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972A - 첩부제 - Google Patents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972A
KR20190085972A KR1020197017157A KR20197017157A KR20190085972A KR 20190085972 A KR20190085972 A KR 20190085972A KR 1020197017157 A KR1020197017157 A KR 1020197017157A KR 20197017157 A KR20197017157 A KR 20197017157A KR 20190085972 A KR20190085972 A KR 20190085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ss
support lay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377B1 (ko
Inventor
료 다나카
히데아키 오하시
나루히데 미요시
다키토 시마
나오코 후지타
야스나리 미치나카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6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anthranilic acid, mefenamic acid, diclofenac, chlorambuc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69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siloxane, polyesters, polyurethane, polyethylene 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층과 지지체층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400 g/㎡·24 시간 이상이며, 점착제층이, 약물과, 디메틸술폭사이드와, 점착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첩부제는, 장시간 적용해도 잘 벗겨 떨어지지 않는다.

Description

첩부제
본 발명은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디메틸술폭사이드 (DMSO) 는, 제제에 있어서, 약물을 용해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DMSO 를 용해제로서 사용하는 디클로페낙나트륨의 첩부제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3/191128호
일반적으로, 첩부제의 부착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저하된다. 본 발명자들은, DMSO 를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배합하면, 첩부제에 점착성을 초래하는 조성물이 가소화되어, 점착제층의 점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DMSO 를 함유하는 첩부제를 장시간 (예를 들어, 24 시간) 적용하면, 충분한 부착성이 마지막까지 지속되지 않아, 치료가 완료되기 전에 첩부제가 벗겨져 버릴 우려가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DMSO 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특정한 투습성을 구비하는 지지체와 조합함으로써, 장시간 첩부 후의 첩부제의 부착성이 대폭 향상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층과 지지체층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지지체층의 투습도는 400 g/㎡·24 시간 이상이며, 점착제층은, 약물과, DMSO 와, 점착제를 함유한다. 지지체층의 투습도는, 750 g/㎡·24 시간 이상이어도 되고, 2000 g/㎡·24 시간 이상이어도 된다.
점착제층은,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를 함유해도 되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해도 된다.
약물은, 케토프로펜, 디클로페낙나트륨, 및 인도메타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약물이어도 된다. 또, 점착제층은 유기산을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 의하면, 높은 투습도를 갖는 지지체층을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부착성이 장시간 지속된다. 그 때문에, 장시간 (예를 들어, 24 시간) 적용해도 첩부제가 잘 벗겨져 떨어지지 않는다. 그 결과, 약물이 진통 또한 항염증 작용을 갖는 약물, 예를 들어, 케토프로펜, 디클로페낙나트륨 또는 인도메타신인 경우에는, 첩부제를 24 시간 환자의 피부에 첩부했을 때에 충분한 누적 피부 투과량이 보다 확실하게 얻어진다. 또, 약물의 최대 혈장 중 농도 Cmax 가 보다 확실하게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첩부제에 의하면, 보다 효과적인 약물 치료가 가능해진다.
도 1 은, 지지체층의 투습도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한 DMSO 의 질량% 농도 (이하, 「DMSO 농도」라고 한다) 의 저하 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시험예 1).
도 2 는, 지지체층의 투습도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한 DMSO 의 질량% 농도의 반감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층과 지지체층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점착제층은, 통상, 지지체층의 일방의 면에 적층되고, 필요에 따라, 점착제층의 다른 일방의 면에 박리 가능한 필름이 적층된다.
먼저, 점착제층에 대해 설명한다. 점착제층은, 첩부제 적용시에 피부에 압착되는 부위이며, 약물과, DMSO 와, 점착제를 적어도 함유한다.
약물은 DMSO 에 용해성인 성분이다. 약물은, 록소프로펜, 펠비낙, 플루르비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및 디클로페낙나트륨 등의 진통 또한 항염증 작용을 갖는 약물이어도 되고, 부프레놀핀, 펜타닐, 및 부토르파놀 등의 진통약 또는 마약, 클로니딘, 에스트라디올, 툴로부테롤, 옥시부티닌 등 그 밖의 약물이어도 된다. 약물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예를 들어, 1 질량% ∼ 20 질량% 또는 2 질량% ∼ 10 질량% 이다.
