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401A - 분리기, 분리기 분쇄기 및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기, 분리기 분쇄기 및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401A
KR20190077401A KR1020197013643A KR20197013643A KR20190077401A KR 20190077401 A KR20190077401 A KR 20190077401A KR 1020197013643 A KR1020197013643 A KR 1020197013643A KR 20197013643 A KR20197013643 A KR 20197013643A KR 20190077401 A KR20190077401 A KR 20190077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guide vane
vane assembly
volume flow
partial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아힘 갈크
토마스 밍거스
마르크 기르제멜
Original Assignee
노이만 & 에세르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이만 & 에세르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이만 & 에세르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3703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116A/ko
Publication of KR2019007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083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4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2015/002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combined with a class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Cyclon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기 하우징(20), 분리기 하우징(20)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축(X)를 갖는 분리기 휠(30), 및 분리기 하우징(20) 내에 배치되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를 갖는 분리기(10)로서, 환형 공간(26)이 회전축(X)에 수직인 반경 방향(R)으로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와 분리기 하우징(20) 사이에 제공되는,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분리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변 환형 갭(28)이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와 커버(24, 36)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제공된다.

Description

분리기, 분리기 분쇄기 및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분리기(separator), 분리기를 갖는 분쇄기(밀)(mill) 그리고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separating a gas-solids mixture)에 관한 것이다.
분리(separation)는 일반적으로 질량 밀도 또는 입자 크기와 같은 어떤 기준에 따르는 고체들의 구분(분류)(sorting)을 의미한다. 윈노윙(winnowing)은 기체 흐름(gas stream), 소위 분리 공기(separating air)가 이러한 분류(sorting)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리 공정들의 그룹이다. 작동 원리는 미세 또는 작은 입자들이 기체 흐름에 의해 큰 또는 조대 입자들보다 더 강하게 영향을 받으며 함께 이동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윈드 분리기(wind separator)(풍력 선별기)들은 예를 들면 분쇄기의 석탄 가루 및 다른 곡식 가루를 분류(classifying)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목표는 추가 분쇄를 필요로 하는 입자들로부터의 분쇄 공정 후 충분히 작게 분쇄된 입자들을 분리하는 것이다. 이들 2개의 입자 그룹들은 또한 미세분(fines) 및 테일링(tailings)으로 불리운다. 기본적으로, 분리기는 또한 다른 근원의 고체들의 소팅(sorting) 또는 분류(classifying)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윈드 분리기들이 있다. 주요 구별 기준은 분리되는 고체 물질, 또는 공급원료, 및 분리 공기가 분리기 내로 도입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고체들 및 분리 공기는 서로 분리되어 도입되거나 또는 공동으로 도입될 수 있다.
고체들과 분리 공기가 공동으로 도입되는 윈드 분리기가 US 2010/0236458 A1에 공지된다. 개시된 윈드 분리기는 석탄 가루의 분류(sorting)를 위해 사용된다. 석탄 가루와 분리 공기의 혼합물은 하부로부터 분리기 하우징으로 들어온다. 기체-고체 혼합물(gas-solids mixture)의 입구 체적 흐름은 전적으로 외부로부터 안내 날개 어셈블리(guide vane assembly)의 내부로 흐른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는 다수의 편향 요소들(deflecting elements)을 가지며, 그 사이에 혼합물이 흐른다. 편향 요소들은 수평선에 대해 50 내지 70˚만큼 경사지며 고정된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의 내부에는 분리기 휠이 배치된다. 분리기 휠은 회전 구동되며 대체로 수직으로 진행하는 다수의 핀들(fins)을 갖는다. 미세 입자들은 흐름에 의해 분리기 휠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분리기 휠의 핀들 사이에 도착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상단부에서 흡인된다. 다른 한편으로, 조대 입자들(coarse particles)은 이런 식으로 핀들에 부딪치며 되튀며 그리고 최종적으로 중력에 의해 강하한다.
다른 윈드 분리기들에서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의 안내 날개들이 WO 2014/124899 A1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안된 안내 날개들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일 수 있다. 유사한 윈드 분리기들이 또한 공보들 EP 1 239 966 B1, EP 2 659 988 A1, DE 44 23 815 C2 및 EP 1 153 661 A1에 공지된다. EP 2 659 988 A1의 경우에는, 핀들이 조절 가능하다. EP 1 153 661 A1에는 수직 및 수평 핀들 모두가 사용되며, 이것은 대체로 더욱 균일한 흐름을 발생시켜야 한다.
공급원료와 분리 공기가 함께 도입되는 전통적인 윈드 분리기들의 하나의 단점은 분리 정확도로서 또한 알려진 조대 및 미세 물질의 불충분한 분류이다. 예를 들면 분리 공기의 흐름의 방향이 공급원료의 강하의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다른 작동 원리들을 갖는 윈드 분리기들은 공급원료의 스월링(swirling)을 야기하며, 따라서 조대 및 미세 물질의 더 양호한 분리를 가져온다. 상술된 윈드 분리기들에서는 공급원료와 분리 공기의 혼합물은 전적으로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통해 흐르며 대부분 분리기를 통해 균질하게 흐른다. 따라서, 특히 미세 물질의 입자들이 조대 물질 내에 도달하는 증가된 잘못된 분류가 발생한다.
