ko) 2015-09-02
JP5953227B2 (ja) 2016-07-20
JP2014128185A (ja)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6573A (ko) 와이어 그립퍼
AU2013319594B2 (en) Wire gripper
TWI530040B (zh) Tight line
JP3180307U (ja) 掴線器
JP6317769B2 (ja) 掴線器
US11034033B2 (en) Micro-gripper with one-piece structure
TW201733230A (zh) 緊線器
JP5606517B2 (ja) バネ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真空グリッパー組立体
TW201728026A (zh) 緊線器
JP2021049595A (ja) 線条体支持装置
US20130292893A1 (en) Jig for fixing cylinder block
JPS5928951B2 (ja) バツテリ−端子へのケ−ブル接続用クランプ
JP7234604B2 (ja) 把持機構及び組み立て装置
US20170136606A1 (en) Clamp
GB2613975A (en) Reel seat
KR101535159B1 (ko) 마그네슘 소재를 이용한 그리퍼
JP6373848B2 (ja) 釣り竿
JP5563063B2 (ja) ハトメ取付装置及びハトメ取付方法
JP6557091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JP5898504B2 (ja) リールシート
JP4666658B2 (ja) ワーク把持装置
JP5054159B2 (ja) ブレーキ
JP2015035846A (ja) クリップ
JP2008002354A (ja) 燃料噴射弁取り外し治具、燃料噴射弁取り外し方法および燃料噴射弁取り外し構造
KR102158063B1 (ko) 설치 부재를 사용하여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