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102A - 방사선 촬영 시스템, 정보 단말기, 방사선 촬영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 시스템, 정보 단말기, 방사선 촬영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102A
KR20190111102A KR1020197025496A KR20197025496A KR20190111102A KR 20190111102 A KR20190111102 A KR 20190111102A KR 1020197025496 A KR1020197025496 A KR 1020197025496A KR 20197025496 A KR20197025496 A KR 20197025496A KR 20190111102 A KR20190111102 A KR 20190111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adiographic
image processing
radiographic imaging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681B1 (ko
Inventor
히로히데 다치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94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using additional data, e.g. patient information, image labeling, acquisi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66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4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involving a plurality of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3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image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화상 처리 수단으로부터 정보 단말기로의 제1 화상의 송신이 불가능 또는 지연된 경우라도,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방사선 촬영을 행하여, 검출된 방사선에 기초하여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사선 촬영 수단과,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1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1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화상을 정보 단말기로 송신 가능한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2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정보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Description

방사선 촬영 시스템, 정보 단말기, 방사선 촬영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 정보 단말기, 방사선 촬영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 있어서, 환자의 수술 후 경과 관찰 등의 목적으로 방사선 촬영을 실시할 때, 환자의 양태에 따라서는, 환자를 방사선 촬영실로 이송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에 대응하기 위해, 환자의 입원병동을 순회하여 병실에서 방사선 촬영을 실시하는 방사선 촬영용 회진차 등(이하, 「회진차」라 칭함)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회진차는, 방사선 발생 장치, FPD(Flat Panel Detector), 화상 처리 컨트롤러, 및 화상 처리 컨트롤러와 접속된 모니터를 구비한다. FPD에 의해 취득된 방사선 화상은, 화상 처리 컨트롤러로 송신되고, 화상 처리 컨트롤러에서 화상 처리가 실시되어, 모니터에 표시된다.
근년, 회진차에 의한 촬영을 행할 때, 병실을 순회하기 위한 운반물을 저감하여, 효율적인 촬영을 실시하고 싶다는 요망이 존재한다. 따라서, 방사선 촬영의 조작 등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화상 처리가 실시된 방사선 화상이, 휴대 단말기로 송신되어,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조작자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방사선 화상을 확인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344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0040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회진차에 의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운용에서는, FPD, 화상 처리 컨트롤러, 휴대 단말기, 액세스 포인트, 및 LAN 회선이 연계되어, 방사선 화상의 화상 처리를 실현하고, 화상 처리가 실시된 방사선 화상이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다.
따라서, 방사선 화상 촬영 시에, 통신 경로인 액세스 포인트 및 LAN 회선 또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화상 처리가 실시된 방사선 화상이 휴대 단말기로 송신되지 않거나, 지연되어 송신되거나 한다. 이 경우, 조작자는, 화상 처리가 실시된 방사선 화상을 휴대 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없다. 또한, 방사선 화상을 휴대 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조작자는, 다음 방사선 화상의 촬영으로 이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방사선 촬영을 행하여, 검출된 방사선에 기초하여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사선 촬영 수단과,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1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1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화상을 정보 단말기로 송신 가능한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이며,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2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정보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가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확인하는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비파괴 검사 장치, 및 방사선을 사용한 분석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방사선 촬영 장치(예를 들어, FPD)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방사선 발생 장치(10), 방사선 촬영 장치(11), 휴대 단말기(정보 단말기)(12), LAN 회선(15)의 액세스 포인트(13), 방사선 화상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화상 처리 수단)(14), LAN 회선(15), 피검자의 검사 정보(피검자 정보를 포함함)를 관리하는 RIS(Radiology Information System)(16), 및 촬영 화상을 관리하는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17)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 장치(11) 및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와 통신 가능하다.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에 관한 각종 기기의 조작을 실행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12)는 태블릿형 단말기나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성을 갖지만,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와 상이한 단말기이면, 휴대성의 유무에 관계없이, 각종 정보 단말기가 적용 가능하다. LAN 회선(15)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도 1의 의료용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방사선 발생 장치(10)로부터 폭사(曝射)된 방사선을, 방사선이 피검자의 신체를 투과하는 위치에 배치된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검지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방사선 촬영을 행하여, 검출된 방사선에 기초하여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방사선의 투과량에 따라서 방사선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사선 화상을, 액세스 포인트(13) 및 LAN 회선(15)을 통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송신한다.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1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1 화상을 생성하고, 제1 화상을 휴대 단말기(12)로 송신 가능하다.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수신한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1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시인성이 높은 제1 화상으로 변환하고, 제1 화상을, LAN 회선(15) 및 액세스 포인트(13)를 통해, 휴대 단말기(12)로 송신한다.
