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437A -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437A
KR20190095437A KR1020197021237A KR20197021237A KR20190095437A KR 20190095437 A KR20190095437 A KR 20190095437A KR 1020197021237 A KR1020197021237 A KR 1020197021237A KR 20197021237 A KR20197021237 A KR 20197021237A KR 20190095437 A KR20190095437 A KR 20190095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unit
bone formation
belt
exchang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니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B31F1/2845Details, e.g. provisions for drying, moistening, pressing
    • B31F1/2863Corrugating cylinders; Supporting or positioning means therefor; Drives therefor
    • B31F1/2868Exchangeable corrugating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B31F1/2804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22Corrugating
    • B29C53/24Corrugat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B31F1/2845Details, e.g. provisions for drying, moistening, pressing
    • B31F1/2863Corrugating cylinders; Supporting or positioning means therefor; Dri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B31F1/2845Details, e.g. provisions for drying, moistening, pressing
    • B31F1/2877Pressing means for bringing facer sheet and corrugated webs into contact or keeping them in contact, e.g. roll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2Corrugating; Stiff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분리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N1)와 장착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N2)를 갖는 탑재대(111)와, 탑재대(111)를 제1 수용부(N1)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와 제2 수용부(N2)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N3)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와 제1 교환 위치 및 제2 교환 위치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112)를 마련한다.

Description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파형 가공된 골심지에 라이너를 첩합하여 편면 골판지 시트를 제조하는 싱글 페이서에 있어서, 심지를 파형 가공하여 골심지를 형성하는 상하의 골 형성 롤로 이루어지는 골 형성 롤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판지 시트의 제조 장치로서의 코러게이트 머신은, 편면 골판지 시트를 형성하는 싱글 페이서와, 편면 골판지 시트에 표측 라이너지를 첩합하여 양면 골판지 시트를 형성하는 더블 페이서를 구비하고 있다. 싱글 페이서는, 심지(골심지)를 파형으로 가공하고, 이측 라이너를 첩합하여 편면 골판지 시트를 형성하고, 더블 페이서는, 이 편면 골판지 시트에 표측 라이너를 첩합하여 양면 골판지 시트를 형성한다. 이 더블 페이서에 의하여 제조된 연속된 양면 골판지 시트는, 슬리터 스코어러에 의하여 소정의 폭으로 절단되고, 컷 오프 장치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골판지 시트가 된다.
이 코러게이트 머신의 싱글 페이서에서, 프리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이측 라이너가 가압 벨트와 상단 롤과의 닙부에 이송되는 한편, 프리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심지가 상단 롤과 하단 롤과의 맞물림부에서 파상(波狀)으로 가공되어 골심지가 형성되고, 골심지의 각 골 정부(頂部)에 접착제 도포가 이루어진 후, 닙부에 이송된다. 그리고, 이 닙부에서, 골심지가 이측 라이너에 첩합되어 편면 골판지 시트가 형성된다.
이 싱글 페이서에서는, 파형 형상이 다른 복수 종류의 골심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조하는 골심지의 종류에 따라 복수 종류의 상하 골 형성 롤이 설정되어 있고, 싱글 페이서에 대하여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로서는, 하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는, 골 형성 롤 유닛을 대차에 실어 반송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골 형성 롤 유닛을 교환하는 것이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는, 싱글 페이서에 인접하여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부설(敷設)하고, 골 형성 롤 유닛을 탑재한 대차를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골 형성 롤 유닛을 교환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9-196331호 미국 특허 공보 제7617856호
특허문헌 1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비어있는 대차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싱글 페이서로부터 골 형성 롤 유닛을 분리하여 대차에 실어 회수한 후, 교환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을 실은 대차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켜, 싱글 페이서에 골 형성 롤 유닛을 장착하여 대차를 회수하고 있다. 이 교환 작업은, 작업자가 실시하는 것이며, 대차를 빈번하게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 교환 작업 시간이 장시간이 되고, 작업성에 관한 부담도 크다. 또, 특허문헌 2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는, 싱글 페이서에 인접한 바닥면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이 상설(常設) 부재가 되어, 코러게이트 머신의 조작 측에 설치한 경우, 작업자에 있어서의 작업 도선의 방해가 된다. 예를 들면, 스플라이서에 의한 종이 이음 작업 시나 싱글 페이서의 메인트넌스 작업 시 등에, 가이드 레일이 작업자의 이동의 방해가 되어, 작업자에 의한 신속한 각종 작업을 방해하게 된다. 또, 코러게이트 머신의 구동 측은 건물 스페이스의 사정으로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는, 분리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장착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갖는 탑재대와, 상기 탑재대를 상기 제1 수용부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와 상기 제2 수용부가 상기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와 상기 제1 교환 위치 및 상기 제2 교환 위치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이동 장치에 의하여 탑재대를 퇴피 위치로부터 제1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 수용부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에 대향한다. 여기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을 제1 수용부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이동 장치에 의하여 탑재대를 제1 교환 위치로부터 제2 수용부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제2 수용부에 있는 골 형성 롤 유닛을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이 분리된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 장치에 의하여 탑재대를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그 결과, 1대의 대차의 이동에 의하여 골 형성 롤의 유닛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분리 방향 및 장착 방향이 되는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탑재대를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장치와,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탑재대를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장치와, 상기 제1 주행 장치와 상기 제2 주행 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전환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전환 장치에 의하여 제1 주행 장치를 선택하여, 이 제1 주행 장치를 작동하면, 탑재대를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고, 전환 장치에 의하여 제2 주행 장치를 선택하여, 이 제2 주행 장치를 작동하면, 탑재대를 제2 수평 방향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탑재대를 제1 교환 위치와 제2 교환 위치로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주행 장치의 제1 주행 차륜 또는 상기 제2 주행 장치의 제2 주행 차륜을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승강 장치에 의하여 제1 주행 장치의 제1 주행 차륜 또는 제2 주행 장치의 제2 주행 차륜을 승강시킴으로써, 제1 주행 장치와 제2 주행 장치의 사용을 전환할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탑재대를 승강시키는 제1 이동 장치와,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분리 방향 및 장착 방향이 되는 제1 수평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탑재대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이동 장치를 작동하면, 탑재대를 승강시킬 수 있고, 제2 이동 장치를 작동하면, 탑재대를 제2 수평 방향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탑재대를 제1 교환 위치와 제2 교환 위치에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탑재대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에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을 분리 방향 및 장착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탑재대의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에 가이드 부재를 마련하는 점에서, 골 형성 롤 유닛을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분리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제1 수용부에 수용할 수 있고, 또 제2 수용부에 있는 골 형성 롤 유닛을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소정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는, 상기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싱글 페이서와 상기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분리 및 장착을 행하는 유닛 교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이동 장치에 의하여 탑재대를 퇴피 위치로부터 제1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 수용부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에 대향한다. 