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05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053B1
KR101532053B1 KR1020147003850A KR20147003850A KR101532053B1 KR 101532053 B1 KR101532053 B1 KR 101532053B1 KR 1020147003850 A KR1020147003850 A KR 1020147003850A KR 20147003850 A KR20147003850 A KR 20147003850A KR 101532053 B1 KR101532053 B1 KR 101532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terminal accommodating
connector housing
accommod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030A (ko
Inventor
히데히코 이와사와
토오루 쿠로사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암형 커넥터 하우징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28, 28A)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 수용실(28, 28A)의 전면에는 수형 단자(4)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구(28a)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수용실(28, 28A)의 각각의 후면에는 전선 입출구(28b)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가 수용되지 않는 단자 수용실(28A)에는 수형 단자(4)가 오삽입되는 오삽입 허용가능 공간(40)을 둘러싸고 오삽입 허용가능 공간(40)을 차폐하는 제1 차폐 벽(40) 및, 전선 인출구(28b)를 차폐하기 위한 제2 차폐 벽(42)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최대 설정가능한 단자 수용 수 보다 적은 수의 단자 수용실을 사용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오일 환경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는 내오염성의 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 장치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 장치가 있다.
이러한 종래 커넥터 장치(100)는 수단자 커넥터(10) 및 암단자 커넥터(11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단자 커넥터(101)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실(103)을 갖고 있는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102), 및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102)에 고정된 복수의 수단자(104)를 포함하고 있다. 수단자(104)에서, 이들의 각 선단측은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실(103)에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다.
암단자 커넥터(110)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112)을 갖는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111) 및 각 단자 수용실(112)에 수용된 복수의 암단자(113)를 포함하고 있다. 각 단자 수용실(112)은 외벽(111a) 및 분할벽(111b)에 의해 각각 분할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112)의 전면에는 상대 단자(104)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구(114)가 설치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112)의 후면에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이 인출되는 전선 인출구(1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 삽입구(114)를 둘러싸는 외벽(111a)과 분할벽(111b)의 전면은 암단자 커넥터(110)가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102)에 끼워맞추어질 때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102)의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실(103)의 안쪽 벽(far wall, 102a)에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111)의 각 단자 삽입구(114)의 주위를 형성하는 외벽(111a)과 분할벽(111b)이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102)의 안쪽 벽(102a)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인접한 단자 수용실(112)은 단자 삽입구(114) 및 전면 갭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지 않는다. 또한,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111)의 각 전선 인출구(115)는 통상적으로 전선의 외부에 끼워맞추어진 고무 플러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자 수용실(112)은 오염물질의 단자 수용실(112)로의 오염 분산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차폐되어 있다.
커넥터 장치(100)에는 최대설정가능한 단자 수용실의 수보다 적은 수의 단자 수용실(112)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 단자 수용실(112)에 빈 캡이 끼워맞추어지거나 짧은 전선을 크림핑하는 더미 단자가 이러한 사용되지 않는 단자 수용실(112)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 단자 수용실(112)로의 오염물질의 침입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커넥터 장치(100) 내로의 오염물질의 확산이 방지된다.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111) 내로의 오염물질의 내부 확산은 단락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0-27507
그러나, 최대설정가능한 수 보다 적은 수의 단자 수용실을 사용하는 상태에서, 오염물질의 침임을 막기 위한 빈 갭의 끼워맞춤이나 더미 단자의 수용은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품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빈 갭등으로는, 전선 인출구(115)를 통한 오염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동안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111)과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102) 사이의 맞물림 갭을 통해 빈 단자 수용실(112) 내로 오염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빈 단자 수용실(112)에 침입한 오염물질은 단자 삽입구(114)에 용이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100) 내의 오염물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여기에서, 빈 단자 수용실(112)의 단자 삽입구(114)를 차폐하기 위해 차폐벽을 제공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그러나, 수단자(104)가 빈 단자 수용실(112) 내로 오삽입된다면, 수단자(104)는 차폐벽에 의해 변형등의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설정가능한 단자 수보다 적은 수의 단자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별개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미사용 단자 수용실로부터 오염물의 확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미사용된 단자 수용실에 상대 단자가 오삽입되어도 상대 단자에 변형등의 손상이 없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분할 