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201A -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201A
KR20190075201A KR1020170176615A KR20170176615A KR20190075201A KR 20190075201 A KR20190075201 A KR 20190075201A KR 1020170176615 A KR1020170176615 A KR 1020170176615A KR 20170176615 A KR20170176615 A KR 20170176615A KR 20190075201 A KR20190075201 A KR 20190075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emperature sensor
timer
detected valu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666B1 (ko
Inventor
구본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666B1/ko
Priority to US15/959,949 priority patent/US10655554B2/en
Priority to DE102018109635.6A priority patent/DE102018109635A1/de
Priority to CN201810444551.5A priority patent/CN109944695B/zh
Publication of KR2019007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23Cooling wate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1Engin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14Ai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르면, 냉각수온 센서 및 흡기온도 센서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 구간에서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동작 여부를 진단하는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엔진; 상기 엔진의 오프 시간을 검출하는 엔진 오프 타이머; 상기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온도 센서; 상기 엔진의 냉각수의 온도을 검출하는 냉각수온 센서; 및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엔진 오프 시간,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 및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VEHICLE AND ENGINE OFF TIMER DIAGNOSIS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차량에 포함된 엔진 오프 타이머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동 버튼은 운전자가 전원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버튼의 누름 순서에 따라 시동버튼과 연결된 전자제어유닛(ECU)이 OFF->ACC->IG->OFF 또는 OFF->ACC->IG->START 등의 순서로 전원 이동 명령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OFF는 차량이 휴면 모드인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ACC는 엔진 시동은 걸리지 않고 배터리 전원이 차량 전장기기로 공급되는 액세서리 전원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IG는 이그니션(Ignition) 전원 상태를 의미하고, START는 시동 전원 온(ON)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4가지 분류는 배터리 전원의 온/오프에 관한 상태(OFF 및 ACC) 및 엔진의 온/오프에 관한 상태(IG 및 START)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증발기(Evaporator), 냉각수온 센서 및 흡기온도 센서에 대한 진단을 위해서 엔진이 오프된 시간을 고려한다. 엔진이 오프된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를 엔진 오프 타이머라고 한다.
그러나 엔진 오프 타이머가 동작하는 시간은 차량에 배터리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 OFF 상태를 포함하므로, 전자제어장치를 이용한 고장 진단이 불가능한 구간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에는 고장 진단이 불가능한 OFF 구간에서 발생한 엔진 오프 타이머의 측정 결과를 판단할 수 있는 진단방법이 없었다.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르면, 냉각수온 센서 및 흡기온도 센서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 구간에서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동작 여부를 진단하는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엔진; 상기 엔진의 오프 시간을 검출하는 엔진 오프 타이머; 상기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온도 센서; 상기 엔진의 냉각수의 온도을 검출하는 냉각수온 센서; 및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엔진 오프 시간,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 및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제1 검출값 및 상기 차량이 다시 키 온 되는 시점의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제2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검출값 및 상기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흡기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제1 검출값 및 상기 차량이 다시 온 되는 키 온 시점의 상기 흡기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제2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검출값 및 상기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검출하는 상기 엔진의 오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키 온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 및 상기 흡기수온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의 cooling start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cooling start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상기 제1 검출값을 기초로 warm-up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warm-up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상기 제1 검출값과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상기 제1 검출값과 상기 냉각온도 센서의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엔진 오프 시간의 정상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의 진단방법은, 엔진 오프 타이머가 엔진의 오프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수신하고; 상기 엔진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을 수신하고; 상기 엔진 오프 시간,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 및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제1 검출값 및 상기 차량이 다시 키 온 되는 시점의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제2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검출값 및 상기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흡기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제1 검출값 및 상기 차량이 다시 온 되는 키 온 시점의 상기 흡기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제2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검출값 및 상기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검출하는 상기 엔진의 오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이 키 온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 및 상기 흡기수온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의 cooling start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cooling start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상기 제1 검출값을 기초로 warm-up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warm-up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상기 제1 검출값과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상기 제1 검출값과 상기 냉각온도 센서의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 오프 시간의 정상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은 냉각수온 센서 및 흡기온도 센서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 구간에서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동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은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시동장치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예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뒷좌석에서 바라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종래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도이고, 도 6은 엔진 오프 타이머의 고장을 분류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엔진의 Cooling Start 사이클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엔진의 warm up 사이클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예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뒷좌석에서 바라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차량(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기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등을 포함하며, 차량(1), 즉 차륜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이하 엔진)을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7)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후좌우 도어에 설치된 사이드 윈도 글라스와, 필러와 필러 사이에 설치되되 개폐 불가능하게 설치된 쿼터 윈도 글라스, 후방 측에 설치된 리어 윈도 글라스, 전방 측에 설치된 프런트 윈도 글라스를 더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8) 등을 더 포함한다.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되어 있다.
