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997A -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997A
KR20190082997A KR1020197019193A KR20197019193A KR20190082997A KR 20190082997 A KR20190082997 A KR 20190082997A KR 1020197019193 A KR1020197019193 A KR 1020197019193A KR 20197019193 A KR20197019193 A KR 20197019193A KR 20190082997 A KR20190082997 A KR 2019008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film
resin
film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367B1 (ko
Inventor
히로모또 하루따
마사또 야마가따
겐지로 니이미
나쯔끼 우께이
준꼬 나까노
쯔또무 시무라
히로노부 마찌나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 C08G2261/322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heteroatom, e.g. pyrrole, pyridine or tri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 C08G2261/322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as the only heteroatom, e.g. thiophene
    • C09J2201/16
    • C09J2201/60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83Hard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Abstract

본 발명은 배면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 및 상기 투명 필름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투명 필름(10)은,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2)과, 그 제1면 상(12A)에 형성된 두께 1㎛ 이하의 배면층(14)을 갖는다. 투명 필름(10)은 스크래치 시험에서의 배면층(14)의 파괴 개시 하중이 50mN 이상이고, 또한 배면층(14)의 마찰 계수가 0.4 이하다.

Description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TRANSPARENT FILM AND SURFACE-PROTECTION FILM USING SAID FILM}
본 발명은 배면에 찰과상이 생기기 어려운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9년 7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6720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 들어가 있다.
표면 보호 필름(표면 보호 시트라고도 함)은, 일반적으로 필름 형상의 지지체 상에 점착제가 마련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보호 필름은, 상기 점착제를 통하여 피착체에 접합되고, 이에 의해 상기 피착체를 가공, 반송시 등의 흠집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액정 셀에 접합되는 편광판은, 일단 롤 형태로 제조된 후, 이 롤로부터 권출해서 액정 셀의 형상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잘라서 사용된다. 여기서, 편광판이 중간 공정(예를 들어, 롤 형태의 편광판의 제조시, 상기 편광판의 사용시 등의 반송 공정)에서 반송 롤 등과 스쳐서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편광판의 편면 또는 양면(전형적으로는 편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기술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 및 2를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320631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14563호 공보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는, 상기 필름을 부착한 채 피착체(예를 들어 편광판)의 외관 검사를 행할 수 있는 점에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최근, 상기 외관 검사의 용이함 등의 관점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 품위에 대한 요구 레벨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피착체에 부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찰과상이 생기기 어려운 성질이 요구되고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찰과상이 존재하면, 그 흠집이 피착체의 흠집인지, 혹은 표면 보호 필름의 흠집인지,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한 상태인 채로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배면에 찰과상이 생기기 어렵고(즉,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 등의 용도에 적합한 투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투명 필름의 편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구성의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투명 필름은,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제1면 상에 형성된 배면층을 갖는다. 상기 배면층의 두께는 1㎛ 이하다. 상기 투명 필름은 스크래치 시험에서의 상기 배면층의 파괴 개시 하중이 50mN 이상이고, 또한 상기 배면층의 마찰 계수가 0.4 이하다.
이러한 구성의 투명 필름에 의하면, 상기 배면층을 이용하여 상기 기재층에 양호한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은, 상기 필름 너머로 제품의 외관검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으므로,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배면층은 두께가 작으므로, 기재층의 특성(광학 특성, 치수 안정성 등)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층의 두께가 1㎛보다도 너무 크면, 상기 배면층이 착색하기 쉬운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투명 필름 전체의 착색이 두드러지게 되거나, 배면층의 형성에 따라 경화 수축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수축에 의해 투명 필름이 컬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원하는 성능(예를 들어 내스크래치성)이 실현되는 범위에서 배면층의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은, 상기 착색이나 컬을 방지 또는 경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투명 필름의 배면층의 소성지수 Ps와 기재층의 소성지수 Pb와의 비(Ps/Pb; 이하, 이것을 「소성지수비」라고도 함)가 1.5 이상이다(즉, Ps/Pb≥1.5). 여기서, 상기 배면층의 소성지수 Ps는, 상기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배면층에 선단 곡률 반경 0.1㎛의 베르코비치형 다이아몬드제 압자를 수직으로 압입하여 깊이 10㎚에서의 압입 탄성률 및 경도를 측정하고, 상기 탄성률을 경도로 나누어서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의 소성지수비는, 배면층을 갖지 않는 기재층에 상기 압자를 수직으로 압입해서 깊이 10㎚에서의 압입 탄성률 및 경도를 측정하고, 상기 탄성률을 경도로 나누어서 구할 수 있다.
상기 소성지수비를 만족하는 투명 필름은, 배면층 상에서 가해진 찰과 응력이 기재층에 미쳐서 상기 기재층이 변형될 경우, 배면층이 기재층보다도 큰 소성지수를 가지므로, 상기 기재층의 변형을 잘 추종하여 변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찰과 응력에 의한 배면층의 파손이 방지되(즉, 파괴 개시 하중이 높아지)므로, 상기 파괴 개시 하중을 만족하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이 적절하게 실현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상기 배면층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배면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하여 측정되는 박리력(배면 박리력)이 2N/1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박리력을 나타내는 투명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합하다. 즉, 보호의 역할을 종료한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로부터 떼서 제거된다. 이때,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배면층의 표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해서 상기 점착 테이프를 인장함으로써 표면 보호 필름의 단부를 피 착체로부터 분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제거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피착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을 지지체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은, 배면층이 적당한 박리력을 가지므로, 상기 점착 테이프를 이용한 박리 작업에 적합하다.
상기 배면층의 구조로서는, 강도 및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단층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면층은, 상기 기재층의 제1면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층과 기재층의 사이에 1 또는 2 이상의 중간층이 개재된 구성에서는, 상기 중간층과 기재층 및 배면층과의 밀착성이 부족하고, 배면층의 파괴 개시 하중이 저하하기 쉬워지는(내스크래치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되는 파괴 개시 하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재층 상에 배면층이 직접 형성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배면층이 활제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활제란, 수지 재료에 배합됨으로써 그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 성분을 말한다. 이렇게 활제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배면층에 의하면,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마찰 계수가 실현되기 쉽고, 따라서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이 실현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배면층이 대전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투명 필름에서는, 배면층을 이용해서 내스크래치성 및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배면층과는 별도로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구성에 비하여 투명 필름의 생산성이 좋다. 또한, 배면층과 기재층 사이에 대전 방지층을 개재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배면층과 기재층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상기 파괴 개시 하중을 만족하는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이 실현되기 쉽다. 상기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양호한 대전 방지성과 높은 내스크래치성을 양립시키기 쉬우므로 도전성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의 투명 필름을 지지체로서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전형적으로는 상기 투명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배면층과는 반대측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은, 특히 광학 부품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다.
