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277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3277A KR20190073277A KR1020180159168A KR20180159168A KR20190073277A KR 20190073277 A KR20190073277 A KR 20190073277A KR 1020180159168 A KR1020180159168 A KR 1020180159168A KR 20180159168 A KR20180159168 A KR 20180159168A KR 20190073277 A KR20190073277 A KR 201900732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 chain
- upper side
- arm
- cut
- clutch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171 Hydrodictyon reticul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095 Vit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754 Vitis X bourqu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333 Vitis X labrus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169 Alopias vulp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6278 cabin-4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피드 체인에 있어서 끼움 지지물의 꽉 참 등이 발생한 경우에, 끼움 지지물의 제거 작업을 번거로움 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탈곡 장치에, 급동 및 피드 체인의 상측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끼움 지지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대를 지지하는 상부측 탈곡 분할체가 구비되고, 또한 상부측 탈곡 분할체가, 전동 유압 실린더(38)에 의해 기체 전후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차단 전환 조작 기구와, 수동 조작으로 피드 체인의 구동 정지를 지령 가능한 정지 스위치(108)와, 정지 스위치(108)의 조작에 기초하여, 차단 전환 조작 기구에 있어서의 차단용 모터(100)를 작동시킴과 함께,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승 위치로 전환하도록 전동 유압 실린더(38)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43)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에, 급동 및 피드 체인의 상측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끼움 지지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대를 지지하는 상부측 탈곡 분할체가 구비되고, 또한 상부측 탈곡 분할체가, 전동 유압 실린더(38)에 의해 기체 전후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차단 전환 조작 기구와, 수동 조작으로 피드 체인의 구동 정지를 지령 가능한 정지 스위치(108)와, 정지 스위치(108)의 조작에 기초하여, 차단 전환 조작 기구에 있어서의 차단용 모터(100)를 작동시킴과 함께,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승 위치로 전환하도록 전동 유압 실린더(38)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43)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급실 내에 설치된 급동과 수망에 의해 훑기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종래에는, 탈곡 장치에, 급동 및 피드 체인의 상측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끼움 지지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대를 지지하는 상부측 탈곡 분할체가, 기체 전후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운전부에 구비된 수동 조작 스위치의 지령에 기초하여, 승강용 액추에이터로서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과는 달리, 피드 체인에 대한 동력 전달계에 전자기 조작식 피드 체인 클러치를 구비하고, 탈곡 장치의 횡측벽에 설치된 수동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기초하여,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주행을 정지하고 탈곡 처리하고 있을 때,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하고 있는 도중에 곡간이 반송 막힘 등을 일으킨 경우에, 탈곡 장치의 횡측벽에 설치된 수동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피드 체인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피드 체인의 작동이 정지하는 것만으로는, 피드 체인에 막혀 있는 막힘 곡간 등의 끼움 지지물을 제거할 수 없다. 그래서 피드 체인을 정지시킨 후에, 운전부에 구비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승 조작시킴으로써, 끼움 지지 레일을 피드 체인으로부터 분리함과 함께, 급동이 상승하기 때문에, 끼움 지지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구성에서는, 수동에 의한 스위치 조작을 상이한 장소에서 제각기 각각 별도로 복수 회 행해야 해, 번거로운 수고를 요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피드 체인에 있어서 끼움 지지물의 꽉 참 등에 의해 적정한 반송 상태를 계속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끼움 지지물의 제거 작업을 번거로움 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급실 내에 설치된 급동과 수망에 의해 훑기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탈곡 장치에, 상기 급동 및 상기 피드 체인의 상측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끼움 지지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대를 지지하는 상부측 탈곡 분할체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상부측 탈곡 분할체가, 기체 전후 축심 주위로, 하방측의 통상 작업 위치와 상방으로 요동한 상승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한 승강용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피드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상기 피드 체인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차단 전환 조작 기구와,
수동 조작으로 상기 피드 체인의 구동 정지를 지령 가능한 정지 지령 조작구와,
상기 정지 지령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승 위치로 전환하도록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하고 있는 도중에 곡간이 반송 막힘 등을 일으킨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동 조작으로 정지 지령 조작구를 조작한다. 정지 지령 조작구에 의해 구동 정지가 지령되면, 제어 장치는,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작동시켜 피드 체인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전환함과 함께, 승강용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통상 작업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정지 지령 조작구를 조작하면, 피드 체인의 작동이 정지함과 함께, 상부측 탈곡 분할체가 상승하여 끼움 지지 레일이 피드 체인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되고, 급동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급실이 개방된다. 그래서 작업자는, 피드 체인에 끼어 들어가 있는 끼움 지지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피드 체인에 있어서 끼움 지지물의 꽉 참 등에 의해 적정한 반송 상태를 계속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끼움 지지물의 제거 작업을 번거로움 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체 각 부를 구동하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정지 지령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정지 지령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의 작동이 정지하여, 급동의 회전이 정지하기 때문에, 끼움 지지물의 제거 작업이 행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가, 전동식 액추에이터이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엔진이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동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동의 회전을 정지시킨 채,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통상 작업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에 이를 때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 상부측 탈곡 분할체의 상승 작동 중에 급동이 회전하는 것이 원인으로 끼움 지지물의 제거 작업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동 조작으로 상기 급실의 개방을 지령 가능한 개방 지령 조작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개방 지령 조작구가 조작되면, 상기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기 급실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정지 지령 조작구가 조작되면, 상기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기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조작량보다 적은 제2 조작량만큼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면 적합하다.
