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112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112A
KR20190111112A KR1020197025952A KR20197025952A KR20190111112A KR 20190111112 A KR20190111112 A KR 20190111112A KR 1020197025952 A KR1020197025952 A KR 1020197025952A KR 20197025952 A KR20197025952 A KR 20197025952A KR 20190111112 A KR20190111112 A KR 20190111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asing
cover
insulator
moto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요시다
야스노부 유키
마사유키 이시카와
사토시 야스다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로터와,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의 적어도 상기 절연체 및 상기 권선을을 밀봉하는 수지 케이싱과, 수지 케이싱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커버는 절연체의 지름방향 바깥쪽 및 절연체의 축방향 일방측의 적어도 한쪽의 수지 케이싱을 덮고, 절연체의 지름방향 바깥쪽 및 절연체의 축방향 일방측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커버와 수지 케이싱 사이에 간극이 구비된 모터.

Description

모터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브러시리스 DC 모터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브러시리스 DC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구비한다. 스테이터는 로터와의 사이에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환형상의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에 권취된 스테이터 권선을 구비한다. 그리고, 스테이터를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일체로 몰드 성형하여 하우징의 외표면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로 피복한 구성을 구비한다.
브러시리스 DC 모터는, 스테이터 권선에서 발생한 열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통해서 외부로 방열하고, 또한 하우징의 외표면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로 피복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하우징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9-261935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동기에서는, 하우징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보호 커버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에 의한 팽창차가 있다. 그리고, 보호 커버에 덮여지는 하우징 쪽이 열에 의해 크게 팽창할 경우, 팽창에 의해 보호 커버가 변형되거나, 내부의 기기에 압력이 작용하거나 해서 동작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구동시에 발생하는 열에 관계없이 안정되게 구동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모터는,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주면과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 코어에 절연체를 개재해서 권취된 복수의 권선을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적어도 상기 절연체 및 상기 권선을 밀봉하는 수지 케이싱과, 상기 수지 케이싱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절연체의 지름방향 바깥쪽 및 상기 절연체의 축방향 일방측의 적어도 한쪽의 수지 케이싱을 덮고, 상기 절연체의 지름방향 바깥쪽 및 상기 절연체의 축방향 일방측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상기 커버와 상기 수지 케이싱 사이에 간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예시적인 본 발명의 모터에 의하면, 구동시에 발생하는 열에 관계없이 안정되게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일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스테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테이터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변형예의 수지 케이싱 및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다른 변형예의 수지 케이싱 및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다른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또 다른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변형예의 수지 케이싱 및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다른 변형예의 수지 케이싱 및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1.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일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중심축(Ax)이 연장되는 방향, 즉, 도 2에 있어서 좌우방향을 축방향으로 한다. 또한,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방향으로 하고,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을 둘레방향으로 한다.
또한, 본서에서는 축방향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해서 이하와 같이 설정한다. 즉, 도 2에 있어서 축방향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제 1 방향(Op)이라 하고,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제 2 방향(Or)이라 한다. 또, 본서에 있어서의 「좌방향」, 「우방향」은 설명을 위해서 설정한 것이다. 그 때문에, 이들 방향은 모터(A)를 실제로 사용할 때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1 모터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A)는 스테이터(1)와, 수지 케이싱(2)과, 커버(3)와, 로터(4)와,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을 갖는다. 수지 케이싱(2)은 스테이터(1)의 외주면을 덮는다. 즉, 모터(A)는 스테이터(1)를 수지 케이싱(2)으로 밀봉한, 소위 몰드 모터이다. 로터(4)는 스테이터(1)의 내측에 배치된다. 로터(4)는 중심축(Ax)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축(40)을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축(40)이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에 지지되어 있고, 스테이터(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A)는 스테이터(1)의 내측에서 로터(4)가 회전하는 이너 로터형 DC 브러시리스 모터이다.
<1.2 스테이터의 구성>
스테이터(1)에 대해서 새로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스테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테이터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는 스테이터 코어(11)와, 절연체(12)와, 권선(13)을 구비한다. 그리고, 스테이터(1)는 로터(4)의 외주면과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 코어(11)에 절연체(12)를 개재해서 권취된 복수의 권선(13)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는 제 1 베어링(51)이 수납되는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와, 제 2 베어링(52)이 수납되는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를 구비한다.
스테이터 코어(11)는 도전성을 갖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11)는 환형상의 코어백부(111)와, 티스부(112)를 구비한다. 코어백부(111)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상이다. 티스부(112)는 코어백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즉, 스테이터 코어(11)는 환형상의 코어백부(111)와, 코어백부(111)로부터 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티스부(112)를 갖는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11)는, 12개의 티스부(112)를 구비한다. 티스부(112)는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모터(A)에 있어서 스테이터(1)는 12슬롯이다.
절연체(12)는 스테이터(11)를 덮는다. 절연체(12)는 수지의 성형체이다. 절연체(12)는 티스부(112)의 전체를 덮음과 아울러, 코어백부(111)의 축방향의 양단면을 덮는다. 절연체(12)로 덮여진 티스부(112)에 도선을 권취하여 권선(13)이 형성된다. 즉, 절연체(12)는 티스부(112)를 덮는 절연체 티스부(121)와, 코어백부(111)의 적어도 축방향 단부를 덮는 절연체 코어백부(122)를 갖는다. 절연체(12)에 의해서 스테이터 코어(11)와 권선(13)이 절연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연체(12)는 수지의 성형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테이터 코어(11)와 권선(13)을 절연할 수 있는 구성을 널리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체(12)는 스테이터 코어(11)와 권선(13)을 절연한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11)에 있어서 코어백부(111)의 지름방향의 외주면은, 절연체(12)로 피복되지 않고 노출해도 좋다. 또, 스테이터 코어(11)는 전자강판을 적층한 구조이여도 좋고, 분체(紛體)의 소성, 주조 등, 단일의 부재라도 좋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11)는 티스부(112)를 1개 포함하는 분할 코어로 분할 가능한 구성이여도 좋고, 띠형상의 부재를 환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스테이터(1)의 지름방향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로터(4)가 배치된다.
권선(13)은 스테이터 코어(11)의 티스부(112)의 각각에 배치된다. 즉, 모터(A)에서는 12개의 권선(13)이 배치된다. 그리고, 스테이터(1)에 구비된 12개의 권선(13)은, 전류가 공급되는 타이밍에 따라서 3계통(이하, 3상으로 한다)으로 나뉘어진다. 이 3상을, 각각 U상, V상, W상이라고 한다. 즉, 스테이터(1)는 4개의 U상 권선, 4개의 V상 권선 및 4개의 W상 권선을 구비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상의 권선을 합쳐서 단지 권선(13)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스테이터(1)에는 복수의 권선(13)끼리를 접속하거나 또는 권선(13)과 모터(A)에 구비된 기판(Bd)에 실장된,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크로스오버부(131)를 구비한다. 즉, 복수의 권선(13)은 크로스오버부(131)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크로스오버부(131)는 절연체(12)의 코어백부(111)의 축방향의 끝면을 커버하는 절연체 코어백부(122)에 구비된 배선부(120)에 배치된다. 즉, 절연체(12)는 크로스오버부(131)가 배선되는 배선부(120)를 갖는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는 코어백부(111)의 제 1 방향(Op)측의 끝면을 덮는 절연체(12)의 지름방향 외측의 면에 크로스오버(131)가 배치되는 배선부(120)를 구비한다. 즉, 배선부(120)는 절연체 코어백부(122)의 축방향 단부로부터 축방향(제 1 방향(Op)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크로스오버(131)는 배선부(120)의 지름방향 외측면에서 배선된다. 그리고, 수지 케이싱(2)의 외주면에 오목부(23)가 위치한다.