벽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단자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 수용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각 단자 수용실의 하나의 면에는, 상대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다른 면에는 전선이 인출되는 전선 인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 수용실은 단자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 수용실 및 단자를 수용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수용실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제2 단자 수용실에는, 상기 상대 단자가 상기 제2 단자 수용실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삽입 허용 공간을 둘러싸는 제1 차폐벽, 및 상기 제1 차폐벽과 상기 전선 인출구 사이에 배열된 제2 차폐벽이 설치된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오염물질이 커넥터 하우징의 맞물림 갭을 통해 단자를 전혀 수용하지 않은 단자 수용실에 침입한다고 할지라도, 단자 삽입구 내로의 오염물 침입이 제1 차폐 벽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전선 인출구로부터 단자 수용실로의 오염물질 침입이 차단되어서, 오염물질이 단자 삽입구에 침입하지 않는다. 이상에 의해, 최대설정가능한 단자 수보다 적은 수의 단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별개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되지 않는 단자 수용실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오염물 확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 단자가 사용되지 않는 단자 수용실에 오삽입될지라도, 상대 단자의 삽입이 커넥터에 의해 허용되기 때문에, 상대 단자가 오삽입등에 의해 변형등의 손상을 받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예를 도시하고, 도 1(a)는 암단자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암단자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1(c)는 수단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예를 도시하고,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추어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3(a)는 수단자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수단자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4(a)는 암단자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암단자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추어진 상태의 중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비교를 위한 암단자 커넥터를 도시하고 도 6(a)는 제1 비교예의 암단자 커넥터의 중요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제2 비교예의 암단자 커넥터의 중요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6(c)는 제1 비교예의 암단자 커넥터에 실수로 삽입된 수단자를 도시하는, 중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장치(1)는 수단자 커넥터(2)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인 암단자 커넥터(22)로 구성되어 있다.
수단자 커넥터(2)는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 이러한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에 수용되는 복수의 수단자(4) 및 이러한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리어 홀더(5)를 포함하고 있다.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3)에는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실(6)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실(6)의 전면은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실(6)의 상면측의 내벽에는 커넥터 로크 홈(7)이 설치되어 있다.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8)이 2단 설치되어 있다. 각 단의 인접 단자 수용실(8)은 분할 벽(9)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은 최대 설정 단자수가 16이고, 하단에 10개의 단자 수용실(8)이, 상단에 6개의 단자 수용실(8, 8A)이 배열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8) 안에는, 탄성 변형가능한 랜스(10)가 챔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랜스(10)는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돌출포트(8a)는 단자 수용실(8, 8A)의 각 전면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각 단자 돌출구(8a)는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실(6)로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각 단자 수용실(8, 8A)의 후면에는 전선 인출구(8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에는 후면으로부터 보아 외주측의 전역역에 홀더 슬라이드홈(11)이 설치되어 있다.
수단자(4)는 상단의 좌우단의 최외부 단자 수용실(8A)을 제외하고 각 단자 수용실(8)에 수용되어 있다. 상단의 좌우단의 단자 수용실(8A)은 사용하지 않는 "빈" 챔버를 구성한다. 즉, 수단자 커넥터(2)는 수단자 커넥터(2)는 최대설정단자수용실의 수(16-핀)보다 작은 단자수요실을 사용하는 커넥터(14-핀)이다. 각 수단자(4)는 전선인출구(8b)를 통해 각 단자 수용실(8) 내에 삽입된다. 수단자(4)가 이들의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될 때, 각 랜스(10)는 수단자(4)에 탄성변형되고 맞물린다. 이로 인해, 수단자(4)는 전선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수단자(4)의 선단부는 단자 돌출구(8a)를 통해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실(6)에 각각 돌출되어 있다. 각 단자(4)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전선은 전선 인출구(8b)를 통해 외부로 각각 인출된다. 각 전선의 외부에는 고무 플러그(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전선 인출구(8b)는 이러한 고무 프러그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는 오염물질이 전선 인출구(8b)를 통해 단자 수용실(8)에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리어 홀더(5)는 실질상 사각형의 프레임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리어 홀더(5)는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의 후면으로부터 홀더 슬라이드홈(11)에 슬라이드 삽입된다. 리어 홀더(5)는 슬라이드 완료 위치에 있을 때, 로크 클로(5a)가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의 로킹홈(12)에 잠금되어 있다. 리어 홀더(5)는 슬라이딩 완료 위치에서 각 랜스(5)의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암단자 커넥터(22)는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 이러한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에 수용된 복수의 암단자(24) 및 이러한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에 슬라이딩 끼워맞추어진 리어 홀더(25)를 포함하고 있다.