도 3은 스크래치 자국의 일례를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상이다.
도 4는 파괴 개시 하중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적 설명도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기재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모식화되어 있고, 제품으로서 실제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투명 필름 또는 표면 보호 필름의 크기나 축척을 정확하게 표현한 것이 아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점착 시트의 지지체 등 기타 용도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 시트는, 일반적으로 점착 테이프, 점착 라벨, 점착 필름 등으로 칭해지는 형태의 것일 수 있다. 그중에서도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합하고, 상기 필름 너머로 제품의 외관검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는 점에서, 특히 광학 부품(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광학 부품)의 가공시나 반송시에 상기 광학 부품의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의 지지체로서 적합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투명 필름의 편면에 점착제층을 가짐으로써 특징지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예를 들어 점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등의 규칙적 혹은 임의적인 패턴으로 형성된 점착제층이어도 좋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롤 형상이어도 좋고, 낱장 형상이어도 좋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을 지지체로서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전형적인 구성예를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표면 보호 필름(1)은, 투명 필름(지지체)(10)과 점착제층(20)을 구비한다. 투명 필름(10)은, 투명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2)과, 그 제1면(12A) 상에 직접 형성된 두께 1㎛ 이하의 배면층(14)으로 이루어진다. 점착제층(20)은, 투명 필름(10) 중 배면층(14)과는 반대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표면 보호 필름(1)은, 이 점착제층(20)을 피착체(보호 대상, 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부품의 표면)에 부착해서 사용된다. 사용 전(즉, 피착체로의 부착 전)의 보호 필름(1)은, 전형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20)의 표면(피착체로의 부착면)이, 적어도 점착제층(20)측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30)에 의해 보호된 형태일 수 있다. 혹은, 표면 보호 필름(1)이 롤 형상으로 권회됨으로써 투명 필름(10)의 배면(배면층(14)의 표면)에 점착제층(20)이 접촉해서 그 표면이 보호된 형태이어도 좋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의 기재층은, 각종 수지 재료를 투명한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기재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방성 등 중 1 또는 2 이상의 특성이 우수한 기재 필름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등을 베이스 수지(수지 성분 중의 주성분, 즉 5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로 하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수지 필름을, 상기 기재층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재료의 다른 예로서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상 또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나일론6, 나일론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중합체;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베이스 수지의 다른 예로서, 이미드계 중합체, 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중합체,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중합체, 비닐알코올계 중합체, 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비닐부티랄계 중합체, 아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중합체의 2종 이상의 블렌드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이어도 좋다. 상기 기재층은, 광학 특성(위상차 등)의 이방성이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특히, 광학 부품용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사용되는 투명 필름에서는, 기재층의 광학적 이방성을 적게 하는 것이 유익하다. 기재층은 단층 구조이어도 좋고, 조성이 상이한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이어도 좋다. 전형적으로는 단층 구조이다.
기재층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과, 비용이나 외관 검사성 등의 균형에서, 통상은 10㎛ 내지 20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5㎛ 내지 1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7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굴절률은, 통상은 1.43 내지 1.6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45 내지 1.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기재층은 70% 내지 99%의 광선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투과율이 80% 내지 97%(예를 들어 85% 내지 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 성분, 가소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층의 제1면(배면층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하도제의 도포 등의 공지 또는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예를 들어 기재층과 배면층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기재층의 표면에 히드록실기(-OH기) 등의 극성기가 도입되는 것과 같은 표면 처리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투명 필름은, 그 기재층의 제2면(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투명 필름(지지체)과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점착제층의 투묘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편면(제1면)에 두께 1㎛ 이하(전형적으로는 0.02㎛ 내지 1㎛)의 배면층을 갖는다. 상기 투명 필름은, 후술하는 스크래치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배면층의 파괴 개시 하중이 50mN 이상이다. 이러한 파괴 개시 하중을 만족하는 투명 필름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내스크래치성 평가에 있어서, 육안으로 배면층의 탈락 부스러기가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특히, 편광판 기타 광학 부품의 제조나 반송시에 사용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합하다. 파괴 개시 하중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특성(인자성, 배면 박리력, 광선 투과율 등)과의 밸런스를 고려해서, 통상은 파괴 개시 하중을 300mN 이하(예를 들어 150mN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여기서 개시되는 투명 필름의 바람직한 일 형태로는 상기 파괴 개시 하중이 50mN 내지 300mN(예를 들어 50mN 내지 150mN)이다.
상기 파괴 개시 하중은, 예를 들어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선단 곡률 반경 10㎛의 원추형 다이아몬드제 압자를 사용해서 0 내지 300mN까지 하중을 증가시키면서 투명 필름의 배면(즉 배면층의 표면)을 일 방향으로 찰과(스크래치)하고, 그 스크래치 자국 상의 파괴 개시점의 길이가 2㎛보다 커진 개소에 대응하는 하중으로서 구할 수 있다(보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험예 참조). 상기 조건에서 얻어진 스크래치 자국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한다.
