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148A -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148A
KR20190082148A KR1020180173103A KR20180173103A KR20190082148A KR 20190082148 A KR20190082148 A KR 20190082148A KR 1020180173103 A KR1020180173103 A KR 1020180173103A KR 20180173103 A KR20180173103 A KR 20180173103A KR 20190082148 A KR20190082148 A KR 20190082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polymer
parts
vinyl compound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007B1 (ko
Inventor
임재석
황동근
권기혜
김영효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ublication of KR2019008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kyl-substitu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5Unsaturated polyimide precur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09Sulfides
    • C08K2003/3036Sulfide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 (C)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 30 내지 50 중량%, 및 (D)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그리고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E) 황화아연, 이산화티탄, 탈크, 또는 이들의 조합인 무기입자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BLOW MOLDING,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이하, ABS) 수지는 내충격성, 내화학성, 성형 가공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각종 사무용 기기, 전기 전자 부품, 자동차의 내외장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이 중 자동차 외장재인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등의 성형 공정은 블로우 몰딩(Blow molding)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블로우 몰딩은 사출에 의하여 패리슨(parison)을 성형하고, 이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압출기를 이용하여 수지를 녹인 후 압출기 끝에 중공 파이프 모양과 같이 속이 빈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다이를 부착하여 패리슨을 성형한다. 수직으로 내려오는 패리슨을 열려있는 블로우 금형 안으로 들어가게 한 후 금형을 닫아 패리슨을 절단한 다음 패리슨 안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원하는 성형제품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ABS 수지는 블로우 몰딩시 표면에 미세한 기공이 발생하여 품질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표면 가공, 즉 샌딩(sanding)이 필요하다.
샌딩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ABS 수지의 고무 함량의 증가를 통해 표면경도를 낮추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고무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 내열성 및 유동성 등의 물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샌딩 용이성의 향상에도 한계가 있었다.
블로우 몰딩 이후 진행되는 표면 가공의 효율을 증가시켜, 즉 샌딩 용이성을 증가시켜 성형품의 표면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유동성도 확보할 수 있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 (C)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 30 내지 50 중량%, 및 (D)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E) 황화아연, 이산화티탄, 탈크, 또는 이들의 조합인 무기입자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한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성형품은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요구되는 특성인 내열성 및 유동성의 확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블로우 몰딩 이후 진행되는 표면 가공 작업에 있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생성시킴으로써 샌딩 작업시간이 감소되어 후가공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 및 2는 각각 실시예 2의 마모평가 전/후의 시편 표면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고, 도 3 및 4는 각각 비교예 1의 마모평가 전/후의 시편 표면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 (C)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 30 내지 50 중량%, 및 (D)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그리고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E) 황화아연, 이산화티탄, 탈크, 또는 이들의 조합인 무기입자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core)가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이고, 쉘(shell)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인 코어-쉘 형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는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중합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괴상중합, 현탁중합 및 유화중합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의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혼합물 40 내지 60 중량%를 유화중합법으로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공중합체 고무,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고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부타디엔 고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0.5㎛, 예를 들어 0.1 내지 0.3㎛일 수 있다. 평균입경이 0.1㎛ 미만일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감소할 수 있고, 0.5㎛ 초과일 경우에는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되는 시안화 비닐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혼합물은 20 내지 40 중량%의 시안화 비닐 화합물과 60 내지 80 중량%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푸마로니트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렌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A) 내지 (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 예를 들어 25 내지 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20 중량% 미만인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성형성이 약화될 수 있다.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본 발명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시안화 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시안화 비닐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구조단위 50 내지 90 중량부,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구조단위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600,000 g/mol, 예를 들어, 100,000 내지 300,000 g/mol, 예를 들어 100,000 내지 2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상기 (A) 내지 (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12 내지 1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블로우 몰딩 성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 수지로서, 후술하는 (C)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와 다른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C) 알파-메틸스티렌(α-Methylstyrene, AMS) 공중합체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는 알파-메틸스티렌(AMS)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공중합체로, 예를 들어 알파-메틸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알파-메틸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알파-메틸스티렌 50 내지 8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0 내지 50 중량부, 및 스티렌 0 내지 10 중량부를 소정의 비율로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알파-메틸스티렌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열도가 낮아지고, 가공시 열에 의해 쉽게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알파-메틸스티렌이 8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사슬에 열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알파-메틸스티렌이 연속하여 3개 이상 결합된 구조가 다량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티렌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열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는 상기 (A) 내지 (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 예를 들어 30 내지 4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가 30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200 내지 4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가 200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고, 40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D) N-페닐말레이미드 (N-Phenyl Maleimide, PMI) 공중합체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N-페닐말레이미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의 이미드화 반응을 통해 제조할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Tg)는 18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는 N-페닐말레이미드로부터 유래하는 구조단위 45 내지 55 중량%, 스티렌으로부터 유래하는 구조단위 40 내지 50 중량%, 및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유래하는 구조단위 1 내지 1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상기 (A) 내지 (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10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가 10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외관 및 내충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50 내지 16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우수한 내열도와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C)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2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가 2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고, 4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사상(다듬기)이 어려워 후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E) 무기입자
본 발명의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황화 아연(ZnS), 이산화티탄(TiO2), 및 탈크(talc)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무기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의 평균입경(D50)은 5 내지 10 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샌딩(sanding, 사포질)이 용이하여 후가공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 예를 들어,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가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샌딩 용이성의 효과를 발현하기 어렵고,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블로우 몰딩시 성형품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 샌딩 용이성이 저감될 우려가 있다.