여기에서, 유닛 교환 기구에 의하여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을 제1 수용부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이동 장치에 의하여 탑재대를 제1 교환 위치로부터 제2 수용부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유닛 교환 기구에 의하여 제2 수용부에 있는 골 형성 롤 유닛을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이 분리된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 장치에 의하여 탑재대를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그 결과, 1대의 대차의 이동에 의하여 골 형성 롤의 유닛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상기 싱글 페이서는, 심지를 협지하여 파형 가공을 실시하는 상하의 골 형성 롤과, 복수의 지지 롤에 권회되어 파형 가공된 상기 심지와 라이너를 상기 상하의 골 형성 롤 중 어느 한쪽과 함께 가압하여 접합하는 무단(無端)의 가압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의 골 형성 롤의 교환 시에 상기 가압 벨트의 하강을 저지하는 벨트 지지 기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의 골 형성 롤의 교환 시에, 벨트 지지 기구에 의하여 가압 벨트의 하강을 저지하는 점에서, 상단 롤이 가압 벨트에 접촉하지 않아, 가압 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상기 벨트 지지 기구는, 상기 복수의 지지 롤 사이에 있는 상기 가압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의 골 형성 롤의 교환 시에, 지지 부재에 의하여 복수의 지지 롤 사이에 있는 가압 벨트를 지지하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상단 롤과 가압 벨트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상기 벨트 지지 기구는,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가압 벨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는 퇴피 위치와 상기 가압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는, 통상, 가압 벨트로부터 이간하는 퇴피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싱글 페이서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하의 골 형성 롤의 교환 시에, 지지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하여 지지 부재가 가압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지지 부재가 가압 벨트를 지지하여 상단 롤과 가압 벨트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지지 롤 사이에 있는 상기 가압 벨트를 연직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로드이고, 상기 지지 부재 이동 장치는, 상기 지지 로드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의 골 형성 롤의 교환 시에, 지지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하여 지지 로드를 지지 위치로 이동시켜, 하방으로부터 가압 벨트를 지지하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가압 벨트를 지지하여 상단 롤과 가압 벨트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지지 롤 사이에 있는 상기 가압 벨트를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부터 흡인하는 흡인 부재이고, 상기 지지 부재 이동 장치는, 상기 흡인 부재를 승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의 골 형성 롤의 교환 시에, 흡인 부재에 의하여 상방으로부터 가압 벨트를 흡인하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가압 벨트를 지지하여 상단 롤과 가압 벨트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상기 벨트 지지 기구는, 상기 복수의 지지 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의 골 형성 롤의 교환 시에, 조정 장치에 의하여 복수의 지지 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점에서, 기존의 장치로 용이하게 가압 벨트를 지지하여 상단 롤과 가압 벨트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는, 상기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주행 장치에 의하여 상기 탑재대가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장착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탑재대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와, 싱글 페이서와 상기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분리 및 장착을 행하는 유닛 교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제1 주행 장치를 작동하여 탑재대를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주행시키면, 탑재대가 스토퍼에 맞닿아 그 이동이 저지되고, 다음으로 제2 주행 장치를 작동시켜, 탑재대를 제2 수평 방향을 따라 주행시킴으로써, 탑재대를 제1 교환 위치나 제2 교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 교환 위치에서, 유닛 교환 기구에 의하여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을 제1 수용부로 이동시킨다. 또, 제2 교환 위치에서, 유닛 교환 기구에 의하여 제2 수용부에 있는 골 형성 롤 유닛을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이 분리된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 장치에 의하여 탑재대를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그 결과, 1대의 대차의 이동에 의하여 골 형성 롤의 유닛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상기 탑재대를 상기 스토퍼에 맞닿은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미소(微小) 거리만큼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장착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소 이동 기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탑재대가 스토퍼에 맞닿았을 때, 미소 이동 기구에 의하여 이 맞닿은 위치로부터 미소 거리만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점에서, 탑재대가 스토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제2 수평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어, 탑재대를 매끄럽게 주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제2 주행 차륜을 승강 가능하고, 상기 미소 이동 기구는, 상기 제2 주행 차륜과 바닥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제1 경사면과, 상기 다른 한쪽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제2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탑재대가 스토퍼에 맞닿았을 때, 승강 장치가 제2 주행 차륜을 하강하면, 제2 주행 차륜이 바닥면에 접지되고, 이때,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접촉하여, 탑재대가 스토퍼의 맞닿은 위치로부터 미소 거리만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에서, 탑재대가 스토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제2 수평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어, 탑재대를 매끄럽게 주행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은, 상기 제1 교환 위치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을 상기 제1 수용부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탑재대를 상기 제2 수용부가 상기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2 교환 위치에서 상기 제2 수용부의 골 형성 롤 유닛을 상기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탑재대를 상기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1대의 대차의 이동에 의하여 골 형성 롤의 유닛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1대의 대차의 이동에 의하여 골 형성 롤의 유닛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골판지 시트의 제조 장치로서의 코러게이트 머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싱글 페이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에 있어서의 주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a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c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의 제4 변형예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의 제5 변형예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실시형태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골판지 시트의 제조 장치로서의 코러게이트 머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의 제조 장치로서의 코러게이트 머신(10)은, 파형 가공된 골심지(심지)(B)에 제2 라이너로서, 예를 들면 이측 라이너(C)를 첩합하여 편면 골판지 시트(D)를 제조하고, 이 제조되는 편면 골판지 시트(D)에 있어서의 골심지(B) 측에 제1 라이너로서, 예를 들면 표측 라이너(A)를 첩합하여 양면 골판지 시트(E)로 하며, 연속된 양면 골판지 시트(E)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시트상의 양면 골판지 시트(F)를 제조하는 것이다.
코러게이트 머신(10)은, 골심지(B)의 밀 롤 스탠드(11)와, 프리히터(예열 장치)(12)와, 이측 라이너(C)의 밀 롤 스탠드(13)와, 프리히터(예열 장치)(14)와, 싱글 페이서(15)와, 브리지(16)와, 표측 라이너(A)의 밀 롤 스탠드(17)와, 프리히터(예열 장치)(18)와, 글루 머신(19)과, 더블 페이서(20)와, 로터리 시어(21)와, 슬리터 스코어러(22)와, 컷 오프(23)와, 불량품 배출 장치(24)와, 스태커(25)를 갖고 있다.
밀 롤 스탠드(11)는, 양측에 각각 골심지(B)가 형성되는 심지가 롤상으로 감긴 롤지가 장착되어 있고, 그 상방에는, 종이 이음을 행하는 스플라이서(종이 이음 장치)(11a)가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롤지로부터 급지되고 있는 경우에, 다른 쪽의 롤지가 장착되어, 종이 이음 준비가 이루어진다. 한쪽의 롤지의 원지가 얼마 남지 않게 되면, 스플라이서(11a)에 의하여 다른 쪽의 롤지의 원지에 종이 이음된다. 그리고, 다른 쪽의 롤지로부터 원지가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 한쪽의 롤지가 장착되어 종이 이음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원지는 순차 종이 이음되어 밀 롤 스탠드(11)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조출되게 된다.
한편, 밀 롤 스탠드(13)는, 양측에 각각 이측 라이너(C)가 롤상으로 감긴 롤지가 장착되어 있고, 그 상방에는, 종이 이음을 행하는 스플라이서(13a)가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롤지로부터 급지되고 있는 경우에, 다른 쪽의 롤지가 장착되어, 종이 이음 준비가 이루어진다. 한쪽의 롤지의 원지가 얼마 남지 않게 되면, 스플라이서(13a)에 의하여 다른 쪽의 롤지의 원지에 종이 이음된다. 그리고, 다른 쪽의 롤지로부터 원지가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 한쪽의 롤지가 장착되어 종이 이음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원지는 순차 종이 이음되어 밀 롤 스탠드(13)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조출되게 된다.
각 프리히터(12, 14)는, 골심지(B)와 이측 라이너(C)를 각각 예열하는 것이다. 각 프리히터(12, 14)는, 내부에 증기가 공급되는 가열 장치를 갖고 있고, 밀 롤 스탠드(11, 13)로부터 연속적으로 조출되는 원지(골심지(B), 이측 라이너(C))를, 이 가열 장치에 의하여 가열하면서 반송함으로써, 이 골심지(B)와 이측 라이너(C)를 소정 온도까지 승온한다.
싱글 페이서(15)는, 프리히터(12)로 가열된 골심지(B)를 파상으로 가공한 후에 각 골 정부에 접착제 도포하고, 프리히터(14)로 가열된 이측 라이너(C)를 첩합하여 편면 골판지 시트(D)를 형성한다. 싱글 페이서(15)는, 반송 방향 하류 측의 비스듬한 상방에 취상 컨베이어(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취상 컨베이어(31)는, 한 쌍의 무단 벨트로 구성되고, 싱글 페이서(15)에 있어서 형성된 편면 골판지 시트(D)를 협지하여 브리지(16)에 반송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브리지(16)는, 싱글 페이서(15)와 더블 페이서(20)와의 속도차를 흡수하기 위하여, 편면 골판지 시트(D)를 일차적으로 체류시키는 체류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밀 롤 스탠드(17)는, 양측에 각각 표측 라이너(A)가 롤상으로 감긴 롤지가 장착되어 있고, 그 상방에는, 종이 이음을 행하는 스플라이서(17a)가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롤지로부터 급지되고 있는 경우에, 다른 쪽의 롤지가 장착되어, 종이 이음 준비가 이루어진다. 한쪽의 롤지의 원지가 얼마 남지 않게 되면, 스플라이서(17a)에 의하여 다른 쪽의 롤지의 원지에 종이 이음된다. 그리고, 다른 쪽의 롤지로부터 원지가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 한쪽의 롤지가 장착되어 종이 이음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원지는 순차 종이 이음되어 밀 롤 스탠드(17)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조출되게 된다.
프리히터(18)는, 편면 골판지 시트(D)용 가열 롤(이하, 편면 시트 가열 롤)(32)과, 표측 라이너(A)용 가열 롤(이하, 표측 라이너 가열 롤)(33)을 갖고 있다. 편면 시트 가열 롤(32)은, 권취량 조정 장치를 가짐과 함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고, 주위면에 편면 골판지 시트(D)의 이측 라이너(C) 측이 권취됨으로써, 이 편면 골판지 시트(D)를 예가열(豫加熱)할 수 있다. 한편, 표측 라이너 가열 롤(33)도, 동일하게 권취량 조정 장치를 가짐과 함께, 내부에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고, 주위면에 표측 라이너(A)가 권취됨으로써, 이 표측 라이너(A)를 예가열할 수 있다.
글루 머신(19)은, 접착제 도포 장치와 가압 장치를 갖고 있다. 편면 시트 가열 롤(32)로 가열된 편면 골판지 시트(D)는, 도중에, 글루 머신(19) 내로 안내되고, 라이더롤과 접착제 도포 롤의 사이를 통과할 때에, 골심지(B)의 골의 각 정부에 접착제 도포된다.
