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572A -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572A
KR20190103572A KR1020180024130A KR20180024130A KR20190103572A KR 20190103572 A KR20190103572 A KR 20190103572A KR 1020180024130 A KR1020180024130 A KR 1020180024130A KR 20180024130 A KR20180024130 A KR 20180024130A KR 20190103572 A KR20190103572 A KR 20190103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nack
seaweed
lav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942B1 (ko
Inventor
임도숙
구한솔
이지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현
Priority to KR102018002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94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01Mixing, knea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19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형으로 제조되어 한입에 먹기 용이하고, 잘 부서지지 않아 포장 시 별도의 기체충전이 필요없어 포장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기름에 튀기지 않아 산패의 위험성 감소 및 유통기한 연장의 효과가 있는 건강한 웰빙제품인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BLOCK TYPE LAVER SNACK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형으로 제조되어 한입에 먹기 용이하고, 잘 부서지지 않아 포장 시 별도의 기체충전이 필요없어 포장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기름에 튀기지 않아 산패의 위험성 감소 및 유통기한 연장의 효과가 있는 건강한 웰빙제품인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은 우리나라 해조류 생산량 중 미역에 이어 2번째로 많으며, 한국인의 식탁에 자주 오르는 국민식품으로서,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위치에 있는 식품이다. 김은 일반 해조류에 비해 단백질 함유량이 높고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등의 아미노산이 많다. 또한, 식이섬유 함유량도 높아 건강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인병 억제, 피부미용, 암 예방 등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고루 갖춘 매우 우수한 해조 식품이다.
최근 양식기술의 발달로 인해 생산량이 증가되고 있으나, 이에 인한 활용방법은 단순 가공방식인 건조김, 조미김 등에 편중되어 있어 수요의 증가를 위한 다양한 가공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김은 마른 김을 그대로 굽거나, 기름과 소금을 발라 구워 적절한 크기로 절단해서 반찬으로 식용하거나, 김밥을 만들어 식용하거나, 비빔밥이나 떡국의 고명으로 섭취하기도 한다. 그 이외에도 김부각을 만들어 섭취하기도 한다. 또한, 김에 곡류, 견과 및 다양한 건조제품을 넣어 밥 반찬이 아닌 일상의 간식 및 영향식 대용으로도 사용가능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부각은 그 제조방법이 지역마다 다를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마른김에 적절히 전분물을 바르고 건조시킨 후 기름에 튀기는 방식으로 제조과정이 길고 유탕처리로 제조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패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대부분 김 스낵 제품은 판형으로 제작되어 잘 부서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포장할 때 내용물 보존을 위해 질소충전 등의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저장 및 유통 시 부피 비중이 커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잘 부서지지 않고 포장 시 별도의 기체 충전이 필요없어 포장 부피가 적어 물류보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보관 및 유통 시에도 제품 파손의 우려가 적은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종래 김부각을 제조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채소류, 향료, 간장, 멸치, 건새우, 새우젓, 액젖 등으로 이루어진 조미액을 찹쌀풀에 가미하여 기호성을 향상시킨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2는 대추, 녹차, 뽕잎, 인삼, 버섯, 구기자, 산수유 중 적어도 하나를 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포함하는 찹쌀풀을 이용하여 적어도 한 장 이상의 김을 접합시킨 다음, 건조 후 튀겨내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3은 김과 김 사이에 건조과일류, 건조씨앗류, 건조육포류, 건조 어포류 등을 부착시켜 건조한 후 절단, 포장하는 이중김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김부각 및 김스낵 제품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었지만, 기름에 튀긴 제품이기 때문에 칼로리가 높고 보존기간이 6개월 미만으로 짧아서 경제성이 떨어지며 수출에 커다란 장벽이 된다. 또한, 기름에 튀기지 않고 건조시키기만 하여 제조된 김부각은 절단면이 날카로워 섭취 시 입안의 점막이 다칠 우려가 있고, 딱딱하고 질긴 특성을 가지므로 먹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제조가 편리하고 보존성과 바삭한 식감이 향상된 김스낵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특허공개 제2001-0010920호 한국특허공개 제2005-0072639호 한국특허공개 제2000-0065416호
본 발명은 블록형으로 제조되어 한입에 먹기 용이하고, 잘 부서지지 않아 포장 시 별도의 기체 충전이 필요없어 포장 부피감소로 인해 물류보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보관 및 유통 시에도 제품 파손의 우려가 적은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기름에 튀기지 않아 산패의 위험성 감소 및 유통기한 연장 효과가 있고, 건강한 웰빙제품으로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킨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원료의 식감, 맛과 향을 최적화하면서, 아작아작한 씹힘을 제공할 수 있는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김 1 내지 100 중량부 및 견과류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며, 결합제로 물, 소금물 및 당액을 첨가하여 블록형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과류는 땅콩, 아몬드, 참깨, 검은 깨, 호두, 캐슈넛, 콩류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액은 설탕, 말티톨, 폴리글리시톨, 올리고당, 