WO 2014/124899 A1은 피팅들(fittings)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피팅들은 안내 날개 어셈블리와 분리기 휠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것은 또한 분리 영역으로 불리워진다. 피팅들의 목적은 균질 유동을 방해하며 따라서 공급원료를 소용돌이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추가적인 저항으로 인해, 피팅들은 분리기의 효율이 낮아지게 되며, 이것은 특히 분리기의 높은 출력 요구 또는 낮은 처리 속도로서 나타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제안하는 과제는 공급원료와 분리 공기가 함께 도입되는 분리기들의 분류 정밀도(sorting precision)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르는 분리기에 의해, 청구항 제14항에 따르는 밀(분쇄기)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제15항에 따르는 분리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유리한 수정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기는 분리기 하우징을 가지며, 그 안에 분리기 휠(separator wheel) 및 안내 날개 어셈블리(guide vane assembly)가 배치된다. 분리기 휠은 회전축 X를 갖는다. 환형 공간(annular space)이 회전축 X에 수직한 반경 방향 R으로 안내 날개 어셈블리와 분리기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며 분리 영역(separating zone)이 안내 날개 어셈블리와 분리기 휠 사이에 제공된다.
분리기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와 커버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주변 환형 갭(peripheral annular gap)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축 X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종류의 분리기들은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력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들은 "수직의(vertical)"로 지칭될 것이다. 따라서, 중력의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들은 "수평의(horizontal)"로 지칭될 것이다.
환형 갭(annular gap)은 환형 공간을 분리 영역에 연결한다.
환형 갭은 입구 체적 흐름을 배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1 부분 체적 흐름은 환형 갭을 통해 위로부터 분리 영역에 들어가며, 제2 부분 체적 흐름은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통해 분리 영역으로 흐른다. 2개의 부분 체적 흐름들은 분리 영역에서 만나며, 이것은 스월링(swirling)(소용돌이)를 발생시키며 따라서 개선된 분리를 가져온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정의 분리 정확성(separation accuracy)이 개선될 수 있다.
환형 갭은 바람직하게는 높이 HR를 갖는다.
하나의 유리한 수정예에서, 안내 날개 어셈블리 및/또는 커버는 회전축 X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따라서 환형 갭의 높이 HR는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부분 체적 흐름의 양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부분 흐름 사이의 비율은 또한 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높이 HR는 50 mm와 1000 mm 사이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mm와 1000 mm 사이이다.
커버는 하우징 커버 또는 분리기 커버 또는 분리기의 커버 영역 내의 설치된 부분일 수 있다.
하우징 커버는 분리기 하우징의 일부이며 이것은 상단부에서 분리기 하우징을 밀폐한다. 하우징 커버는 분리기의 작동 동안 움직이지 않는다. 하우징 커버는 상단부가 아치형일 수 있으며, 이것은 제1 부분 체적 흐름의 분리 영역으로의 편향을 촉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분리기 커버는 분리기 휠에 연결되며, 따라서 이것은 분리기 휠과 함께 회전한다. 유리하게는, 분리기 커버는 단지 환형 디스크이다. 분리기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분리기 휠의 상단 에지와 같은 높이로 배치된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와 분리기 커버 사이의 환형 갭은 환형 공간에서의 흐름의 균질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형 공간에서의 역류가 방지되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환형 공간은 상단부를 향해 테이퍼진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통한 기체-고체 혼합물의 흐름에 의해, 체적 흐름이 상단부를 향해 감소하며, 따라서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통한 균일한 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단부를 향해 꾸준히(계속적으로) 감소하는 환형 공간들의 횡단면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테이퍼링(tapering)에 의해 달성된다.
환형 공간은 폭 B를 갖는다. 폭 B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하거나 또는 변할 수 있다. 분리기의 설계에서, 폭 B와 높이 HR 사이의 비율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율 B:HR은 0.2와 5 사이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와 2 사이이다. 폭 B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폭 B의 평균값은 비율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는 높이 HL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비율 HL:HR은 0.5와 10 사이이며, 특히 2와 5 사이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분한 공급원료가 안내 날개 어셈블리와 환형 갭 둘 다를 통해 분리 영역에 들어간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안내 날개들을 가지며 이들은 안내 날개 어셈블리의 주변부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에 추가의 편향 요소들이 갖추어지는 경우 제2 부분 체적 흐름의 양들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요소(deflecting element)가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수직 안내 날개들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하향으로 향하는 만곡부 및/또는 굴곡부(굽힘부)(curvature and/or bending)를 갖는다. 하향으로 향하는 만곡부 및/또는 굴곡부로 인해, 분리기의 분리 영역으로의 기체-고체 혼합물의 제어된 전환이 가능하다. 굴곡부(bending)는 편향 요소의 각진 곧은 부분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요소는 각 2개의 이웃하는 수직 안내 날개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 편향 부재들의 추가 이점은 기체-고체 혼합물의 흐름에 안내 날개 어셈블리 내부에서 수평의 및/또는 수직의 하향으로 향하는 운동 성분을 추가적으로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분리 영역 내부에서, 분리기 휠로의 흐름의 더 양호한 도입을 가져오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분리기의 분리 정확성(separating accuracy)을 높인다.
분리기에 다수의 편향 요소들이 제공되는 경우, 편향 요소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기 내부의 모든 편향 요소들은 동일하며, 따라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분리기 내부의 다른 위치들에서 다른 효과들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분리기에서 상이한 구성의 편향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하나의 편향 요소에 대해 이하에서 기술되는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기의 바로 그 실시형태의 다른 편향 요소들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실시형태의 모든 편향 요소들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편향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이웃하는 안내 날개들 사이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 영역으로의 제어되지 않은 흐름이 발생할 수도 있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 내부의 영역들이 회피된다.