차량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122) 상에 배치되고 냉각수 온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24)과, 오디오와 공기조화기의 조절판이 있는 센터 페시아(125) 등으로 이루어진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개시된 클러스터(123)는 내부에 디스플레이 등으로 마련되어, 엔진의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를 출력하는 출력부(도3의 8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123)는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센터 페시아(125)는 대시 보드(122) 중에서 운전석(121a)과 조수석(121b) 사이에 위치하고,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조정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을 갖는다.
센터 페이아(125)에는 송풍구, 시거잭, 내비게이션 장치(AVN)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터 페시아(125)는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출력부(8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조정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의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내비게이션(AVN)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센터 페이사(125)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또한,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차량(1)의 내부는 엔진(10)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50)을 포함한다.
차량(1)은 시동 버튼(50)에 동작 명령이 입력, 즉 키 온(Key ON)되면, 시동모터(미도시)가 동작되고, 시동모터는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10)을 구동시킨다.
차량(1)은 전자제어유닛(ECU)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는 시동 버튼(50)이 키 온 되면, 시동이 완료될 때까지 시동 모터와 점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시동 버튼(50)이 키 오프되면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램프와 시동 모터를 제외한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10)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엔진(10), 엔진(10)의 냉각수의 온도을 검출하는 냉각수온 센서(20), 엔진(1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흡기온도 센서(30), 엔진(10)의 온/오프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시동 버튼(50), 냉각수온 센서(20), 흡기온도 센서(30) 및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검출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60), 엔진(10)이 오프된 상태의 지속 시간을 검출하는 엔진 오프 타이머(70),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출력하는 출력부(80) 및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전술한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엔진(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대에 마련되어 냉각수온 센서(20) 및 흡입온도 센서(30)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10)은 시동 버튼(50)에 의해서 엔진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데, 개시된 차량(10)에서 엔진 온/오프는 배터리의 전력이 인가되어 전자제어장치 등이 온 되는 키 온 상태와 구분된다.
즉, 엔진 온 상태는 ACC 온 상태로 전환된 후, 운전자가 다시 시동 버튼(50)을 조작하여 엔진의 점화를 개시하는 상태이다. 이와 비교하여, 엔진 오프 상태는 엔진(10)의 점화가 꺼진 상태(IGN 오프)를 의미하므로, 엔진 오프 상태는 엔진(10)의 ACC 오프 뿐만 아니라 ACC 온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냉각수온 센서(20)는 엔진(10)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저항식 센서로서, 엔진(10)의 흡기 매니폴드의 냉각수 통로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수온 센서(20)는 바이메탈 또는 서미스터과 같이 수온계용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냉각수온 센서(20)는 검출된 냉각수의 온도를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제어부(100)는 냉각수온 센서(20)의 검출값을 이용하여 엔진(10)의 cooling start 상태(사이클) 및 warm-up 상태(사이클)의 만족여부를 판단하고, 엔진(10)의 냉간 시에는 적당한 냉각수를 공급한다.
여기서 엔진(10)의 cooling start 사이클은 엔진(10)의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주행을 위해서 엔진(1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warm-up 사이클은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전, 조건에 해당하는 냉각온도 센서(20)의 검출값의 신뢰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엔진(10) 상태를 의미하며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동작을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cooling start 사이클 및 warm-up 사이클을 모두 만족하면, 개시된 차량(1)은 엔진 오프 타이머(도 3의 70)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
흡기온도 센서(30)는 엔진(10)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저항으로서, 제어부(100)는 흡기온도 센서(30)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엔진(10)에 공급하는 연료 분사량을 결정한다.