꿀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김스낵은 가미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미제는 레몬 농축액, 생강 농축액, 매실 농축액, 녹차 분말, 계피 시럽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김스낵에 오일을 도포하고, 시즈닝을 뿌린 다음, 구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은 (a)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김 1 내지 100 중량부 및 견과류 1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결합제로 물, 소금물 및 당액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진공동결건조 또는 진공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건조시킨 혼합물을 블록형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성형된 혼합물을 오븐에서 구워서 블록형 김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레몬 농축액, 생강 농축액, 매실 농축액, 녹차 분말, 계피 시럽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가미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에서 200 내지 270℃의 오븐에서 굽거나 150 내지 380℃의 과열수증기오븐에서 굽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워진 김스낵 위에 오일을 도포하고, 시즈닝을 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김스낵의 표면에 특정 모양을 새기거나 굴곡을 가하여 상기 모양 또는 굴곡이 상기 김스낵에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은 블록형으로 제조되어 한입에 먹기 용이하고, 잘 부서지지 않아 포장 시 별도의 기체 충전이 필요없어 포장 부피 감소로 인해 물류보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보관 및 유통 시에도 제품 파손의 우려가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은 기름에 튀기지 않아 산패의 위험성 감소 및 유통기한 연장 효과가 있고, 건강한 웰빙제품으로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은 원료의 식감, 맛과 향을 최적화하면서, 아작아작한 씹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오로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은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김 1 내지 100 중량부 및 견과류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며, 결합제로 물, 소금물 및 당액을 첨가하여 블록형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식감 및 바삭거림이 떨어지고 제조과정에서 혼합 및 결합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전분과 김의 함량비는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김 1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김 1 내지 50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분은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타피오카 전분, 옥수수 전분 쌀전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견과류는 땅콩, 아몬드, 참깨, 검은 깨, 호두, 캐슈넛, 콩류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기호에 따라 새우, 멸치류, 오징어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원물을 추가하여 원물 특유의 맛을 추가하고 씹히는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당액은 설탕, 말티톨, 폴리글리시톨, 올리고당, 꿀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액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김스낵은 가미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미제는 레몬 농축액, 생강 농축액, 매실 농축액, 녹차 분말, 계피 시럽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김스낵에 오일을 도포하고, 시즈닝을 뿌린 다음, 구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을 도포함으로써, 김스낵의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고, 시즈닝을 뿌림으로써, 종류에 따라 다양한 맛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은 기존의 김스낵 제품이 가지고 있는 단점인 짧은 품질유지기한과 기름에 튀김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산패 가능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김스낵을 블록형으로 제조함으로써, 한입에 먹기 용이하고, 식감을 바삭하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기름에 튀기지 않고 구워냄으로써 산패의 위험성을 줄이고, 보존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우면서도 바삭한 식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임의의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옥배유, 대두유, 카놀라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씨유, 참기름, 들기름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에 추가적으로 바닐라, 계피, 또는 버터 등을 첨가함으로써 기호성을 향상시키거나 풍미를 증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오일에 항산화제를 부가하여 보존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항산화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오일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항산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허브 추출물, 자몽추출물, 차추출물, 토코페롤, 차카테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은 (a)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김 1 내지 100 중량부 및 견과류 1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결합제로 물, 소금물 및 당액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진공동결건조 또는 진공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건조시킨 혼합물을 블록형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성형된 혼합물을 오븐에서 구워서 블록형 김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레몬 농축액, 생강 농축액, 매실 농축액, 녹차 분말, 계피 시럽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가미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에서 200 내지 270℃의 오븐에서 굽거나 150 내지 380℃의 과열수증기오븐에서 굽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굽는 시간은 30초 내지 10분으로 할 수 있다. 