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112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112A
KR20190071112A KR1020170171861A KR20170171861A KR20190071112A KR 20190071112 A KR20190071112 A KR 20190071112A KR 1020170171861 A KR1020170171861 A KR 1020170171861A KR 20170171861 A KR20170171861 A KR 20170171861A KR 20190071112 A KR20190071112 A KR 20190071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ate
ignition
position information
gear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548B1 (ko
Inventor
김선일
최지혁
이창현
구자용
원도연
남민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5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은 차량의 전원 상태에 따른 차량 변속단을 인식하여 변속단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인히비터 스위치;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검출되는 차량 변속단으로 변속 제어하기 위한 변속기 제어기;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인식된 최종 변속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인히비터 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최종 변속단 정보 또는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자동변속시스템은 AT(Automatic Transmission) 변속기의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출력하는 주차(P)단 신호, 후진(R)단 신호, 중립(N)단 신호, 주행(D)단 신호와 AT 레버의 P단 스위치에서 출력하는 주차(P)단 신호를 참고하여 변속을 제어한다.
차량은 상술한 AT 변속기 및 AT 레버로부터 송출되는 차량 변속단 신호를 기초로 롤 어웨이 방지, 도난 방지, 원격 시동 제어, 배터리 보호 등을 비롯한 다양한 부가 기능에 활용한다.
한편,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일 때, AT 변속기는 IG1 전원에서 주차(P)단 신호를 송출하고,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오프(IG OFF), 액세서리(ACC)일 때, AT 레버는 B+ 전원에서 주차(P)단 신호를 송출한다.
운용자는 상술한 차량단위 관점에서 주차(P)단 신호 송출이 중복되므로 이와 관련된 구성을 보다 간략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개시된 실시예는 AT(Automatic Transmission) 변속기만으로 주차(P)단 정보를 인식하여 차량의 부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전원 상태에 따른 차량 변속단을 인식하여 변속단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인히비터 스위치;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검출되는 차량 변속단으로 변속 제어하기 위한 변속기 제어기;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인식되는 최종 변속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최종 변속단 정보 또는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액세서리(ACC) 상태 또는 이그니션 오프(IG OFF)로 전환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그니션 온(IG ON)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액세서리 상태로 전환하고, 운전석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롤 어웨이 경고 메시지의 출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운전자 경고를 시각 또는 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고, 도어의 잠금 또는 도어 개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스티어링 잠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에서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 원격 시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액세서리(ACC) 상태에서 타임 카운트가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 또는 액세서리 상태로의 전환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에 따라 최종 변속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액세서리 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운전석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롤 어웨이 경고 메시지의 출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 어웨이 경고 메시지의 출력여부를 판단하는 것에서,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운전자 경고를 시각 또는 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도어의 잠금 또는 도어 개폐가 인식되고,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스티어링 잠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잠금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서,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스티어링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스티어링을 미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시키고,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현재 변속단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 원격 시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원격 시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서,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차량 원격 시동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복귀하고 차량 원격 시동을 미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전원 상태가 액세서리(ACC)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타임 카운트를 실행하고, 상기 타임 카운트가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하고,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현재 변속단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 보호 모드를 구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보호 모드를 구동하는 것에서,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액세서리 (ACC)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보호 모드를 구동하는 것에서,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액세서리(ACC) 상태로 복귀할 때, 상기 타임 카운트를 초기화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인식되는 최종 변속단 정보의 저장 및 일시적 이그니션 온 전원 공급을 통해 AT(Automatic Transmission) 변속기만으로 주차(P)단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AT 변속기만으로 주차(P)단 정보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AT 레버의 주차(P)단 스위치를 생략할 수 있어 차량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또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블록'이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외관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윈드 스크린(windscreen)(11),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3) 및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바퀴(21)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뒷바퀴(22)를 포함하여 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드 스크린(11)은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2)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3)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차량(1)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바퀴(21, 22)를 회전시키는 동력 장치(16), 차량(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조향 장치(미도시), 바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16)는 본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앞바퀴(21) 또는 뒷바퀴(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동력 장치(16)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받는 조향 핸들(도 2의 42), 조향 핸들(42)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21)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제동 조작을 입력받는 제동 페달(미도시), 바퀴(21, 22)와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미도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는 바퀴(21, 2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1)의 내부는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14), 