글루 머신(19)에 의하여 접착제 도포된 편면 골판지 시트(D)는, 다음 공정의 더블 페이서(20)에 이송된다. 또, 표측 라이너 가열 롤(33)로 가열된 표측 라이너(A)도 글루 머신(19) 내를 통과하여 더블 페이서(20)에 이송된다.
더블 페이서(20)는, 편면 골판지 시트(D) 및 표측 라이너(A)의 주행 라인을 따라, 상류 측의 히팅 섹션(20a)과, 하류 측의 쿨링 섹션(20b)으로 나뉘어 있다. 글루 머신(19)으로 접착제 도포된 편면 골판지 시트(D)는, 이 히팅 섹션(20a)에서, 가압 벨트(34)와 열판(35)의 사이에 반입되고, 표측 라이너(A)는, 편면 골판지 시트(D)의 골심지(B) 측에 중첩되도록 가압 벨트(34)와 열판(35)의 사이에 반입된다. 그리고, 편면 골판지 시트(D)와 표측 라이너(A)는, 가압 벨트(34)와 열판(35)의 사이에 반입된 후, 상하로 중첩된 상태로 일체가 되어 쿨링 섹션(20b)을 향하여 이송된다. 이 이송 중, 편면 골판지 시트(D)와 표측 라이너(A)는, 가압되면서 가열됨으로써, 서로 첩합되어 연속된 양면 골판지 시트(E)가 된다. 양면 골판지 시트(E)는, 쿨링 섹션(20b)에서, 가압 벨트(34)와 반송 벨트(36)로 협지되면서 반송될 때에 자연 냉각된다.
더블 페이서(20)에서 제조된 양면 골판지 시트(E)는, 로터리 시어(21)에 이송된다. 이 로터리 시어(21)는, 가동 초기 단계에서 첩합이 안정될 때까지의 동안에, 양면 골판지 시트(E)를 폭 방향으로 전체 폭 절단 혹은 부분 절단하는 것이다. 슬리터 스코어러(22)는, 폭이 넓은 양면 골판지 시트(E)를 소정의 폭을 갖도록 반송 방향을 따라 재단하고, 또한 반송 방향으로 뻗는 괘선을 가공하는 것이다. 이 슬리터 스코어러(22)는, 양면 골판지 시트(E)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된 대략 동일 구조를 한 제1 슬리터 스코어러 유닛(22a)과 제2 슬리터 스코어러 유닛(2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슬리터 스코어러 유닛(22a) 및 제2 슬리터 스코어러 유닛(22b)은, 양면 골판지 시트(E)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상측 괘선 롤과 하측 괘선 롤과의 세트를 폭 방향으로 복수 세트 가짐과 함께, 양면 골판지 시트(E)의 하측에 배치되는 슬리터 나이프를 폭 방향으로 복수 세트 갖고 있다.
컷 오프(23)는, 슬리터 스코어러(22)에 의하여 반송 방향으로 재단된 양면 골판지 시트(E)를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하고, 소정 길이를 가진 판상의 양면 골판지 시트(F)로 형성하는 것이다. 불량품 배출 장치(24)는, 후술하는 불량 검출 장치에 의하여 불량품으로 판정된 양면 골판지 시트(F)를 반송 라인으로부터 배출하는 것이다. 스태커(25)는, 우량품의 양면 골판지 시트(F)를 적재하여 제품으로서 기기 외로 배출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싱글 페이서(15)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싱글 페이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싱글 페이서(1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롤(지지 롤)(41)과, 장력 롤(지지 롤)(42)과,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권회된 가압 벨트(43)와, 표면이 파상으로 형성되어 가압 벨트(43)에 가압 상태로 맞닿은 상단 롤(44)과, 동일하게 표면이 파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롤(44)에 맞물리는 하단 롤(45)을 구비하고 있다.
프리히터(14)(도 1 참조)로 가열된 이측 라이너(C)는, 라이너용 예열 롤(46)에 권취되어 예열된 후, 벨트 롤(41)에 의하여 안내되는 가압 벨트(43)와 함께, 이 가압 벨트(43)와 상단 롤(44)과의 닙부에 이송된다. 한편, 프리히터(12)로 가열된 골심지(B)는, 상단 롤(44)과 하단 롤(45)과의 맞물림부에서 파상으로 가공된 후, 상단 롤(44)에 의하여 안내되어 가압 벨트(43)와 상단 롤(44)과의 닙부에 이송된다.
접착제 도포 장치(51)는, 상단 롤(44)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접착제 도포 장치(51)는, 접착제를 비축한 접착제 댐(52)과, 상단 롤(44)에 의하여 반송되는 골심지(B)에 접착제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롤(53)과, 접착제 도포 롤(53)의 둘레면으로의 접착제의 부착량을 조정하는 메터 롤(54)과, 메터 롤(54)로부터 접착제를 긁어내는 접착제 스크레이핑 블레이드(55)로 구성되어 있다. 상단 롤(44)과 하단 롤(45)과의 맞물림부에서 골이 형성된 골심지(B)는, 접착제 도포 롤(53)에 의하여 각 골 정부에 접착제 도포제 도포되어, 가압 벨트(43)와 상단 롤(44)과의 닙부에 있어서 이측 라이너(C)에 첩합되어 편면 골판지 시트(D)가 형성된다.
또한, 벨트 롤(41), 장력 롤(42), 상단 롤(44), 하단 롤(45)은, 모두 내부에 증기가 유통하여 가열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골심지(B)는, 상단 롤(44)과 하단 롤(45)과의 맞물림부에서 가압되어 파상으로 가공될 때에 가열된다. 그리고, 골심지(B)는, 접착제 도포 롤(53)에 의하여 골 정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가압 벨트(43)와 상단 롤(44)에서, 이측 라이너(C)와 중첩될 때에 가압되어 가열된다. 이 접착제는, 소정량의 열을 받아 점착력이 증가하여 고화하는 것이고, 골심지(B)와 이측 라이너(C)는, 상하의 골 형성 롤(44, 45) 및 가압 벨트(43)로부터 접착제가 열을 받아 고화함으로써 첩합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상단 롤(44)과 가압 벨트(43)에 의한 골심지(B) 및 이측 라이너(C)의 가압력을 조정 가능한 가압력 조정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압력 조정 장치는, 유압 실린더를 갖고, 구동 로드의 선단부가 장력 롤(42)의 지지축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 롤(41)에 대하여,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장력 롤(42)을 접근 이반시킴으로써 가압 벨트(43)의 장력을 조정하고, 상단 롤(44)과 가압 벨트(43)의 사이에 반송되는 골심지(B) 및 이측 라이너(C)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싱글 페이서(15)는, 파형 형상이 다른 복수 종류의 골심지(B)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형성하는 골심지(B)의 종류에 따라 복수 종류의 상단 롤(44) 및 하단 롤(45)이 마련되어 있고, 싱글 페이서(15)에 대하여 상단 롤(44) 및 하단 롤(45) 등으로 이루어지는 골 형성 롤 유닛을 교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골 형성 롤 유닛(40)은, 상단 롤(44), 하단 롤(45), 접착제 도포 장치(51)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에 있어서의 주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15는,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100)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와,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와, 유닛 교환 기구(10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골 형성 롤 유닛(40)의 분리 방향 및 장착 방향이 되는 제1 수평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제1 수평 방향(X)에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을 Y 방향으로 한다. 또, 골 형성 롤 유닛(40)의 장착 방향이란,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가 싱글 페이서(15)에 접근하는 방향 X1 방향이고, 골 형성 롤 유닛(40)의 분리 방향이란,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가 싱글 페이서(15)로부터 이간하는 방향 X2 방향이다.
먼저,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는, 탑재대(111)와 이동 장치(112)를 구비하고 있다.
탑재대(111)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고, 싱글 페이서(15)로부터 분리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N1)와, 싱글 페이서(15)에 장착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N2)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탑재대(111)는, 제1 수용부(N1)와 제2 수용부(N2)에 각각 골 형성 롤 유닛(40)을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가이드 부재)(121, 122)이 상면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 탑재대(111)는, 가이드 레일(121, 12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측의 상면부에 맞닿음부(123, 1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123, 124)는, 골 형성 롤 유닛(40)이 탑재대(111)의 가이드 레일(121, 122)에 의하여 분리 방향(X2)으로 이동할 때, 골 형성 롤 유닛(40)이 맞닿아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다.
이동 장치(112)는, 제1 주행 장치(125)와, 제2 주행 장치(126)와, 승강 장치(전환 장치)(127)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주행 장치(125)는,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탑재대(111)를 주행시키는 것이고, 제2 주행 장치(126)는,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탑재대(111)를 주행시키는 것이다. 제1 주행 장치(125)는, 4개의 제1 주행 차륜으로서, 2개의 전륜(128a)과 2개의 후륜(128b)이 차축(129a, 129b)에 의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전륜(128a)의 차축(129a) 및 후륜(128b)의 차축(129b)에 구동 장치(130a, 130b)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 장치(130a, 130b)에 의하여 차축(129a, 129b)을 통하여 전륜(128a) 및 후륜(128b)을 구동 회전함으로써, 탑재대(111)를 바닥면(G) 상에서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전륜(128a)의 차축(129a)에 조타 장치(131)를 마련해도 된다.
