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032A -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032A
KR20190106032A KR1020180026933A KR20180026933A KR20190106032A KR 20190106032 A KR20190106032 A KR 20190106032A KR 1020180026933 A KR1020180026933 A KR 1020180026933A KR 20180026933 A KR20180026933 A KR 20180026933A KR 20190106032 A KR20190106032 A KR 20190106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arget torque
value
fuel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142B1 (ko
Inventor
강용구
박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142B1/ko
Priority to US16/184,882 priority patent/US10954878B2/en
Priority to CN201811448877.1A priority patent/CN110242421B/zh
Publication of KR2019010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 F02D41/123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the fuel injection being cut-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05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64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with special control during transition between modes
    • F02D41/30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with special control during transition between modes to avoid torque sh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3809Common rail 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6Fail safe control for fuel injection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2041/389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for injecting directly into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02Outpu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28Control for reducing torsional vibrations, e.g. at 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시동 오프 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엔진의 회전수 또는 시동 오프 이후 경과 시간에 따라 소정 비율로 저감시킨 토크를 목표 토크로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 토크에 따라 엔진의 시동 오프 후에 연료를 미소 분사하도록 연료 분사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시동 오프 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ECREASING ENGINE SHOCK AT KEY OFF}
본 발명은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진동 저감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상용차의 엔진 시동키가 오프되는 시점에서 연료 공급이 중단되어 엔진이 최종 정지하는 시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차량의 엔진의 시동 키가 오프되는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점에서, 엔진의 목표 토크값 및 연료 분사량은 0으로 설정되어, 엔진의 모든 기통에 대한 연료 공급이 순간적으로 중단된다. 그러나, 도 7A에서 나타나 있듯이, 연료 분사량이나 목표 토크값과는 달리, 엔진의 회전수는 시동 오프 시 곧바로 그 값이 0이 되지 않고 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한다. 이는 연료 공급 중단에도 불구하고 엔진의 실린더 내의 피스톤은 관성에 의한 운동을 일정시간 동안 이어나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피스톤의 운동에 의해 엔진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엔진의 진동이 커지면, 차체가 심하게 진동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흡입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매니폴드에 흡입공기를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시동키가 오프시 흡입공기를 차단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엔진을 서서히 정지시킴으로써, 시동키 오프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진동 저감을 위해 흡입공기를 차단하는 방식은, 흡입공기 차단시 흡기매니폴드와 스로틀밸브 사이로의 누기(leakage)로 인해 진동저감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흡입공기차단시스템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차량 운행중에 갑자기 흡입공기를 차단할 경우 차량사고 유발, 주행 불가, 주행중 흑연 과다 발생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부압조절용 솔레노이드밸브, 부압호스 등과 같은 부품들이 추가됨에 따라 그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다기통 디젤엔진 차량에서 시동키가 오프될 때에 각 기통별로 연료 차단 시기를 달리함으로써, 엔진 정지시의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시동 오프 시에 단순히 연료 분사 정지 시간만 지연시키는 방법만으로는 기존 차량의 토크 제어 방법과 충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진동 발생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법이 될수는 없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4-0008801호 (2004.1.31.)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동 키가 오프된 이후에도 시동 오프 시점에서부터 엔진의 회전 토크가 0이 되는 시점까지, 목표 토크값에 따라 연료를 미소 분사함으로써, 엔진 정지로 인한 진동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동 키가 오프되는 시동 오프 시점에서의 기준이 되는 토크값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저감시킨 토크값을 목표 토크값으로 설정하고, 해당 목표 토크값이 달성되도록 연료를 미소 분사함으로써, 엔진 정지로 인한 진동 발생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는,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목표 토크값에 따라 엔진의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연료 분사 장치; 엔진의 회전수 및 회전 토크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 및 엔진의 시동 오프 여부를 검출하고, 시동 오프 상태가 판단되면, 기준이 되는 토크값을 설정하는 한편, 기준이 되는 토크값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변화시킨 토크 값을 목표 토크값으로 하여, 목표 토크에 따라 엔진에 연료를 미소 분사하도록 연료 분사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진동을 저감하는 엔진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엔진의 시동 오프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측정 장치에 의해 엔진의 시동 오프 시의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측정 장치에 의해 엔진의 시동 오프 시의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이하인 경우에,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상을 유지할 때까지는,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고,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 이하가 되면, 그 이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 시 설정된 최종 목표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 토크 값에 근거한 연료의 미소 분사에 대한 연속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목표 토크값을 일정한 보간법에 의해 보간하고, 보간된 목표 토크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시동 오프 시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가부에 대한 설정값을 확인하고,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엔진의 정지 전 상기 엔진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고,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불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목표 