(F) 기타 첨가제
상기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활제, 가소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또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종 성형품의 특성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연소성을 감소시키는 물질로, 포스페이트(phosphate) 화합물, 포스파이트(phosphite) 화합물,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화합물, 폴리실록산, 포스파젠(phosphazene) 화합물, 포스피네이트(phosphinate) 화합물 또는 멜라민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제는 가공/성형/압출 중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접촉하는 금속 표면을 윤활시켜 수지 조성물의 흐름 또는 이동을 도와주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가공 작업성 또는 팽창성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고온에서 혼련 또는 성형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열적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산소와의 화학적 반응을 억제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수지 조성물이 분해되어 고유 물성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안정제는 자외선으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분해되어 색이 변하거나 기계적 성질이 상실되는 것을 억제 또는 차단시키는 물질로, 바람직하게는 힌더드 페놀형, 벤조페논형 또는 벤조트리아졸형 광안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착색제는 통상적인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구성 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펠렛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성형품은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성형성 및 외관이 뛰어나 블로우 몰딩용 성형품에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은 ASTM D648에 따라 측정한 열변형 온도가 95 내지 105℃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수지 조성물은 하기 표 1 에 기재된 성분 함량비에 따라 제조되었다.
표 1에서, 기초 수지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A, B, C, D)은 기초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중량%로 나타내었고, 기초 수지에 첨가되는 무기 입자(E1, E2)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단위로 나타내었다.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건식 혼합하고 이축 압출기(L/D=29, Φ=45 mm)의 공급부에 정량적으로 연속 투입하여 용융/혼련하였다. 이어서 이축 압출기를 통해 펠렛화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약 80℃에서 약 2시간 동안 건조한 후, 실린더 온도 약 260℃, 금형 온도 약 60℃의 6 oz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물성 및 외관 평가용 시편을 사출성형 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기초 수지
(단위: 중량%)
(A) 33 33 33 38
(B) 15 11 11 11
(C) 41 41 41 36
(D) 11 15 15 15
무기입자
(단위: 중량부)
(E1) 1 0 0 11
(E2) 0 1 0 0
상기 표 1 에 기재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기초 수지
(A)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부타디엔 고무의 평균입경이 약 0.3㎛이고, 부타디엔 고무의 함량이 약 58 중량%인 롯데첨단소재社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를 사용하였다.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래하는 구조단위 함량이 약 32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20,000 g/mol인 롯데첨단소재社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를 사용하였다.
(C)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알파-메틸스티렌으로부터 유래하는 구조단위 함량이 약 54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30,000 g/mol인 롯데첨단소재社의 알파-메틸스티렌-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MS-SAN)를 사용하였다.
(D)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N-페닐말레이미드로부터 유래하는 구조단위 함량이 약 50 중량%, 유리전이온도(Tg)가 196℃,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50,000 g/mol인 Denka社의 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제품명: MS-NB)를 사용하였다.
무기입자
(E1) 황화아연(ZnS)
Sachtleben Chemie社의 황화아연(제품명: SACHTOLITH® HD-S)을 사용하였다.
(E2) 이산화티탄(TiO2)
Cristal社의 이산화티탄(제품명: TiONA® 188)을 사용하였다.
물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물성 시험을 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유동성(단위: g/10 min)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10 kgf 하중 하에서 유동지수(Melt-flow index, MI)를 측정하였다.
(2) 내열성(단위: ℃)
(2-1) ISO 306/B50에 의거하여 비켓 연화온도(Vicat softening temperature, VST)를 측정하였다.
(2-2) ASTM D648에 의거하여 1/4 inch 두께 시편에 대해 1.8 MPa 하중 하에서 열변형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를 측정하였다.
(3) 내충격성(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1/4 inch 두께 시편에 대해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Izod impact strength, notched)를 측정하였다.