제2 주행 장치(126)는, 4개의 제2 주행 차륜으로서, 전방 측의 2개의 차륜(132a)과 후방 측의 2개의 차륜(132b)이 마련되고, 각 차륜(132a, 132b)에 구동 장치(133a, 133b)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 장치(133a, 133b)에 의하여 차륜(132a, 132b)을 구동 회전함으로써, 탑재대(111)는 바닥면(G) 상에서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승강 장치(127)는, 제2 주행 장치(126)의 각 차륜(132a, 132b)을 승강시킴으로써, 제1 주행 장치(125)와 제2 주행 장치(126)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승강 장치(127)에 의하여 각 차륜(132a, 132b)을 상승시키면, 제1 주행 장치(125)의 각 전륜(128a)과 각 후륜(128b)이 바닥면(G)에 접지하고, 제2 주행 장치(126)의 각 차륜(132a, 132b)이 바닥면(G)으로부터 이간하여, 제1 주행 장치(125)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승강 장치(127)에 의하여 각 차륜(132a, 132b)을 하강시키면, 제2 주행 장치(126)의 각 차륜(132a, 132b)이 바닥면(G)에 접지하고, 제1 주행 장치(125)의 각 전륜(128a)과 각 후륜(128b)이 바닥면(G)으로부터 이간하여, 제2 주행 장치(126)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장치(127)에 의하여 제1 주행 장치(125)의 각 전륜(128a)과 각 후륜(128b)을 승강시킴으로써, 제1 주행 장치(125)와 제2 주행 장치(126)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이동 장치(112)는, 제1 주행 장치에 의하여 탑재대(111)를 제1 수용부(N1)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후술하는 도 16에 나타내는 위치)와, 제2 수용부(N2)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후술하는 도 17에 나타내는 위치)와, 제1 교환 위치 및 제2 교환 위치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탑재대(111)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조작 핸들(134)이 마련되어 있고, 이 조작 핸들(134)에 이동 장치(112)를 구동 정지하는 조작반(135)이 마련되어 있다.
또,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글 페이서(15)는, 프레임(141)에 탑재대(111)의 스토퍼(14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토퍼(142)는, 제1 주행 장치(125)에 의하여 탑재대(111)가 장착 방향(X1)을 따라 이동할 때, 이 탑재대(111)가 맞닿아 그 이동을 저지하는 것이다. 또한, 탑재대(111)가 스토퍼(142)에 맞닿았을 때, 탑재대(111)를 이 맞닿은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미소 거리(S)만큼 장착 방향(X1)과는 역방향의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키는 미소 이동 기구(14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미소 이동 기구(143)에서, 제2 주행 장치(126)의 각 차륜(132a)은, 볼록 형상을 이루고, 수평 방향에 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제1 경사면(144a, 144b)과, 각 제1 경사면(144a, 144b)의 사이의 수평 방향을 따르는 평탄면(144c)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142)에 근접한 바닥면(G)은, 가이드 레일(145)이 마련되어 있고, 이 가이드 레일(145)은, 오목 형상을 이루며, 수평 방향에 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제2 경사면(146a, 146b)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차륜(132a)의 제1 경사면(144a, 144b)과 가이드 레일(145)의 제2 경사면(146a, 146b)은, 거의 동일한 경사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주행 장치(126)의 각 차륜(132a)을 오목 형상으로 하고, 가이드 레일(145)을 볼록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주행 장치(125)의 각 전륜(128a)과 각 후륜(128b)이 바닥면(G)에 접지하고, 제2 주행 장치(126)의 각 차륜(132a, 132b)이 바닥면(G)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제1 주행 장치(125)에 의하여 탑재대(111)가 장착 방향(X1)으로 주행하여 스토퍼(142)에 맞닿아 정지한다. 이때, 차륜(132a)은, 가이드 레일(145)의 상방에 위치하지만, 스토퍼(142) 측에 미소 거리(S)만큼 어긋난 위치에 있다. 여기에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장치(127)에 의하여 각 차륜(132a, 132b)을 하강시키면, 차륜(132a)의 제1 경사면(144a)만큼이 가이드 레일(145)의 제2 경사면(146a)만큼에 접촉한다. 그리고, 승강 장치(127)에 의하여 각 차륜(132a, 132b)을 더 하강시키면,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132a)의 제1 경사면(144a)이 가이드 레일(145)의 제2 경사면(146a)에 안내되어 분리 방향(X2)으로 이동하고, 차륜(132a)의 각 제1 경사면(144a, 144b)이 가이드 레일(145)의 각 제2 경사면(146a, 146b)에 접촉한다. 이때, 제2 주행 장치(126)의 각 차륜(132b)도 바닥면(G)에 접지하고, 제1 주행 장치(125)의 각 전륜(128a)과 각 후륜(128b)이 바닥면(G)으로부터 이간한다. 그렇게 하면, 탑재대(111)와 스토퍼(142)의 사이에 미소 거리(S)가 확보되어, 제2 주행 장치(126)에 의하여 탑재대(111)가 제2 수평 방향(Y)으로 이동할 때, 탑재대(111)가 스토퍼(142)와 접촉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는,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하는 벨트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벨트 지지 기구는,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감겨진 가압 벨트(43)의 상측 벨트(43a) 또는 하측 벨트(43b)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벨트 지지 기구는, 이 지지 부재를 가압 벨트(4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는 퇴피 위치와, 가압 벨트(43)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하는 지지 부재 이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는, 가압 벨트(43)의 하측 벨트(43b)를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부터 흡인하는 흡인 부재(151)이고, 이 흡인 부재(151)에 흡인 장치(도시 생략)가 연결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 이동 장치는, 이 흡인 부재(151)를 승강 가능한 에어 실린더 승강 장치(도시 생략)이다.
싱글 페이서(15)의 작동 시, 즉,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의하여 가압 벨트(43)가 이동하고 있을 때, 이 가압 벨트(43)가 상단 롤(44)에 접촉하고 있다. 이때, 흡인 부재(151)는, 상측 벨트(43a)와 하측 벨트(43b)의 사이에서, 가압 벨트(4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도 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싱글 페이서(15)의 작동이 정지하고, 골 형성 롤 유닛(40)을 교환할 때, 흡인 부재(151)를 하강시켜 하측 벨트(43b)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시켜, 흡인 장치를 작동함으로써 흡인 부재(151)가 하측 벨트(43b)를 흡인한다. 여기에서, 상단 롤(44)이나 하단 롤(45) 등으로 구성되는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도 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시킨 후,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계속해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다른 골 형성 롤 유닛(40)을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킨 후,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시킨다. 이때, 가압 벨트(43)는, 하측 벨트(43b)가 흡인 부재(151)에 흡인되어 있는 점에서, 처지는 경우는 없다. 이로 인하여,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이 골 형성 롤 유닛(40)을 분리 방향(X2)이나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켜도, 골 형성 롤 유닛(40)이 가압 벨트(43)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어, 가압 벨트(43)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9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A)는,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하는 벨트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벨트 지지 기구는,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감겨진 가압 벨트(43)의 하측 벨트(43b)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지지 로드(152a, 152b)를 구비하고 있다. 또, 벨트 지지 기구는, 이 지지 로드(152a, 152b)를 가압 벨트(4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는 퇴피 위치와, 가압 벨트(43)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 이동 장치로서의 에어 실린더(153a, 153b)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실린더(153a, 153b)는,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보다 분리 방향(X2) 측이며, 또한 가압 벨트(43)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지지 로드(152a, 152b)를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싱글 페이서(15)의 작동 시, 즉,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의하여 가압 벨트(43)가 이동하고 있을 때, 이 가압 벨트(43)가 상단 롤(44)에 접촉하고 있다(도 7의 실선 상태). 이때, 지지 로드(152a, 152b)는,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보다 분리 방향(X2) 측이며, 가압 벨트(4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도 8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싱글 페이서(15)의 작동이 정지하고, 골 형성 롤 유닛(40)을 교환할 때, 에어 실린더(153a, 153b)에 의하여 지지 로드(152a, 152b)를 장착 방향(X1) 측으로 이동시켜, 하측 벨트(43b)를 지지 가능한 지지 위치(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여기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도 9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시킨 후,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계속해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다른 골 형성 롤 유닛(40)을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승시킨다. 이때, 가압 벨트(43)는, 하측 벨트(43b)가 지지 로드(152a, 152b)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처지는 경우는 없다. 이로 인하여,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이 골 형성 롤 유닛(40)을 분리 방향(X2)이나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켜도, 골 형성 롤 유닛(40)이 가압 벨트(43)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어, 가압 벨트(43)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11은,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B)는,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하는 벨트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벨트 지지 기구는,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감겨진 가압 벨트(43)의 하측 벨트(43b)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지지 로드(154)를 구비하고 있다. 또, 벨트 지지 기구는, 이 지지 로드(154)를 가압 벨트(4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는 퇴피 위치와, 가압 벨트(43)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 이동 장치로서의 회전 장치(155)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장치(155)는, 벨트 롤(41)과 동축 상에 마련되어 있고, 벨트 롤(41)의 각 축단부로부터 한 쌍의 연결 로드(156)를 통하여 지지 로드(154)가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 로드(154)는, 벨트 롤(41)의 외측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 장치(155)에 의하여 연결 로드(156)를 통하여 지지 로드(154)를 벨트 롤(41)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이동시켜, 가압 벨트(43)의 하측 벨트(43b)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싱글 페이서(15)의 작동 시, 즉,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의하여 가압 벨트(43)가 이동하고 있을 때, 이 가압 벨트(43)가 상단 롤(44)에 접촉하고 있다(도 7의 실선 상태). 