유리한 수정예들에서 편향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안내 날개 어셈블리로부터 분리 영역으로 및/또는 환형 공간으로 연장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환형 공간으로의 연장이 유리한데, 왜냐하면 이 경우 기체-고체 혼합물이 환형 공간 내의 편향 요소들에 부딪치며 편향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체-고체 혼합물의 일부를 제2 부분 체적 흐름에 대해 매우 효과적으로 분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부분 체적 흐름의 양은 환형 공간으로 돌출하는 편향 요소들의 길이에 의해 훨씬 더 명확히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부분 체적 흐름들의 비율에 대해 2개의 조절 가능성들이 있으며, 즉, 한편으로는 환형 갭 폭을 조절함에 의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편향 요소들의 배치와 구성에 의한 조절 가능성들이 있다. 설계 상황, 예를 들면, 분쇄기 내의 설치에 의존하면서, 조절 가능성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또는 심지어 둘 다를 사용하는 것이 이에 의해 가능하다.
균일한 편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편향 요소들 중 하나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의 반경 방향 R으로 부분 섹션에서 가변(variable) 곡률 반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편향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반경 방향 R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가변 곡률 반경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편향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단부 섹션을 갖는 반경방향 내측 단부 및/또는 제2 단부 섹션을 갖는 반경방향 외측 단부를 갖는다. 용어 반경방향 내측과 반경방향 외측은 여기서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에 관련된 것이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기본 형상을 갖는다. 단부 섹션들은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나의 단부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편향 요소의 전체 길이의 40% 미만, 특히 20% 미만을 포함한다.
분리기의 유리한 수정예들에서, 단부 섹션들의 적어도 하나는 직선형이다. 곡률(만곡부)을 갖지 않는 경우 섹션은 직선형이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반경 방향 내측 단부의 제1 단부 섹션에 대해 유리하다.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기체-고체 혼합물은 분리기 휠의 방향으로 가능한 균일하게 흘러야 한다. 제1 단부 섹션의 직선형 구성은 균일 흐름(homogeneous flow)을 촉진한다.
직선형 단부 섹션들은 바람직하게는 굽혀지며(bent), 즉 각지며(angled), 따라서 굴곡부들(bends)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부 섹션들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으로 배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반경 방향 내측 단부의 제1 단부 섹션이다. 이것은 또한 분리기 휠의 방향으로 균일 흐름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유리한 수정예들에서 제2 단부 섹션들의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접선 방향 연장부는 수평선 H에 대해 각도 α로 진행하며, 여기서 α≥20°이다. 제2 단부 섹션들은 편향 요소들의 외측 단부에 매번 배치된다. 기체-고체 혼합물은 의도된 대로 사용되는 경우 아래로부터 편향 요소들에 도착한다. 따라서, 제2 단부 섹션들이 20°이상의 각도 α로 하향으로 지향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또한, α≤60°.
접선 방향 연장부는 섹션의 단부점에서 곡률에 접선 방향인 호-형상 섹션의 직선형 연장부를 의미한다. 호-형상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접선 방향 연장부의 결정을 위해 횡단면으로 도시된다.
기체-고체 혼합물의 편향의 정도는 분리 정확성에 영향을 미친다. 편향이 너무 큰 경우, 스월링(swirling) 또는 역류(back flow)가 형성될 수 있다. 너무 작은 편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한 수정예들에서 편향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부 섹션 또는 그 접선 방향 연장부 및 동일한 편향 요소들의 제2 단부 섹션 또는 그 접선 방향 연장부는 각도 β로 함께 진행하며, 여기서 β≥90°인 것이 제공된다. 특히 β≥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또한, β≤160°.
어느 고체가 분류되는지와 기체-고체 혼합물 내에 입자 분포가 어떤지에 따라, 제1 단부 섹션을 수평선 H에 대해 0°보다 큰 각도로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유리한 수정예들에서, 제1 단부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접선 방향 연장부가 수평선 H에 대해 각도 γ로 진행하며, 여기서 γ≥10°인 것이 제공된다. 증가된 조대 물질이 미세 물질 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체-고체 혼합물은 편향 요소에 의해 이러한 방식으로 하향으로 편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대 물질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게 될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그러나, 각도 γ는 너무 크게 선택되어서는 안 된다. 바람직하게는, γ≤45°, 특히 γ≤30°.
각도들 α, β 및 γ와 관련하여 다음이 특히 바람직하다: α+β+γ=180°.
바람직하게는, 각도들은 동일한 수평선 H 아래에 배치된다.
이미 모든 2개의 이웃하는 수직 안내 날개들 사이의 1개의 편향 요소로 흐름 관계들에서 양호한 결과들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분리기의 유리한 수정예들에서 모든 2개의 이웃하는 수직 안내 날개들 사이에 적어도 3개 내지 5개의 편향 요소들이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이웃하는 수직 안내 날개들 사이에서 흐르는 기체-고체 혼합물은 부분 흐름들로 나누어지며, 따라서 스월링(swirling)이 회피되며 흐름들은 균일하게 된다.
유리한 수정예들에서, 안내 날개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스월 브레이커(swirl breaker)를 갖는다. 스월 브레이커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의 원주 방향으로의 흐름을 방지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기체-고체 혼합물의 흐름을 균일하게 한다.
상기 과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기와 결합된 밀(mill)(분쇄기)에 의해 해결된다. 밀은 바람직하게는 진자 밀(pendulum mill) 또는 롤러 밀(roller mill)이다. 바람직하게는, 분리기는 밀에 통합된다.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갖는다:
- 입구 체적 흐름 Q을 기체-고체 혼합물로부터 분리기 휠, 안내 날개 어셈블리 및 분리기 휠과 안내 날개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된 분리 영역을 갖는 분리기 내로 도입하는 단계;
- 입구 체적 흐름 Q을 제1 부분 체적 흐름 Q1과 제2 부분 체적 흐름 Q2으로 배분하는 단계;
-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우회함에 의해 제1 부분 체적 흐름 Q1을 분리 영역 내로 도입하는 단계;
-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통해 제2 부분 체적 흐름 Q2을 분리 영역 내로 도입하는 단계.