메인터넌스 작업은, 급실 내부의 청소나 부품 교환 등의 작업이 행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급실을 크게 개방시킬 필요가 있다. 그것에 비해, 정지 지령 조작구는, 탈곡 작업이 한창 행해지고 있는 중에, 피드 체인에 있어서의 끼움 지지물을 제거하는 경우에 조작되는 것으로, 그다지 크게 급실을 개방시킬 필요는 없다.
그래서 본 구성에 의하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개방 지령 조작구를 조작한다. 개방 지령 조작구에 의해 개방이 지령되면, 제어 장치는, 승강용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크게 개방함으로써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하기 쉽다.
정지 지령 조작구가 조작된 경우에,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승시킬 때는,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조작량보다 적은 제2 조작량만큼 상승시킨다. 그것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피드 체인에 대한 끼움 지지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의 차이에 따라서 상부측 탈곡 분할체의 상승량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하기 쉬워, 끼움 지지물의 제거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차단 전환 조작 기구가 작동하였을 때, 상기 피드 체인의 회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차단 전환 조작 기구가 작동하였을 때, 피드 체인에 대한 동력 전달이 차단됨과 함께 제동력이 부여되므로, 관성력에 의한 회동을 저지하여 피드 체인을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작동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4는 상승 위치로 전환한 상태의 탈곡 장치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5는 탈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피드 체인에 대한 동력 전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전달 상태에 있어서의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지령 정지 조작 기구에 의해 차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의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연동 정지 조작 기구에 의해 차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의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연동 정지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4는 상승 위치로 전환한 상태의 탈곡 장치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5는 탈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피드 체인에 대한 동력 전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전달 상태에 있어서의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지령 정지 조작 기구에 의해 차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의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연동 정지 조작 기구에 의해 차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의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연동 정지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에 의해 자주하는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3)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 우측에, 캐빈(4)으로 주위가 덮인 운전부(5)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5)의 후방에는, 예취부(3)로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6)와, 탈곡 처리로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7)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운전부(5)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8)의 하방에 기체 각 부를 구동하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9)이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의 전후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기체 진행 방향을 따라 정의하고, 기체의 좌우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기체 진행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부호 (F)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전방측, 도 1 및 도 2에 부호 (B)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후방측이다. 도 2에 부호 (L)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좌측, 도 2에 부호 (R)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우측이다.
예취부(3)는, 예취 대상이 되는 식립 곡간의 밑동을 분초 안내하는 분초구(10), 분초된 식립 곡간을 종방향 자세로 일으키는 복수의 세움 장치(11), 세워진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바리캉형 예취 장치(12), 예취 곡간을 종방향 자세로부터 서서히 옆으로 쓰러지는 자세가 되도록 자세 변경하면서 후방으로 반송하여 탈곡 장치(6)에 공급하는 반송 장치(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13)의 상방측은 방진 커버(14)에 의해 덮여 있다.
탈곡 장치(6)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6)로 반송하는 피드 체인(15)과, 그 상방측에 대향하여 설치된 끼움 지지 레일(16)이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후방에는, 탈곡 장치(6)로부터의 배출 짚을 절단하는 배출 짚 커터(17)가 구비되어 있다. 곡립 탱크(7)에는, 곡립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을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8)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
탈곡 장치(6)는,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피드 체인(15)과 끼움 지지 레일(16)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하면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급실(19) 내에서 탈곡 처리한다. 급실(19)에는, 급동(20)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20)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Y1)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급동(20)의 하방에는, 수망(21)이 설치되어 있다. 급실(19)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22)이 구비되어 있다(도 5 참조). 탈곡 장치(6)의 좌측 외측은, 외장 커버(23)에 의해 덮여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6)의 하부에는, 수망(21)으로부터 누하된 탈곡 처리물을, 곡립, 2번물, 배출 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별하는 선별부(24)가 구비되어 있다. 선별부(24)는, 선별 대상물을 기체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로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25), 요동 선별 장치(25)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26), 1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27), 2번물의 곡립(지경 부착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28) 등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6)에, 급동(20) 및 끼움 지지 레일(16)을 지지하는 레일대(29)를 갖는 상부측 탈곡 분할체(30)가 구비되고, 또한 상부측 탈곡 분할체(30)가, 기체 전후 축심(Y2) 주위로, 하방측의 통상 작업 위치와 상방으로 요동한 상승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급실(19)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벽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부(31)는, 가동 벽(32)과 고정 벽(33)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벽(32)에는, 급동(20)이 급동축(20a)이 베어링 부재(3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벽(32)과 고정 벽(33)에 걸쳐, 이것들을 연결하는 연결 암(35)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벽(32)은, 연결 암(35)을 통해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축심(Y2)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고정 벽(33)에 지지되어 있다.
전후 양측의 가동 벽(32)에 있어서의 좌측(피드 체인(15)측)의 상부 개소끼리에 걸쳐 각통 형상의 전후 방향 프레임체(36)가 가설 연결되어 있다. 전후 양측의 가동 벽(32)에 있어서의 좌측의 하부 개소끼리에 걸쳐 레일대(29)가 지지되어 있다. 전후 양측의 가동 벽(32)의 상단부끼리에 걸쳐 천장판(37)이 설치되고, 천장판(37)은 전후 양측의 가동 벽(32)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동(20), 레일대(29), 천장판(37), 전후 방향 프레임체(36) 등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상부측 탈곡 분할체(30)가 구성되어 있다.
