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063B1 - 설치 부재를 사용하여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설치 부재를 사용하여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063B1
KR102158063B1 KR1020197001896A KR20197001896A KR102158063B1 KR 102158063 B1 KR102158063 B1 KR 102158063B1 KR 1020197001896 A KR1020197001896 A KR 1020197001896A KR 20197001896 A KR20197001896 A KR 20197001896A KR 102158063 B1 KR102158063 B1 KR 10215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holding
installation
pai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194A (ko
Inventor
히로아키 가나자와
류사쿠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4Sett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11Press-button fasteners in which the elastic retaining action is obtained by a spring working in the plane of th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41Press-button fasteners consisting of two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44B17/0088Details made from sheet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01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2Setting hooks or 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100)는,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다이(110)를 포함한다. 제1 다이(110)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20)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되고, 계속해서 피설치 부재(20)가 천(30) 상에 배치되도록 움직이게 한다.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제1 다이(110)로의 피설치 부재(20)의 전달이 천(3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행해진다.

Description

설치 부재를 사용하여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 및 방법
본 개시는, 설치 부재를 사용하여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특히 그 단락 0027, 0029는, 코오킹 시에 가이드 펀치(19)를 사용하는 것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2, 특히 그 단락 0017은 버튼측 다이(50)에 버튼(20)을 자동 공급 또는 수동으로 세트하는 것을 개시한다.
실용 신안 등록 제2592699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4/061140호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30)의 중첩 부분에 인접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설치하는 경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 단적으로는, 암 부재(50)가 천(30)에 간섭하여, 피설치 부재(20)의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없어,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적절하게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원 발명자는, 천(30) 상에 있어서의 피설치 부재(20)의 설치 위치의 제약을 완화하는 의의를 새롭게 찾아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설치 장치는,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100)이며,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다이(1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다이(110)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되고, 계속해서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천(30) 상에 배치되도록 움직이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상기 제1 다이(110)로의 상기 피설치 부재(20)의 전달이 상기 천(3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행해진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다이(110)는,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1 이상의 압박편(116)을 갖고, 상기 압박편(116)이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하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다이(110)는,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압박편(116)을 갖고, 상기 복수의 압박편(116)이 탄성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압박편(116)은,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외주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의 저부는,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천(30)으로 향하는 상기 제1 다이(110)가 각 제1 보유 지지 부재(40)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해방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되는 것에 동기하여,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의 상기 피설치 부재(20)의 해방 동작이 개시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다이 본체부(110k)는, 상기 선단부(11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점차 직경 확대되는 직경 확대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상기 직경 확대부(115)가 각 제1 보유 지지 부재(40)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움직이게 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보유 지지 부재(40)는, 피벗 가능한 암 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암 부재(50)는 피벗축(51)과,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단부(52)를 포함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보유 지지 부재(40)는 피벗 가능한 암 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암 부재(50)는 피벗축(51)과,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단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암 부재(50)는 상기 피벗축(51)과 상기 보유 지지 단부(52) 사이에,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직경 확대부(115)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눌리는 피압박면(53)을 갖는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설치 장치가, 상기 암 부재(50)가 축 지지된 베이스부(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60)는 상기 설치 장치(100) 내에 있어서 변위되지 않는 정지 부재이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설치 부재(10)가 환부(11)와, 상기 환부(11)를 따라서 설치된 복수의 다리부(12)를 갖는다. 설치 장치는, 제2 다이(1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다이(120)는,
상기 환부(11) 내에 삽입되는 핀(121), 및
상기 핀(121)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향하여 상기 설치 부재(10)를 가압 작동하는 가압 작동부(122)를 구비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다이(120)는 상기 설치 부재(10)를 보유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천(30)으로 향하는 상기 가압 작동부(122)가 각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로부터 상기 설치 부재(10)가 해방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는, 설치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공급하는 슬라이더(49)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49)는 상기 제1 다이(110)와 공통의 구동원(91)에 링크 기구(92)를 통해 결합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설치 방법은,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설치하는 설치 방법이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피설치 부재(20)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향하여 제1 다이(110)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선단부(111)에서의 상기 피설치 부재(20)의 보유 지지에 동기하여,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해방하는 공정과,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된 상기 제1 다이(110)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상기 천(30)에 접촉할 때까지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천 제품의 제조 방법은,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피설치 부재(20)가 설치되는 천 제품(30)의 제조 방법이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피설치 부재(20)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향하여 제1 다이(110)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선단부(111)에서의 상기 피설치 부재(20)의 보유 지지에 동기하여,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해방하는 공정과,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된 상기 제1 다이(110)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상기 천(30)에 접촉할 때까지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천 상에 있어서의 피설치 부재의 설치 위치의 제약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천에 대하여 설치되기 전의 피설치 부재와 설치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천에 대하여 설치된 후의 피설치 부재와 설치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제1 다이 및 제1 보유 지지 부재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하고, 제2 다이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피설치 부재는,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보유 지지되며, 천의 상면 상에 적재되어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에 피설치 부재를 공급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에 피설치 부재가 공급되어,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피설치 부재가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가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제1 다이의 하강에 수반하여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도 하강하는 것, 및 제1 다이의 하강에 