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813B1 -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813B1
KR100412813B1 KR10-2000-0084455A KR20000084455A KR100412813B1 KR 100412813 B1 KR100412813 B1 KR 100412813B1 KR 20000084455 A KR20000084455 A KR 20000084455A KR 100412813 B1 KR100412813 B1 KR 100412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ressure
opening degree
injection
fuel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099A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4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8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2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 F02D41/34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차량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에 따라 요구되는 연료분사시기 및 분사율을 정확히 제어할 목적으로;주행중인 차량에서 엔진 부하에 따라 기 설정된 메모리 맵에서 초기 연료 송출 압을 설정하는 단계와;상기 단계 이후에, 분사노즐로 송출되는 제1 연료 송출압이, 연료탱크로 리턴 송출되는 압과 분사노즐 스프링 탄성력의 합으로 설정된 제1 설정 압 보다 크면, 상기 제1 설정 압에 소정의 연산 상수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된 값과, 상기 제1 연료 송출 압을 상호 비교하여 연료 분사 개도 조절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연료 송출 압이 제1 설정 압에 연산 상수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된 값보다 크면, 연료분사 개도를 부분분사 개도로 조절하고,상기 제 1 연료 송출 압이 제1 설정 압에 연산 상수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된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연료분사 개도를 최대분사 개도로 조절하며,
상기 제1 연료 송출압이 제1 설정 압 보다 작거나 같으면, 연료분사 개도를 무분사 개도로 조절하여서, 엔진의 성능, 배출가스 산포 저감 등의 연소 최적화를 이룰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A METHOD FOR FUEL INJECTION CONTROLLING OF DIESEL ENGIN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회전수와 엔진 부하에 따른 연료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은 높은 압축비임과 동시에 큰 공기 과잉률하에서 연료를 연소시키기 때문에 이론 열효율운 가솔린 엔진 보다 훨씬 좋고 연료 경제성이 뛰어나다.
상기한 디젤엔진은 가솔린 엔진의 전자 제어화에 비교하면 디젤엔진의 전자화는 뒤떨어져 있었지만, 경제성 추구와 디젤 배출 가스 규제의 강화 때문에 종래의 기계식 또는 뉴매틱의 제어로는 달성할 수 없는 정밀한 연소 컨트롤이 전자 제어화 되어 왔다.
따라서, 연료분사를 제어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연료를 고압의 분사 압력으로 승합하고, 필요한 분사량을 정해진 타이밍으로 각 실린더의 분사 노즐에 분배하는 연료 분사 펌프를 통해 송유되는 연료를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분사파이프를 통해 연료분사노즐의 개변압보다 클 때, 실린더로 분사되어 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연료 분사 펌프에서 펌핑된 연료가 분사파이프 관내를 통하므로 연료 분사시 파이프 내의 잔압 및 데드 발줌(dead volume)으로인해 실제 연료실 내로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시기 및 분사율의 정확도가 떨어짐에 따라, 엔진 회전수와 엔진 부하에 따라 요구되는 연료 분사시기, 분사율 및 분사 신뢰성이 부족하여 엔진 성능 및 바출가스 산포 저감 등의 최적화가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에 따라 요구되는 연료분사시기 및 분사율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디젤 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주행중인 차량에서 엔진 부하에 따라 기 설정된 메모리 맵에서 초기 연료 송출 압을 설정하는 단계와;상기 단계 이후에, 분사노즐로 송출되는 제1 연료 송출압이, 연료탱크로 리턴 송출되는 압과 분사노즐 스프링 탄성력의 합으로 설정된 제1 설정 압 보다 크면, 상기 제1 설정 압에 소정의 연산 상수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된 값과, 상기 제1 연료 송출 압을 상호 비교하여 연료 분사 개도 조절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연료 송출 압이 제1 설정 압에 연산 상수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된 값보다 크면, 연료분사 개도를 부분분사 개도로 조절하고,상기 제 1 연료 송출 압이 제1 설정 압에 연산 상수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된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연료분사 개도를 최대분사 개도로 조절하며,상기 제1 연료 송출압이 제1 설정 압 보다 작거나 같으면, 연료분사 개도를 무분사 개도로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 장치 구성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대비 연료분사 개도 설정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량 주행상태 검출수단 110 : 엔진 회전수 검출부
120 :가속페달 개도 검출부 200 : 엔진 제어 수단
300 : 구동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장치 구성 블록도로서, 차량 주행상태 검출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 출력되는 차량 주행 상태를 검출하고,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장치(100)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고자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장치(100)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기 되어 출력되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 및 가속페달 개도 등을 입력받아, 연료분사 조건에 따라 연료 송출량 조절 개도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구동수단(300)은 연료펌프(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분사노즐(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연결하는분사 파이프(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상기 분사 파이프의 소정의 위치에 연결되어 연료탱크(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연결되는 리턴 파이프(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사이 내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연료 송출 개도각을 조절한다.
