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949A -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949A
KR20190074949A KR1020180134328A KR20180134328A KR20190074949A KR 20190074949 A KR20190074949 A KR 20190074949A KR 1020180134328 A KR1020180134328 A KR 1020180134328A KR 20180134328 A KR20180134328 A KR 20180134328A KR 20190074949 A KR20190074949 A KR 2019007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sertion space
power
housing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873B1 (ko
Inventor
테츠타로 오사코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나 커넥터 장치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갖는 전원 커넥터에 계지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내부에 갖는 하우징과, 상대 하우징이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대 하우징에 형성한 상대 전원 단자와 접촉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접촉부를 갖는 전원 단자와, 삽입 공간에 대한 상대 하우징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전원 단자의 노출부보다도 삽입구에 가까운 측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규격화된 시험 손가락이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자 했을 때에 적어도 시험 손가락이 전원 단자의 노출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돌출된 규제 돌출부와, 삽입 공간에 형성되고, 상대 하우징이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대 하우징에 형성한 계지부가 계지될 수 있는 대응 계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전 부분인 전원 커넥터의 전원 단자로의 부주의한 접촉이나 감전을 회피하기 위한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갖는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56919호(특허문헌 1)에,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갖는 전원 커넥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원 커넥터 장치는, 수측(male) 커넥터와, 이것과 감합(mating) 가능한 암측(female) 커넥터의 조로 이루어진다.
수측 커넥터는, 이너 하우징 및 아우터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수측 커넥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에 형성한 수형(male) 단자 금구로 이루어진다. 한편, 암측 커넥터는, 암측 커넥터 하우징과, 이것에 형성한 암형(female) 단자 금구로 이루어진다.
수측 커넥터의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에는, 암측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통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에는, 시험 손가락의 과잉한 침입을 막는 규제 돌출부가 수용 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수측 커넥터의 아우터 하우징의 외부 상면에는, 암측 커넥터의 로크 아암이 계지(engage)되는 로크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측 커넥터의 로크 아암은,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암측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통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수측 커넥터와 암측 커넥터가 감합되었을 때, 수측 커넥터의 아우터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 암측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 수용 통부가 수용됨과 함께, 수측 커넥터의 아우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한 로크 돌출부에, 암측 커넥터의 단자 수용 통부의 외측에 형성한 로크 아암이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56919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원 커넥터 장치에서는, 계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수측 커넥터의 아우터 하우징의 외부에 로크 돌출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측 커넥터는 대형화되고, 이에 대응하여, 암측 커넥터도 대형화되어 버린다.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가, 오늘날, 더욱 요망되고 있어, 커넥터 구조의 개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커넥터나 커넥터 장치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갖는 전원 커넥터에 계지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내부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 공간에 노출시킨 상태로 형성한 노출부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공간과 연통(communicate)한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 하우징에 형성한 상대 전원 단자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갖는 전원 단자와, 상기 삽입 공간에 대한 상기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의 노출부보다도 상기 삽입구에 가까운 측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규격화된 시험 손가락이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자 했을 때에 적어도 상기 시험 손가락이 상기 전원 단자의 노출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돌출된 규제 돌출부와, 상기 삽입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 하우징에 형성한 계지부가 계지될 수 있는 대응 계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서 갖는다. 