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457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457A
KR20180073457A KR1020170171048A KR20170171048A KR20180073457A KR 20180073457 A KR20180073457 A KR 20180073457A KR 1020170171048 A KR1020170171048 A KR 1020170171048A KR 20170171048 A KR20170171048 A KR 20170171048A KR 20180073457 A KR20180073457 A KR 20180073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aw
discharge straw
discharg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467B1 (ko
Inventor
류지 우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9927A external-priority patent/JP68494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9924A external-priority patent/JP66127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9926A external-priority patent/JP661169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7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457A/ko
Priority to KR102023012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0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7/00Straw conveyors for threshing machines or baling presses
    • A01F17/02Mechanical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연결 기구(87)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고, 연결 상태가 해제된 연결 해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 중 상부 프레임(40)만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다.
또한,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콤바인에,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와,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 H1, H2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연결 기구(8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콤바인에,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의 기단측을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92)와,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하는 외측 로크 기구(100)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문헌에서는 「탈곡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문헌에서는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기」)와,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문헌에서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급동의 상방에는,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문헌에서는 「급동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커버는 급실의 일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는 전후 방향의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각각 상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개방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짚 반송 장치에의 배출 짚 입력축의 도중부에 맞물림 갈고리 클러치가 설치되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상방으로 올린 때 갈고리 클러치가 오프로 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방으로 내린 때 갈고리 클러치가 온으로 된다. 구동측 클러치와 종동측 클러치의 동일한 축심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033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상부 커버와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각각 개방하여야 하며, 그 개방을 수동으로 행해야 하여 수고스럽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상부 커버와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각각 개방해야만 하여 수고스럽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로크 장치가 맞물림 클러치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하는 점에 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상태가 해제된 연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상기 상부 프레임만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한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연결 상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이 일체적으로 상방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해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 중 상부 프레임만을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배출 짚 반송 장치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 상부 커버를 개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배출 짚 반송 장치만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를 연결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가,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에 있어서의 서로 연결되는 개소끼리가 근접하기 때문에, 연결 기구를 연결 거리가 짧은 콤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작업이나 연결 해제 작업을 행할 때, 연결 기구에 대하여 기체 외측으로부터 액세스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요동 축심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횡 프레임과, 상기 횡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강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출 짚 프레임 중 전후 방향 프레임에 근접하는 외측 프레임이 연결 기구에 의하여 전후 방향 프레임과 연결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에 있어서의 서로 연결되는 개소끼리가 한층 더 근접하기 때문에, 연결 기구의 한층 더한 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부에 걸쳐 있으면 적합하다.
통상, 배출 짚 반송 장치는, 배출 짚 프레임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에 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가령 연결 기구가 전후 방향 프레임의 하부와 배출 짚 프레임의 하부에 걸쳐 있는 경우, 연결 기구가 배출 짚 프레임에 대하여 하측(즉, 배출 짚 반송 장치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연결 기구가 배출 짚 반송 장치에 의한 배출 짚의 반송을 저해할 것이 우려된다.
그러나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연결 기구가 배출 짚 프레임에 대하여 상측(즉, 배출 짚 반송 장치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연결 기구가 배출 짚 반송 장치에 의한 배출 짚의 반송을 저해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연결 기구에 대하여 배출 짚 반송 장치와는 반대측으로 되는, 비교적 공간에 여유가 있는 상방으로부터 액세스하여, 연결 작업이나 연결 해제 작업을 한층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방향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에 대한 연결 기구의 연결을 각각 해제함으로써,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 중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 중 상부 프레임만을 상방으로 요동시키거나, 또는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 중 배출 짚 프레임만을 상방으로 요동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기체 후방측 상부에 설치된 후방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후방부 프레임이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방향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하고, 또한 전후 방향 프레임과 후방부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과 후방부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강성이 높은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 프레임과 후방부 프레임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상부 프레임의 상방에의 요동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프레임에,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인접하는 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후방부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부분이 상하 방향에서 상기 후방부 프레임과 접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방향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 프레임과 후방부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배출 짚 프레임이 후방부 프레임과 상하 방향에서 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배출 짚 프레임이 후방부 프레임과 연결 기구 사이에 끼워 넣어지게 되어 연결 구조를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급동이 지지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함께 상기 급동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전환 기구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을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 커버와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각각 개방하는 수고가 들지 않아,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전환 기구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을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각각 적합한 높이까지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이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한쪽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을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배출 짚 프레임을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의 연결의 유무에 의하여,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한쪽을 사용할지, 또는 양쪽을 사용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급동에 대해서는, 상부 커버를 가능한 한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편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쉽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승 한계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상방으로 요동되기 때문에, 급동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를 가능한 한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가스 댐퍼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압박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이 하강할 때, 압박부가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함으로써, 가스 댐퍼를 자동적으로 압축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댐퍼 중 상기 배출 짚 프레임측의 단부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가스 댐퍼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이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 경우, 배출 짚 프레임이 가스 댐퍼의 최대 신장 길이를 초과하여 상승하면 배출 짚 프레임이 가스 댐퍼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된다. 이것에 의하여, 배출 짚 프레임이 가스 댐퍼의 최대 신장 길이를 초과하여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부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하더라도 가스 댐퍼가 손괴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중앙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탈곡 장치의 좌우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됨과 함께,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는 측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을, 좌우의 상기 측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유단측을, 좌우의 상기 측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외측 로크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있다.