수반하여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피벗되어,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로부터 피설치 부재가 해방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의 점선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제1 다이 및 제1 보유 지지 부재가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설치 부재의 환부 내에 제2 다이의 핀이 삽입 관통되고, 설치 부재의 환부가 제2 다이의 가압 작동부의 상단부 상에 적재되고, 또한, 설치 부재의 환부가 제2 다이의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로부터 해방된 설치 부재가 상방으로 움직여지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가압 작동부 상의 설치 부재의 다리부가 천을 관통하고, 천의 상면 상의 피설치 부재의 플랜지부 내의 공동 내에 진입하여 굴곡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다른 제1 다이의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며,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에 피설치 부재가 보유 지지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110)의 선단부에 피설치 부재가 보유 지지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피설치 부재 및 보유 지지부는 단면으로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110)의 선단부에 피설치 부재가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한 제1 다이의 압박편이 천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한 제1 다이로부터 피설치 부재가 천 상에 해방되어,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의 변형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며,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가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9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다양한 실시 형태예에서 채용 가능한 구동 수단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개략도이며, 천의 단차에 인접하여 피설치 부재가 적재될 때, 암 부재가 천에 간섭하여, 피설치 부재가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없는 일례를 도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비한정의 예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시의 1 이상의 실시 형태 및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각 특징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과잉 설명을 요하지 않고, 각 실시 형태 및/또는 각 특징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이 조합에 의한 상승 효과도 이해 가능하다. 실시 형태간의 중복 설명은, 원칙적으로 생략한다. 참조 도면은, 발명의 기술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작도의 편의를 위해 간략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천에 대하여 설치되기 전의 피설치 부재와 설치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천에 대하여 설치된 후의 피설치 부재와 설치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제1 다이 및 제1 보유 지지 부재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하고, 제2 다이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피설치 부재는,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보유 지지되며, 천의 상면 상에 적재되어 있다. 도 4는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에 피설치 부재를 공급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에 피설치 부재가 공급되어,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피설치 부재가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가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제1 다이의 하강에 수반하여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도 하강하는 것, 및 제1 다이의 하강에 수반하여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피벗되어,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로부터 피설치 부재가 해방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의 점선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제1 다이 및 제1 보유 지지 부재가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도 8은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설치 부재의 환부 내에 제2 다이의 핀이 삽입 관통되고, 설치 부재의 환부가 제2 다이의 가압 작동부의 상단부 상에 적재되고, 또한, 설치 부재의 환부가 제2 다이의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로부터 해방된 설치 부재가 상방으로 움직여지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모식도이며, 가압 작동부 상의 설치 부재의 다리부가 천을 관통하고, 천의 상면 상의 피설치 부재의 플랜지부 내의 공동 내에 진입하여 굴곡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설치 장치의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는 설치 장치의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설치 장치의 다른 제1 다이의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며,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의 선단부에 피설치 부재가 보유 지지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110)의 선단부에 피설치 부재가 보유 지지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피설치 부재 및 보유 지지부는 단면으로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110)의 선단부에 피설치 부재가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한 제1 다이의 압박편이 천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한 제1 다이로부터 피설치 부재가 천 상에 해방되어,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8은 변형예에 관한 설치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며,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가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9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다양한 실시 형태예에서 채용 가능한 구동 수단의 일례를 도시한다. 또한, 도 20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예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개략도이며, 천의 단차에 인접하여 피설치 부재가 적재될 때, 암 부재가 천에 간섭하여, 피설치 부재가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없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설치 장치(100)에 의해 취급되는 설치 부재(10) 및 피설치 부재(20)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설치 장치(100)는,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설치한다. 암형의 스냅 부재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은, 단순한 일례이다. 후술하는 설치 장치(100)가,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수형의 스냅 부재를 천에 대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피설치 부재로서, 수형 및/또는 암형의 스냅 부재가 참조되지만, 피설치 부재는, 스냅 부재 이외의 다른 종류의 부재, 예를 들어 아일렛 부품이어도 상관없다. 피설치 부재를 스냅 버튼 본체부로 대체할 수 있다. 스냅 버튼 본체부는, 수형 또는 암형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설치 부재(20)가 천(30)의 상면(31)의 상방에 배치되고, 전형적으로는, 상면(31) 상에 적재되어, 상면(31)에 접촉한다. 설치 부재(10)가 천(30)의 하면(32)의 하방에 배치된다. 천(30)은, 직물이나 편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 가지의 경우, 천(30)은 기포 상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피설치 부재(20)는 암형의 스냅 부재이다. 피설치 부재(20)는 상면에서 보아 링상의 박형 부품이다. 피설치 부재(20)는 중앙 통부(21)와, 중앙 통부(21)의 외주에 설치된 플랜지부(24)를 갖는다. 중앙 통부(21)는, 후술하는 제1 및/또는 제2 다이의 전체 또는 일부의 축 방향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축선 AX를 따라서 연장된다. 중앙 통부(21)는, 도시하지 않은 수형의 스냅 부재의 걸림 결합 돌기가 스냅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예에서는, 중앙 통부(21)는 슬릿(23)에 의해 이격된 복수의 벽부(29)를 포함한다. 이들 복수의 벽부(29)는 축선 AX를 중심으로 하는 주위 방향으로 환상으로 나열된다. 각 벽부(29)의 상단부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둥글스름해진 원형 에지(22)가 마련된다.
수형의 피설치 부재의 걸림 결합 돌기의 광폭의 헤드부가, 중앙 통부(21)의 각 벽부(29)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누르고, 걸림 결합 돌기의 광폭의 헤드부가 통과하자마자 각 벽부(29)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걸림 결합 돌기의 협폭의 네크부의 외주면이 원형 에지(22)로 둘러싸이는 상태, 예를 들어 걸림 결합 돌기의 네크부가 각 벽부(29)의 원형 에지(22)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눌리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자웅의 스냅 부재, 특히 수형 스냅 부재의 걸림 결합 돌기와 암형 스냅 부재의 중앙 통부(21)가 스냅 걸림 결합한다.
중앙 통부(21)의 상단부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접어 원형 에지(22)를 형성하고, 계속해서, 일정 또는 상이한 주위 방향 간격으로 슬릿(23)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중앙 통부(21)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피설치 부재(20)는, 금속 평판을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피설치 부재(20)가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형태도 예기된다. 중앙 통부(21)의 구조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임의의 종류의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플랜지부(24)는, 중앙 통부(21)의 하단부(21a)에 결합된 제1 단부(24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상으로 접혀져 제2 단부(24c)에서 종단된다. 플랜지부(24)의 제1 단부(24a)는, 제2 단부(24c)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및 하방에 위치한다. 플랜지부(24)의 제1 단부(24a)와 제2 단부(24c) 사이에 개구 OP25가 마련된다. 후술하는 설치 부재(10)의 다리부는, 플랜지부(24)의 개구 OP25를 통해 플랜지부(24)의 내부 공간(25)에 진입 가능하다. 또한, 축선 AX를 따라서, 플랜지부(24)의 최상부는, 중앙 통부(21)의 최상부보다도 상방에 있다. 플랜지부(24) 및 중앙 통부(21)의 최상부는, 천(30)으로부터 축선 AX를 따라서 가장 이격된 부분을 의미한다. 중앙 통부(21)의 원형 에지(22)가 플랜지부(24)의 최상부보다도 천(30)측에 적합하게 배치된다. 플랜지부(24) 내의 내부 공간(25)은 축선 AX 및 중앙 통부(21) 둘레에 주위 방향으로 연속한다.