또한, 접촉부는 평판 형상이라도 좋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한 삽입 공간에 대응 계지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의 계지를, 하우징의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서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커넥터나 커넥터 장치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갖는 전원 커넥터에 계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서로 이웃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단자의 각각이 배치된 삽입 공간이 격벽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대전류가 흐를 우려가 있는 전원 단자끼리를 벽에 의해 구분함으로써, 연면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규제 돌출부는,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규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한 쌍의 규제 돌출부를 단면에 있어서 대향 배치함으로써, 시험 손가락이 규제 돌출부와 충돌할 가능성이 증가하여,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은, 상기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적어도 일부 중, 상기 계지부를 형성한 계지 부분이 주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 공간에 있어서의 제1 구획부와, 상기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적어도 일부 중, 상기 계지 부분 이외의 부분이 주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 공간에 있어서의 제2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방향과, 당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갖고, 상기 한 쌍의 규제 돌출부는, 각각,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삽입 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규제 돌출부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겹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규제 돌출부에 겹침을 형성함으로써, 시험 손가락 등의 삽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재(extend)하고,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한 쌍의 규제 돌출부의 어느 한쪽과 겹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한 쌍의 규제 돌출부와 전원 단자의 사이에 겹침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와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겹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는, 적어도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부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나 커넥터 장치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갖는 전원 커넥터에 계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기판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기판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적합한 실시 형태만을 나타내지만, 물론,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커넥터 장치(1)의 사시도, 도 2는 그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전원 커넥터 장치(1)는, 예를 들면, 케이블(2)이 고정되는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4)에 고정되는 기판 커넥터(60)의 조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이들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 커넥터(60)는, 도시 화살표 「α」 방향으로 서로 맞댐으로써 감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 커넥터(60)를 감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케이블 커넥터(30)는, 케이블(2)의 일단에 고정된 하우징(31)과, 하우징(31)에 고정된 전원 단자(40)를 구비한다. 전원 단자(40)는, 케이블(2)의 소정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31)은, 폭 방향(도시 화살표 「γ」)으로 길이를 갖는 대략 직방 형상의 본체(32)를 포함한다. 본체(32)의 1개의 측면에는, 케이블(2)이 고정된다. 케이블(2)을 고정한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에서는, 복수의 피(被)삽입부(33)가 삽입(감합) 방향 「α」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피삽입부(33)는 각각, 대략 직사각형 통 형상을 갖고 있고, 여기에서는, 폭 방향 「γ」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합계 3개의 피삽입부(33a 내지 33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피삽입부(33a 내지 33c)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 커넥터(60)의 감합 시에, 기판 커넥터(60)에 삽입된다.
피삽입부(33a 내지 33c) 각각의 1개의 측면에, 가이드 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 커넥터(60)를 감합시킬 때, 가이드 홈(38)을 기판 커넥터(60)의 대응 부분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 커넥터(60) 방향을 용이하게 정돈할 수 있다.
피삽입부(33a 내지 33c) 중 적어도 1개, 여기에서는 2개의 피삽입부(33a, 33b)의 각 측면에, 피삽입부(33a, 33b)의 일부로서 계지 부분(36a, 3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계지 부분(36a, 36b)은, 케이블 커넥터(30)와의 감합측(전측)으로부터 그의 반대측(후측)을 향하여, 삽입 방향 「α」를 따라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삽입 방향 「α」 및 하우징(31)의 폭 방향 「γ」의 쌍방으로 직교하는 높이 방향 「β」에 있어서, 피삽입부의 본체측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시 탄성 지지되고 있다.
각 계지 부분(36a, 36b)의 외벽, 예를 들면, 삽입 방향 「α」에 있어서의 후측 중간 위치에, 기판 커넥터(60)의 일부가 계지되는 계지 클로우(계지부)(36c)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 커넥터(60)의 감합 시에, 계지 부분(36a, 36b)은, 적어도 계지 클로우(36c)의 위치까지, 기판 커넥터(60)에 삽입된다. 이때, 계지 부분(36a, 36b)의 높이 방향 「β」에 있어서의 탄성을 이용하여, 계지 클로우(36c)가, 기판 커넥터(60)의 대응 부분(도 3의 오목부(69))에 계지될 수 있다. 계지 클로우(36c)는, 계지 부분(36a, 36b)의 자유 단측에 형성된 조작부(37)를 통하여, 하우징(31)의 본체(32)측을 향하여 압하된다. 조작부(37)를 통하여, 계지 클로우(36c)와 기판 커넥터(60)의 대응 부분의 계지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작부(37)는, 피삽입부(33a, 33b) 쌍방의 계지 클로우(36c)에 작용을 미치도록, 공통의 조작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37)는, 파괴되기 쉽기 때문에, 본체(32)로부터 상방으로 세워 설치시킨 보호벽(34)에 의해, 그 좌우의 측면측을 사이에 끼우도록 보호해도 좋다.
피삽입부(33a 내지 33c) 각각의 전면(前面)에,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 커넥터(60)를 감합시킬 때에, 기판 커넥터(60)에 형성한 전원 단자(도 3의 70)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 구멍(3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상부에는, 폭 방향 「γ」에 있어서 가이드 홈(38)과 서로 이웃하여, 피삽입부(33a 내지 33c)에 전원 단자(40)를 고정하기 위한 랜스 구멍(39b)이 형성되어 있다.
