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800A - 홀더 유닛, 그리고, 그의 스크라이빙 휠 및 핀 - Google Patents
홀더 유닛, 그리고, 그의 스크라이빙 휠 및 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4800A KR20190114800A KR1020190032891A KR20190032891A KR20190114800A KR 20190114800 A KR20190114800 A KR 20190114800A KR 1020190032891 A KR1020190032891 A KR 1020190032891A KR 20190032891 A KR20190032891 A KR 20190032891A KR 20190114800 A KR20190114800 A KR 201901148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scribing wheel
- holder unit
- scribing
- whee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35309 Proces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28D7/046—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the supporting or holding device being of the vacuum ty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홀더 유닛의 주사 방향을 따르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홀더 유닛, 그리고, 그의 스크라이빙 휠 및 핀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핀(70)은 스크라이빙 휠(60)을 지지하는 핀으로서, 핀(70)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핀(70)에 대한 스크라이빙 휠(60)의 이동을 방해하는 규제부(80)를 구비한다.
(해결 수단) 핀(70)은 스크라이빙 휠(60)을 지지하는 핀으로서, 핀(70)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핀(70)에 대한 스크라이빙 휠(60)의 이동을 방해하는 규제부(8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홀더 유닛, 그리고, 그의 스크라이빙 휠 및 핀에 관한 것이다.
유리 기판 등의 취성 재료 기판에 대한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에 스크라이브 장치가 이용된다. 스크라이브 장치에는 홀더 유닛 및, 이것을 주사(走査)하는 주사 장치가 형성된다. 홀더 유닛은 홀더 본체, 핀 및, 스크라이빙 휠에 의해 구성된다. 홀더 본체는 주사 장치에 부착된다. 핀은 홀더 본체에 지지된다. 스크라이빙 휠은 핀으로 지지된다. 특허문헌 1에서는, 홀더 유닛의 일 예인 스크라이브 유닛(20)을 개시하고 있다. 스크라이브 유닛(20)은 스크라이빙 휠(60), 스크라이빙 휠(6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32) 및, 핀(32)을 지지하는 지지 틀체(33)에 의해 구성된다. 스크라이빙 유닛(20)이 취성 재료 기판에 대하여 소정의 주사 방향으로 주사됨으로써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다.
종래의 스크라이브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홀더 유닛이 직선 방향으로 주사된 경우에, 비직선 형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취성 재료 기판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일 예로는 비직선 형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은, 스크라이빙 휠의 주사 방향을 따르는 직선 부분과, 주사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진행된 비직선 부분을 포함한다. 비직선 부분이 스크라이브 라인의 1개소 또는 수개소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크라이브 라인의 대체로 전체에 있어서 직선 부분과 비직선 부분이 번갈아 형성되는 경우 등이 있고, 비직선 형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상은 다양하다. 브레이크된 취성 재료 기판의 품질을 높이는 점에서, 주사 방향을 따르는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직선 형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직선과는 상이한 형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1)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빙 휠의 핀은 스크라이빙 휠을 지지하는 핀으로서, 상기 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핀에 대한 상기 스크라이빙 휠의 이동을 방해하는 규제부를 구비한다.
스크라이빙 휠의 주사 시에 핀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이 스크라이빙 휠에 발생한 경우, 이 반력이 핀의 규제부에 의해 수용된다. 이 때문에, 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핀에 대한 스크라이빙 휠의 이동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홀더 유닛의 주사 방향을 따르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2) 바람직한 예로는 (1)에 기재된 스크라이빙 휠의 핀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핀의 외주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규제부의 구성이 간소하다.
(3) 바람직한 예로는 (2)에 기재된 스크라이빙 휠의 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면은 곡면이다.
이 때문에, 오목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렵다.
