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605A -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605A
KR20190073605A KR1020197017590A KR20197017590A KR20190073605A KR 20190073605 A KR20190073605 A KR 20190073605A KR 1020197017590 A KR1020197017590 A KR 1020197017590A KR 20197017590 A KR20197017590 A KR 20197017590A KR 20190073605 A KR20190073605 A KR 20190073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sotropic conductive
film
electronic component
conductive film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이치 사토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20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2571A/ko
Publication of KR2019007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3Surface mounted components, e.g. affixing before soldering, aligning means, spac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07Surface contacts, e.g. bu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21Insulating particles hav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66Trans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4Soldering or other types of metallurgic bon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6Lamination
    • H05K2203/066Transfer laminating of insulating material, e.g. resist as a whole layer, not as a patter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46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with encapsulating, e.g., pot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도전성 입자가 단층으로 균일하게 배치되고, 파인 피치의 접속에 대응할 수 있는 이방성 도전 필름은, 건조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중에 도전성 입자 (3) 가 분산되어 있는 입자 분산액 (1) 의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그 건조 도막 (6a) 에 그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의 건조 피막으로 피복된 피복 도전성 입자 (4) 가 단층으로 고착되어 있는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을 형성하고,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을 절연성 수지층 (8) 과 적층하여 제조한다.

Description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IC 칩 등의 전자 부품의 실장에 이방성 도전 필름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파인 피치의 접속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파인 피치의 회로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인접하는 회로 간의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과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하여, 필름의 2 축 연신을 이용하여 도전성 입자를 특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도전성 입자 간에 절연성 입자를 배치한 이방성 도전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9804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는, 2 축 연신 가능한 필름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도전성 입자를 복수 층으로 전면에 깔고, 여분의 도전성 입자를 스크레이퍼로 긁어내어 단층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도전성 입자에 데미지를 줄 우려가 있어, 공법적으로도 난이도가 높다. 또, 도전성 입자를 단층으로 배치함에 있어서, 도전성 입자에 균일한 입자 간격을 확보하는 것도 어려워, 파인 피치의 접속에 대응할 수 있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안정 생산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은, 도전성 입자가 단층으로 균일하게 배치되고, 파인 피치의 접속에 대응할 수 있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공업적으로 용이한 방법으로 안정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건조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희석액 중에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입자 분산액의 도포층을 건조시키면, 그 건조 도막 상에, 그 열가소성 수지의 피막으로 피복된 도전성 입자가 단층으로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고착되는 것, 이와 같은 수지 희석액의 건조막화를 이용함으로써, 도전성 입자가 단층이고, 도전성 입자의 입자 간 거리가 제어된 이방성 도전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건조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중에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입자 분산액의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그 건조 도막에 그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의 건조 피막으로 피복된 피복 도전성 입자가 단층으로 고착되어 있는 도전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고, 도전 입자 함유층을 절연성 수지층과 적층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전성 입자 함유층은, 규칙적인 패턴을 갖는 전사형 (型) 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의 건조 도막에, 그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의 건조 피막으로 피복된 피복 도전성 입자가 단층으로 고착되어 있는 도전성 입자 함유층과, 절연성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하여 제 1 전자 부품의 단자와 제 2 전자 부품의 단자를 이방성 도전 접속하는 접속 방법으로서,
제 2 전자 부품 상에, 상기 서술한 이방성 도전 필름을 임시 접착하고,
임시 접착한 이방성 도전 필름 상에 제 1 전자 부품을 임시 설치하고,
이어서, 제 1 전자 부품과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제 2 전자 부품을 가열 가압하는 접속 방법을 제공하며, 이 접속 방법에 의한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의 접속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전성 입자가 단층으로 균일한 입자 간 거리로 배치된 이방성 도전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 그 입자 간 거리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인 피치에 대응한 이방성 도전 필름을 공업적으로 안정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이방성 도전 필름은, 예를 들어, 접속해야 하는 도체 단자 간의 스페이스가 5 ㎛ ∼ 15 ㎛ 라는 파인 피치라 하더라도,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인접하는 단자 간의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전 입자의 배열을 패턴화시킴으로써, 파인 피치의 도체 단자 간의 전기적 접속을 보다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서는 보다 넓은 피치의 도체 단자 간의 전기적 접속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의 공정 설명도이다.
도 2 는, 비교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a 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시에 사용할 수 있는, 선상의 패턴을 갖는 전사형의 평면도이다.
도 3b 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시에 사용할 수 있는, 도상 (島狀) 의 패턴을 갖는 전사형의 평면도이다.
도 3c 는, 도 3a 및 도 3b 의 전사형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a 는, 전사형을 사용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의 공정 설명도이다.
도 4b 는, 전사형을 사용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의 공정 설명도이다.