유리하게는, 입구 체적 흐름은 안내 날개 어셈블리와 커버 사이에 환형 갭(annular gap)을 제공함에 의해 나누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 체적 흐름 Q1은 위로부터 분리 영역으로 도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부분 체적 흐름 Q1의 물질은 위로부터 전체 분리 영역을 통해 아래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질이 분류되게 되는, 즉, 조대 및 미세 물질로 적절하게 분리되는 더 큰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분리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유리하게는, 제1 부분 체적 흐름 Q1 또는 제2 부분 체적 흐름 Q2은 대체로 중력 방향으로 분리 영역 내로 도입된다.
입구 체적 흐름은 장치가 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 먼저 입구로부터 분리기 하우징과 안내 날개 어셈블리 사이의 환형 공간 내로 흐른다. 전통적인 분리기들에서는, 기체-고체 혼합물은 전적으로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통해서 흐른다. 환형 갭으로 인해, 제1 부분 체적 흐름 Q1은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지나며 위로부터 분리 영역 내로 흐른다. 기체-고체 혼합물의 제2 부분 체적 흐름 Q2은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통해 분리 영역으로 흐른다.
기본적으로, 제1 부분 체적 흐름 Q1은 또한 분리 영역을 통해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한다.
2개의 부분 흐름들 Q1, Q2로 배분하는 추가 이점은 부분 흐름들 Q1, Q2이 분리 영역에서 서로를 상호 분류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가 분류(self-sorting)는 분리 영역에서의 기체-고체 혼합물의 스월링(swirling)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세 물질과 조대 물질은 서로로부터 더 잘 분리된다.
제1 부분 체적 흐름 Q1과 제2 부분 체적 흐름 Q2 사이의 비율은 조절될 수 있다. 유리한 수정예들에서, 제1 부분 체적 흐름과 제2 부분 체적 흐름 사이의 비율 Q1:Q2는 20:80와 80:20 사이이며, 특히 40:60과 60:40 사이이다.
양호한 자가 분리를 위해, 2개의 부분 체적 흐름들 Q1, Q2이 분리 영역에서 각도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 특히
Figure pct00003
)로 서로 만나도록 안내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동각
Figure pct00004
은 유리하게는 편향 요소들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급원료와 분리 공기가 함께 도입되는 분리기들의 분류 정밀도(sorting precision)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도면들의 도움으로 도시되며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분리기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대한 통합된 분리기를 갖는 밀(분쇄기)를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3은 도 1의 분리기의 상부 섹션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부분적으로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4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분리기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5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사시도로 도시하며;
도 6은 도 5의 안내 날개 어셈블리를 평면도로 도시하며;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안내 날개 어셈블리의 확대 절개도를 도시하며;
도 8 내지 도 14는 편향 요소들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측면도로 도시하며;
도 15는 입자 크기들에 대해 플로팅된 요약 분포들(summary distributions)을 갖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은 분리기(separator)(10)를 도시한다. 분리기(10)는 분리기 하우징(20)을 포함한다. 하부 영역에서, 분리기 하우징(20)은 기체-고체 혼합물(gas-solids mixture)(100)의 체적 흐름 Q을 위한 입구(inlet)(21)를 갖는다.
분리기 하우징(20)에는 분리기 휠(30)과 안내 날개 어셈블리(50)가 배치된다. 분리기 휠(30)과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는 공통의 주축을 가지며, 이것은 분리기 휠(30)을 위한 회전축 X이다. 회전축 X는 중력 F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회전축 X에 대해 수직으로 반경 방향 R이 연장된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와 분리기 하우징(20) 사이에는, 반경 방향 R으로 환형 공간(26)이 제공된다. 분리기 휠(30)과 안내 날개 어셈블리(50) 사이의 공간은 분리 영역(32)을 형성한다.
분리기 휠(30)은 구동 장치(40)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따라서 분리기 휠(30)은 회전축 X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와 하우징 커버(24) 사이에는 환형 갭(28)이 배치된다. 아래로부터 환형 공간(26)으로 들어가는 체적 흐름 Q는 2개의 부분 흐름들 Q1과 Q2로 배분되며, 이에 의해 부분 체적 흐름 Q1은 환형 갭(28)을 통과하며 위로부터 분리 영역(32)에 들어간다. 부분 체적 흐름 Q2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를 통해 흐르며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 영역(32)에 들어간다. 따라서, 2개의 부분 체적 흐름들 Q1과 Q2는 분리 영역(32)에서 한 번 더 만난다.
분리기 휠(30) 위에는 제1 출구(22)가 배치된다. 제1 출구(22)는 음압을 형성하는 흡인 메커니즘(미도시)에 연결된다. 제1 입자 유형(101), 미세 물질은, 장치가 의도된 대로 사용되는 경우, 제1 출구(22)를 통해 흡인된다.
분리기 휠(30) 아래에는 깔때기(25)가 배치된다. 깔때기(25)는 제2 출구(23)로 이어진다. 제2 입자 유형(102), 조대 물질은, 장치가 의도된 대로 사용되는 경우, 제2 출구(23)를 통해 제거된다. 분리기 휠(30)은 큰 입자들(102)을 거절한다. 이들 큰 입자들은 깔때기(25)에 들어가며 그로부터 제2 출구(23)로 간다.
분리기 하우징(20)은 상단부에서 하우징 커버(24)에 의해 폐쇄된다.