설치 부재(10)는 환부(11)와, 환부(11)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천(30)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립되는 복수의 다리부(12)를 갖는다. 다리부(12)의 개수는 임의이며, 몇 가지의 경우, 5개의 다리부(12)가 설치된다. 각 다리부(12)는 천(30)을 관통하는 데 충분한 예리성을 갖는다. 도시예에서는, 각 다리부(12)는 환부(1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협폭으로 되어, 예리한 선단(12p)을 갖는다. 적합하게는, 설치 부재(10)는 금속제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설치 부재(20)는, 설치 부재(10)에 의해 천(30)에 대하여 설치된다. 설치 부재(10)의 다리부(12)가 천(30)을 관통하고, 계속해서, 피설치 부재(20)의 플랜지부(24)의 개구 OP25를 통해 내부 공간(25)에 진입한다. 다리부(12)는 플랜지부(24)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으로 안내되고, 계속해서, 호상으로 굴곡한 벽으로 안내되어 변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설치 부재(10)에 의한 천(30)에 대한 피설치 부재(20)의 설치가 달성된다. 천(30)에 대한 설치에 관해서는, 피설치 부재(20)가 수형인지, 또는 암형인지는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고, 마찬가지로, 수형이나 암형의 구체적인 구조도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다.
특히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비한정의 일례의 설치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복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설치 장치(100)는,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설치한다. 도 3에 도시할 때, 천(30)의 상면(31) 상에 피설치 부재(20)가 적재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과정을 거쳐 천(30) 상에 피설치 부재(20)가 공급되어, 천(30) 상에 피설치 부재(20)가 적재된다. 도 3에 이어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다이가 작동하고, 이것에 의해, 설치 부재(10)에 의해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가 설치된다.
개요로서는, 설치 장치(100)는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다이(110)를 갖는다. 제1 다이(110)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20)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되고, 계속해서 피설치 부재(20)가 천(30) 상에 배치되도록 움직이게 한다.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제1 다이(110)로의 피설치 부재(20)의 전달이 천(30)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행해진다. 이에 의해, 천(30) 또는 천 제품의 단차의 영향을 받아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피설치 부재(20)가 부정의 자세를 취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다이(110)는 임의의 종류의 구동 수단(90)에 의해 움직여진다. 구동 수단(90)은, 예를 들어 구동원(91)과 링크 기구(92)를 포함한다. 구동원의 종류나 링크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할 것이다. 또한, 제1 다이의 다이 본체부를 펀치로 대체해도 상관없다.
도시예를 포함하는 몇 가지의 경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제1 다이(110)로의 피설치 부재(20)의 전달에 동기하여,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피설치 부재(20)가 해방된다. 도시예를 포함하는 몇 가지의 경우, 천(30)으로 향하는 제1 다이(110)가 각 제1 보유 지지 부재(40)를 움직이게 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다이(110)는 천(30)으로 향할 때,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접하여, 각 제1 보유 지지 부재(40)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피설치 부재(20)가 해방된다. 이에 의해 설치 장치(100)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또한, 제1 다이(110)의 선단부(111)에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되는 타이밍과,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피설치 부재(20)가 해방되는 타이밍을 기계적인 설계에 기초하여 결정지을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도시예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는,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점차 직경 확대되는 직경 확대부(115)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이 본체부(110k)의 직경 확대부(115)가 각 제1 보유 지지 부재(40)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에 의해,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피설치 부재(20)가 해방된다. 선단부(111)와 직경 확대부(115)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되는 타이밍과,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피설치 부재(20)가 해방되는 타이밍의 시간 간격이 결정지어진다. 또한,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는 다이 본체부(110k)의 직경 확대부(115)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을 받는 받이 구조(54)가 설치된다.
특별한 한정의 의도없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예에 관한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는 축상 부재를 포함하고, 천(30)으로부터 이격되는 순으로, 선단부(111), 직경 확대부(114), 축부(112), 직경 확대부(115) 및 축부(113)를 포함한다. 이하, 직경 확대부(114)를 제1 직경 확대부라 칭하고, 직경 확대부(115)를 제2 직경 확대부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직경 확대부(114)는 제2 직경 확대부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축부(112)를 제1 축부라 칭하고, 축부(113)를 제2 축부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축부(112)는 제2 축부(113)보다도 소직경이다.
선단부(111)는 축부이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3 등에 도시한 경우, 천(30)에 대면하는 선단부(111)의 저부는, 피설치 부재(20)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선단부(111)의 저부는, 피설치 부재(20)에 스냅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후술하는 기술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다이(110)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양태는, 다양하고, 또한 개시예에 한정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제1 직경 확대부(114)는, 선단부(111)와 제1 축부(112) 사이에 위치하고, 선단부(11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 확대된다. 제1 직경 확대부(114)의 외주면은, 선단부(111) 및 천(30)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제2 직경 확대부(115)는 제1 축부(112)와 제2 축부(113)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축부(11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 확대된다. 제2 직경 확대부(115)의 외주면은, 선단부(111) 및 천(30)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각 제1 보유 지지 부재(40)는, 1 이상의 다른 제1 보유 지지 부재(40)와 협력하여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고, 또한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각 보유 지지 부재(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되는 제1 자세 또는 위치와, 도 7에 도시한 피설치 부재(20)가 해방되는 제2 자세 또는 위치 사이를 변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보유 지지 부재(40)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제1 자세 또는 위치측으로 가압된다.