제1 화상 처리가 실시된 방사선 화상을 수신한 휴대 단말기(12)는, 동 화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조작자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방사선 화상을 확인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조작자는, 휴대 단말기(12)를 조작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결정하고, 방사선 촬영이 성공한 경우에는, 다음 방사선 촬영으로 이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2)를 사용함으로써, 회진차에 전용의 모니터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져, 병실을 순회하기 위한 운반물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를 회진차에 탑재하는 대신에, 원내의 LAN 회선(15) 상에, 처리 능력이 높은 공유 서버로서 접속 배치함으로써, 병실을 순회하기 위한 운반물을 더 삭감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센서부(101), 판독 제어부(102), 전원(103), 버스(104), CPU(처리부)(105), DRAM(106), 불휘발성 메모리(107), 화상 처리부(108), 조작부(109) 및 무선 통신부(110)를 구비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간이 화상 처리(제2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2 화상을 생성하고, 제2 화상을 휴대 단말기(12)에 송신한다.
센서부(101)는, 입사된 방사선을 전하 분포 정보(방사선 정보)로 변환한다. 판독 제어부(102)는, 센서부(101)에 축적된 전하 분포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치환하여, DRAM(106) 등으로 판독을 행한다. 전원(103)은,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파워 소스가 된다. 버스(104)는, 방사선 촬영 장치(11) 내의 각 블록을 접속하여, 데이터의 쌍방향 통신을 실현한다. CPU(처리부)(105)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제어를 행한다.
DRAM(106)은,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축적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이용된다. Flash RO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107)는, CPU(105)의 실행 코드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기억에 사용된다. 화상 처리부(108)는, 센서부(101)로부터 DRAM(106)에 판독된 방사선 화상에 간이 화상 처리(제2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조작부(109)는, 휴대 단말기(12)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입력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WiFi(등록 상표) 등의 임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방사선 화상이나 간이 화상 처리된 방사선 화상을 외부 기기에 전송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12)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방사선 촬영 시스템이 회진차에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회진차로서의 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조작자는, 휴대 단말기(12)를 조작하여, RIS(16)로부터, 방사선 촬영을 실시하는 피검자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301). 촬영 대상의 피검자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302). 피검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조작자는, 회진차를 조작하여, 피검자가 기다리는 병실로 향한다. 이때, 회진차에는, 적어도 방사선 발생 장치(10)와 방사선 촬영 장치(11)와 휴대 단말기(12)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2)가 스마트폰 등의 소형의 휴대 단말기인 경우, 조작자가 휴대 단말기(12)를 휴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 대상의 피검자에 대한 방사선 촬영의 준비가 갖추어지면, 조작자는, 휴대 단말기(12)로부터 방사선 촬영의 개시 조작을 실시한다(스텝 303). 방사선 촬영이 개시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촬영 개시를 통지한다(스텝 304).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촬영 개시의 통지를 받아(스텝 201), 방사선의 폭사 개시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202). 또한, 여기에서의 폭사 개시의 대기는,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방사선 발생 장치(10)로부터의 전기적 트리거 신호의 수신을 대기함으로써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폭사 개시의 대기는,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방사선 발생 장치(10)로부터의 방사선 조사의 자동 검지를 대기함으로써 실시되어도 된다.
조작자는, 방사선 발생 장치(10)를 조작하여 방사선의 폭사를 행하여, 방사선 촬영을 실시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2)에 의한 방사선 발생 장치(10)의 조작이 가능한 경우에는, 조작자가 휴대 단말기(12)를 조작하여, 방사선 폭사를 실시해도 된다.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방사선 발생 장치(10)에 의한 방사선의 폭사를 검지하면(스텝 203), 방사선 정보의 축적을 개시한다(스텝 204).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센서부(101)는, 방사선을 전하 분포 정보로서 축적한다.
전하 분포 정보의 축적이 완료된 경우(스텝 205),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CPU(105)는, 판독 제어부(102)에 명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판독 제어부(102)는, 센서부(101)에 축적된 전하 분포 정보를 A/D 변환하고, 버스(104) 경유로, DRAM(106)에 축차적으로 판독, 기억시킨다(스텝 206). DRAM(106)에 기억된 디지털 데이터(전하 분포 정보)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가 된다. CPU(105)는, 무선 통신부(110)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13) 및 LAN 회선(15)을 통해,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 전송한다(스텝 207). 또한, 방사선 화상 데이터는, 전하 분포 정보의 디지털 데이터에 한하지 않고, 당해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촬영 화상이어도 된다.