DMSO 는 약물을 용해시켜, 약물의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점착제층의 점착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것들의 밸런스를 취하는 점에서, DMSO 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1 질량% ∼ 2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 15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 1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 질량% ∼ 10 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약물과 DMSO 의 비는 약물에 따라 상이한데, 예를 들어 약물로서 디클로페낙나트륨을 함유하는 경우, 첩부 직전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있어서, 함유되는 디클로페낙나트륨의 질량과 DMSO 의 질량의 비는, 디클로페낙나트륨의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점, 및 디클로페낙나트륨의 결정의 석출을 방지하는 점에서, 1 : 0.3 ∼ 1 : 4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0.4 ∼ 1 : 3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0.6 ∼ 1 : 3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 : 0.72 ∼ 1 : 3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는,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를 함유해도 된다. 고무계 점착제는, 예를 들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PIB),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다. 이 중, 약물의 피부 투과성을 높이고, 또, 첩부제의 점착성을 보다 높인다는 점에서, SIS 블록 공중합체, PIB,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 바람직하고, SIS 블록 공중합체와 PIB 의 혼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 모노머 중의 적어도 1 종을 중합 또는 공중합시킨 점착제이다. 실리콘계 점착제는,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비닐실록산, 및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등의 실리콘 고무를 주성분으로 한다.
점착제의 함유량은, 고무계 점착제의 경우, 첩부제의 점착성 면에서,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10 질량% ∼ 70 질량%, 10 질량% ∼ 40 질량%, 15 질량% ∼ 50 질량%, 15 질량% ∼ 35 질량%, 또는 30 질량% ∼ 40 질량% 여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의 경우, 점착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50 질량% ∼ 90 질량% 여도 된다.
점착제층은, 약물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기 위한 것, 또는 약물의 결정이 시간 경과적으로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 등의 목적에서, 추가로 유기산을 함유해도 된다. 유기산으로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론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노난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이소스테아르산, 소르브산, 피루브산 등),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말레산, 푸마르산, 옥살로아세트산 등), 및 지방족 트리카르복실산 (아코니트산, 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 등) 등의 지방족 카르복실산, 하이드록시산 (글리콜산, 락트산, 타르트론산, 글리세르산, 하이드록시부티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이소시트르산, 당산, 글루콘산, 글루크론산, 아스코르브산, 에리소르브산 등), 방향족 카르복실산 (벤조산, 갈산, 살리실산, 아세틸살리실산, 프탈산 등), 그 밖의 유기산 (메실산, 페실산 등), 또는 이것들의 염 (예를 들어, 나트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이 예시된다. 이들 유기산 중에서도, 약물이 디클로페낙나트륨인 경우에는, 디클로페낙나트륨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고, 디클로페낙나트륨의 결정이 시간 경과적으로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서, 특히, 시트르산, 올레산, 메실산, 또는 이것들의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산을 함유함으로써, 충분한 약물의 누적 피부 투과량이 보다 확실하게 얻어진다. 이들 유기산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약물의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약물의 결정이 시간 경과적으로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서, 유기산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0.01 질량% ∼ 20 질량% 여도 되고, 0.1 질량% ∼ 15 질량% 여도 되며, 0.2 ∼ 13 질량% 여도 된다.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제, 가소제 또는 그 밖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점착 부여제는, 예를 들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수소 첨가 로진에스테르, 테르펜 수지,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다.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예를 들어, 5 질량% ∼ 60 질량%, 10 질량% ∼ 50 질량%, 25 질량% ∼ 45 질량%, 또는 30 질량% ∼ 35 질량% 이다. 가소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또는 액상 폴리부텐이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예를 들어, 7 질량% ∼ 70 질량%, 10 질량% ∼ 60 질량%, 또는 11 질량% ∼ 25 질량% 이다.
