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324A -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324A
KR20190081324A KR1020170183764A KR20170183764A KR20190081324A KR 20190081324 A KR20190081324 A KR 20190081324A KR 1020170183764 A KR1020170183764 A KR 1020170183764A KR 20170183764 A KR20170183764 A KR 20170183764A KR 20190081324 A KR20190081324 A KR 20190081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m
ball
dron
drones
no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찬
곽현주
서일수
서상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Priority to KR102017018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324A/ko
Publication of KR2019008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8Managing virtual sport t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볼을 이용한 고지 점령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의 드론 와측에 보호수단을 형성한 각각 드론볼이 포탄이나 수송대처럼 사용되어 팀 대항 고지 점령 게임을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A DRONE BALL}
본 발명은 드론볼을 이용한 고지 점령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의 드론 와측에 보호수단을 형성한 각각 드론볼이 포탄이나 수송대처럼 사용되어 팀 대항 고지 점령 게임을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무선전파를 이용해 원격 조정할 수 있는 무인 항기로써, 내측에 카메라 센서 통신시스템 등을 탑재하여 방송이나 보안 혹은 운송 분야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드론은 최근 오락/스포츠 분야로까지 확대되어, 다수의 드론들이 서로의 비행속도를 겨루는 레이싱 경기나 혹은 조정자의 컨트롤 솜씨에 따라 나무나 터널 등의 장해물을 통과하는 장애물 경기 등이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40265호와 10-175069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수의 드론이 비행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경기장 내측에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각 드론의 성능 및 조종자의 조정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는 게임 방법 및 관리시스템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게임방법 및 관리시스템은 단순히 드론의 스피드(Speed)를 겨루거나 혹은 참가자들의 조정능력을 테스트하는 개인종목으로 한정되어 있고,
특히 드론이 비행하는 경기장 역시 여러 공간(정밀운행구간, 휴먼서비스구간, 스피드레이싱구간 등)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공간 역시 넓고 장애물 등에 의해 관람자의 시선이 미치지 곳이 많아 드론을 조정하는 참가자들의 축제로 한정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즉, 종래의 경기는 대회에 참여한 사람뿐만 아니라 이를 관람하는 사람들도 같이 즐길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여 참가자들의 숫자에 맞게 소규모로 진행되었던 것이다.
KR 10-1740265 B1 KR 10-1750698 B1 KR 10-2016-0131598 A KR 10-1685548 B1 KR 10-2016-0069561 A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개인 종목으로 한정되었던 드론 경기에서 벗어나 팀 대항 방식으로 드론 계임을 즐길 수 있고, 특히 참가자뿐만 아니라 관람자들도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팀과 타측팀을 구획하기 위한 경기장에, 보호수단을 형성하고 있는 드론볼이 상대팀의 드론볼을 밀처내거나 혹은 충돌하여 포탄이나 수송부대처럼 비행하면서, 포대를 공격하거나 고지를 점령함으로써 팀 대항 고지 점령 게임을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드론 외측에 보호수단을 형성하여 다수의 참가자들이 같이 팀 대항 고지 점령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이를 시청하는 관람자들도 같이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되면서 대회/경기 규모가 참가자를 위한 대회에서 관람자들을 위한 대회로 확대되어, 그 규모가 커지게 되면서 리그(League) 개념을 도입하여 새로운 시장(Market)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드론볼을 이용한 고지점령게임의 경기장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지 점령 게임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지 점령 게임 운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볼을 이용한 고지 점령 게임의 점수 획득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지 점령 게임의 경기장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드론볼을 이용한 고지 점령 게임 방법의 순서도와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는 드론볼을 이용해 점수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드론들이 팀을 구성하여 팀 대항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하면서 경기에 참가한 사람뿐만 아니라 해당 경기를 관람하는 사람들도 같이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측팀의 영역(1a)과 타측팀의 영역(1b)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기장(1)에, 각각의 팀별로 포대(10)를 구축하는 한편, 일측팀 혹은 타측팀이 점령할 고지(20)를 형성하여, 외측에 보호수단(3)을 형성하고 있는 드론볼(2,2a)이 포탄이나 수송부대처럼 움직이면서 상대팀의 포대를 공격하거나 혹은 고지를 점령하고, 이때 획득한 점수로 승/패를 겨루는 것이다.