상기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배면층의 마찰 계수는 0.4 이하다. 이것에 의해, 배면층에 하중(스크래치 흠집을 발생시키는 것과 같은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에, 그 하중을 배면층의 표면을 따라 받아넘겨서 상기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력에 의해 배면층이 응집 파괴되거나, 배면층이 기재층으로부터 박리되어(계면 파괴) 스크래치 흠집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찰 계수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특성(인자성, 배면 박리력, 광선 투과율 등)과의 밸런스를 고려해서, 통상은 마찰 계수를 0.1 이상(전형적으로는 0.1 이상 0.4 이하)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0.15 이상(전형적으로는 0.15 이상 0.4 이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 계수로서는, 예를 들어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투명 필름의 배면(즉 배면층의 표면)을 수직 하중 40mN으로 찰과하여 구해지는 값을 채용할 수 있다(보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험예 참조). 상기 마찰 계수가 실현되도록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배면층에 각종 활제(레벨링제 등)를 함유시키는 방법, 가교제의 첨가나 성막 조건의 조정에 의해 배면층의 가교 밀도를 높이는 방법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배면층의 두께가 1㎛ 이하라는 구조상의 특징으로부터, 이렇게 얇은 배면층을 구비하는 투명 필름에 있어서 특히 효과적인 내스크래치성 향상 방법을 채용한다. 즉, 배면층이 어느 정도(예를 들어 5㎛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배면층의 경도를 높게 함으로써 상기 파괴 개시 하중을 향상시켜(다시 말해,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의 층을 형성하여), 내스크래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배면층의 두께가 1㎛ 이하인 투명 필름에서는, 상기 기술 사상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으로는 내스크래치성의 향상이 적확하게 달성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배면층이 얇은 구조의 투명 필름에서는, 상기 배면층에 가해진 하중이 기재층에 미쳐서 상기 기재층을 변형시키기 쉽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얇은 배면층을 구비하는 투명 필름에 대해서, 상기 배면층의 파괴 거동을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기재층을 바꾸지 않고서 얇은 배면층의 경도만을 높게 하면, 상기 하중에 대한 기재층의 변형에 배면층의 변형이 추종되지 않고, 이것 때문에 기재층과 배면층 사이에서 밀착 불량이 발생하여 파괴 개시 하중이 저하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면층의 소성지수 Ps와 기재층의 소성지수 Pb와의 비로서 정의되는 소성지수비(Ps/Pb)를 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발견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성지수(Ps, Pb)는 예를 들어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선단 곡률 반경 0.1㎛의 베르코비치(3각뿔)형 다이아몬드제 압자를 수직으로 압입해서 깊이 10㎚ 부근의 압입 탄성률 및 경도를 측정하고, 상기 탄성률의 측정값을 경도의 측정값으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다(보다 구체적인 측정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험예 참조). 이 소성지수가 높을수록, 하중에 대하여 변형되기 쉽다고 말할 수 있다. 즉, Ps/Pb가 1.5 이상인 것은 배면층이 기재층의 변형에 충분히 추종할 수 있는 변형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Ps/Pb를 2 이상으로 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내스크래치성이 실현될 수 있다. Ps/Pb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특성(마찰 계수 등)과의 밸런스를 고려해서, 통상은 50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Ps/Pb가 1.5 이상 3 이하이다. 다른 바람직한 일 형태로서, Ps/Pb가 1.5 이상 50 이하(예를 들어 10 이상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 이하)이어도 좋다. 이들의 바람직한 Ps/Pb의 값은, 예를 들어 기재층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재료(전형적으로는, PET계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필름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PET 필름의 소성지수는 대략 10 내지 20 정도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소성지수비(Ps/Pb) 및 마찰 계수를 모두 만족하도록 구성된 투명 필름에 의하면, 상술한 바람직한 파괴 개시 하중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필름은, 그 배면에 받은 마찰력에 대하여 상기 마찰 계수를 가짐으로써 상기 마찰력을 효율적으로 경감할 수 있는 것과, 상기 소성지수비를 가짐으로써 상기 마찰력에 의한 기재층의 변형에 배면층이 충분히 추종할 수 있는 것이 서로 작용하여, 특히 높은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투명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합하다.
상기 배면층은, 상기 배면층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해서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해서 측정되는 박리력(배면 박리력)이 2N/1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N/19㎜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표면 보호 필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박리력을 갖는 것이 특히 의미가 있다. 박리력이 너무 낮으면, 상기 박리층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해서 피착체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제거할 때의 작업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박리력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특성(마찰 계수 등)과의 밸런스를 고려하고, 또한 롤 형상으로 권취한 후에 되감을 경우에 자배면(自背面)에 점착제가 부착되는(점착제 잔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은 10N/19㎜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6N/19㎜ 이하로 하면 좋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이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배면 박리력이 2 내지 10N/19㎜(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N/19㎜)이다. 또한, 상기 박리력은, 예를 들어 닛토덴코사제의 편면 점착 테이프, 상품명 「No.31B」를 사용하여, 23℃, 50%RH의 환경 하에서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보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험예 참조).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의 인자성이란, 유성 잉크에 의해(예를 들어, 유성 마킹 펜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인자할 수 있는 성질을 가리킨다.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피착체(예를 들어 광학부품)의 가공이나 반송 등의 과정에 있어서는, 보호 대상이 되는 피착체의 식별 번호 등을 표면 보호 필름에 기재해서 표시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 따라서, 내스크래치성 외에 인자성도 우수한 투명 필름 및 상기 투명 필름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제가 알코올계이며 안료를 포함하는 타입의 유성 잉크에 대하여 높은 인자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자된 잉크가 마찰이나 전착(轉着)에 의해 지워지기 어려운(즉, 인자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자성의 정도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인자성 평가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재질은,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파괴 개시 하중 및 마찰 계수(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소성지수비)를 실현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충분한 강도를 갖는 층을 형성 가능하고, 또한 광선 투과성이 우수한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는 열경화형 수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2액 혼합형 수지 등의 각종 타입의 수지일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실록산계, 폴리실라잔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아크릴-스티렌계, 불소 수지계, 아크릴실리콘계,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아크릴-스티렌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는 높은 탄성을 갖고,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소성지수비를 갖는 층을 형성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실록산계, 폴리실라잔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는, 고경도의 층을 형성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수지계의 열경화형 수지는, 분자 구조중에 미끄러운 성분을 함유하고,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마찰 계수를 갖는 층을 형성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연질 세그먼트와 경질 세그먼트를 갖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질 세그먼트란 유연한 주쇄 구조 또는 특성을 갖는 수지 성분을 말하고, 경질 세그먼트란 강직한(적어도 상기 연질 세그먼트보다도 강직한) 주쇄 구조 또는 특성을 갖는 수지 성분을 말한다. 후술하는 샘플 A-4 내지 A-10에 있어서 배면층의 형성에 사용한 열경화형 수지는 모두 연질 세그먼트와 경질 세그먼트를 갖는 수지에 해당한다. 또한, 수지 성분이 수계 용매에 분산된 에멀젼 형태의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형태에 의하면, 분자량이 크고 주쇄가 긴 수지 성분이어도 에멀젼 입자로서 수계 매체에 분산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점도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성분은 소성 변형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하는데도 적합하다. 따라서 에멀젼 형태의 수지(예를 들어 열경화형 수지)에 의하면, 상술한 바람직한 소성지수비를 나타내는(소성지수비가 높은) 배면층이 적절하게 실현될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미드계, 실리콘계, 에폭시계 등의 각종 수지의 단량체, 올리고머,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이 좋은 고경도의 층을 형성하기 쉬우므로, 자외선 중합성의 관능기를 1 분자 중에 2개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예를 들어 3 내지 6개 정도) 갖는 다관능 단량체 및/또는 그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단량체로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과의 밀착성의 관점에서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보다도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배면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0.02㎛ 내지 1㎛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0.5㎛(예를 들어 0.05㎛ 내지 0.2㎛)이다. 배면층의 두께가 너무 크면, 상기 배면층에 기인해서 착색이나 컬 등의 외관 품위가 저하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배면층의 두께가 너무 작으면, 원하는 내스크래치성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 또는 표면 필름을 구성하는 층(예를 들어 배면층)의 두께는, 미리 배면층에 중금속 염색을 실시한 후에, 그 투명 필름을 단면 방향으로 절삭해서 면을 만든 샘플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등에 의해 고분해능 관찰하는 방법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두께가 약 0.01㎛ 이상인 층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박층에 대해서는 각종 두께 검출 장치(예를 들어, 표면 조도계, 간섭 두께계, 적외 분광 측정기, 각종 X선 회절 장치 등)와,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파악되는 두께의 상관에 대해서, 검량선을 작성해서 계산함으로써, 그 대강의 두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TEM을 사용함으로써, 단면 방향의 층 구성(적층 구조에서의 층수 및 각 층의 두께)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 층이 모두 약 0.1㎛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간섭 두께계에 의해 층 구성을 조사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배면층에는, 필요에 따라 활제(레벨링제 등), 대전 방지 성분, 가교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유동성 조정제(틱소트로피제, 증점제 등), 조막 보조제, 촉매(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에 있어서의 자외선 중합 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일반적인 수지의 가교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등의 가교제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히드록실기와 결합해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가교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특히, 히드록실기가 도입되는 것과 같은 표면 처리(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기재층 상에 배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사용이 효과적이다.