(4) 본 발명에 관한 스크라이빙 휠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핀으로 지지되는 스크라이빙 휠로서, 상기 규제부와 접촉하는 피규제부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라이빙 휠에 의하면, (1)에 기재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5) 바람직한 예로는 (4)에 기재된 스크라이빙 휠은, (2)에 기재된 핀으로 지지되는 스크라이빙 휠로서, 상기 피규제부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볼록부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피규제부의 구성이 간소하다.
(6) 바람직한 예로는 (5)에 기재된 스크라이빙 휠은, (3)에 기재된 핀으로 지지되는 스크라이빙 휠로서, 상기 볼록부의 면은 곡면이다.
이 때문에, 볼록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렵다.
(7) 본 발명에 관한 홀더 유닛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핀과, (4)∼(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한다.
상기 홀더 유닛에 의하면, (1)에 기재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8) 바람직한 예로는 (7)에 기재된 홀더 유닛은, (3)에 기재된 핀과, (6)에 기재된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곡률 반경은 상기 볼록부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다.
오목부와 볼록부가 선접촉하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시의 마찰 저항이 작아진다.
본 발명에 관한 홀더 유닛, 그리고, 그의 스크라이빙 휠 및 핀에 의하면, 홀더 유닛의 주사 방향을 따르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스크라이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홀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변형예의 홀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변형예의 홀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홀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변형예의 홀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변형예의 홀더 유닛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실시 형태)
도 1에 나타나는 스크라이브 장치(1)는, 예를 들면 유리 기판 또는 세라믹스 기판 등의 취성 재료로 형성된 기판(이하 「취성 재료 기판(GB)」)을 분단하기 위해, 취성 재료 기판(GB)의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취성 재료 기판(GB)의 일 예는 유리 기판이다. 유리 기판의 일 예는 무알칼리 유리이다. 무알칼리 유리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된다.
스크라이브 장치(1)를 구성하는 주된 요소는 이동 장치(10), 테이블 장치(20), 보유지지(保持) 기구(30) 및, 홀더 유닛(40)이다. 이동 장치(10)는 취성 재료 기판(GB)을 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킨다. 이동 장치(10)는, 테이블 장치(20)가 탑재되는 이동대(11)를 구비한다. 이동대(11)는 한 쌍의 레일(12) 상에 얹어져 있다. 회전 직진 변환 장치(13)는 이동대(11)를 레일(12)을 따라 이동시킨다. 회전 직진 변환 장치(13)의 일 예는, 이송 나사 장치이며, 구동원이 되는 모터(13A)와, 모터(13A)의 출력축에 접속된 이송 나사부(13B)를 구비한다.
테이블 장치(20)는 회전 중심축(J)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테이블(21) 및, 테이블(21)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2)를 구비한다. 취성 재료 기판(GB)은 테이블(21) 상에 올려 놓여지고, 진공 흡인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테이블(21)에 흡착됨으로써 테이블(21)에 보유지지된다. 모터(22)는 테이블(2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모터(22)는, 테이블(21)을 회전시킴으로써, 테이블(2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취성 재료 기판(GB)의 위치를 결정한다.
보유지지 기구(30)는 홀더 유닛(40)을 보유지지한다. 보유지지 기구(30)는 테이블(21)을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설치된 브리지(bridge; 31) 및, 브리지(3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주(支柱; 32)를 구비한다. 브리지(31)에는, 가이드(31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31A)에는, 연결부(33)을 통하여 스크라이브 헤드(34)가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연결부(33) 및 스크라이브 헤드(34)는 가이드(31A)를 따라 이동한다. 연결부(33)와 스크라이브 헤드(34)는 승강 기구(도시 생략)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승강 기구가 구동함으로써, 스크라이브 헤드(34)는 연결부(33)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크라이브 헤드(34)에는, 홀더 조인트(35)를 통하여 홀더 유닛(40)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홀더 유닛(40)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는 홀더(50), 스크라이빙 휠(60) 및, 스크라이빙 휠(60)의 핀(70)(이하 「핀(70)」)이다. 스크라이빙 휠(60)은 소모품이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교환된다. 일 예로는, 스크라이빙 휠(60)만, 또는, 홀더 유닛(40)을 교환함으로써, 스크라이빙 휠(60)의 교환이 행해진다.