<1.3 수지 케이싱 및 커버의 구성>
도 1,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케이싱(2)은 원통형상이다. 수지 케이싱(2)은 내부에 스테이터 코어(11)를 밀봉한 수지의 몰드 성형체이다. 즉, 수지 케이싱(2)은 스테이터(1)의 적어도 절연체(13) 및 권선(12)을 밀봉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A)에서는 스테이터 코어(11)의 지름방향의 외면도 덮는다. 수지 케이싱(2)은 제 1 방향(Op)측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이다. 그리고, 저부의 지름방향 중앙 부분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지 케이싱 구멍(20)이 형성된다.
저부의 제 1 방향(Op)측의 면의 수지 케이싱 구멍(20)의 지름방향 외측에는, 축방향으로 오목한 오목구멍(21)이 형성된다. 로터(4)에 부착된 회전축(40)이 수지 케이싱 구멍(20)을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수지 케이싱 구멍(20)에는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의 후술하는 베어링 플랜지(611)의 일부가 인서트 성형으로 고정된다. 또, 제 1 베어링 수납부(6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3)는 수지 케이싱(2)을 덮는다. 커버(3)는 제 1 방향(Op)측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이다. 즉, 커버(3)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이다. 커버(3)는, 예를 들면 금속판을 압출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커버(3)는 절연체(12)의 지름방향 바깥쪽 및 절연체(12)의 축방향 일방측(제 1 방향(Op)측)의 적어도 한쪽의 수지 케이싱(2)을 덮는다. 그리고, 커버(3)의 저부의 지름방향 중앙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커버 구멍(30)을 구비한다. 그리고, 커버 구멍(30)의 지름방향 외측에는 축방향 내측(도 2에 있어서, 제 2 방향(Or)측)으로 돌입(突入)한 케이싱 접촉부(31)가 구비된다. 즉, 커버(3)는 저부의 지름방향 중심부에 내측으로 돌입한 케이싱 접촉부(31)를 구비하고, 케이싱 접촉부(31)의 중앙에 커버 구멍(30)을 구비한다.
수지 케이싱(2)은, 도 2에 있어서의 제 1 방향(Op)측을 커버(3)에 삽입한다. 그리고, 후술의 압입부(22)가 커버(3)에 압입된다. 커버(3)에 수지 케이싱(2)을 압입했을 때, 케이싱 접촉부(31)는 오목구멍(21)과 축방향으로 겹친다. 또한, 수지 케이싱 구멍(20)과 커버 구멍(30)도 축방향으로 겹친다. 수지 케이싱 구멍(20) 및 커버 구멍(30)을 회전축(40)이 관통한다.
또, 수지 케이싱(2)을 커버(3)에 압입했을 때, 케이싱 접촉부(31)가 오목구멍(21)과 접촉한다. 케이싱 접촉부(31)가 오목구멍(21)을 압박하여, 수지 케이싱(2)과 커버(3)가 밀착한다. 이것에 의해, 수지 케이싱 구멍(20) 및 커버 구멍(30)의 경계부분으로부터, 수지 케이싱(2)과 커버(3)의 경계부분으로부터의 가스, 물, 티끌, 먼지 등의 진입이 억제된다.
다음에, 수지 케이싱(2)의 커버(3)로의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지 케이싱(2)은 지름방향 외주면에 압입부(22)와 오목부(23)를 구비한다. 즉, 수지 케이싱(2)은 커버(3)의 내부에 압입되는 압입부(22)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부(22)는 수지 케이싱(2)의 외주면의 스테이터 코어(11)와 지름방향으로 겹치는 부분에 구비된다. 즉, 압입부(22)는 수지 케이싱(2)을 지름방향으로 보아서 스테이터 코어(22)와 겹친다. 수지 케이싱(2)은 오목부(23)가 형성된 측의 단부로부터 커버(3)의 개구에 삽입된다. 그 후, 수지 케이싱(2)은 커버(3)에 압입에 의해 고정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수지 케이싱(2)에서는, 오목부(23)는 스테이터 코어(11)와 축방향으로 어긋나서 형성되어 있지만, 일부가 겹쳐도 좋다.
즉, 수지 케이싱(2)은 압입부(22)에 있어서 커버(3)의 내주면에 압입된다. 압입부(22)는 스테이터 코어(11)와 지름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구비된다. 압입시는 커버(3)로부터 수지 케이싱(2)에 대하여 지름방향 및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압입부(22)가 수지 케이싱(2)의 수지보다 강도가 높은 스테이터 코어(11)와 지름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압입시에 커버(3)로부터 힘이 작용해도 수지 케이싱(2)의 변형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오목부(23)는 수지 케이싱(2)의 외주면의 절연체(12)의 크로스오버부(131)가 배치되는 배선부(120)와 지름방향으로 겹친다. 즉, 간극(Gp)은 배선부(120)의 지름방향 바깥쪽에 위치한다. 또한 수지 케이싱(2)의 외주면은 간극(Gp)과 접하는 부분에 오목부(23)를 구비한다. 오목부(23)는 수지 케이싱(2)의 제 1 방향(Op)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둘레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케이싱(2)의 지름방향 단부에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모터(A)의 부착 장소의 조건(온도, 습도 등)에 따라서 모터(A)의 내부의 공기에 포함되는 물이 결로해서 결로수가 고일 경우가 있다. 오목부(23)에도 공기가 고여 있고, 고인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결로할 경우가 있다. 그래서, 수지 케이싱(2)의 외주면에는 오목부(23)로부터 제 2 방향(Or)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오목홈(200)이 구비된다. 즉, 수지 케이싱(2)의 외주면에는 간극(Gp)으로부터 오목홈(200)을 구비한다. 그리고, 커버(3)의 오목홈(200)과 연속하는 위치에 커버(3)의 외부와 오목홈(200)을 연결하는 물빼기 구멍(301)이 구비된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23)에 고인 결로수는 오목홈(200)을 지나서 물빼기 구멍(301)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된다. 또, 예를 들면, 전기회로가 절연되거나 해서 결로수가 발생해도 영향을 받지 않거나 또는 받기 어려운 구조의 경우, 오목홈(200) 및 물빼기 구멍(301)은 생략해도 좋다. 오목홈(200) 및 물빼기 구멍(301)이 생략되어 있어도, 결로수는 모터(A)의 구동시의 열에 의해 오목부(23)의 공기 중으로 증발한다.