상기 배면층은, 상기 수지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가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한 액상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에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 조성물(배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포해서 건조시켜, 필요에 따라 경화 처리(열처리, 자외선 처리 등)를 행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고형분은, 예를 들어 0.1 내지 10질량%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0.5 내지 5%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고형분이 너무 높으면, 얇고 균일한 배면층을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배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용매는, 유기 용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n-헥산,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환경 부하 경감 등의 관점에서, 상기 배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용매가 수계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계 용매」란, 물 또는 물을 주성분(50체적%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으로 하는 혼합 용매를 말한다. 이러한 수계 혼합 용매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성분으로서는, 친수성 용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n-아밀알코올, 이소아밀알코올, sec-아밀알코올, tert-아밀알코올, 1-에틸1-프로판올, 2-메틸1-부탄올, n-헥산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배면층에 활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활제로서는 일반적인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활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활제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활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나 아르알킬기를 갖는 불소 화합물 또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제(인자성이 좋은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인자성 활제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음)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가교성 반응기를 갖는 불소 화합물 또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제(반응성 활제)를 사용해도 좋다.
활제의 첨가량은,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당 약 25질량부 이하(전형적으로는 0.01 내지 25질량부)로 할 수 있고, 통상은 약 15질량부 이하(전형적으로는 0.02 내지 15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약 0.5 내지 15질량부로 할 수 있고, 약 1 내지 10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활제의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인자성이 부족해지기 쉽거나, 배면층의 광선 투과성이 저하 경향을 띠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활제는, 배면층의 표면에 블리딩해서 상기 표면에 미끄러짐성을 부여하고, 이에 의해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활제의 적절한 사용에 의해, 마찰 계수의 저하를 통해서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활제는 배면층의 표면 장력을 균일화하고, 두께 불균일의 저감이나 간섭 줄무늬의 경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것은 광학 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특히 의미가 있다. 또한,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경우, 이것에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활제를 첨가하면, 배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해서 건조시킬 때에 상기 활제가 도막 표면(공기와의 계면)에 블리딩하고, 이에 의해 자외선 조사시에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가 억제되어서, 배면층의 최표면에 있어서도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성분은, 투명 필름 또는 상기 필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의 대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갖는 성분이다. 배면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 그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또는 무기의 도전성 물질, 각종 대전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도전성 물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대전 방지성이 부여된 배면층을 구비하는 투명 필름은, 액정 셀이나 반도체 장치 등과 같이 정전기를 피하는 물품의 가공 또는 반송 과정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상기 유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각종 도전성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의 예로서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이민, 알릴아민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다른 대전 방지 성분(무기 도전성 물질, 대전 방지제 등)과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유기 도전성 물질(전형적으로는 도전성 중합체)의 사용량은,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2 내지 20질량부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 내지 10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로서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의 형태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도전성 중합체(분자 내에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등의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음)를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관능기로서는 술포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노기, 히드록실기, 머캅토기, 히드라지노기, 카르복실기, 4급 암모늄기, 황산에스테르기(-O-SO3H), 인산에스테르기(예를 들어 -O-PO(OH)2) 등이 예시된다. 이러한 친수성 관능기는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 형태의 폴리아닐린 술폰산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미쯔비시레이온사제의 상품명 「aqua-PASS」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 형태의 폴리티오펜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나가세켐텍사제의 상품명 「데나트론」 시리즈를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도전성 중합체로서, 폴리아닐린 및 폴리티오펜이 예시된다. 폴리아닐린으로서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하, 「Mw」라고 표기함)이 50×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0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티오펜으로서는 Mw가 40×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0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도전성 중합체의 Mw는, 통상은 0.1×10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4 이상이다. 이러한 Mw를 갖는 도전성 중합체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의 형태로 제조하기 쉽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인듐, 주석, 안티몬,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티타늄, 철, 코발트, 요오드화구리 및 그들의 합금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ITO(산화인듐/산화주석), ATO(산화안티몬/산화주석) 등의 미립자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통상, 약 0.1㎛ 이하(전형적으로는 0.01㎛ 내지 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 도전성 물질(무기 도전재)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다른 대전 방지 성분과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무기 도전성 물질의 사용량은,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내지 500질량부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0 내지 500질량부(예를 들어 100 내지 500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 양성 이온형 대전 방지제,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 상기 양이온형, 음이온형, 양성 이온형의 이온 도전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 혹은 공중합해서 얻어진 이온 도전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다른 대전 방지 성분과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대전 방지제의 사용량은, 배면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약 0.5 내지 50질량부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 내지 30질량부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제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1, 제2 또는 제3급 아미노기 등의 양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아실로일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메토술페이트, 알킬벤질메틸암모늄염, 아실염화콜린, 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4급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폴리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기를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기를 갖는 디알릴아민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술폰산염, 황산에스테르염, 포스폰산염, 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톡시황산에스테르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술폰산기 함유 스티렌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양성 이온형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알킬 베타인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린 및 그의 유도체, 알라닌 및 그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 베타인, 알킬이미다졸륨 베타인, 카르보베타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아미노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 글리세린 및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디(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지방산 글리세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디아민, 폴리에테르와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또한, 투명 필름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면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방법 대신에, 또는 상기 방법 외에 기재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방법, 기재층의 제1면 및/또는 제2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기재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대전 방지 성분이 배합된(혼련 도입된) 수지 재료를 필름 형상으로 성형해서 기재층을 구성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사용하는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배면층에 함유시키는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 상기에서 예시한 재료와 마찬가지의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전 방지 성분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기재층의 총 질량에 대하여 약 20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0.05 내지 20질량%)로 할 수 있고, 통상은 0.05 내지 10질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대전 방지 성분을 혼련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기재층 형성용의 수지 재료에 상기 대전 방지제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열 롤, 밴버리 믹서, 가압 니더, 2축 혼련기 등을 사용해서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의 제1면(배면측, 즉 기재층과 배면층의 사이) 및/또는 제2면(점착제층측)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대전 방지 성분과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용 코트제를 기재층(바람직하게는, 미리 성형된 수지 필름)에 도포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배면층에 함유시키는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 상기에서 예시한 재료와 마찬가지의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전성 중합체 또는 대전 방지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용 코트제에 사용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범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방지용 코트제에는, 상기 수지 성분의 가교제로서, 메틸올화 혹은 알킬올화한 멜라민계, 요소계, 글리옥살계, 아크릴아미드계 등의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또한, 고분자형의 대전 방지 성분(전형적으로는 도전성 중합체)의 경우에는, 수지 성분의 사용을 생략해도 좋다.