도 2는 진자 밀로서 설계된 밀(분쇄기)(110)을 도시한다. 상단부가 밀 커버(114)에 의해 밀폐되며 하단부에서 밀 바닥부(116)에 의해 밀폐되는 하우징(112) 내부에는, 수개의 밀링 진자들(milling pendulums)(120)을 포함하는 밀링 메커니즘(milling mechanism)(118)이 배치된다. 밀링 메커니즘(118)을 통해, 분리기(10)가 밀 하우징으로 통합된다. 밀 하우징(112)과 안내 날개 어셈블리(50) 사이에는 환형 공간(26)이 배치된다. 환형 갭(28)이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와 밀 커버(114)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은 분리기(10)의 상단 부분을 도시한다. 분리기 휠(30)이 안내 날개 어셈블리(50) 내부에 배치된다. 분리기 휠(30)과 안내 날개 어셈블리(50) 사이에는 분리 영역(32)이 배치된다. 원통형 분리기 하우징(20)은 또한 디자인이 원추형일 수도 있다. 이러한 원추형 분리기 하우징(20')(점선으로 도시된)의 경우, 상향으로 테이퍼진 환형 공간(26)이 형성된다.
하우징 커버의 수정예가 또한 점선으로 도시된다. 하우징 커버(24')는 상단부가 아치형일 수 있으며, 이것은 부분 체적 흐름 Q1의 편향을 촉진시킨다.
둘러싸는 환형 공간(28)이 수직 방향으로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와 하우징 커버(24) 사이에 존재한다. 환형 갭(28)은 높이 HR를 갖는다. 환형 공간(26)은 폭 B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비율 B:HR은 약 1이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는 높이 HL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비율 HL:HR은 약 3.5이다.
제1 출구(22)는 분리기 휠(3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한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는 다수의 수직 안내 날개들(54)을 갖는다. 이웃하는 수직 안내 날개들(54) 사이에는 5개의 편향 요소들(53)이 배치되며, 이들 각각은 하향으로 향하는 곡률(만곡부)을 갖는다.
분리기 휠(30)의 상단 에지(34)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의 상단 에지(56) 위에 배치된다. 수직 방향으로 환형 갭(28)의 50% 이상이 완전히 분리기 휠(30)의 상단 에지(34) 위에 배치된다.
기체-고체 혼합물(100)의 체적 흐름 Q은 바닥부로부터 환형 공간(26)으로 흐른다. 제1 부분 체적 흐름 Q1은 환형 갭(28)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부분 체적 흐름 Q1은 위에서 분리 영역(32)에 들어간다. 제2 부분 체적 흐름 Q2은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를 통해 분리 영역(32)으로 흐르며 거기서 제1 부분 체적 흐름 Q1에 부딪친다. 편향 요소들(53)은 도시된 화살표들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기 휠로 향하는 흐름 성분들을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를 통해 흐르는 기체-고체 혼합물에 준다. 부분 체적 흐름들 Q1, Q2은 각도
Figure pct00005
로 만난다(도 3의 부분 확대도 참조). 도시된 실시형태의 각도
Figure pct00006
는 약 45˚이다.
명확성을 이유로, Q2는 제2 부분 체적 흐름 Q2의 부분 흐름에 대한 단지 하나의 가능한 흐름 경로를 나타낸다. 그러나, 제2 부분 체적 흐름 Q2은 전체로서 환형 공간(26)에서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를 통해 분리 영역(32)으로 이동하는 전체 체적 흐름을 표시한다.
미세 입자들(101)은 분리 영역(32)에서 분리기 휠(30)의 내부로 이동하며 제1 출구(22)를 통해 흡인된다.
도 4는 분리기(10)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분리기(10)는 입구(21), 제1 출구(22) 및 제2 출구(23)를 갖는 분리기 하우징(20)을 포함한다.
분리기 하우징(20)에는 분리기 휠(30)과 안내 날개 어셈블리(50)가 배치된다. 분리기 휠은 회전 구동된다.
분리기 휠(30)은 분리기 커버(36)를 포함한다. 분리기 커버(36)는 환형 디스크의 형태를 갖는다. 분리기 커버(36)의 중앙에는 개구(38)가 배치된다. 개구(38)를 통해, 물질이 분리기 휠(30)의 내부에서 제1 출구(22)로 흐를 수 있다.
분리기 커버(36)는 분리기 휠(30)과 함께 회전한다. 둘러싸는 환형 갭(28)이 수직 방향으로 분리기 커버(36)와 안내 날개 어셈블리(50) 사이에 제공된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에는 굴곡부(bend)를 갖는 편향 요소들(53)의 추가 구성이 갖춰져 있다. 또한, 편향 요소들(53)은 환형 공간(26)으로 연장된다.
도 5는 도 3의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는 다수의 수직 안내 날개들(54)을 가지며, 5개의 편향 요소들(53)이 모든 2개의 이웃하는 안내 날개들(54) 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편향 요소(53)는 2개의 수직 안내 날개들(54) 사이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편향 요소들(53)은 수직 방향으로 등거리로 배치된다.
그 외주 표면에서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는, 도 3의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와는 달리, 다수의 스월 브레이커들(swirl breakers)(52)을 갖는다. 스월 브레이커들(52)은 환형 공간(26)으로 돌출하며 원주 방향으로의 흐름을 대항(저항)한다. 스월 브레이커들(52)은 직사각형 기본 형상을 가지며 판금으로 제조된다. 스월 브레이커들(52)은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로부터 반경 방향 R으로 떨어져 있으며 안내 날개 어셈블리의 전체 높이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의 확대 절개도를 도시한다.