각 제1 보유 지지 부재(40)는, 피설치 부재(20)의 플랜지부(24)를 수용하는 오목부(45)를 갖는다. 제1 보유 지지 부재(40)가 제1 자세 또는 위치를 취할 때, 각 제1 보유 지지 부재(40)의 오목부(45)는, 축선 AX에 직교하는 방향, 즉, 직경 방향 내측에 면하고, 도시예에서는, 다른 제1 보유 지지 부재(40)의 오목부(45)에 대면한다. 오목부(45)는, 플랜지부(24)의 외주 측면을 따라서 호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도시예를 포함하는 몇 가지의 경우, 제1 보유 지지 부재(40)는, 피벗 가능한 암 부재(50)를 포함한다. 암 부재(50)는 피벗축(51)과,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단부(52)를 포함한다. 피벗축(51)은 암 부재(50)의 상방측에 배치된다. 보유 지지 단부(52)는, 암 부재(50)의 하방측에 배치되고,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보유 지지 단부(52)에는 상술한 오목부(45)가 형성된다.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서 암 부재(50)를 채용하는 경우, 상방으로부터 하강하는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피설치 부재(20)를 잘 전달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암 부재(50)는 피벗축(51)과 보유 지지 단부(52) 사이에, 다이 본체부(110k)의 직경 확대부(115)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눌리는 피압박면(53)을 갖는다. 피압박면(53)은, 몇 가지의 경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하방, 즉 천(30)측을 향하는 경사면 또는 호면을 포함한다. 이 경우, 축선 AX를 따르는 다이 본체부(110k)의 직선 운동이 암 부재(50)의 피벗에 의해 원활하게 변환된다. 도시예에서는, 피벗축(51)과 보유 지지 단부(52) 사이에 위치하는 받이 구조(54)가 원반상이며, 피압박면(53)이 되는 호면을 제공한다. 받이 구조(54)는 보유 지지 단부(52)보다도 피벗축(51) 근방에 설치되고, 이에 의해, 암 부재(50)의 보다 적절한, 예를 들어 큰 각도의 피벗이 달성된다.
암 부재(50)의 피벗 각도는, 피벗축(51) 주위의 보유 지지 단부(52)의 호상의 이동 거리와 동등하다. 암 부재(50)의 피벗 각도가 큰 경우, 축선 AX로부터 보다 이격된 위치까지 보유 지지 단부(52)가 이동할 수 있다. 암 부재(50)의 피벗 속도와 보유 지지 단부(52)의 이동 속도가 상관된다. 암 부재(50)의 피벗 각도 및 속도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암 부재(50)의 보유 지지 단부(52)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의 간섭을 유효하게 피할 수 있다.
각 암 부재(5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되는 제1 자세와, 도 7에 도시한 피설치 부재(20)가 해방되는 제2 자세 사이를 피벗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암 부재(50)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제1 자세측으로 가압된다.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로부터 힘을 받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각 암 부재(50)가 제1 자세를 취하고, 적어도 한 쌍의 암 부재(50)에 의해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되고, 즉, 끼움 보유 지지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예를 포함하는 몇 가지의 경우, 설치 장치(100)는 암 부재(50)가 축 지지된 베이스부(60)를 더 구비하고, 베이스부(60)는 설치 장치 내에 있어서 변위되는 않는 정지 부재이다. 베이스부(60)에 대하여 암 부재(50)를 축 지지함으로써, 암 부재(50)의 피벗이 안정화되고, 암 부재(50)로부터 제1 다이(110)로의 피설치 부재(20)의 전달이 원활해진다.
설치 장치(100)는, 제1 다이(110)에 더하여 제2 다이(120)를 갖는다. 제2 다이(120)의 구체적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 제2 다이(120)는 설치 부재(10)가 적재되는 단순한 평판일 수 있다. 도시예의 경우, 제2 다이(120)는 설치 부재(10)의 환부(11) 내에 삽입되는 핀(121), 핀(121)의 외주에 설치되며,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20)를 향하여 설치 부재(10)를 가압 작동하는 가압 작동부(122)를 갖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예에 있어서 다른 구조의 제2 다이(120)가 채용된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핀(121)은 중실의 원기둥 부재이며, 그 상면에 천(30)의 하면(32)이 배치된다. 가압 작동부(122)는 설치 부재(10)를 피설치 부재(20)를 향하여 가압 작동하는 원통 부재이다. 몇 가지의 경우, 가압 작동부(122)의 원통 부 내에 핀(121)이 약간의 클리어런스로 배치되어, 핀(121)은 가압 작동부(122)의 원통 부 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설치 부재(10)의 다리부(12)의 직경 방향 내측에 핀(121)이 배치되기 때문에, 가압 작동부(122)에 의해 설치 부재(10)가 천(30)을 향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치 부재(10)의 보다 적절한 자세가 유지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몇 가지의 경우, 설치 부재(10)의 다리부(12)가 핀(121)의 외주면 상을 미끄럼 이동한다.
제2 다이(120)는, 설치 부재(10)를 보유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를 더 갖는다. 각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는, 설치 부재(10)를 사이에 두도록 스프링 등의 임의의 가압 수단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된다.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123)에 의해 설치 부재(10)가 보유 지지되어, 설치 부재(10)의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촉진된다. 도 8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천(30)으로 향하는 가압 작동부(122)가 각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를 움직이게 하고, 단적으로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움직이게 하고, 이에 의해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로부터 설치 부재(10)가 해방된다. 각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는, 가압 작동부(122)의 상단부의 경사면에 합치하는 경사면을 갖고, 가압 작동부(122)의 상방 변위가 제2 보유 지지 부재(123)의 직경 방향 외측의 변위로 잘 변환된다.
제2 다이(120)는, 제2 보유 지지 부재(123)가 적재되는 통부(124)와, 제2 보유 지지 부재(123) 상에 적재되는 시트부(125)를 갖는다. 시트부(125) 상에 천(30)이 배치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치 부재(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요로서는,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설치하는 설치 방법과,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피설치 부재(20)가 설치된 천 제품(30)의 제조 방법이 기술된다. 이들 각 방법은,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피설치 부재(20)를 공급하는 공정과,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20)를 향하여 제1 다이(110)를 움직이게 하여,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공정과,
선단부(111)에서의 피설치 부재(20)의 보유 지지에 동기하여,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피설치 부재(20)를 해방하는 공정과,
피설치 부재(20)가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된 제1 다이(110)를 움직이게 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천(30)에 접촉할 때까지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있어서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제1 다이(110)로의 피설치 부재(20)의 전달이 천(30)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행해진다. 이에 의해, 천 또는 천 제품의 단차의 영향을 받아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피설치 부재(20)가 부정의 자세를 취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4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가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가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다. 때때로, 슈트라 불리는 도시하지 않은 피설치 부재(20)의 공급로를 통해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피설치 부재(20)가 공급된다. 단적으로는, 피설치 부재(20)는 암 부재(50)의 보유 지지 단부(52) 사이에 공급되어, 암 부재(50)의 보유 지지 단부(52) 사이에 끼워져 보유 지지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암 부재(50)의 피벗축(51)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보유 지지 단부(52) 사이의 공간에 피설치 부재(20)를 슬라이드 공급한다. 피설치 부재(20)를 암 부재(50)의 보유 지지 단부(52) 사이에 삽입할 때,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측으로 피벗하고, 그 후, 제2 자세측으로부터 제1 자세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피설치 부재(20)가 공급되고, 또한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된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는, 구동 수단(90)에 의해,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20)를 향하여, 또한, 천(30)을 향하여 하방으로 움직여지고, 이 과정에서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된다. 즉,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제1 다이(110)에 피설치 부재(20)가 전달된다. 이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제1 다이(110)로의 피설치 부재(20)의 전달은, 천(3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 및 높이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제1 보유 지지 부재(40)와 천(30), 특히 천(30)의 단차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천(30)에 대한 적절한 피설치 부재(20)의 설치가 촉진된다.