대전 방지용 코트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도포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함침법 및 커튼 코트법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층의 두께는, 통상 약 0.01㎛ 내지 1㎛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약 0.015㎛ 내지 0.1㎛ 정도가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배면층이 기재층의 제1면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투명 필름은, 기재층과 배면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상술한 바람직한 파괴 개시 하중을 만족하게 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재층의 표면에 상기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전 방지층을 기재층의 제2면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으로서는, 표면 보호 필름에 적합한 성질(피착체 표면에 대한 박리력, 비오염성 등)을 구비하는 점착제층을 형성 가능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층에 직접 부여해서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직접법); 박리 라이너의 표면(박리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부여해서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표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층을 기재층에 접합해서 상기 점착제층을 기재층에 전사하는 방법(전사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투묘성의 관점에서, 통상은 상기 직접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부여(전형적으로는 도포) 시에는,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다이 코터에 의한 코트법 등의 점착 시트 분야에 있어서 종래 공지된 각종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3㎛ 내지 100㎛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약 5㎛ 내지 5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미리 배면층이 형성된 기재층(즉 투명 필름)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기재층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배면층을 형성하는 방법 모두 채용 가능하다. 통상은, 투명 필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필요에 따라 점착면(점착제층 중 피착체에 부착되는 측의 면)을 보호하는 목적에서, 상기 점착면에 박리 라이너를 접합한 형태(박리 라이너 부착 표면 보호 필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박리 라이너를 구성하는 기재로서는 종이, 합성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합성 수지 필름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재층과 마찬가지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을, 박리 라이너의 기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5㎛ 내지 200㎛로 할 수 있고, 통상은 약 10㎛ 내지 1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 중 점착제층에 접합되는 면에는, 종래 공지된 이형제(예를 들어,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지방산 아미드계 등) 또는 실리카분 등을 사용하여, 이형 또는 오염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몇 가지 실험예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로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부」 및 「%」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 각 특성은, 각각 다음과 같이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1. 파괴 개시 하중
파괴 개시 하중의 측정 장치로서는 CSM Instruments SA사제의 나노스크래치 테스터를 사용하였다.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의 점착면을 슬라이드 글래스에 부착하고, 배면층을 상향으로 하여, 상기 측정 장치의 스테이지에 고정하였다. 그리고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원추형의 다이아몬드제 압자(선단의 곡률 반경 10㎛)를 구비한 캔틸레버 ST-150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의 연속 하중 모드에서 0 내지 300mN까지 하중(스크래치 하중)을 증가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찰과하는 스크래치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스크래치 시험을 실시한 샘플을, 장치 부속 광학 현미경(니콘사제)을 사용하여, 대물 렌즈 20배로 스크래치 자국을 표면 관찰하였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래치 자국 상에서 배면층이 스크래치 방향으로 2㎛ 보다도 길게 박리된 최초의 개소를 파괴 개시점으로 하고, 그 파괴 개시점의 스크래치 방향에 대한 길이(파괴 길이)의 중심에 대응하는 스크래치 하중을 파괴 개시 하중으로 하였다.
2. 마찰 계수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상기 나노스크래치 테스터의 정 하중 모드(수직 하중 40mN±3mN)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슬라이드 글래스에 부착한 각 샘플의 표면(배면층측)을 5mm의 길이로 찰과하여, 이때의 마찰 계수의 평균값을 배면층의 마찰 계수로 하였다. 또한, 마찰 계수는 마찰력과, 샘플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하중의 비로 산출된다(즉, 마찰 계수=마찰력/하중).
3. 소성지수
MTS시스템즈사제의 나노인텐더, 형식 「DCM SA2」를 사용해서 소성지수를 평가하였다. 즉,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샘플을 슬라이드 글래스에 부착하고, 그 배면층이 상향이 되도록 스테이지 상에 고정하였다. 측정은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베르코비치(3각뿔)형의 다이아몬드제 압자(선단의 곡률 반경 0.1㎛)를 사용하여, 최대 깊이 500㎚까지 수직으로 압입, 깊이 10㎚ 부근의 압입 탄성률(Indentation Modulus) 및 경도(Hardness)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탄성률의 측정값을 경도의 측정값으로 나누어서 소성지수를 산출했다(즉, 소성지수=탄성률/경도).
4. 소성지수비
각 샘플(기재 상에 배면층이 형성되어 있음)에 있어, 상기 3.에 의해 구한 소성지수 Ps를 당해 샘플을 구성하는 기재(배면층을 갖지 않는 기재)의 소성지수 Pb로 나누어서 소성지수비를 산출했다(즉, 소성지수비=Ps/Pb).
5. 박리력 측정
각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을 폭 70㎜, 길이 100㎜의 크기로 자른 것을 피착체로 하였다. 편면 점착 테이프(닛토덴코사제 No.31B)를 폭 19㎜, 길이 100㎜의 크기로 자르고,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을 상기 피착체의 배면층 상에 0.25㎫의 압력, 0.3m/분의 속도로 압착하였다. 이것을 23℃, 50%RH의 환경 하에 30분간 방치한 후, 동 환경 하에서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해서 상기 피착체로부터 상기 점착 테이프를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하여, 이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6. 내스크래치성 평가
상기와 같이 하여 각 샘플을 슬라이드 글래스에 부착하고,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코인(10엔짜리 새것을 사용)의 테두리를 사용해서 정밀 천칭 상에서 각 샘플을 하중 300g으로 찰과하였다. 그 스크래치 자국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배면층의 탈락 부스러기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를 ×, 상기 탈락 부스러기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7. 기재 밀착성
배면층 형성용의 조성물에 소량의 청색 안료를 섞어서 각 샘플을 제작하였다.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이들 샘플의 배면층 형성측 표면에 종횡 각 1㎜의 간격으로 10칸×10칸(합계 100칸)의 잘린 흠집을 내고, 그 위에서 편면 점착 테이프(닛토덴코사제 No.31B, 폭 19㎜)를 상기 박리력 측정과 동일한 조건으로 압착한 후, 상기 편면 점착 테이프를 손으로 박리하는 바둑판 눈 박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바둑판 눈 시험에서 50칸 이상의 탈락이 보였을 경우를 1점, 탈락이 11칸 이상 49칸 이하인 경우를 2점, 탈락이 10칸 이하인 경우를 3점으로 평가하였다.