점착제층은, 1 종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이어도 되고, 조성이 상이한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복층이어도 된다. 점착제층의 전체의 두께는, 첩부제를 적절히 피부에 점착시키는 점에서, 10 ㎛ ∼ 1000 ㎛ 가 바람직하고, 30 ㎛ ∼ 3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프로브텍값은, 30 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gF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프로브텍값은, 예를 들어, 43 gF 이상, 44 gF 이상, 53 gF 이상, 61 gF 이상, 68 gF 이상, 또는 71 gF 이상이어도 된다. 프로브텍값이 높을수록, 첩부제의 부착성은 향상된다. 피부에 대한 자극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프로브텍값은, 2000 gF 이하, 1500 gF 이하, 또는 1000 gF 이하여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프로브텍값은, ASTM D2979 의 프로브텍 시험 방법에 준하여 측정된다.
다음으로, 지지체층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체층은, 점착제층을 유지한다. 지지체층의 투습도는 400 g/㎡·24 시간 이상이다. 이와 같은 높은 투습도의 지지체층을 사용하면, 피부에 적용한 첩부제로부터 DMSO 가 서서히 휘산되기 때문에, 첩부제의 점착성이 향상되어, 첩부제를 장시간 적용해도, 잘 벗겨져 떨어지지 않는다. 투습도는 본래, 물의 투과성에 대한 지표이지만, 본 발명자들은, 투습도가 높은 지지체는, 높은 DMSO 의 투과성 (휘발성) 도 갖는 것을 알아내었다. 지지체층의 투습도는, 예를 들어, 422 g/㎡·24 시간 이상, 750 g/㎡·24 시간 이상, 2000 g/㎡·24 시간 이상, 2077 g/㎡·24 시간 이상, 4000 g/㎡·24 시간 이상, 5500 g/㎡·24 시간 이상, 5667 g/㎡·24 시간 이상, 또는 8408 g/㎡·24 시간 이상이어도 된다. 투습도의 상한치는, 20000 g/㎡·24 시간이어도 된다.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DMSO 가 점착제층으로부터 보다 휘산되기 쉽기 때문에, 첩부제의 점착성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체층의 투습도는, JIS Z0208 : 1976 의 규격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 (컵법)) 에 있어서 정의되는, 40 ℃ 에 있어서의 투습도를 의미한다.
지지체층은, 섬유를 포상 (布狀) (직포, 부직포, 또는 편포) 으로 한 것의, 또는 무공성 혹은 다공성의 필름 (시트) 의, 단층체 또는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층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 (에틸렌, 프로필렌, 아세트산비닐,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계 모노머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나일론 또는 견 등), 폴리우레탄 (PU), 또는 셀룰로오스 (목면 또는 마 등) 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 (직포, 부직포, 또는 편포) 에는 고무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어도 된다. 고무 조성물은, 고무계 점착제를 함유한다. 고무계 점착제는, 예를 들어, 폴리이소프렌, PIB,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다. 고무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를 함유해도 된다. 점착 부여제는, 예를 들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수소 첨가 로진에스테르, 테르펜 수지,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다. 또, 고무 조성물은, 가소제, 충전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지지체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 ㎜ ∼ 2 ㎜ 이다. 지지체층의 겉보기 중량은, 예를 들어, 30 g/㎡ ∼ 200 g/㎡ 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지체층의 두께 및 겉보기 중량은, JIS L 1906 : 2000 의 규격에 준하여 측정된다.
지지체층이 포상인 경우, 지지체층의 종방향 (재료 흐름 방향) 및 횡방향 (재료 폭 방향) 중 어느 방향의 50 % 모듈러스 (JIS L 1018 : 1999) 도, 1 N/50 ㎜ ∼ 12 N/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50 % 모듈러스가 12 N/50 ㎜ 이하인 경우, 피부의 신축에 의해 첩부제가 받는 스트레스가 보다 작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양호해진다.
