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681A -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 및 이를 이용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 및 이를 이용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681A
KR20190083681A KR1020170171695A KR20170171695A KR20190083681A KR 20190083681 A KR20190083681 A KR 20190083681A KR 1020170171695 A KR1020170171695 A KR 1020170171695A KR 20170171695 A KR20170171695 A KR 20170171695A KR 20190083681 A KR20190083681 A KR 20190083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n
sugar
oriental melon
oriental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038B1 (ko
Inventor
박선영
안성호
서성교
김주섭
Original Assignee
성주군(농업기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군(농업기술센터) filed Critical 성주군(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1020170171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0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2Replacer
    • A23V2200/132Sugar replac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crobi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00% 참외를 사용,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하여 참외 고유의 향, 맛과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및 이를 이용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 고유의 향, 맛과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외 고유의 향과 맛,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 상기 참외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참외 스무디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외 스무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참외 이외 다른 원료나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100% 참외만을 사용한 천연 당액으로서 설탕과 과당 등의 당류와 유사한 감미를 가지고 있어 천연당으로서 설탕을 대체할 수 있고, 참외의 성분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 기능적 측면에서 참외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참외 특성상 가열농축공정에서 참외 고유의 향이 변질되는 단점을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하여 참외 고유의 맛과 향, 색상이 살아있는 참외당을 제조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참외가공식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 및 이를 이용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oriental melon sugar with non-thermal and concentration process and a oriental melon smoothi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하여 참외 고유의 향과 맛,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및 이를 이용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외 고유의 향과 맛,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 상기 참외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참외 스무디에 관한 것이다.
참외(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는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하여 중국, 한국 및 일본 등에서 재배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 이전부터 참외가 재배된 것으로 추정되며, 각 지방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품종의 재래종 참외가 재배되었다. 여름철 대표적인 과일로 생산되는 참외는 다른 과채류에 비해 열량과 비타민이 많아서 식품학적 가치가 높은 편이며 약리작용으로는 진해, 거담작용, 완화 작용, 이뇨작용 및 변비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외는 박과류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서 2017년 기준 국내 재배면적은 4,872 ha이며, 약 6,000억 원의 생산액을 지닌 경제적으로 중요한 채소작물로 경상북도 성주지역은 전국 최고의 참외 특구로서 전국 참외 재배면적의 70%, 생산량의 83%를 차지하고 있다. 성주지역의 참외 판매량은 2017년 약 190,442톤으로 전년도 대비 117.7% 증가되었으며, 판매금액은 약 5,003억 원으로 전년도 대비 134.8% 증가하였다. 또한, 성주 참외수출단지, 유통센터 및 농협을 중심으로 수출을 활성화하여 지역특산물을 넘어 세계적인 명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한 가공식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공 상품화를 통한 지역 홍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경상북도 성주군의 참외는 대부분 생과로 유통되고 있으며 참외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 연구가 일부 보고되고 있으나 참외 가공 상품화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스무디(smoothie)는 과일, 과일 주스에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우유,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을 넣어 만든 과일 음료의 일종으로 차(tea), 커피(coffee), 쥬스(juice)와 다른 형태의 음료이다. 종래 음료는 처음에는 소비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으나, 점차 다양한 기호성을 지니는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한 음료에 식상한 소비자들로부터 점차적으로 외면받고 있으며, 또한 상기 음료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가 알려지면서 종래 음료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종래 음료에 비해 스무디는 과일 또는 과일 주스에 소비자들이 각자 좋아하는 기호성 및/또는 영양성분, 예를 들면 유(乳) 성분인 우유,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을 첨가하여 과일 또는 과일 주스와 유(乳) 성분의 풍미를 결합시킨 음료로서 과일, 과일 주스, 우유 및 아이스크림 등의 각각의 성분을 섭취한 것보다 맛, 풍미가 좋으면서 이들 각각의 성분들이 지니는 영양성분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어 통상의 종래 음료에 비해 점차적으로 소비층이 증가하고 있다.