8. 인자성(인자 밀착성) 평가
23℃, 50%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샤치하타사제 X스탬퍼를 사용해서 배면층 상에 인자를 실시하였다. 그 인자 상에서 니치반사제의 셀로판 점착 테이프(제품 번호 No.405, 폭 19㎜)를 부착하고, 계속해서 박리 속도 30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하였다. 육안 평가에 의해, 인자 면적의 50% 이상이 박리된 경우를 ×, 인자 면적의 25%를 넘고 50% 미만이 박리된 경우를 △, 인자 면적의 75% 이상이 박리되지 않고 남은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9. 백화, 불균일 평가
백화 평가: 헤이즈 미터(무라카미시키사이기쥬츠켄큐쇼제, 형식「HM-150」)으로 각 샘플의 헤이즈값을 측정하고, 헤이즈값 5 이하를 합격으로 하였다.
불균일 평가: 밝은 방에서 샘플의 외관을 육안 평가하고, 줄무늬 등의 외관 이상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를 합격으로 하였다.
상기 백화, 불균일의 양쪽 평가 모두 합격이었던 샘플은 백화·불균일을 ○로 하고, 어느 한쪽의 평가가 불합격인 경우에는 △, 양쪽 모두 불합격인 경우에는 ×로 평가하였다.
10. 컬 평가
각 샘플을 100㎜ 사방의 크기로 자르고, 40℃, 90%RH의 환경 하에 1일 보관하였다. 이것을 수평한 평면 상에 배면층이 상면이 되는 방향으로 정치하고, 상기 평면으로부터 샘플의 단부가 컬하여 떠오른 높이를 계측하였다. 가장 크게 뜬 부분의 높이(최대로 뜬 높이)가 3㎜ 이하인 경우를 ○, 최대로 뜬 높이가(3㎜를 초과하는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실험예 1>
(샘플 A-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닛본고세가가꾸사제, 상품명 「시코 UV-1700B」; 이하, 「수지 R1」이라고 표기하기도 함)와, 라디칼 중합 개시제(치바가이기사제, 상품명 「다로큐어 1173」)를, 고형분의 질량비가 100 : 4가 되도록 혼합하고, 톨루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30%의 코트액 B-1을 제조하였다.
기재로서는, 편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하, 「기재 F1」이라고 표기하기도 함)을 사용하였다. 이 기재 F1의 편면(코로나 처리면)에 상기 코트액 B-1을, 건조 후의 두께가 8㎛ (TEM 관찰에 의함. 이하 동일)가 되도록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 처리를 하여 배면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자외선의 조사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해서 450mJ/㎠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F1의 편면(코로나 처리면)에 배면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 C-1을 얻었다.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이형 시트의 박리면(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상에 두께 2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그 점착제층을 투명 필름 C-1의 다른 쪽의 면(배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1을 제작하였다. 이 샘플 A-1의 소성지수 Ps를 상기 방법에 의해 구한 결과, 22.6이었다(탄성률 6.6GPa, 경도 0.29GPa). 또한, 여기에서 사용한 PET 필름의 소성지수 Pb는 13.6(탄성률 4.8GPa, 경도 0.35GPa)이었다. 또한, 상기 PET 필름의 굴절률은 1.63이며, 광선 투과율은 89%이었다.
(샘플 A-2)
코트액 B-1을 상기 용매로 더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1%의 코트액 B-2를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2를 건조 후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한 점 이외는 샘플 A-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2를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해서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2를 제작하였다. 이 샘플 A-2의 소성지수 Ps는 14.4이었다(탄성률 4.8GPa, 경도 0.33GPa).
(샘플 A-3)
수지 R1의 고형분 100부당 5부(고형분 환산)의 활제를 배합한 점 이외는 코트 액 B-2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코트액 B-3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활제로서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레벨링제(BYK Chemie사제, 상품명 「BYK-333」; 이하, 「활제 L1」이라고 표기하기도 함)를 사용하였다. 이 코트액 B-3을 건조 후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한 점 이외는 샘플 A-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3을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3을 제작하였다. 이 샘플 A-3의 소성지수 Ps는 13.2이었다(탄성률 4.4GPa, 경도 0.34GPa).
이상의 샘플에 대해서, 배면층의 개략 구성을 표 1에, 상술한 각종 측정 및 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이들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면층이 8㎛의 두께를 갖는 샘플 A-1은 양호한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냈지만, 동일한 조성에서 배면층의 두께를 0.1㎛으로 한 샘플 A-2에서는 내스크래치성이 불충분하였다. 이것은, 배면층의 두께가 작은 구성에서는, 기재층에 비하여 배면층의 경도가 너무 높으(따라서 소성지수비가 너무 작으)면, 외력(마찰력)을 받았을 때에 기재층의 변형을 추종할 수 없으므로 파손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샘플 A-1에 비하여 A-2의 마찰 계수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마찰 계수의 측정에 있어서 배면층의 파손에 관한 하중이 검출되었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활제 5부를 배합한 샘플 A-3에서는, A-2에 비하여 마찰 계수의 저하 및 파괴 개시 하중의 향상은 보여졌지만, 원하는 내스크래치성을 실현하기에는 미흡하였다. 또한, 활제의 배합량을 증가하면 백화·불균일이 현저해지기 때문에, 5부 이상의 배합은 부적당하다고 판단하였다.
<실험예 2>
(샘플 A-4)
수분산형 폴리우레탄계 열경화형 수지(닛본폴리우레탄사제, 상품명 「타케락 WS-4100」; 이하, 「수지 R2」라고 표기하기도 함)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20%의 코트액 B-4를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4를 기재 F1의 편면(코로나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8㎛가 되도록 도포하여 열경화 처리함으로써, 기재 F1의 편면에 배면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 C-4를 얻었다. 이 투명 필름 C-4의 다른 쪽의 면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4를 제작하였다. 이 샘플 A-4의 소성지수 Ps는 21.8이었다(탄성률 3.4GPa, 경도 0.16GPa).
(샘플 A-5)
코트액 B-4를 증류수로 더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1%의 코트액 B-5를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5를 건조 후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한 점 이외는 샘플 A-4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투명 필름 C-5를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5를 제작하였다. 소성지수 Ps는 17.6이었다(탄성률 4.9GPa, 경도 0.28GPa).