한편, 흡기온도 센서(30)의 검출값은 전술한 cooling start 사이클 및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엔진 오프 타이머(70)는 엔진(10)이 오프되는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timer)로, 제어부(10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동작을 개시하며, 전류 소모가 작은 IC(Intergrated Chip)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시동 버튼(50)에 ACC 온 명령이 인가되어, 제어부(100)가 동작모드로 전환되면, 엔진 오프 타이머(70)는 제어부(100)로 측정 시간을 전달하고, 측정 시간을 리셋한다.
출력부(80)는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여러 구성을 포함하며,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 등에게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제어부(100)는 차량(1)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헤드 유닛에 해당하며, 차량(1)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전술한 냉각온도 센서(20) 및 흡기온도 센서(30)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00)의 판단과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저장부(60)는 냉각수온 센서(20), 흡기온도 센서(30) 및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검출값을 저장하고, 제어부(100) 및 기타 전자제어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이다.
저장부(6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는 제어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종래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전자는 시동버튼(50)을 통해 키 온 입력 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400).
여기서 키 온 입력 명령은 제어부(100) 및 차량(1)의 구성에 배터리 전력이 인가되는 ACC 온 또는 배터리 온 모두를 의미한다.
키 온 입력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00)는CPU 내부에서 측정되는 시간과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전달하는 시간을 비교한다(440).
한편, 운전자는 시동버튼(50)을 통해 키 오프 입력 명령을 인가할 수도 있다(410).
키 오프 입력 명령은 배터리의 전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 즉 ACC 오프 및 IGN 오프를 모두 의미한다. 이 중, 배터리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시간에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종래 차량은 제어부(100)를 일정 간격으로 동작 모드로 전환하였다.
즉, 엔진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20).
일 예로 미리 설정된 시간은 80분일 수 있으며, 각각의 주기적인 시간을 만족하면. 제어부(100)는 동작 모드, 즉 wake-up된다(430).
이후, 제어부(100)는CPU 내부에서 측정되는 시간과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전달하는 시간을 비교한다(440).
즉, 종래 일반적인 엔진 오프 타이머의 진단 로직은 주기적으로 제어부(100)에 배터리 전력을 인가하여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동작을 판단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개시된 차량(1)은 자발적으로 동작 모드로 전환될 필요가 없이 운전자의 키 온 입력명령이 인가되면, 키 오프 상태 동안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도이고, 도 6은 엔진 오프 타이머의 고장을 분류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개시된 차량(1)은 키 오프 상태에서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진단을 엔진(10) 냉각 여부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판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정상 여부 판단은 엔진의 cooling start 사이클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500), 엔진의 warm-up 사이클 진입여부를 판단한 후(600),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구체적으로 판단한다(700).
도 6은 도 5의 700의 과정에서 판단되는 결과를 제1 고장 및 제2 고장으로 분류한 그래프이며, X축은 시간을, Y축은 각 시점에 따라 냉각수온 센서(20) 또는 흡기온도 센서(30)가 검출하는 검출값의 온도 차이이다.
특히, X축 시간은 엔진 오프 타이머의 엔진 오프 시간을 측정하는 soaking time이며, 수 초에서 수 시간까지 다양할 수 있다.
엔진(10)이 오프 상태인 시간이 증가할수록 엔진(10)은 더욱 차갑게 냉각된다. 따라서 키 오프된 후 다음 키 온 시점에서 냉각수온 센서(20) 및 흡기온도 센서(30)의 검출값의 온도 차는 증가할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개시된 차량(1)은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상관관계는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비정상적인 작은 초기 시간으로 고정(stuck)되거나 혹은 타이머의 시간이 정상조건(200)보다 늦춰지는 제1 고장, 비정상적으로 큰 시간으로 고정되거나 혹은 타이머의 시간이 정상조건(200)보다 빨라지는 제2 고장 및 정상조건(200)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도 5의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구체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700는 제1고장 및 제2고장을 순서대로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전체적인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 판단 과정을 도 7 내지 도 11을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먼저 도 7은 엔진의 Cooling Start 사이클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ooling Start 사이클, 즉 엔진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차량(1)은 키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510).
개시된 차량(1)은 종래 엔진(10)의 키 오프 상태일 때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을 키 온 상태의 엔진(10) 상태의 검출값에서 유추한다.