홀더(50)를 구성하는 재료의 일 예는 자성체 금속이다. 홀더(50)는 대략 원주(圓柱) 형상 또는 각주 형상이다. 홀더(50)는 스크라이빙 휠(6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51) 및, 홈부(51)에 연통하도록 홀더(50)를 관통하는 지지 구멍(52)을 구비한다. 홈부(51)는, 스크라이브 헤드(34)(도 1 참조)에 홀더(50)가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취성 재료 기판(GB)을 향하여 개구된다.
핀(70)은 스크라이빙 휠(60)을 지지한다. 핀(70)은 지지 구멍(52)에 삽입된다. 핀(70)의 한쪽의 단부(70A)는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지지 구멍(52)과 핀(70)의 관계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제1 예에서는, 핀(70)은 지지 구멍(5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 구멍(52)에 고정된다. 고정 방법은 압입 또는 접착이다. 제1 예의 경우, 지지 구멍(52)의 최대의 내경과 핀(70)의 최대의 외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예에서는 핀(70)은 지지 구멍(5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구멍(52)에 삽입된다. 제2 예의 경우, 지지 구멍(52)의 최대의 내경은 핀(70)의 최대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이하에서는, 핀(70)의 중심축의 연장되는 방향을 핀축 방향이라고 칭한다.
스크라이빙 휠(60)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 예는 소결 다이아몬드(Poly Crystalline Diamond), 초경합금, 단결정 다이아몬드 및, 다결정 다이아몬드이다. 다른 예에서는, 스크라이빙 휠(60)에 경질 재료가 코팅되는 경우가 있다. 경질 재료는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이다.
스크라이빙 휠(60)은 주로, 본체부(61) 및 날끝부(62)로 구분된다. 본체부(61)는, 원판 형상이며, 스크라이빙 휠(60)에 있어서 날끝부(62)보다도 지름 방향의 내측의 부분이다. 날끝부(62)는, 단면 V자 형상이며, 스크라이빙 휠(60)의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단면 V자 형상이란, 스크라이빙 휠(60)의 두께 방향(이하 「두께 방향 DT」)을 따르는 평면에서 스크라이빙 휠(60)을 자른 단면에 있어서, 스크라이빙 휠(60)의 외주연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크라이빙 휠(60)의 지름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직교하는 단면을 직교 단면이라고 칭한다. 바람직한 예로는, 스크라이빙 휠(60)의 외경의 일 예는 φ1㎜∼φ7㎜의 범위에 포함된다. 일 예로는, 스크라이빙 휠(60)의 외경은 φ2㎜이다. 스크라이빙 휠(60)의 두께의 일 예는, 0.64㎜이다. 또한, 홈부(51)의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길이, 즉 홈부(51)의 내면 중 두께 방향 DT에 대면하는 2개의 면(51A, 51B)의 두께 방향 DT의 사이의 거리의 일 예는 0.66㎜이다.