측부 프레임은 탈곡 장치의 측부를 구성하는, 강성이 높은 부재이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출 짚 프레임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에 있어서의 기단측 및 유단측을 각각, 내측 로크 기구 및 외측 로크 기구에 의하여, 강성이 높은 측부 프레임에 확실히 위치 유지할 수 있다. 즉, 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크 기구는,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걸림 결합하고, 또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대한 걸림 결합을 해제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내측 로크 기구를 조작하는 수고가 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은 프레임형이고,
상기 배출 짚 프레임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에 설치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 프레임과, 상기 기단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지지축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기단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지지축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유단측에 설치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단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이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고,
상기 내측 로크 기구는 상기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고,
상기 외측 로크 기구는 상기 유단 프레임을, 상기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을 지지축에 지지시키면서, 배출 짚 프레임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내측 로크 기구에 의하여,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확실히 위치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유단 프레임을, 외측 로크 기구에 의하여,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확실히 위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후방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에 지지되고,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전방부가 상기 유단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출 짚을 기체 후방부로부터 기체 좌우 폭 내의 포장(기예초지)로 낙하시키기 위해, 배출 짚 반송 장치를,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설치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외측 로크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후방부를, 상기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방향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하고, 또한 전후 방향 프레임의 후방부를, 외측 로크 기구에 의하여,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함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과 후방부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강성이 높은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상부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6은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배후의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9는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배후의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의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의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의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상부 프레임, 배출 짚 프레임 및 후방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연결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걸림 결합 상태의 내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걸림 결합 해제 상태의 내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걸림 결합 상태의 외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걸림 결합 해제 상태의 외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20은 승강 조작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키고 또한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3은 후방측 상부 커버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24는 후방측 상부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각각의 상승 한계 높이 및 요동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1 다른 예에 관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1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1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2 다른 예에 관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제2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2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외측 로크 기구이며, 걸림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3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외측 로크 기구이며, 걸림 결합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34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배출 짚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다. 본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과, 기체 프레임(1)을 지지하는 주행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운전 캐빈(3)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4)와, 운전부(4)를 덮는 캐빈(5)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4)의 하방에는 엔진(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전방에는 포장의 작물을 수확하는 수확부(6)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후방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7)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9)이 설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의 좌측 방향에는 탈곡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는 피드 체인(9)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11)에 의하여 탈곡 처리한다. 탈곡 장치(10)의 후방측에는 배출 짚 반송 장치(12)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피드 체인(9)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한다.
〔수확부〕
수확부(6)는 복수 예취 사양(예를 들어 6조 예취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확부(6)는, 복수(예를 들어 7개)의 분초구(13)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세움 장치(14)와, 절단 장치(15)와, 반송 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13)는 포장의 작물을 분초한다. 세움 장치(14)는 분초된 작물을 일으킨다. 절단 장치(15)는 세워진 작물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16)는 예취된 작물을 탈곡 장치(10)를 향하여 후방으로 반송한다.
〔탈곡 장치 등〕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의 상부에는 급실(17)이 형성되어 있다. 급실(17)에는 급동(11)이 설치되어 있다. 급동(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심 Y1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급동(11)의 하방에는 수망(18)이 설치되어 있다. 급실(17)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9)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의 하부에는, 선별 대상물을 기체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20), 요동 선별 장치(20)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21), 1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22), 2번물의 곡립(지경이 붙은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23) 등이 설치되어 있다.
1번 회수부(22)에는, 1번물의 곡립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24)가 설치되어 있다. 1번 스크루(24)의 우단부에는,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7)에 양곡 반송하는 양곡장치(25)이 연동 연결되어 있다.
2번 회수부(23)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26)가 설치되어 있다. 2번 스크루(26)의 우단부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20)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27)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의 하방에는,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의하여 반송된 배출 짚을 절단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28)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짚 절단 장치(28)를 덮는 커버(29)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29) 중, 배출 짚 절단 장치(28)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전환판(29a)이 설치되어 있다. 전환판(29a)은,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승측의 절단 위치와 하강측의 비절단 위치에 걸쳐 요동 개폐 가능하다. 전환판(29a)이 개방된 상태(절단 위치의 상태)에서,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의하여 반송된 배출 짚이 배출 짚 절단 장치(28)에 투입된다. 