이때, 지지 로드(154)는, 벨트 롤(41)보다 상방 측이며, 가압 벨트(4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도 10 및 도 1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싱글 페이서(15)의 작동이 정지하고, 골 형성 롤 유닛(40)을 교환할 때, 회전 장치(155)에 의하여 연결 로드(156)를 통하여 지지 로드(154)를 이동시켜, 하측 벨트(43b)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위치(도 10 및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여기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시킨 후,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계속해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다른 골 형성 롤 유닛(40)을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승시킨다. 이때, 가압 벨트(43)는, 하측 벨트(43b)가 지지 로드(154)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도 1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지는 경우는 없다. 이로 인하여,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이 골 형성 롤 유닛(40)을 분리 방향(X2)이나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켜도, 골 형성 롤 유닛(40)이 가압 벨트(43)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어, 가압 벨트(43)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 도 12는, 제1 실시형태의 제3 변형예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C)는,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하는 벨트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벨트 지지 기구는,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감겨진 가압 벨트(43)의 하측 벨트(43b)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지지 로드(157)를 구비하고 있다. 또, 벨트 지지 기구는, 이 지지 로드(157)를 가압 벨트(4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는 퇴피 위치와, 가압 벨트(43)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 이동 장치로서의 회전 장치(158)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장치(158)는, 벨트 롤(41)과 동축 상에 마련되어 있고, 벨트 롤(41)의 일 축단부로부터 연결 로드(159)를 통하여 지지 로드(157)가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 로드(157)는, 벨트 롤(41)의 외측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 로드(157)는, 편측 지지이고, 가압 벨트(43)보다 분리 방향(X2) 측으로부터 장착 방향(X1)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 장치(158)에 의하여 연결 로드(159)를 통하여 지지 로드(157)를 벨트 롤(41)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고, 퇴피 위치(도 12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지지 위치(도 1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압 벨트(43)의 하측 벨트(43b)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C)의 작동은, 상술한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B)와 거의 동일한 점에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3은, 제1 실시형태의 제4 변형예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D)는,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하는 벨트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벨트 지지 기구는,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감겨진 가압 벨트(43)의 상측 벨트(43a)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지지 로드(160)를 구비하고 있다. 또, 벨트 지지 기구는, 이 지지 로드(160)를 가압 벨트(4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는 퇴피 위치와, 가압 벨트(43)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 이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면 상술한 회전 장치(155, 158) 및 연결 로드(156, 159)이다. 이 지지 로드(160)는, 벨트 롤(41)에 있어서의 상측 벨트(43a)와 하측 벨트(43b)의 사이에서, 벨트 롤(41)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 장치에 의하여 지지 로드(160)를 회전 운동하여 상승시키면, 지지 로드(160)가 가압 벨트(43)의 상측 벨트(43a)를 하방으로부터 들어 올려 지지할 수 있다.
싱글 페이서(15)의 작동 시, 즉,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의하여 가압 벨트(43)가 이동하고 있을 때, 이 가압 벨트(43)가 상단 롤(44)에 접촉하고 있다(도 7의 실선 상태). 이때, 지지 로드(160)는, 상측 벨트(43a)와 하측 벨트(43b)의 사이에서, 또한 가압 벨트(43)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싱글 페이서(15)의 작동이 정지하고, 골 형성 롤 유닛(40)을 교환할 때, 도 13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지지 로드(160)를 도 1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측 벨트(43a)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들어 올리는 지지 위치에 위치시킨다. 여기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도 1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시킨 후,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계속해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다른 골 형성 롤 유닛(40)을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승시킨다. 이때, 가압 벨트(43)는, 상측 벨트(43a)가 지지 로드(160)에 들어 올려져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도 13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지는 경우는 없다. 이로 인하여,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이 골 형성 롤 유닛(40)을 분리 방향(X2)이나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켜도, 골 형성 롤 유닛(40)이 가압 벨트(43)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어, 가압 벨트(43)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 도 14는, 제1 실시형태의 제5 변형예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E)는,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하는 벨트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벨트 지지 기구는,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가압 벨트(43)의 장력을 조정 가능한 가압력 조정 장치이다. 이 가압력 조정 장치는, 유압 실린더(161)를 갖고, 구동 로드의 선단부가 장력 롤(42)의 지지축에 연결되어 있다.
싱글 페이서(15)의 작동 시, 즉,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의하여 가압 벨트(43)가 이동하고 있을 때, 이 가압 벨트(43)가 상단 롤(44)에 접촉하고 있다(도 7의 실선 상태). 이때, 장력 롤(42)은, 소정의 위치에 있고, 가압 벨트(43)의 장력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하고 있다. 그리고, 싱글 페이서(15)의 작동이 정지하고, 골 형성 롤 유닛(40)을 교환할 때, 유압 실린더(161)를 작동시켜, 장력 롤(42)을 벨트 롤(41)로부터 이간시키도록, 도 14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퇴피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도 14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시킨 후,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계속해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다른 골 형성 롤 유닛(40)을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승시킨다. 이때, 가압 벨트(43)는, 벨트 롤(41)과 장력 롤(42)과의 간격이 길어지는 점에서, 처지는 경우는 없다. 이로 인하여,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이 골 형성 롤 유닛(40)을 분리 방향(X2)이나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켜도, 골 형성 롤 유닛(40)이 가압 벨트(43)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어, 가압 벨트(43)의 손상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100)에 의한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100)에 의한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은, 탑재대(111)의 제1 수용부(N1)를 비우고 제2 수용부(N2)에 골 형성 롤 유닛(40)을 탑재하는 공정과, 탑재대(111)를 제1 수용부(N1)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과, 제1 교환 위치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제1 수용부(N1)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탑재대(111)를 제2 수용부(N2)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과, 제2 교환 위치에서 제2 수용부(N2)의 골 형성 롤 유닛(40)을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탑재대(111)를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시키는 공정을 갖는다.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100)에 의한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재대(111)의 제1 수용부(N1)를 비우고 제2 수용부(N2)에 새롭게 장착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탑재하며, 작업자는, 조작반(135)을 조작하여, 제1 주행 장치(125)를 작동시키고, 탑재대(111)를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4 및 도 15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재대(111)는, 전단부가 스토퍼(142)에 맞닿아 정지하고, 작업자는, 조작반(135)을 조작하여, 제1 주행 장치(125)의 작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작반(135)을 조작하여, 승강 장치(127)를 작동하고, 각 차륜(132a, 132b)을 하강시킨다. 그렇게 하면, 차륜(132a)이 가이드 레일(145)에 끼워 맞춤하여, 탑재대(111)가 스토퍼(142)와 미소 거리(S)를 두고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작반(135)을 조작하여, 제2 주행 장치(126)를 작동하고, 탑재대(111)를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이동시켜, 탑재대(111)의 제1 수용부(N1)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 탑재대(111)의 정지는, 작업자가 조작반(135)을 조작하여 수동에 의하여 행해도 되고, 적정 위치에 마련한 검출 센서가 탑재대(111)를 검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행해도 된다.
탑재대(111)가 제1 교환 위치에서 정지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 유닛 교환 기구(103)에 의하여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제1 수용부(N1)로 이동시킨다. 이 유닛 교환 기구(103)는, 상세하게 설명은 하지 않지만, 싱글 페이서(15) 측에 마련되어 있고, 싱글 페이서(15)의 프레임(141)과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의 사이에서 골 형성 롤 유닛(40)의 이동을 행하는 것이다. 또, 유닛 교환 기구(103)에 의하여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이동시키기 직전에,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에 의하여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한다.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탑재대(111)의 제1 수용부(N1)에 수용되면, 도 16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조작반(135)을 조작하여, 제2 주행 장치(126)를 작동하고, 탑재대(111)를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이동시켜, 탑재대(111)의 제2 수용부(N2)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N3)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 탑재대(111)의 정지는, 작업자가 조작반(135)을 조작하여 수동에 의하여 행해도 되고, 적정 위치에 마련한 검출 센서가 탑재대(111)를 검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행해도 된다.