또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전송(스텝 207)을 개시하기 전에, CPU(105) 또는 화상 처리부(108)가, 게인 보정이나 불량 픽셀 보정 등의 프리 화상 처리를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실시해도 된다.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전송(스텝 207)과 함께,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CPU(105)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화상 처리부(108)로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간이 화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208). 또한, 간이 화상 처리는, 화상 처리부(108) 대신에, CPU(105)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 장치(11)로 촬영 개시를 통지하면(스텝 304),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해 화상 처리된 방사선 화상(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의 수신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305). 휴대 단말기(12)는, 스텝 305에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화상의 수신의 대기 상태로 이행하면, 스텝 306에 있어서, 당해 화상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의해 간이 화상 처리된 방사선 화상(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의 수신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307).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스텝 306 후에 스텝 307로 처리가 이행되고 있지만, 스텝 305 및 306에 있어서의 화상의 대기 및 수신 판단 처리, 및 스텝 307 및 308에 있어서의 화상의 대기 및 수신 판단 처리는 병렬로 행해져도 된다.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수신한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대해, 휘도 최적화 조정, 에지 강조, 스무딩, 및 콘트라스트 보정 등이 고도의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고도의 화상 처리 후, LAN 회선(15) 및 액세스 포인트(13)를 통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제1 화상)을 휴대 단말기(12)로 송신한다.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의 화상 처리와 병행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스텝 208의 간이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통신 경로인 액세스 포인트(13) 및 LAN 회선(15)이나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스텝 207에서 개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전송 처리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지연되거나 한다. 이 경우, 스텝 210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전송 처리가 완료되기 전에, 스텝 209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화상 처리부(108)에 의한 간이 화상 처리가 완료되는 것이 상정된다.
이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CPU(105)는, 스텝 318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12)로부터의 촬영 완료의 통지를 확인한다(스텝 211).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제1 화상 및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의 제2 화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입력함으로써,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방사선 촬영의 완료를 통지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지 않으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스텝 211에 있어서 방사선 촬영의 완료가 통지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전송 처리가 완료되기 전에, 화상 처리부(108)에 의한 간이 화상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스텝 211에 있어서 방사선 촬영의 완료를 수신할 수 없다고 상정된다.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방사선 촬영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212에서 간이 화상 처리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후, 액세스 포인트(13)를 통해,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제2 화상)을 휴대 단말기(12)로 송신한다(스텝 214).
이에 반해, 스텝 209에서 간이 화상 처리가 완료되기 전에, 스텝 210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CPU(105)는, 스텝 318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12)로부터의 촬영 완료의 통지를 확인한다(스텝 211).
스텝 210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전송 처리가 완료되어도,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지연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통신 경로나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 휴대 단말기(12)로의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의 전송 처리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지연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경우, 휴대 단말기(12)에 있어서, 방사선 촬영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상정된다.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스텝 211에서 촬영 완료의 통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의한 간이 화상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스텝 212). 간이 화상 처리가 완료된 경우, CPU(105)는, 액세스 포인트(13) 경유로,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제2 화상)을 휴대 단말기(12)로 송신한다(스텝 214).
이와 같이,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휴대 단말기(12)로부터 방사선 촬영의 완료의 통지를 대기하고,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 후, 휴대 단말기(12)로부터 촬영 완료의 통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제2 화상을 휴대 단말기(12)에 송신한다.
상기 어느 경우도, 휴대 단말기(12)는, 스텝 306에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을 수신하기 전에,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의 간이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을 수신한다(스텝 308). 이 때문에,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의 간이 화상 처리 완료 화상(제2 화상)을 표시하고(스텝 309), 조작자는, 휴대 단말기(12)에 표시된 제2 화상을 확인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 310).
스텝 310에서, 휴대 단말기(12)는, 제2 화상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능을 입력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2)가 제2 화상을 PACS(17)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 또는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제2 화상을 PACS(17)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를 실행해도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12)는, 제2 화상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능을 입력한 경우에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가 제1 화상을 PACS(17)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를 실행해도 된다.
스텝 310에서, 휴대 단말기(12)는, 제2 화상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불가를 입력한 경우(방사선 촬영이 실패한 경우)에는, 재촬영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2)는, 필요에 따라, 방사선 발생 장치(10)에 재촬영의 실시를 통지한다(스텝 311).
그 후, 방사선 촬영의 가부에 관계없이, 휴대 단말기(12)는, 제2 화상을 사용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의 판단을 실시한 것 및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피검자 정보나 검사 정보에 부여되는 정보 ID와 제2 화상에 관련지어 기록한다(스텝 312). 이것은, 후에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방사선 화상을 특정하기 위해서이다.
스텝 312에 이어서,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통지하고(스텝 318), 촬영을 종료한다.
한편,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가 지체없이 완료된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의 간이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을 수신하기 전에, 스텝 306에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을 수신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을 표시하고(스텝 313), 조작자는, 휴대 단말기(12)에 표시된 방사선 화상을 확인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 314).
스텝 314에서 방사선 촬영이 실패한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제1 화상)을 파기하도록,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통지한다(스텝 315).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2)는, 제1 화상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불가를 입력한 경우에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가 제1 화상을 파기하기 위한 지시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314에서 방사선 촬영이 실패한 경우, 재촬영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2)는, 필요에 따라, 방사선 발생 장치(10)에 재촬영의 실시를 통지한다(스텝 316). 스텝 316에 이어서,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촬영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통지하고(스텝 318), 촬영을 종료한다.