지지체층이 필름인 경우, 재질은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투습성 (고 DMSO 투과성)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신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첩부제의, 피부에 대한 부착성 및 신축 추종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지지체층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혹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편포, 고무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의 포 또는 이것들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체층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폴리우레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적층체, PET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또는 고무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의 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사용한 첩부제에 있어서 약물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서, 첩부 직전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DMSO 농도는, 예를 들어,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1 질량% ∼ 20 질량%, 2 질량% ∼ 12 질량%, 2 질량% ∼ 10 질량%, 또는 2 질량% ∼ 8 질량% 여도 된다. 또, 24 시간 첩부 후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DMSO 농도는, 0.1 질량% ∼ 4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 1.5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체층으로는, 이와 같은 DMSO 농도의 저하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첩부 직전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DMSO 농도가 2 질량% ∼ 8 질량% 인 경우, DMSO 농도의 저하 속도가 0.08 질량%/시간 ∼ 0.16 질량%/시간 (즉, 24 시간당에서는 1.92 질량% ∼ 3.84 질량% 의 감소) 이 되는 지지체층이 바람직하다. 다른 관점에서, 첩부 직전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DMSO 농도가 2 질량% ∼ 8 질량% 인 경우, DMSO 농도의 반감기가 5 시간 ∼ 24 시간이 되는 지지체층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지지체층이면, 24 시간 첩부 후여도, 충분한 부착성이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의 첩부제의 DMSO 농도의 저하 속도 및 반감기는, 모두 30 ℃, 65 %RH 의 조건 하에서, 지지체층이 위를 향하게 되도록 첩부제를 배치하여, 첩부제의 DMSO 농도의 추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 (GC) 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산출된다.
첩부제는, 예를 들어, 다음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일한 용해물을 얻는다. 다음으로, 박리 가능한 필름 (박리 필름, 이형 라이너) 상에 용해물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점착제층이 이형 라이너와 지지체층에 끼워지도록, 점착제층에 지지체층을 압착한다. 마지막으로,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이형 라이너는, 첩부제의 적용시에 제거된다.
실시예
(첩부제의 조제)
이하의 예에 있어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첩부제는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다.
1) 점착제층의 각 성분을 혼화하고, 박리 필름 (이형 처리를 한 PET 필름) 상에 도포하였다. 이것을 건조시킴으로써 DMSO 를 소정량까지 제거하고, 두께 100 ㎛ 의 점착제층 (100 g/㎡) 을 형성하였다.
2) 점착제층 상에 지지체층을 적층하여, 첩부제를 얻었다. 첩부제는 적당한 크기로 적절히 재단하였다.
(지지체층의 투습도의 측정)
이하의 예에 있어서, 사용한 지지체층의 투습도는, JIS Z0208 에 준하여, 40 ℃, 90 %RH 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첩부제의 점착성의 평가)
이하의 예에 있어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첩부제의 점착성은, 다음에 나타내는 180°박리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1) 첩부제로부터 1 ㎝ × 5 ㎝ 의 시험편을 준비하여, 소정 조건에서 소정 시간 보존하였다.
2) 시험편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제거하고, 시험편을 스테인리스판에 첩부하였다.
3) 인스트론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험편을 30 ㎝/분의 속도로 스테인리스판으로부터 180°의 방향으로 박리하여, 박리력 (gF/㎝) 을 측정하였다.
4) 정상적인 박리를 나타낸 구간에서의 박리력의 적분값으로부터, 평균의 박리력 (gF/㎝) 을 산출하였다. 높은 박리력은, 우수한 점착성을 의미한다.
(첩부제의 부착성의 평가)
이하의 예에 있어서, 첩부제의 피부에 대한 부착성은, 다음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피부에 첩부제를 첩부하였다. 24 시간 후, 첩부제의 부착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첩부제의 면적의 90 % 이상이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를 「A」, 그 이외의 경우를 「B」로 하여 평가하였다.