전환판(29a)이 폐쇄된 상태(비절단 위치의 상태)에서,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의하여 반송된 배출 짚이 전환판(29a)의 상면을 미끄러져 지면에 낙하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실(17)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벽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의 벽부(30)는 급실(17)의 전방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후방측의 벽부(30)는 급실(17)의 후방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벽부(30)는 가동 벽(31)과 고정 벽(32)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벽(31)에는, 급동(11)이 급동축(11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벽(31)과 고정 벽(32)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아암(33)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벽(31)은, 연결 아암(33)을 통하여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Y2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고정 벽(32)에 지지되어 있다. 전방측의 고정 벽(32)과 후방측의 고정 벽(32)에 걸쳐, 상기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는 전동축(34)이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에 우측부는 우측 벽(3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측 벽(35)은 기체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우측 벽(35)은 경사부(35a)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35a)는, 후방측의 벽부(30)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탈곡 장치(10)의 좌우 양 측부에는 각각,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36L·36R)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은 급동(11)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은, 단면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인 각형 파이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은 급동(11)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은 전방측의 고정 벽(32), 후방측의 고정 벽(32) 및 우측 벽(35)을 지지하고 있다.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은,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횡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인 각형 파이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방부 프레임〕
기체 후방측 상부에 후방부 프레임(37)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부 프레임(37)은, 탈곡 장치(10)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부 프레임(37)은, 측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10)의 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부 프레임(37)은 환형 파이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
급동(11)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38)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커버(38)는, 급동(11)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부 커버(38)의 우측 인근에는 우측 상부 커버(39)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상부 커버(39)는, 급동(11)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우측 상부 커버(39)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
상부 커버(38)는 상부 프레임(40)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40)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동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다. 상부 프레임(40)은, 전동축(34)을 통하여 요동 축심 Y2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전방측의 벽부(30) 및 후방측의 벽부(30)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40)은, 전후 1쌍의 가동 벽(31)과,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은, 상부 프레임(40)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부 프레임(40)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유압 실린더(41)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41)는 후방측의 가동 벽(31)과 후방측의 고정 벽(3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41)는, 예를 들어 복동식의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 유압 실린더(41)가 단동식의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급동 로크 기구〕
상부 프레임(40)과 함께 급동(11)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다. 급동(11)을, 탈곡 처리를 행하는 탈곡 처리 위치에 위치 유지하는 급동 로크 기구(42)가 설치되어 있다. 급동 로크 기구(42)는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3)와 전후 1쌍의 급동 훅 핀(44)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의 벽부(30) 및 후방측의 벽부(30)의 각각에, 훅 플레이트(43)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요동 축심 Y3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훅 플레이트(43)의 선단부에는, 급동 훅 핀(44)에 걸림 결합 가능한 훅부(43a)가 설치되어 있다. 훅부(43a)가 급동 훅 핀(44)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급동(11)이 탈곡 처리 위치에 위치 유지된다. 급동 훅 핀(44)에 대한 훅부(43a)의 걸림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부 프레임(40)과 함께 급동(11)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한다.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3)를 요동 구동하는 모터 M이 후방측의 벽부(30)의 후방면에 지지되어 있다. 모터 M에 의하여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3)가 걸림 결합측 및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
〔배출 짚 반송 장치〕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배출 짚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밑동 반송 장치(45)와, 배출 짚의 이삭 끝측을 걸림 지지 반송하는 이삭 끝 반송 장치(46)를 구비하고 있다. 밑동 반송 장치(45)는, 돌기(47a)를 갖는 배출 짚 체인(47)과, 배출 짚 레일(48)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짚 레일(48)은, 배출 짚 체인(47)의 하방에 있어서, 배출 짚 체인(47)의 하측 경로에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삭 끝 반송 장치(46)는, 날(49a)을 갖는 배출 짚 이삭 끝 체인(49)을 구비하고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배출 짚 프레임(50)에 지지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배출 짚 프레임(50)으로부터 떼어냄 가능하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전방 스테이(51) 및 후방 스테이(52)를 통하여 배출 짚 프레임(50)에 현수 지지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전방 스테이(51)에 떼어냄 가능하게 볼트 고정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후방 스테이(52)에 떼어냄 가능하게 볼트 고정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배출 짚 반송 공간 S가 후방측의 벽부(3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공간 S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배출 짚 프레임(50)에 걸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공간 S는, 평면에서 보아, 배출 짚 반송 공간 S의 전후 중도부{경사부(35a)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반송 방향 하류측일수록 기체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넓혀져 있다.
〔벨트 전동 기구〕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34)과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걸쳐, 전동축(34)의 동력을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53)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53)는 구동 풀리(54)와 종동 풀리(55)와 전동 벨트(56)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풀리(54)는, 전동축(34) 중 후방측의 고정 벽(3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종동 풀리(55)는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입력축(도시 생략)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벨트(56)는 구동 풀리(54) 및 종동 풀리(55)에 권회되어 있다.
〔텐션 클러치 기구〕
벨트 전동 기구(53)를,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의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텐션 클러치 기구(57)가 설치되어 있다. 텐션 클러치 기구(57)는 제1 텐션 아암(58)과 제1 텐션 롤러(59)와 제2 텐션 아암(60)과 제2 텐션 롤러(61)와 텐션 스프링(6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텐션 아암(58)은 전동축(3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텐션 아암(58)의 선단부에는 제1 텐션 롤러(5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텐션 롤러(59)는, 전동 벨트(56) 중 하측 경로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제1 텐션 아암(58)의 기단부에는, 텐션 스프링(62)이 설치되는 설치부(63)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텐션 아암(60)은 제1 텐션 아암(58)과 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텐션 아암(58)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텐션 아암(60)의 선단부에는 제2 텐션 롤러(6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텐션 롤러(61)는, 전동 벨트(56) 중 상측 경로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텐션 스프링(62)은 제1 텐션 아암(58) 및 제2 텐션 아암(60)을, 요동 축심 Y2 주위에서 텐션 부여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고 있다. 텐션 스프링(62) 중 설치부(63)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로드(64)에 설치되어 있다. 로드(64)는 스테이(65)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65)는 배출 짚 프레임(50){전방 프레임(67)}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65)에 대한 로드(64)의 위치 조정에 의하여 텐션 스프링(62)의 가압력이 변화된다.