전원 단자(40)는, 1매의 금속판을 펀칭하고, 절곡 가공함으로써, 대략 직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단자(40)의 상판의 일부를 절곡함으로써, 접촉편(41)이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41)의 선단측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く」모양으로 절곡함으로써, 전원 단자와의 접점(4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의 일부에 구멍(42)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31)의 랜스(35)의 일부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판 커넥터(60)는, 하우징(61)과, 하우징(61)에 고정된 단자(70)를 구비한다. 하우징(61)은, 기판(4)의 1개의 면(4a)에 올려놓아지고, 또한, 하우징(61)에 형성한 돌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기판(4)에 형성한 구멍(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삽입함으로써 기판(4)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하우징(61)은, 대략 직방 형상의 본체(62)와, 그의 1개의 측면에 형성한 단부(63)를 갖는다. 하우징(61)의 내부에는, 케이블 커넥터(30)의 피삽입부(33a 내지 33c)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 공간(65a 내지 65c)이, 당해 삽입 공간(65a 내지 65c) 각각의 각 삽입구(64)와 연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 공간(65a 내지 65c)은, 하우징(61)의 폭 방향 「γ」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삽입 공간(65a 내지 65c)은, 격벽(73)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있다. 피삽입부(33a 내지 33c)는 각각, 각 삽입구(64)를 통하여, 삽입 공간(65a 내지 65c)에 각각 삽입 방향 「α」를 따라 삽발(insert and remove)될 수 있다.
피삽입부(33a, 33b)의 계지 부분(36a, 36b)에 각각 형성한 계지 클로우(36c)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삽입구(64)의 내연에, 각각, 대응 계지부인 오목부(69)(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피삽입부(33a, 33b)가 삽입구(64)를 통하여 삽입 공간(65a, 65b)에 삽입되었을 때, 피삽입부(33a, 33b)에 형성한 계지편(36c)이, 각각, 오목부(69)에 탄성 계지될 수 있다. 또한, 대응 계지부(69)는, 반드시 삽입구(64)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삽입 공간(65)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추가로 말하면, 하우징(61)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좋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한 삽입 공간에 대응 계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의 계지를, 하우징의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서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커넥터나 커넥터 장치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전원 커넥터에 계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계지 부분(36a, 36b)을 수용하기 위해, 삽입 공간(65a, 65b)은, 피삽입부(33a, 33b) 각각의, 주로 계지 부분(36a, 36b)이 삽입되는 제1 구획부(68a)와, 계지 부분(36) 이외의 부분이 주로 삽입되는 제2 구획부(68b)를 포함한다. 제1 구획부(68a)는, 주로 단부(63)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한편, 제2 구획부(68b)는, 주로 본체(6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삽입부(33c)에는, 계지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당해 피삽입부(33c)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65c)은, 제2 구획부(68b)만을 포함한다.
제1 구획부(68a)와 제2 구획부(68b)는 각각, 삽입 방향 「α」와 직교하는 단면 「β-γ」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고, 당해 단면에 있어서, 높이 방향 「β」와 폭 방향 「γ」를 갖는다. 제1 구획부(68a)와 제2 구획부(68b)는, 높이 방향 「β」를 따라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폭 방향 「γ」에 있어서 겹침을 갖는다.
하우징(61)의 각 삽입 공간(65a 내지 65c)에 전원 단자(70)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 단자(70)는, 하우징(31)의 돌출벽(67)에 의해 지지된 평판 형상의 지지부(72)와, 돌출벽(67)의 전측에 위치하는 노출부(71)와, 돌출벽(67)의 후측에 위치하는 실장부(73)를 포함한다. 노출부(71)는, 삽입구(64)의 측을 향하여 돌출시킨 상태로 배치되고, 각 삽입 공간(65a 내지 65c)에 있어서 노출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노출부(71)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 커넥터(60)를 감합시켰을 때에 케이블 커넥터(30)의 전원 단자(40)와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실장부(73)는, 기판(4)(도 1 참조)에 실장되는 부분으로서, 기판(4)에 대하여 납땜되어도 좋다.