편향 요소들(53)은 하향으로 향하는 곡률(만곡부)을 갖는다. 각각의 편향 요소(53)는 반경 방향 내측 단부(55) 및 반경 방향 외측 단부(56)를 갖는다. 반경 방향 내측 단부들(55)은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분리 영역(32)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제1 단부 섹션(57)은 각 편향 요소(53)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55)에 배치되며 제2 단부 섹션(58)은 각 편향 요소(53)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56)에 배치된다. 2개의 단부 섹션들(57, 58)은 만곡된다.
도 8 내지 도 14는 편향 요소(53)의 상이한 실시형태들을 도시한다. 편향 요소들(53)은 각각 반경 방향 내측 단부(55) 및 반경 방향 외측 단부(56)를 갖는다. 반경 방향 내측 단부(55)는 제1 단부 섹션(57)을 가지며 반경 방향 외측 단부(56)는 제2 단부 섹션(58)을 갖는다. 편향 요소들(53)은 하향으로 향하는 곡률(만곡부)(curvature)(도 8 내지 도 12 참조) 또는 하향으로 향하는 굴곡부(bend)(도 13 및 도 14 참조)를 갖는다.
편향 요소들(53)은 분리기 휠(여기서는 미도시)의 회전축 X에 대해 배치되며, 편향 요소(53)와 회전축 X 사이의 간격이 여기서는 도시를 이유로 더 작게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은 특히 단부 섹션들(57, 58)의 구성에 있어서 다르다. 단부 섹션들(57, 58)은 둘 다 만곡될 수 있으며(도 8 내지 도 10 참조) 또는 둘 다 곧을 수 있으며(도 12 및 도 14 참조), 또한 곧은 및/또는 만곡된 단부 섹션들이 만곡된 중간 섹션을 가로질러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굴곡부들(bends)을 갖는 편향 요소들(53)을 도시한다.
각 편향 요소(53)의 제1 단부 섹션(57) 또는 그 접선 방향 연장부는(도 11 참조) 수평선 H에 대해 각도 γ로 배치된다. 각도 γ는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0°(도 8 참조)와 약 28°(예를 들면, 도 12 참조) 사이이다. 반경 방향 R에 대응하는 수평선 H는 회전축 X와 직각을 이룬다.
각 편향 요소(53)의 제2 단부 섹션(58) 또는 그 접선 방향 연장부는(도 8, 9, 11, 12 참조) 수평선 H에 대해 각도 α로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각도 α는 약 35°(예를 들면, 도 9 참조)와 약 65°(도 8 참조) 사이이다.
편향 요소(53)의 제1 단부 섹션(57)과 제2 단부 섹션(58) 또는 그 접선 방향 연장부들은 각도 β를 이룬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각도 β는 약 108°(도 12 참조)와 약 153°(도 10 참조) 사이이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각도들 α,β 및 γ은 합계가 180°이다. 도 10의 각도 γ를 제외하고는, 모든 각도들 α,β 및 γ은 하향으로 향한다.
도 15는 입자 크기들에 대해 플로팅된 요약 분포들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2개의 분리들의 분포들, 제1 분포 V1 및 제2 분포 V2가 도시된다. 제1 분포 V1은 점들에 의해 표시되며, 제2 분포 V2는 삼각형들에 의해 표시된다. 제1 분표 V1에서, 분리기는 환형 갭 없이 사용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분포 V2는 환형 갭을 갖는 분리기를 사용하는 분리의 결과를 보여준다.
동일한 출발 물질이 상기 2개의 분리들에서 사용되었다.
동일한 출발 물질에 대해, 덜 급격한 곡선보다 더 급격한 곡선이 더 긍정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기본적으로 생각된다. 분류 공정(sorting process)의 바라는 결과는 일반적으로 미세 물질이다. 분리 분쇄기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기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미세 물질이 제거되며 조대 물질이 분쇄기로 귀환되어 추가 분쇄 또는 다시 분쇄된다. 조대 물질에 도달한, 실제로 미세 물질에 속하는 입자들은 추가의 시간과 에너지가 들어가는데, 왜냐하면 이들은 한 번 더 분쇄기 사이클을 통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미세 물질에 도달한, 실제로 조대 물질에 속하는 입자들은 훨씬 더 파괴적인데, 왜냐하면 이들은 최종 생성물(미세 물질)의 퀄러티에 직접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출발 물질에 대해, 더 작은 미세한 입자들 분율을 갖는 소팅(sorting)이 긍정적이다. 제1 분포 V1에서, 2 ㎛ 미만의 입자들의 합은 0.344 이다. 환형 갭(제2 분포 V2)의 사용으로 인해, 이 분율은 약 10%만큼 0.312로 낮아질 수 있다. 특히 더 큰 입자 크기들의 영역에서(>3 ㎛), 제2 분포 V2는 더 급격한(steep) 것으로 발견되며 따라서 유리하다.