본체부(61)의 중심부에는, 본체부(61)를 두께 방향 DT로 관통하는 삽입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63)에는, 핀(70)이 삽입되어 있다. 본체부(61)는, 삽입 구멍(63)의 일단이 형성되는 제1 측면(61A) 및, 삽입 구멍(63)의 타단이 형성되는 제2 측면(61B)을 구비한다. 제1 측면(61A) 중 홈부(51)에 수용되어 있는 부분은 소정의 극간(SA)을 통하여 홈부(51)의 면(51A)과 대향하고 있다. 제2 측면(61B) 중 홈부(51)에 수용되어 있는 부분은 소정의 극간(SB)을 통하여 홈부(51)의 면(51B)과 대향하고 있다.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극간(SA)의 크기와 극간(SB)의 크기의 관계는 후술하는 규제부(80)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제1 예에서는,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극간(SA)의 크기와 극간(SB)의 크기는 동일하다. 제2 예에서는,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극간(SA)의 크기와 극간(SB)의 크기는 상이하다.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극간(SA, SB)의 크기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는,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극간(SA, SB)의 크기는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홀더(50)의 홈부(51) 내에서의 스크라이빙 휠(60)의 기울기의 억제의 용이함 및, 극간(SA, SB)으로의 이물의 막히기 어려움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물의 일 예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는 취성 재료 기판(GB)의 절삭 찌꺼기이다.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극간(SA, SB)의 크기의 최댓값의 일 예는 각각 10㎛이다. 극간(SA, SB)의 크기가 10㎛ 이하인 경우,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홀더(50)의 홈부(51) 내에서의 스크라이빙 휠(60)의 기울기를 억제하기 쉬워진다.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극간(SA, SB)의 크기의 최솟값의 일 예는 각각 2㎛이다. 극간(SA, SB)의 크기가 2㎛ 이상인 경우, 극간(SA, SB)에 이물이 막히기 어렵다. 나아가서는, 스크라이빙 휠(60)과 홀더(50)가 간섭하기 어렵다.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의 극간(SA, SB)의 합계의 크기를 취할 수 있는 범위의 일 예는 4㎛∼20㎛이다.
취성 재료 기판(GB)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스크라이빙 휠(60)이 취성 재료 기판(GB)의 표면으로 밀어붙여진 상태로 홀더 유닛(40)이 소정의 주사 방향으로 주사된다. 주사 방법으로서는 홀더 유닛(40)을 취성 재료 기판(GB)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방법, 취성 재료 기판(GB)을 홀더 유닛(40)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방법 및, 이들을 조합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취성 재료 기판(GB)의 스크라이브 시, 스크라이빙 휠(60)에는 주사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제1 반력뿐만 아니라, 핀축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2 반력이 작용한다. 이는 주로 취성 재료 기판(GB)의 표면의 성상의 불균일함에 의해 발생한다. 표면의 성상의 불균일함은 예를 들면, 표면에 불균일하게 분포하는 다수의 미소한 요철 및, 표면의 휨 등에 의해 발생한다. 제2 반력은 핀축 방향의 한쪽인 제1 핀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 및, 핀축 방향의 다른 한쪽인 제2 핀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을 포함한다. 취성 재료 기판(GB)의 표면의 요철의 형상은 부위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스크라이빙 휠(60)에 작용하는 제2 반력의 방향 및 힘이 스크라이빙 휠(60)의 진행에 수반하여 변화한다. 스크라이빙 휠(60)은 핀(7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반력이 스크라이빙 휠(60)에 작용하는 것에 수반하여, 스크라이빙 휠(60)이 핀(70)에 대하여 핀축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핀(70)에 대한 핀축 방향으로의 스크라이빙 휠(60)의 이동을 「휠축 방향 변위」라고 칭한다.
휠축 방향 변위의 방향 및 변위량은 주로 제1 핀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반력의 힘과 제2 핀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반력의 힘의 관계에 의존한다. 휠축 방향 변위가 발생함으로써 비직선 형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다. 이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비직선 형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홀더 유닛(40)은 휠축 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변위 억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변위 억제 구조는 핀(70)에 형성되는 규제부(80) 및, 스크라이빙 휠(60)에 형성되는 피규제부(90)를 포함한다.
규제부(80)의 구성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규제부(80)는 핀(70)의 외주에 형성되는 오목부(81)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규제부(80)의 구성이 간소하다. 오목부(81)는 피규제부(9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핀(70)의 외주부에 연마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는 부분이며, 핀(70)의 제조 시에 형성되는 미소한 요철은 포함되지 않는다. 오목부(81)는 핀(70)의 외주를 일주한다. 핀(70)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81)의 위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는, 오목부(81)는 핀(70)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형성된다. 오목부(81)의 면(81A)은 핀(70)의 외주면(71)에 대하여 핀(70)의 중심축측으로 패인 곡면이다. 이 때문에, 오목부(81)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렵다. 직교 단면상에 있어서 면(81A)은 소정의 곡률 반경(RA)을 갖는다.