토크량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연료 분사 장치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진단되는 경우, 엔진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목표 토크량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시동 오프 시 차량의 변속기에 설치된 동력 인출 장치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력 인출 장치가 사용 중인 경우, 엔진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목표 토크량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킨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은, 엔진의 시동 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엔진의 시동 오프가 판단되면, 엔진의 시동 오프 시의 엔진의 토크를 측정하는 단계;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 비율로 저감시킨 토크를 목표 토크로서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목표 토크에 따라 엔진의 시동 오프 후에 연료를 미소 분사하도록 연료 분사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 토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엔진의 회전수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까지 상기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 토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시동 오프 후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카운트 된 시간에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시동 오프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까지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 토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 장치에 의해 상기 엔진의 시동 오프 시의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까지 설정된 목표 토크에 근거하여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 토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 장치에 의해 상기 엔진의 시동 오프 시의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이하인 경우에, 시동 오프 후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카운트 된 시간에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시동 오프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까지 설정된 목표 토크에 근거하여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표 토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이하가 될 때까지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가 되면, 그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에 따라, 이전 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설정된 목표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시동 오프 후 경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까지, 설정된 목표 토크에 근거하여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목표 토크값을 일정한 보간법에 의해 보간하고, 보간된 목표 토크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동 오프 시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시동 오프 시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불가로 판단되는 경우, 목표 토크량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료 분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시동 오프 시 차량의 변속기에 설치된 동력 인출 장치가 사용 중인 경우, 시동 오프 시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불가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엔진의 시동 오프 시에 급작스런 스로틀 밸브의 폐쇄 및 연료 공급 중단을 통해 엔진을 정지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엔진 정지 시점까지의 시간이 약 0.5초 정도 증가하게 되지만, 엔진 시동 오프시의 엔진 및 차량의 진동 저감 효과는 현저하게 크게 된다. 따라서, 감성 품질과 관련된 차량의 상품성 향상을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진동 저감을 위해 추가의 고가의 부품을 적용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차량에 적용된 토크 제어 로직과 충돌하는 일이 없이, 간이하게 엔진 정지로 인한 진동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를 구비한 엔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엔진의 구성도 중 연료 분사 장치와 관련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는 종래의 엔진 시동 오프 시의 목표 토크값, 연료 분사량 및 엔진의 회전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목표 토크값, 연료 분사량 및 엔진의 회전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목표 토크값, 연료 분사량 및 엔진의 회전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진동 저감 제어 전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b는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c는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진동 저감 제어 전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b는 500ms 시간 동안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c는 800ms 시간 동안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d는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a는 진동 저감 제어 전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상하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b는 500ms 시간 동안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상하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c는 800ms 시간 동안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상하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d는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상하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를 구비한 엔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엔진의 구성도 중 연료 분사 장치와 관련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목표 토크값에 따라 엔진(6)의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연료 분사 장치(2), 엔진(6)의 회전수 및 회전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3) 및 엔진(6)의 시동 오프 여부를 검출하고, 시동 오프 상태가 판단되면,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기준으로 목표 토크를 설정하여,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엔진에 연료를 미소 분사하도록 연료 분사 장치(2)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진동을 저감하는 엔진 제어 장치(1)로 구성된다.
연료 분사 장치(2)는 도시되지 않은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목표 토크압에 따라, 엔진(6)의 연소실 내부의 고압, 고온의 공기에 연료를 고압 및 분무상태로 분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분사 장치(2)는, 도시되지 않은 저압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 탱크로부터 펌핑되는 연료를 다시 한번 고압으로 압축하는 고압 펌프(2a), 고압 펌프(2a)에 의해 펌핑된 연료를 여과하는 연료 필터(2b), 연료 필터(2b)에 의해 여과된 고압 연료의 압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한편, 개별 인젝터(2e)로 고압 연료 파이프(2d)를 통해 분배하는 커먼 레일(2c), 고압 연료 파이프(2d)를 통해 공급된 연료를 엔진(6)의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는 인젝터(2e)를 구비한다.
연료 분사 장치(2)로부터 분사되는 연료는 스로틀 밸브(5)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기를 이루고, 엔진(6)의 연소실 내부에서 연소된다.