〔배출 짚 프레임〕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프레임(50)은 전방 스테이(51) 및 후방 스테이(52)를 통하여,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있어서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지지하고 있다. 배출 짚 프레임(50)은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 짚 프레임(50)은 기단 프레임(66)과 전방 프레임(67)과 후방 프레임(68)과 유단 프레임(69)을 구비하고 있다. 1개의 환형 파이프가 꺾여 구부러져 전방 프레임(67), 후방 프레임(68) 및 유단 프레임(69)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전방부가 전방 스테이(51)를 통하여 유단 프레임(69)에 지지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가 후방 스테이(52)를 통하여 후방 프레임(68)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에 지지되어 있다.
배출 짚 프레임(50)은, 배출 짚 반송 장치(12)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배출 짚 반송 장치(12)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요동 축심 Y2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다. 배출 짚 프레임(50)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7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다. 배출 짚 프레임(50)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전후 1쌍의 가스 댐퍼(71)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 댐퍼(71)는 배출 짚 프레임(50){전방 프레임(67)}과 하측 스테이(7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67)에는, 가스 댐퍼(71)가 연결되는 상측 스테이(73)가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 프레임(66)은, 배출 짚 프레임(50)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 프레임(66)은, 전방부측을 구성하는 전방부측 프레임부(74)와, 후방부측을 구성하는 후방부측 프레임부(75)와, 전방부측 프레임부(74)와 후방부측 프레임부(75)에 걸친 연결 프레임부(76)를 구비하고 있다.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전방부측 프레임부(74)}이 전후 1쌍의 스테이(77)을 통하여 지지축(70)에 지지되어 있다.
기단 프레임(66) 중 연결 프레임부(76)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하방으로 푹 꺼진 단차부(66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부(76)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홈형판(78)과, 연결판(79)을 구비하고 있다. 홈형판(78)은 전방부측 프레임부(74)의 하면과 후방부측 프레임부(75)의 하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홈형판(78)의 내부에는, 홈형판(78)에 있어서의 좌측 벽과 우측 벽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판(79)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67)은 기단 프레임(66)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지지축(70)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68)은 기단 프레임(66)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지지축(70)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유단 프레임(69)은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단 프레임(69)은, 전방 프레임(67)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 및 후방 프레임(68)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유단 프레임(69)은, 하강 위치에 있어서,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우측 인근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인접하고 있다.
지지축(70)은 전동축(34)과는 다른 축이며, 또한 전동축(34)을 지지하는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지지되어 있다. 전동축(34)과 지지축(70)은 동일한 축심(요동 축심 Y2) 상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축(70)은 배출 짚 반송 공간 S의 전후 중도부{경사부(35a)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개소}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은 지지축(70)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지지축(70)은 전후 1쌍의 스테이(80)를 통하여 브래킷(81)에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81)은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의 하면에 현수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80)는 브래킷(81)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의 스테이(80)에는 하측 스테이(72)가 지지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이 위치 어긋남(기체 전후 방향 등으로 위치 어긋남)되지 않도록,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유단 프레임(69)}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82)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82)는, 갈고리부(83)와, 갈고리부(83)가 삽입되는 피삽입부(84)를 구비하고 있다. 갈고리부(83)는 스테이(85)를 통하여 유단 프레임(69)에 지지되어 있다. 갈고리부(83)는 스테이(85)에, 볼트(86)에 의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삽입부(84)는 후방부 프레임(37)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갈고리부(83)가 피삽입부(84)에 삽입됨으로써,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이 위치 어긋남(기체 전후 방향 등으로 위치 어긋남)되지 않도록,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유단 프레임(69)}이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결정된다.
〔연결 기구〕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40){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배출 짚 프레임(50){유단 프레임(69)}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87)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기구(87)는,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배출 짚 프레임(50)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유단 프레임(69)}를 연결 가능하다. 연결 기구(87)는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상부와 유단 프레임(69)의 상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연결 기구(87)는 상부측 고정 브래킷(88)과 배출 짚측 고정 브래킷(89)과 연결 브래킷(90)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측 고정 브래킷(88)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배출 짚측 고정 브래킷(89)은 유단 프레임(69)의 전방부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연결 브래킷(90)은 상부측 고정 브래킷(88)의 상면과 배출 짚측 고정 브래킷(89)의 상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연결 브래킷(90)은 상부측 고정 브래킷(88) 및 배출 짚측 고정 브래킷(89)의 각각에 대하여, 볼트(91)에 의하여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 기구(87)는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 및 유단 프레임(69)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하다.
〔내측 로크 기구〕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의 기단측{기단 프레임(66)}을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92)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로크 기구(92)는,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한다. 내측 로크 기구(92)는 내측 훅(93)과 내측 훅 핀(94)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 훅(93)은, 기단 프레임(66) 중 연결 프레임부(76){홈형판(78)}의 우측 벽에, 볼트(95)에 의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내측 훅(93)은 전후 1쌍의 훅부(93a)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의 훅부(93a)와 후방측의 훅부(93a)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판(93b)이 설치되어 있다.
내측 훅 핀(94)은 제1 스테이(96) 및 제2 스테이(97)를 통하여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스테이(96)는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제2 스테이(97)는 제1 스테이(96)에, 볼트(98)에 의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내측 훅 핀(94)은 제2 스테이(97)에 있어서의 전방벽부와 후방벽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내측 로크 기구의 동작〕
내측 로크 기구(92)는,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걸림 결합하고, 또한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대한 걸림 결합을 해제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내측 훅(93)이 내측 훅 핀(94)에 걸림 결합한다.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내측 훅 핀(94)에 대한 내측 훅(93)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여기서,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할 때 내측 훅 핀(94)이 단차부(66a) 내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하여,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하 요동할 때 기단 프레임(66)이 내측 훅 핀(94)과 간섭하는 일이 없다.