수지 케이싱(2)은 축방향에 있어서 오목부(23)가 형성되는 측으로부터 커버(3)에 삽입되어서 압입에 의해 고정된다. 수지 케이싱(2)이 커버(3)의 내부에 압입되었을 때, 오목부(23)가 형성되는 부분과 커버(3)의 내면은 지름방향으로 간극(Gp)이 형성된다. 또한, 수지 케이싱(2)과 커버(3)의 간극(Gp)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케이싱(2)의 오목부(23)가 구비되는 부분의 지름방향의 두께는, 수지 케이싱(2)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다. 즉, 오목부(23)가 형성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박육부(24)이다. 크로스오버부(131)에 전류가 흘러서 크로스오버부(131)가 가열될 경우가 있다. 이 때, 박육부(24)가 형성됨으로써 크로스오버부(131)의 열이 수지 케이싱(2)의 외부로 방출되기 쉽다.
<1.4 로터의 구성>
도 5는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4)는 로터 코어(41)와, 복수개의 마그넷(42)과, 몰드부(43)를 구비한다. 로터 코어(41)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 부재(411)와, 통형상의 부재의 지름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축지지 부재(412)를 구비한다. 통형상 부재(411)와 축지지 부재(412)는 수지의 몰드 성형체인 몰드부(43)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로터 코어(41)는 자성체이다. 로터 코어(41)는 자성판을 지름방향으로 적층한 적층체이여도 좋고, 예를 들면 분체를 소결해서 동일의 부재로서 형성한 성형체라도 좋다.
회전축(40)은 원기둥 형상이다. 회전축(40)은 로터 코어(41)의 축지지 부재(412)의 지름방향 중심부를 관통한다. 회전축(40)과 축지지 부재(412)는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또, 고정 방법으로서는 압입, 용접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축(40)과 축지지 부재(412)를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을 널리 채용할 수 있다. 즉, 회전축(40)은 로터(4)에 고정되어 있고, 로터(4)가 회전함으로써 회전축(40)이 중심축(Ax)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복수개의 마그넷(42)은 로터 코어(41)의 지름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로터(4)에서는 복수개의 마그넷(42)을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다. 예를 들면, 로터 코어(41)는 8개의 마그넷(42)을 구비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개의 마그넷(42)을 늘어놓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통형의 자성체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N극과 S극을 교대로 착자시킨 마그넷을 사용해도 된다.
즉, 로터 코어(41)에서는 N극과 S극을 1쌍의 자극으로 하고, 1쌍의 자극을 복수개 구비한다. 마그넷(42)은, 예를 들면 수지의 몰드 등에 의해서 로터 코어(41)에 고정된다. 또, 마그넷(42)의 고정 방법은 수지의 몰드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 용착, 기계적인 고정 방법 등, 로터(4)의 회전에 악영향을 주지 않거나 또는 주기 어려운 방법이 채용된다.
<1.5 베어링의 구성>
회전축(40)은 축방향으로 떨어진 2개소에서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에 압입된다. 즉, 회전축(40)은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다른 2개소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베어링(52)의 내륜에는 회전축(40)의 제 2 방향(Or)측의 단부가 압입된다. 제 1 베어링(51)의 내륜에는 회전축(40)의 제 2 베어링(52)에 압입되는 부분보다 제 1 방향(Op)측의 부분이 압입된다.
제 1 베어링(51)은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에 수납된다. 제 2 베어링(52)은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에 수납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 및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수지 케이싱(2)에 고정된다. 이것으로부터, 회전축(40)은 1쌍의 베어링(51, 52)에 의해서 수지 케이싱(2)(에 덮여진 스테이터(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40)의 제 1 방향(Op)측에는 축 리테이닝 링(401)이, 제 2 방향(Or)측의 단부에는 축 리테이닝 링(402)이 부착된다. 축 리테이닝 링(401)은 제 1 베어링(51)과 접촉한다. 축 리테이닝 링(402)은 제 2 베어링(52)과 접촉한다. 또, 축 리테이닝 링(401) 및 축 리테이닝 링(402)은 회전축(4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축 리테이닝 링(401)은 제 1 베어링(51)의 내륜의 제 2 방향(Or)측과 접촉한다. 축 리테이닝 링(401)에 의해서 회전축(40)의 제 1 베어링(51)에 대한 제 1 방향(Op)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축 리테이닝 링(402)은 제 2 베어링(52)의 내륜의 제 1 방향(Op)측과 접촉한다. 축 리테이닝 링(402)에 의해서 회전축(40)의 제 2 베어링(52)에 대한 제 2 방향(Or)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의 스테이터(1)에 대한 축방향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고, 회전축(40)의 스테이터(1)에 대한 축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 축 리테이닝 링(401, 402)은,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C링, E링이라고 불리는 축용 리테이닝 링을 채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쌍의 베어링(51, 52)의 각각의 내륜과 접촉하고, 회전축(40)의 이동을 제한 가능한 구성을 널리 채용할 수 있다. 또, 본서에 있어서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40)을 2개의 베어링(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3개 이상의 베어링으로 지지해도 좋다.
<1.6 베어링 수납 부재의 구성>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 및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는, 여기에서는 철, 놋쇠 등의 금속제이다.
<1.6.1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는 내부에 제 1 베어링(51)이 수납 가능한 통형상을 갖는다.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의 축방향 일방측의 단부는 지름방향 중심 부분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끝면부(610)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의 축방향 타방측의 단부는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플랜지(611)를 구비한다. 베어링 플랜지(611)의 적어도 일부가 수지 케이싱(2)에 인서트 성형된다. 제 1 베어링 수납부(61)는 수지 케이싱(2)에 인서트 성형으로 고정된다. 또, 베어링 플랜지(611)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인서트 성형시에 관통 부분에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의 둘레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는, 즉 회전 방지가 이루어진다.
또, 수지에 의해서 회전 방지가 확실하게 행하여지는 것이면, 관통 부분은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지름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부라도 좋다. 또한, 베어링 플랜지(611) 자체를,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하거나, 타원형으로 함으로써 회전 방지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는 중심축을 수지 케이싱(2)에 덮여진 스테이터(1)의 중심축(Ax)과 일치시켜서 수지 케이싱(2)에 고정된다.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의 내부에 제 1 베어링(51)의 외륜이 압입된다.
<1.6.2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는 제 2 베어링(52)을 유지한다.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는 수납부(621)와 외통부(620)를 갖는다. 수납부(621)는 통형상이며, 내부에 제 2 베어링(52)을 수납한다. 수납부(621)의 내부에 제 2 베어링(52)의 외륜이 압입된다.
외통부(620)는 수납부(621)보다 대경이며, 외통부(620)는 내부에 커버(3)의 제 2 방향(Or)측의 단부가 압입된다. 또, 커버(3)의 제 2 방향(Or)측의 단부의 외통부(620)에 압입되는 부분이 커버 압입부(300)이다.