상기 차량 주행상태 검출장치(100)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여 엔진 제어에 적용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110)와;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가속페달 개도각을 검출하여 엔진 제어에 적용하는 가속페달 개도 검출부(120)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를 첨부한 도 2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장치(100)는 차량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 및 가속페달 개도 등을 검출한다.
이에 엔진 제어 장치(200)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장치(100)로 출력하고,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장치(10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기 되어 검출된 엔진 회전수 및 가속페달 개도 등을 출력한다.
엔진 제어 장치(200)는 초기에 상기 차량 주행상태 검출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 및 가속페달 개도 등을 입력받아, 엔진 부하에 따라 연료 송출압 초기치(P)를 메모리에 기 설정된 맵 데이터에서 선정하여 설정한다(S100,S110).
상기에서 엔진 부하는 엔진 회전수와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가속페달 개도에 의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산출되어진다.
이어서, 엔진 제어 장치(200)는 연료펌프(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분사 파이프(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하여 분사노즐(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송출되는 제1 연료 송출압(P1)이 소정의 제1 설정 압(P3)보다 큰가를 비교 판단한다(S120).
P1 > P3
상기에서 분사노즐로 송출되는 제1 송출압(P1)은 엔진부하에 비례하는 값이다.
상기에서 소정의 제1 설정 압(P3)은 분사노즐로 송출되지 못하고 리턴 파이프(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하여 연료탱크(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리턴되는 연료 송출압(P2) + 분사노즐의 스프링 탄성력으로 설정되며, 상기 리턴 파이프로 흐르는 연료 송출압(P2)는 엔진 부하와 반비례하는 값이다.
P3 = P2 + 분사노즐 스프링 탄성력
상기에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분사노즐로 송출되는 제1 연료 송출압(P1)이 상기 제1 설정 압(P3)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분사노즐로 송출되는 제1 연료 송출 압(P1)이 상기 제1 설정 압(P3)에 소정의 연산 상수(n)를 곱셈하여 연산한 값 보다 큰 것인 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에서 연산 상수(n)은 1 < n < P(엔진 부하에 따른 초기 연료 송출압의 설정치)의 값으로 설정되는 바, 이러한 연산 상수 값의 선정은 시험적인 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다.
P1 > nP3
상기에서 분사노즐로 송출되는 제1 연료 송출 압(P1)이 제1 설정 압(P3)에 연산 상수(n)를 곱셈 연산한 값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부분 분사를 수행하기 위한 연료량 조절 개도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구동수단(300)으로 출력한다(S140).
상기에서 연료량 조절 개도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P1 > P3 대비 연료량 조절 개도를 설정하여 제어한다.
구동수단(300)은 상기 엔진 제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기되어 연료펌프로부터 송출되는 연료량이 부분분사에 알맞는 연료량으로 분사노즐에 송출되도록 연료량 조절 개도를 조절한다.
이때, 구동수단(300)은 분사 파이프와 리턴 파이프 사이 소정의 위치에 위치됨에 따라, 연료펌프로부터 송출된 연료량은 분사 파이프와 리턴 파이프로 나뉘어 송출된다.
하지만, 상기(S130)에서 분사노즐로 송출되는 제1 연료 송출 압(P1)이 제1 설정 압(P3)에 연산 상수(n)를 곱셈 연산한 값 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최대분사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구동수단(300)으로 출력한다(S150).
P1 ≤nP3
구동수단(300)은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연료펌프로부터 송출되는 연료량이 연료탱크로 리턴됨이 없이 분사노즐로 완전히 송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료량 조절 개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300)에 의해 분사노즐로 연결된 분사파이프는 완전히 오픈되어지며, 리턴 파이프는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S120)에서 연료펌프로부터 분사 파이프를 통하여 분사노즐로 송출되는 제1 연료 송출압(P1)이 제1 설정 압(P3)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무분사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구동수단(300)으로 출력한다(S200).
P1 ≤P3( P2 + 분사노즐 스프링 탄성력 )
구동수단(300)은 상기 엔진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연료펌프로부터 송출되는 연료량이 분사노즐로 송출됨을 방지하기 위해 분사 파이프를 완전히 차단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300)에 의해 연료탱크와 연결된 리턴 파이프는 완전히 개방되어 연료펌프로부터 송출되는 연료량이 연료탱크로 리턴된다.