오븐에서 열풍을 공급하면 더욱 고르게 구워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식감 및 바삭거림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우에 따라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오븐 또는 과열수증기오븐에서 굽는 과정은 기름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오븐에 김스낵 가장자리가 닿는 부분과 가운데 부분이 닿는 부분의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굽는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김스낵의 가운데 부분과 가장자리의 두께가 서로 다르므로, 최적의 굽는 온도에 따라 바삭거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운데가 닿는 면은 약 240 내지 260℃, 가장자리가 닿는 면은 약 210 내지 230℃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구워진 김스낵 위에 오일을 도포하고, 시즈닝을 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김스낵의 표면에 특정 모양을 새기거나 굴곡을 가하여 상기 모양 또는 굴곡이 상기 김스낵에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시즈닝이 뿌려진 시트를 오븐에 굽기 전에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에 의해 원하는 크기 및 모양의 김스낵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김스낵이 제조된 다음에, 적절한 크기로 자를 수도 있으나, 구워진 다음에 자를 경우에는 부스러기가 생길 수 있고 원하는 모양으로 자르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상기 절단은 임의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롤러컷팅, 초음파진동컷팅, 또는 레이저컷팅 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은 블록형으로 제조되어 한입에 먹기 용이하고, 잘 부서지지 않아 포장 시 별도의 기체 충전이 필요없어 포장 부피 감소로 인해 물류보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보관 및 유통 시에도 제품 파손의 우려가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은 기름에 튀기지 않아 산패의 위험성 감소 및 유통기한 연장 효과가 있고, 건강한 웰빙제품으로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은 원료의 식감, 맛과 향을 최적화하면서, 아작아작한 씹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감자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김 50 중량부 및 견과류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결합제로 물, 소금물 및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건조시켜 수분을 적정수준으로 함유하도록 한 후, 상기 건조시킨 혼합물을 블록형으로 성형하였다. 이후 230도의 오븐에서 5분간 구웠다. 상기 구워진 김스낵 위에 카놀라유 오일을 도포하고, 시즈닝을 뿌려서 블록형 김스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견과류 30 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견과류 10 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고구마 전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타피오카 전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옥수수 전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결합제로 설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결합제로 폴리글리시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품질 특성>
실시예 1 내지 8에 따라 제조한 블록형 김스낵을 대상으로 각 샘플을 20인의 미각이 우수한 패널을 대상으로 5점 척도법으로 수행한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와 같으며 모든 검사항목에서 비교예(통상적인 판형 김스낵)와 비교할 때 모든 점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항목 식감 기호도
실시예 1 4.5 4.7 4.8 4.5
실시예 2 4.6 4.8 4.8 4.5
실시예 3 4.7 4.8 4.8 4.5
실시예 4 4.5 5.0 4.9 4.8
실시예 5 4.5 5.0 4.9 4.8
실시예 6 4.5 5.0 4.9 4.8
실시예 7 4.5 4.9 5.0 4.7
실시예 8 4.6 4.9 5.0 4.7
비교예 4.0 4.2 4.0 4.0
1: 아주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 좋다.
<실험예 2: 보존성>
실시예 1 내지 8에 따라 제조한 김스낵 및 통상적인 비교예를 7일간 냉장보관한 결과 아래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항목 보존성 바삭거림
실시예 1 O O
실시예 2 O O
실시예 3 O O
실시예 4 O O
실시예 5 O O
실시예 6 O O
실시예 7 O O
실시예 8 O O
비교예 X X
O: 좋음, X: 나쁨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에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본 고안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0)

  1.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김 1 내지 100 중량부 및 견과류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며,
    결합제로 물, 소금물 및 당액을 첨가하여 블록형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김스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과류는 땅콩, 아몬드, 참깨, 검은 깨, 호두, 캐슈넛, 콩류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김스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액은 설탕, 말티톨, 폴리글리시톨, 올리고당, 꿀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김스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스낵은 가미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미제는 레몬 농축액, 생강 농축액, 매실 농축액, 녹차 분말, 계피 시럽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김스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스낵에 오일을 도포하고, 시즈닝을 뿌린 다음, 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김스낵.