즉, 제 2 베어링(52)을 수납부(621)에 압입한 후,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의 외통부(620)의 내부에 커버(3)의 커버 압입부(300)가 압입된다. 그리고,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에 수지 케이싱(2)이 압입됨으로써 수지 케이싱(2)에 덮여진 스테이터(1)에 대하여 제 2 베어링(62)이 고정된다. 제 2 베어링(52)의 외륜이 스테이터(1)에 대하여 고정되고, 제 2 베어링(52)의 중심축이 스테이터(1)의 중심축(Ax)과 일치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621)와 외통부(620)는 동일한 부재로 형성된다. 또, 여기에서는,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는 금속판을 드로잉 가공해서 제조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7 기타의 구성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A)에서는 커버(3)의 제 2 방향(Or)측이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의 외통부(620)에 압입된다. 그 때문에, 외통부(620)와 커버 압입부(300)의 간극으로부터의 물, 먼지, 티끌 등의 이물의 진입이 억제된다. 한편으로, 모터(A)의 제 1 방향(Op)측은 회전축(40)이 관통하기 위한 제 1 베어링 수납부(61)의 끝면부(610)에 구비된 베어링 수납부 구멍을 구비한다. 이 베어링 수납부 구멍은 회전축(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회전축(40)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크기이다. 이 틈으로부터 물, 티끌, 먼지 등의 이물이 모터(A)의 내부에 침입하기 쉽다. 그래서, 모터(A)에는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로부터의 이물의 진입을 억제하기 위한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 및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는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의 외면을 덮는다. 그리고, 회전축(40)의 외측을 둘러쌈과 아울러 지름방향으로 연장된다. 또,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에 밀착한다. 또한,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는 회전축(40)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즉, 비접촉을 유지해서 부착된다.
또한,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는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의 지름방향 외측을 둘러싸서 배치된다.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는 회전축(40)에 구비된 홈(400) 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의 축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와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 사이의 공간을 작게 함으로써 이물의 모터(A)로의 진입이 억제된다. 즉,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와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는 동시에 모터(A)에 부착함으로써 모터(A)의 내부로의 이물의 진입을 억제하는 역활을 한다.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의 제 2 방향(Or)측의 선단의 일부는 오목구멍(21)과 겹친다. 또한, 커버(3)의 케이싱 접촉부(31)도 오목구멍(21)에 구비되어 있지만,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는 케이싱 접촉부(31)와 비접촉 상태에서 회전축(40)에 고정된다. 즉,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의 개구의 일부가 오목구멍(21)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케이싱 접촉부(31)와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가 비접촉이기 때문에, 회전축(40)이 회전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수지 케이싱(2)의 스테이터(1)보다 제 2 방향(Or)측에는 기판(Bd)과 보호 시트(Is)가 구비된다. 기판(Bd)은 복수개의 권선(13)에 공급하는 전류의 타이밍, 전류의 크기 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실장된다. 또, 제어회로가 모터(A)의 외부에 설치될 경우도 있고, 그 경우에는 기판(Bd)을 생략해도 좋다. 보호 시트(Is)는 기판(Bd)과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 부재이다. 기판(Bd)을 구비하지 않는 모터의 경우, 보호 시트(Is)를 생략해도 좋다.
<1.8 모터의 동작>
이상 나타낸 모터(A)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A)의 구동시에 있어서, 권선(13)에는 전류가 공급된다. 이 때, 전류에 의해 권선(13)이 발열한다. 이 때, 권선(13)의 열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11)도 가열된다. 스테이터 코어(11) 및 권선(13)은 수지 케이싱(2)에 덮여진다. 스테이터 코어(11) 및 권선(13)의 열은 수지 케이싱(2)에 전달된다.
수지 케이싱(2)의 열은 커버(3)에 전달한다. 커버(3)는 주로 금속제의 재료가 사용되고, 수지 케이싱(2)보다 선팽창계수가 작다. 이것에 의해, 수지 케이싱(2)과 커버(3)의 열팽창에 의한 변형량의 차가 발생한다. 단, 수지 케이싱(2)의 압입부(22)에 있어서 수지 케이싱(2)과 커버(3)가 압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지 케이싱(2)의 열이 커버(3)에 전달되어 방열되기 때문에, 압입부(22)에 있어서는 수지 케이싱(2)의 열팽창은 억제된다.
수지 케이싱(2)에 있어서, 압입부(22)로부터 축방향으로 어긋난 부분에서는 절연체(12)를 수지 케이싱(2)으로 밀봉하고 있다. 절연체(12)는 수지이며, 절연체(12)의 선팽창계수는 스테이터 코어(11)보다 크다. 그 때문에, 수지 케이싱(2)의 스테이터 코어(11)와 지름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부분은, 스테이터 코어(11)와 지름방향으로 겹치는 압입부(22)에 비하여 열팽창에 의한 지름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은 보다 크다. 또한, 압입부(22)에 비하여 스테이터 코어(11)로부터 커버(3)의 거리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압입부(22)보다 방열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절연체(12)와 커버(3)의 열팽창에 의한 변형량의 차에 의한, 수지 케이싱(2)의 뒤틀림, 어긋남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 수지 케이싱(2)의 커버(3)의 개구측(도 2에 있어서, 제 2 방향(Or)측)은, 수지 케이싱(2)의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개구측으로 회피된다. 한편으로, 커버(3)의 깊이측(도 2에 있어서, 제 1 방향(Op)측)은 열팽창에 의한 변형을 회피할 장소가 없다. 그 때문에, 모터(A)에서는 절연체(12)의 지름방향 바깥쪽에 커버(3)와 수지 케이싱(2) 사이에 간극(Gp)이 구비된다.
이것에 의해, 수지 케이싱(2)의 스테이터 코어(11)와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특히, 압입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측)에 있어서의 수지 케이싱(2)과 커버(3)의 변형량의 차가 간극(Gp)에 흡수된다. 이것에 의해, 수지 케이싱(2)과 커버(3)의 열팽창에 의한 변형량의 차에 의한, 수지 케이싱(2)의 뒤틀림, 어긋남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A)에 의하면, 수지 케이싱(2)과 커버(3)의 열에 의한 변형량의 차가 커지는 부분에 간극을 형성했다. 수지 케이싱(2)과 커버(3)의 열에 의한 변형량의 차를, 간극(Gp)에서 흡수함으로써 열변형량의 차에 의한 뒤틀림, 어긋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케이싱(2)에 오목부(23)를 형성함으로써 수지 케이싱(2)과 커버(3)의 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케이싱(2)의, 오목부(23)가 구비된 부분, 즉, 도 2에 있어서 오목부(23)와 지름방향으로 겹치는 부분이 수지 케이싱(2)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박육부(24)로 한다. 이와 같이, 박육부(24)를 형성함으로써 크로스오버부(131)에 전류가 흘렀을 때에 발생하는 열이 수지 케이싱(2)의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진다.