제어부(100)는 키 온이 되는 시점의 냉각수온 센서(20)의 검출값을 냉각수온 센서(20)로부터 수신한다(520).
또한, 제어부(100)는 키 온 시점의 흡기온도 센서(30)의 검출값을 수신한다(530).
제어부(100)는 전달받은 냉각수온 센서(20)의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40).
일 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는 30도일 수 있다.
만약 냉각수온 센서(20)의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흡기온도 센서(30)의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50).
일 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는 30도일 수 있다.
만약 냉각수온 센서(20)의 검출값 또는 흡기온도 센서(30)의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개시된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점검은 진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냉각수온 센서(20)의 검출값 및 흡기온도 센서(30)의 검출값 모두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제어부(100)는 엔진(10)의 cooling start 사이클, 즉 엔진(10)이 안정 동작 상태라고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엔진(10)의 warm-up 사이클이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A).
도 8은 엔진의 warm up 사이클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엔진(10)이 계속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610).
먼저 엔진(10)이 정상적으로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610).
만약 엔진(10)이 동작 중이라면,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상태, 즉 엔진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모티링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620).
여기서 엔진 오프 상태는, 시동버튼(50)에 의해서 IGN 오프 또는 ACC 온 명령을 수신한 상태일 수 있다.
만약 엔진(10)이 오프 상태라면, 제어부(50)는 시동버튼(50)에 의해서 키 오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630).
여기서 키 오프 상태는, 배터리의 전력이 차량(1)의 구성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ACC 오프 상태이다.
만약 키 오프 상태라면, 제어부(100)는 냉각수온 센서(20)의 검출값(이하 냉각수온 센서의 제1 검출값) 및 흡기온도 센서(30)의 검출값(이하 흡기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수신한다(640).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 및 흡기온도 센서((30))의 제1 검출값은 모두 엔진(10)이 정상적으로 동작한 후 오프 명령이 인가되는 시점(이하 키 오프 시점)의 엔진 상태이다.
검출값(20, 30)을 수신하면,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동작 개시를 명령하여,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엔진 오프 상태에서 시간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엔진이 동작하는 중이 아니거나, 엔진(10)이 동작 중, 엔진 오프 상태로 전환되지 않거나, 키 오프 명령이 인가되지 않는다면, 개시된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 판단은 동작하지 않는다.
제어부(100)는 냉각수온 센서(20)가 전달하는 제1 검출값을 미리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warm-up 사이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660).
여기서 미리 설정된 온도는 80도일 수 있다.
만약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다시 엔진 온 상태가 되더라도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그러나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상태에서 엔진 온 상태로 변경될 때,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B).
도 9 내지 도 11은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키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710).
여기서 키 온 상태는, 엔진이 오프된 후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버튼(50)에 ACC 온의 입력 명령을 인가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키 온 상태를 만족한다는 것은, 전술한 cooling start 사이클과 warm-up 사이클을 모두 만족한 상황이다.
제어부(100)는 냉각수온 센서(20)로부터 키 온 상태가 입력된 시점의 냉각수의 온도의 검출값(이하 냉각수온의 제2 검출값)을 수신한다(711).
또한, 제어부(100)는 흡기온도 센서(30)로부터 키 온 상태가 입력된 시점의 엔진(10)의 흡기 온도의 검출값(이하 흡기온도의 제2 검출값)을 수신한다(712).
마지막으로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엔진이 오프된 상태동안 측정한 시간, 즉 엔진 오프 시간을 수신한다(713).
엔진 오프 타이머(70)는 제어부(100)로 엔진 오프 시간을 전달한 후 리셋된다.
제어부(100)는 수신한 냉각수온의 제2 검출값, 흡기온도의 제2 검출값 및 엔진 오프 시간과 warm-up 사이클에서 검출한 냉각수온의 제1 검출값을 기초로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C).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과 제2 검출값을 비교한다(720).
구체적으로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은 warm up 사이클에서 검출된 냉각수온 센서(20)의 검출값이고, 제 2 검출값은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엔진 오프 시간을 측정한 soaking 타임의 종료 시점에 검출된 검출값이다.
만약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과 냉각수온 센서(20)의 제2 검출값의 차이가 30도를 초과하면, 제어부(100)는 흡기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비교한다(721).