도시예에서는,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가 피설치 부재(20)에 접촉할 때, 피설치 부재(20)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되고, 단적으로는, 한 쌍의 암 부재(50)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암 부재(50)는 제1 자세를 취한다. 또한,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될 때, 피설치 부재(20)는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되고, 단적으로는, 한 쌍의 암 부재(50)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제1 다이(110)로의 피설치 부재(20)의 보다 확실한 전달이 촉진된다.
도 6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제1 다이(110)로의 피설치 부재(20)의 전달이 완료된 후, 바꾸어 말하면,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피설치 부재(20)가 스냅 걸림 결합한 후,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는, 천(30)을 향하여 더 하방으로 이동한다.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 및 스냅 걸림 결합되는 것에 동기하여,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의 피설치 부재(20)의 해방 동작이 개시된다.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제2 직경 확대부(115)가 각 암 부재(50)의 피압박면(53)을 압박하여, 각 암 부재(50)를 피벗시켜, 한 쌍의 암 부재(50)로부터 피설치 부재(20)가 해방된다. 몇 가지의 경우,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되기 직전, 또는 그때, 또는 그 직후,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의 피설치 부재(20)의 해방 동작이 개시된다. 「동기」라는 특정은, 이들 3개의 장면을 모두 포함한다.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가 천(30)을 향하여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제2 직경 확대부(115)가 각 암 부재(50)의 피압박면(53)에 접촉하여, 각 암 부재(50)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피벗시킨다. 각 암 부재(50)의 피벗의 진전에 따라서 각 암 부재(50)의 보유 지지 단부(52) 사이에 피설치 부재(20)가 끼움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되고, 즉 피설치 부재(20)가 해방된다. 이 피설치 부재(20)의 해방 전, 피설치 부재(20)는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피설치 부재(20)가 설치 부재(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유효하게 피할 수 있다.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30) 상에 피설치 부재(20)가 배치되는 설치 위치까지 움직이게 한다.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는, 피설치 부재(20)의 플랜지부(24)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역할을 한다. 제2 다이(120)는, 설치 부재(10)의 다리부(12)를 천(30)에 관통시키고, 계속해서 천(30) 상의 피설치 부재(20)의 플랜지부(24)의 내부 공간(25)에 돌입시키도록 설치 부재(10)를 취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설치 부재(10)에 의해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가 설치된다. 제2 다이(120)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마다 다양할 수 있지만, 만약을 위해, 비한정의 일례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할 때, 설치 부재(10)의 환부(11) 내에는 핀(121)이 삽입되어 있다. 설치 부재(10)의 다리부(12)의 자세가 정상과 비교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설치 부재(10)의 환부(11) 내에 핀(121)을 삽입함으로써 설치 부재(10)의 다리부(12)의 자세가 교정되어, 보다 확실한 천(30)의 관통이나 보다 확실한 플랜지부(24) 내로 진입이 달성된다. 또한, 편의상, 핀(121)이 천(30)을 향하여 움직여져, 설치 부재(10)의 환부(11) 내에 진입하기 전의 도면은 생략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할 때, 설치 부재(10)는, 가압 작동부(122)의 상단부 상에 적재되고, 또한,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123) 사이에 끼워져 있다. 도 8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한 위치로 가압 작동부(122)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압 작동부(122)에 의해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123)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눌려,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123)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설치 부재(10)가 해방된다. 도 9에 도시할 때, 가압 작동부(122)에 의해 눌리는 설치 부재(10)의 다리부(12)가 천(30)에 꽂힌다. 도 8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한 위치로 가압 작동부(122)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치 부재(10)의 다리부(12)가 천(30)을 관통하여, 천(30)의 상면(31)에 적재된 피설치 부재(20)의 플랜지부(24)의 내부 공간(25)에 진입하고, 플랜지부(24)의 벽부를 따라서 굴곡한다. 설치 부재(10)의 다리부(12)가 천(30)을 관통할 때나 플랜지부(24)의 내부 공간(25)에 진입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를 하방으로 약간 움직이는 형태도 상정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되는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는, 축선 AX를 따라서 연장되는 걸림 결합 돌기(111a)와, 걸림 결합 돌기(111a)의 외주의 홈부(111b)와, 홈부(111b)의 외주의 압박부(111c)를 갖는다.