10 분리기
20 분리기 하우징
20' 원추형 분리기 하우징
21 입구
22 제1 출구
23 제2 출구
24 하우징 커버
24' 만곡 하우징 커버
25 깔때기
26 환형 공간
28 환형 갭
30 분리기 휠
32 분리 영역
34 상단 에지
36 분리기 커버
38 개구부
40 구동 장치
50 안내 날개 어셈블리
52 스월 브레이커
53 편향 요소
54 안내 날개
56 상단 에지
100 기체-고체 혼합물
101 제1 입자 유형 (미세)
102 제2 입자 유형 (조대)
B 환형 공간의 폭
F 중력
H 수평선
HL 안내 날개 어셈블리의 높이
HR 환형 갭의 높이
Q 입구 체적 흐름
Q1 제1 부분 체적 흐름
Q2 제2 부분 체적 흐름
R 반경 방향
V1 제1 분포
V2 제2 분포
X 회전축
α 각도
β 각도
γ 각도
δ 각도

Claims (19)

  1. 분리기 하우징(20), 분리기 하우징(20)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축(X)를 갖는 분리기 휠(30), 및 분리기 하우징(20) 내에 배치되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를 갖는 분리기(10)로서, 환형 공간(26)이 회전축(X)에 수직인 반경 방향(R)으로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와 분리기 하우징(20) 사이에 제공되는, 분리기에 있어서,
    주변 환형 갭(28)이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와 커버(24, 36)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환형 갭(28)은 높이(HR)를 가지며, 안내 날개 어셈블리(50) 및/또는 커버(24, 36)는 회전축(X)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따라서 높이(HR)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높이(HR)는 50 mm와 1000 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24, 36)는 하우징 커버(24) 또는 분리기 커버(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기 커버(36)는 분리기 휠(30)에 연결되며, 따라서 분리기 커버(36)는 분리기 휠(30)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형 공간(26)은 상단부를 향해 테이퍼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형 공간(26)은 폭(B)를 가지며, 비율 B:HR은 0.2와 5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는 높이(HL)를 가지며, 비율 HL:HR은 0.5와 1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는 다수의 수직 안내 날개들(54)을 가지며,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안내 날개들(5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편향 요소(53)가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하향으로 향하는 만곡부 또는 굴곡부(굽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편향 요소들(53)은 2개의 이웃하는 안내 날개들(54) 사이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편향 요소들(53) 중 적어도 하나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에서 분리 영역(32)으로 및/또는 환형 공간(26)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2. 제9항 내지 제11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향 요소들(53) 중 적어도 하나는 안내 날개 어셈블리(50)의 반경 방향(R)으로 적어도 부분 섹션에서 가변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는 적어도 하나의 스월 브레이커(5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4. 선행하는 항들 중 하나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통합된 분리기를 갖는, 밀, 특히 진자 밀.
  15. 다음의 단계들을 갖는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 입구 체적 흐름(Q)을 기체-고체 혼합물(100)로부터 분리기 휠(30), 안내 날개 어셈블리(50) 및 분리기 휠(30)과 안내 날개 어셈블리(50) 사이에 배치된 분리 영역(32)을 갖는 분리기(10) 내로 도입하는 단계;
    - 입구 체적 흐름(Q)을 제1 부분 체적 흐름(Q1)과 제2 부분 체적 흐름(Q2)으로 배분하는 단계;
    -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를 우회함에 의해 제1 부분 체적 흐름(Q1)을 분리 영역(32) 내로 도입하는 단계;
    - 안내 날개 어셈블리(50)를 통해 제2 부분 체적 흐름(Q2)을 분리 영역(32) 내로 도입하는 단계.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부분 체적 흐름(Q1)은 위에서 분리 영역(32) 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제1 부분 체적 흐름(Q1) 또는 제2 부분 체적 흐름(Q2)은 실질적으로 중력(F)의 방향으로 분리 영역(32) 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 체적 흐름(Q1)과 제2 부분 체적 흐름(Q2) 사이의 비율 Q1:Q2는 20:80와 80:2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부분 체적 흐름들(Q1, Q2)은 그들이 분리 영역(32)에서 각도(
    Figure pct00007
    )로 (여기서, 45˚<
    Figure pct00008
    <135˚) 서로 만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KR1020197013643A 2016-11-15 2017-11-02 분리기, 분리기 분쇄기 및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KR20190077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3741A KR20230146116A (ko) 2016-11-15 2017-11-02 분리기, 분리기 분쇄기 및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1925.8A DE102016121925A1 (de) 2016-11-15 2016-11-15 Sichter, Mühle und Verfahren zum Sichten eines Gas-Feststoff-Gemischs
DE102016121925.8 2016-11-15
PCT/EP2017/078061 WO2018091277A1 (de) 2016-11-15 2017-11-02 Sichter, mühle und verfahren zum sichten eines gas-feststoff-gemisch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741A Division KR20230146116A (ko) 2016-11-15 2017-11-02 분리기, 분리기 분쇄기 및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401A true KR20190077401A (ko) 2019-07-03

Family

ID=602020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741A KR20230146116A (ko) 2016-11-15 2017-11-02 분리기, 분리기 분쇄기 및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KR1020197013643A KR20190077401A (ko) 2016-11-15 2017-11-02 분리기, 분리기 분쇄기 및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741A KR20230146116A (ko) 2016-11-15 2017-11-02 분리기, 분리기 분쇄기 및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45838B2 (ko)
EP (1) EP3541534B1 (ko)
JP (2) JP7396896B2 (ko)
KR (2) KR20230146116A (ko)
CN (1) CN109952161B (ko)
BR (1) BR112019008923B1 (ko)
DE (1) DE102016121925A1 (ko)
ES (1) ES2866915T3 (ko)
WO (1) WO20180912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8713A (en) * 1956-08-14 Hardinge
EP0067895B1 (de) * 1981-06-19 1985-01-30 OMYA GmbH Zentrifugalkraftsichter