한편, 엔진(6)에서 발생하는 토크는 분사되는 연료량에 따라 결정되므로 목표로 하는 토크를 얻기 위해서, 연소실에 분사되는 연료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엔진 제어 장치(1)는, 목표 토크값에 따라, 고압 연료 파이프(2d)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압력 조절 밸브와 같은 압력 조절기에 의해, 커먼 레일(2c)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한편, 인젝터(2e)에 인가되는 전기적인 펄스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목표 토크값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적정량의 연료를 엔진(6)의 실린더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측정 장치(3)는 엔진(6)의 회전수 및 회전 토크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엔진(6)의 회전수는 바람직하게는, 엔진(6)의 크랭크 축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크랭크 샤프트 포지션 센서등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엔진(6)의 회전 토크는, 바람직하게는 엔진(6)의 크랭크 축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방출하는 플라이휠(4) 등에 설치되는 토크 센서를 통해 검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엔진 제어 장치(1)는 엔진의 시동 오프 여부를 검출하고, 시동 오프 상태가 판단되면,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기준으로 목표 토크를 설정하여, 소정 시간 동안 엔진에 연료를 미소 분사하도록 연료 분사 장치(2)를 제어함으로써, 시동 오프 시에 발생하는 엔진(6)의 진동을 억제한다.
엔진(6)의 시동 오프는, 바람직하게는 운전자에 의해 이그니션 키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시동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엔진 제어 장치(1)는 곧바로 목표 토크를 0으로 설정하거나, 연료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목표 토크값을 새로이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 토크값이 달성될 수 있도록, 연료 분사 장치(2)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표 토크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예컨대 0 또는 0에 가까운 값)이 될 때까지, 기준이 되는 목표 토크값을 일정한 비율로 저감하는 제어 및 그에 따른 연료 분사량 제어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엔진(6)을 보다 부드럽게 엔진을 정지시킬 수 있어, 시동 오프 시의 엔진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기준이 되는 목표 토크값은 시동 오프 직전에 측정 장치(3)에 의해 측정되어 저장된 엔진(6)의 회전 토크 값이다. 시동 오프 오프 직전의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기준으로 함으로써,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할 때의 엔진(6)의 토크나 회전수의 급격한 변화를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 제어 장치(1)는 엔진(6)의 회전수 또는 시동 오프 이후에 경과된 시간에 따라, 시동 오프 오프 직전에 측정되어 저장된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일정 비율로 저감한다.
예컨대, 하기의 표 1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엔진 RPM에 따라 일정 비율로 기준이 되는 목표 토크값(시동 오프 오프 직전의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결정한다고 가정하자. 시동 오프 직전의 엔진(6)의 토크값이 100kgfm이고, 이 때의 엔진(6)의 아이들 회전수가 600RPM이라고 가정하면, 목표 토크값은 50kgfm이 된다. 해당 목표 토크값이 달성되도록 연료 분사 장치(2)를 제어하면, 엔진(6)의 회전수가 저하하게 된다. 엔진(6)의 회전수가 300RPM으로 저하되면 목표 토크값은 20kgfm이 된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수(6)에 따라 시동 오프 오프 직전의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일정 비율로 저감하면서, 그에 따라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6)의 회전수를 완만하게 저하시켜, 시동 오프시의 엔진(6)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엔진(6)의 회전수 뿐만 아니라, 시동 오프 이후에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고, 그 경과 시간에 따라 목표 토크값(시동 오프 오프 직전의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일정 비율로 저감하는 제어도 가능하다. 예컨대, 하기의 표 2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경과 시간에 따라 일정 비율로 기준이 되는 목표 토크값(시동 오프 오프 직전의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결정한다고 가정하자. 시동 오프 직전의 엔진(6)의 토크값이 100kgfm이고, 시동 오프 시로부터 200ms 경과 후에 목표 토크값은 30kgfm이 된다. 또한 시동 오프 시로부터 600ms 경과된 이후에는 목표 토크값은 10kgfm이 된다. 이와 같이, 시동 오프 시로부터 경과 시간에 따라, 기준이 되는 목표 토크값을 일정 비율로 저감하면서, 그에 따라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6)의 회전수를 완만하게 저하시켜, 시동 오프 시의 엔진(6)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한편, 상기한 미리 정해진 테이블에 의해 목표 토크값을 결정하게 되면 토크값의 변화가 특정 구간 별로 스텝 함수의 형태를 가지게 되어, 진동 저감 제어에 다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보간법에 의해, 설정 목표 토크값을 보간하고, 보간된 목표 토크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목표 토크값이 보다 부드럽게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2개의 실시예 중, 엔진(6)의 회전수에 따라 기준이 되는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일정 비율로 저감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정확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엔진(6)의 회전수가 일정 수준이 이상 낮을 경우 진동 저감 제어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경과할 수 있어, 경과 시간에 따라 제어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엔진 제어 장치(1)는 시동 오프 시의 엔진(6)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6)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엔진(6)의 회전수에 따라 기준이 되는 회전 토크값을 저감하는 제어를 실시하고, 측정된 엔진(6)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시동 오프 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기준이 되는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일정 비율로 저감하는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엔진(6)의 회전수 또는 시동 오프 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기준이 되는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일정 비율로 저감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의 제어 방법을 복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먼저 엔진(6)의 회전수에 따라 기준이 되는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일정 비율로 저감하는 제어를 실시하고, 해당 제어를 실시한 결과, 엔진(6)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경우, 시동 오프 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기준이 되는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일정 비율로 저감하는 제어를 실시할 수도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엔진 제어 장치(1)는 시동 오프 시에 진동 제감 제어 실시를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먼저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진동 저감 제어 실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시동 오프 이후 시점까지 연료 분사 종료 시점을 지연할 것인지 여부를 미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엔진 제어 장치(1)는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기 전 미리 그 설정값을 확인하고, 시동 오프 이후 시점까지 연료 분사 종료 시점을 지연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종료 시점 지연이 불허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엔진 제어 장치(1)는 일반적인 엔진 정지시와 마찬가지로, 목표 토크값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 분사량을 0으로 하여 엔진을 정지시킨다.