핀(70)의 직경은 0.4㎜∼1.1㎜의 범위에 포함된다. 오목부(81)의 깊이(XA)는 0.5㎛∼3.0㎛의 범위에 포함된다. 오목부(81)의 깊이(XA)는 예를 들면, 직교 단면상에 있어서 핀(70)의 외주면(71)을 통과하는 직선(LA)과 오목부(81)의 정점(81B)의 거리로 나타난다.
핀축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81)의 폭(XB)은 스크라이빙 휠(60)의 두께와 동일하다. 오목부(81)의 폭(XB)은 직교 단면상에 있어서 외주면(71)을 통과하는 직선(LA)상에 있어서의 오목부(81)의 한쪽의 가장자리와 다른 한쪽의 가장자리의 거리로 나타난다. 오목부(81)의 폭은 스크라이빙 휠(6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스크라이빙 휠(60)의 두께보다도 크다. 오목부(81)의 폭은 0.4㎜∼1.2㎜의 범위에 포함된다.
피규제부(90)는 오목부(81)에 삽입되는 볼록부(91)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피규제부(90)의 구성이 간소하다. 볼록부(91)의 면(91A)은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 제1 측면(61A)과 제2 측면(61B)의 사이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 반경(RB)에 의해 규정되는 곡면이다. 이 때문에, 볼록부(91)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렵다. 오목부(81)의 곡률 반경(RA)과 볼록부(91)의 곡률 반경(RB)의 관계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제1 예에서는, 오목부(81)의 곡률 반경(RA)은 볼록부(91)의 곡률 반경(RB)보다도 크다. 제1 예의 경우, 오목부(81)의 면(81A)과 볼록부(91)의 면(91A)이 선접촉하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시의 마찰 저항이 작아진다. 제2 예에서는, 오목부(81)의 곡률 반경(RA)은 볼록부(91)의 곡률 반경(RB)과 동일하거나, 또는, 볼록부(91)의 곡률 반경(RB)보다도 작다. 볼록부(91)의 높이(HA)는 0.1㎛∼1.0㎛의 범위에 포함된다. 볼록부(91)의 높이(HA)는 0.1㎛∼0.5㎛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91)의 높이(HA)는 본체부(61)의 측면(61A, 61B)과 면(91A)의 경계를 통과하는 직선(LB)과 볼록부(91)의 정점(91B)의 거리로 나타난다. 스크라이빙 휠(60)의 삽입 구멍(63)의 볼록부(91)에 있어서의 최소의 내경은 핀(70)의 최대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홀더 유닛(4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크라이빙 휠(60)이 취성 재료 기판(GB)으로 밀어붙여져, 주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직교 단면상에 있어서 스크라이빙 휠(60)의 피규제부(90)의 정점(91B)이 핀(70)의 규제부(80)에 접촉한다. 실제로는 피규제부(90)의 일정한 범위가 규제부(80)와 선접촉한다. 피규제부(90)는 규제부(80)로부터 밀어붙임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을 수용한다. 스크라이빙 휠(60)의 주사에 수반하여 스크라이빙 휠(60)에 제2 반력이 작용한 경우, 피규제부(90)를 핀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제2 반력이 핀(70)의 규제부(80)에 의해 수용된다. 이 때문에, 스크라이빙 휠(60)의 휠축 방향 변위가 방해되어, 스크라이빙 휠(60)이 주사 방향을 따라 진행되고, 취성 재료 기판(GB)에 직선 형상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홀더 유닛(40)의 주사 방향을 따르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홀더 유닛, 그리고, 그의 스크라이빙 휠 및 핀을 취할 수 있는 형태의 예시이며, 그 형태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관한 홀더 유닛, 그리고, 그의 스크라이빙 휠 및 핀은 실시 형태에 예시된 형태와는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의 일 예는,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치환, 변경, 혹은, 생략한 형태, 또는, 실시 형태에 새로운 구성을 부가한 형태이다. 이하에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일 예를 나타낸다.