참외 가공기술 현황을 살펴보면 참외 불량과 유래의 당액을 함유한 꿀벌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90754호에 개시된 바 있고, 참외를 이용한 가공식품으로 고추장 또는 된장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72592호에 개시된 바 있다. 또한, 참외 주스 및 참외 쨈, 프리저브의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77630호에 개시된 바 있고, 저장성이 우수한 참외 퓨레를 함유한 음료 조성물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68188호에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8594호에 냉동 복분자를 20℃∼30℃에서 12∼36시간 해동하고, 상기 해동된 복분자를 주걱 등으로 파쇄하며, 상기 파쇄된 복분자를 씨앗분리기에 넣고 800∼850 rpm/min으로 회전하면서 과육 및 과피가 씨앗과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씨앗과 분리된 복분자 과즙을 30%∼50%로 희석시킨 후 당 및 구연산을 첨가하며, 상기 당 및 산이 첨가된 복분자 과즙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 스무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상기 선행기술들은 참외 특성상 가열농축공정에서 참외 고유의 향과 맛 그리고 색상 등이 변질되는 단점을 개선한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하여 참외 고유의 향과 맛,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액상당, 분말당)을 이용한 점에서 상기 선행기술들과 비교하여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서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한 효과 또한 서로 상이하여 발명의 기술구성과 이로 인한 효과가 상이한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들 어디에도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 고유의 향과 맛,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외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암시되거나 교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참외 가공공정 중 가열농축공정에서 참외 고유의 향과 색상 등이 변질되는 단점을 개선하여 참외의 부가가치를 보다 향상시키고자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하여 참외 고유의 향과 맛,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액상당, 분말당)을 제조하고 이를 당류 대체 반가공소재로 활용한 참외 가공식품(예를 들어 스무디 등)을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외 고유의 향과 맛,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 및 상기 참외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참외 스무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제1단계의 목적은 참외당의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 참외꼭지를 제거하고 파쇄 및 착즙, 여과하여 클라우디 타입의 참외즙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참외즙에 펙티나아제(pectinase)와 셀룰라아제(cellulase) 효소 처리 및 실활, 원심분리, 규조토여과를 통한 정밀여과하여 클리어 타입의 참외즙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참외즙을 급속동결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비가열농축, 건조하여 참외당(액상당, 분말당)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참외당을 설탕 대체 천연당으로 첨가하여 참외스무디를 제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 고유의 향과 맛이 유지되는 참외당(액상당, 분말당)은 기존의 당류를 대체할 수 있고, 다양한 참외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반가공소재로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영양학적, 품질 측면에서 참외의 고유의 맛과 향, 영양소를 가진 참외 가공식품을 제공하는 효과는 물론 가공상품화를 통한 참외 부가가치 향상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제조공정단계별 참외즙 및 참외당을 나타낸 사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상당, 30Bx)과 60℃에서 감압농축방식을 이용한 참외당(액상당, 30Bx)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한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제품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을 첨가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과 설탕 비교 및 이를 첨가한 참외스무디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및 참외 스무디를 제조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2017년 수확, 참외유통센터에서 판매되는 B품 참외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효소제는 펙티나아제(pectinase)와 셀룰라아제(cellulase)를 (주)비젼바이오켐에서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이하, 실시예와 실험예 및 비교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와 실험예 및 비교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자명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제조
참외당 제조 시 참외의 단맛을 살리고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 꼭지를 제거하고 안전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버블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 후 파쇄착즙기를 이용하여 착즙 후 1㎛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MF)를 통과시켜 클라우디 상태의 혼탁한 참외즙을 제조하였다.
상기 참외즙에 펙티나아제(pectinase) 0.01중량%, 셀룰라아제(cellulase) 0.1중량%를 혼합하여 탱크에서 45∼50℃를 유지시키면서 2시간 효소처리 후 순간살균기를 이용하여 95℃ 이상에서 1분간 통과시켜 효소를 실활시킨 후 참외의 향과 색상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3분 이내에 30℃ 이하로 냉각시켰다. 냉각된 참외즙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7,000 rpm, 200kg/hr 조건으로 원심분리한 후, 맑은 액을 규조토 여과하여 청징한 참외즙을 제조하였다.
정밀여과된 참외액은 급속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비가열농축을 실시하였다. 분말당은 동결건조기에서 48시간 동안 완전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으며, 액상당은 동결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반건조된 냉동상태의 제품을 해동하여 제조하였다. 동결건조기에서의 건조시간은 냉동기 용량 대비 투입되는 참외액의 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원하고자 하는 당도에 따른 투입량과 시간에 대한 조건 설정이 필요하다.