이때 각 팀의 포대(10)는, 일측팀의 드론볼(2)이 수비중인 타측팀의 드론볼(2a)을 피해 링(11)을 통과하였을 때 일측팀의 드론볼(2)이 타측팀의 포대를 포격한 것으로 판단하여 일정량의 점수를 획득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포대(10) 주변에는 다수의 드론볼(2)이 비행하고, 상기 드론볼은 링을 통과하기 위한 공격기체(2)와, 링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하나 이상의 수비 기체(2a)로 나누어지고,
특히 각 팀의 드론볼은 상대팀의 드론볼에 의해 밀쳐지거나 충격을 받아 경기장 바닥에 낙하할 경우 혹은 낙하하여 움직이지 않을 경우 격추된 것으로 판단하여 일정량의 점수를 획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고지(20)는 경기 중에 특정 시간이 되면 점령할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고, 일측팀의 드론볼이 타측팀의 드론볼에 의해 밀쳐지거나 충격을 받더라도 해당 고지에 지정된 시간 이상 착륙한 상태를 유지하였을 경우, 일측팀의 수송부대에 의해 해당 고지가 점령된 것으로 판단하고 점수를 획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게임을 실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운영시스템은, 외측에 보호수단(3)을 형성하고 있는 드론볼(2,2a)이, 지정된 시간 이상 착륙한 사실을 감지할 수 있는 고지(20)와 함께, 상기 드론볼(2.2a)이 링(11)을 통과하여 포격한 사실을 감지할 수 있는 포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포대(10) 혹은 고지(20)로부터 포격시 혹은 점령시 획득된 점수를 각 팀별로 집계하는 운영서버(30)와, 집계된 점수를 표출하여 주는 전광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고지(20)는 상단이 평평한 다각형이나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이나 몸통이 특정색상으로 발광하면서 공격할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거나 혹은 일측팀 혹은 타측팀에 의해 점령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때의 고지(20)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경기장(1) 내측에 설치되고, 특정색상으로 발광하는 엘이디모듈(15)과, 상기 고지(20)에 일측팀 혹은 타측팀의 드론볼(2,2a)이 착륙한 사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21)와, 상기 센서(21)를 통해 확보한 정보를 토대로 점령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어부(22)와, 점령시 그 사실을 운영서버(30)로 통지하기 위한 통신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센서(21)는 드론볼(2,2a)이 고지 상단에 착륙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써, 대표적으로 중량센서나 접근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IR 센서 등이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NFC모듈일 수도 있다.
이때의 센서(21)는 실시 예에 따라 NFC모듈일 수도 있으며, 상기 드론볼(2,2a)이 대응하는 또 다른 NFC모듈이나 NFC태그를 설치하여 고지 위에 드론볼이 착륙하게 되면 NFC모듈이 활성화되면서 착륙한 드론볼의 식별정보를 확보하여 어느 팀의 드론볼이 고지(20)에 착륙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센서(21)는 실시 예에 따라 영상카메라나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져 어느 팀의 드론볼이 고지에 착륙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제어부(22)는 운영서버(30)의 지시에 따라 혹은 특정시간이 되면 엘이디모듈(24)을 컨트롤하여 일측팀 혹은 타측팀에게 점령할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도록 컨트롤하고,
더불어 상기 제어부(22)는 센서(21)를 통해 해당 고지에 일측팀 혹은 타측팀의 드론볼이 착륙한 사실을 감지하면 착륙한 시간을 카운트하여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22)는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해당 드론볼의 팀에 의해 고지(20)가 점령된 것으로 판단하고, 엘이디모듈(24)의 불을 밝혀 점령된 사실을 알려주도록 컨트롤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22)는 실시 예에 따라 NFC모듈이나 센서를 통해 착륙한 드론볼(2,2a)의 식별정보를 확보하거나 혹은 운영서버(30)를 통해 해당 팀의 식별정보를 전송받게 되면, 엘이디모듈(24)을 컨트롤하여 해당 고지(20)를 점령한 팀의 색상으로 불을 밝혀 어떠한 팀에 의해 점령되었는지 알려줄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통신부(23)는 운영서버(3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점령사실을 운영서버(30)로 알려 주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으로 근거리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모듈 중 어느 하나이거나 3G 혹은 4G 이동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모듈 중 하나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운영서버로부터 일측팀 혹은 타측팀 혹은 정령할 타이밍이 되었음을 알리기 하여 특정 색상으로 불을 밝히도록 지시하는 컨트롤명령을 전송받아 제어부(22)로 보고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포대(10)는 통공된 구멍을 가진 원형의 링이나 다각형의 링(11)을 형성하고, 상기 링이나 그 주변에 내측을 통과하는 드론볼(2,2a)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링(11)을 통과하였을 때 컨트롤러(13)에 의해 엘이디모듈(15) 불이 밝혀지면서 혹은 특정색상으로 변하면서 포격사실을 광신호로 표출하여 알려주는 한편, 포격사실을 운영서버(3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감지센서(12)는 드론볼(2,2a)이 링(11) 안쪽을 통과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으로 포토다이오드나 레이저 혹은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해 수광여부에 따라 통과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통과센서 등이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NFC모듈이나 영상카메라나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져 드론볼이 링을 통과하였는지 감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13)는 상기 감지센서(12)를 통해 일측팀 혹은 타측팀의 드론볼(2,2a)이 링(11)을 통하였다는 사실을 감지하게 되면, 해당 포대(10)가 공격받았은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량 만큼의 점수를 카운트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운영서버(30)로 전송하여 일측팀 혹은 타측팀의 포대(10)가 공격받은 사실을 알리면서 점수를 카운트하도록 지시한다.