만약 제어부(100)는 흡기온도 센서(30)의 제1 검출값과 흡기온도 센서(30)의 제2 검출값의 차이가 20도를 초과하면, 엔진 오프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과 비교한다(722).
여기서 30도 및 20도는 미리 설정된 온도로, 전술한 다양한 설정값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과 냉각수온 센서(20)의 제2 검출값을 비교하는 것은, 흡기온도 센서(30)의 제1 검출값과 흡기온도 센서(30)의 제2 검출값을 비교한 후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과 냉각수온 센서(20)의 제2 검출값의 차이 또는 흡기온도 센서(30)의 제1 검출값과 흡기온도 센서(30)의 제2 검출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며,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725).
한편, 엔진 오프 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는 일 예는, 구체적으로 엔진 오프 시간이 60초를 초과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엔진 오프 시간이 60초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를 고장으로 판단한다(723).
또한,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진단을 완료했다고 판단한다(726).
여기서 고장 진단은 도 도 6에서 전술한 제1 고장에 해당한다.
제어부(100)는 출력부(80)를 통해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정상이 아니라는 경고를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진단이 고장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제2 고장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D).
한편, 엔진 오프 시간이 60초를 초과하면,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진단을 완료한다(724, 727).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전술한 60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진단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730).
만약 엔진 오프 타이머(70)가 도 10에서 전술한 진단이 완료(726 또는 727)되었다면, 제어부(100)는 도 11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진단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725), 즉 미진단이라면, 제어부(100)는 730 단계 이하의 과정을 진행한다.
먼저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로부터 수신한 엔진 오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731).
일 예로, 미리 설정된 시간은 6시간일 수 있다. 즉, 도 11의 과정은 도 5에서 전술한 제2 고장을 진단한다.
만약 엔진 오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진단 과정은 수행되지 않는다(736).
즉, 개시된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은 수행 조건이 갖춰지지 않는 것으로 진단의 결과가 고장 및 정상으로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엔진 오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제어부(100)는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과 제2 검출값을 비교한다(732).
만약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과 냉각수온 센서(20)의 제2 검출값의 차이가 30도 미만이 아니라면,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진단 과정은 수행되지 않는다(736).
그러나 만약 냉각수온 센서(20)의 제1 검출값과 냉각수온 센서(20)의 제2 검출값의 차이가 30도 미만이라면, 제어부(100)는 흡기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비교한다(733).
만약 제어부(100)는 흡기온도 센서(30)의 제1 검출값과 흡기온도 센서(30)의 제2 검출값의 차이가 20도를 미만이라면,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를 고장이라고 판단한다(734).
그러나 흡기온도 센서(30)의 제1 검출값과 흡기온도 센서(30)의 제2 검출값의 차이가 20도를 미만이 아니라면, 제어부(100)는 엔진 오프 타이머(70)를 정상이라고 판단한다(735).
제어부(100)는 출력부(80)를 제어하여 엔진 오프 타이머(70)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운전자 등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30도 및 20도 또한, 개시된 일 실시예일 뿐이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 차량 10: 엔진
20: 냉각수온 센서 30: 흡기온도 센서
50: 시동버튼 60: 저장부
70: 엔진 오프 타이머 80: 출력부
100: 제어부

Claims (18)

  1. 엔진;
    상기 엔진의 오프 시간을 검출하는 엔진 오프 타이머;
    상기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온도 센서;
    상기 엔진의 냉각수의 온도을 검출하는 냉각수온 센서; 및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엔진 오프 시간,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 및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제1 검출값 및 상기 차량이 다시 키 온 되는 시점의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제2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검출값 및 상기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흡기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제1 검출값 및 상기 차량이 다시 온 되는 키 온 시점의 상기 흡기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제2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검출값 및 상기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4. 제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검출하는 상기 엔진의 오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키 온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 및 상기 흡기수온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의 cooling start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cooling start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상기 제1 검출값을 기초로 warm-up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warm-up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상기 제1 검출값과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차량.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상기 제1 검출값과 상기 냉각온도 센서의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차량.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오프 시간의 정상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0. 엔진 오프 타이머가 엔진의 오프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수신하고;
    상기 엔진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을 수신하고;