암단자 커넥터(22)의 상면측에는 커넥터 로크 암(27)이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로크 암(27)에는 로킹 돌출부(27a) 및 누름 조작부(27b)가 설치되어 있다.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에는 상하 단에 복수의 단자 수용실(28, 28A)이 설치되어 있다. 각 단에는, 인접 단자 수용실(28, 28A)이 분할 벽(29)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은 최대수용단자수가 16이고, 하단에 10개의 단자 수용실(28)이, 상단에는 6개의 단자 수용실(28, 28A)이 배열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탄성 변형가능한 랜스(30)는 단자 수용실(28)에 돌출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각 랜스(30)는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28, 28A)의 전면에는, 상대 단자인 수단자(4)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구(28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단자 삽입구(28a)는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의 전면에 개방되어 있다. 단자 수용실(28, 28A)의 후면에는 전선 인출구(28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에는 후면으로부터 보아, 하우징(23)의 외주측의 전영역에 홀더 슬라이드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암단자(24)는 상단의 좌우측의 단자 수용실(28a)을 제외하고 각 단자 수용실(28)에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상단의 좌우측의 단자 수용실(28A)은 사용하지 않는 "빈" 챔버이다. 즉, 암단자 커넥터(22)는 최대설정단자수(16-핀) 보다 적은 수의 단자를 사용하는 커넥터(14-핀)이다. 각 암단자(24)는 각 전선인출구(28b)를 통해 단자 수용실(28)에 삽입되어 있다. 각 단자가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되면, 각 랜스(30)는 탄성 변형 복귀되어 단자 수용실에서 맞물린다. 이로 인해, 각 암단자(24)는 전선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각 암단자(24)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의 각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전선은 전선 인출구(28b)를 통해 인출된다. 이러한 전선의 외부에는 고무 플러그(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전선 인출구(28b)는 이러한 고무 플러그에 의해 밀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는 전선 인출구(28b)를 통해 단자 수용실(28)에 오염물질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어 홀더(25)는 실질상 사각형 프레임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리어 홀더(25)는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의 후면으로부터 홀더 슬라이드홈(31)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리어 홀더(25)가 슬라이딩 완료 위치에 있을 때, 로킹 클로(25a)는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의 로킹홈(32)에 잠금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완료 위치에서, 리어 홀더(25)는 각 랜스(30)의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빈 단자 수용실(28A)에는, 단자(4)의 삽입을 허용하는 오삽입 허용 공간(40)을 둘러싸도록 제1 차폐벽(41)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슬라이딩 벽(41)은 오삽입 허용 공간(40)의 내부를 차폐하고 있다. 이러한 빈 단자 수용실(28A)에는 제1 차폐벽(41)의 후측의 위치에 제2 차폐벽(42)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차폐벽(42)은 전선 인출구(28b)를 실질적으로 차폐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 예를 들어, 커넥터 장치(1)가 오일 환경에서 사용된다면, 오염물질은 커넥터 장치(1)에 침입하는 경향이 있다.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에서의 오염물질의 침임 경로로서는 도 5의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도시되지 않음)이 빈 단자 수용실(28A)로 인출되지 않는 전선 인출구(28b)로부터 뻗은 경로가 생각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로를 통해 침입한 오염물질이 제2 차폐 벽(42)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단자 수용실(28A)의 전방측에 침입할 수 없다. 대안의 침입 경로로서, 도 5의 화살표 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과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 사이의 맞물림 갭으로부터 빈 단자 수용실(28A)로 뻗은 경로가 생각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로를 통해 침입하는 오염물질은 제1 차폐벽(41)으로 인해 오삽입 허용 공간(40)에 침입할 수 없기 때문에, 오삽입 허용 공간(40)을 통해 단자 삽입구(28a)에 침입할 수 없다.
여기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의 전선 인출구(28b)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빈 단자 수용실(28A)의 내부를 단순히 분할하는 차폐벽(50)을 설치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도 6(a)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는 암단자 커넥터 하우징(23)의 맞물림 갭을 통해 침입한 오염물질이 빈 단자 수용실(28A)을 통해 단자 삽입구(28a)에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1)내에 오염물질이 분산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단자 수용실(28A)의 전면측을 차폐벽(51)으로 차폐하여 단자 삽입구(28a)를 닫는 것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그러나, 도 6(b)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빈 단자 수용실(28A)의 전면 근방까지 용이하게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침입할 수 있다. 이렇게 다량으로 침입한 오염물질은 차폐벽(51)과 수단자 커넥터 하우징(3)의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실(6)의 내벽 사이의 갭을 통해 커넥터 장치(1)내에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다.