<1.9 변형예>
<1.9.1 변형예 1>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모터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변형예의 수지 케이싱 및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모터(A1)는 수지 케이싱(2a1) 및 커버(3a1)가 다른 것 이외에, 도 2에 나타낸 모터(A)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실질상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아울러, 같은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모터(A1)에서는, 수지 케이싱(2a1)의 외주면이 압입 방향의 깊이측, 즉, 도 6에 있어서의 제 1 방향(Op)측을 향해서 점차 소경으로 된다. 즉, 수지 케이싱(2a1)의 외주면을, 압입 방향의 깊이측이 소경으로 되는 경사면(테이퍼면)으로 한다. 그리고, 커버(3a1)는 수지 케이싱(2a1)이 삽입 가능한 형상을 구비한다. 커버(3a1)는 통형상이며, 적어도 내주면의 압입 방향의 깊이측, 즉, 도 6에 있어서의 제 1 방향(Op)측을 향해서 점차 소경으로 된다. 즉, 커버(3a1)의 내경은 수지 케이싱(2a1)의 압입 방향을 향해서 점차적으로 작아진다. 수지 케이싱(2a1) 및 커버(3a1)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1.9.2 변형예 2>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모터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다른 변형예의 수지 케이싱 및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모터(A2)는 수지 케이싱(2a2) 및 커버(3a2)가 다른 것 이외에, 도 2에 나타낸 모터(A)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실질상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아울러, 같은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모터(A2)에서는 수지 케이싱(2a2)의 외주면이 압입 방향의 깊이측, 즉, 도 7에 있어서의 제 1 방향(Op)측을 향해서 단계적으로 소경으로 된다. 즉, 수지 케이싱(2a2)의 외주면은 다른 복수의 외형을 갖는다. 그리고, 수지 케이싱(2a2)의 외주면은 압입 방향의 깊이측이 소경이며, 외형이 변화되는 부분에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3a2)는 수지 케이싱(2a2)이 삽입 가능한 형상을 구비한다. 커버(3a2)는 통형상이며, 적어도 내주면의 압입 방향의 깊이측, 즉, 도 7에 있어서의 제 1 방향(Op)측이 단계적으로 소경으로 된다. 즉, 커버(3a2)의 내경은 수지 케이싱(2a2)의 압입 방향을 향해서 단계적으로 작아진다.
수지 케이싱(2a2) 및 커버(3a2)의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수지 케이싱(2a2)의 단차와 커버(3a2)의 단차를 접촉시켜서, 수지 케이싱(2a2)을 커버(3a2)에 삽입할 때의 위치결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지 케이싱(2a2)의 압입부(222)가 커버(3a2)의 압입되는 부분에 접촉해서 압입이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압입에서 작용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압입시의 수지 케이싱(2a2)의 변형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테이터(1)의 뒤틀림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쉽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다른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다른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B)의 수지 케이싱(2b)은 제 2 방향(Or)측에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차부(25)가 구비된다. 단차부(25)는 수지 케이싱(2b)에 복수개(여기에서는, 4개) 구비된다. 단차부(25)는, 수지 케이싱(2b)은 축방향으로 같은 위치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3b)는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접촉부(311)를 구비한다. 접촉부(311)는 수지 케이싱(2b)을 커버(3b)에 압입했을 때, 접촉부(311)가 단차부(25)와 접촉한다. 접촉부(311)는 단차부(25)의 압입 방향(도 9에 있어서, 제 1 방향(Op)측)의 면과 접촉한다.
또한, 커버(3b)의 둘레방향에 이웃하는 접촉부(311) 사이의 부분은, 축방향을 따라서 접촉부(311)보다 개구측(도 9에 있어서, 제 2 방향(Or)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터(B)에서는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의 외통부(620)에는 수지 케이싱(2b)이 직접 압입된다.
이 단차부(25)는 모터(B)를 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의 볼록부이다. 그 때문에, 단차부(25)에는 나사 등의 고정구를 관통하기 위한 부착 구멍을 구비한다. 그리고, 수지 케이싱(2b)과 동일한 부재로 형성된 단차부(25)와 접촉하는 접촉부(311)를 수지 케이싱(2b)보다 강도가 높은 커버(3b)와 동일한 부재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모터(B)를 강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진동이나 충격 등이 작용해도, 모터(B)가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또, 단차부(25)의 개수 및 위치는 상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B)가 부착되는 장치의 부착 개소(도시하지 않음)의 형상 및 위치 등에 따라서 변경된다.
이것 이외의 특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3. 제 3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모터(C)에서는 스테이터(1c) 및 수지 케이싱(2c)이 다르지만,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모터(A)와 같다. 그 때문에, 모터(C)의 구성의 모터(A)와 실질상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아울러, 같은 부분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C)의 스테이터(1c)에서는 절연체(12)의 제 1 방향(Op)측의 단부에 절연체 코어백부(122)를 갖는다. 그리고, 절연체 코어백부(122)에 크로스오버부(121)가 배치되는 배선부(120c)를 구비한다. 그리고, 수지 케이싱(2c)의 배선부(120c)와 축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오목부(23c)가 형성된다. 즉, 배선부(120c)는 절연체 코어백부(122)의 축방향(제 1 방향(Op)측)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크로스오버(131)는 배선부(120c)의 축방향 끝면에서 배선된다. 그리고, 수지 케이싱(2c)의 축방향 끝면에 오목부(23c)가 위치한다.
그리고, 오목부(23c)의 부분이 박육부(24c)이다. 즉, 간극(Gp)은 배선부(120c)의 축방향 일방측(제 1 방향(Op)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오목부(23c)와 축방향으로 겹치는 커버(3c) 사이에 간극(Gp)이 구비된다. 즉, 모터(C)에서는 절연체(12)의 축방향 일방측에 있어서, 일부에 커버(3c)와 수지 케이싱(2c) 사이에 간극이 구비된다.
수지 케이싱(2c)의 압입부(22)는 외주면에 구비된다. 그 때문에, 커버(3c)에 수지 케이싱(2c)을 압입할 때, 수지 케이싱(2c)의 외주면에 압입시의 힘이 작용한다. 모터(C)에서는 오목부(23c)를 축방향의 제 1 방향(Op)측의 단부에 구비함으로써 압입시의 힘이 오목부(23c)에 집중되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23c) 및 그 근방의 뒤틀림 등의 변형이 억제되고, 수지 케이싱(2c)의 커버(3c)에 대한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수지 케이싱(2c)의 외주면에 간극(Gp)으로부터 연장되는 오목홈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것 이외의 특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4.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또 다른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D)에서는 커버,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d),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d),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d)가 다른 것 이외에, 제 1 실시형태의 모터(A)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모터(D)의 구성에 있어서 모터(A)의 구성과 실질상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같은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1 커버>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D)의 커버는 제 1 커버 부재(3da)와, 제 2 커버 부재(3db)를 구비한다. 즉, 커버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제 1 방향(Op)측)으로부터 수지 케이싱(2)을 덮는 제 1 커버 부재(3da)와, 축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제 2 방향(Or)측)으로부터 수지 케이싱(2)을 덮는 제 2 커버 부재(3db)를 구비한다. 제 1 커버 부재(3da)에는 수지 케이싱(2)의 제 1 방향(Op)측이 압입된다. 또한, 제 2 커버 부재(3db)에는 수지 케이싱(2)의 제 2 방향(Or)측이 삽입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모터(D)에 있어서, 수지 케이싱(2)은 제 1 방향(Op)측이 제 1 커버 부재(3da)에 압입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지 케이싱(2)의 제 2 방향(Or)측이 제 2 커버 부재(3db)에 압입되어도 좋다. 또한, 양쪽이 압입되어도 좋다. 제 1 커버 부재(3da) 및 제 2 커버 부재(3db) 중 어느 커버 부재에 수지 케이싱(2)이 압입될지는, 수지 케이싱(2)의 압입부(22)의 위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4.2 제 1 커버 부재>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버 부재(3da)는 제 1 방향(Op)측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이다. 그리고, 제 1 커버 부재(3da)는 제 2 방향(Or)측의 단부에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플랜지(32)를 구비한다. 즉, 제 1 커버 부재(3da)는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플랜지(32)를 갖는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플랜지(32)는 축방향으로 보아서 사각형(예를 들면 정사각형)이다. 또, 제 1 플랜지(32)는 모터(D)가 부착되는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부착 개소에 부착 가능한 형상이 채용된다.