상부측 탈곡 분할체(30)를 통상 작업 위치와 상승 위치에 걸쳐 요동 조작 가능한 승강용 액추에이터로서의 전동 유압 실린더(38)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 유압 실린더(38)는, 후방측의 벽부(31)에 있어서의 연결 암(35)과 고정 벽(33)에 걸쳐 연결되어 있다. 전동 유압 실린더(38)는, 유압 실린더(39)와, 유압 실린더(39)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40), 유압 펌프(40)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41), 유압 실린더(39)에 대한 제어용 유압 유닛(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 모터(41)에 전력 공급됨으로써 유압 실린더(39)가 신축 작동하여, 상부측 탈곡 분할체(30)를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한 전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측 탈곡 분할체(30)의 요동 지지점 위치에, 상부측 탈곡 분할체(30)의 상하 요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포텐시오미터 형식의 높이 센서(4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유압 실린더(3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43)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43)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조작을 지령하는 개방 지령 조작구로서의 상승 스위치(44)와, 하강 조작을 지령하는 하강 스위치(46)와, 복수의 위치 중 어느 것을 지령하는 레벨 설정기(45)가 구비되어 있다. 상승 스위치(44), 하강 스위치(46), 레벨 설정기(45)는, 예를 들어 운전부(5)에 구비된다.
제어 장치(43)는, 상승 스위치(44)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부측 탈곡 분할체(30)를 급실(19)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전동 유압 실린더(38)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는, 급실(19) 내부의 청소 작업 등이 가능하도록 급실(19)을 개방하는 위치이다. 레벨 설정기(45)에 의해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로서 복수의 단계 중 어느 것을 설정 가능하다.
제어 장치(43)는, 상승 스위치(44)가 조작되면, 높이 센서(42)에서 검출되는 높이가 레벨 설정기(45)에서 설정된 설정 위치로 될 때까지 상부측 탈곡 분할체(30)를 상승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43)는 하강 스위치(46)가 조작되면, 상부측 탈곡 분할체(30)를 통상 작업 위치까지 하강시키도록, 전동 유압 실린더(38)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부측 탈곡 분할체(30)를 통상 작업 위치에서 위치 유지하는 로크 기구(130)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기구(130)는, 전후 한 쌍의 훅 플레이트(131)와, 전후 한 쌍의 걸림 핀(132)을 구비하고 있다. 전후의 벽부(31) 각각에, 훅 플레이트(131)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Y3)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훅 플레이트(131)의 선단부에는, 걸림 핀(132)에 결합 가능한 훅부(131a)가 설치되어 있다. 훅부(131a)가 걸림 핀(132)에 결합됨으로써, 상부측 탈곡 분할체(30)가 위치 유지된다. 걸림 핀(132)에 대한 훅부(131a)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방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전후 한 쌍의 훅 플레이트(131)를 요동 구동하는 모터(M)가, 후방측의 벽부(31)의 후방면에 지지되어 있다. 모터(M)에 의해, 전후 한 쌍의 훅 플레이트(131)가 결합측 및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
〔피드 체인에 대한 동력 전달 구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 체인(15)은,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구동 스프로킷(47)과,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종동 스프로킷(48)에 걸쳐 권회되어 있다. 피드 체인(15)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피드 체인(15)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49)가 구비되어 있다. 피드 체인 클러치(49)는, 구동 스프로킷(4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축(50)(동력 전달축의 일례)에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은, 동력 전달 케이스(54)를 통해 피드 체인 클러치(49)에 전달된다. 동력 전달 케이스(54)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엔진(9)으로부터의 동력은, 동력 전달 벨트(51) 및 입력 풀리(52)를 통해 중계축(53)에 전달되고, 중계축(53)으로부터 기어(55, 56)를 통해 배진 팬(22)의 회전축(57)에 전달된다. 또한, 회전축(57)으로부터의 동력이 2단계의 감속용 기어 기구(58)를 통해, 구동축(5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된 구동 기어(59)에 전달된다. 구동 기어(59)로부터의 동력은,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통해 단속 가능하게 피드 체인(15)의 구동 스프로킷(47)에 전달된다.
구동축(5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종동측 시프트 부재(60)가 스플라인 외부 끼움되어 있다. 구동 기어(59) 중 종동측 시프트 부재(60)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맞물림용 갈고리부로 이루어지는 구동측 맞물림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종동측 시프트 부재(60) 중 구동 기어(59)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맞물림용 갈고리부로 이루어지는 종동측 맞물림부(62)가 형성되어 있다. 피드 체인 클러치(49)는, 구동측 맞물림부(61)와 종동측 맞물림부(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감속용 기어 기구(58)로부터의 동력이 구동 기어(59)에 전달되고, 구동 기어(59)로부터의 동력이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통해, 구동축(50) 및 구동 스프로킷(47)을 통해 피드 체인(15)에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 기어(59) 및 종동측 시프트 부재(60)가 한 쌍의 클러치 부재에 상당한다.
피드 체인 클러치(49)는, 종동측 시프트 부재(60)가 구동 기어(59)측으로 이동하여 구동측 맞물림부(61)와 종동측 맞물림부(62)가 맞물리는 전달 상태와, 종동측 시프트 부재(60)가 구동 스프로킷(47)측으로 이동하여 구동측 맞물림부(61)와 종동측 맞물림부(62)가 맞물림을 해제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종동측 시프트 부재(60)를 구동 기어(59)측으로 이동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63)이 구동축(50)으로 외부 삽입되어 있다. 즉, 종동측 시프트 부재(60)는 클러치 온 위치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구동축(50)에 있어서의 종동측 시프트 부재(60)에 대해 구동 스프로킷(47)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다판 마찰식 제동 기구(64)가 설치되어 있다. 제동 기구(6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외부로부터의 조작력에 의해 종동측 시프트 부재(60)가 오프 위치로 조작되는 데 수반하여, 그 종동측 시프트 부재(60)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피드 체인 클러치(49)의 조작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피드 체인 클러치(49)의 전달 상태에 대응하는 온 위치와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오프 위치로 전환 조작 가능한 조작부(65)와, 인위적인 정지 지령에 기초하여, 조작부(65)를 조작하여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65)와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에 의해,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차단 전환 조작 기구(67)를 구성한다.