탑재대(111)가 제2 교환 위치에서 정지하면, 유닛 교환 기구(103)에 의하여 제2 수용부(N2)의 골 형성 롤 유닛(40)을 공간(N3)으로 이동시킨다. 제2 수용부(N2)의 골 형성 롤 유닛(40)이 공간(N3)으로 이동하면,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에 의한 가압 벨트(43)의 지지를 멈춘다. 그리고, 도 4 및 도 17 내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조작반(135)을 조작하여, 승강 장치(127)를 작동하고, 각 차륜(132a, 132b)을 상승시킨다. 그렇게 하면, 차륜(132a)이 바닥면(G)으로부터 이간하여, 제1 주행 장치(125)의 전륜(128a)과 후륜(128b)이 바닥면(G)에 접지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작반(135)을 조작하여, 제1 주행 장치(125)를 작동시키고, 탑재대(111)를 분리 방향(X2)을 따라 이동시켜, 탑재대(111)를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시킴으로써 교환 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에 있어서는, 분리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N1)와 장착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N2)를 갖는 탑재대(111)와, 탑재대(111)를 제1 수용부(N1)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와 제2 수용부(N2)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N3)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와 제1 교환 위치 및 제2 교환 위치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112)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이동 장치(112)에 의하여 탑재대(111)를 퇴피 위치로부터 제1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 수용부(N1)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에 대향한다. 여기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제1 수용부(N1)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이동 장치(112)에 의하여 탑재대(111)를 제1 교환 위치로부터 제2 수용부(N2)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N3)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제2 수용부(N2)에 있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N3)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 장치(112)에 의하여 탑재대(111)를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그 결과, 1대의 대차의 이동에 의하여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에서는, 이동 장치(112)로서, 골 형성 롤 유닛(40)의 장착 방향(X1) 및 분리 방향(X2)이 되는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탑재대(111)를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장치(125)와, 제1 수평 방향(X)에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탑재대(111)를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장치(126)와, 제1 주행 장치(125)와 제2 주행 장치(126)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전환 장치로서의 승강 장치(127)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주행 장치(125)를 선택하여 작동하면, 탑재대(111)를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고, 제2 주행 장치(126)를 선택하여 작동하면, 탑재대(111)를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탑재대(111)를 제1 교환 위치와 제2 교환 위치에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에서는, 승강 장치(127)에 의하여 제2 주행 장치(126)의 각 차륜(132a, 132b)을 승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주행 장치(125)와 제2 주행 장치(126)의 사용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탑재대(111)를 소정의 방향으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음과 함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에서는, 탑재대(111)의 제1 수용부(N1)와 제2 수용부(N2)에 골 형성 롤 유닛(40)을 장착 방향(X1) 및 분리 방향(X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121, 122)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골 형성 롤 유닛(40)을 가이드 레일(121, 122)에 의하여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제1 수용부(N1)에 수용할 수 있고, 또 제2 수용부(N2)에 있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가이드 레일(121, 122)에 의하여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소정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와, 싱글 페이서(15)와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의 사이에서 골 형성 롤 유닛(40)의 분리 및 장착을 행하는 유닛 교환 기구(103)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유닛 교환 기구(103)에 의하여 싱글 페이서(15)와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의 사이에서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을 행하는 점에서, 1대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의 이동에 의하여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는, 상하의 골 형성 롤(44, 45)에 의하여 구성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하는 벨트 지지 기구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상단 롤(44)이 가압 벨트(43)에 접촉하지 않고, 가압 벨트(4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벨트 지지 기구는,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작동하여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하도록 했지만, 이와 같은 작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켜 탑재대(111)의 제1 수용부(N1)에 수용하기 전에, 벨트 지지 기구를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분리할 때,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하강시킨 후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키는 점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켜 제1 수용부(N1)에 수용한 후, 탑재대(111)의 제2 수용부(N2)에 있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장착 방향(X1)으로 이동시켜 공간(N3)으로 이동하기 전에, 벨트 지지 기구를 작동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벨트 지지 기구로서, 벨트 롤(41)과 장력 롤(42)에 감겨진 가압 벨트(4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지지 부재에 의하여 가압 벨트(43)를 지지하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상단 롤(44)과 가압 벨트(43)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벨트 지지 기구는, 지지 부재를 가압 벨트(4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는 퇴피 위치와 가압 벨트(43)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 이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는, 통상, 가압 벨트(43)로부터 이간하는 퇴피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싱글 페이서(15)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리고,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지지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하여 지지 부재가 가압 벨트(43)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하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지지 부재가 가압 벨트(43)를 지지하여 상단 롤(44)과 가압 벨트(43)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지지 부재로서, 가압 벨트(43)를 연직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로드(152a, 152b, 154, 157, 160)를 마련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지지 로드(152a, 152b, 154, 157, 160)를 지지 위치로 이동시켜, 하방으로부터 가압 벨트(43)를 지지하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가압 벨트(43)를 지지하여 상단 롤(44)과 가압 벨트(43)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지지 부재로서, 가압 벨트(43)를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부터 흡인하는 흡인 부재(151)를 마련하여, 승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흡인 부재(151)에 의하여 상방으로부터 가압 벨트(43)를 흡인하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가압 벨트(43)를 지지하여 상단 롤(44)과 가압 벨트(43)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벨트 지지 기구로서, 벨트 롤(41)과 장력 롤(42)과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유압 실린더(161))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장치로 용이하게 가압 벨트(43)를 지지하여 상단 롤(44)과 가압 벨트(43)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와, 제1 주행 장치(125)에 의하여 탑재대(111)가 골 형성 롤 유닛(40)의 장착 방향(X1)을 따라 이동할 때에 탑재대(111)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142)와, 싱글 페이서(15)와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와의 사이에 골 형성 롤 유닛(40)의 분리 및 장착을 행하는 유닛 교환 기구(103)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제1 주행 장치(125)를 작동하여 탑재대(111)를 제1 수평 방향(X1)을 따라 주행시키면, 탑재대(111)가 스토퍼(142)에 맞닿아 그 이동이 저지되고, 다음으로 제2 주행 장치(126)를 작동하여, 탑재대(111)를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주행시킴으로써, 탑재대(111)를 제1 교환 위치나 제2 교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 교환 위치에서, 유닛 교환 기구(103)에 의하여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제1 수용부(N1)로 이동시킨다. 또, 제2 교환 위치에서, 유닛 교환 기구(103)에 의하여 제2 수용부(N2)에 있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공간(N3)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 장치(112)에 의하여 탑재대(111)를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그 결과, 1대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의 이동에 의하여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탑재대(111)를 스토퍼(142)에 맞닿은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미소 거리(S)만큼 골 형성 롤 유닛(40)의 장착 방향(X1)과는 역방향의 분리 방향(X2)으로 이동시키는 미소 이동 기구(143)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탑재대(111)가 스토퍼(142)에 맞닿았을 때, 미소 이동 기구(143)에 의하여 이 맞닿은 위치로부터 미소 거리(S)만큼 분리 방향(X2)으로 이동하는 점에서, 탑재대(111)가 스토퍼(142)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제2 수평 방향(Y)으로 주행시킬 수 있어, 탑재대(111)를 매끄럽게 주행시킬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미소 이동 기구(143)로서, 제2 주행 장치(126)의 각 차륜(132a)에 볼록 형상의 제1 경사면(144a, 144b)을 형성하고, 바닥면(G)의 가이드 레일(145)에 오목 형상의 제2 경사면(146a, 146b)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탑재대(111)가 스토퍼(142)에 맞닿았을 때, 승강 장치(127)가 각 차륜(132a, 132b)을 하강하면, 이 각 차륜(132a, 132b)이 바닥면(G)에 접지되고, 이때, 제1 경사면(144a, 144b)과 제2 경사면(146a, 146b)이 접촉하며, 탑재대(111)가 스토퍼(142)의 맞닿은 위치로부터 미소 거리(S)만큼 분리 방향(X2)으로 이동하는 점에서, 탑재대(111)가 스토퍼(142)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제2 수평 방향(Y)으로 주행시킬 수 있어, 탑재대(111)를 매끄럽게 주행시킬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에서는,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 102A, 102B, 102C, 102D, 102E)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의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시에, 벨트 지지 기구에 의하여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하는 점에서, 상단 롤(44)이 가압 벨트(43)에 접촉하지 않아, 가압 벨트(4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은, 탑재대(111)의 제1 수용부(N1)를 비우고 제2 수용부(N2)에 골 형성 롤 유닛(40)을 탑재하는 공정과, 탑재대(111)를 제1 수용부(N1)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제1 교환 위치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제1 수용부(N1)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탑재대(111)를 제2 수용부(N2)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제2 교환 위치에서 제2 수용부(N2)의 골 형성 롤 유닛(40)을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탑재대(111)를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시키는 공정을 갖고 있다. 따라서, 1대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101)의 이동에 의하여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9는, 제2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200)는,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201)와,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와, 유닛 교환 기구(103)(모두 도 15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와 유닛 교환 기구(103)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설명은 생략한다.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201)는, 탑재대(211)와 이동 장치(212)를 구비하고 있다. 탑재대(211)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고, 싱글 페이서(15)로부터 분리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N1)와, 싱글 페이서(15)에 장착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N2)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탑재대(111)는, 제1 수용부(N1)와 제2 수용부(N2)에 각각 골 형성 롤 유닛(40)을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가이드 부재)(221, 222)이 상면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 탑재대(211)는, 가이드 레일(221, 22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측의 상면부에 맞닿음부(223, 2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223, 224)는, 골 형성 롤 유닛(40)이 탑재대(211)의 가이드 레일(221, 222)에 의하여 분리 방향(X2)으로 이동할 때, 골 형성 롤 유닛(40)이 맞닿아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다.