이로서, 엔진 회전수와 엔진 부하에 따라, 분사노즐에 의한 연료 분사율과 분사시기 및 분사신뢰성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젤 엔진의 연료분사 제어 방법은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에 따라 요구되는 연료분사시기 및 분사율을 정확히 제어함으로서, 엔진의 성능, 배출가스 산포 저감 등의 연소 최적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주행중인 차량에서 엔진 부하에 따라 기 설정된 메모리 맵에서 초기 연료 송출 압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이후에, 분사노즐로 송출되는 제1 연료 송출압이, 연료탱크로 리턴 송출되는 압과 분사노즐 스프링 탄성력의 합으로 설정된 제1 설정 압 보다 크면, 상기 제1 설정 압에 소정의 연산 상수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된 값과, 상기 제1 연료 송출 압을 상호 비교하여 연료 분사 개도 조절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연료 송출 압이 제1 설정 압에 연산 상수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된 값보다 크면, 연료분사 개도를 부분분사 개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 1 연료 송출 압이 제1 설정 압에 연산 상수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된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연료분사 개도를 최대분사 개도로 조절하며,
    상기 제1 연료 송출압이 제1 설정 압 보다 작거나 같으면, 연료분사 개도를 무분사 개도로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젤 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상수의 범위는 1 < 연산 상수 < 엔진 부하에 따른 초기 연료 송출압의 설정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0-0084455A 2000-12-28 2000-12-28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KR100412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455A KR100412813B1 (ko) 2000-12-28 2000-12-28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455A KR100412813B1 (ko) 2000-12-28 2000-12-28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099A KR20020055099A (ko) 2002-07-08
KR100412813B1 true KR100412813B1 (ko) 2003-12-31

Family

ID=2768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455A KR100412813B1 (ko) 2000-12-28 2000-12-28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8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7833A (ja) * 1985-03-12 1986-09-16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内燃機関の起動制御装置
JPH01227689A (ja) * 1988-03-02 1989-09-11 Satake Eng Co Ltd 可変速誘動電動機
KR980009809A (ko) * 1996-07-10 1998-04-30 박병재 차량의 연료분사 제어장치
US5848583A (en) * 1994-05-03 1998-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fuel injection pressure
KR19990010918A (ko) * 1997-07-19 1999-02-18 박병재 디젤 엔진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KR19990026781A (ko) * 1997-09-26 1999-04-15 양재신 차량의 연료분사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7833A (ja) * 1985-03-12 1986-09-16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内燃機関の起動制御装置
JPH01227689A (ja) * 1988-03-02 1989-09-11 Satake Eng Co Ltd 可変速誘動電動機
US5848583A (en) * 1994-05-03 1998-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fuel injection pressure
KR980009809A (ko) * 1996-07-10 1998-04-30 박병재 차량의 연료분사 제어장치
KR19990010918A (ko) * 1997-07-19 1999-02-18 박병재 디젤 엔진에서의 연료 공급 장치
KR19990026781A (ko) * 1997-09-26 1999-04-15 양재신 차량의 연료분사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099A (ko) 200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128B1 (ko) 내연 기관 제어 방법 및 장치
EP1660767B1 (en) Fuel injection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64069B1 (ko) 내연기관용 점화 장치의 점화점 결정 방법
CN100402821C (zh) 用于内燃机的燃料喷射控制装置和燃料喷射控制方法
JP4685638B2 (ja) 燃料噴射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装置を備えた内燃機関
US580649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228879A (ja) 内燃機関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EP0896144A2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for an accumulator type engine
GB2367588A (en) Accumulator type fuel injector
EP2392807A2 (en) Fuel supply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447551B1 (en) Atmospheric pressure detection device of four-stroke engine and method of detecting atmospheric pressure
KR100412813B1 (ko)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KR102575142B1 (ko)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US68865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hutdow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10050074A1 (en)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JP5181890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010065852A (ko) 차량용 디젤 엔진의 가속 페달 개도 보정 및 센서 고장검출 장치와 방법
KR100398219B1 (ko) 차량용 디젤 엔진의 배출가스 제어 방법
KR100401846B1 (ko) 차량용 디젤 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KR100673519B1 (ko) 커먼 레일 디젤 엔진 및 상기 커먼 레일 디젤 엔진에서의연료 분사 압력 조절 방법
JPH10339232A (ja) 燃料ポンプ制御装置
KR20030026726A (ko)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086486B2 (ja) 燃料圧力制御装置
KR100534869B1 (ko) 디젤 차량의 엔진 아이들시 소음 저감방법
JPH05272392A (ja) 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