〔조작부〕
조작부(65)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65)에는, 구동 기어(59) 및 종동측 시프트 부재(60)를 분리 조작 가능한 시프트 포크식 조작 부재로서의 시프터 부재(68)와, 시프터 부재(68)의 회동 축심 주위로 시프터 부재(68)와 일체 회동 가능한 클러치 조작 암(본 발명에 있어서의 암에 상당함)(69)이 구비되어 있다. 시프터 부재(68)는, 동력 전달 케이스(54) 내에 수용되어 있다. 시프터 부재(68)는, 후방 상향 경사 방향을 따르는 축심(Y4)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동력 전달 케이스(54)에 지지되는 지지 축부(68a)와, 종동측 시프트 부재(60)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결합 조작부(68b)를 갖는다.
지지 축부(68a)의 동력 전달 케이스(5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개소에, 클러치 조작 암(69)이 일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암(69)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띠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중간부가 지지 축부(68a)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암(69)은, 길이 방향이 탈곡 장치(6)의 측벽(6A)을 대략 따르도록 설치되고, 좌우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의 콤팩트화를 도모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63)의 가압력에 의해 종동측 시프트 부재(60)가 구동 기어(59)측으로 이동 가압되기 때문에, 클러치 조작 암(69)은 온 위치(전달 상태)로 회동 가압되어 있다. 외부로부터의 조작력에 의해, 클러치 조작 암(69)이 소정 방향,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평면에서 보아 좌측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결합 조작부(68b)가 종동측 시프트 부재(60)를 맞물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시프트 조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령 정지 조작 기구〕
다음으로,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에는, 조작부(65)를 오프 위치로 전환되도록 가압하는 가압 기구로서의 차단용 코일 스프링(70), 조작부(65)를 온 위치로 위치 유지하는 위치 유지 기구(71), 조작부(65)와 위치 유지 기구(71)를 연계하고, 또한 차단용 코일 스프링(70)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연계 기구(72), 위치 유지 기구(71)에 의한 조작부(65)의 온 위치에서의 위치 유지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73) 등이 구비되어 있다. 차단용 코일 스프링(70)은, 종동측 시프트 부재(60)를 클러치 온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63)의 가압력보다 큰 가압력을 갖고 있다.
연계 기구(72)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계 기구(72)는, 위치 유지 기구(71)에 의해 조작부(65)를 온 위치에 유지하도록 연계함과 함께, 해제 기구(73)에 의해 위치 유지가 해제되면, 차단용 코일 스프링(70)의 가압력에 의해 클러치 조작 암(69)을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계 기구(72)에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직선상의 수평 링크(74)와, 수평 링크(74)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클러치 조작 암(69)을 압박하는 압박 링크(75)가 구비되어 있다. 수평 링크(74)의 일단부에 압박 링크(75)가 연계되고, 또한 수평 링크(74)의 타단부에 위치 유지 기구(71)가 연계되어 있다.
수평 링크(74)는, 탈곡 장치(6)의 측벽(6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수평 링크(74)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홈 형상의 가이드 부재(76)가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6)는, 탈곡 장치(6)의 측벽(6A)에 고정되어 있다. 수평 링크(74)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의 양 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축(77a, 77b)이 고정 장착되어 있다. 전후 양측의 지지축(77a, 77b)에는, 각각, 하부에 가이드 롤러(78)가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78)는 가이드 부재(76)의 내부에 위치하여, 가이드 부재(76)의 내면을 구름 이동하면서 이동 안내한다. 전방부측의 지지축(77a)의 상부에는, 압박 링크(75)의 단부가 피봇 연결되어 있다. 후방부측의 지지축(77b)의 상부에는, 위치 유지 기구(71)의 단부가 피봇 연결되어 있다.
압박 링크(75)는, 상하 방향의 회동 지지축(79)에 일체 회동 가능한 3개의 압박 암(80, 81, 82)이 구비되어 있다. 회동 지지축(79)은, 탈곡 장치(6)의 측벽(6A)에 고정된 보스부(83)에 의해 상하 축심(X1)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압박 암(80)의 요동 단부에 차단용 코일 스프링(70)의 일단부가 걸려 있다. 제2 압박 암(81)의 요동 단부에는, 클러치 조작 암(69)에 압박 작용하는 지령 정지용 조작 핀(84)이 구비되어 있다. 제3 압박 암(82)의 요동 단부에는, 종방향의 연결 축(85)이 설치되고, 이 연결 축(85)에 대해 연동 링크(86)의 일단부측에 설치된 보스부(87)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동 링크(86)의 타단부측의 보스부(88)는, 수평 링크(74)의 전방부측의 지지축(7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용 코일 스프링(70)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압박 암(80)이 전방부측으로 요동 가압되면, 제2 압박 암(81)에 구비된 지령 정지용 조작 핀(84)이 클러치 조작 암(69)을 압박 작용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함과 함께, 제3 압박 암(82)이 수평 링크(74)의 전방부측의 지지축(77)을 비스듬히 우측 방향으로 압박 조작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 압박 조작력에 의해 수평 링크(74)에 대해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하도록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수평 링크(74)는, 위치 유지 기구(71)에 의해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전방부측 슬라이드 위치에서 위치 유지된다. 그 위치 유지 상태에서는, 지령 정지용 조작 핀(84)이 클러치 조작 암(69)을 압박 조작하는 일은 없고, 클러치 조작 암(69)은 온 위치에 유지된다.