실험예 1: 참외당 제조공정 중 참외즙 품질특성 분석
참외당 제조공정 단계에서 효소처리에 따른 품질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참외 착즙 후 1㎛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MF) 통과 참외즙(효소처리 전), 효소처리 후 참외즙의 당도, pH, 색도를 측정하였다.
당도는 digital refractometer(ATAG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pH는 pH meter(DKK-TOA, HM-309)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색도는 색차계(KONICA MINOLTA CR-400, Japan)을 사용하여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값을 측정하여 Hunters color value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도는 효소처리 과정에서 일부 증발되는 현상으로 당도가 조금 높아졌으며 pH는 조금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색도의 경우는 효소처리 후 불용성고형분이 분해되어 명도(L)가 오히려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적색도(a)값은 큰 차이가 없으나 황색도(b)값은 열처리에 의해 조금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외즙 품질특성
당도
(Bx)
pH Hunters color values
L a b △E
참외즙
(효소처리 전)
12.6 5.45 80.36 -2.71 19.13 21.27
참외즙
(효소처리 후)
3.8 5.22 89.83 2.15 21.91 19.27
실험예 2: 본 발명과정에서 활성탄처리에 따른 품질특성
상기 효소처리 참외즙에 활성탄을 1,000 ppm, 5,000 ppm, 10,000 ppm 처리하였으나, 200kg 이상 탱크에서 활성탄 첨가 후 교반 시 함량이 높으면 활성탄이 가라앉아 활성탄 농도를 높여도 차이가 없어 1,000 ppm 처리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활성탄처리에 따른 품질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활성탄 무처리, 처리로 구분하여 원심분리, 규조토 여과 후 당도, pH, 색도를 실험예 1과 같이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활성탄 처리에 따른 당도 및 pH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색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도(L) 값은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적색도(a) 값은 활성탄 처리 후 조금 높아졌고, 황색도(b) 값은 1/2 이하로 줄어들어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으며, 관능적으로도 색상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가열농축 후 활성탄처리에 따른 차이를 확인한 결과, 농축 전 참외액 품질과 달리 색상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활성탄 처리한 참외당의 경우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미세한 활성탄성분에 의해 색상이 아주 약하게 어두워진 것이 확인되었고, 색도 측정결과에서도 차이가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값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산업화 시 대량 생산 공정에서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활성탄 처리는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탄처리에 따른 품질특성
당도
(Bx)
pH Hunters color values
L a b △E
맑은 참외액
(활성탄 무처리)
12.8 5.38 93.04 -1.96 15.65 12.60
맑은 참외액
(활성탄 처리)
12.6 5.35 93.81 -0.66 8.42 5.22
비가열농축 참외당
(활성탄 무처리)
48.2 5.20 72.81 -2.88 28.24 33.15
비가열농축 참외당
(활성탄 처리)
49.0 5.27 73.43 -2.43 28.95 33.25
비교예 1: 본 발명 참외당 및 감압농축 참외당 품질특성
본 발명은 감압농축 시 참외 품질저하(변향 및 갈변화)가 확인되어 참외 고유의 향과 맛, 색상이 살아있는 당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감압농축공정을 적용한 참외당과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압농축 참외당의 경우 참외 고유의 향이 느껴지지 않고 열에 의한 가열취가 느껴져 품질이 좋지 않게 나타났다. 색도 측정결과 비가열농축 참외당에 비해 명도(L) 값이 낮게 나타났으며, 적색도(a), 특히 황색도(b) 값이 매우 크게 높아져 갈색으로 색상이 매우 진하게 변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능적으로도 감압농축 참외당의 색상이 비가열농축 참외당에 비해 매우 진하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3 참조).
농축방식에 따른 참외당 품질특성
당도
(Bx)
pH Hunters color values
L a b △E
비가열농축
(동결건조) 참외당
30.3 5.15 72.62 -1.92 19.77 27.40
감압농축 (60℃)
참외당
30.0 5.03 67.90 0.18 34.48 40.85
실시예 2: 참외당을 첨가한 참외스무디의 제조
본 발명 비가열농축 참외당을 첨가한 참외스무디는 냉동참외, 참외당, 우유를 원료로 하여 성주군농업기술센터에서 개발한 제품으로 냉동참외 400g, 참외당(분말당) 10∼20g, 우유 200ml 기준으로 도 5에 나타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참외 스무디는 냉동참외를 참외 수확기에 미리 제조하여 냉동보관 후 사용하는 것으로, 냉동참외는 참외 과육을 일정크기로 자른 후 급속동결한다. 이는 참외 과육의 크기가 클 경우 믹서공정에서 참외 과육이 고르게 분쇄되지 않기 때문에 입자를 작고 균일하게 제조한다.