스텝 314에서 방사선 촬영이 성공한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촬영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통지한다(스텝 317). 그리고,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을 PACS(화상 관리 수단)(17)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2)는, 제1 화상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능을 입력한 경우(방사선 촬영이 성공한 경우)에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가 제1 화상을 PACS(17)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를 실행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2)는, 제1 화상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능을 입력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2)가 제1 화상을 PACS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를 실행해도 된다.
스텝 317에 이어서,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촬영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통지하고(스텝 318), 촬영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317 외에, 휴대 단말기(12)는, 제1 화상 및 제2 화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입력함으로써,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방사선 촬영의 완료를 통지해도 된다.
휴대 단말기(12)가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의 대기 상태인 동안(스텝 305 내지 스텝 308), 방사선 촬영 장치(FPD)(11)의 CPU(105) 또는 화상 처리부(108)는, 간이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스텝 208).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스텝 209에서 간이 화상 처리가 완료되기 전에, 휴대 단말기(12)로부터의 촬영 완료를 수신하면(스텝 211, 스텝 318), CPU(105) 또는 화상 처리부(108)는, 간이 화상 처리를 중지하고(스텝 213), 다음 촬영에 대비한다.
이와 같이,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 후에, 휴대 단말기(12)로부터 촬영 완료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 제2 화상 처리의 중지를 행한다. 또한, 이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제2 화상을 파기해도 된다.
한편,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스텝 209에서 간이 화상 처리가 완료되기 전에, 휴대 단말기(12)로부터의 촬영 완료를 수신하지 않으면(스텝 211, 스텝 318),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CPU(105) 또는 화상 처리부(108)는, 간이 화상 처리를 계속한다.
그리고,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휴대 단말기(12)로부터의 촬영 완료의 통지를 수신하기 전에, 간이 화상 처리가 완료된 경우(스텝 212), 간이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을 휴대 단말기(12)로 송신한다(스텝 214). 간이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을 휴대 단말기(12)로 송신하면(스텝 214),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CPU(105)는, 휴대 단말기(12)로부터의 촬영 완료의 통지를 기다리고(스텝 215), 촬영 완료의 통지를 수신하면, 촬영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휴대 단말기(12)는, 제1 화상 및 제2 화상 중 빨리 수신한 화상을 표시한다. 방사선 화상의 촬영(방사선 정보의 축적) 후,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해 생성된 제1 화상과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의해 생성된 제2 화상 중, 휴대 단말기(12)에 빨리 도달한 화상이 휴대 단말기(12)에 표시되어, 방사선 촬영의 가부가 판단된다. 휴대 단말기(12)는, 제1 화상 및 제2 화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입력한다.
따라서, 통신 장애나 기기 불량 등에 의해,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전송 처리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지연되거나 한 경우라도,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의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이용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 휴대 단말기(12)로 제1 화상을 송신하는 경우에, LAN 회선(15) 및 액세스 포인트(13) 등에 통신 장애가 있었을 때,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의 제2 화상을 이용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2)는,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제2 화상)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입력하기 전에,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제1 화상)을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1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화상 처리 컨트롤러(14)가 실시하는 화상 처리와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실시하는 간이 화상 처리에서는, 화상 처리의 레벨이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비교적 고성능의 화상 처리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갖는 데 반해, 방사선 촬영 장치(11)에서는, 화상 처리용 리소스가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보다 뒤떨어지기 때문에, 화상 처리의 레벨이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실시하는 간이 화상 처리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가 실시하는 화상 처리와 비교하여, 화상 처리용 리소스의 부하가 적은 화상 처리이다.
예를 들어, 간이 화상 처리는, 휘도 최적화 조정이나 콘트라스트 보정을 실시하지만, 에지 강조나 스무딩을 실시하지 않는 등, 화상 처리의 항목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의 화상 처리보다도 삭감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또한, 간이 화상 처리는, 화상 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촬영 화상을 씨닝하여 축소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등이 상정된다. 예를 들어, 제2 화상 처리는, 제1 화상 처리가 실시되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보다도 데이터양이 삭감된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된다.
단,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실시하는 간이 화상 처리가, 화상 처리 컨트롤러(14)가 실시하는 화상 처리와 동일한 화상 처리여도 된다. 또한,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실시하는 간이 화상 처리가, 화상 처리 컨트롤러(14)가 실시하는 화상 처리보다도 높은 레벨의 화상 처리여도 된다. 이 경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가 실시하는 화상 처리의 소요 시간이,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실시하는 화상 처리의 소요 시간보다도 짧을 것이 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제2 화상 처리의 처리 시간을, 제1 화상 처리의 처리 시간보다도 짧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상 처리의 처리 공정을, 제1 화상 처리의 처리 공정보다도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312에서 사용되는 정보 ID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운용예로서, 회진차를 들고 있다. 회진차가 복수의 병실을 순회하여, 방사선 촬영을 실시한 후, 회진차의 대기 장소로 되돌아 오는 케이스를 상정한다. 이 경우, 회진차의 순회 중에 촬영한 방사선 화상에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으로 촬영의 가부를 확인한 방사선 화상과,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의한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으로 촬영의 가부를 확인한 방사선 화상이 혼재되어 있다.