이동 장치(212)는, 제1 이동 장치(225)와, 제2 이동 장치(226)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이동 장치(225)는, 연직 방향(Z)을 따라 탑재대(211)를 승강시키는 것이고, 제2 이동 장치(226)는,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탑재대(211)를 주행시키는 것이다.
즉, 싱글 페이서(15)에 인접하여 가대(23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대(231) 상에 제2 수평 방향(Y2)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레일(232)이 고정되어 있다. 반송대(233)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고, 복수의 주행 차륜(234)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232) 상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 장치에 의하여 각 주행 차륜(234)을 구동 회전함으로써, 반송대(233)를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반송대(233)는, 사방으로 승강 기구(235)가 마련되고, 각 승강 기구(235)로부터 각각 나사축(236)이 수직으로 내려져 있으며, 각 나사축(236)이 탑재대(211)의 각 지지부(237)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제1 이동 장치(225)는, 각 승강 기구(235)에 의하여 나사축(236)을 각각 회전함으로써, 탑재대(211)를 승강할 수 있다. 제2 이동 장치(226)는, 구동 장치에 의하여 각 주행 차륜(234)을 구동 회전함으로써, 반송대(233)를 통하여 탑재대(211)를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200)에 의한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 내지 도 23은, 제2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200)에 의한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은, 탑재대(211)의 제1 수용부(N1)를 비우고 제2 수용부(N2)에 골 형성 롤 유닛(40)을 탑재하는 공정과, 탑재대(211)를 제1 수용부(N1)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과, 제1 교환 위치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제1 수용부(N1)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탑재대(211)를 제2 수용부(N2)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과, 제2 교환 위치에서 제2 수용부(N2)의 골 형성 롤 유닛(40)을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탑재대(211)를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시키는 공정을 갖는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재대(211)의 제1 수용부(N1)를 비우고 제2 수용부(N2)에 새롭게 장착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탑재하며, 제1 이동 장치(225)를 작동하여, 퇴피 위치인 가대(231) 상의 탑재대(211)를 연직 방향(Z)의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탑재대(211)는,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정지한다. 계속해서, 제2 이동 장치(226)를 작동하여, 탑재대(211)를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이동시켜, 탑재대(211)의 제1 수용부(N1)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 탑재대(111)의 정지는, 작업자가 수동에 의하여 행해도 되고, 검출 센서가 탑재대(211)를 검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행해도 된다.
탑재대(211)가 제1 교환 위치에서 정지하면, 여기에서, 유닛 교환 기구(103)에 의하여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제1 수용부(N1)로 이동시킨다. 또, 유닛 교환 기구(103)에 의하여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을 이동시키기 직전에,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에 의하여 가압 벨트(43)의 하강을 저지한다.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탑재대(111)의 제1 수용부(N1)에 수용되면,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2 이동 장치(226)를 작동하여, 탑재대(211)를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이동시켜, 탑재대(211)의 제2 수용부(N2)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 탑재대(211)의 정지는, 작업자가 수동에 의하여 행해도 되고, 검출 센서가 탑재대(211)를 검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행해도 된다.
탑재대(211)가 제2 교환 위치에서 정지하면, 여기에서, 유닛 교환 기구(103)에 의하여 제2 수용부(N2)의 골 형성 롤 유닛(40)을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제2 수용부(N2)의 골 형성 롤 유닛(40)이 공간으로 이동하면,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102)에 의한 가압 벨트(43)의 지지를 멈춘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 이동 장치(225)를 작동하여, 탑재대(211)를 연직 방향(Z)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탑재대(211)를 제2 교환 위치로부터 가대(231)의 퇴피 위치인 상방에 퇴피시킴으로써 교환 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에 있어서는, 분리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N1)와 장착하는 골 형성 롤 유닛(40)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N2)를 갖는 탑재대(211)와, 탑재대(211)를 제1 수용부(N1)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와 제2 수용부(N2)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40)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와 제1 교환 위치 및 제2 교환 위치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212)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1대의 대차의 이동에 의하여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각종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게 골 형성 롤 유닛(40)의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골 형성 롤 유닛용 교환 대차에서는, 이동 장치(212)로서, 탑재대(211)를 승강시키는 제1 이동 장치(225)와,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탑재대(211)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장치(226)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이동 장치(225)를 작동하면, 탑재대(211)를 승강시킬 수 있고, 제2 이동 장치(226)를 작동하면, 탑재대(211)를 제2 수평 방향(Y)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탑재대(211)를 제1 교환 위치와 제2 교환 위치로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10: 코러게이트 머신(골판지 시트의 제조 장치)
11: 밀 롤 스탠드
12: 프리히터
13: 밀 롤 스탠드
14: 프리히터
15: 싱글 페이서
16: 브리지
17: 밀 롤 스탠드
18: 프리히터
19: 글루 머신
20: 더블 페이서
21: 로터리 시어
22: 슬리터 스코어러
23: 컷 오프
24: 불량품 배출 장치
25: 스태커
40: 골 형성 롤 유닛
41: 벨트 롤
42: 장력 롤
43: 가압 벨트
44: 상단 롤
45: 하단 롤
51: 접착제 도포 장치
100, 200: 골 형성 유닛의 교환 장치
101: 골 형성 유닛용 교환 대차(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
102, 102A, 102B, 102C, 102D, 102E: 골 형성 롤 유닛용 가압 벨트의 지지 장치
103: 유닛 교환 기구
111, 211: 탑재대
112, 212: 이동 장치
121, 122, 221, 222: 가이드 레일
123, 124, 223, 224: 맞닿음부
125: 제1 주행 장치(이동 장치)
126: 제2 주행 장치(이동 장치)
127: 승강 장치(전환 장치)
128a: 전륜(제1 주행 차륜)
128b: 후륜(제1 주행 차륜)
129a, 129b: 차축
130a, 130b: 구동 장치
131: 조타 장치
132a, 132b: 차륜(제2 주행 차륜)
141: 프레임
142: 스토퍼
143: 미소 이동 기구
144a, 144b: 제1 경사면
145: 가이드 레일
146a, 146b: 제2 경사면
151: 흡인 부재(벨트 지지 기구, 지지 부재)
152a, 152b, 154, 157, 160: 지지 로드(벨트 지지 기구, 지지 부재)
153a, 153b: 에어 실린더(벨트 지지 기구, 지지 부재 이동 장치)
155, 158: 회전 장치(벨트 지지 기구, 지지 부재 이동 장치)
161: 유압 실린더(벨트 지지 기구, 지지 부재 이동 장치, 조정 장치)
225: 제1 이동 장치(이동 장치)
226: 제2 이동 장치(이동 장치)
231: 가대
232: 가이드 레일
234: 주행 차륜
235: 승강 기구
236: 나사축
A: 표측 라이너(제1 라이너)
B: 골심지(심지)
C: 이측 라이너(제2 라이너)
D: 편면 골판지 시트
E, F: 양면 골판지 시트
N1: 제1 수용부
N2: 제2 수용부
N3: 공간
S: 미소 거리
X: 제1 수평 방향
X1: 장착 방향
X2: 분리 방향
Y: 제2 수평 방향
Z: 연직 방향

Claims (16)

  1. 분리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장착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갖는 탑재대와,
    상기 탑재대를 상기 제1 수용부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와 상기 제2 수용부가 상기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와 상기 제1 교환 위치 및 상기 제2 교환 위치로부터 이간한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분리 방향 및 장착 방향이 되는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탑재대를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장치와,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탑재대를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장치와, 상기 제1 주행 장치와 상기 제2 주행 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전환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주행 장치의 제1 주행 차륜 또는 상기 제2 주행 장치의 제2 주행 차륜을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탑재대를 승강시키는 제1 이동 장치와,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분리 방향 및 장착 방향이 되는 제1 수평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탑재대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대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에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을 분리 방향 및 장착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싱글 페이서와 상기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분리 및 장착을 행하는 유닛 교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싱글 페이서는, 심지를 협지하여 파형 가공을 실시하는 상하의 골 형성 롤과, 복수의 지지 롤에 권회되어 파형 가공된 상기 심지와 라이너를 상기 상하의 골 형성 롤 중 어느 한쪽과 함께 가압하여 접합하는 무단의 가압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의 골 형성 롤의 교환 시에 상기 가압 벨트의 하강을 저지하는 벨트 지지 기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벨트 지지 기구는, 상기 복수의 지지 롤 사이에 있는 상기 가압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벨트 지지 기구는,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가압 벨트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는 퇴피 위치와 상기 가압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지지 롤 사이에 있는 상기 가압 벨트를 연직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로드이고, 상기 지지 부재 이동 장치는, 상기 지지 로드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지지 롤 사이에 있는 상기 가압 벨트를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부터 흡인하는 흡인 부재이고, 상기 지지 부재 이동 장치는, 상기 흡인 부재를 승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벨트 지지 기구는, 상기 복수의 지지 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13. 청구항 3에 기재된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주행 장치에 의하여 상기 탑재대가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장착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탑재대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와,
    싱글 페이서와 상기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분리 및 장착을 행하는 유닛 교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탑재대를 상기 스토퍼에 맞닿은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미소 거리만큼 상기 골 형성 롤 유닛의 장착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소 이동 기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제2 주행 차륜을 승강 가능하고, 상기 미소 이동 기구는, 상기 제2 주행 차륜과 바닥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제1 경사면과, 상기 다른 한쪽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제2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16. 탑재대의 제1 수용부를 비우고 제2 수용부에 골 형성 롤 유닛을 탑재하는 공정과,
    상기 탑재대를 상기 제1 수용부가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에 대향하는 제1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1 교환 위치에서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을 상기 제1 수용부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탑재대를 상기 제2 수용부가 상기 기존에 설치된 골 형성 롤 유닛이 분리된 공간에 대향하는 제2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2 교환 위치에서 상기 제2 수용부의 골 형성 롤 유닛을 상기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탑재대를 상기 제2 교환 위치로부터 퇴피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방법.