(시험예 1)
표 1 에 나타내는 구성의 첩부제 (플라세보 첩부제) 를 조제하였다. 표중, 「PET 필름」, 「PET 필름/PET 부직포」, 「PU 필름/PU 부직포」, 및 「PET 편포」란, 각각, PET 로 이루어지는 필름, PET 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PET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적층체, PU 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PU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적층체, 및 PET 로 이루어지는 편포를 의미한다. 또, 표 1 에 있어서의 고무계 점착제는, SIS 블록 공중합체와 PIB 의 혼합물로서, SIS 블록 공중합체와 PIB 를 19 : 7 의 질량비로 함유한다. 「PET 편포」로는, 투습도가 5667 g/㎡·24 시간이고, 종방향의 50 % 모듈러스가 3.9 N/50 ㎜ 이며, 또한 횡방향의 50 % 모듈러스가 3.4 N/50 ㎜ 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하의 예에 있어서 동일하다). 첩부제를, 30 ℃, 65 %RH 의 인큐베이터 내에, 지지체층이 위를 향하게 되고, 박리 필름이 아래를 향하게 되도록 배치하여, 보존하였다. 24 시간 후, 첩부제로부터 DMSO 를 추출하여, GC 에 의해 정량하였다. 이 보존 조건은, 첩부제를 피부에 24 시간 첩부한 경우의 환경을 모방한 조건이다.
결과를 표 1,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다.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400 g/㎡·24 시간 이상인 참고예 3 및 4 의 첩부제는,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400 g/㎡·24 시간 미만인 참고예 1 및 2 의 첩부제와 비교하여, 24 시간 보존 후의 DMSO 농도가 크게 저하되었다. 투습도가 높은 지지체층을 갖는 첩부제는, 점착제층 중에 있어서의 DMSO 농도의 저하 속도가 높고 (도 1), DMSO 농도의 반감기가 짧다는 (도 2) 관계가 보였다.
또, 24 시간 동 조건 하에 보존한 첩부제의 점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400 g/㎡·24 시간 이상인 참고예 3 및 4 의 첩부제는,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400 g/㎡·24 시간 미만인 참고예 1 및 2 의 첩부제와 비교하여, 24 시간 보존 후의 점착성 (박리력) 이 양호하였다.
또한, 표 1 에 나타내는 구성의 첩부제의 24 시간 후의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400 g/㎡·24 시간 이상인 참고예 3 및 4 의 첩부제는, 24 시간 첩부 후의 부착성이 양호하였다.
Figure pct00001
(시험예 2)
표 2 에 나타내는 구성의 첩부제를 조제하였다. 표 2 에 있어서의 고무계 점착제는, SIS 블록 공중합체와 PIB 의 혼합물로서, SIS 블록 공중합체와 PIB 를 19 : 7 의 질량비로 함유한다. 실시예 2, 7 ∼ 9 의 첩부제의 점착성을, ASTM D2979 의 프로브텍 시험 방법에 준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한 프로브텍값에 의해 평가하였다. 높은 프로브텍값은, 우수한 점착성을 의미한다.
시험기 : 태킹 시험기 (레스카)
프로브부 선단 재질 : 스테인리스
접착면의 직경 : 5 ㎜
분리 속도 : 2 ㎜/초
접착 하중 : 200 gF/㎠
접착 시간 : 1 초
또, 실시예 1 ∼ 15 및 비교예 1 ∼ 3 의 첩부제를, 건강한 성인 남성의 요배부 (腰背部) 에 1 장씩 첩부하고, 24 시간 후의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400 g/㎡·24 시간 이상인 실시예 1 ∼ 15 의 첩부제는, 24 시간 첩부 후의 부착성이 양호하였다.
또한, 실시예 2 의 첩부제를, 30 ℃, 65 %RH 의 인큐베이터 내에, 지지체층이 위를 향하게 되도록 배치하여, 보존하였다. 24 시간 경과 후, 점착제층 중의 DMSO 농도 (질량%) 를 GC 에 의해 정량하고, DMSO 농도의 추이를 조사하였다. 24 시간 경과 후의 DMSO 농도는,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1.2 질량% 이고, 이것은, 초기 (보존 전) 의 DMSO 농도 100 % 에 대해 33 % 이다. DMSO 농도의 변화로부터 산출한 DMSO 농도의 저하 속도는 0.1 질량%/시간이고, 반감기는 15 시간이었다.