회진차가 대기 장소로 되돌아가면, 조작자는, 휴대 단말기(12)를 조작하여, 회진차의 순회 중에,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휴대 단말기(12)에 표시하여, 회진차의 순회 중에 촬영의 가부를 확인할 수 없었던 방사선 화상의 가부를 확인한다. 이 외에, 통상의 촬영 시에도,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사용하여 촬영 가부의 확인을 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도 5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의한 촬영 화상(방사선 화상 데이터)을 정상적으로 대기한다(스텝 401). 또한,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송신되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는, 피검자 정보나 검사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 ID와 함께,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방사선 화상의 촬영을 요구한 휴대 단말기(12)를 식별하는 단말기 ID가 부여된다.
이들 부여 정보를 포함하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가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송신되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수신한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402, 스텝 403). 화상 처리가 완료되면(스텝 404),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단말기 ID를 이용하여,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화상 촬영을 요구한 휴대 단말기(12)에 송신한다(스텝 405).
통신 장애나 기기 불량 등에 의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의 휴대 단말기(12)로의 송신을 성공하지 못한 경우(스텝 406),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파기하고(스텝 410), 대상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의 휴대 단말기(12)로의 송신이 성공한 경우(스텝 406),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의 송신처인 휴대 단말기(12)로부터의 리스폰스를 대기한다(스텝 407). 스텝 317에서 휴대 단말기(12)가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촬영 완료를 통지하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휴대 단말기(12)로부터의 리스폰스인 촬영 완료의 통지를 수신한다(스텝 408). 이 경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이 진단에 이용 가능하다(촬영 성공)고 확인되었음을 인식하고,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PACS(17)로 송신한다(스텝 409). PACS(17)는,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기억한다.
한편, 스텝 408에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가 촬영 완료의 통지를 휴대 단말기(12)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경우나 스텝 315의 화상 파기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제1 화상을 파기하고(스텝 410), 제1 화상 처리를 종료한다.
도 6은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사용하여 촬영 가부의 확인을 하지 않은 경우에, 휴대 단말기(12)가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확인하는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이나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에 관련지어진 아이콘 및 섬네일 등,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에 관한 화상 정보(이하, 「간이 확인 정보」라 함)를 취득한다. 간이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ID(관련 정보)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의한 간이 화상 처리가 실시되기 전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의한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 및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관련짓는다.
조작자에 의해, 휴대 단말기(12)가 간이 확인 정보를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ID를 기초로, 간이 확인 정보에 대응하는 방사선 화상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문의한다(스텝 501).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2)는, 제1 화상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제1 화상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스텝 501에 있어서 화상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의 문의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대하여 실제 실시되지만, MPPS(Modality Performed Procedure Step)에 대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검사 상태를 알 수 있다.
스텝 501의 문의의 결과, 스텝 502에서, 대응하는 화상 ID의 화상 처리가 완료된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확인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방사선 화상에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PACS(17)로 송신하고 있다.
한편, 스텝 502에서, 제1 화상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대응하는 화상 ID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포함함), 휴대 단말기(12)는, 대응하는 화상 ID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가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보존되어 있는지 여부를 문의한다(스텝 503). 촬영 화상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는, 간이 화상 처리가 실시되기 전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2)는, 제1 화상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해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방사선 화상 데이터가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스텝 504에서, 화상 ID에 대응하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가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확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504에서, 화상 ID에 대응하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가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촬영 화상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 송신하도록,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지시한다(스텝 505).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가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송신하도록,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지시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스텝 505의 지시를 수신하고, 화상 ID에 대응하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송신한다.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도 5에서 도시한 일련의 화상 처리를 개시하고, 화상 처리가 완료되면,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을 휴대 단말기(12)에 송신한다(스텝 405). 휴대 단말기(12)는, 스텝 505의 방사선 촬영 장치(11)로의 송신 지시 후,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수신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506).
스텝 507에서, 휴대 단말기(12)가 화상 처리 완료 화상을 수신한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의한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을 표시하고, 조작자는,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판단한다(스텝 509).
스텝 509에서 조작자가 촬영 화상을 진단에 이용 가능하다(방사선 촬영이 성공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촬영의 완료를 통지한다(스텝 511).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촬영 완료의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와 같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PACS(17)로 송신하여 기억시킨다(스텝 409).
한편, 스텝 509에서 조작자가 촬영 화상을 진단에 이용 불가하다(방사선 촬영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ID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2)에 기억되어 있는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PACS(17)로 송신한다(스텝 510). 휴대 단말기(12)는, 제1 화상에 기초하여 방사선 촬영의 불가를 입력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2)가 제2 화상을 PACS(17)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 또는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제2 화상을 PACS(17)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를 실행해도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ID에 대응하는 화상의 파기를,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에 통지한다(스텝 512). 또한, 스텝 512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확인 처리가 종료되어도 된다.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이, 스텝 410에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는,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파기하고,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관한 화상 처리를 종료한다.