도 4c 는, 전사형을 사용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의 공정 설명도이다.
도 4d 는, 전사형을 사용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의 공정 설명도이다.
도 4e 는, 전사형을 사용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의 공정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 A>>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의 공정 설명도이다. 이하에 공정별로 설명한다.
<입자 분산액의 조제 공정>
먼저,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먼저, 건조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중에, 도전성 입자 (3) 가 분산되어 있는 입자 분산액 (1) 을 조제한다.
여기서, 도전성 입자 (3) 로는, 예를 들어, 공지된 이방성 도전 필름에 사용되는 도전성 입자로 할 수 있고, 수지제의 코어에 니켈·금 등의 도금을 실시한 금속 피복 수지 입자, 니켈, 코발트, 금, 은, 구리, 팔라듐 등의 금속 입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 종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도전성 입자 (3) 의 크기로는, 금속 입자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입경 0.2 ∼ 5 ㎛ 의 구상 (球狀) 입자, 또는 두께 0.2 ∼ 0.4 ㎛ 이고 직경 1 ∼ 10 ㎛ 인 플레이크상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금속 피복 수지 입자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입경 1 ∼ 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10 ㎛ 의 구상, 플레이크상, 럭비볼 모양 등으로 할 수 있다.
입자 분산액 (1) 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 (3) 의 배합량은, 1 ∼ 20 wt% 가 바람직하다. 도전성 입자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파인 피치의 이방성 도전 접속에 대응한 이방성 도전 필름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반대로,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입자 포착률이 저하되어, 단자 간을 확실하게 접속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은 열가소성 수지와 용매를 함유한다.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팽윤, 용해 또는 현탁되어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용매의 건조에 의해 석출되어 피막을 형성하기 쉽고, 또, 도전성 입자 (3) 를 용이하게 피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는,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단자 간을 접속하는 경우의 도통성 확보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는 연화점이 50 ∼ 90 ℃ 이고, 단자 간 접속시의 가열에 의해 유동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EVA),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EVA 이다.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에 사용하는 용매로는,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의 도막의 건조에 의해 용이하게 그 건조 피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당해 열가소성 수지의 빈용매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톨루엔, MEK 등의 양용매와, 에탄올, IPA 등의 빈용매를 적절히 혼합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고형분 농도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의 입자 간 거리를 소정의 크기로 하기 위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에 있어서, 도전성 입자 (3) 가 열가소성 수지의 건조 피막 (6b) 으로 피복된 피복 도전성 입자 (4) 의 입자 간 거리 (L2) (도 1(c)) 는, 절연성 확보 면에서 0.5 ∼ 10 ㎛ 가 바람직하고, 1 ∼ 6 ㎛ 가 보다 바람직하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고형분 농도는, 0.1 ∼ 30 wt% 가 바람직하고, 2 ∼ 15 wt% 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에 있어서의 도전제 입자 (3) 의 농도의 관점에서 보면, 그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피복 도전성 입자 (4) 의 입자 간 거리 (L2) 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 (3) 의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피복 도전성 입자 (4) 의 입자 간 거리 (L2) 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입자 분산액 (1) 의 조제 방법으로는, 먼저, 열가소성 수지의 용액을 조제함과 함께, 열가소성 수지의 빈용매에 도전성 입자 (3) 를 분산시킨 분산액을 얻고, 그 분산액에 열가소성 수지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대하여, 먼저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을 얻고, 다음으로 이 희석액에 도전성 입자를 분산시키면, 도전성 입자가 응집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응집된 상태」란, 개개의 입자의 거리가 적당히 유지된 집합체를 가리키며, 본 발명은, 입자 각각이 비접촉이고 또한 거리가 형성된 군이 된 상태인 것을 포함한다. 또, 간단하게는, 용매에 도전성 입자를 분산시키고, 그 분산액에, 건조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배합하여 입자 분산액을 조제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술한 입자 분산액 (1) 을, PET 필름, PE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OPP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박리 기재 (5) 에 도포한다 (동 도면 (b)). 이 경우, 도포 방법은, 바 코터, 롤 코터 등을 사용하여, 도막의 두께 방향으로 피복 도전성 입자가 서로 겹치지 않고, 피복 도전성 입자가 단층이 되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의 도포량은, 건조, 막화 면에서, 도전성 입자 (3) 가 존재하는 부분의 도막의 두께 (L1) 로서, 1 ∼ 10 ㎛ 가 바람직하고, 1 ∼ 7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 분산액 (1) 을 박리 기재 (5) 에 도포했을 때, 입자 분산액 (1) 의 도막에, 다른 박리 필름을 라미네이트함으로써, 도막을 넓게 펴서, 입자의 피막이 원반상 등의 이방적인 형상이 됨으로써, 평면 방향으로의 도전성 입자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다른 박리 필름은, 도막을 넓게 편 후에는 박리할 수 있다.