Figure pct00002
(시험예 3)
표 3 에 나타내는 구성의 첩부제를 조제하였다. 표 3 에 나타내는 구성의 첩부제에 대해, 시험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프로브텍값을 측정하고, 점착성을 평가하였다. 표 3 에 있어서의 고무계 점착제는, SIS 블록 공중합체와 PIB 의 혼합물로서, SIS 블록 공중합체와 PIB 를 19 : 7 의 질량비로 함유한다. 표 3 에 있어서의 「고무/폴리에스테르포」란, 고무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의 포를 의미한다. 실시예 16 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PU 필름 (투습도 786 g/㎡·24 시간), 그리고, 실시예 17, 19 및 20 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PU 필름 (투습도 8408 g/㎡·24 시간) 은, 각각 3M 사의 「3M CoTran 9701 Backing」및 「3M CoTran 9700」이다.
실시예 16 ∼ 19, 그리고 비교예 4 및 5 의 첩부제에 대해, 24 시간 후의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첩부제를, 30 ℃, 65 %RH 의 인큐베이터 내에, 지지체층이 위를 향하게 되도록 배치하여, 보존하였다. 24 시간 경과 후, 점착제층 중의 DMSO 농도 (질량%) 를 GC 에 의해 정량하고, DMSO 농도의 추이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400 g/㎡·24 시간 이상인 실시예 16 ∼ 19 의 첩부제는, 24 시간 첩부 후의 부착성이 양호하였다.
Figure pct00003

Claims (7)

  1. 지지체층과 지지체층 상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400 g/㎡·24 시간 이상이며,
    점착제층이, 약물과, 디메틸술폭사이드와, 점착제를 함유하는,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750 g/㎡·24 시간 이상인, 첩부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체층의 투습도가 2000 g/㎡·24 시간 이상인, 첩부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를 함유하는, 첩부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첩부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물이, 케토프로펜, 디클로페낙나트륨, 및 인도메타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약물인, 첩부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유기산을 함유하는, 첩부제.
KR1020197017157A 2016-12-28 2017-12-26 첩부제 KR102358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6702 2016-12-28
JPJP-P-2016-256702 2016-12-28
PCT/JP2017/046697 WO2018124089A1 (ja) 2016-12-28 2017-12-26 貼付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972A true KR20190085972A (ko) 2019-07-19
KR102358377B1 KR102358377B1 (ko) 2022-02-03

Family

ID=6270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157A KR102358377B1 (ko) 2016-12-28 2017-12-26 첩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020356B2 (ko)
EP (1) EP3563840B1 (ko)
JP (3) JP7069042B2 (ko)
KR (1) KR102358377B1 (ko)
CN (1) CN110114064A (ko)
ES (1) ES2893527T3 (ko)
TW (1) TWI743283B (ko)
WO (1) WO2018124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1009142A (es) 2019-02-06 2021-10-13 Venthera Inc Inhibidores topicos de fosfoinositol 3-cinasas.
WO2020175395A1 (ja) 2019-02-27 2020-09-03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6761553B1 (ja) 2020-02-12 2020-09-23 久光製薬株式会社 ジクロフェナクナトリウム含有貼付剤
JP6744512B1 (ja) 2020-02-12 2020-08-19 久光製薬株式会社 ジクロフェナクナトリウム含有貼付剤
JP6744511B1 (ja) * 2020-02-12 2020-08-19 久光製薬株式会社 ジクロフェナクナトリウム含有貼付剤
CA3187759A1 (en) * 2020-08-04 2022-02-10 Agis Kydonieus Formulations of phosphoinositide 3-kinase inhibitors
US11872320B2 (en) 2021-02-25 2024-01-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thod for treating osteoarthriti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330A1 (ja) * 2010-04-30 2011-11-03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剤とその使用
WO2013191128A1 (ja) 2012-06-20 2013-12-27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32C (zh) * 1995-04-10 1999-12-29 浙江省医学科学院 石杉碱透皮吸收贴片
US5702720A (en) 1995-12-22 1997-12-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dermal device for the delivery of flurbiprofen