위치 유지 기구(71)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유지 기구(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용 코일 스프링(70)의 가압력에 의해,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하도록 힘이 작용하고 있는 수평 링크(74)를 전방부측에서 위치 유지하여, 클러치 조작 암(69)을 온 위치에 유지한다. 위치 유지 기구(71)는, 수평 링크(74)의 후방부측에 연결되는 제1 보유 지지 암(89)과, 해제 기구(73)측에 연결되는 제2 보유 지지 암(9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보유 지지 암(89)의 일단부에 보스부(91)가 설치되고, 그 보스부(91)가 수평 링크(74)의 후방부측의 지지축(77b)에 상하 축심(X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 암(89)의 타단부에 보스부(92)가 설치되고, 그 보스부(92)가 제2 보유 지지 암(90)의 일단부에 설치된 연결 축(93)에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 암(89)과 제2 보유 지지 암(90) 사이에는, 제1 보유 지지 암(89)과 제2 보유 지지 암(90)이 전방부측으로 구부러져 요동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94)이 신장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측벽(6A)에 고정된 브래킷(95)에 위치 고정 상태로 지지 축(96)이 지지되어 있다. 제2 보유 지지 암(90)의 타단부에, 지지 축(96)에 회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 장착되는 보스부(97)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보스부(97)에는 해제 기구(73)가 연결되는 연결 암(98)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보유 지지 암(90)에, 제1 보유 지지 암(89)의 단부 모서리에 맞닿아 전방부측으로의 상대 요동을 규제하는 맞닿음 규제부(99)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 암(89)과 제2 보유 지지 암(90)의 피봇 연결점(X3)이, 제1 보유 지지 암(89)의 일단부의 요동 축심(X2)과, 제2 보유 지지 암(90)의 타단부의 요동 축심(X4)을 연결하는 가상선보다 조금 전방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맞닿음 규제부(99)가 제1 보유 지지 암(89)의 단부 모서리에 맞닿아 그 이상의 전방부측으로의 구부러짐 요동이 규제된다. 맞닿음 규제부(99)에 의해 전방부측으로의 상대 요동이 규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 가압되는 수평 링크(74)가 위치 규제되어, 위치 유지 상태로 된다.
해제 기구(73)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기구(73)에는, 액추에이터로서의 차단 전환용 전동 모터(이하, 차단용 모터라고 칭함)(100)와, 차단용 모터(100)와 위치 유지 기구(71)를 연계하는 와이어 부재로서의 해제용 조작 와이어(101)와, 차단용 모터(100)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102)가 구비되어 있다. 차단용 모터(100) 및 포텐시오미터(102)는, 탈곡 장치(6)의 측벽(6A)에 지지되어 있는 설치 플레이트(103)에 설치되어 있다.
차단용 모터(100)의 좌우 방향의 출력축(100a)에, 제1 모터 암(104) 및 제2 모터 암(105)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해제용 조작 와이어(101)의 일단부는, 연결 암(98)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모터 암(104)에 연결되어 있다. 차단용 모터(100)가 작동하여 제1 모터 암(104)을 회동 조작함으로써, 해제용 조작 와이어(101)가 인장 조작되어, 제2 보유 지지 암(90)을 제1 보유 지지 암(89)과의 맞닿음 규제 상태가 해제되는 측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해제용 조작 와이어(101)는, 이너 와이어(101a)와 아우터 와이어(101b)를 구비하고 있다. 아우터 와이어(101b)의 양단부는, 와이어 스테이(106a, 106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너 와이어(101a)의 일단부는, 연결 암(98)에 연결되어 있다. 이너 와이어(101a)의 타단부는, 제1 모터 암(104)에 연결되어 있다.
포텐시오미터(102)에는 검출용 암(107)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모터 암(105)이 요동하면, 검출용 암(107)에 설치된 접촉부(107a)에 맞닿아, 검출용 암(107)이 일체적으로 요동하여 제2 모터 암(105)의 요동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모터 암(105)의 요동 각도는, 차단용 모터(100)에 의한 해제용 조작 와이어(101)의 당김 조작량에 상당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6)의 외장 커버(23) 중, 피드 체인(15)의 반송 시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기체 외측으로부터 수동으로 압박 조작 가능한 정지 지령 조작구로서의 정지 스위치(108)가 설치되어 있다. 해제 기구(73)는, 정지 스위치(108)의 조작에 기초하여, 해제 조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지 스위치(108)의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장치(43)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해제용 조작 와이어(101)가 당김 조작되어 제2 보유 지지 암(90)이 요동하고, 제1 보유 지지 암(89)과 제2 보유 지지 암(90)의 피봇 연결점(X3)이, 제1 보유 지지 암(89)의 일단부의 요동 축심(X2)과, 제2 보유 지지 암(90)의 타단부의 요동 축심(X4)을 연결하는 가상선보다 후방부측에 위치하면, 제1 보유 지지 암(89)과 제2 보유 지지 암(90)이 후방부측으로 구부러져, 수평 링크(74)의 후방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된다. 수평 링크(74)는 항시 차단용 코일 스프링(70)의 가압력에 의해 후방측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피봇 연결점(X3)이 가상선(데드 포인트)을 조금이라도 후방측으로 넘으면, 수평 링크(74)가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위치 유지 기구(71)에 의한 위치 유지가 해제된다.