〔외측 로크 기구〕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유단 프레임(69)}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하는 외측 로크 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로크 기구(100)는 외측 훅(101)과 외측 훅 핀(102)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훅(101)은 기초부(101a)와 훅부(101b)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101b)는 기초부(101a)에, 볼트(103)에 의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외측 훅 핀(102)은, 후방부 프레임(37)의 좌측 인근에 있어서, 후방부 프레임(37)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훅 핀(102)은 제1 스테이(104) 및 제2 스테이(105)(도 14 참조)를 통하여 후방부 프레임(37)에 지지되어 있다.
외측 로크 기구(100)는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후방부를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한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후방부 프레임(37)이 외측 로크 기구(100)에 의하여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후방부 프레임(37)이 외측 로크 기구(10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후방부 프레임(37)이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우측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즉, 후방부 프레임(37)에, 외측 로크 기구(100)에 의하여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연결된 상태에서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인접하는 부분이 구비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후방부 프레임(37)이 외측 로크 기구(10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유단 프레임(69)이 상하 방향에서 후방부 프레임(37)과 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후방부 프레임(37)이 외측 로크 기구(10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유단 프레임(69)이 후방부 프레임(37)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후방부 프레임(37)과 접하고 있다. 즉, 유단 프레임(69)이 후방부 프레임(37)과 연결 기구(87){배출 짚측 고정 브래킷(89)}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져 있다(샌드위치 구조).
〔링크 기구〕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 로크 기구(42){후방측의 훅 플레이트(43)}와 외측 로크 기구(100){외측 훅(101)}를 연동 연결하는 링크 기구(106)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106)는 제1 링크 아암(107)과 제2 링크 아암(108)과 링크 로드(10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 아암(107)은 후방측의 훅 플레이트(43)의 기단부에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 아암(107)과 제2 링크 아암(108)은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 로드(109)는 전방 스테이(110) 및 후방 스테이(111)를 통하여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에 지지되어 있다. 링크 로드(109)는 전방 스테이(110) 및 후방 스테이(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링크 로드(109)의 전단부에는 제2 링크 아암(108)이 상대 요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 로드(109)의 후단부에는 외측 훅(101)이 상대 요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승강 조작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조작용의 승강 조작부(112)가 운전부(4)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 조작부(112)는 전원 스위치(113)와 상승 스위치(114)와 하강 스위치(115)를 구비하고 있다. 상승 조작할 때는, 상승 스위치(114)와 전원 스위치(113)를 동시에 누름 조작한다. 상승 스위치(114)와 전원 스위치(113)를 동시에 누름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상승 조작이 행해진다. 하강 조작할 때는 하강 스위치(115)와 전원 스위치(113)를 동시에 누름 조작한다. 하강 스위치(115)와 전원 스위치(113)를 동시에 누름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하강 조작이 행해진다. 승강 조작부(112)가 운전부(4)에 추가하여{또는 운전부(4) 대신}, 작업자가 기기 외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탈곡 장치(10)의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후방측 상부 커버〕
도 2, 도 6,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반송 장치(12)를 후방측 상방으로부터 덮는 후방측 상부 커버(116)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 상부 커버(116)는 본체부(117)와 상방 부분(118)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17)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절결부(117a)를 갖고 있다. 절결부(117a)는, 평면에서 보아, 횡으로 긴 대략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17a)의 전방측 에지의 길이(기체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절결부(117a)의 후방측 에지의 길이(기체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다.
상방 부분(118)은, 후방측 상부 커버(116) 중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방 부분(118)은, 평면에서 보아,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와 중복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은, 절결부(117a)를 막도록 절결부(117a)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은, 상방 부분(118)의 후방부측에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19)을 통하여 본체부(117)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은, 상방 부분(118)의 후방부측에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19)을 중심으로 하여, 배출 짚 반송 공간 S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배출 짚 반송 공간 S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하다.