<입자 분산액의 도막 건조 공정>
다음으로, 박리 기재 (5) 상의 입자 분산액 (1) 의 도막을 건조시킨다. 이것에 의해 박리 기재 (5) 상의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의 건조 도막 (6a) 에, 그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의 건조 피막 (6b) 으로 도전성 입자 (3) 가 피복된 피복 도전성 입자 (4) 가, 입자끼리가 도막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 단층으로 고착된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이 형성된다 (동 도면 (c)). 이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에 있어서는, 피복 도전성 입자 (4) 가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의 건조 도막 (6a) 상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그들의 입자 간 거리의 편차가 현저하게 억제된 것이 된다.
여기서, 입자 분산액 (1) 의 도막의 건조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보다 높고, 또한 용매의 비점 이하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박리 기재 (5) 상의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의 건조 도막 (6a) 에, 피복 도전성 입자 (4) 를 융착시킬 수 있고,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에 있어서의 피복 도전성 입자 (4) 의 균질한 분산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절연성 수지층의 적층 공정>
다음으로,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상에 절연성 수지층 (8) 을 적층함으로써,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과 절연성 수지층 (8) 이 적층되어 있는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 을 얻을 수 있다 (동 도면 (d)).
이 절연성 수지층 (8) 은, 공지된 이방성 도전 필름에서 사용되고 있는, 막 형성 수지, 경화 성분, 경화제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층 형성용 도료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또, 절연성 수지층 (8) 으로는, 점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복 도전성 입자의 피복물도 점착성 발현에 기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여시키는 데에는 용제나 친화성이 높은 모노머를 미량으로 잔존 내지는 혼합시키는 것 등을 하면 된다.
여기서, 막 형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페녹시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부타디엔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제막성 (製膜性), 가공성, 접속 신뢰성의 관점에서, 페녹시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화 성분으로는, 액상 에폭시 화합물, 아크릴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액상 에폭시 화합물로는,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 F 형 에폭시 화합물,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그들의 변성 에폭시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경화제로는, 폴리아민, 이미다졸 등의 열 또는 광 아니온계 경화제나 술포늄염 등의 열 또는 광 카티온계 경화제, 페놀계 경화제 등의 열 또는 광 잠재성 경화제를 들 수 있다.
또, 아크릴 모노머로는,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경화제 (열 또는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로는, 유기 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과 절연성 수지층 (8) 의 적층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미리 절연성 수지 필름을 제작해 두고, 그것을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에 라미네이트한다. 이 경우, 절연성 수지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ⅰ) 막 형성 수지, (ⅱ) 점착성을 발휘하는 경화 성분 및 (ⅲ) 경화 성분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층 형성용 도료를 사용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경화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 B>>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은, 도전성 입자 함유층을 규칙적인 패턴을 갖는 전사형, 예를 들어, 도 3a 또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사형 (30A, 30B) 을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입자 간 거리의 확보가 용이해지고, 또 입자 간 거리 피치를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a 는, 선상의 홈 (31) 이 형성되어 있는 전사형 (30A) 의 평면도이고, 도 3b 는, 정방형의 도상의 오목부 (32) 가 형성되어 있는 전사형 (30B) 의 평면도이다. 이들 전사형의 A-A 단면의 홈 (31) 또는 오목부 (32) 의 형상은,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형 (40) (전사형 3A 와 3B 를 합하여 전사형 (40) 이라고 한다) 의 편면에 예를 들어 폭 5 ∼ 200 ㎛ 이고 깊이 5 ∼ 40 ㎛ 인 사각형 형상 (이하 패임 (41) 이라고 한다) 이다. 이와 같은 전사형을 사용하여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공정을 거친다. 단면도를 베이스로 설명한다. 또한, 전사형의 형상은 임의로 설계할 수 있지만, 단락 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도전성 입자로부터 도전성 입자군을 구성하고, 그러한 도전성 입자군을 선상·도상·점상 등의, 불연속적인 독립된 패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형상은 직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턴 형상에 있어서의 최단 거리는, 피막 입자가 1 ∼ 2 개 존재할 수 있는 스페이스이면 된다. 피막 입자가 1 개 들어갈 정도의 스페이스에서는, 입자가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결락 영역의 출현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패턴을 사용하는 것은, 확실한 절연 영역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신뢰성의 향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 생산상의 관점에서도,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검사 그 자체가 실시하기 쉬워져, 불량 추출이 용이해짐으로써 품질 향상으로 이어지는 장점이 있다.
<입자 분산액의 조제 공정>
먼저,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도, 먼저, 건조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중에, 도전성 입자 (3) 가 분산되어 있는 입자 분산액 (1) 을 조제한다.