이때 컨트롤러(13)는 실시 예에 따라 엘이디모듈(15)을 컨트롤하여 링(11) 주변의 불을 밝혀 공격받은 사실을 참가자 혹은 관람자들에게 알리도록 지시한다.
또한, 드론볼은 링(11)을 통과하기 위한 일측팀의 공격기체(2)와, 일측팀의 공격기체(2)가 링(1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아주기 위한 타측팀의 수비기체(2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드론볼(2,2a)은 바디(4) 외측으로 페어를 이루는 다리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다리에 프로펠러를 형성하여 상하좌우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상기 바디(4) 외측으로 프로펠러와 바디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감싸면서 내측에 위치한 바디와 프로펠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3)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의 보호수단(3)은 다공성을 이루는 구형상이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대팀의 드론볼과 충돌하였을 때 혹은 밀쳐졌을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보호수단(3)은 드론의 바디나 다리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드론의 바디나 다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디 외측에 보호수단(3)을 형성하고 있는 드론볼(2,2a)이 포탄이나 수송부대처럼 비행하면서 상대팀의 드론볼을 밀처내거나 충격을 가하여 팀 대항 방식의 고지 점령 게임을 하면서 참가자 뿐만 아니라 이를 시청하는 관람자들도 같이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대회/경기 규모가 참가자를 위한 대회에서 관람자들을 위한 대회로 확대되어 그 규모가 커지게 되면서 새로운 시장(Market)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1:경기장 2,2a:드론볼
3:보호수단 4:바디
10:포대 11:링
12:감지센서 13:컨트롤러
14:통신모듈 15:엘이디모듈
20:고지 21:센서
22:제어부 23:통신부
24:엘이디모듈 30:운영서버
40:전광판

Claims (10)

  1. 일측팀과 타측팀의 영역으로 구획된 경기장;
    상기 경기장을 비행하는 드론 외측에 보호수단이 형성된 다수의 드론볼;
    일측팀의 드론볼이 수비중인 타측팀의 드론볼을 피해 링을 통과하였을 때 일측팀이 타측팀을 포격한 것으로 판단하는 포대;
    일측팀의 드론볼이 타측팀의 드론볼에 의해 밀쳐지거나 충격을 받더라도 지정된 시간 이상 착륙한 상태를 유지하였을 경우에는 일측팀의 수송부대에 의해 해당 고지가 점령된 것으로 판단하는 고지;
    상기 포대 혹은 고지를 통해 획득된 점수를 각 팀별로 집계하는 운영서버;
    상기 운영서버에 집계된 점수를 각 팀별로 표출하는 전광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드론볼이 포탄이나 수송부대처럼 비행하면서 상대팀의 드론볼을 밀처내거나 충격을 가하여 팀 대항 방식의 게임을 즐기면서 참가자 뿐만아니라 관람자들도 같이 즐거움을 누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운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는 상단이 평평한 다각형이나 원형으로 이루어져 하나 이상의 드론볼이 착륙되고,
    상기 상단이나 몸통은 특정색상으로 발광하면서 일측팀과 타측팀에게 공격할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거나,
    혹은 일측팀이나 타측팀에 의해 해당 고지가 점령되었을 때 점령된 팀의 색상으로 발광하면서 해당 팀에 의해 점령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운영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는 특정시간이 되면 혹은 점령되었을 때 특정색상으로 발광하는 엘이디모듈과, 상기 고지에 일측팀 혹은 타측팀의 드론볼이 착륙한 사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확보된 정보를 토대로 점령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어부와, 점령시 그 사실을 운영서버로 통지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운영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는 통공된 구멍을 가진 원형의 링이나 다각형의 링을 형성하고, 상기 링 주변에 내측을 통과하는 드론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형성하고, 상기 링을 통과하였을 컨트롤러에 의해 엘이디불이 밝혀지면서 혹은 특정색상으로 변하면서 포격사실을 광신호로 표출하여 알려주는 한편, 포격사실을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집계토록 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운영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볼은 바디 외측으로 페어를 이루는 다리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에는 프로펠러를 형성하여 상하좌우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바디 외측으로 프로펠러와 바디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감싸져 내측에 위치한 바디와 프로펠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수단은 다공성을 이루는 구 형상이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운영시스템.