상기 참외 스무디는 일반적으로 음료의 단맛을 내기 위해 설탕을 사용하는 것 대신 참외 풍미를 향상시키고 건강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천연당인 참외당을 사용하여 단맛의 기호에 따라 조절하여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실험예 3: 본 발명 참외당(분말당) 특성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비가열농축 참외당(분말당)을 설탕 대체당류로서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참외당(분말당)과 설탕의 품질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분말상태로는 당도, pH, 색도의 측정이 어려워 50% 희석 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50% 희석액의 당도 측정결과 참외당과 설탕의 당도가 거의 유사하여 분말상태의 참외당의 당함량이 거의 100%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당 기여도 측면에서도 설탕과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외당의 경우 분말상태일 때는 참외의 노란색이 잘 나타나지 않지만 액상으로 용해 시 참외당의 색상이 노란색으로 진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참조).
참외당 및 설탕 품질특성
당도
(Bx)
pH Hunters color values
L a b △E
참외당
(분말당 50% 희석)
49.6 5.36 72.81 -2.88 28.24 33.15
설탕
(50% 희석)
50.2 6.72 84.25 0.30 3.81 10.04
실험예 4: 본 발명 참외스무디의 당의 종류에 따른 특성
당도 및 pH, 색도 측정은 본 발명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참외 스무디 제조 시 참외당과 설탕 첨가에 따른 품질 측정결과 관능적으로 차이는 거의 느껴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도 5 참조). 당도, pH 차이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색도 측정 결과 참외당 첨가 참외스무디의 색상이 명도(L) 값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으며, 황색도(b) 값이 조금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참조).
당의 종류에 따른 참외스무디 당도, pH
당도
(Bx)
pH Hunters color values
L a b △E
참외 스무디
(참외당 첨가)
16.9 5.71 90.61 -1.46 5.26 4.58
참외 스무디
(설탕 첨가)
17.1 5.64 88.43 -1.51 4.77 6.42
비교예 2: 본 발명 당의 종류에 따른 참외스무디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성주군 농업기술센터 남녀 직원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기호도의 평가항목은 맛(taste), 향(flavor), 색(color) 및 종합적 기호도로 5점 채점법을 이용하여 설탕첨가 참외스무디와 비교하여 참외당첨가 참외스무디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관능평가는 매우 좋다: 5점, 비슷하다: 3점, 매우 나쁘다: 1점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설탕 대신 참외당을 첨가하여 제조한 참외 스무디가 참외맛과 향이 더 잘 느껴지고 좋다고 평가되었으며 색은 차이를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최종 확인할 수 있었다.
당의 종류에 따른 참외스무디 당도, pH
관능평가표 (최소 1 ∼ 최소 5)
전체 선호도
참외 스무디 (참외당 첨가) 3.5 3.3 3.0 3.6

Claims (5)

  1. (a) 참외 선별 후 쓴맛제거를 위한 꼭지제거 후 세척, 파쇄, 착즙 공정을 통해 참외박을 제거하고, 1㎛ 멤브레인필터(membrane filter, MF)로 1차 여과하여 참외펄프를 제거한 클라우디 타입의 참외즙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클라우디 타입의 참외즙을 클리어 타입의 청징액으로 펙티나아제(pectinase) 0.01중량%, 셀룰라아제(cellulase) 0.1중량%을 투입한 후 45∼50℃에서 2시간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효소 처리된 참외즙을 90∼95℃, 1분간 순간가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 시킨 후 3분 이내 30℃ 이하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냉각 처리된 참외즙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고형분을 제거한 후 규조토여과를 하여 청징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외 고유 향, 맛 및 색상이 우수한 클리어타입의 참외즙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외즙을 40℃로 급속냉동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제품투입량에 따라 시간을 조정하여 완전 건조하여 비가열참외당(분말당)을 제조하는 방법과 상기 참외즙을 반건조 후 해동하여 비가열참외당(액상당)을 제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외당(액상당, 분말당)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외당(액상당, 분말당)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참외 고유의 향, 맛 및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
  4. 참외 꼭지, 껍질, 속 제거 후 냉동식품 및 과·채가공품 미생물규격에 적합하도록 세척 및 위생적 처리 후 일정크기(15×15×10㎜)로 절단하고 외부에 오염되지 않도록 400g씩 비닐포장 한 후 40℃에서 급속동결하여 냉동참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냉동참외 400g, 우유 200㎖에 제3항에 기재된 참외당(분말당) 10∼20g을 혼합하여 믹서기로 분쇄하는 단계; 를 통해 참외 고유의 향, 맛 및 색상이 살아있는 100% 천연 참외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외 스무디 제조방법.