    상기 엔진 오프 시간,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 및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제1 검출값 및 상기 차량이 다시 키 온 되는 시점의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제2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검출값 및 상기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흡기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제1 검출값 및 상기 차량이 다시 온 되는 키 온 시점의 상기 흡기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제2 검출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검출값 및 상기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전달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13. 제 11 내지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가 검출하는 상기 엔진의 오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이 키 온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검출값 및 상기 흡기수온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의 cooling start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cooling start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엔진이 동작 후 상기 차량이 키 오프 되는 시점에서 상기 냉각수온 센서가 검출하는 상기 제1 검출값을 기초로 warm-up 상태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warm-up 상태를 만족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상기 제1 검출값과 상기 냉각수온 센서의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것은,
    상기 흡기온도 센서의 상기 제1 검출값과 상기 냉각온도 센서의 제2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엔진 오프 타이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오프 시간의 정상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KR1020170176615A 2017-12-21 2017-12-21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KR10242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615A KR102420666B1 (ko) 2017-12-21 2017-12-21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US15/959,949 US10655554B2 (en) 2017-12-21 2018-04-23 Vehicle and engine-off timer diagnosis method thereof
DE102018109635.6A DE102018109635A1 (de) 2017-12-21 2018-04-23 Fahrzeug und motor-aus-timer-diagnoseverfahren davon
CN201810444551.5A CN109944695B (zh) 2017-12-21 2018-05-10 车辆及该车辆的发动机停机计时器诊断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615A KR102420666B1 (ko) 2017-12-21 2017-12-21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201A true KR20190075201A (ko) 2019-07-01
KR102420666B1 KR102420666B1 (ko) 2022-07-14

Family

ID=6676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615A KR102420666B1 (ko) 2017-12-21 2017-12-21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55554B2 (ko)
KR (1) KR102420666B1 (ko)
CN (1) CN109944695B (ko)
DE (1) DE102018109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067A1 (ja) * 2017-09-15 2019-03-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US20220189217A1 (en) * 2019-03-26 2022-06-16 Hitachi Astemo, Ltd.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Diagnosis Method of Electronic Control Device
CN110966104B (zh) * 2019-11-26 2021-03-0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系统停机时间的计算系统及方法
CN111042932B (zh) * 2019-12-13 2022-06-10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停机时间获取方法、装置及电子控制单元
JP7396263B2 (ja) * 2020-12-21 2023-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CN113266477B (zh) * 2021-06-25 2023-03-21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停机时间校验方法及装置
CN115788671B (zh) * 2022-12-30 2023-10-27 卓品智能科技无锡股份有限公司 基于模型的停机时间计算方法及传感器漂移故障检测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4702A (ja) * 2000-06-29 2002-01-18 Denso Corp 電子制御装置
JP2005301615A (ja) * 2004-04-09 2005-10-27 Denso Corp ソークタイマ付き電子制御装置
JP2009191743A (ja) * 2008-02-14 2009-08-27 Honda Motor Co Ltd 異常判定装置
JP2010025024A (ja) * 2008-07-22 2010-02-04 Toyota Motor Corp 温度センサの異常検出装置
JP2010180776A (ja) * 2009-02-05 2010-08-1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源制御装置
US20140365066A1 (en) * 2013-06-06 2014-12-11 Denso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unit having abnormality diagnostic function of soak time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741A (ja) * 1995-11-30 1997-06-10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過給圧制御装置
US6314797B1 (en) * 1999-08-30 2001-11-1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for very small leak detection
US6374847B1 (en) * 1999-08-30 2002-04-2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al cleansing routine
JP3811342B2 (ja) * 2000-10-12 2006-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4499961B2 (ja) * 2001-08-29 2010-07-14 ヤンマー株式会社 多気筒過給機関
US20070093952A1 (en) * 2005-07-11 2007-04-26 Wu Zhijian J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n Initial Internal Battery Temperature
KR100706422B1 (ko) * 2005-10-20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칫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나노복합 수지
US20070186573A1 (en) * 2006-02-16 2007-08-16 Ziehr Lawrence P Methods of and systems for dual drive HVAC compressor controls in automotive vehicles
JP4211848B2 (ja) * 2007-01-24 2009-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KR101013665B1 (ko) 2008-07-28 2011-02-1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장치