·규제부(80) 및 피규제부(90)의 구성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도 3은 제1 변형예의 규제부(180) 및 피규제부(190)를 포함하는 홀더 유닛(4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규제부(180)는 핀(70)의 외주에 형성되는 볼록부(181)를 포함한다. 볼록부(181)는 피규제부(19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핀(70)의 외주면(71)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다. 볼록부(181)는 핀(70)의 외주면(71) 중, 스크라이빙 휠(60)의 삽입 구멍(63)과 대향하는 위치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핀(70)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181)가 형성되는 위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는, 볼록부(181)는 홈부(5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형성된다. 볼록부(181)의 면(181A)은 소정의 곡률 반경(RA)에 의해 규정되는 곡면이다. 피규제부(190)는 볼록부(181)가 삽입되는 오목부(191)를 포함한다. 오목부(191)는 예를 들면 삽입 구멍(63)에 연마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는 부분이며, 스크라이빙 휠(60)의 제조 시에 형성되는 미소한 요철은 포함되지 않는다. 오목부(191)의 면(191A)은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 제1 측면(61A)과 제2 측면(61B)의 사이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 반경(RB)에 의해 규정되는 곡면이다. 또한, 제1 변형예에 있어서는 홀더(50)를 일체의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홈부(51)의 면(51A)을 포함하는 부분과 면(51B)을 포함하는 부분으로 분할되는 부재로 함으로써 홀더 유닛(4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면(181A)의 곡률 반경(RA)과 면(191A)의 곡률 반경(RB)의 관계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제1 예에서는, 면(181A)의 곡률 반경(RA)은 면(191A)의 곡률 반경(RB)보다도 작다. 제1 예의 경우, 면(181A)과 면(191A)이 선접촉하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시의 마찰 저항이 작아진다. 제2 예에서는, 면(181A)의 곡률 반경(RA)은 면(191A)의 곡률 반경(RB)과 동일하거나, 또는, 면(191A)의 곡률 반경(RB)보다도 크다.
도 4는 제2 변형예의 규제부(280) 및 피규제부(290)를 구비하는 홀더 유닛(4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규제부(280)는 핀(70)의 외주면(71)에 형성되는 오목부(281)를 포함한다. 오목부(281)는 피규제부(29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핀(70)의 외주면(71)에 연마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는 부분이며, 핀(70)의 제조 시에 형성되는 미소한 요철은 포함되지 않는다. 오목부(281)는 핀(70)의 외주면(71) 중, 스크라이빙 휠(60)의 삽입 구멍(63)과 대향하는 위치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핀(70)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281)가 형성되는 위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는, 오목부(281)는 핀(70)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형성된다. 오목부(281)는 각(角)을 포함하는 홈이다. 도 4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오목부(281)는 V자 형상의 홈이다. 피규제부(290)는 오목부(281)에 삽입되는 볼록부(291)를 포함한다. 볼록부(291)는 두께 방향 DT에 있어서 제1 측면(61A)과 제2 측면(61B)의 사이에 형성된다. 볼록부(291)는 각을 포함하는 돌기이다. 도 4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볼록부(291)는 V자 형상의 돌기이다. 스크라이빙 휠(60)의 삽입 구멍(63)의 볼록부(291)에 있어서의 최소의 내경은 핀(70)의 최대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홀더 유닛(40)의 구성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는, 홀더 유닛(40)은 피규제부(90)가 생략된다. 이 경우, 규제부(80)의 폭이 스크라이빙 휠(60)의 폭보다도 크고, 홈부(51)의 폭보다도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규제부(80) 및 피규제부(90)의 형상도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일부에 평탄부를 갖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볼록부(91)의 형상과 오목부(81)의 형상이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오목부(81)의 폭이 볼록부(91)의 폭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1 : 스크라이브 장치
40 : 홀더 유닛
60 : 스크라이빙 휠
70 : 핀