<전사형에 대한 입자 분산액의 도포 공정>
전사형 (40) 상에, 소정 두께의 입자 분산액 (1) 의 도막을 형성하고, 공지된 와이퍼로 전사형 (40) 의 표면 상의 입자 분산액 (1) 을 긁어낸다 (도 4a). 이것에 의해, 패임 (41) 중에 도전성 입자 (3) 가 분산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2) 이 충전된다. 패임 (41) 중에 유입되는 도전성 입자 (3) 의 수는, 도전성 입자 (3) 의 사이즈, 패임 (41) 의 폭이나 깊이, 입자 분산액 중의 도전성 입자 (3) 의 농도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적으로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 (3) 가 단층으로 충전되어, 도전성 입자군 (43) 이 구성된다.
<도전성 입자군 (43) 의 박리 필름에 대한 전사, 건조 공정>
다음으로, 전사형 (40) 의 패임 (41) 형성면에 박리 필름 (50) 을 올려놓고 가압하여 (도 4b), 피복 도전 입자군 (43) 을 박리 필름 (50) 상에 전사하고 (도 4c), 건조시킨다. 이것에 의해 박리 필름 (50) 상에, 도전성 입자 (3) 가 열가소성 수지 (44) 에 의해 고정된 선상 또는 도상의 피복 도전성 입자군 패턴 (45) 이 형성된다 (도 4d).
<절연성 수지층의 적층 공정>
다음으로, 피복 도전성 입자군 패턴 (45) 상에 절연성 수지층 (8) 을 적층하고, 박리 필름 (50) 을 제거함으로써, 피복 도전성 입자군 패턴 (45) 과 절연성 수지층 (8) 이 적층되어 있는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46) 을 얻을 수 있다 (도 4e).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 C>>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은 더욱 다양한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의 형성에 있어서, 미리 절연성 수지층 (8) 을 형성해 두고, 그 절연성 수지층 (8) 상에 입자 분산액 (1) 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을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박리 기재 (5) 를 사용하지 않고,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과 절연성 수지층 (8) 이 적층된 이방성 도전 필름 (10) 을 얻을 수 있다.
이 외에,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을 형성한 후, 절연성 수지층 형성용 도료를, 도전성 입자 함유층 (7) 에 직접 도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이방성 도전 필름 (10) 을 제조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한 이방성 도전 접속 그리고 접속체>>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은, 제 1 전자 부품 (예를 들어, IC 칩, IC 모듈 등의 실장 부품) 과, 제 2 전자 부품 (예를 들어, 플렉시블 기판, 유리 기판 등의 기판류) 을 이방성 도전 접속할 때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전자 부품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임시 접착하고, 제 2 전자 부품 상에 임시 접착한 이방성 도전 필름 상에 제 1 전자 부품을 임시 설치하고, 이어서, 제 1 전자 부품과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제 2 전자 부품을 가열 가압 혹은 광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압을 제 1 전자 부품의 위에서부터 실시하거나, 혹은 광 조사를 제 2 전자 부품의 아래에서부터 실시한다. 이들 가열 가압과 광 조사는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지만, 가열 가압 개시 후, 늦게 광 조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하는 접속 방법이나, 이 접속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의 접속체도 본 발명은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 ∼ 5, 비교예 1, 2
(1) 입자 분산액의 조제
도전성 입자로서, 평균 입자경 4 ㎛ 의 수지 코어 NiAu 도금 입자 (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AUL704) 를 사용하여, 이 도전성 입자 1.5 g 을 에탄올 50 ㎖ 에 분산시켰다. 한편, 건조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EVA)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에버테이트, 형번 : D2045, 비캣 연화 온도 83 ℃) 를 사용하여, EVA 의 톨루엔 용액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종류의 고형분 농도로 조제하고 (2 wt%, 8 wt%, 15 wt%), 이 EVA 의 톨루엔 용액 5 ㎖ 를, 상기 서술한 도전성 입자의 분산액에 적하하면서 초음파 호모게나이저로 10 분간 분산시켜, 입자 분산액을 얻었다.
(2) 도전성 입자 함유층의 형성
(1) 에서 얻은 입자 분산액을, PET 필름에 바 코터로, 표 1 에 나타내는 도막의 두께 (건조 전) (L1) (도 1(b) 참조) 로 도포하고, 100 ℃ 에서 3 분간 열풍 건조시켜, 도전성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건조 후 도전성 입자 함유층에 있어서의, EVA 로 피복된 도전성 입자의 입자 간 거리 (L2) (도 1(c) 참조) 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건조 전 입자 분산액의 도막의 두께 (L1) 와, 건조 후 입자 간 거리 (L2) 는, 금속 현미경 (배율 × 100) 을 사용하여, 가로 세로 100 ㎛ 의 임의의 영역 내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 (N = 20) 에 대해서 도막의 두께 (L1) 와 입자 간 거리 (L2) 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하였다.