(제2 실시 형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기능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본 실시 형태와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 장치(11)와 액세스 포인트(13)의 통신 수단(제1 통신 수단) 외에, 방사선 촬영 장치(11)와 휴대 단말기(12) 간의 통신 수단(제2 통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일례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통신 수단에 대응하기 위해, 무선 통신부(제1 통신부)(110) 외에, 무선 통신부(제2 통신부)(111)가 구비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부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부의 동작과 동일하지만, 방사선 촬영 장치(11)와 휴대 단말기(12) 사이의 통신 수단으로서, 제2 무선 통신부(111)를 이용한 제2 통신 수단이 사용되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제2 통신 수단은,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임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수단이어도 유선 통신 수단이어도 된다.
휴대 단말기(12)는,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 제1 화상을 수신 가능하고,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제2 화상을 수신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통상의 통신 수단인 제1 통신 수단과는 상이한 제2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휴대 단말기(12)로 송신한다. 이에 의해, 방사선 촬영 장치(11)와 화상 처리 컨트롤러(14)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12)와 화상 처리 컨트롤러(14) 사이의 제1 통신 수단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라도,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휴대 단말기(12)로의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송신 가능하다. 이 결과, 제1 통신 수단의 통신이 불가능 또는 소정 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라도, 휴대 단말기(12)에서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2)는,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제2 화상을 수신 가능하다. 휴대 단말기(12)는, 제1 통신 수단의 통신이 불가능 또는 소정 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 제1 통신 수단으로부터 제2 통신 수단으로 전환하여,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제2 화상을 수신 가능해도 된다.
또한, 제1 통신 수단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휴대 단말기(12)는, 제1 통신 수단의 문제를 검지하고, 제2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제1 통신 수단의 무선 채널의 전환을 지시해도 된다. 휴대 단말기(12)는,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제2 화상을 수신 가능하고, 제1 통신 수단의 통신이 불가능 또는 소정 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 제2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제1 통신 수단의 네트워크의 재구축을 행할 수 있다.
제2 통신 수단을 사용한 전환 지시에 의해, 전환된 무선 채널로 네트워크를 재구축하도록,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통신 수단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11)와 휴대 단말기(12)는, 네트워크를 재구축하여,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수단의 통신 속도가 제2 통신 수단보다 고속인 경우, 제2 통신 수단으로 무선 채널의 전환 지시를 송신하고, 무선 채널이 전환된 제1 통신 수단으로 방사선 화상을 휴대 단말기(12)에 송신할 수 있어,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 수단을 실현하는 기기를 리셋함으로써, 제1 통신 수단의 네트워크가 재구축되어도 된다.
또한, 제1 통신 수단보다도 저속인 제2 통신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휴대 단말기(12)로 송신함으로써, 송신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간이 화상 처리는, 휘도 최적화 조정이나 콘트라스트 보정을 실시하지만, 에지 강조나 스무딩을 실시하지 않는 등, 화상 처리의 항목이 화상 처리 컨트롤러(14)의 화상 처리보다도 삭감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또한, 간이 화상 처리는, 화상 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촬영 화상을 씨닝하여 축소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등이 상정된다. 예를 들어, 제2 화상 처리는, 제1 화상 처리가 실시되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보다도 데이터양이 삭감된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된다.
(제3 실시 형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기능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본 실시 형태와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2)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간이 화상 처리(제2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제2 화상)을 생성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도는, 도 1과 마찬가지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화상 처리부(108)가 삭제되어 있어, 간이 화상 처리는, 휴대 단말기(12)에서 실시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촬영 장치(1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12)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촬영 장치(11)와 휴대 단말기(12) 이외의 각 구성부의 동작은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2)가, 조작자에 의해 RIS(16)로부터 피검자 정보를 취득하고(스텝 701), 스텝 702 및 스텝 703을 거쳐,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촬영 개시를 통지한다(스텝 704). 스텝 701부터 스텝 704까지의 휴대 단말기(12)의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방사선 촬영 장치(11)가, 휴대 단말기(12)로부터 촬영 개시의 통지를 받고(스텝 601), 스텝 602부터 스텝 606을 거쳐, 촬영 화상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 송신을 개시한다(스텝 607). 스텝 601부터 스텝 607까지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607 후의 스텝 608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경우, 휴대 단말기(12)로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스텝 609). 또한, 스텝 608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소정 시간 내에 완료되지 않은 경우라도,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타임 아웃 처리하고, 스텝 609로 이행해도 된다.
스텝 607 및 스텝 608의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스텝 609의 휴대 단말기(12)로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보다 우선하여 행하는 것은, 통상의 처리 경로에서의 리스폰스를 저하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방사선 촬영 장치(11)는, 스텝 611에서 휴대 단말기(12)로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기 전에, 휴대 단말기(12)로부터 방사선 촬영의 완료 통지를 수신한 경우(스텝 610), 휴대 단말기(12)로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중지한다(스텝 612).