또한, 제 1 커버 부재(3da)의 저부의 지름방향 중앙과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d)가 동일한 부재로 형성된다. 즉, 회전축(40)은 복수의 베어링(51, 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커버(제 1 커버 부재(3da))가 복수의 베어링의 적어도 하나(베어링(51))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d)와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d)가 동일한 부재로 형성된다. 즉, 제 1 커버 부재(3da),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d) 및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d)가 동일한 부재로 형성된다. 즉,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d)가 제 1 커버 부재(3da) 저부로부터 제 1 방향(Op)측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d)의 제 1 방향(Op)측의 끝면부(610d)의 지름방향 중앙 부분으로부터 제 1 방향(Op)측으로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d)가 돌출한다. 또,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d)는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d)와 동일한 부재, 즉,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d)는 제 1 커버 부재(3da)와 동일한 부재로 형성되지만, 내부에 제 1 베어링(51)을 수납하는 점에 대해서는 모터(A)의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와 같은 역활을 한다. 또한,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d)도 재질이 다르지만, 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72)와 병용함으로써 물, 먼지, 티끌 등의 이물의 혼입을 억제하는 점에 대해서는, 모터(A)의 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71)와 같은 역활을 한다.
<4.3 제 2 커버 부재>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버 부재(3db)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제 2 커버 부재(3db)와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d)가 동일한 부재로 형성된다. 또, 제 2 커버 부재(3db)의 제 2 방향(Or)측의 단부에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d)가 연속해서 형성된다. 또한, 제 2 커버 부재(3db)는 제 1 방향(Op)측의 단부에,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랜지(33)를 구비한다. 즉, 제 2 커버 부재(3db)는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랜지(33)를 갖는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플랜지(33)는 축방향으로 보아서 사각형(예를 들면, 정사각형)이다. 제 2 플랜지(33)는 제 1 플랜지(32)와 축방향으로 겹치는 형상을 갖는다.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d)는 모터(A)의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의 외통부(620)에 닿는 부분이 제 2 커버 부재(3db)와 동일한 부재로 연속하는 것 이외에, 모터(A)에서 사용하는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d)는 제 2 베어링(52)을 수납하는 수납부(621d)를 구비한다. 회전축(40)은 복수의 베어링(51, 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커버(제 2 커버 부재(3db))가 복수의 베어링 중 적어도 하나(베어링(52))를 유지한다.
<4.4 모터의 조립>
수지 케이싱(2)은 제 1 방향(Op)측으로부터 제 1 커버 부재(3da)에 삽입되고, 압입부(22)가 제 1 커버 부재(3da)에 압입된다. 한편, 제 2 커버 부재(3db)는 수지 케이싱(2)을 덮을 뿐으로, 압입은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수지 케이싱(2)의 제 2 방향(Or)측의 부분이 삽입된 제 2 커버 부재(3db)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제 2 플랜지(33)의 제 1 방향(Op)측의 면에 제 1 방향(Op)측으로 돌출하는 돌기(330)가 구비된다. 돌기(330)는 제 1 플랜지(32)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320)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플랜지(32)와 제 2 플랜지(33), 즉, 제 1 커버 부재(3da)와 제 2 커버 부재(3db)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조정된다.
제 1 플랜지(32) 및 제 2 플랜지(33)는 제 1 커버 부재(3da)와 제 2 커버 부재(3db)를 서로 고정한다. 그 때문에, 제 1 플랜지(32) 및 제 2 플랜지(33)에는 고정구(여기에서는,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 고정 구멍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플랜지(32) 및 제 2 플랜지(33)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제 1 커버 부재(3da) 및 제 2 커버 부재(3db)가 서로 고정된다. 즉, 제 1 커버 부재(3da) 및 제 2 커버 부재(3db)는 수지 케이싱(2)을 덮었을 때, 제 1 플랜지(32)와 제 2 플랜지(33)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수지 케이싱(2)이 제 1 커버 부재(3da)에 압입되고, 제 2 커버 부재(3db)가 제 1 커버 부재(3da)의 제 1 플랜지(32)에 제 2 플랜지(33)를 개재해서 고정된다. 그 때문에, 수지 케이싱(2)에 덮여진 스테이터(1)와,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의 상대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회전축(40)은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모터(D)에서는 수지 케이싱(2)이 압입되는 제 1 커버 부재(3da) 및 덮는 제 2 커버 부재(3db)에 부착된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에서 회전축(40)을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로터(4)가 스테이터(1)의 내부에 지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짐과 아울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 1 커버 부재(3da)와 제 2 커버 부재(3db)로 수지 케이싱(2)을 덮음으로써 압입부(22)가 압입되는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수지 케이싱(2)이나 커버에 작용하는 힘을 줄여, 수지 케이싱(2)이나 커버의 뒤틀림, 어긋남 등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것으로부터, 스테이터(1)와 로터(4)를 정확하게 위치맞춤 가능하여 모터(D)의 능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4.5 변형예>
<4.5.1 변형예 1>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모터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변형예의 수지 케이싱 및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다. 도 13에 나타내는 모터(D1)는, 수지 케이싱(2d1), 제 1 커버 부재(3da1) 및 제 2 커버 부재(3db1)가 다른 것 이외에, 도 11, 도 12에 나타낸 모터(D)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실질상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아울러, 같은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모터(D1)에서는, 수지 케이싱(2d1)의 외주면에 제 1 단차부(25d1)와, 제 2 단차부(25d2)를 구비한다. 제 1 단차부(25d1)는 압입부(22)보다 제 1 방향(Op)측에 구비된다. 제 1 단차부(25d1)는 제 1 방향(Op)측이 오목한 단차이다. 제 1 단차부(25d2)는 압입부(22)보다 제 2 방향(Or)측에 구비된다. 제 2 단차부(25d2)는 제 2 방향(Or)측이 오목한 단차이다.