(샘플 A-6)
수지 R2의 고형분 100부당 5부(고형분 환산)의 활제 L1을 배합한 점 이외는 코트액 B-5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코트액 B-6을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6을 건조 후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한 점 이외는 샘플 A-4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6을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해서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6을 제작하였다. 소성지수 Ps는 29.5이었다(탄성률 2.5GPa, 경도 0.09GPa).
(샘플 A-7)
활제 L1의 배합량을 수지 R2의 고형분 100부당 10부(고형분 환산)로 한 점 이외는 샘플 A-6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7을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7을 제작하였다. 소성지수 Ps는 37.7이었다(탄성률 2.1GPa, 경도 0.05GPa).
(샘플 A-8)
수분산형 아크릴-스티렌계 열경화형 수지(DIC사제, 상품명 「본코트(VONCOAT) CG-8490」; 이하, 「수지 R3」이라고 표기하기도 함)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의 코트액 B-8을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8을 기재 F1의 편면(코로나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해서 열경화 처리함으로써, 기재 F1의 편면에 배면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 C-8을 얻었다. 이 투명 필름 C-8의 다른 쪽의 면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8을 제작하였다. 이 샘플 A-8의 소성지수 Ps는 361.7이었다(탄성률 3.61GPa, 경도 0.01GPa).
(샘플 A-9)
수지 R3와, 활제 L1과,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의 도전성 중합체(미쯔비시레이온사제, 중량 평균 분자량 약 15×104의 폴리아닐린 술폰산의 수분산액, 상품명 「aqua-PASS」; 이하, 「AS1」이라고 표기하기도 함)를 고형분의 질량비가 100 : 2 : 6이 되도록 혼합하고, 증류수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의 코트액 B-9를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9를 건조 후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한 점 이외는 샘플 A-8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9를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9를 제작하였다. 이 샘플 A-9의 소성지수 Ps는 298이었다(탄성률 2.7GPa, 경도 0.009GPa).
(샘플 A-10)
수지 R3와, 활제 L1과,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의 도전성 필러(다키카가꾸사제의 산화주석 졸, 상품명 「세라메이스 S-8」; 이하, 「AS2」라고 표기하기도 함)를 고형분의 질량비가 100 : 2 : 300이 되도록 혼합하고, 증류수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의 코트액 B-10을 제조하였다. 이 코트액 B-10을 건조 후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한 점 이외는 샘플 A-8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필름 C-10을 얻고,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표면 보호 필름 샘플 A-10을 제작하였다. 소성지수 Ps는 15.4이었다(탄성률 6.1GPa, 경도 0.40GPa).
이들 샘플에 대해서, 배면층의 개략 구성을 표 3에, 상술한 각종 측정 및 평가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이들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A-5의 배면층 조성에 활제를 배합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0.4 이하로 조정하고, 또한 소성지수비가 2 이상인 샘플 A-6, A-7에 의하면, 0.1㎛의 얇은 배면층이면서, 50mN 이상의 높은 파괴 개시 하중이 달성되어,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이 실현되었다. 또한, A-6, A-7과는 배면층의 수지 조성이 상이한 샘플 A-9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0.4 이하의 마찰 계수 및 2 이상의 소성지수비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높은 파괴 개시 하중 및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이 실현되었다. 샘플 A-6 내지 9는 모두 3 내지 6N/19㎜이라는 적당한 박리력을 갖고, 양호한 기재 밀착성 및 인자성을 나타냈다. 또한, 백화·불균일은 확인되지 않고, 컬의 정도도 적었다. 소성지수비가 10 내지 50(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50)의 범위에 있는 샘플 A-8, A-9는 특히 양호한 기재 밀착성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한편, 샘플 A-6에서 활제를 생략한 샘플 A-5는, 아마 소성지수비가 너무 작은 것 등에 의해, 마찰 계수가 높고, 파괴 개시 하중은 낮아서, 내스크래치성이 부족한 것이었다. 이 샘플 A-5에 관한 배면층 조성에서는, 두께가 큰 샘플 A-4에 있어서도 내스크래치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샘플 A-9와는 대전 방지 성분의 종류를 상이하게 한 샘플 A-10에서는, 아마 소성지수비가 너무 작은 것 등에 의해, 마찰 계수가 높고 파괴 개시 하중은 낮아서, 내스크래치성이 부족한 것이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각종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 등의 용도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광학 부재의 제조시, 반송시 등에 상기 광학 부재를 보호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편광판(편광 필름),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확산 시트, 반사 시트 등의 광학 부재에 적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1: 표면 보호 필름
10: 투명 필름
12: 기재층
14: 배면층
20: 점착제층
30: 박리 라이너

Claims (9)

  1. 투명한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제1면 상에 형성된 배면층을 갖는 투명 필름이며,
    상기 배면층의 두께가 1㎛ 이하이고,
    스크래치 시험에서의 상기 배면층의 파괴 개시 하중이 50mN 이상이고, 또한
    상기 배면층의 마찰 계수가 0.4 이하인 투명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선단 곡률 반경 0.1㎛의 베르코비치형 다이아몬드제 압자를 상기 배면층에 수직으로 압입해서 깊이 10㎚에서의 압입 탄성률 및 경도를 측정하고, 상기 탄성률을 경도로 나누어서 구해지는 소성지수 Ps와, 상기 기재층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구해지는 소성지수 Pb와의 비(Ps/Pb)가 1.5 이상인 투명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배면층으로부터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하여 측정되는 박리력이 2N/19㎜ 이상인 투명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은 단층 구조이며, 상기 기재층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투명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은 활제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은 대전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 성분이 도전성 중합체인 투명 필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베이스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인 투명 필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투명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배면층과는 반대측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
KR1020197019193A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2091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7208A JP5406615B2 (ja) 2009-07-15 2009-07-15 透明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JPJP-P-2009-167208 2009-07-15
PCT/JP2010/061695 WO2011007729A1 (ja) 2009-07-15 2010-07-09 透明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431A Division KR20190020854A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997A true KR20190082997A (ko) 2019-07-10
KR102091367B1 KR102091367B1 (ko) 2020-03-19

Family

ID=4344933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431A KR20190020854A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20177021570A KR101867788B1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20127003829A KR101767277B1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20187010412A KR101953345B1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20197019193A KR102091367B1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431A KR20190020854A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20177021570A KR101867788B1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20127003829A KR101767277B1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20187010412A KR101953345B1 (ko) 2009-07-15 2010-07-09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71444A1 (ko)
JP (1) JP5406615B2 (ko)
KR (5) KR20190020854A (ko)
CN (1) CN102470643B (ko)
TW (1) TWI549818B (ko)
WO (1) WO20110077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392A (ko) * 2021-03-09 2022-09-1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아마이드계 필름,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1092B2 (ja) * 2011-09-16 2013-12-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ダイシングシート用基材フィルムおよびダイシングシート