〔연동 기구〕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방 부분(118)을 개방 위치측으로 요동시키는 연동 기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연동 기구(120)는 아암(121)과 롤러(122)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121)은 배출 짚 프레임(50){후방 프레임(68)}으로부터 상방 부분(118)의 하방 개소까지 연장되어 있다. 아암(121)의 선단부에, 접촉부(126c)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롤러(122)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122)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아암(121)은 아암 스테이(123)에, 볼트(124)에 의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아암 스테이(123)는 후방 프레임(68)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본체부(117)의 내면부에는 본체부 스테이(125)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의 내면부에는 상방 부분 스테이(126)가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본체부 스테이(125)와 상방 부분 스테이(126)에 걸쳐 지지축(119)이 설치되어 있다. 상방 부분 스테이(126)는, 지지축(119)을 지지하는 좌우 1쌍의 지지부(126a)와, 스프링(127)이 설치되는 설치부(126b)와, 롤러(122)가 접촉 가능한 접촉부(126c)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126c)는, 상방 부분(118)의 내면을 따라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부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을 폐쇄 위치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27)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27)은 상방 부분(118)과 본체부(117)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27) 중 상방 부분(118)측의 단부는 설치부(126b)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17)에는, 스프링(127)이 설치되는 설치부(128)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27) 중 본체부(117)측의 단부는 설치부(128)에 설치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은, 평면에서 보아, 절결부(117a)보다도 약간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의 테두리부가, 본체부(117) 중 절결부(117a)에 대응하는 테두리부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상방 부분(118)이 폐쇄 위치보다도 하측으로 요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즉, 상방 부분(118)의 테두리부와, 본체부(117) 중 절결부(117a)에 대응하는 테두리부로, 상방 부분(118)을 폐쇄 위치보다도 하측으로 요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129)가 구성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승강 동작〕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승강 조작부(112)에 의하여 상승 조작을 행하면, 모터 M에 의하여,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3)가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급동 훅 핀(44)에 대한 훅 플레이트(43){훅부(43a)}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후방측의 훅 플레이트(43)의 걸림 결합 해제측에의 요동에 연동하여 외측 훅(101)이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연결 기구(87)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는, 도 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훅 핀(102)에 대한 외측 훅(101)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그때,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과 함께 급동(11)이나 벨트 전동 기구(53), 텐션 클러치 기구(57)도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따라서 벨트 전동 기구(53)에 있어서의 풀리{구동 풀리(54), 종동 풀리(55)}의 위치 관계가 변화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내측 훅 핀(94)에 대한 내측 훅(93)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이렇게 하여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한다.
또한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면,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아암(121)이 롤러(122)을 통하여 상방 부분(118)을 밀어올린다. 이렇게 하여,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방 부분(118)이 개방 위치측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승강 조작부(112)에 의하여 하강 조작을 행하면, 유압 실린더(41)의 압축 동작에 수반하여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방으로 요동된다.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내측 훅(93)이 내측 훅 핀(94)에 걸림 결합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면, 모터 M에 의하여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3)가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훅 플레이트(43){훅부(43a)}가 급동 훅 핀(44)에 걸림 결합한다. 그리고 후방측의 훅 플레이트(43)의 걸림 결합측에의 요동에 연동하여 외측 훅(101)이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된다.
한편,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연결 해제 상태)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훅 핀(102)에 대한 외측 훅(101)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 중 상부 프레임(40)만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그때, 상부 프레임(40)과 함께 급동(11)이나 텐션 클러치 기구(57)도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 중 상부 프레임(40)만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경우에는, 미리 전동 벨트(56)를 구동 풀리(54)로부터 떼어내어 둘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여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 중 상부 프레임(40)만이 상기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을 가스 댐퍼(7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기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 짚 반송 장치(12)가 배출 짚 프레임(50)으로부터 떼어냄 가능한바, 배출 짚 반송 장치(12)를 배출 짚 반송 장치(12)로부터 떼어내면, 배출 짚 프레임(50)만을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이하, 「제1 모드」라 함)와,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이하, 「제2 모드」라 함)로 전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5 내지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40)의 상승 한계 높이와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승 한계 높이는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 H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40)의 요동 각도와 배출 짚 프레임(50)의 요동 각도는 동일한 요동 각도 α로 설정되어 있다.
제2 모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40)의 상승 한계 높이와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프레임(40)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승 한계 높이 H1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승 한계 높이 H1보다도 낮은 위치(상승 한계 높이 H2)로 설정되어 있다. 즉, 유압 실린더(41)에 의한 상부 프레임(40)의 상승 한계 높이 H1은, 가스 댐퍼(71)에 의한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승 한계 높이 H2보다도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40)의 요동 각도와 배출 짚 프레임(50)의 요동 각도는 상이한 요동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프레임(40)의 요동 각도는 요동 각도 α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배출 짚 프레임(50)의 요동 각도는 요동 각도 α보다도 작은 각도(요동 각도 β)로 설정되어 있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의 승강 기구로서, 상부 프레임(40)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유압 실린더(41)와, 배출 짚 프레임(50)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가스 댐퍼(71)와,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87)가 구비되어 있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연결 기구(87)가,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26에는,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연결 기구(8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연결 상태). 이 연결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일체적으로 상승하도록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미리 가스 댐퍼(71)와 배출 짚 프레임(50)의 연결을 해제해 둠으로써,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의 최대 신장 길이(상승 한계 높이 H2에 대응)를 넘어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상승하더라도 가스 댐퍼(71)가 손괴되는 일이 없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다(연결 해제 상태). 이 연결 해제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40)이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상승하도록 상부 프레임(4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한계 높이 H2까지 상승하도록 배출 짚 프레임(50)을 가스 댐퍼(7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40)에, 배출 짚 프레임(50)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압박부(40a)가 구비되고, 가스 댐퍼(71) 중 배출 짚 프레임(50)측의 단부에,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에 대하여 상방에 이격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어도 된다.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하는 예에서도, 연결 기구(87)가,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29에는,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연결 기구(8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연결 상태). 이 연결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일체적으로 상승하도록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그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 댐퍼(71) 중 배출 짚 프레임(50)측의 단부에,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에 대하여 상방에 이격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의 최대 신장 길이(상승 한계 높이 H2에 대응)를 넘어 상승하면,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된다. 이것에 의하여,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의 최대 신장 길이(상승 한계 높이 H2에 대응)를 넘어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상승하더라도 가스 댐퍼(71)가 손괴되는 일이 없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다(연결 해제 상태). 이 연결 해제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40)이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상승하도록 상부 프레임(4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한계 높이 H2까지 상승하도록 배출 짚 프레임(50)을 가스 댐퍼(7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상부 프레임(40)이 하강할 때, 압박부(40a)가 배출 짚 프레임(50)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함으로써, 가스 댐퍼(71)가 자동적으로 압축 동작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부 프레임(40)과 함께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한다.