휴대 단말기(12)는, 스텝 609의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 전송 개시를 대기한다(스텝 705). 휴대 단말기(12)는, 스텝 706에서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수신할 때까지는,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대기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2)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대기한다(스텝 708, 스텝 710).
휴대 단말기(12)는, 스텝 706에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보다 조기에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수신한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간이 화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707). 휴대 단말기(12)는, 간이 화상 처리를 개시하고, 스텝 709에서 간이 화상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는,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대기한다(스텝 711, 스텝 712).
한편, 휴대 단말기(12)는, 스텝 710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의 방사선 화상 데이터보다 조기에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수신한 경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 수신한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표시한다(스텝 714).
또한, 휴대 단말기(12)는, 스텝 712에서, 휴대 단말기(12)에 의한 화상 처리의 완료보다도 조기에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수신한 경우,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 수신한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표시한다(스텝 714).
한편, 휴대 단말기(12)는, 스텝 709에서, 화상 처리 컨트롤러(14)로부터의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의 수신보다도 조기에 휴대 단말기(12)에 의한 화상 처리를 완료한 경우, 휴대 단말기(12)는, 휴대 단말기(12)에 의한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표시한다(스텝 713).
스텝 713 및 스텝 714 이후의 휴대 단말기(12)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단, 휴대 단말기(12)는, 휴대 단말기(12)에 의한 간이 화상 처리 완료된 화상을 이용하여, 방사선 촬영의 가부의 판단을 실시한 것 및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피검자 정보나 검사 정보에 부여되는 정보 ID와 간이 화상 처리 완료 화상과 함께 기록한다(스텝 720). 그리고, 휴대 단말기(12)는, 방사선 촬영 장치(11)에 촬영 완료를 통지한다(스텝 722).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응용예나 적용 범위로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조건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통신 수단보다도 저속인 제2 통신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스텝 609에서, 씨닝하여 축소된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방사선 촬영 장치(11)로부터 휴대 단말기(12)로 송신함으로써, 송신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2 화상 처리는, 제1 화상 처리가 실시되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보다도 데이터양이 삭감된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방사선 촬영 수단은, 제2 화상을 생성하고, 제2 화상을 정보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화상 처리 수단으로부터 정보 단말기로의 제1 화상의 송신이 불가능 또는 지연된 경우라도,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변경·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이 출원은 2017년 2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021559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10 : 방사선 발생 장치
11 : 방사선 촬영 장치(방사선 촬영 수단)
12 : 휴대 단말기(정보 단말기)
13 : 액세스 포인트
14 : 화상 처리 컨트롤러(화상 처리 수단)
15 : LAN 회선
16 : RIS
17 : PACS(화상 관리 수단)
101 : 센서부
102 : 판독 제어부
103 : 전원
104 : 버스
105 : CPU
106 : DRAM
107 : 불휘발성 메모리
108 : 화상 처리부
109 : 조작부
110 : 제1 통신부
111 : 제2 통신부

Claims (20)

  1. 방사선 촬영을 행하여, 검출된 방사선에 기초하여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사선 촬영 수단과,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1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1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화상을 정보 단말기로 송신 가능한 화상 처리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2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정보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제1 화상 및 상기 제2 화상 중 빨리 수신한 화상을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은,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상기 방사선 촬영의 완료의 통지를 대기하고,
    상기 화상 처리 수단으로의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 후,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정보 단말기에 송신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은, 상기 화상 처리 수단으로의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 후에,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화상 처리의 중지 및 상기 제2 화상의 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5. 방사선 촬영을 행하여, 검출된 방사선에 기초하여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사선 촬영 수단과,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1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1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화상을 정보 단말기로 송신 가능한 화상 처리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정보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2 화상을 생성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은, 상기 정보 단말기로의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상기 방사선 촬영의 완료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정보 단말기로의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중지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제2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입력하기 전에,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화상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화상을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제1 화상 및 상기 제2 화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과 상기 화상 처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방사선 촬영의 완료를 통지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제1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화상이 상기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화상이 상기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해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가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가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처리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에 지시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입력하고,
    상기 제1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의 가능을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상기 제1 화상을 화상 관리 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 및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화상 관리 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고,
    상기 제2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의 가능을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화상 관리 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이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화상 관리 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 및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상기 제1 화상을 상기 화상 관리 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제1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의 가부를 입력하고,
    상기 제1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 촬영의 불가를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상기 제2 화상을 화상 관리 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이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화상 관리 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지시, 및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이 상기 제1 화상을 파기하기 위한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화상 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화상을 수신 가능하고,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화상을 수신 가능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화상을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1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통신 수단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화상을 수신 가능한, 방사선 촬영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화상을 수신 가능하고,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제1 통신 수단의 네트워크의 재구축을 행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처리의 처리 시간은, 상기 제1 화상 처리의 처리 시간보다도 짧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처리의 처리 공정들은, 상기 제1 화상 처리의 처리 공정들보다도 적은, 방사선 촬영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처리는, 상기 제1 화상 처리가 실시되는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보다 데이터양이 삭감된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8. 방사선 촬영을 행하여, 검출된 방사선에 기초하여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사선 촬영 수단과 통신 가능하고,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1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1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화상을 정보 단말기로 송신 가능한 화상 처리 수단과 통신 가능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이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생성한 제2 화상을 수신 가능한, 정보 단말기.