  5. 제4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참외 스무디.
KR1020170171695A 2017-12-13 2017-12-13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 및 이를 이용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 KR10201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95A KR102013038B1 (ko) 2017-12-13 2017-12-13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 및 이를 이용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95A KR102013038B1 (ko) 2017-12-13 2017-12-13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 및 이를 이용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681A true KR20190083681A (ko) 2019-07-15
KR102013038B1 KR102013038B1 (ko) 2019-08-21

Family

ID=6725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695A KR102013038B1 (ko) 2017-12-13 2017-12-13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 및 이를 이용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0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605A (ko) * 2013-07-31 2015-02-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외 불량과 유래의 당액을 함유한 꿀벌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42963A (ko) * 2014-06-12 2015-12-23 이일호 비타민나무 추출액을 혼합한 참외주스 제조방법
KR20160005267A (ko) * 2014-07-04 2016-01-14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참외 당침추출액을 이용한 사탕 제조방법
KR20170021448A (ko) * 2015-08-18 2017-02-28 고민아 생강이 첨가된 참외조청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605A (ko) * 2013-07-31 2015-02-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외 불량과 유래의 당액을 함유한 꿀벌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42963A (ko) * 2014-06-12 2015-12-23 이일호 비타민나무 추출액을 혼합한 참외주스 제조방법
KR20160005267A (ko) * 2014-07-04 2016-01-14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참외 당침추출액을 이용한 사탕 제조방법
KR20170021448A (ko) * 2015-08-18 2017-02-28 고민아 생강이 첨가된 참외조청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038B1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0898B2 (ja) テルペングリコシド及びテルペングリコシドを含有する組成物を含有する植物材料からジュース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
US5543165A (en) Process of making a soluble tea product with champagne-like properties
KR101469646B1 (ko) 땅콩새싹차 및 그 제조방법
Ukwuru et al. New product development from tigernut (Cyperus esculentus) and their sensory, proximate and microbiological evaluation
KR101743141B1 (ko) 생강이 첨가된 참외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0308A (ko) 수국차 추출액을 첨가한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0881702B1 (ko) 단감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20110113800A (ko) 과실즙의 제조방법
KR101314568B1 (ko) 연근 발효음료 제조방법
KR20190106039A (ko) 식물성 단백질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53848B1 (ko) 참외 주박 소금 제조방법 및 그 참외 주박 소금
KR101587589B1 (ko) 연근 잼 제조방법
KR101384831B1 (ko) 밤 꽃,속껍질 및 밤 과실을 이용한 밤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밤 음료
KR102013038B1 (ko) 비가열농축기술을 이용한 참외당액 및 이를 이용한 참외스무디 제조방법
KR102107424B1 (ko) 발효 호박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498873B1 (ko) 수국차 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9990034471A (ko) 수박쥬스 농축물 또는 수박쥬스의 제조방법
CN101522049A (zh) 豆浆的制造方法
KR102583021B1 (ko) 헴프씨드를 이용한 헴프우유 음료의 제조방법
KR102601021B1 (ko) 과일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661110B1 (ko) 오이 추출액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8930B1 (ko)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참기름 제조방법
KR20190063235A (ko) 유청을 활용한 커피원두 및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66296B1 (ko) 고로쇠 수액으로 추출된 홍삼 추출물
KR101693799B1 (ko) 왕보리수 과실을 이용한 홍막걸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홍막걸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