또한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하는 예나, 도 29 내지 도 3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배출 짚 프레임(50)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하는 로크 기구(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모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40)이 상승하더라도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하여 배출 짚 프레임(50)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유압 실린더(41) 대신, 상부 프레임(40)을 상하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전동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를 채용하고, 또한 가스 댐퍼(71) 대신, 배출 짚 프레임(50)을 상하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전동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를 채용해도 된다. 전동 액추에이터는 전동 모터 및 전동 실린더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이 구비되게 된다.
이 예에서는, 제2 모드에 있어서, 작업자가 승강 조작부(112)에 의하여 상승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한계 높이 H2까지 상승하면,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한계 높이 H2에서 일단 정지한다. 그 후, 다시 작업자가 승강 조작부(112)에 의하여 상승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부 프레임(40)만이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상승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승강 조작부(112)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제1 모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을 승강 조작하는 승강 조작부(상승 스위치, 하강 스위치)와, 제2 모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40)을 승강 조작하는 승강 조작부(상승 스위치, 하강 스위치)와, 제2 모드에 있어서, 배출 짚 프레임(50)을 승강 조작하는 승강 조작부(상승 스위치, 하강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로크 기구(100)가 채용되어 있다. 그 대신 외측 로크 기구(200)가 채용되어 있어도 된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로크 기구(200)는 외측 훅(201)과 외측 훅 아암(202)과 외측 훅 스프링(203)과 외측 훅 핀(102)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훅(201)은 지지축(204)을 통하여 후방 스테이(111)의 후방면부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측 훅(201)과 후방 스테이(111)의 후방면부에 걸쳐, 외측 훅(201)을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는 외측 훅 스프링(203)이 설치되어 있다. 외측 훅 아암(202)은 링크 로드(109)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외측 훅(201)에는 개구부(201a)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훅 아암(202)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핀(202a)이 설치되어 있다. 핀(202a)은 개구부(201a)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측 훅 아암(202)이 핀(202a)을 통하여 개구부(201a)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외측 훅 핀(102)이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한다. 그때, 외측 훅 스프링(203)의 가압력에 의하여, 외측 훅 핀(102)에 대한 외측 훅(201)의 걸림 결합을 재빨리 행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 프레임(66)에 단차부(6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 프레임(66)에, 단차부(66a)에 상당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내측 훅(93)의 상하 위치가 상기 실시 형태보다도 높아지기 때문에, 내측 훅 핀(94)의 상하 위치를 상기 실시 형태보다도 높게 하면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환판(29a)이 개방된 상태(절단 위치의 상태)이면, 전환판(29a)이 폐쇄된 상태(비절단 위치의 상태)로 전환된 후,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해 있는 상태에서는, 전환판(29a)이 개방된 상태(절단 위치의 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87)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상부와 유단 프레임(69)의 상부에 걸쳐 있다. 그러나 그 대신, 연결 기구(87)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하부와 유단 프레임(69)의 하부에 걸쳐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87)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 및 유단 프레임(69)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하다. 그러나 그 대신, 연결 기구(87)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 및 유단 프레임(69)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87)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유단 프레임(69)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그 대신, 연결 기구(87)가 상부 프레임(40) 중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 이외의 부분과, 배출 짚 프레임(50) 중 유단 프레임(69) 이외의 부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함께 급동(11)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다. 그러나 그 대신, 상부 프레임(40)만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87)가 볼트식{볼트(91)}의 연결 구조이다. 그러나 그 대신, 연결 기구(87)가 레버 등에 의한 원터치식의 연결 구조여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실린더(41) 및 가스 댐퍼(71)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그 대신, 유압 실린더(41)만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87)가 볼트식{볼트(91)}의 연결 구조이다. 그러나 그 대신, 연결 기구(87)가 레버 등에 의한 원터치식의 연결 구조여도 된다.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이 지지축(70)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 대신,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이 지지축(70)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전후 중앙부가 지지축(70)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1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로크 기구(92)가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한다. 그러나 그 대신, 내측 로크 기구(92)가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을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해도 된다. 또한 내측 로크 기구(92)가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전후 중앙부를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해도 된다.
(1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로크 기구(92)가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하 요동에 추종하여 걸림 결합 및 걸림 결합 해제를 행한다. 그러나 그 대신, 내측 로크 기구(93)가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하 요동과는 별도로 걸림 결합 및 걸림 결합 해제를 행해도 된다.