전원 단자(70)는, 예를 들면, 그 전체가 평판 형상의, 즉, 삽입 방향 「α」 및 폭 방향 「γ」로 확장을 갖는 단자라도 좋지만, 노출부(71)에 포함되는 접촉부만이 평판 형상이라도 좋다. 전원 단자(70)는, 격벽(73)에 의해 서로 구분된 상태로, 폭 방향 「γ」를 따라 서로 이웃하여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전류가 흐를 우려가 있는 전원 단자끼리를, 격벽(73)에 의해 구분함으로써, 연면(沿面)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피삽입부(33)가 삽입구(64)를 통하여 삽입 공간(65)에 삽입될 때, 피삽입부(33a 내지 33c)의 가이드 홈(38)과, 삽입 공간(65)에 형성한 상측의 돌출부(66Aa, 66Ba)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 커넥터(60) 방향을 용이하게 정돈할 수 있다. 피삽입부(33)가 삽입 공간(65)에 삽입되었을 때, 각 전원 단자(70)는, 접촉편(41)에 의한 탄성 작용을 이용하여, 피삽입부(33)에 형성한 전원 단자(40)의 접점(41a)에 탄성 접촉할 수 있다. 이 결과, 케이블 커넥터(30)의 전원 단자(40)와, 기판 커넥터(60)의 전원 단자(70)는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도를 참조하여, 핑거 프로텍트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기판 커넥터(60)의 사시도, 도 5는 그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핑거 프로텍트 기능은, 규격화된 시험 손가락에 의해 평가된다. 규격으로서, 예를 들면, UL, TUV가 있다. 도 4는, 기판 커넥터(60)를 나타냄과 함께 시험 실시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시의 예는, 삽입 공간(65b)에 대한 시험 방법을 나타낸 것이지만, 삽입 공간(65a, 65c)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된다. 시험 시에는, 손가락으로 가정한 시험 손가락(5)을, 삽입 공간(65)에 소정의 힘으로 삽입하고자 시도했을 때에, 이 시험 손가락(5)이, 삽입 공간(65)의 내부에 형성한 전원 단자(70)의 노출부(7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평가한다. 접촉하지 않으면 기능은 충분하다고 평가되고, 접촉해 버린 경우에는 불충분하다고 평가된다.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삽입 공간(65)의 제2 구획부(68b)에, 복수의 규제 돌출부(66)(66Aa, 66Ab, 66Ba, 66Bb)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규제 돌출부(66)는 각각, 삽입 공간(65)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들 규제 돌출부(66)는, 삽입 공간(65)에 대한 피삽입부(33)의 삽입 방향 「α」에 있어서, 전원 단자(70)의 노출부(71)보다도 삽입구(64)에 가까운 측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구(64)에 규제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반드시 삽입구(64)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면, 삽입구(64) 이외의 삽입 공간(65)의 어느 위치에 형성하면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구획부(68a)보다도 큰 단면을 갖는 제2 구획부(68b)에, 규제 돌출부(66)를 형성하고 있지만, 반드시 제2 구획부(68b)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면, 제1 구획부(68a)에 형성해도 좋고, 또한, 제1 구획부(68a)와 제2 구획부(68b)의 쌍방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면, 규제 돌출부 이외의 부재, 예를 들면, 삽입 방향 「α」를 따라 삽입구(64)를 향하여 돌출하는 막대 형상 부재를 형성해도 좋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규제 돌출부(66) 및 삽입 공간(65)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점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삽입 공간(65)에는 2개의 타입이 존재한다. 즉, 삽입 공간(65a, 65b)과 같이, 계지 부분(36)을 수용하기 위해, 제1 구획부(68a)와 제2 구획부(68b)의 쌍방을 포함하는 타입(65A)과, 삽입 공간(65c)과 같이, 계지 부분(36)을 수용하지 않기 위해, 제1 구획부(68a)를 포함하지 않고, 제2 구획부(68b)만을 포함하는 타입(65B)이다. 이하, 필요에 따라서, 전자의 타입에 관련하는 부재에는, 「A」의 문자를 붙이고, 후자의 타입에 관련하는 부재에는, 「B」의 문자를 붙여 구별한다.