80 : 규제부
81 : 오목부
90 : 피규제부
91 : 볼록부
40 : 홀더 유닛
60 : 스크라이빙 휠
70 : 핀
80 : 규제부
81 : 오목부
90 : 피규제부
91 : 볼록부
Claims (8)
- 스크라이빙 휠을 지지하는 핀으로서,
상기 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핀에 대한 상기 스크라이빙 휠의 이동을 방해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스크라이빙 휠의 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핀의 외주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스크라이빙 휠의 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면은 곡면인
스크라이빙 휠의 핀. - 제1항에 기재된 핀으로 지지되는 스크라이빙 휠로서,
상기 규제부와 접촉하는 피규제부를 구비하는
스크라이빙 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핀의 외주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규제부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스크라이빙 휠.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의 면은 곡면이고,
상기 볼록부의 면은 곡면인
스크라이빙 휠.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핀과,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는
홀더 유닛. - 제3항에 기재된 핀과,
제6항에 기재된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곡률 반경은 상기 볼록부의 곡률 반경보다도 큰
홀더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066004A JP7053013B2 (ja) | 2018-03-29 | 2018-03-29 | ホルダユニット、ならびに、その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およびピン |
JPJP-P-2018-066004 | 2018-03-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4800A true KR20190114800A (ko) | 2019-10-10 |
KR102679187B1 KR102679187B1 (ko) | 2024-06-26 |
Family
ID=6811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2891A KR102679187B1 (ko) | 2018-03-29 | 2019-03-22 | 홀더 유닛, 그리고, 그의 스크라이빙 휠 및 핀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053013B2 (ko) |
KR (1) | KR102679187B1 (ko) |
CN (1) | CN110315648B (ko) |
TW (1) | TWI79644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39779A1 (zh) * | 2021-09-16 | 2023-03-23 | 深圳市摆渡微电子有限公司 | 一种耐磨刀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7575A (ja) * | 2001-10-25 | 2003-05-14 | Toyo Sangyo Kk | ガラス切断用カッターホイールの支持装置およびガラス切断装置 |
KR20090058806A (ko) * | 2007-12-05 | 2009-06-10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스크라이브 장치 |
JP2012106479A (ja) | 2010-10-18 | 2012-06-07 |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 スクライブヘッド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
JP2015229302A (ja) * | 2014-06-05 | 2015-12-21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ホルダ、ホルダユニット及びスクライブ装置 |
KR20180016241A (ko) * | 2016-08-05 | 2018-02-14 | 파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 스크라이브 헤드 및 그것을 구비한 스크라이브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24625A (en) * | 1922-01-14 | 1922-08-01 | Carl F Doerr | Rotary glass cutter |
JPH11263631A (ja) * | 1998-03-16 | 1999-09-28 | Beldex:Kk | スクライブ装置 |
JP2005281007A (ja) * | 2004-03-03 | 2005-10-13 | Shiraitekku:Kk | ガラス切断機のカッターホルダー |
JP5170641B2 (ja) * | 2008-01-23 | 2013-03-27 | 旭硝子株式会社 | ガラス切断機用カッターヘッド装置 |
JP5538090B2 (ja) * | 2010-06-23 | 2014-07-02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ガラスカッター |
TW201412665A (zh) * | 2012-09-26 | 2014-04-01 |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 刀輪保持具單元 |
JP2015000497A (ja) * | 2013-06-14 | 2015-01-05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チップホルダユニット、チップホルダ、ピン、ホイールチップ及び基板加工装置 |