한편,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는 경우 엔진 제어 장치(1)는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인젝터(2e)와 같은 연료 분사 장치(2)나 측정 장치(3)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게 되면, 목표 토크가 낮아지더라도 실제 엔진(6)의 회전수는 낮아지지 않아 시동이 꺼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목표 토크값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 분사량을 0으로 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용차의 경우, 변속기 등에 연결되어 있는 동력 인출 장치가 시동 오프 시에 동작 중인 경우에도 작업의 안정성등을 고려하여, 시동 오프시 기존과 같이, 목표 토크값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 분사량을 0으로 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6)의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제어 장치(1)는 우선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 조작 등에 의해 엔진(6)의 시동 오프(S10)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엔진(6)의 시동 오프 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 제어 장치(1)는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연료 분사 종료 시점이 엔진(6)의 시동 오프 시점 이후까지 지연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바람직하게는 엔진 제어 장치(1)는 연료 분사 종료 시점 지연 가능으로 설정값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연료 분사 장치(2)나 측정 장치(3)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지 여부 및 시동 오프 시점에서 동력 인출 장치가 사용중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 덤프트럭, 고소작업차, 청소차, 사다리차 등의 작업차에는 도로를 주행하는 기능 외에 처리하고자 하는 작업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유압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작업장치가 설치된다. 작업차에 설치된 작업장치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의 일부로부터 인출된 동력에 의해 구동 및 동작되는데, 이러한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생산된 주동력의 일부를 분기하여 인출하는 장치를 동력 인출 장치라고 한다. 엔진 제어 장치(1)는 이러한 작업차에 사용되는 동력 인출 장치가 사용중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엔진 제어 장치(1)는 연료 분사 종료 시점 지연 가능으로 설정값이 설정되어 있고, 연료 분사 장치(2)나 측정 장치(3)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한편, 시동 오프 시점에 동력 인출 장치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연료 분사 종료 시점이 엔진(6)의 시동 오프 시점 이후까지 지연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하의 진동 저감 제어를 개시한다. 연료 분사 종료 시점이 엔진(6)의 시동 오프 시점 이후까지 지연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 제어 장치(1)는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목표 토크를 0으로 설정(S19)하고, 연료 분사 장치(2)를 제어하여 연료 분사를 정지(S17)함으로써, 엔진(6)을 최종 정지(S18)시킨다.
이를 위해 먼저 엔진 제어 장치(1)는, 측정 장치(3)에 의해 측정된 시동 오프 시점에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기준이 되는 회전 토크값을 저장한다(S12). 그리고, 현재 시점에서의 엔진(6)의 회전수를 측정 장치(3)를 이용하여 측정한다(S13). 그리고, 엔진 제어 장치(1)는 단계 S13에서 측정된 엔진(6)의 회전수에 따라 소정 비율로, 단계 S12에서 저장된 회전 토크값을 저감시킨 값을 목표 토크값으로서 설정한다(S14). 바람직하게는, 저감 비율은 엔진(6)의 특정 회전수 별로 미리 정해진 값으로서, 회전수의 감소에 따라 저감 비율이 커지도록 이루어진 테이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특정 회전수 사이의 엔진(6)의 회전수 구간에서는 일정한 보간법에 의해 엔진(6)의 회전수에 따른 목표 토크값을 보간하여, 목표 토크값의 변화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목표 토크값이 정해지면, 엔진 제어 장치(1)는 연료 분사 장치(2)의 인젝터(2e) 제어시 가해지는 전기적인 펄스 시간을 조절하거나 및 커먼 레일(2c) 내의 연료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목표 토크값에 대응되는 연료가 미소 분사되도록 제어한다(S15).