삽입 공간(65A)(65a, 65b)의 규제 돌출부에는, 삽입 방향 「α」와 직교하는 단면 「β-γ」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규제 돌출부(66Aa, 66Ab) 및, 한 쌍의 규제 돌출부(66Ba, 66Bb)가 포함된다. 이들 한 쌍의 규제 돌출부는, 각각, 서로 접근하도록, 규제 돌출부(66Aa)에 대해서는, 높이 방향 「β」에 있어서, 제1 구획부(68Aa)를 형성하는 상측 내벽(72Aa')이 아니라, 제2 구획부(68Ab)를 형성하는 상측 내벽(72Aa)으로부터 삽입 공간(65A)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규제 돌출부(66Ba)에 대해서는, 높이 방향 「β」에 있어서, 제2 구획부(68Ab)를 형성하는 상측 내벽(72Ba)으로부터 삽입 공간(65A)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한편, 규제 돌출부(66Ab, 66Ba)에 대해서는, 높이 방향 「β」에 있어서, 제2 구획부(68Ab)를 형성하는 저측 내벽(72Ab, 72Bb)으로부터 삽입 공간(65A)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규제 돌출부를 단면 「β-γ」에 있어서 대향 배치함으로써, 시험 손가락(5)이 규제 돌출부(66Aa, 66Ab)와 충돌할 가능성이 증가하여,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쌍의 규제 돌출부는 각각, 폭 방향 「γ」에 있어서 겹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돌출부(66Aa)와 규제 돌출부(66Ab) 및, 규제 돌출부(66Ba)와 규제 돌출부(66Bb)는, 각각, 폭 방향 「γ」에 있어서, 서로 겹침을 갖는다. 이러한 겹침을 형성함으로써, 시험 손가락 등의 삽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전원 단자(70)가, 폭 방향 「γ」로 연재하고 있는 경우, 당해 폭 방향 「γ」에 있어서, 전원 단자(70)는, 한 쌍의 규제 돌출부의 어느 한쪽과 겹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전원 단자(70)는, 폭 방향 「γ」에 있어서, 규제 돌출부(66Aa)와의 사이에, 겹침 「t1」을 갖고, 또한, 규제 돌출부(66Ab)와의 사이에, 겹침 「t2」를 갖는다. 이러한 겹침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핑거 프로텍트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제1 구획부(68a)는, 폭 방향 「γ」에 있어서, 제2 구획부(68b)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 단자(70)는, 삽입 공간(65)을 형성하는 좌우 각 측의 내벽(72Ac 및 72Ad, 또는, 72Bc 및 72Bd)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벽(67a, 67b)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이들 한 쌍의 돌출벽(67a, 67b)은, 규제 돌출부(66)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전원 단자(70)를 지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삽입 공간(65)의 강도를 높이는 기능도 갖는다.
도 7에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 형태는, 케이블(2)에 접속된 케이블 커넥터(30)와, 기판에 고정된 기판 커넥터(90)의 조합을 나타내고 있지만, 물론, 사용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케이블 커넥터(90)를 패널(7)에 고정해도 좋다. 패널(7)에는, 케이블 커넥터(90)의 선단측의 일부를 관통시키는 구멍(7a)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7a)의 좌우측부에 각각, 패널(7)을 케이스체 등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를 관통시키는 나사 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며, 물품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을 단순히 대표하는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상이한 실시 형태의 변형 및 수정이 전술의 교시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밝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 실시 형태 그리고 대체적인 실시 형태는, 첨부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설명하는 물품 및 방법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행할 수 있다.
1 : 전원 커넥터 장치
2 : 케이블
4 : 기판
5 : 시험 손가락
30 : 케이블 커넥터
31 : 하우징
33a 내지 33c : 피삽입부
36a, 36b : 계지 부분
36c : 계지 클로우(계지부)
40 : 전원 단자
60 : 패널 커넥터
61 : 하우징
65 : 삽입 공간(65A 65B)
66 : 규제 돌출부(66A 66B)
68a : 제1 구획부
68b : 제2 구획부
70 : 전원 단자

Claims (10)

  1.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내부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 공간에 노출시킨 상태로 형성한 노출부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공간과 연통(communicate)한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 하우징에 형성한 상대 전원 단자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갖는 전원 단자와,
    상기 삽입 공간에 대한 상기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의 노출부보다도 상기 삽입구에 가까운 측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규격화된 시험 손가락이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자 했을 때에 적어도 상기 시험 손가락이 상기 전원 단자의 노출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돌출된 규제 돌출부와,
    상기 삽입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 하우징에 형성한 계지부가 계지(engage)될 수 있는 대응 계지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서로 이웃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단자의 각각이 배치된 삽입 공간이 격벽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있는 전원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돌출부는,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규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은,
    상기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적어도 일부 중, 상기 계지부를 형성한 계지 부분이 주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 공간에 있어서의 제1 구획부와,
    상기 상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적어도 일부 중, 상기 계지 부분 이외의 부분이 주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 공간에 있어서의 제2 구획부를 포함하는 전원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방향과, 당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갖고,
    상기 한 쌍의 규제 돌출부는, 각각,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삽입 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규제 돌출부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겹침을 갖는 전원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재(extend)하고,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한 쌍의 규제 돌출부의 어느 한쪽과 겹침을 갖는 전원 커넥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와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겹침을 갖는 전원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는, 적어도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부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전원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평판 형상인 전원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전원 커넥터 및 상기 상대 커넥터로 구성되는 전원 커넥터 장치.