  6. 일측팀과 타측팀의 영역으로 구획된 경기장과, 상기 경기장을 비행하는 드론 외측에 보호수단이 형성된 다수의 드론볼과, 일측팀과 타측팀의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드론볼이 통과하는 포대와, 일측팀과 타측팀의 드론볼 착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고지와, 상기 포대 혹은 고지를 통해 획득된 점수를 각 팀별로 집계하는 운영서버와, 상기 운영서버에 집계된 점수를 각 팀별로 표출하는 전광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측팀과 타측팀은 각각 하나 이상의 공격기체와 수비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대는 일측팀의 공격기체는 수비중인 타측팀의 수비기체를 피해 링을 통과하였을 때 일측팀의 공격기체가 타측팀을 포격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포격시 해당 포대를 통해 획득된 점수를 팀별로 집계하여 전광판을 통해 표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는 일측팀의 드론볼이 타측팀의 드론볼에 의해 밀쳐지거나 충격을 받더라도, 특정 시간대에 지정된 시간 이상 해당 고지에 착륙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일측팀의 수송부대에 의해 해당 고지가 점령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수송부대에 의해 점령된 해당 고지를 통해 획득된 점수를 팀별로 집계하여 전광판을 통해 표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는 운영서버의 지시에 따라 특정 시간대가 되면 엘이디 불이 밝혀지면서 해당 고지가 점령될 시간대가 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는 일측팀의 수송부대에 의해 해당 고지가 점령되었을 경우 해당 팀의 색상으로 엘이디 불이 밝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일측팀의 드론볼이 비행중인 타측팀의 드론볼을 밀쳐내면서 혹은 충격을 가해 경기장 바닥에 떨어트렸을 때, 격추한 것으로 판단하여 설정된 량 만큼의 점수를 카운트하고, 전광판을 통해 표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KR1020170183764A 2017-12-29 2017-12-29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 KR20190081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64A KR20190081324A (ko) 2017-12-29 2017-12-29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64A KR20190081324A (ko) 2017-12-29 2017-12-29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324A true KR20190081324A (ko) 2019-07-09

Family

ID=6726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764A KR20190081324A (ko) 2017-12-29 2017-12-29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3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011A (ko) * 2020-02-28 2021-09-0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스포츠의 경기 기록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561A (ko) 2014-12-08 2016-06-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의 이동식 야간 조명용 군집 비행 방법 및 이를 통한 이동식 야간 조명 방법
KR20160131598A (ko)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서희정보기술 소형 무인비행체 비행 연습 및 경기 시스템
KR101685548B1 (ko) 2015-04-01 2016-1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편대 제어 방법
KR101740265B1 (ko) 2017-01-06 2017-05-2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드론용 복합 경기장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게임방법
KR101750698B1 (ko) 2017-01-06 2017-06-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드론용 복합 경기장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561A (ko) 2014-12-08 2016-06-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의 이동식 야간 조명용 군집 비행 방법 및 이를 통한 이동식 야간 조명 방법
KR101685548B1 (ko) 2015-04-01 2016-1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편대 제어 방법
KR20160131598A (ko)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서희정보기술 소형 무인비행체 비행 연습 및 경기 시스템
KR101740265B1 (ko) 2017-01-06 2017-05-2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드론용 복합 경기장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게임방법
KR101750698B1 (ko) 2017-01-06 2017-06-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드론용 복합 경기장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011A (ko) * 2020-02-28 2021-09-0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스포츠의 경기 기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6028B2 (en) Lazer tag advanced
KR102001862B1 (ko) 드론을 이용한 농구 경기장 시스템
US10124200B2 (en) Battle trampoline game
US20080194337A1 (en) Hunting Game Having Human And Electromechanical Players
JPH0793983B2 (ja) 多数参加者運動ビークル射的場
KR102233490B1 (ko) 구기스포츠를 위한 3차원 타겟 시스템
US20200038743A1 (en) Gam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game
KR101921249B1 (ko)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772782A (zh) 一种无人机虚拟空战娱乐系统
KR101247213B1 (ko) 전투 게임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전투 게임 시스템과 방법
CN110665235A (zh) 一种无人机打靶娱乐系统
US20180081356A1 (en) Multirotor game system
US20030118971A1 (en) War game complex and method of playing the game
US20200197772A1 (en) Projected game arena with movable surfaces
JP2004511748A5 (ko)
KR20190081324A (ko)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
CN114450074A (zh) 具有协调发射器和接收器的战斗无人机
KR102361694B1 (ko) 드론 기반의 서바이벌 사격 게임 제공 시스템
CN108731540A (zh) 一种随动对抗射击训练系统和方法
CN111741797A (zh) 多机对战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71358B1 (ko) 전투게임 지휘통제 시스템
KR101985670B1 (ko)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CN205353769U (zh) 一种飞行系统
CN211132982U (zh) 一种无人机打靶娱乐系统
KR102583169B1 (ko)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