엔진 제어 장치(1)는 목표 토크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에 도달할 때까지 위 단계 S13 내지 S15의 제어를 반복한다. 제어가 반복될 수록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6)의 회전수는 저감하게 되고, 그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값도 저감되게 된다. 목표 토크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예컨대 0 또는 0에 가까운 소정값)에 도달하게 되면(S16), 엔진 제어 장치(1)는 연료 분사 장치(2)를 제어하여 연료 분사를 정지시켜(S17), 최종적으로 엔진(6)을 정지시킨다(S18).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연료 분사 종료 시점이 엔진(6)의 시동 오프 시점 이후까지 지연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6)의 회전수를 측정하도록 한, 도 3의 단계 S13과 달리, 도 4의 단계 S23에서는 시동 오프 후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엔진 제어 장치(1)는 단계 S23에서 측정된, 시동 오프 후 경과되는 시간에 따라 소정 비율로, 단계 S12에서 저장된 회전 토크값을 저감시킨 값을 목표 토크값으로서 설정한다(S24). 바람직하게는, 저감 비율은 엔진(6)의 특정 경과 시간 별로 미리 정해진 값으로서, 경과 시간의 증가에 따라 저감 비율이 커지도록 이루어진 테이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특정 경과 시간 사이의 구간에서는 일정한 보간법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른 목표 토크값을 보간하여, 목표 토크값의 변화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목표 토크값이 정해지면, 엔진 제어 장치(1)는 연료 분사 장치(2)의 인젝터(2e) 제어시 가해지는 전기적인 펄스 시간을 조절하거나 및 커먼 레일(2c) 내의 연료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목표 토크값에 대응되는 연료가 미소 분사되도록 제어한다(S25).
엔진 제어 장치(1)는 목표 토크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에 도달할 때까지 위 단계 S23 내지 S25의 제어를 반복한다. 제어가 반복될 수록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과 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값도 저감되게 된다. 목표 토크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예컨대 0 또는 0에 가까운 소정값)에 도달하게 되면(S26), 도 3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엔진 제어 장치(1)는 연료 분사 장치(2)를 제어하여 연료 분사를 정지시켜(S27), 최종적으로 엔진(6)을 정지시킨다(S28).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6)의 회전수에 따라,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진동 저감 제어 방법 중 어떠한 방법에 의해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엔진 제어 장치(1)는 연료 분사 종료 시점이 엔진(6)의 시동 오프 시점 이후까지 지연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S101)되어, 진동 저감 제어를 개시하는 경우, 먼저 측정 장치(3)를 이용하여 엔진(6)의 회전수를 측정한다(S103). 그리고, 측정된 엔진(6)의 회전수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대비한다(S104).
단계 S104에서의 대비 결과 엔진(6)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엔진(6)의 회전수에 근거한 진동 저감 제어가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105 내지 단계 S107에 따른 제어를 실시한다. 단계 S105 내지 단계 S107에 따른 제어는 도 3의 단계 S12에서의 엔진(6)의 회전수 측정 단계, 단계 S14에서의 목표 토크값 설정 단계 및 단계 S15에서의 목표 토크값에 근거한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 단계와 대응된다.
한편, 단계 S104에서의 대비 결과 엔진(6)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이하로 판단되는 경우, 타이머에 근거한 진동 저감 제어가 보다 신속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109 내지 단계 S111에 따른 제어를 실시한다. 단계 S109 내지 단계 S111에 따른 제어는 도 4의 단계 S23에서의 시동 오프 후 경과 시간의 카운트 단계, 단계 S24에서의 목표 토크값 설정 단계 및 단계 S25에서의 목표 토크값에 근거한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 단계와 대응된다.
엔진 제어 장치(1)는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 또는 엔진(6)의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의 실시할 때의 목표 토크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대비(S107, S101)하고,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 제어 장치(1)는 연료 분사 장치(2)를 제어하여 연료 분사를 정지시켜(S27), 최종적으로 엔진(6)을 정지시킨다(S28).
상기한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시동 오프 시의 엔진(6)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근거하여, 어떠한 방식에 의해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할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주행 상황에 따라 보다 적합한 진동 저감 제어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도시된 엔진(6)의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와 도 4에서 도시된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복합하여 실시한다.