KR1020180134328A 2017-12-20 2018-11-05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KR102353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3751 2017-12-20
JP2017243751A JP6925952B2 (ja) 2017-12-20 2017-12-20 電源コネクタ及び電源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949A true KR20190074949A (ko) 2019-06-28
KR102353873B1 KR102353873B1 (ko) 2022-01-19

Family

ID=6681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328A KR102353873B1 (ko) 2017-12-20 2018-11-05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98077B2 (ko)
JP (1) JP6925952B2 (ko)
KR (1) KR102353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6804B2 (ja) * 2016-09-05 2020-04-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D931225S1 (en) * 2019-10-04 2021-09-21 Molex, Llc Connector
JP7177121B2 (ja) 2020-06-03 2022-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DE102021005717A1 (de) * 2020-11-30 2022-06-0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rster Verbinder, zweiter 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TWM619833U (zh) * 2021-04-28 2021-1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919A (ja) 2000-08-08 2002-02-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10076889A1 (en) * 2009-09-25 2011-03-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50017841A1 (en) * 2013-07-10 2015-01-15 Bellwether Electronic Corp. Plug and receptacle of power connector
JP2017123223A (ja) * 2016-01-05 2017-07-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17199497A (ja) * 2016-04-26 2017-11-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接触防止機構を備えた電源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る電源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040B1 (ko) * 2014-03-14 2020-05-26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고전압 수형 커넥터
JP6458996B2 (ja) * 2015-04-24 2019-01-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雄型コネクタ
JP6567988B2 (ja) * 2016-02-24 2019-08-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919A (ja) 2000-08-08 2002-02-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10076889A1 (en) * 2009-09-25 2011-03-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50017841A1 (en) * 2013-07-10 2015-01-15 Bellwether Electronic Corp. Plug and receptacle of power connector
JP2017123223A (ja) * 2016-01-05 2017-07-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17199497A (ja) * 2016-04-26 2017-11-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接触防止機構を備えた電源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る電源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873B1 (ko) 2022-01-19
US10498077B2 (en) 2019-12-03
US20190190197A1 (en) 2019-06-20
JP2019110086A (ja) 2019-07-04
JP6925952B2 (ja)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4949A (ko)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JP5534350B2 (ja) コネクタ装置
EP2020704A2 (en) Electric connector
CN107437680B (zh) 用于连接两个电气平面触头的连接笼
KR20170122112A (ko) 단자 접촉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전원 커넥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원 커넥터 장치
EP2700129B1 (en) Connector element having second contact securing means
US6955571B2 (en) Fuse connector and a terminal fitting for a connector
KR101532053B1 (ko) 커넥터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CN109792117B (zh) 连接器
US9293902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3899748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EP3460922B1 (en) Connector
KR20140063793A (ko) 커넥터 유닛
KR102402303B1 (ko) 커넥터
JP5692432B2 (ja) 外部接続が可能な電子回路ユニット
US11784431B2 (en) Connector with terminal fitting and lock arm
JP5569096B2 (ja) 外部接続が可能な電子回路ユニット
KR20130124533A (ko) 커넥터
US20220059962A1 (en) Connector
JP2004103349A (ja) コネクタ
JP2023085108A (ja) 中継端子の誤挿入検知構造
JP2022150213A (ja) 保護キャップ付端子
JP2022023658A (ja) コネクタ
JP200434912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