JP2015047718A (ja) * | 2013-08-30 | 2015-03-16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ホルダユニット、スクライブ装置及びホルダ |
JP6331707B2 (ja) * | 2014-05-30 | 2018-05-30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スクライブヘッド並びにスクライブ装置 |
JP6405717B2 (ja) * | 2014-06-03 | 2018-10-17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ホルダ、ホルダユニット及びスクライブ装置 |
JP6424652B2 (ja) * | 2015-02-02 | 2018-11-21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ホルダ、ホルダユニット及びスクライブ装置 |
CN104772784B (zh) * | 2015-04-20 | 2016-09-28 | 张新兴 | 一种布料裁切机用简易安装刀具机构 |
-
2018
- 2018-03-29 JP JP2018066004A patent/JP7053013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3-11 TW TW108108007A patent/TWI796448B/zh active
- 2019-03-21 CN CN201910216368.4A patent/CN110315648B/zh active Active
- 2019-03-22 KR KR1020190032891A patent/KR1026791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7575A (ja) * | 2001-10-25 | 2003-05-14 | Toyo Sangyo Kk | ガラス切断用カッターホイールの支持装置およびガラス切断装置 |
KR20090058806A (ko) * | 2007-12-05 | 2009-06-10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스크라이브 장치 |
JP2012106479A (ja) | 2010-10-18 | 2012-06-07 |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 スクライブヘッド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
JP2015229302A (ja) * | 2014-06-05 | 2015-12-21 |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 ホルダ、ホルダユニット及びスクライブ装置 |
KR20180016241A (ko) * | 2016-08-05 | 2018-02-14 | 파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 스크라이브 헤드 및 그것을 구비한 스크라이브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315648A (zh) | 2019-10-11 |
CN110315648B (zh) | 2022-09-06 |
JP2019171823A (ja) | 2019-10-10 |
KR102679187B1 (ko) | 2024-06-26 |
TWI796448B (zh) | 2023-03-21 |
JP7053013B2 (ja) | 2022-04-12 |
TW201941892A (zh) | 2019-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0365B1 (ko) | 취성재료 기판용 커터휠 및 그것을 구비하는 스크라이버 | |
EP1340605B1 (en) | Tip holder | |
KR100335470B1 (ko) | 커터휠 | |
JP2989602B1 (ja) | ガラスカッタホィ―ル | |
CN101730616A (zh) | 用于形成刻线的切割盘 | |
KR20100019435A (ko) | 스크라이브 장치 및 방법 | |
JP2007152936A (ja) | 脆性材料用のホイールカッター | |
KR20150026794A (ko) | 스크라이빙 휠, 홀더 유닛 및 스크라이브 장치 | |
KR101569067B1 (ko) | 스크라이빙 휠,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 | |
KR20190114800A (ko) | 홀더 유닛, 그리고, 그의 스크라이빙 휠 및 핀 | |
KR102380301B1 (ko) | 커터 휠 | |
CN109849196B (zh) | 划线轮、刀尖支架及支承销 | |
KR102165054B1 (ko) | 스크라이빙 휠용 핀, 홀더 유닛 및 스크라이브 장치 | |
JP7474475B2 (ja) | ホルダユニットおよびピン | |
CN112008890B (zh) | 保持具单元及销 | |
JP6182334B2 (ja) |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の製造方法 | |
JP5075185B2 (ja) |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 | |
JP2011093190A (ja) |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 | |
KR20190122556A (ko) | 홀더 유닛 | |
JP2019043124A (ja) |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その製造方法、スクライブ方法及びホルダユニット | |
KR102381646B1 (ko) | 스크라이빙 휠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6344582B2 (ja) | スクライビングホイール、スクライブ装置及び分断方法 | |
JP2020037194A (ja) | ホルダユニット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 |
JP2020037193A (ja) | ホルダユニット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 |
CN109421175A (zh) | 刻划轮及其制造方法、刻划方法以及支架单元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