이를 위해 엔진 제어 장치(1)는, 연료 분사 종료 시점이 엔진(6)의 시동 오프 시점 이후까지 지연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S201)되어, 진동 저감 제어를 개시하는 경우, 먼저 엔진(6)의 회전수에 기반한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다. 시동 오프 초기에는 엔진(6)의 회전수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엔진(6)의 회전수에 기반한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보다 정확도가 높은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 제어 장치(1)는 시동 오프 시의 엔진(6)의 회전 토크값을 저장하는 단계(203) 이후에, 단계 S203 내지 단계 S205에 따른, 엔진(6)의 회전수에 기반한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다. 단계 S203 내지 단계 S205에 따른 제어는 도 3의 단계 S12에서의 엔진(6)의 회전수 측정 단계, 단계 S14에서의 목표 토크값 설정 단계 및 단계 S15에서의 목표 토크값에 근거한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 단계와 대응된다.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의 결과 엔진(6)의 회전수가 저감되면, 엔진 제어 장치(1)는 측정 장치(3)에 의해 측정된 엔진(6)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S206)한다. 엔진(6)의 회전수가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엔진(6)의 회전수 기반의 진동 저감 제어보다는 타이머 기반의 진동 저감 제어 쪽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동 저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6)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 제어 장치(1)는, 단계 S207 내지 단계 S210에 따른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다. 엔진(6)의 회전수가 아직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 제어 장치(1)는 엔진(6)의 회전수가 기준값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한 단계 S203 내지 단계 S205를 반복한다.
이를 위해, 엔진 제어 장치(1)에서는 해당 시점에서의 목표 토크값을 저장한다(S207).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기 직전, 엔진(6)의 회전수 기반 진동 제어 시의 최종 목표 토크값을,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 시의 기준이 되는 토크값으로 설정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엔진 제어 장치(1)는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개시하는 시점, 즉 엔진(6)의 회전수가 기준값에 도달하는 시점으로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 한다(S208).
그리고, 엔진 제어 장치(1)는 단계 S208에서 측정된, 엔진(6)의 회전수가 기준값에 도달하는 시점으로부터 경과되는 시간에 따라 소정 비율로, 단계 S207에서 저장된 회전 토크값을 저감시킨 값을 목표 토크값으로서 설정한다(S209). 바람직하게는, 저감 비율은 엔진(6)의 특정 경과 시간 별로 미리 정해진 값으로서, 경과 시간의 증가에 따라 저감 비율이 커지도록 이루어진 테이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특정 경과 시간 사이의 구간에서는 일정한 보간법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른 목표 토크값을 보간하여, 목표 토크값의 변화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엔진 제어 장치(1)는 목표 토크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에 도달할 때까지 위 단계 S208 내지 S210의 제어를 반복한다. 제어가 반복될 수록 경과 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값도 저감되게 된다. 목표 토크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예컨대 0 또는 0에 가까운 소정값)에 도달하게 되면(S211),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엔진 제어 장치(1)는 연료 분사 장치(2)를 제어하여 연료 분사를 정지시켜(S212), 최종적으로 엔진(6)을 정지시킨다(S213).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6)의 회전수가 높은 시동 오프 초기에는 엔진(6)의 회전수에 기반한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고, 회전수가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경우, 타이머에 기반한 진동 저감 제어로 전환함으로써, 진동 제어 구간 전체에 걸쳐 신속하고 정확한 진동 제어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8a는 진동 저감 제어 전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8b는 동일 조건 하에서 500ms 시간 동안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동일 조건 하에서 도 8c는 800ms 시간 동안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8d는 동일 조건 하에서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좌우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8d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차량의 시동 오프 시에 엔진 및 차체에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진동량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도 9a는 진동 저감 제어 전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상하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9b는 동일 조건 하에서, 500ms 시간 동안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상하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9c는 동일 조건하에서, 800ms 시간 동안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상하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9d는 동일 조건 하에서,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한 경우, 엔진 시동 오프 시의 차량의 운전석과 엔진의 상하 방향 진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a 내지 도 9e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제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차량의 시동 오프 시에 엔진 및 차체에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진동량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의 진동량 또한 크게 저감할 수 있다.