US9558983B2 (en) * 2011-09-16 2017-01-31 Lintec Corporation Base film for dicing sheet and dicing sheet
JP5820762B2 (ja) * 2012-04-24 2015-11-24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2013237788A (ja) * 2012-05-16 2013-11-28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US8975346B2 (en) * 2012-05-18 2015-03-1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carbonate copolymers via controlled radical polymerization
JP6465799B2 (ja) * 2012-08-09 2019-02-06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有機半導体配合物
JP6001964B2 (ja) * 2012-09-04 2016-10-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半導体加工シート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964492B1 (ko) * 2012-10-03 2019-04-0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표면-개질 유리 기판
TWI606986B (zh) * 2012-10-03 2017-12-01 康寧公司 用於保護玻璃表面的物理氣相沉積層
KR101476529B1 (ko) * 2013-02-25 2014-12-24 김기형 합체형 액정보호필름
CN104885202B (zh) * 2013-03-04 2017-07-11 琳得科株式会社 切割片用基材膜及具备该基材膜的切割片
JP6049645B2 (ja) * 2013-03-27 2016-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369918B1 (ko) * 2013-05-14 2014-03-06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JP5852995B2 (ja) * 2013-07-18 2016-02-09 藤森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5863722B2 (ja) * 2013-07-25 2016-02-17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JP5852998B2 (ja) * 2013-07-29 2016-02-09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JP6092033B2 (ja) * 2013-07-30 2017-03-0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
JP5882266B2 (ja) * 2013-08-20 2016-03-09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JP6457789B2 (ja) * 2013-11-25 2019-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部材
US20170182749A1 (en) * 2014-02-07 2017-06-29 Ceram Tec-Etec Gmbh Substrate ceramic laminate
TWI671193B (zh) * 2014-10-20 2019-09-1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表面保護薄片用基材及表面保護薄片
JP6599618B2 (ja) * 2015-02-17 2019-10-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6599619B2 (ja) * 2015-02-17 2019-10-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6604762B2 (ja) * 2015-07-15 2019-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CN105733464B (zh) * 2015-10-30 2019-06-04 昆山乐凯锦富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偏光板用光学保护膜
JP6935229B2 (ja) * 2017-05-16 202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円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9069541A (ja) 2017-10-06 2019-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トップコート層付き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品
KR102465207B1 (ko) 2018-09-19 202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JP7406686B2 (ja) * 2018-11-02 2023-12-2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容器
KR102539582B1 (ko) * 2021-06-11 2023-06-05 정택수 녹방지 커버 테이프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415A (ja) * 2001-04-26 2002-11-08 Chugoku Marine Paints Ltd 帯電防止用塗料組成物、その被膜および帯電防止方法
JP2003080639A (ja) * 2001-09-11 2003-03-1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フィルム
JP2003121606A (ja) * 2001-08-07 2003-04-23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3320631A (ja) 2002-05-08 2003-11-11 Fujimori Kogyo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4054161A (ja) * 2002-07-24 2004-02-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223923A (ja) * 2003-01-23 2004-08-12 Fujimori Kogyo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5314563A (ja) 2004-04-28 2005-11-10 Jsr Corp 帯電防止フィルム
KR20060055607A (ko) * 2004-11-18 2006-05-24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연속식 회전 코팅을 이용한 수직 배향 액정필름 제조 방법및 광학 필름의 시야각 개량 방법
JP2007508973A (ja) * 2003-10-07 2007-04-1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熱成形可能な多層シート
JP2008511071A (ja) * 2004-08-26 2008-04-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防眩性のコーティングおよび物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9915B2 (ja) * 1996-01-26 2005-02-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TW530004B (en) * 1997-12-12 2003-05-01 Teijin Ltd Laminate film for preventing glass from shattering
JP4284006B2 (ja) * 2001-04-10 2009-06-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3093008A1 (fr) * 2002-05-02 2003-11-13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Film lamelle a usage optique
CN100426008C (zh) * 2006-09-22 2008-10-15 长兴光学材料(苏州)有限公司 抗刮光学膜及其用途
CN101299072A (zh) * 2008-07-02 2008-11-05 中国乐凯胶片集团公司 一种抗污性防划伤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415A (ja) * 2001-04-26 2002-11-08 Chugoku Marine Paints Ltd 帯電防止用塗料組成物、その被膜および帯電防止方法
JP2003121606A (ja) * 2001-08-07 2003-04-23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3080639A (ja) * 2001-09-11 2003-03-1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フィルム
JP2003320631A (ja) 2002-05-08 2003-11-11 Fujimori Kogyo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4054161A (ja) * 2002-07-24 2004-02-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223923A (ja) * 2003-01-23 2004-08-12 Fujimori Kogyo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7508973A (ja) * 2003-10-07 2007-04-1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熱成形可能な多層シート
JP2005314563A (ja) 2004-04-28 2005-11-10 Jsr Corp 帯電防止フィルム
JP2008511071A (ja) * 2004-08-26 2008-04-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防眩性のコーティングおよび物品
KR20060055607A (ko) * 2004-11-18 2006-05-24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연속식 회전 코팅을 이용한 수직 배향 액정필름 제조 방법및 광학 필름의 시야각 개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392A (ko) * 2021-03-09 2022-09-1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아마이드계 필름,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854A (ko) 2019-03-04
JP5406615B2 (ja) 2014-02-05
JP2011020349A (ja) 2011-02-03
CN102470643A (zh) 2012-05-23
KR101867788B1 (ko) 2018-06-15
KR20180040737A (ko) 2018-04-20
CN102470643B (zh) 2015-03-04
KR20170092710A (ko) 2017-08-11
US20120171444A1 (en) 2012-07-05
KR101953345B1 (ko) 2019-02-28
KR20120037483A (ko) 2012-04-19
WO2011007729A1 (ja) 2011-01-20
KR102091367B1 (ko) 2020-03-19
TWI549818B (zh) 2016-09-21
KR101767277B1 (ko) 2017-08-10
TW201114592A (en) 201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277B1 (ko)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1741975B1 (ko) 표면 보호 필름
JP5721448B2 (ja)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KR101883518B1 (ko) 점착 시트
EP3579029B1 (en) Optical film, polarization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25868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CN104342054B (zh) 表面保护薄膜及光学构件
JP5791945B2 (ja) 粘着シート
CN107108934B (zh) 硬涂层层叠膜
JP2019152686A (ja) 機能性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721805B2 (ja) 透明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90039863A (ko) 톱 코트층 구비 필름,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품
JP2004177718A (ja) 離型フィルム
KR20110007325A (ko) 기재필름과의 접착력이 향상된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