JP5103418B2 (ja) 2009-02-23 2012-12-1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DE102009001326A1 (de) * 2009-03-04 2010-09-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Kompressor zur Verdichtung der der Brennkraftmaschine zugeführten Luft
US9458812B2 (en) * 2009-09-02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minimizing fuel consumption
JP5560901B2 (ja) * 2010-05-24 2014-07-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警報音発生装置
US9316132B2 (en) * 2011-04-08 2016-04-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ngine oil levels
KR101832278B1 (ko) 2011-10-18 2018-02-2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엔진 오프 타이머의 진단 방법
JP5628142B2 (ja) 2011-12-15 2014-1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US9739243B2 (en) * 2012-02-10 2017-08-22 Ford Gloab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fuel vapor control
US9151215B2 (en) * 2012-10-01 2015-10-06 Fca Us Llc Artificial aspi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engine efficiency
US9151237B2 (en) * 2013-06-03 2015-10-06 Electro-Motive Diesel, Inc. Engine control system for mobile machine
US9175619B2 (en) * 2013-07-11 2015-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inferring start-up misfires due to the build-up of ice and melt water in the intake system of a vehicle engine
US10001088B2 (en) * 2016-02-04 2018-06-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vection heating assisted engine-off natural vacuum test
US10106142B2 (en) * 2016-02-11 2018-10-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monitor a temperature sensor
KR101776502B1 (ko) * 2016-05-26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KR102343955B1 (ko) * 2017-07-31 2021-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모드 제어 방법
US10378486B2 (en) * 2017-08-07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 vehicle fuel system and evaporative emissions control system
US10844762B2 (en) * 2017-10-24 2020-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variable position exhaust tuning valve diagnostics
US10145340B1 (en) * 2017-12-01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heating a vehicle intake manifold during stop/start events
US10634078B2 (en) * 2017-12-11 2020-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n exhaust aftertreatment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4702A (ja) * 2000-06-29 2002-01-18 Denso Corp 電子制御装置
JP2005301615A (ja) * 2004-04-09 2005-10-27 Denso Corp ソークタイマ付き電子制御装置
JP2009191743A (ja) * 2008-02-14 2009-08-27 Honda Motor Co Ltd 異常判定装置
JP2010025024A (ja) * 2008-07-22 2010-02-04 Toyota Motor Corp 温度センサの異常検出装置
JP2010180776A (ja) * 2009-02-05 2010-08-1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源制御装置
US20140365066A1 (en) * 2013-06-06 2014-12-11 Denso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unit having abnormality diagnostic function of soak ti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44695B (zh) 2021-10-08
US20190195157A1 (en) 2019-06-27
US10655554B2 (en) 2020-05-19
CN109944695A (zh) 2019-06-28
DE102018109635A1 (de) 2019-06-27
KR102420666B1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666B1 (ko)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US7860637B2 (en) Eco-ru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setting the same
JP5983189B2 (ja) 車両用エンジン自動停止装置
US8437908B2 (en) Battery monitor system attached to a vehicle wiring harness
US6629050B2 (en) Vehicle safety and security system
US20120029852A1 (en) Battery monitor system attached to a vehicle wiring harness
US20100174498A1 (en) Battery monitoring algorithms for vehicles
US10257730B1 (en) Status tests of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of vehicles
KR20190047779A (ko) 클라우드 서버,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101004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20090105927A1 (en)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having diagnosis function
US20220230483A1 (en) Vehicle diagnosis system
KR20180056091A (ko) 차량용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302708A1 (en) Auto calibration and auto reset of vehicle components
WO2001096146A1 (en) Voice-guided self-scanner for performing comparison analysis, diagnosis and preventive maintenance of vehicle using detected data of vehicle
JP599580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7079985B2 (ja) 電源制御装置
KR101619227B1 (ko) 차량용 미들 도어 또는 스텝의 고장 진단 방법
JP4502781B2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及びエンジン始動制御方法
KR102081227B1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52208A (ko) 서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5177079B2 (ja) 車載制御装置
JP4500215B2 (ja) 車両の始動判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遠隔制御装置
US113779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uster of vehicle
KR102044822B1 (ko) 디지털 클러스터를 이용한 부팅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