1: 엔진 제어 장치(ECU) 2: 연료 분사 장치
2a: 고압 펌프 2b:연료 필터
2c: 커먼 레일 2d: 고압 연료 파이프
2e: 인젝터 3: 측정 장치
4: 플라이휠 5: 스로틀 밸브
6: 엔진

Claims (18)

  1.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목표 토크값에 따라 엔진의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연료 분사 장치;
    상기 엔진의 회전수 및 회전 토크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 및
    엔진의 시동 오프 여부를 검출하고, 시동 오프 상태가 판단되면, 기준이 되는 토크값을 설정하는 한편, 상기 기준이 되는 토크값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변화시킨 토크 값을 목표 토크값으로 하여, 상기 목표 토크에 따라 상기 엔진에 연료를 미소 분사하도록 상기 연료 분사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진동을 저감하는 엔진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상기 엔진의 시동 오프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해 상기 엔진의 시동 오프 시의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상을 유지할 때까지는,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 이하가 되면, 그 이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기 엔진 회전수 기반 진동 저감 제어 시 설정된 최종 목표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타이머 기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크 값에 근거한 연료의 미소 분사에 대한 연속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설정된 목표 토크값을 일정한 보간법에 의해 보간하고, 보간된 목표 토크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시동 오프 시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가부에 대한 설정값을 확인하고,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엔진의 정지 전 상기 엔진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고,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불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목표 토크량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상기 연료 분사 장치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진단되는 경우, 상기 엔진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목표 토크량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시동 오프 시 차량의 변속기에 설치된 동력 인출 장치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력 인출 장치가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엔진의 진동 저감 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목표 토크량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10. 엔진의 시동 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엔진의 시동 오프가 판단되면, 엔진의 시동 오프 시의 엔진의 토크를 측정하는 단계;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 비율로 저감시킨 토크를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목표 토크에 따라 엔진의 시동 오프 후에 연료를 미소 분사하도록 연료 분사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회전수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까지 상기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시동 오프 후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카운트 된 시간에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시동 오프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까지 상기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해 상기 엔진의 시동 오프 시의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까지 상기 설정된 목표 토크에 근거하여 상기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해 상기 엔진의 시동 오프 시의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이하인 경우에, 시동 오프 후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카운트 된 시간에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시동 오프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까지 상기 설정된 목표 토크에 근거하여 상기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측정된 엔진의 회전수 따라 시동 오프 시에 측정된 엔진의 회전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가 되면, 그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에 따라, 이전 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설정된 목표 토크값을 소정의 비율로 감소시킨 값을 상기 목표 토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시동 오프 후 경과 설정되는 목표 토크가 미리 정해진 값이 될 때까지, 상기 설정된 목표 토크에 근거하여 상기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목표 토크값을 일정한 보간법에 의해 보간하고, 보간된 목표 토크값에 근거하여 연료의 미소 분사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시동 오프 시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시동 오프 시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불가로 판단되는 경우, 목표 토크량을 0으로 설정하고,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연료 분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시동 오프 시 차량의 변속기에 설치된 동력 인출 장치가 사용 중인 경우, 시동 오프 시 연료 분사 정지 시점 지연 불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방법.
KR1020180026933A 2018-03-07 2018-03-07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KR10257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933A KR102575142B1 (ko) 2018-03-07 2018-03-07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US16/184,882 US10954878B2 (en) 2018-03-07 2018-11-08 Vibration reduction device upon key-off of engine and method thereof
CN201811448877.1A CN110242421B (zh) 2018-03-07 2018-11-28 在发动机熄火时的减振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933A KR102575142B1 (ko) 2018-03-07 2018-03-07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032A true KR20190106032A (ko) 2019-09-18
KR102575142B1 KR102575142B1 (ko) 2023-09-06

Family

ID=6784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933A KR102575142B1 (ko) 2018-03-07 2018-03-07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54878B2 (ko)
KR (1) KR102575142B1 (ko)
CN (1) CN1102424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469A (ko) * 2020-08-21 2022-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엔진 히트펌프 및 그 동작방법
CN114562373A (zh) * 2022-01-21 2022-05-3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熄火减振的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072A (ja) * 1999-07-28 2001-02-13 Denso Corp At車のエンジン自動停止装置
JP2003184589A (ja) * 2001-12-18 2003-07-03 Denso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030096947A (ko) * 2002-06-18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방법
KR20040008801A (ko) 2002-07-19 2004-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시동 정지 방법