위치 유지 기구(71)에 의한 위치 유지가 해제되면, 제2 압박 암(81), 즉 지령 정지용 조작 핀(84)이 클러치 조작 암(69)을 압박 작용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시프터 부재(68)가 회동하여 종동측 시프트 부재(60)를 시프트 조작하여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종동측 시프트 부재(60)는, 차단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차단용 코일 스프링(70)의 가압력에 의해 제동 기구(64)에 압박되어 제동력이 부여된다. 피드 체인(15)의 관성력에 의한 회전을 억제하여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에 의해 피드 체인 클러치(49)가 정지되었을 때에는, 위치 유지 기구(71)가 위치 유지 상태로 복귀 조작될 때까지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위치 유지 기구(71)가 위치 유지 상태로 복귀 조작된 후에는, 스프링(94)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보유 지지 암(89)과 제2 보유 지지 암(90)이 전방부측으로 구부러져 요동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용 조작 와이어(101)는, 평면에서 보아 수평 링크(74)와 평행한 상태에서 설치되고, 구동축(50)에 동력을 전달하는 무단 회동체로서의 동력 전달 벨트(51)가 수평 링크(74)와 해제용 조작 와이어(101)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상하로 통과되고 있다.
〔연동 정지 조작 기구〕
예취부(3)가 소정의 높이 위치(비예취 작업 위치) 이상까지 상승되면, 조작부(65)를 조작하여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가 구비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는, 예취부(3)의 승강에 수반하여 요동하는 요동 암(110), 클러치 조작 암(69)에 대해 압박 작용하는 압박 작용부(111), 요동 암(110)과 압박 작용부(111)를 연계하는 연동 조작 와이어(11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요동 암(110)은, 좌우 방향의 요동 축심(X5)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 암(110)은, 예취부(3)의 승강에 따라서 상승 위치(Pr)와 하강 위치(Pd)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요동 암(110)은, 예취부(3)가 비예취 작업 위치까지 상승하면, 상승 위치(Pr)로 전환되고, 예취부(3)가 예취 작업 위치까지 하강하면, 하강 위치(Pd)로 전환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작용부(111)는, 클러치 조작 암(69)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령 정지용 조작 핀(84)이 작용하는 측과는 반대측 개소에 근접한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압박 작용부(111)에는, 탈곡 장치(6)의 측벽(6A)에 고정 지지된 지지축(113)과, 지지축(113)에 회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보스부(114)와, 보스부(114)의 외주부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암(115, 116)과, 복귀용 스프링(117)이 구비되어 있다.
2개의 암 중 한쪽의 제1 암(115)은 보스부(114)로부터 좌측을 향해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1 암(115)의 요동 단부에 스트로크 흡수용 스프링(119)을 통해 연동 조작 와이어(112)가 연계되어 있다. 2개의 암 중 다른 쪽의 제2 암(116)은 보스부(114)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2 암(116)의 요동 단부에 클러치 조작 암(69)에 맞닿아 압박 조작 가능한 연동 정지용 조작 핀(120)이 설치되어 있다.
압박 작용부(111)는, 연동 조작 와이어(112)의 당김 조작에 의해, 제1 암(115) 및 제2 암(116)이 지지축(113)의 축심(X6) 주위로 평면에서 보아 우측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것에 수반하여, 연동 정지용 조작 핀(120)이 클러치 조작 암(69)을 압박 작용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시프터 부재(68)가 회동하여 종동측 시프트 부재(60)를 시프트 조작하여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이 경우에도,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동측 시프트 부재(60)는 차단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차단용 코일 스프링(70)이 큰 가압력에 의해 제동 기구(64)에 압박되어 제동력이 부여된다. 제동함으로써 피드 체인(15)의 관성력에 의한 회전을 억제하여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연동 조작 와이어(112)의 당김 조작이 행해져 있지 않을 때에는, 복귀용 스프링(117)의 가압력에 의해 연동 정지용 조작 핀(120)이 클러치 조작 암(69)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러치 조작 암(69)이 코일 스프링(63)의 가압력에 의해 온 위치로 복귀된다.
〔완충 기구〕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 및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에 있어서의 조작부(65)와의 연계에 있어서의 완충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를 조작부(65)에 연계하는 제1 완충 기구(K1)와,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를 조작부(65)에 연계하는 제2 완충 기구(K2)가 구비되고, 제1 완충 기구(K1) 및 제2 완충 기구(K2)는,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 및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 중 한쪽 기구가 차단 상태로의 전환을 실행할 때, 한쪽 기구의 조작력을,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 및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 중 다른 쪽 기구로 전달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에 있어서의 지령 정지용 조작 핀(84)이 조작부(65)에 있어서의 클러치 조작 암(69)에 대해 맞닿음 작용하여 압박 이동시키는 기구가 제1 완충 기구(K1)이다. 또한,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에 있어서의 연동 정지용 조작 핀(120)이 조작부(65)에 있어서의 클러치 조작 암(69)에 대해 맞닿음 작용하여 압박 이동시키는 기구가 제2 완충 기구(K2)이다.
제1 완충 기구(K1)는,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에 의한 전환 조작이 행해질 때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를 클러치 조작 암(69)으로부터 이격시켜,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의 조작력을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에 전달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제2 완충 기구(K2)는,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에 의한 전환 조작이 행해질 때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를 클러치 조작 암(69)으로부터 이격시켜, 지령 정지 조작 기구(66)의 조작력을 연동 정지 조작 기구(109)에 전달시키는 일은 없다.