(3)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작
표 1 에 나타내는 절연성 수지층의 원료 성분을 혼합하여, 그것을 PET 필름에 바 코터로 도포하고, 70 ℃ 에서 5 분 열풍 건조시켜 절연성 수지 필름을 제작하고, 이 절연성 수지 필름을 상기 서술한 도전성 입자 함유층에 라미네이터 (롤 표면 온도 45 ℃) 로 라미네이트하여, PET 필름 상에, 층두께 (L3) (도 1(d) 참조) 가 20 ㎛ 인 이방성 도전 필름 (10) 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 5).
한편, 표 1 에 나타내는 절연성 수지층의 원료 성분의 혼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실시예와 동일한 도전성 입자 20 질량부를 사용하고, 일본 특허 제4789738호에 기재된 2 축 연신법에 준하여, 도전성 입자를 단층으로 배치한, 층두께 20 ㎛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또, 표 1 에 나타내는 절연성 수지층의 원료 성분의 혼합물 100 질량부에, 실시예와 동일한 도전성 입자 20 질량부를 첨가한 것을 조제하여, 이것을 PET 필름에 바 코터로 도포하고, 70 ℃ 에서 5 분 열풍 건조시켜, 층두께 20 ㎛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 의 이방성 도전 필름에서는, PET 필름 (5) 상의 절연성 수지층 (8) 에 도전성 입자 (3) 가 랜덤하게 복수 층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그 층두께 (L3) 가 20 ㎛ 이다.
실시예 6 ∼ 11
(1) 입자 분산액의 조제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것과 동일한 입자 분산액을 조제하였다.
(2) 피복 도전성 입자군 패턴의 형성
(1) 에서 얻은 입자 분산액을, 깊이 10 ㎛ 이고 표 1 에 나타내는 패턴 폭 (홈 폭 또는 오목부 폭) 을 갖는 도 3a (실시예 6 ∼ 8) 또는 도 3 의 전사형에 바 코터로, 표 1 에 나타내는 도막의 두께 (건조 전) (L1) (도 1(b) 참조) 가 되도록 도포하고, 또한, 홈 또는 오목부에 들어가지 않았던 입자 분산액을 와이퍼로 제거한 후, 박리 PET 필름에 홈 또는 오목부에 충전된 입자 분산액을 전사하였다. 이것을 100 ℃ 에서 3 분간 열풍 건조시켜, 피복 도전성 입자군 패턴을 형성하였다. 건조 후 피복 도전성 입자군에 있어서의, EVA 로 피복된 도전성 입자의 입자 간 거리 (L2) (도 1(c) 참조) 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건조 전 입자 분산액의 도막의 두께 (L1) 와, 건조 후 입자 간 거리 (L2) 는, 금속 현미경 (배율 × 100) 을 사용하여, 가로 세로 100 ㎛ 의 임의의 영역 내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 (N = 20) 에 대해서 도막의 두께 (L1) 와 입자 간 거리 (L2) 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하였다.
(3)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작
표 1 에 나타내는 절연성 수지층의 원료 성분을 혼합하여, 그것을 PET 필름에 바 코터로 도포하고, 70 ℃ 에서 5 분 열풍 건조시켜 절연성 수지 필름을 제작하고, 이 절연성 수지 필름을 상기 서술한 피복 도전성 입자군 패턴에 라미네이터 (롤 표면 온도 45 ℃) 로 라미네이트하여, PET 필름 상에, 층두께 (L3) (도 1(d) 참조) 가 20 ㎛ 인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6 ∼ 11).
<<이방성 도전 필름의 특성 평가>>
(가) 쇼트 발생률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이방성 도전 필름을 각각 35 ㎜ × 20 ㎜ 로 커트하여, ITO 유리 (t = 0.7 ㎜) 에 첩부하고, 얼라인먼트 실장 설비로, IC (1.5 ㎜ × 13 ㎜, t = 0.5 ㎜, Au-도금 범프 25 ㎛ × 140 ㎛, h = 15 ㎛, 범프 간 스페이스 7.5 ㎛) 를 압착하였다 (압착 조건 : 180 ℃, 70 Mpa 5 초, 완충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t = 50 ㎛).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접속체를, 85 ℃, 85 % RH 로 250 시간 보관하여, 보관 전후의 쇼트의 발생률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용상, 1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쇼트 발생률은,「쇼트의 발생수/7.5 ㎛ 스페이스 총수」로 산출된다.