제 1 커버 부재(3da1)는 수지 케이싱(2d1)이 내부에 압입되었을 때, 수지 케이싱(2d1)의 단차부(25d1)와 겹치는 위치에 접촉부(34d)를 구비한다. 접촉부(34d)는 통형상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잘라서 절곡한 형상을 갖는다. 접촉부(34d)는 압입 방향의 앞쪽(도 13에 있어서, 제 2 방향(Or)측)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수지 케이싱(2d1)이 일정한 깊이까지 압입되면, 접촉부(34d)의 선단이 단차부(25d1)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수지 케이싱(2d1)의 제 1 커버 부재(3da1)에 대한 압입시의 축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제 2 커버 부재(3db1)는 수지 케이싱(2d1)의 제 2 방향(Or)의 외면을 덮어서 부착되었을 때, 수지 케이싱(2d1)의 단차부(25d2)와 겹치는 위치에 접촉부(35d)를 구비한다. 접촉부(35d)는 통형상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잘라서 절곡한 형상을 갖는다. 접촉부(35d)는 압입 방향의 깊이측(내측)(도 13에 있어서, 제 1 방향(Op)측)이, 내측으로 절곡되어서 형성된다. 그리고, 수지 케이싱(2d1)이 일정한 깊이까지 삽입되면, 접촉부(35d)의 선단이 단차부(25d2)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수지 케이싱(2d1)의 제 2 커버 부재(3db1)에 대한 삽입시의 축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상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케이싱(2d1)을 제 1 커버 부재(3da1)에 압입할 때, 및, 수지 케이싱(2d1)을 제 2 커버 부재(3db1)에 삽입할 때, 필요 이상으로 압입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지 케이싱(2d1), 제 1 커버 부재(3da1) 및 제 2 커버 부재(3db1)의 변형을 억제하고, 모터(D1)의 능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4.5.2 변형예 2>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모터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다른 변형예의 수지 케이싱 및 커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다. 도 14는 모터(D2)의 제 1 방향의 단부의 지름방향 중앙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모터(D2)는 수지 케이싱(2), 제 1 커버 부재(3da2) 및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가 다른 것 이외에, 도 11, 도 12에 나타낸 모터(D)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모터(D2)의 구성에 있어서 실질상 모터(D)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아울러, 같은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모터(D2)에서는, 수지 케이싱(2) 및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는 제1실시형태의 모터(A)와 같은 구성이다. 즉,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가 수지 케이싱(2)의 수지 케이싱 구멍(20)에 배치되고, 베어링 플랜지(611)가 수지 케이싱(2)에 인서트 성형된다. 그리고, 제 1 커버 부재(3da2)는 제 1 방향(Op)측의 단부에 커버 구멍(30)을 구비하고 있고, 케이싱 접촉부(31)가 수지 케이싱(2)의 오목구멍(21)을 누른다. 즉, 제 1 커버 부재(3da2)와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가 다른 부재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커버 부재(3da2)에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한 경우에도 제 1 베어링(51)이 영향을 받지 않거나 또는 받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모터(D2)의 회전이 흩어지기 어렵고, 모터(D2)에 능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5. 제 5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E)에서는 수지 케이싱(2e), 제 2 커버 부재(3eb)가 다른 것 이외에, 제 4 실시형태의 모터(D)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모터(E)의 구성에 있어서 모터(D)의 구성과 실질상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같은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E)의 수지 케이싱(2e)은 외주면의 압입부(22)보다 제 2 방향(Or) 근처에,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단차부(25e)를 구비한다. 또, 단차부(25e)는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모터(B)가 구비하는 단차부(25)와 축방향의 위치가 다르지만, 같은 형상을 갖고 또한 같은 목적으로 구비된다. 즉, 단차부(25e)는 수지 케이싱(2e)에 4개 구비되고,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제 1 커버 부재(3da)의 제 1 플랜지(32)가 단차부(25e)의 제 1 방향(Op)측의 면과 접촉한다. 그리고, 수지 케이싱(2e)의 제 2 방향(Or)측은 제 2 커버 부재(3eb)가 덮는다. 제 2 커버 부재(3eb)는 제 1 커버 부재(3da)의 제 1 플랜지(32)와 접촉하는 제 2 플랜지(33e)와, 단차부(25e)의 제 2 방향(Or)측의 면과 접촉하는 접촉부(35e)를 구비한다. 제 2 플랜지(33e) 및 접촉부(35e)는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즉, 제 2 플랜지(33e)가 둘레방향의 일부(여기에서는, 4개소)가 제 2 방향(Or)측으로 어긋난 위치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촉부(35e)를 구비한 구성과 같다.
이와 같이, 수지 케이싱(2e)이 단차부(25e)를 구비함으로써 제 1 커버 부재(3da)로의 압입시의 축방향의 위치결정이 용이해진다. 마찬가지로, 제 2 커버 부재(3eb)의 수지 케이싱(2e)에 대한 축방향의 위치결정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모터(E)는 사용 기간이 연장되면, 수지 케이싱(2e)을 구성하는 수지의 경년 변화에 의해 압입부(22)의 외경이 작아질 경우가 있다. 이 때, 압입에 의한 수지 케이싱(2e)의 제 1 커버 부재(2da)에 대한 고정이 약해진다. 모터(E)의 경우, 부착 위치에 제 1 플랜지(32)와 접촉부(35e)와 함께 단차부(25e)도 고정된다. 그 때문에, 압입에 의한 고정이 약해져도 수지 케이싱(2e)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것에 의해, 장기간의 사용이여도 모터(E)의 능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특징에 대해서는 제 4 실시형태와 같다.
<6. 제 6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F)는 수지 케이싱(2e), 제 2 커버 부재(3fb) 및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가 다른 것 이외에, 제 4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인 모터(D2)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커버 부재(3fb)와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가 별체이다. 그리고, 모터(F)는 부착 위치에 제 1 커버 부재(3da2)의 제 1 플랜지(32)와, 제 2 커버 부재(3fb)의 접촉부(331f)와 함께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커버 부재(3da2) 및 제 2 커버 부재(3fb)의 어느 한쪽의 부착 상태가 불안정해져도, 다른쪽 및 수지 케이싱(2e)이 고정되기 때문에 모터(F)의 동작이 불안정해지기 어렵다. 또한, 제 2 커버 부재(3fb)와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가 별체이기 때문에 제 2 커버 부재(3fb)의 부착이 불안정해졌을 경우에도, 제 2 베어링 수납 부재(62)는 수지 케이싱(2e), 즉, 제 1 베어링 수납 부재(61)와의 상대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모터(F)가 안정되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특징에 대해서는 제 5 실시형태와 같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이면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선풍기 등을 구동하는 모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A…모터, A1…모터, A2…모터, B…모터, C…모터, D…모터, D1…모터, D2…모터, E…모터, F…모터, 1…스테이터, 11…스테이터 코어, 111…코어백부, 112…티스부, 12…절연체, 120…배선부, 121…절연체 티스부, 122…절연체 코어백부, 13…권선, 130…크로스오버부, 2…수지 케이싱, 20…수지 케이싱 구멍, 200…오목홈, 201…홈, 2011…홈, 2012…홈, 202…구멍, 21…오목구멍, 22…압입부, 23…오목부, 231…돌출부, 24…박육부, 25…단차부, 25e…단차부, 3…커버, 300…커버 압입부, 3b…커버, 3c…커버, 3da…제 1 커버 부재, 3db…제 2 커버 부재, 3ea…제 1 커버 부재, 3eb…제 2 커버 부재, 30…커버 구멍, 31…케이싱 접촉부, 310…관통부, 311…접촉부, 3111…연신부, 312…도전부, 313…도전부, 314…도전부, 32…제 1 플랜지, 33…제 2 플랜지, 33e…제 2 플랜지, 4…로터, 40…회전축, 411…통형상 부재, 412…축지지 부재, 400…홈, 401…축 리테이닝 링, 402…축 리테이닝 링, 42…마그넷, 43…몰드부, 51…제 1 베어링, 52…제 2 베어링, 61…제 1 베어링 수납 부재, 61d…제 1 베어링 수납 부재, 610…끝면부, 610d…끝면부, 611…베어링 플랜지, 62…제 2 베어링 수납 부재, 62d…제 2 베어링 수납 부재, 620…외통부, 621…수납부, 71…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 71d…베어링측 침입 방지 부재, 72…샤프트측 침입 방지 부재, Bd…기판, Is…보호 시트

Claims (12)

  1.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주면과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테이터 코어에 절연체를 개재해서 권회된 복수의 권선을 갖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적어도 상기 절연체 및 상기 권선을 밀봉하는 수지 케이싱과,