최대설정가능한 단자수보다 적은 수의 단자가 사용되는 암단자 커넥터(22)에서, 종래예와 같은 임의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오염물질의 사용되지 않는 단자 수용실(28A)로부터의 침입에 기인하는 커넥터 장치(1)내로의 분산이 가능한 방지될 수 있다. 종래 장치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1) 또는 이러한 커넥터 장치(1)를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에 대하여 그 제조의 전체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단자 커넥터(2)로서, 최대설정단자수를 전부 사용하는 것(즉, 16개의 핀 커넥터)이 실수로 사용되는 경우가 상정되어 있다. 그러나, 도 5의 점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빈 단자 수용실(4)내에 오삽입되는 수단자(4)가 오삽입가능한 공간(40)으로 들어가지만 제1 차폐벽(41)에 맞닿지 않는다. 따라서, 오삽입된 수단자(4)는 변형등의 손상을 받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차폐벽(51)을 갖는 도 6(b)의 배열에서, 오삽입된 수단자(4)는 차폐벽(51)과의 충돌의 결과로서, 변형등과 같은 손상을 받게 된다. 대안으로, 차폐벽(50)을 갖는 도 6(a)의 배열에서, 오삽입된 수단자(4)는 차폐벽(51)과 맞닿을 것이고 그래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등의 손상을 갖게 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수단자(4)가 사용되지 않는 단자 수용실(28A)에 오삽입될지라도, 암단자 커넥터(22)에 의해 수단자(4)는 변형등의 손상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되지 않는 단자 수용실(28A) 내로 침입한 오염물질로부터 유발된, 커넥터 장치(1) 내로의 오염물질 분산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최대 16개 핀의 구조이지만 수단자 커넥터(2)와 암단자 커넥터(22)를 14개 (단자의 수) 핀에 대해 채용한 경우가 설명되어 있지만, 개시된 최대설정단자수 및 실제사용단자수는 단지 예일 뿐이고 임의의 수가 이러한 수들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산업 이용가능성
상기 기술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가 최대설정가능한 단자보다 적은 수의 단자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임의의 별개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미사용 단자 수용실을 통해 오염물질의 분산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대 단자가 미사용 단자 수용실에 오삽입되는 경우일지라도 상대 단자가 임의의 손상(예를 들어, 변형)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분할 벽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단자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 수용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각 단자 수용실의 하나의 면에는, 상대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다른 면에는, 전선이 인출되는 전선 인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 수용실은 단자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자 수용실 및 단자를 수용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수용실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제2 단자 수용실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대 단자가 상기 제2 단자 수용실에 오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삽입 허용 공간을 둘러싸는 제1 차폐벽,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차폐벽과 상기 전선 인출구 사이에 배열된 제2 차폐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7003850A 2011-08-08 2012-08-07 커넥터 KR101532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72850A JP5793366B2 (ja) 2011-08-08 2011-08-08 コネクタ
JPJP-P-2011-172850 2011-08-08
PCT/JP2012/005007 WO2013021624A1 (en) 2011-08-08 2012-08-07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030A KR20140036030A (ko) 2014-03-24
KR101532053B1 true KR101532053B1 (ko) 2015-06-26

Family

ID=4675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850A KR101532053B1 (ko) 2011-08-08 2012-08-07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12297B2 (ko)
JP (1) JP5793366B2 (ko)
KR (1) KR101532053B1 (ko)
CN (1) CN103733437B (ko)
WO (1) WO2013021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3366B2 (ja) * 2011-08-08 2015-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56521B2 (ja) * 2015-06-23 2019-08-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US10090614B2 (en) 2016-10-18 2018-10-02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aled snap-in locking cavity plugs
WO2018225503A1 (ja) * 2017-06-06 2018-12-1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7055293B2 (ja) 2018-03-13 2022-04-18 多摩川精機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965B1 (en) * 1999-12-06 2001-06-19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aled snap-in locking cavity plugs
JP2010027507A (ja) * 2008-07-23 2010-02-04 Yazaki Corp コネクタ構造
JP2010027317A (ja) * 2008-07-17 2010-02-04 Yazaki Corp コネクタ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1406A (en) * 1955-06-20 1959-04-07 Cannon Electric Co Moisture seal for connectors
US4984973A (en) * 1990-03-21 1991-01-15 Tecumseh Products Company Hermetic motor compressor unit having a hermetic terminal with electrically insulating anti-tracking cap