  6. (a)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해 김 1 내지 100 중량부 및 견과류 1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결합제로 물, 소금물 및 당액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진공동결건조 또는 진공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건조시킨 혼합물을 블록형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성형된 혼합물을 오븐에서 구워서 블록형 김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레몬 농축액, 생강 농축액, 매실 농축액, 녹차 분말, 계피 시럽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가미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200 내지 270℃의 오븐에서 굽거나 150 내지 380℃의 과열수증기오븐에서 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워진 김스낵 위에 오일을 도포하고, 시즈닝을 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김스낵의 표면에 특정 모양을 새기거나 굴곡을 가하여 상기 모양 또는 굴곡이 상기 김스낵에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
KR1020180024130A 2018-02-28 2018-02-28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 KR10206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130A KR102065942B1 (ko) 2018-02-28 2018-02-28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130A KR102065942B1 (ko) 2018-02-28 2018-02-28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572A true KR20190103572A (ko) 2019-09-05
KR102065942B1 KR102065942B1 (ko) 2020-01-14

Family

ID=6794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130A KR102065942B1 (ko) 2018-02-28 2018-02-28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476A1 (ko) 2021-08-17 2023-02-23 씨제이제일제당 (주) 웨이브 형상을 갖는 김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16A (ko) 1999-04-02 2000-11-15 이전희 김의 사이에 식품이 부착된 이중김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0920A (ko) 1999-07-23 2001-02-15 박시영 김부각의 제조방법
KR20050072639A (ko) 2004-01-07 2005-07-12 김용국 김부각 및 김부각의 제조방법
KR20150061627A (ko) * 2012-12-18 2015-06-04 씨제이제일제당 (주) 김과 곡물 시트를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6614A (ko) * 2017-03-17 2017-05-02 천지해영어조합법인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16A (ko) 1999-04-02 2000-11-15 이전희 김의 사이에 식품이 부착된 이중김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0920A (ko) 1999-07-23 2001-02-15 박시영 김부각의 제조방법
KR20050072639A (ko) 2004-01-07 2005-07-12 김용국 김부각 및 김부각의 제조방법
KR20150061627A (ko) * 2012-12-18 2015-06-04 씨제이제일제당 (주) 김과 곡물 시트를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2521A (ko) * 2012-12-18 2017-02-02 씨제이제일제당 (주) 김과 곡물 시트를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6614A (ko) * 2017-03-17 2017-05-02 천지해영어조합법인 김자반 스낵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476A1 (ko) 2021-08-17 2023-02-23 씨제이제일제당 (주) 웨이브 형상을 갖는 김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6112A (ko) 2021-08-17 2023-02-24 씨제이제일제당 (주) 웨이브 형상을 갖는 김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942B1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495B1 (ko) 김과 곡물 시트를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6939B1 (ko) 콩단백을 주원료로 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2065676B1 (ko) 영양성분이 강화되고 혈당상승이 억제된 시리얼 바
KR101498666B1 (ko) 쌀가루를 주원료로 하는 커틀릿 및 그 제조방법
KR100869406B1 (ko) 즉석 인절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절미
CN106174098A (zh) 一种海苔、猪肉脯及其制作方法
KR102065942B1 (ko) 블록형 김스낵의 제조방법
KR101506938B1 (ko) 건과일을 이용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KR20210004073A (ko) 생선 껍질을 이용한 스낵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66105B1 (ko) 팽화 현미를 포함하는 가식성이 개선된 즉석죽 조성물
JP7092491B2 (ja) 具材入り成形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4053B1 (ko) 두부강정의 제조방법
KR100495166B1 (ko) 즉석 떡볶이의 제조방법
KR102106681B1 (ko) 파프리카 김 스낵의 제조방법
KR101164212B1 (ko) 딸기 고구마 쌈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딸기 고구마 쌈장
KR101871971B1 (ko) 대추가 함유된 쌀돈까스
KR20140120622A (ko) 발효 찹쌀 풀을 이용한 김치부각의 제조방법
KR20040067182A (ko) 김치맛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만들어진 김부각
KR102190395B1 (ko) 전분 고정제를 포함하는 쌀바의 제조방법
KR102384686B1 (ko) 약과 쿠키 및 그 제조방법
KR101319581B1 (ko) 떡을 이용한 식육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5600A (ko) 땅콩을 활용한 김 스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 스낵
KR20230059199A (ko) 파스닙 나초 및 그 제조방법
KR100612937B1 (ko) 저온 취식이 가능한 포장 어묵 제품
KR20240076424A (ko) 표고버섯칼국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