걸림 결합 돌기(111a)는, 피설치 부재(20)의 중앙 통부(21)에 걸림 결합하도록 잘록해진 형상을 갖고, 즉, 협폭의 네크부 및 광폭의 헤드부를 갖는다. 홈부(111b)는, 피설치 부재(20)의 중앙 통부(2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며, 중앙 통부(21)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압박부(111c)는 피설치 부재(20), 예를 들어 그 플랜지부(24)를 상방으로부터 압박할 수 있는 부분이다. 압박부(111c)에 의한 피설치 부재(20)의 압박에 의해, 피설치 부재(20)의 플랜지부(24)의 내부 공간(25)에 진입한 설치 부재(10)의 다리부(12)가 플랜지부(24) 벽면을 따라 굴곡되는 것이 확보된다. 압박부(111c)는 직경 방향 외측 및 상방을 향하는 호상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는, 중앙 통부(21)가 탄성적으로 걸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피설치 부재(20)가 수형 스냅 부재이며, 이것에 적합하도록 제1 다이(110)가 구성되는 비한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한 경우,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다이(110)는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다이(110)는 다이 본체부(110k)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1개의 압박편(116)을 갖는다. 압박편(116)은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도, 상술의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12에 있어서, 압박편(116)은 판 스프링이다. 그러나, 다른 예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 이외의 부재가 채용 가능할 것이다. 도 12에 있어서, 1개의 판 스프링이 압박편(116)으로서 채용된다. 복수의 압박편(116)이 채용되는 경우도 상정된다. 또한, 압박편이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것은, 압박편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된 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다이(110)의 구체적인 구조나 구성은, 피설치 부재(20)의 종류, 사이즈,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도시예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는, 수형의 피설치 부재(20)의 중앙 돌기(27)를 수용하는 중앙 구멍(111f)과, 중앙 구멍(111f)의 외주에 있거나 또는 중앙 구멍(111f)을 규정하는 벽부(111g)를 포함한다. 벽부(111g)에는 압박편(116)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노치가 형성된다. 압박편(116)의 종류나 개수에 따라서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의 형상이 적절하게 결정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설치 부재(20), 특히 그 중앙 돌기(27)는 다이 본체부(110k)의 벽부(111g)의 벽면과 압박편(116) 사이에서 끼움 지지 및 보유 지지된다.
도 13 내지 도 17은, 제1 다이(110)가, 상술과는 상이한 양태로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7에 관한 실시 형태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다이(110)는 피설치 부재(20)를 선단부(111)에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제1 다이(110)는 다이 본체부(110k)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압박편(116)을 갖는다. 각 압박편(116)은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압박편(116)이 다이 본체부(110k)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다. 도시예에서는, 복수의 압박편(116)이 탄성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압박편(116)은 1개의 탄성 부재(11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 부재(117)로서 스프링이 사용된다. 스프링은, 다이 본체부(110k)를 관통하는 구멍에 설치된다. 스프링의 제1 단부가 한쪽의 압박편(116)에 스프링력을 작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의 제2 단부가 다른 쪽의 압박편(116)에 스프링력을 작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예에서는, 스프링의 단부가, 압박편(116)의 구멍을 통해 압박편(116)의 오목부(116m)에 수용된 판재(116n)에 결합한다. 각 압박편(116)은, 판재(116n)를 통해 스프링으로부터 스프링력을 받아, 다이 본체부(110k)에 관한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된다. 한 쌍의 압박편(116)의 사이에서 피설치 부재(20)가 끼워지지 않을 때, 각 압박편(116)은 다이 본체부(110k)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스프링이 다이 본체부(110k)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다른 양태도 상정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전, 한 쌍의 압박편(116)의 간격 W116이 최솟값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전, 각 압박편(116)의 선단부(116j)는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보다도 피설치 부재(20) 및 천(30)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량은, 피설치 부재(20)의 사이즈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지어진다. 또한, 다이 본체부(110k)가 하방에 배치된 천(30)을 향하여 움직이는 것을 전제로 하여, 압박편(116)의 선단부(116j)를 압박편(116)의 하단부라 칭해도 된다. 이 점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즉, 이것을 하단부(111)라 칭해도 된다. 필요하면, 다이 본체부(110k)의 하단부를 다이 하단부라 칭하고, 압박편(116)의 하단부를 압박편 하단부라 칭해도 된다.
도 15에 도시할 때,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되고, 한 쌍의 압박편(116)의 간격 W116이 최솟값으로부터 약간 커진다. 도 15에 도시할 때, 각 압박편(116)의 선단부(116j)는 다이 본체부(110k)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약간 변위되어 있다. 한 쌍의 압박편(116)의 사이에서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됨으로써,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설치 부재(20)는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접촉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과정을 거쳐, 한 쌍의 압박편(116)에 의해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20)가 천(30) 상에 해방된다. 본 실시 형태예에서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설치 부재(10)가 천(30)을 향하여 공급되어, 피설치 부재(20)가 설치 부재(10)에 의해 천(30)에 대하여 설치된다.
한 쌍의 압박편(116)에 의해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피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된 제1 다이(110)가 천(30)을 향하여 진행되면, 도 16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압박편(116)이 천(30)의 상면(31)에 접촉하고, 각 압박편(116)이 천(3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한편, 다이 본체부(110k)는, 천(30) 상의 피설치 부재(20)를 천(30)에 압입하도록 제어된다. 이 결과, 한 쌍의 압박편(116)에 의해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된 피설치 부재(20)가 천(30) 상에 해방된다.
한 쌍의 압박편(116)의 사이로부터 해방된 피설치 부재(20)가 천(30)을 통해 제2 다이(120)의 핀(121) 상에 배치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다이(110)와 제2 다이(120)의 협조 동작을 통해, 피설치 부재(20)는 설치 부재(10)에 의해 천(30)에 대하여 설치된다. 도 17은, 천(30)에 대한 설치 후의 피설치 부재(20)와, 천(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움직이는 제1 다이(110)를 도시한다.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위치로 변위된 압박편(116)을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임의의 기구가 제1 다이(110)에 조립된다. 예를 들어, 압박편(116)은, 탄성 부재에 의해, 천(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움직여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가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박편(116)이 천(30)의 상면(31)에 접촉하면, 압박편(116)은 천(3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몇 가지의 경우, 압박편(116)의 선단부(116j)는,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의 선단점보다도 후퇴, 즉, 축 방향 상방으로 변위된다. 또한, 제1 위치를 초기 위치라 칭하고, 제2 위치를 변위 위치라 칭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는, 압박편(116)의 선단부(116j)가 천(30)을 향하여 융기한 융기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압박편(116)이 천(30)에 접촉하는 것이 확실해진다.
다른 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압박편(116) 중 한쪽의 압박편(116)만이 천(30)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즉, 복수의 압박편(116)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압박편(116)이 다른 압박편(116)보다도 천(30)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된다.
도 13 내지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이 본체부(110k)에 설치된 막대부(150)가, 각 압박편(116)의 개구(116k)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다이 본체부(110k)에 대한 압박편(116)의 축 방향 변위량이 규정된다.