조작부(65)는, 클러치 조작 암(69)이 소정 방향(도 8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지령 정지용 조작 핀(84)이 클러치 조작 암(69)에 대해 맞닿음 작용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압박 이동시키면, 연동 정지용 조작 핀(120)은 클러치 조작 암(69)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연동 정지용 조작 핀(120)에 조작력이 전달되는 일은 없다.
연동 정지용 조작 핀(120)이 클러치 조작 암(69)에 대해 맞닿음 작용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압박 이동시키면, 지령 정지용 조작 핀(84)은 클러치 조작 암(69)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지령 정지용 조작 핀(84)에 조작력이 전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예취부(3)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승한 경우에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것과,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단독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에 정지시키는 것을, 각각 별도로 원활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제어 구성〕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9)의 운전 상태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부(121)가 구비되고, 제어 장치(43)는, 작업 상황에 따라서 엔진 제어부(121)에 제어 정보를 지령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피드 체인(15)이 회동하여 탈곡 장치(6)가 작동하고 있을 때, 작업자에 의해 정지 스위치(108)가 조작되면, 제어 장치(43)는 정지 스위치(108)의 조작에 기초하여, 차단 전환 조작 기구(67)에 있어서의 해제 기구(73)를 작동시켜 피드 체인(15)을 구동 정지시키는 피드 체인 정지 처리, 엔진(9)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정지 처리, 상부측 탈곡 분할체(30)를 상승 위치로 전환하는 탈곡부 상승 처리의 각각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드 체인 정지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43)는, 포텐시오미터(102)의 검출값에 의해, 제2 보유 지지 암(90)이 제1 보유 지지 암(89)과의 맞닿음 규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차단용 모터(100)를 작동시킨다. 그 결과, 해제용 조작 와이어(101)가 인장 조작되어, 위치 유지 기구(71)에 있어서의 위치 유지가 해제되고, 피드 체인 클러치(49)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엔진 정지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43)는, 엔진 제어부(121)에 대해, 엔진(9)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지령한다. 엔진 제어부(121)는, 예를 들어 연료 공급로 중에 구비된 연료 차단 밸브를 조작하여 엔진(9)에 대한 연료 공급을 정지시키는 등의 처리에 의해 엔진(9)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탈곡부 상승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43)는, 높이 센서(42)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부측 탈곡 분할체(30)를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조작량보다 적은 제2 조작량만큼 상승시키도록 전동 유압 실린더(38)의 작동을 제어한다(도 4 참조).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는 레벨 설정기(45)에 의해 복수의 단계로 설정 가능하지만, 제2 조작량은, 복수의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의 어느 위치보다 낮은 위치가 되는 적은 조작량이다. 정지 스위치(108)에 의한 조작 시에는, 피드 체인(15)에 끼어 있는 곡간이나 이물 등의 끼움 지지물을 제거하는 경우가 많아, 제2 설정량은 끼움 지지물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상승량으로 설정된다. 또한,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에서는, 급실(19) 내부에 있어서의 수망(21)이나 급동(20)의 청소나 부품의 교환 등을 행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개방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43)가, 정지 스위치(108)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9)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정지 스위치(정지 지령 조작구)가 조작되어도 엔진(9)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단 전환 조작 기구(67)가, 시프터 부재(68)(시프트 포크식 조작 부재)와 클러치 조작 암(69)을 갖고, 클러치 조작 암(69)을 맞닿은 상태에서 압박 이동시켜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핀과 긴 구멍의 결합에 의해 소정 방향의 조작에 대해 긴 구멍에 의한 융통을 갖는 구성, 또는 전자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클러치 부재를 시프트시켜 피드 체인 클러치(49)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용 액추에이터가, 전동 유압 실린더(38)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 구성 대신에, 전동 모터와 나사 이송 기구를 구비한 전동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엔진(9)으로 구동되는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는 유압 실린더여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드 체인(15)을 차단 상태로 전환하도록 차단 전환 조작 기구(67)가 작동하였을 때, 피드 체인(15)의 회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기구(64)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제동 기구(64)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급실 내에 설치된 급동과 수망에 의해 훑기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6 : 탈곡 장치
9 : 엔진
15 : 피드 체인
16 : 끼움 지지 레일
19 : 급실
30 : 상부측 탈곡 분할체
38 : 승강용 액추에이터(전동 유압 실린더)
43 : 제어 장치
44 : 개방 지령 조작구(상승 스위치)
49 : 피드 체인 클러치
64 : 제동 기구
67 : 차단 전환 조작 기구
108 : 정지 지령 조작구(정지 스위치)
9 : 엔진
15 : 피드 체인
16 : 끼움 지지 레일
19 : 급실
30 : 상부측 탈곡 분할체
38 : 승강용 액추에이터(전동 유압 실린더)
43 : 제어 장치
44 : 개방 지령 조작구(상승 스위치)
49 : 피드 체인 클러치
64 : 제동 기구
67 : 차단 전환 조작 기구
108 : 정지 지령 조작구(정지 스위치)
Claims (5)
- 피드 체인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급실 내에 설치된 급동과 수망에 의해 훑기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탈곡 장치에, 상기 급동, 및 상기 피드 체인의 상측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끼움 지지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대를 지지하는 상부측 탈곡 분할체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상부측 탈곡 분할체가, 기체 전후 축심 주위로, 하방측의 통상 작업 위치와 상방으로 요동한 상승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한 승강용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피드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상기 피드 체인으로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피드 체인 클러치와,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차단 전환 조작 기구와,
수동 조작으로 상기 피드 체인의 구동 정지를 지령 가능한 정지 지령 조작구와,
상기 정지 지령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 전환 조작 기구를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승 위치로 전환하도록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 제1항에 있어서,