US5580282A (en) * 1994-01-14 1996-12-03 Emerson Electric Co. Sealable shaped connector block for a terminal assembly
JP3009122B2 (ja) * 1994-03-03 2000-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の防水栓
US5498166A (en) * 1994-06-30 1996-03-12 The Whitaker Corporation Interconnect system
GB9516722D0 (en) * 1995-08-15 1995-10-18 Amp Gmbh Multi port electrical device and harness therefore
JPH11354201A (ja) * 1998-06-10 1999-12-24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JP2000133368A (ja) * 1998-10-20 2000-05-12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とダミー栓の係止構造
JP3539673B2 (ja) 1999-04-27 2004-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ガタ防止構造
JP2001015213A (ja) * 1999-06-28 2001-01-19 Yazaki Corp 半嵌合検知コネクタ
US6431922B1 (en) * 2001-06-22 2002-08-1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bearing high voltage
JP2003264032A (ja) * 2002-03-07 2003-09-19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US6837744B2 (en) * 2002-03-13 2005-01-04 Hydro-Aire,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ircraft fuel pumps
US6986677B2 (en) * 2003-06-25 2006-01-17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Seal carrying electrical contact
US6913493B2 (en) * 2003-11-05 2005-07-05 Molex Incorporated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FR2866485A1 (fr) * 2004-02-12 2005-08-19 Framatome Connectors Int Partie de connecteur electrique etanche.
US7922530B2 (en) * 2005-04-11 2011-04-12 Fci Electrical connector grommet with axial and radial extending flange
JP4479585B2 (ja) * 2005-05-20 2010-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US7347704B2 (en) * 2006-03-01 2008-03-2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5160815B2 (ja) * 2007-06-07 2013-03-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ダミープラグ
JP4987624B2 (ja) * 2007-08-21 2012-07-25 矢崎総業株式会社 分割式コネクタ
JP5217458B2 (ja) * 2008-01-29 2013-06-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24454B2 (ja) * 2008-01-29 2012-04-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181722A (ja) * 2008-01-29 2009-08-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7530843B1 (en) * 2008-03-19 2009-05-12 Yazaki North America, Inc. Sealed electrical terminal
JP5203094B2 (ja) * 2008-04-03 2013-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パッキン構造
GB201007841D0 (en) * 2010-05-11 2010-06-23 Rms Ltd Underwater electrical connector
JP5793366B2 (ja) * 2011-08-08 2015-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965B1 (en) * 1999-12-06 2001-06-19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aled snap-in locking cavity plugs
JP2010027317A (ja) * 2008-07-17 2010-02-04 Yazaki Corp コネクタ構造
JP2010027507A (ja) * 2008-07-23 2010-02-04 Yazaki Corp コネクタ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94001A1 (en) 2014-07-10
JP2013037876A (ja) 2013-02-21
CN103733437B (zh) 2016-02-24
KR20140036030A (ko) 2014-03-24
CN103733437A (zh) 2014-04-16
US9112297B2 (en) 2015-08-18
WO2013021624A1 (en) 2013-02-14
JP5793366B2 (ja)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53B1 (ko) 커넥터
US7500875B2 (en) Contact housing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JP6099723B2 (ja) ロック封止を有するプラグ要素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CN109314337B (zh) 连接器
US20130330956A1 (en) Joint Connector
US20200136294A1 (en) Connector
KR20190074949A (ko)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US10177482B2 (en) Connector to prevent a male terminal from being damaged due to improper coupling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US20150017826A1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10008803B2 (en) Connector for a camera with reduced dimensions in a fitting direction
CN112600038B (zh) 连接器
US9065198B2 (en) Connector with foreign substance entrance preventing portion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6647737B2 (ja) コネクタ
US10910753B2 (en) Connector
JP2007311346A (ja) 電気的な差込接続のための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
JP7144293B2 (ja) コネクタ
CN109155483B (zh) 连接器
CN108232678B (zh) 用于电连接器端子腔的内壳体
KR20140063793A (ko) 커넥터 유닛
KR20150067423A (ko) 커넥터
JP2017033663A (ja) コネクタ
JP6534301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4082222A (ja) 外部接続が可能な電子回路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