(1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가 후방 프레임(68)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에 지지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전방부가 유단 프레임(69)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 대신,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가, 배출 짚 프레임(50)에 있어서의 후방 프레임(68)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 이외의 부분에 지지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전방부가, 배출 짚 프레임(50)에 있어서의 유단 프레임(69) 이외의 부분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캐빈을 갖는 콤바인 외에, 캐빈이 없는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9: 피드 체인
10: 탈곡 장치
11: 급동
12: 배출 짚 반송 장치
36L: 전후 방향 프레임
36R: 전후 방향 프레임(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
37: 후방부 프레임(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
38: 상부 커버
40: 상부 프레임
40a: 압박부
41: 유압 실린더(액추에이터)
50: 배출 짚 프레임
66: 기단 프레임
67: 전방 프레임(횡 프레임)
68: 후방 프레임(횡 프레임)
69: 유단 프레임(외측 프레임)
70: 지지축
71: 가스 댐퍼(제2 액추에이터)
87: 연결 기구(전환 기구, 연결 기구)
92: 내측 로크 기구
100: 외측 로크 기구
H1: 상승 한계 높이
H2: 상승 한계 높이
Y2: 요동 축심

Claims (18)

  1.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상태가 해제된 연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상기 상부 프레임만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한,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를 연결 가능한,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요동 축심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횡 프레임과, 상기 횡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강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 가능한, 콤바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부에 걸쳐 있는, 콤바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한, 콤바인.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기체 후방측 상부에 설치된 후방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후방부 프레임이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프레임에,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인접하는 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후방부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부분이 상하 방향에서 상기 후방부 프레임과 접하고 있는, 콤바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급동이 지지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함께 상기 급동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한, 콤바인.
  9.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가스 댐퍼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압박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댐퍼 중 상기 배출 짚 프레임측의 단부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가스 댐퍼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는, 콤바인.
  14.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중앙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탈곡 장치의 좌우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됨과 함께,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는 측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을, 좌우의 상기 측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유단측을, 좌우의 상기 측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외측 로크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크 기구는,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걸림 결합하고, 또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대한 걸림 결합을 해제하는, 콤바인.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은 프레임형이고,
    상기 배출 짚 프레임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에 설치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 프레임과, 상기 기단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지지축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기단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지지축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유단측에 설치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단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이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고,
    상기 내측 로크 기구는 상기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고,
    상기 외측 로크 기구는 상기 유단 프레임을, 상기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콤바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후방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에 지지되고,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전방부가 상기 유단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외측 로크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후방부를, 상기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콤바인.
KR1020170171048A 2016-12-22 2017-12-13 콤바인 KR10258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439A KR20230141677A (ko) 2016-12-22 2023-09-20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9924 2016-12-22
JP2016249927A JP6849427B2 (ja) 2016-12-22 2016-12-22 コンバイン
JPJP-P-2016-249926 2016-12-22
JP2016249924A JP6612731B2 (ja) 2016-12-22 2016-12-22 コンバイン
JPJP-P-2016-249927 2016-12-22
JP2016249926A JP6611696B2 (ja) 2016-12-22 2016-12-22 コンバイン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439A Division KR20230141677A (ko) 2016-12-22 2023-09-20 콤바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457A true KR20180073457A (ko) 2018-07-02
KR102582467B1 KR102582467B1 (ko) 2023-09-26

Family

ID=626525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048A KR102582467B1 (ko) 2016-12-22 2017-12-13 콤바인
KR1020230125439A KR20230141677A (ko) 2016-12-22 2023-09-20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439A KR20230141677A (ko) 2016-12-22 2023-09-20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82467B1 (ko)
CN (1) CN1082072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567A (ko) * 2018-09-21 2020-03-3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2147U (ko) * 1981-05-30 1982-12-06
JP2012050339A (ja) 2010-08-31 2012-03-15 Iseki & Co Ltd 脱穀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9823A (ja) * 1988-07-28 1990-02-0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ストローラツク
JPH09117218A (ja) * 1996-09-13 1997-05-06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排藁処理装置
JP2000316365A (ja) * 1999-05-17 2000-11-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000025A (ja)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CN201069915Y (zh) * 2006-12-04 2008-06-11 谢下福 多功能联合收割机
JP5200445B2 (ja) * 2007-07-31 2013-06-0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2065597A (ja) * 2010-09-24 2012-04-0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CN102172122B (zh) * 2011-02-24 2012-12-19 何嘉俊 一种联合收割机
JP2012231713A (ja) * 2011-04-28 2012-11-2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排ワラ処理部構造
JP5984619B2 (ja) * 2012-10-18 2016-09-0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油圧シリンダ連結構造
JP2015181389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クボタ トウモロコシ収穫機
CN113812267B (zh) * 2014-08-05 2023-07-11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以及装载在该联合收割机的脱粒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2147U (ko) * 1981-05-30 1982-12-06
JP2012050339A (ja) 2010-08-31 2012-03-15 Iseki & Co Ltd 脱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677A (ko) 2023-10-10
KR102582467B1 (ko) 2023-09-26
CN108207288A (zh) 2018-06-29
CN108207288B (zh)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731B2 (ja) コンバイン
JP7203134B2 (ja) コンバイン
KR20230141677A (ko) 콤바인
JP2021184776A5 (ko)
JP6693862B2 (ja) コンバイン
KR20180073463A (ko) 콤바인
JP6947622B2 (ja) コンバイン
JP6611696B2 (ja) コンバイン
JP6914310B2 (ja) コンバイン
JP6922029B2 (ja) コンバイン
JP4084529B2 (ja) 汎用コンバインのセカンドモア
JP2014079222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6833624B2 (ja) コンバイン
KR20180133324A (ko) 콤바인
JP2021090473A (ja) コンバイン
KR20180133325A (ko) 콤바인
JP2021164489A (ja) コンバイン
JP2021090473A5 (ko)
JPH0638608A (ja) 汎用形コンバイン
JP6847025B2 (ja) コンバイン
JP4031948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6615084B2 (ja) コンバイン
JP6073057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2021065241A (ja) コンバイン
JP6858651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