기체 각 부를 구동하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정지 지령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콤바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가, 전동식 액추에이터인, 콤바인.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동 조작으로 상기 급실의 개방을 지령 가능한 개방 지령 조작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개방 지령 조작구가 조작되면, 상기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기 급실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정지 지령 조작구가 조작되면, 상기 상부측 탈곡 분할체를, 상기 메인터넌스용 상승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조작량보다 적은 제2 조작량만큼 상승시키도록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콤바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를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차단 전환 조작 기구가 작동하였을 때, 상기 피드 체인의 회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241980A JP6837422B2 (ja) | 2017-12-18 | 2017-12-18 | コンバイン |
JPJP-P-2017-241980 | 2017-12-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3277A true KR20190073277A (ko) | 2019-06-26 |
KR102652658B1 KR102652658B1 (ko) | 2024-04-01 |
Family
ID=6698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9168A KR102652658B1 (ko) | 2017-12-18 | 2018-12-11 | 콤바인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837422B2 (ko) |
KR (1) | KR102652658B1 (ko) |
CN (1) | CN10992399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072849A (ja) * | 2021-02-05 | 2021-05-13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9020A (ja) | 1999-03-29 | 2000-10-10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の株元挾持搬送装置 |
JP2001190136A (ja) | 2000-01-07 | 2001-07-17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
US20050176483A1 (en) * | 2004-01-12 | 2005-08-11 | Schenk Charles R. |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ng movement and clearance spacing of a concave |
JP2009077692A (ja) * | 2007-09-27 | 2009-04-16 | Kubota Corp | 脱穀装置の開閉操作装置及びコンバイン |
JP2012044954A (ja) * | 2010-08-30 | 2012-03-08 | Kubota Corp | 脱穀機 |
JP2012244957A (ja) * | 2011-05-30 | 2012-12-13 |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 コンバイン |
JP2014233229A (ja) * | 2013-05-31 | 2014-12-15 | 三菱農機株式会社 | 脱穀装置 |
KR20150030609A (ko) * | 2013-09-12 | 2015-03-20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JP2016054709A (ja) * | 2014-09-11 | 2016-04-21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JP2017195896A (ja) * | 2017-06-30 | 2017-11-02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83405A (en) * | 1969-04-29 | 1971-06-08 | Deere & Co | Harvester shaft speed monitoring system |
SU1500191A1 (ru) * | 1987-04-13 | 1989-08-15 | Проект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Краснодарское" Агропромышленного Комитета Краснодарского Края | Наклонна камера зерноуборочного комбайна |
CN1826851A (zh) * | 2005-03-04 | 2006-09-06 | 井关农机株式会社 | 联合收割机 |
DE102005026159A1 (de) * | 2005-06-06 | 2007-01-25 |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Erntemaschine |
JP5924600B2 (ja) * | 2014-01-31 | 2016-05-25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
2017
- 2017-12-18 JP JP2017241980A patent/JP6837422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12-11 KR KR1020180159168A patent/KR10265265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2-14 CN CN201811530939.3A patent/CN109923994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9020A (ja) | 1999-03-29 | 2000-10-10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の株元挾持搬送装置 |
JP2001190136A (ja) | 2000-01-07 | 2001-07-17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
US20050176483A1 (en) * | 2004-01-12 | 2005-08-11 | Schenk Charles R. |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ng movement and clearance spacing of a concave |
JP2009077692A (ja) * | 2007-09-27 | 2009-04-16 | Kubota Corp | 脱穀装置の開閉操作装置及びコンバイン |
JP2012044954A (ja) * | 2010-08-30 | 2012-03-08 | Kubota Corp | 脱穀機 |
JP2012244957A (ja) * | 2011-05-30 | 2012-12-13 |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 コンバイン |
JP2014233229A (ja) * | 2013-05-31 | 2014-12-15 | 三菱農機株式会社 | 脱穀装置 |
KR20150030609A (ko) * | 2013-09-12 | 2015-03-20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JP2016054709A (ja) * | 2014-09-11 | 2016-04-21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JP2017195896A (ja) * | 2017-06-30 | 2017-11-02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2658B1 (ko) | 2024-04-01 |
JP2019106923A (ja) | 2019-07-04 |
CN109923994B (zh) | 2022-08-23 |
CN109923994A (zh) | 2019-06-25 |
JP6837422B2 (ja) | 2021-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9394B1 (ko) | 콤바인 | |
KR101821098B1 (ko) | 탈곡기 | |
JP7203134B2 (ja) | コンバイン | |
KR20190073277A (ko) | 콤바인 | |
KR20170129925A (ko) | 콤바인 | |
KR101886979B1 (ko) | 작업차 및 콤바인 | |
KR101671255B1 (ko) | 콤바인 | |
JP5185795B2 (ja) |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 |
KR20190073270A (ko) | 콤바인 | |
JP2022125171A (ja) | コンバイン | |
JP6832838B2 (ja) | コンバイン | |
JP6837421B2 (ja) | コンバイン | |
JP2021072849A (ja) | コンバイン | |
JP3570955B2 (ja) | コンバイン | |
KR20180073457A (ko) | 콤바인 | |
JP5192772B2 (ja) |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 |
JP4010648B2 (ja) |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操作装置 | |
CN110313309B (zh) | 收割机 | |
JP6725801B2 (ja) | マルチ移植機 | |
JP2003333925A (ja) | コンバイン | |
JP3209618B2 (ja) | コンバインの排藁結束装置 | |
JP3880971B2 (ja) | コンバイン | |
JP3880972B2 (ja) | コンバイン | |
JP3541374B2 (ja) | コンバイン | |
JPH0310814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