도 13 내지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는 중앙 구멍(111f)과, 중앙 구멍(111f)을 둘러싸는 벽부(111g)와, 벽부(111g)의 선단부에 설치된 압박부(111c)를 갖는다.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의 형상은, 피설치 부재(20)의 사이즈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도 1 내지 도 12에 관한 실시 형태예의 경우, 설치 부재(10)에 의한 천(30)에 대한 피설치 부재(20)의 설치 후, 천(30)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다이(110)에 의해 천(30)이 약간 연행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7에 관한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이와 같은 천(30)의 연행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천(30)에의 보다 안정된 피설치 부재(20)의 공급이 달성된다.
도 18은,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로부터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받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가 축선 A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제1 보유 지지 부재(40)의 제1 위치로의 복귀를 위해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9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형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일례의 구동 수단(9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수단(90)은 구동원(91)과 링크 기구(92)를 포함한다. 구동원(91)은,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또는 기구이며, 예를 들어 전기 모터, 엔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기구(92)는 구동원(91)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제1 다이(110)에 전달하여, 축선 AX를 따르는 제1 다이(110)(특히 다이 본체부(110k))의 왕복 운동을 발생시킨다.
옵션이지만, 링크 기구(92)는 한 쌍의 암 부재(50)의 보유 지지 단부(52)의 사이의 공간에 피설치 부재(20)를 공급하는 슬라이더(49)에도 구동력을 전달하여, 슬라이더(49)의 왕복 운동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기계 또는 구조 설계에 기초하여, 한 쌍의 암 부재(50)에의 피설치 부재(20)의 공급 타이밍이, 축선 AX를 따른 제1 다이(110)의 위치와의 관계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된다. 즉, 몇 가지의 경우,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피설치 부재(20)를 공급하는 슬라이더(49)는, 제1 다이(110)와 공통의 구동원(91)에 링크 기구(92)를 통해 결합한다.
링크 기구(92)는, 구동원(91)으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륜(92a), 설치 장치(100) 내의 정지 부재에 축 지지되어, 회전축(92c1) 주위에 한정된 각도 범위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하는 피벗 링크(92c), 회전륜(92a)과 피벗 링크(92c)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링크(92b)를 포함한다. 피벗 링크(92c)의 타단은, 제1 다이(110)에 연결된다. 피벗 링크(92c)의 일단과 슬라이더(49)는 제2 및 제3 링크(92d, 92e)를 통해 결합된다.
도 19에 도시한 상태에서 회전륜(92a)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링크(92b)가 하방으로 당겨지고, 피벗 링크(92c)가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하고, 이 때문에, 제1 다이(110)가 천(3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방으로 움직이고, 슬라이더(49)가 암 부재(50)에 접근하도록 전진한다. 회전륜(92a)에 대한 제1 링크(92b)의 결합 개소가 하사점에 도달할 때, 제1 다이(110)가 최상방 위치에 위치하고, 슬라이더(49)가 전진 방향의 종단 위치에 존재한다. 한 쌍의 암 부재(50)의 보유 지지 단부(52) 사이에 피설치 부재(20)가 배치된다. 회전륜(92a)에 대한 제1 링크(92b)의 결합 개소가 하사점을 통과하면, 제1 다이(110)가 천(30)을 향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더(49)가 후퇴한다. 원한다면, 구동원(91)의 동력을 제2 다이(120)의 핀(121)이나 가압 작동부(122)에 전달하는 것도 상정된다.
상술한 교시를 근거로 하면, 당업자라면,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포함된 부호는, 참고를 위해서이며, 청구범위를 한정 해석할 목적으로 참조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10 : 설치 부재
20 : 피설치 부재
30 : 천
40 : 제1 보유 지지 부재
110 : 제1 다이
111 : 선단부
120 : 제2 다이

Claims (16)

  1.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100)이며,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와,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다이(1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다이(110)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되고, 계속해서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천(30) 상에 배치되도록 움직이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상기 제1 다이(110)로의 상기 피설치 부재(20)의 전달이 상기 천(3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행해지는, 설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110)는,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1 이상의 압박편(116)을 갖고, 상기 압박편(116)이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설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110)는,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압박편(116)을 갖고, 상기 복수의 압박편(116)이 탄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설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박편(116)은,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외주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설치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의 저부는,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설치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30)으로 향하는 상기 제1 다이(110)가 각 제1 보유 지지 부재(40)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해방되는, 설치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되는 것에 동기하여,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의 상기 피설치 부재(20)의 해방 동작이 개시되는, 설치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본체부(110k)는, 상기 선단부(11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점차 직경 확대되는 직경 확대부(115)를 포함하는 축상 부재이며,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상기 직경 확대부(115)가 각 제1 보유 지지 부재(40)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움직이게 하는, 설치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 지지 부재(40)는 피벗 가능한 암 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암 부재(50)는 피벗축(51)과,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단부(52)를 포함하는, 설치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본체부(110k)는 축상 부재이며,
    상기 제1 보유 지지 부재(40)는 피벗 가능한 암 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암 부재(50)는 피벗축(51)과,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단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암 부재(50)는, 상기 피벗축(51)과 상기 보유 지지 단부(52) 사이에, 상기 다이 본체부(110k)의 직경 확대부(115)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눌리는 피압박면(53)을 갖는, 설치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 부재(50)가 축 지지된 베이스부(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60)는 상기 설치 장치(100) 내에 있어서 변위되지 않는 정지 부재인, 설치 장치.
  12. 상기 설치 부재(10)가, 환부(11)와, 상기 환부(11)를 따라서 설치된 복수의 다리부(12)를 갖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설치 장치이며,
    제2 다이(1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다이(120)는,
    상기 환부(11) 내에 삽입되는 핀(121), 및
    상기 핀(121)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향하여 상기 설치 부재(10)를 가압 작동하는 가압 작동부(122)를 구비하는, 설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이(120)는, 상기 설치 부재(10)를 보유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천(30)으로 향하는 상기 가압 작동부(122)가 각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2 보유 지지 부재(123)로부터 상기 설치 부재(10)가 해방되는, 설치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공급하는 슬라이더(49)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49)는 상기 제1 다이(110)와 공통의 구동원(91)에 링크 기구(92)를 통해 결합하는, 설치 장치.