GB2163070A (en) * 1984-08-13 1986-02-19 Smidth & Co As F L Separator for sorting particulate material
JPS6150678A (ja) * 1984-08-18 1986-03-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分級器
GB2176134A (en) * 1985-06-03 1986-12-17 Smidth & Co As F L Separator for sorting particulate material
JPS6342747A (ja) * 1986-08-11 1988-02-23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竪型ミル
JPS63214383A (ja) * 1988-01-29 1988-09-07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分級装置
DE3808023A1 (de) * 1988-03-10 1989-09-21 Krupp Polysius Ag Sichter
JPH03275181A (ja) * 1990-03-27 1991-12-05 Nippon Steel Chem Co Ltd セパレータ
JP2617623B2 (ja) * 1991-01-21 1997-06-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ーラミル
DE4423815C2 (de) 1994-07-06 1996-09-26 Loesche Gmbh Mühlensichter
DK173698B1 (da) * 1993-04-27 2001-07-02 Smidth & Co As F L Separator til sortering af kornformet materiale
JPH0739772A (ja) * 1993-07-29 1995-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式分級器を内蔵したローラミル
AT401741B (de) * 1993-08-19 1996-11-25 Thaler Horst Dipl Ing Windsichter
DE9313930U1 (de) * 1993-09-15 1993-11-25 Kohlhaas & Kraus Ingenieurgese Einrichtungen zur Beeinflussung eines Kornspektrums in hochtourigen Sichtermühlen
DE29623150U1 (de) * 1996-10-04 1997-11-13 Schmidt & Co Gmbh & Co Kg Windsichter
DE19945646A1 (de) * 1999-09-23 2001-04-05 Krupp Polysius Ag Verfahren und Windsichter zum Klassieren von zerkleinertem Aufgabegut
DE19961837A1 (de) 1999-12-21 2001-06-28 Loesche Gmbh Mühlensichter
DE10022536A1 (de) 2000-05-09 2001-11-29 Loesche Gmbh Mühlensichter
GB2412888B (en) * 2004-04-08 2006-02-22 Jin-Hong Chang Grinding mill
US7118055B2 (en) * 2004-04-19 2006-10-10 Jin-Hong Chang Grinding mill
JP4550486B2 (ja) * 2004-05-13 2010-09-22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分級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竪型粉砕機、ならびにその竪型粉砕機を備えた石炭焚ボイラ装置
JP2008036567A (ja) * 2006-08-09 2008-02-21 Hosokawa Micron Corp 粉体処理装置及びトナー粒子の製造方法
TWI483787B (zh) 2007-09-27 2015-05-11 Mitsubishi Hitachi Power Sys A grading device and an upright pulverizing device having the classifying device and a coal fired boiler device
CN201220218Y (zh) * 2008-06-20 2009-04-15 Lv技术工程(天津)有限公司 具有带v形槽固定导向叶片的选粉机
CN201313069Y (zh) * 2008-11-27 2009-09-23 江苏牧羊集团有限公司 超微粉碎机的分级机构
JP2011104563A (ja) * 2009-11-20 2011-06-02 Mitsubishi Heavy Ind Ltd 竪型ローラミル
DE102011055762B4 (de) * 2011-11-28 2014-08-28 Maschinenfabrik Köpper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ichten von körnigem Gut und Mahlanlage
US8813967B2 (en) 2012-05-02 2014-08-26 Alstom Technology Ltd Adjustable mill classifier
DE102013101517A1 (de) 2013-02-15 2014-08-21 Thyssenkrupp Resource Technologies Gmbh Sicht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ichters
JP6150678B2 (ja) 2013-08-28 2017-06-21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注出栓
JP6342747B2 (ja) 2014-08-22 2018-06-13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制御装置
JP6415298B2 (ja) * 2014-12-16 2018-10-3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式分級機および竪型ミル
JP6426494B2 (ja) * 2015-02-17 2018-11-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粉粒体分離装置および粉粒体分離方法
CN104984911B (zh) * 2015-07-28 2017-12-01 江苏羚羊水泥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转子式选粉机
DE102016121927B3 (de) * 2016-11-15 2018-01-18 Neuman & Esser Gmbh Mahl- Und Sichtsysteme Sichter und Mühle mit einem Sichter
JP6631609B2 (ja) * 2017-09-26 2020-01-1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1277A1 (de) 2018-05-24
JP2022153641A (ja) 2022-10-12
US11045838B2 (en) 2021-06-29
US20190366385A1 (en) 2019-12-05
KR20230146116A (ko) 2023-10-18
BR112019008923A2 (pt) 2019-07-16
JP7396896B2 (ja) 2023-12-12
JP2019535515A (ja) 2019-12-12
BR112019008923B1 (pt) 2022-11-16
ES2866915T3 (es) 2021-10-20
EP3541534B1 (de) 2021-03-31
EP3541534A1 (de) 2019-09-25
DE102016121925A1 (de) 2018-05-17
CN109952161A (zh) 2019-06-28
CN109952161B (zh)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097B1 (ko) 분리기 및 분리기를 구비한 분쇄기
US4597537A (en) Vertical mill
EP0023320B1 (en) Air classifier
CN201168700Y (zh) 一种离心式气流分级器
US8453846B2 (en) Method for classifying a ground material-fluid mixture and mill classifier
US9211547B2 (en) Classifier
KR20120042895A (ko) 수직형 롤러 밀
CN107350162A (zh) 多产品多级分级机
CN107661818B (zh) 一种提高粉体颗粒分级精度的方法和颗粒分级器
JPH0852433A (ja) 粉砕分級装置
US11117167B2 (en) Separator
WO2012026422A1 (ja) 竪型ローラミル
CN107282447A (zh) 组合分选机
US9527112B2 (en) Dynamic separator for pulverulent materials
KR20190077401A (ko) 분리기, 분리기 분쇄기 및 기체-고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JPH0751629A (ja) 竪型ローラミルの分級装置
JPH08173909A (ja) 分級装置
CN115889195A (zh) 一种具有中置耦合转笼的多粒径分级装置及其分级方法
JPS5822274B2 (ja) 分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1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1004

Effective date: 2024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