(나) 도통 저항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이방성 도전 필름을 각각 35 ㎜ × 24 ㎜ 로 커트하여, ITO 유리 (t = 0.7 ㎜) 에 첩부하고, 얼라인먼트 실장 설비로, IC (1.8 ㎜ × 20 ㎜, t = 0.5 ㎜, Au-도금 범프 30 ㎛ × 85 ㎛, h = 15 ㎛) 를 압착하였다 (압착 조건 : 180 ℃, 70 Mpa 5 초, 완충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t = 50 ㎛).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접속체를, 85 ℃, 85 % RH 로 250 시간 보관하여, 보관 전후의 도통 저항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용상, 10 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통 저항은, IC 의 범프와 패널 전극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표 1 로부터, 실시예 1 ∼ 11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이, 2 축 연신법에 의해 도전성 입자를 단층으로 배치한 비교예 1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이나, 도전성 입자가 랜덤하게 복수 층으로 분산되어 있는 비교예 2 의 이방성 도전 필름과 동일하게 도통 저항이 낮고, 또한, 이들보다 쇼트의 발생률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은, 입자 간 거리의 편차가 적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쇼트 발생률을 저감시키면서, 낮은 도통 저항을 얻을 수 있다.
또, 실시예 1 ∼ 3 의 결과로부터, EVA 의 고형분 농도를 변경함으로써, 도전성 입자 간의 입자 간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2, 4, 5 의 결과로부터, 절연성 수지의 경화계가 라디칼계, 아니온계, 카티온계인 것에 관계없이, 쇼트 발생률과 도통 저항에 대해서 동일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 ∼ 11 의 결과로부터, 이방성 도전 필름 제조시에 선상 패턴 또는 도상 패턴의 전사형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쇼트 발생률과 도통 저항에 대해서 동일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패턴 폭이 넓어지면 도통 저항값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방성 도전 필름 제조시에 선상 패턴 또는 도상 패턴의 전사형을 사용하면, 전사형을 사용하지 않는 실시예 2 의 경우에 비해, L1 과 L2 가 약간 증대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압력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1 : 입자 분산액
2 : 열가소성 수지 희석액
3 : 도전성 입자
4 : 피복 도전성 입자
5 : 박리 기재 또는 PET 필름
6a : 박리 기재 상의 열가소성 수지의 건조 도막
6b : 도전성 입자를 피복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건조 피막
7 : 도전성 입자 함유층
8 : 절연성 수지층
10, 46 : 이방성 도전 필름
30A, 30B, 40 : 전사형
31 : 홈
32 : 오목부
41 : 패임
43 : 도전성 입자군
44 : 열가소성 수지
45 : 피복 도전성 입자군 패턴
50 : 박리 필름

Claims (8)

  1. 복수의 도전성 입자로 형성된 규칙적인 패턴의 도전성 입자군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여, 절연성 수지층에 단층으로 유지되어 있는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서,
    임의의 도전성 입자군은 다른 도전성 입자군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그 도전성 입자군 내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는 서로 이간되어 있고,
    그 도전성 입자군 내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의 입자 간 거리가 0.5 ~ 10 ㎛ 인 이방성 도전 필름.
  2. 복수의 도전성 입자로 형성된 규칙적인 패턴의 도전성 입자군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여, 절연성 수지층에 단층으로 유지되어 있는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서,
    임의의 도전성 입자군은 다른 도전성 입자군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이 50 ~ 90 ℃ 이고,
    그 도전성 입자군 내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의 입자 간 거리가 0.5 ~ 10 ㎛ 인 이방성 도전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전성 입자군이 단층으로 유지되어 있는 절연성 수지층에, 다른 절연성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이방성 도전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그 도전성 입자군이 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당해 사각형 형상의 폭이 5 ~ 200 ㎛ 인 이방성 도전 필름.
  5. 제 1 전자 부품의 단자와 제 2 전자 부품의 단자를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하여 이방성 도전 접속하는 접속 방법으로서,
    제 2 전자 부품 상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을 임시 접착하고,
    제 2 전자 부품 상에 임시 접착한 이방성 도전 필름 상에 제 1 전자 부품을 임시 설치하고,
    이어서, 제 1 전자 부품과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제 2 전자 부품을 가열 가압하는 접속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전자 부품이 실장 부품이고, 제 2 전자 부품이 기판류이고, 제 1 전자 부품과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제 2 전자 부품의 가열 가압을, 제 1 전자 부품의 위에서부터 가열 툴로 실시하는 접속 방법.
  7. 제 1 전자 부품의 단자와 제 2 전자 부품의 단자 간이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이방성 도전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접속체로서,
    그 이방성 도전 필름이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체.
  8. 제 1 전자 부품의 단자와 제 2 전자 부품의 단자 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이방성 도전 접속함으로써 접속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그 이방성 도전 필름이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체의 제조 방법.