JPH11322590A (ja) * 1998-05-13 1999-11-24 Teijin Ltd 新規粘着剤及び貼付製剤
AU1436402A (en) * 2000-11-06 2002-05-15 Samyang Corp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with improved water absorbability and adhesion properties
US7202322B2 (en) * 2002-11-08 2007-04-10 Noveon, Inc. Heat resistant high moisture vapor transmission thermoplastic polyurethane
EP1568365B1 (en) * 2002-11-27 2018-04-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Warm poultice
GB2396109B (en) * 2002-12-12 2006-04-19 Johnson & Johnson Medical Ltd Absorbent multilayer hydrogel wound dressings
AU2003292830A1 (en) * 2002-12-26 2004-07-22 Kowa Co., Ltd. Adhesive patch
WO2005123046A1 (en) * 2004-06-15 2005-12-29 Amorepacific Corporation Novel transdermal preparation and its producing method
JP2006288887A (ja) 2005-04-13 2006-10-26 Nitto Denko Corp 貼付製剤
JP2007015963A (ja) * 2005-07-06 2007-01-25 Hisamitsu Pharmaceut Co Inc 貼付剤
NZ572705A (en) * 2006-08-04 2011-12-2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ADHESIVE PREPARATION containing methyl salicylate
CA2713946C (en) 2008-01-31 2015-12-15 Tomomi Okada Adhesive patch
EP2196197A1 (en) 2008-12-15 2010-06-16 Bouty S.P.A. Antiviral patch
EP2436380B1 (en) * 2009-05-29 2014-11-19 Inoac Technical Center Co., Ltd. Patch material
JP5860201B2 (ja) 2010-02-12 2016-02-16 久光製薬株式会社 経皮吸収製剤並びにその製造方法
WO2012048455A1 (zh) * 2010-10-12 2012-04-19 武汉大学 一种抗病毒透皮吸收贴片及其制备方法
WO2013113690A1 (en) * 2012-01-31 2013-08-08 Grünenthal GmbH Pharmaceutical patch f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1r,4r)-6'-fluoro-n,n-dimethyl-4-phenyl-4',9'-dihydro-3'h-spiro[cyclohexane-1,1'-pyrano[3,4-b]indol]-4-amine
JP5307931B1 (ja) * 2012-12-27 2013-10-02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508798A (ja) 2013-02-26 2016-03-24 パラパッチ,インク. 女性失禁及び骨盤神経障害を治療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6270818B2 (ja) * 2013-03-21 2018-01-31 ニチバン株式会社 無溶剤型のポリウレタン系粘着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330A1 (ja) * 2010-04-30 2011-11-03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剤とその使用
WO2013191128A1 (ja) 2012-06-20 2013-12-27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KR20150023758A (ko) * 2012-06-20 2015-03-05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3840A4 (en) 2020-07-29
TWI743283B (zh) 2021-10-21
JP2022036194A (ja) 2022-03-04
CN110114064A (zh) 2019-08-09
TW201828931A (zh) 2018-08-16
US11020356B2 (en) 2021-06-01
US20190350874A1 (en) 2019-11-21
JP7069042B2 (ja) 2022-05-17
JP2023184531A (ja) 2023-12-28
JP7366166B2 (ja) 2023-10-20
EP3563840B1 (en) 2021-09-01
US20210251913A1 (en) 2021-08-19
EP3563840A1 (en) 2019-11-06
JPWO2018124089A1 (ja) 2019-10-31
WO2018124089A1 (ja) 2018-07-05
ES2893527T3 (es) 2022-02-09
KR102358377B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6166B2 (ja) 貼付剤
JP6005742B2 (ja) 貼付剤
CA2542688C (en) Adhesive preparation
JP4660858B2 (ja) 経皮吸収型製剤
JP5738531B2 (ja) 貼付剤
KR102477081B1 (ko) 디클로페낙나트륨 함유 첩부제
KR102477521B1 (ko) 디클로페낙나트륨 함유 첩부제
CA2735634C (en) Patch prepara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WO2004019930A1 (ja) 貼付剤
WO2013047410A1 (ja) 持続型アルツハイマー病治療用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96841B1 (ko) 부착제
KR101939932B1 (ko) 첩부제
JP5386205B2 (ja) 経皮吸収型貼付剤
JP2013095749A (ja) 外用貼付剤
JP2019156720A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