  19. 방사선 촬영 수단이, 방사선 촬영을 행하여, 검출된 방사선에 기초하여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화상 처리 수단이,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1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1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화상을 정보 단말기로 송신 가능하게 하는 공정과,
    상기 방사선 촬영 수단이,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2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화상을 상기 정보 단말기로 송신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2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에 제19항에 기재된 방사선 촬영 방법의 각 공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197025496A 2017-02-08 2018-02-01 방사선 촬영 시스템, 정보 단말기, 방사선 촬영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10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21559 2017-02-08
JP2017021559A JP2018126327A (ja) 2017-02-08 2017-02-08 放射線撮影システム、情報端末、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PCT/JP2018/003489 WO2018147167A1 (ja) 2017-02-08 2018-02-01 放射線撮影システム、情報端末、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102A true KR20190111102A (ko) 2019-10-01
KR102310681B1 KR102310681B1 (ko) 2021-10-12

Family

ID=6310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496A KR102310681B1 (ko) 2017-02-08 2018-02-01 방사선 촬영 시스템, 정보 단말기, 방사선 촬영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13271B2 (ko)
JP (2) JP2018126327A (ko)
KR (1) KR102310681B1 (ko)
CN (1) CN110325117A (ko)
BR (1) BR112019015883A2 (ko)
DE (1) DE112018000732T5 (ko)
GB (1) GB2573231B (ko)
RU (1) RU2728705C1 (ko)
WO (1) WO2018147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1209B2 (ja) * 2019-02-06 2023-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7293777B2 (ja) * 2019-03-22 2023-06-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医用画像撮影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171A1 (ja) * 2011-06-02 2012-12-06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5083026A (ja) * 2013-10-25 2015-04-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コンソール
JP2015100404A (ja) 2013-11-21 2015-06-04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システム、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2016034470A (ja) 2014-07-31 2016-03-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撮影装置、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放射線画像の撮影方法
JP2016101210A (ja) * 2014-11-27 2016-06-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1231A1 (ja) * 2005-03-25 2006-09-28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取得装置及び放射線画像取得システム
JP4953603B2 (ja) * 2005-09-09 2012-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50683A (ja) * 2005-11-28 2007-06-14 Fujifilm Corp 携帯機器
JP2008119018A (ja) * 2006-11-08 2008-05-29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検出装置
JP5562767B2 (ja) * 2010-08-26 2014-07-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JP5763507B2 (ja) * 2011-11-25 2015-08-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可搬型放射線画像検出装置及び放射線撮影装置並びに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6271491B2 (ja) * 2015-02-10 2018-01-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放射線画像撮影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7021559A (ja) 2015-07-10 2017-01-2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端末装置、管理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撮像画像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171A1 (ja) * 2011-06-02 2012-12-06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5083026A (ja) * 2013-10-25 2015-04-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コンソール
JP2015100404A (ja) 2013-11-21 2015-06-04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システム、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2016034470A (ja) 2014-07-31 2016-03-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撮影装置、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放射線画像の撮影方法
JP2016101210A (ja) * 2014-11-27 2016-06-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63450B2 (ja) 2023-04-24
JP2021180920A (ja) 2021-11-25
CN110325117A (zh) 2019-10-11
BR112019015883A2 (pt) 2020-03-17
GB201910165D0 (en) 2019-08-28
RU2728705C1 (ru) 2020-07-30
US20190350551A1 (en) 2019-11-21
KR102310681B1 (ko) 2021-10-12
GB2573231B (en) 2022-11-09
DE112018000732T5 (de) 2019-10-24
JP2018126327A (ja) 2018-08-16
GB2573231A (en) 2019-10-30
WO2018147167A1 (ja) 2018-08-16
US11213271B2 (en)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3450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撮影装置
US201401124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x-ray system
US20160166227A1 (en) Control apparatus, x-ray imaging system,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mory
JP2016028628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9819851B2 (en) Imaging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852389B (zh) 放射线图像拍摄装置及其系统和信息处理方法
JP2013220221A (ja) X線装置
CN106264574B (zh) 一种配置有双终端的移动dr机及其控制方法
JP2020025781A (ja) 情報処理装置、放射線撮影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US2020016304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uses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04954737B (zh) 控制设备、放射线摄像设备、放射线摄像系统和控制方法
US9610058B2 (en) Portable medical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n portable medical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JP2014161454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8007851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20180153496A1 (en) Control apparatus for radiographic system
JP2019126539A (ja) 放射線撮影用通信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2019017760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8126329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情報端末、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40519B2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17441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9017626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6927018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2019017440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562467B2 (ja) X線撮影装置及びx線撮影方法
JP2019055207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