(4) 샌딩 특성(단위: 중량%)
100 mm x 100 mm x 3.2 mm 시편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안정화 후 내마모 평가장비(제조사: Taber Industries, 모델명: Taber® Rotary Abraser 5135)를 사용해 1 kgf 하중, 연마기 회전속도 70 rpm 조건 하에서 40분간 마모 평가를 진행하여 시편의 마모량을 평가 전후의 시편 무게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마모량이 많을수록 샌딩(sanding) 용이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5) 표면 외관
시편 표면에 가스 실버(silver streak) 및/또는 백화(whitening) 발생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가스 실버 및/또는 백화 발생이 없는 경우, ○로 판정하고, 발생한 경우, × 로 판정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MI 6.0 6.0 6.0 8.0
VST 112 112 112 108
HDT 101 101 100 95
Izod 충격강도 20 19 19 21
마모량 0.38 0.39 0.30 0.38
표면 외관 × ×
한편,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마모 평가 전/후의 시편 표면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을 도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2는 각각 실시예 2의 마모 평가 전/후의 시편 표면을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도 3 및 4는 각각 비교예 1의 마모 평가 전/후의 시편 표면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표 1, 2 및 도 1 내지 4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2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의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유지하면서, 표면 외관 개선과 동시에 샌딩 용이성이 향상되어 성형품의 외관 품질 및 작업 용이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 내지 2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내 함유된 무기입자가 성형품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생성하여 샌딩 용이성이 우수해진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10)

  1. (A)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
    (C)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 30 내지 50 중량%, 및
    (D)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그리고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E) 황화아연, 이산화티탄, 탈크, 또는 이들의 조합인 무기입자 0.1 내지 3 중량부
    를 포함하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C)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D)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2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C)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는 200 내지 400 중량부, 상기 (D)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50 내지 160 중량부로 포함되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600,000 g/mol인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구조단위의 함유량은 50 내지 90 중량부이고, 상기 시안화 비닐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구조단위의 함유량은 10 내지 50 중량부인,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서,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로서, 상기 (C) 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와 다른 값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서,
    상기 (A)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쉘 구조를 가지는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서,
    상기 코어는 부타디엔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쉘은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의 공중합체가 상기 코어에 그라프트 중합되어 형성된 것인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10. 제9항에서,
    ASTM D648에 따라 측정한 열변형 온도가 95 내지 105℃ 인 성형품.
KR1020180173103A 2017-12-29 2018-12-28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64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84920 2017-12-29
KR1020170184920 2017-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148A true KR20190082148A (ko) 2019-07-09
KR102264007B1 KR102264007B1 (ko) 2021-06-11

Family

ID=6712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103A KR102264007B1 (ko) 2017-12-29 2018-12-28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60301B2 (ko)
KR (1) KR102264007B1 (ko)
CN (1) CN109988373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854A (ko) * 2020-02-03 2021-08-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1157945A1 (ko) * 2020-02-03 2021-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2065640A1 (ko) * 2020-09-24 2022-03-31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40979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2075577A1 (ko) * 2020-10-06 2022-04-14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075579A1 (ko) * 2020-10-06 2022-04-14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3922674A4 (en) * 2019-11-04 2022-05-11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178A (ja) * 1998-12-21 2000-07-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ブロー成形品
KR20150102446A (ko) * 2014-02-28 2015-09-07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70133410A (ko) * 2015-03-31 2017-12-05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난연성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018A (ja) * 1995-11-14 1997-05-27 Toray Ind Inc ブロー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0110075A (ja) * 1996-10-04 1998-04-2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ブロー成形用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スチレン系樹脂ブロー成形品
JP4292630B2 (ja) * 1999-07-01 2009-07-08 ユーエムジー・エービーエス株式会社 制振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WO2008146478A1 (ja) * 2007-05-30 2008-12-04 Techno Polymer Co., Ltd. ブロー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ブロー成形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178A (ja) * 1998-12-21 2000-07-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ブロー成形品
KR20150102446A (ko) * 2014-02-28 2015-09-07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70133410A (ko) * 2015-03-31 2017-12-05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난연성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22674A4 (en) * 2019-11-04 2022-05-11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20210098854A (ko) * 2020-02-03 2021-08-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1157945A1 (ko) * 2020-02-03 2021-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3597449A (zh) * 2020-02-03 2021-11-02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
WO2022065640A1 (ko) * 2020-09-24 2022-03-31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40979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2075577A1 (ko) * 2020-10-06 2022-04-14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075579A1 (ko) * 2020-10-06 2022-04-14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4108725A4 (en) * 2020-10-06 2023-08-16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MOLDED PRODUCT THEREOF
EP4101895A4 (en) * 2020-10-06 2023-09-27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MOLDED ARTICL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9888A (ja) 2019-07-22
CN109988373B (zh) 2021-11-12
CN109988373A (zh) 2019-07-09
JP7260301B2 (ja) 2023-04-18
KR102264007B1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2148A (ko)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79513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45377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3023459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de using the same
KR20120078583A (ko) 저온에서의 백탁 현상이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9008207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55325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738615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形成された成形品
KR2018007920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0947560B1 (en)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ing therefrom
KR1021837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1003341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694447B1 (ko) 성형가공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197222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64903B1 (ko) 도금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6012853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16191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018715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6089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0010450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2008001797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2017007634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9038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90082425A (ko)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3572463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