    상기 수지 케이싱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절연체의 지름방향 바깥쪽 및 상기 절연체의 축방향 일방측의 적어도 한쪽의 수지 케이싱을 덮고,
    상기 절연체의 지름방향 바깥쪽 및 상기 절연체의 축방향 일방측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에 상기 커버와 상기 수지 케이싱 사이에 간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크로스오버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절연체는 상기 크로스오버부가 배선되는 배선부를 갖고,
    상기 간극은 상기 배선부의 지름방향 바깥쪽 및 축방향 일방측의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는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케이싱의 외주면은 상기 간극과 접하는 부분에 오목부를 구비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환형상의 코어백부와,
    상기 코어백부로부터 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티스부를 갖고,
    상기 절연체는,
    상기 티스부를 덮는 절연체 티스부와,
    상기 코어백부의 적어도 축방향 단부를 덮는 절연체 코어백부를 갖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절연체 코어백부의 축방향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크로스오버는 상기 배선부의 지름방향 외측면에서 배선되고,
    상기 수지 케이싱의 외주면에 상기 오목부가 위치하는 모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환형상의 코어백부와,
    상기 코어백부로부터 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티스부를 갖고,
    상기 절연체는,
    상기 티스부를 덮는 절연체 티스부와,
    상기 코어백부의 적어도 축방향 단부를 덮는 절연체 코어백부를 갖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절연체 코어백부의 축방향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크로스오버는 상기 배선부의 축방향 끝면에서 배선되고,
    상기 수지 케이싱의 축방향 끝면에 상기 오목부가 위치하는 모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케이싱의 외주면에는 상기 간극으로부터 연장되는 오목홈을 구비한 모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이며,
    상기 수지 케이싱은 상기 커버의 내부에 압입되는 압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는 상기 수지 케이싱을 지름방향으로 보아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겹치는 모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경은 상기 수지 케이싱의 압입 방향을 향해서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모터.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경은 상기 수지 케이싱의 압입 방향을 향해서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모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수지 케이싱을 덮는 제 1 커버 부재와,
    축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수지 케이싱을 덮는 제 2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버 부재는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플랜지를 갖고,
    상기 제 2 커버 부재는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랜지를 갖고,
    상기 제 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 2 커버 부재는 상기 수지 케이싱을 덮었을 때, 상기 제 1 플랜지와 상기 제 2 플랜지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모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복수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복수의 베어링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하는 모터.
KR1020197025952A 2017-03-31 2018-02-02 모터 KR201901111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2725 2017-03-31
JP2017072725 2017-03-31
PCT/JP2018/003654 WO2018179830A1 (ja) 2017-03-31 2018-02-02 モ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112A true KR20190111112A (ko) 2019-10-01

Family

ID=6367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952A KR20190111112A (ko) 2017-03-31 2018-02-02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02660B2 (ko)
KR (1) KR20190111112A (ko)
CN (1) CN110476332B (ko)
WO (1) WO201817983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1935A (ja) 1996-03-19 1997-10-03 Shibaura Eng Works Co Ltd ブラシレスdc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3586U (ko) * 1988-08-25 1990-03-02
JPH05300699A (ja) * 1992-02-19 1993-11-12 Fuji Electric Co Ltd 外扇形レジンモールドモータ
JP2000188841A (ja) * 1998-12-21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cブラシレスモ−タ
JP2004147467A (ja) * 2002-10-28 2004-05-20 Aichi Electric Co Ltd 電動機
JP4295499B2 (ja) * 2002-12-20 2009-07-15 東芝産業機器製造株式会社 モールドモータおよびモールドモータの製造方法
JP4527602B2 (ja) * 2005-05-30 2010-08-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テータコイルの製造方法
JP2009112065A (ja) * 2007-10-26 2009-05-21 Panasonic Corp モールドモータ
JP5257603B2 (ja) * 2008-12-12 2013-08-07 株式会社安川電機 電動機
JP5552631B2 (ja) * 2009-08-07 2014-07-16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コンデンサ形単相誘導電動機
JP5663451B2 (ja) * 2011-10-19 2015-02-04 株式会社安川電機 固定子および回転電機
JP6057050B2 (ja) * 2012-03-23 2017-01-1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モールドモータ
JP6079253B2 (ja) * 2013-01-18 2017-02-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電動機
JP6175708B2 (ja) * 2013-02-18 2017-08-09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モータ
JP2014187754A (ja) * 2013-03-22 2014-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の回転子、電動機、空気調和機、および電動機の回転子の製造方法
JP6243208B2 (ja) * 2013-11-28 2017-12-06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6476623B2 (ja) * 2014-07-14 2019-03-0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1935A (ja) 1996-03-19 1997-10-03 Shibaura Eng Works Co Ltd ブラシレスdc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9830A1 (ja) 2018-10-04
CN110476332A (zh) 2019-11-19
CN110476332B (zh) 2022-09-06
JPWO2018179830A1 (ja) 2020-02-06
JP7102660B2 (ja)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9543A (ko) 모터
KR20190111111A (ko) 모터
JP6789396B2 (ja) 回転子、電動機、送風機、空気調和装置および回転子の製造方法
JP5892106B2 (ja) 回転電機及び回転子の製造方法
EP1670118B1 (en) Rotor of motor
WO2018037449A1 (ja) コンシクエントポール型の回転子、電動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6545393B2 (ja) コンシクエントポール型の回転子、電動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0158094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EP3379697A1 (en) Permanent magnet electric motor
KR20190111113A (ko) 모터
JP7486629B2 (ja) 回転子、電動機、送風機、空気調和装置、及び回転子の製造方法
KR102523835B1 (ko) 로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4386909B2 (ja) モータ
KR20190111112A (ko) 모터
JP2020010539A (ja) ロ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1166984A (ja) モータ
JP7258213B2 (ja) ステータ、電動機、送風機、空気調和装置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07295637A (ja) 電動モータ
JP2020124057A (ja) 回転電機のインシュレータ
JP7092477B2 (ja) 回転電機ステータ
JP7301972B2 (ja) 電動機、送風機、空気調和装置および電動機の製造方法
JP7002359B2 (ja) 回転電機および軸受構造
US20230050704A1 (en) Rotor and motor comprising same
WO2019064747A1 (ja) ロータ及びそのロータを備えたモータ
CN115995897A (zh) 磁铁埋入型马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