JP2010159650A (ja) * 2009-01-06 2010-07-22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KR20100099280A (ko) * 2008-01-09 2010-09-10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 기관의 연료 컷 오프 상태의 전이 단계를 제어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289A (en) * 1980-08-06 1982-09-28 Renda Vince A Water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445128A (en) * 1993-08-27 1995-08-29 Detroit Diesel Corporation Method for engine control
EP0651158B1 (de) * 1993-10-27 1997-03-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Unterdrücken von Schwingungen des Antriebsstranges eines Kraftfahrzeugs durch Zündzeitpunktsteuerung
JP3138603B2 (ja) * 1994-11-30 2001-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JP3098958B2 (ja) * 1996-05-17 2000-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1342878A (ja) * 2000-06-02 2001-12-1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10153520A1 (de) * 2001-10-30 2003-05-2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lesen von Daten eines Kraftstoffzumesssystems
KR100489069B1 (ko) 2002-08-13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JP3960339B2 (ja) * 2005-01-11 2007-08-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吸入空気量ばらつき検出装置
US20100031923A1 (en) * 2005-11-30 2010-02-11 Larry Lin Feng We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ngine Knock
CN2934606Y (zh) * 2005-12-23 2007-08-15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抑制发动机熄火振动的装置
JP4055808B2 (ja) * 2006-06-13 2008-03-0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100980886B1 (ko) 2007-07-23 2010-09-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키 오프시 진동 저감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051731A1 (en) * 2007-10-15 2009-04-23 Harbert Richard H Even fire 90° v12 ic engines, fueling and firing sequence controllers, and methods of operation by ps/p technology and ifr compensation by fuel feed control
KR20140047167A (ko) * 2008-04-01 2014-04-21 내셔널 매리타임 리서치 인스티튜트 선박의 마찰 저항 저감 장치
US8215288B2 (en) * 2009-04-29 2012-07-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ngine in response to detecting an out of range pressure signal
EP2461008B1 (en) * 2009-07-30 2013-12-11 Honda Motor Co., Ltd. Stop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10166769A1 (en) * 2010-01-07 2011-07-07 Jeffrey Douglas Buechler Supplemental Vapor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8386150B2 (en) * 2010-04-28 2013-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cutoff transi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EP2832977A1 (en) * 2013-07-30 2015-02-04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n alcohol concentration in an alcohol fuel mixture suppli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60063848A (ko) * 2014-11-27 2016-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dmf 보호 방법, 및 차량의 dmf 보호 장치
US10337418B2 (en) * 2016-06-09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reactivating deactivated cylinders
US11480120B2 (en) * 2016-06-09 2022-10-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cylinder deactivation degradation
US10302056B2 (en) * 2016-06-29 2019-05-28 Ge Global Sourc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uel injector control
US10344704B2 (en) * 2016-08-26 2019-07-09 Ge Global Sourcing Llc Methods and system for diagnosing fuel injectors of an eng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072A (ja) * 1999-07-28 2001-02-13 Denso Corp At車のエンジン自動停止装置
JP2003184589A (ja) * 2001-12-18 2003-07-03 Denso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030096947A (ko) * 2002-06-18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방법
KR20040008801A (ko) 2002-07-19 2004-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시동 정지 방법
KR20100099280A (ko) * 2008-01-09 2010-09-10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 기관의 연료 컷 오프 상태의 전이 단계를 제어하는 장치
JP2010159650A (ja) * 2009-01-06 2010-07-22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42421A (zh) 2019-09-17
CN110242421B (zh) 2022-12-16
US20190277219A1 (en) 2019-09-12
KR102575142B1 (ko) 2023-09-06
US10954878B2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4592B2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JP4685638B2 (ja) 燃料噴射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装置を備えた内燃機関
JPH09228879A (ja) 内燃機関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90106032A (ko)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JPH1150899A (ja) 蓄圧式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10787986B2 (en) Fuel pump control device
US63978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72518B2 (ja) エンジンの運転制御装置
JP4593804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系の高圧ポンプの需要制御用の電磁量制御弁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H09264148A (ja) 内燃機関の吸気流制御装置
US68865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hutdow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502459B1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4036498A (ja) 燃料噴射装置
KR20020089534A (ko) 특히 자동차 엔진용 연료 공급 시스템 작동 방법
US7835851B2 (en) Fuel injection system
JP3876568B2 (ja) 電子燃料噴射制御装置
JP5594824B2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及びその制御装置
WO2011135674A1 (ja) ディーゼル機関の制御装置
KR100398219B1 (ko) 차량용 디젤 엔진의 배출가스 제어 방법
JPH0828321A (ja) ディーゼル機関の暖機運転制御装置
KR100412813B1 (ko)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KR100569314B1 (ko) 커먼레인 디젤엔진의 파일럿 분사량 제어 방법
JP6537867B2 (ja) 燃料供給装置
JPH09287532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KR100866894B1 (ko) 연료분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