KR1020197021237A 2017-01-23 2017-10-17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 KR201900954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09443A JP6857038B2 (ja) 2017-01-23 2017-01-23 段ロールユニット搬送装置並びに段ロールユニットの交換装置及び方法
JPJP-P-2017-009443 2017-01-23
PCT/JP2017/037595 WO2018135054A1 (ja) 2017-01-23 2017-10-17 段ロールユニット搬送装置並びに段ロールユニットの交換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437A true KR20190095437A (ko) 2019-08-14

Family

ID=6290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237A KR20190095437A (ko) 2017-01-23 2017-10-17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35549B2 (ko)
EP (1) EP3556548B1 (ko)
JP (1) JP6857038B2 (ko)
KR (1) KR20190095437A (ko)
CN (1) CN110191795A (ko)
TW (1) TWI718350B (ko)
WO (1) WO2018135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9741B2 (ja) * 2019-01-23 2023-05-09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段ロールユニット交換装置および方法
JP7209548B2 (ja) 2019-01-23 2023-01-20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段ロールユニット搬送装置および方法
IT201900004661A1 (it) * 2019-03-28 2020-09-28 Fosber Spa Impianto comprendente un ondulatore, e metodo
JP7393908B2 (ja) * 2019-10-09 2023-12-07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シングルフェーサおよび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装置並びにロールの平行度調整方法
CN110757896B (zh) * 2019-10-31 2021-04-13 山东盛彩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瓦楞纸生产加工压痕机
IT202000009898A1 (it) 2020-05-05 2021-11-05 Fosber Spa Un gruppo ondulatore per la produzione di cartone ondulato con un gruppo di pressione con un organo flessibile continuo
IT202000009910A1 (it) 2020-05-05 2021-11-05 Fosber Spa Un gruppo ondulatore per la produzione di cartone ondulato con un sistema di controllo dell'organo di pressione
IT202000009901A1 (it) 2020-05-05 2021-11-05 Fosber Spa Un gruppo ondulatore per la produzione di cartone ondulato con un sistema facilitato per la sostituzione della cinghia di pressione
TWI721927B (zh) * 2020-08-14 2021-03-11 全利機械股份有限公司 等距調整機構
DE102022209598A1 (de) 2022-09-14 2024-03-14 Bhs Corrugated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Anordnung zur Herstellung einer einseitig kaschierten Wellpappebah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6331A (ja) 2008-02-25 2009-09-03 Mitsubishi Heavy Ind Ltd 段ロールユニット及びその搬送方法
US7617856B2 (en) 2005-10-14 2009-11-17 Bhs Corrugated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orrugated boar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5842A (fr) * 1968-07-19 1971-02-15 Masch & Werkzeugbau Gmbh Cage de laminoir et dispositif changeur des cylindres de travail d'une cage
US3699796A (en) * 1970-11-30 1972-10-24 Blaw Knox Co Work roll changers
US3876087A (en) 1973-05-22 1975-04-08 Francesco Osta Removable cylinder carrying carriage, for rotary machines for the treatment of band material
JPS57182423A (en) 1981-05-08 1982-11-10 Mitsubishi Heavy Ind Ltd Pasting device
JPS60175626U (ja) * 1984-05-02 1985-11-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ングルフエ−サ
JPS6234611A (ja) * 1985-08-06 1987-02-14 Sumitomo Heavy Ind Ltd 圧延設備におけるハウジング交換装置のラツチ部の構造
JPH0740836A (ja) * 1993-07-30 1995-02-10 New Oji Paper Co Ltd ロール搬送用台車
DE4413807C1 (de) 1994-04-20 1995-09-14 Windmoeller & Hoelscher Vorrichtung zum Wechseln der Zylinder an einer Druckmaschine
JPH081213A (ja) * 1994-06-14 1996-01-09 Nisshin Steel Co Ltd タンデム式冷間圧延設備のロールおよびチョックの自動交換整備方法および装置
US5715749A (en) 1996-05-30 1998-02-10 Stevens International Apparatus for facilitating printing cassette replacement
US6155320A (en) * 1997-04-24 2000-12-05 United Container Machine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steam at a single facer bonding nip
JPH11198256A (ja) * 1998-01-16 1999-07-27 Niwa Tekkosho:Kk 段形成ロール交換容易な片面段ボール製造装置
DE112006000439T5 (de) 2005-02-25 2008-01-1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einseitig gewellten Pappe
CN2905427Y (zh) * 2005-12-19 2007-05-30 湖北京山轻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单面瓦楞机蒸汽接头快换装置
JP2009196330A (ja) 2008-02-25 2009-09-03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ングルフェーサの加圧ベルト制御方法及び装置
JP6120714B2 (ja) * 2013-07-26 2017-04-26 株式会社Isowa シングルフェーサ及びその段ロール切替方法
DE102014205251A1 (de) * 2014-03-20 2015-09-24 Bhs Corrugated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mindestens einseitig kaschierten endlosen Wellpappe-Bahn
CN205465951U (zh) * 2016-02-03 2016-08-17 上海瓦楞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瓦楞单元更换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7856B2 (en) 2005-10-14 2009-11-17 Bhs Corrugated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orrugated board
JP2009196331A (ja) 2008-02-25 2009-09-03 Mitsubishi Heavy Ind Ltd 段ロールユニット及びその搬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6548A1 (en) 2019-10-23
CN110191795A (zh) 2019-08-30
EP3556548B1 (en) 2022-07-06
EP3556548A4 (en) 2020-05-20
JP6857038B2 (ja) 2021-04-14
US11235549B2 (en) 2022-02-01
TWI718350B (zh) 2021-02-11
WO2018135054A1 (ja) 2018-07-26
TW201829163A (zh) 2018-08-16
US20190381756A1 (en) 2019-12-19
JP2018118390A (ja)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5437A (ko) 골 형성 롤 유닛 반송 장치와 골 형성 롤 유닛의 교환 장치 및 방법
CN1709777B (zh) 将两卷纸材料连接的接合装置,包括接合装置的展开装置
JP4705139B2 (ja) レーザ切断装置、レーザ切断方法及びレーザ切断システム
WO2004065055A1 (ja) レーザ切断装置、レーザ切断方法及びレーザ切断システム
CN201381130Y (zh) 卫星式柔版印刷机不停机自动对接料装置
CN106966174B (zh) 一种板材码垛机
EP3892454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lacing stage roll unit
KR20110025823A (ko) 이송 테이블 및 그 사용 방법
US10618241B2 (en) Device for storing and removing cardboard for a bridge in a corrugated cardboard production line
KR100638114B1 (ko) 라미네이팅 장치
KR101411577B1 (ko) 헤파필터의 종이프레임 절곡면 접착장치 및 방법
KR20180094609A (ko)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
EP38924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stage roll unit, and stage roll unit transporting cart
CN109703111B (zh) 纸张拼接滚痕工艺
JP7133967B2 (ja) 段ボールシートの切断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装置
JP7393908B2 (ja) シングルフェーサおよび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装置並びにロールの平行度調整方法
US20230286766A1 (en) Base paper roll supply device, base paper roll supply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ardboard sheet
KR102596626B1 (ko) 시트의 불량 제거 장치와 방법 및 골판지 시트의 제조 장치
KR20000047466A (ko) 간지의 자동착탈 장치
JP2002167087A (ja) コンベアシステム
TW201400395A (zh) 用於文件夾製造機之自動傳送機構
JPH0510362U (ja) ロール状原紙の搬入、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