  15.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천(30)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20)를 설치하는 설치 방법이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피설치 부재(20)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향하여 제1 다이(110)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선단부(111)에서의 상기 피설치 부재(20)의 보유 지지에 동기하여,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해방하는 공정과,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된 상기 제1 다이(110)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상기 천(30)에 접촉할 때까지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설치 방법.
  16. 설치 부재(10)를 사용하여 피설치 부재(20)가 설치되는 천 제품(30)의 제조 방법이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피설치 부재(20)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향하여 제1 다이(110)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제1 다이(110)의 다이 본체부(110k)의 선단부(111)에서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선단부(111)에서의 상기 피설치 부재(20)의 보유 지지에 동기하여,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유 지지 부재(40)로부터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해방하는 공정과,
    상기 피설치 부재(20)가 상기 선단부(111)에서 보유 지지된 상기 제1 다이(110)를 움직이게 하여, 상기 피설치 부재(20)를 상기 천 제품(30)에 접촉할 때까지 반송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천 제품의 제조 방법.
KR1020197001896A 2016-10-11 2016-10-11 설치 부재를 사용하여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 및 방법 KR102158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0148 WO2018069980A1 (ja) 2016-10-11 2016-10-11 取付部材を用いて生地に対して被取付部材を取り付ける取付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194A KR20190019194A (ko) 2019-02-26
KR102158063B1 true KR102158063B1 (ko) 2020-09-21

Family

ID=6190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896A KR102158063B1 (ko) 2016-10-11 2016-10-11 설치 부재를 사용하여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16269B2 (ko)
EP (1) EP3527095B1 (ko)
JP (1) JP6719575B2 (ko)
KR (1) KR102158063B1 (ko)
CN (1) CN109788817B (ko)
MY (1) MY202115A (ko)
TW (1) TWI674074B (ko)
WO (1) WO2018069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8941A1 (de) 2018-11-13 2020-05-14 Ykk Stocko Fasteners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egenstands an einem Träg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egenstands an einem Träg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434B2 (ja) 1994-05-10 2001-01-15 東海興業株式会社 異形断面部を備えた押出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5299043A (ja) 2004-04-15 2005-10-27 Takeda Seiki Kk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
JP2007204874A (ja) 2006-02-01 2007-08-16 Takeda Seiki Kk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
WO2013118262A1 (ja) 2012-02-08 2013-08-15 Ykk株式会社 ボタン取付装置及びボタン保持ダ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3436A (en) * 1943-03-18 1945-04-10 Scovill Manufacturing Co Fastener setting or attaching machine
GB1018591A (en) * 1961-09-21 1966-01-26 British United Shoe Machiner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astener inserting machines
JPS57102517U (ko) * 1980-12-12 1982-06-24
US4454650A (en) * 1982-08-23 1984-06-19 U.S. Industries, Inc. Upper jaw and tool assembly for fastener attaching machine
JPS59145528U (ja) * 1983-03-18 1984-09-28 日本ノ−ション工業株式会社 釦加工機における部品送給装置
JP2592699Y2 (ja) * 1993-11-29 1999-03-24 精 武田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機
ITMI20032396A1 (it) * 2003-12-05 2005-06-06 Gaetano Raccosta Macchina per l'applicazione automatica di bottoni ed
JP3124434U (ja) * 2006-06-06 2006-08-17 武田精機株式会社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
KR101151451B1 (ko) * 2010-02-16 2012-06-01 남기철 아일렛 압착장치
CN202536182U (zh) * 2012-03-05 2012-11-21 阳兵 模具夹子
CN104185430B (zh) * 2012-04-06 2015-12-09 Ykk株式会社 纽扣侧冲模、纽扣安装装置和纽扣安装方法
CN104703494B (zh) * 2012-10-18 2016-11-09 Ykk株式会社 支承冲模、铆接判断方法以及纽扣安装构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434B2 (ja) 1994-05-10 2001-01-15 東海興業株式会社 異形断面部を備えた押出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5299043A (ja) 2004-04-15 2005-10-27 Takeda Seiki Kk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
JP2007204874A (ja) 2006-02-01 2007-08-16 Takeda Seiki Kk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
WO2013118262A1 (ja) 2012-02-08 2013-08-15 Ykk株式会社 ボタン取付装置及びボタン保持ダイ
JP5859030B2 (ja) 2012-02-08 2016-02-10 Ykk株式会社 ボタン取付装置及びボタン保持ダ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74074B (zh) 2019-10-11
WO2018069980A1 (ja) 2018-04-19
KR20190019194A (ko) 2019-02-26
JPWO2018069980A1 (ja) 2019-03-28
TW201813530A (zh) 2018-04-16
MY202115A (en) 2024-04-04
EP3527095B1 (en) 2023-11-29
JP6719575B2 (ja) 2020-07-08
EP3527095A4 (en) 2020-08-12
CN109788817B (zh) 2021-11-02
EP3527095A1 (en) 2019-08-21
US11116269B2 (en) 2021-09-14
US20190281914A1 (en) 2019-09-19
CN109788817A (zh)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39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103976B1 (ko) 고정구 및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
JP2010090906A (ja) クリップ
KR102158063B1 (ko) 설치 부재를 사용하여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 및 방법
JP6059835B1 (ja) Oリング組付け機
JP4945785B2 (ja) 係合機構
JP2013144332A (ja) ワーク挿入装置及びワーク挿入方法
TWI622366B (zh) 按扣安裝用的安裝構件側模座及安裝構件腳部矯正方法
JP2014161913A (ja) パンチ金型
KR101258675B1 (ko)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EP2672128A1 (en) Locking device for pipe member
JP5897690B1 (ja) 軸受装置
CN105081727B (zh) 压入装置
JP2013144333A (ja) シールリングの組付装置及びシールリングの組付方法
KR101957093B1 (ko) 차량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조립용 클러치스프링 공급장치
JP5563063B2 (ja) ハトメ取付装置及びハトメ取付方法
KR101465869B1 (ko)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JP6091254B2 (ja) パンチ金型
KR101502525B1 (ko) 리벳 제거장치
JP3089518U (ja) ハンドプレス機
KR101535165B1 (ko) 행거의 길이 조절 기구
KR20140040447A (ko) 일체형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JP5105157B2 (ja)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7163617A1 (ja) ラベル被嵌システム
JP2010277890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