KR1020197017590A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3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0176A KR20210082571A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8608 2012-08-29
JP2012188608 2012-08-29
PCT/JP2013/073053 WO2014034741A1 (ja) 2012-08-29 2013-08-28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207A Division KR20180049207A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176A Division KR20210082571A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605A true KR20190073605A (ko) 2019-06-26

Family

ID=5018354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239A KR101843226B1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77018236A KR20170081295A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17020176A KR20210082571A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87012207A KR20180049207A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97017590A KR20190073605A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239A KR101843226B1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77018236A KR20170081295A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17020176A KR20210082571A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87012207A KR20180049207A (ko) 2012-08-29 2013-08-28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12837B2 (ko)
JP (4) JP6024623B2 (ko)
KR (5) KR101843226B1 (ko)
CN (2) CN107189562B (ko)
HK (1) HK1205365A1 (ko)
TW (3) TWI604467B (ko)
WO (1) WO2014034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226B1 (ko) * 2012-08-29 2018-03-28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US11195813B2 (en) * 2014-02-04 2021-12-07 Dexerials Corporatio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TWI739287B (zh) * 2014-10-28 2021-09-11 日商迪睿合股份有限公司 異向性導電膜、其製造方法及連接構造體
JP6476747B2 (ja) 2014-10-28 2019-03-0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接続構造体
KR20220060555A (ko) * 2014-10-28 2022-05-11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엠보스 필름, 매엽 필름, 전사물, 및 엠보스 필름의 제조 방법
JP6967832B2 (ja) 2014-10-28 2021-11-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エンボスフィルム、枚葉フィルム、転写物、およびエンボ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746898B2 (ja) * 2014-11-17 2020-08-2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112253B (zh) 2015-01-13 2021-04-20 迪睿合株式会社 凸点形成用膜、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以及连接构造体
US10199358B2 (en) * 2015-01-13 2019-02-05 Dexerials Corporation Multilayer substrate
TWI711222B (zh) * 2015-05-27 2020-11-21 日商迪睿合股份有限公司 異向導電性膜、連接構造體及連接構造體之製造方法
JP6661997B2 (ja) * 2015-11-26 2020-03-1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
JP6889020B2 (ja) * 2016-05-02 2021-06-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異方性導電フィルム
JP7274811B2 (ja) 2016-05-05 2023-05-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
WO2017191781A1 (ja) * 2016-05-05 2017-11-0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
JP6907490B2 (ja) * 2016-09-16 2021-07-21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接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端子付き電極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導電粒子、キット及び転写型
JP7305957B2 (ja) * 2016-10-03 2023-07-11 株式会社レゾナック 導電性フィルム、巻回体、接続構造体、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WO2018079365A1 (ja) * 2016-10-24 2018-05-0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
TWI763750B (zh) * 2016-12-01 2022-05-11 日商迪睿合股份有限公司 異向性導電膜
JP7210846B2 (ja) * 2017-09-11 2023-01-24 株式会社レゾナック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並びに、接着剤フィルム収容セット
KR102254467B1 (ko) * 2018-07-12 2021-05-21 에이치엔에스하이텍(주) 이방도전성 접착필름의 제조방법
KR102254470B1 (ko) * 2018-07-12 2021-05-21 에이치엔에스하이텍(주) 도전입자의 이격거리가 제어된 이방도전성 접착필름의 제조방법
JP2020087907A (ja) * 2018-11-21 2020-06-0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異方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240226B2 (ja) * 2018-11-21 2023-03-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異方性フィルム
KR102336112B1 (ko) * 2020-05-13 2021-12-07 한국과학기술원 균일 분산 및 수직 적층된 도전 입자를 함유하는 다층 폴리머 필름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804A (ja) 2008-06-25 2010-01-14 Asahi Kasei E-Materials Corp 異方導電性接着シート及び微細接続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084B2 (ja) 1988-10-18 1994-03-2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電極端子転移用異方性導電膜の形成方法
JP2748713B2 (ja) 1991-03-29 1998-05-1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続部材
TW277152B (ko) 1994-05-10 1996-06-01 Hitachi Chemical Co Ltd
JP3786214B2 (ja) * 1994-05-10 2006-06-1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異方導電性樹脂フィルム状成形物の製法
JPH09118860A (ja) * 1995-08-22 1997-05-06 Bridgestone Corp 異方性導電フィルム
US20010008169A1 (en) 1998-06-30 2001-07-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ne pitch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CN100437838C (zh) * 2003-07-07 2008-11-26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包覆导电性粒子、各向异性导电材料以及导电连接结构体
US7410698B2 (en) * 2004-01-30 2008-08-12 Sekisui Chemical Co., Ltd. Conductive particle with protrusions and anisotropic conductive material therefrom
JP2006278014A (ja) * 2005-03-28 2006-10-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異方導電性構造体
JP2007115560A (ja) * 2005-10-21 2007-05-10 Sumitomo Bakelite Co Ltd 異方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8124885B2 (en) * 2006-04-11 2012-02-28 Jsr Corporation Anisotropically conductive connector and anisotropically conductive connector device
KR101115271B1 (ko) 2006-04-27 2012-07-12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도전 입자 배치 시트 및 이방성 도전 필름
JP4789738B2 (ja) 2006-07-28 2011-10-12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導電性フィルム
JP5186157B2 (ja) * 2007-08-24 2013-04-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193757B1 (ko) 2007-09-20 2012-10-23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이방성 도전막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이방성 도전막을 이용한 접합체
JP2010033793A (ja) * 2008-07-28 2010-02-12 Tokai Rubber Ind Ltd 粒子転写膜の製造方法
US20120183781A1 (en) * 2009-09-30 2012-07-19 Sumitomo Bakelite Co., Ltd. Conductive connecting material,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s and method for producing connection terminal
JP5398455B2 (ja) 2009-09-30 2014-01-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76187A (ko) * 2010-12-29 2012-07-09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필름
KR101843226B1 (ko) 2012-08-29 2018-03-28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5972844B2 (ja) * 2012-09-18 2016-08-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異方性導電フィルムの製造方法、接続体の製造方法、及び接続方法
KR101330961B1 (ko) * 2012-12-26 2013-11-18 신한카드 주식회사 모바일 신용카드의 발급처리 방법
US9997486B2 (en) * 2014-02-04 2018-06-12 Dexerials Corporatio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ncluding oblique region having lower curing ratio
JP5695768B2 (ja) 2014-02-04 2015-04-08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粉体及びそれを含む導電性材料
JP6661969B2 (ja) * 2014-10-28 2020-03-1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接続構造体
JP6746898B2 (ja) * 2014-11-17 2020-08-2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804A (ja) 2008-06-25 2010-01-14 Asahi Kasei E-Materials Corp 異方導電性接着シート及び微細接続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5919A (zh) 2014-09-16
KR101843226B1 (ko) 2018-03-28
JP6024623B2 (ja) 2016-11-16
JP2018186090A (ja) 2018-11-22
CN107189562B (zh) 2021-01-19
KR20170081295A (ko) 2017-07-11
KR20150048667A (ko) 2015-05-07
CN104541417A (zh) 2015-04-22
TW201730896A (zh) 2017-09-01
TWI604467B (zh) 2017-11-01
JP2017017039A (ja) 2017-01-19
JP2020057611A (ja) 2020-04-09
CN104541417B (zh) 2017-09-26
US10412837B2 (en) 2019-09-10
TWI661435B (zh) 2019-06-01
TW201905936A (zh) 2019-02-01
CN107189562A (zh) 2017-09-22
KR20180049207A (ko) 2018-05-10
HK1205365A1 (en) 2015-12-11
JP2014063729A (ja) 2014-04-10
KR20210082571A (ko) 2021-07-05
TWI649764B (zh) 2019-02-01
US20150319867A1 (en) 2015-11-05
WO2014034741A1 (ja)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226B1 (ko)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7357037B2 (ja) 異方性導電フィルム、接続構造体、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883577B1 (ko) 도전성 접착 필름의 제조 방법, 도전성 접착 필름, 접속체의 제조 방법
CN103562331A (zh) 使用表面改性导电颗粒的固定阵列的各向异性导电膜
TWI789370B (zh) 含填料膜
TW201606798A (zh) 異向性導電膜及其製造方法
KR101453179B1 (ko) 이방성 도전 필름, 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접합체
US20100321916A1 (en) Method of connection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obtained thereby
CN106796826A (zh) 导电材料
TW202307876A (zh) 異向性導電膜、其製造方法及連接構造體
CN107431294A (zh) 各向异性导电性膜及连接构造体
JP2006032335A (ja)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
JP4175347B2 (ja)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775562B (zh) 異向性導電膜之製造方法、異向性導電膜、異向性導電膜捲裝體、連接構造體之製造方法、連接構造體、填料配置膜之製造方法、及填料配置膜
TWI747898B (zh) 異向性導電膜
JP5370694B2 (ja) 接続構造体
JP2016072097A (ja) 接続方法、接合体、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0007076A (ja)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
JP2005325366A (ja)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
CN105814675A (zh) 电子部件、连接体、连接体的制造方法及电子部件的连接方法
JP2014192240A (ja) 接続体の製造方法、電子部品の接続方法、接続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6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012

Effective date: 2023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