차량(1)의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5), 차량(1)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51, 52),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 안내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까지 제공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7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14)는 윈드 스크린(11)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14)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석(15)은 대시 보드(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의 전방과 대시 보드(14)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 표시부(51, 52)는 대시 보드(14)의 운전석(15) 측에 마련되며, 차량(1)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5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70)은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운전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1)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가 일체화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내비게이션(70)은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페시아는 대시 보드(14)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시 보드(14)와 시프트레버가 수직으로 만나는 영역이며, 이곳에는 내비게이션(70)을 비롯하여 에어콘, 히터의 컨트롤러, 송풍구, 시거잭과 재떨이, 컵홀더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는 센터콘솔과 함께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70)을 비롯한 각종 구동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그 다이얼(60)을 구비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조그 다이얼(60)은 회전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여 구동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도구를 이용하여 구동 조작을 위한 필기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차량은 운전자의 변속 조작 운동을 변속 케이블에 전달하기 위한 변속 레버, 변속 케이블을 통해 변속 레버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초로 변속단(주차(P)단, 후진(R)단, 중립(N)단, 주행(D)단)을 검출하여 송신하기 위한 인히비터 스위치, 인히비터 스위치를 통해 전달되는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변속 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변속 제어기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이모빌 라이저 제어기(Immobilizer Control Unit, ICU), 전달되는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차량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트 포지션을 제어하기 위한 IMS(Intelligent Memory Syste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디스플레이(140), 인히비터 스위치(150), 변속기 제어기(TCU)(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교통 메시지 채널(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RDS-TMC),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교통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교통정보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차량(100) 내부의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내부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100)의 내부 통신 프로토콜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이더넷(Ethern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차량 내에서 사용자가 각종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14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저장부(130)는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인식되는 최종 변속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각종 안내, 주의 경고와 같이 운전자가 인지해야 할 알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히비터 스위치(150)는 차량(100)의 전원 상태에 따른 차량 변속단을 인식하여 변속단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술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히비터 스위치(150)에서 송출된 변속단 신호를 변속기 제어기(160)로 전달되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히비터 스위치(150)에서 직접 제어부(170)로 차량 변속단 정보를 전달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변속기 제어기(160)는 인히비터 스위치(150)에서 검출되는 차량 변속단으로 변속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히비터 스위치(150)로부터 제공되는 최종 변속단 정보 또는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부가기능은 롤 어웨이 방지 기능, 차량 도난방지 기능, 원격시동 기능 및 배터리 보호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차량(100)의 전원 상태가 액세서리(ACC) 상태 또는 이그니션 오프(IG OFF)로 전환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그니션 온(IG ON)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그니션 온 전원 공급은 인히비터 스위치(150)를 통해 변속단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것으로서, 이로 인해, 기존에 액세서리 상태 또는 이그니션 오프 상태에서 변속레버의 주차(P)단 스위치에서 제공받고 주차(P)단 신호를 주차단 스위치를 차량 내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차량(100)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액세서리(ACC) 상태로 전환하고, 운전석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롤 어웨이 경고 메시지의 출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운전자 경고를 시각 또는 청각 형태로 출력하여, 롤 어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차량(100)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이그니션 오프(IG OFF)(도 5의 전원 OFF) 상태로 전환하고, 도어의 잠금 또는 도어 개폐가 인식되는 경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스티어링 잠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스티어링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스티어링을 미잠금 상태로 유지하여,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차량(100)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에서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100)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도 5의 전원 OFF -> IG ON)한 후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 원격 시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일시적으로 이그니션 온(IG1) 전원을 공급하여 인히비터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현재 변속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70)는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차량 원격 시동을 수행하고,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복귀하고 차량 원격 시동을 미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차량(100)의 전원 상태가 액세서리(ACC) 상태에서 타임 카운트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도 5의 60분)을 경과한 경우, 차량(100)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하고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 또는 액세서리 상태로의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일시적으로 이그니션 온(IG1) 전원을 공급하여 인히비터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현재 변속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70)는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차량(100)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고,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액세서리(ACC)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100)은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가 발생되면,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에 따라 최종 변속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210, 220).
다음, 차량(100)은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액세서리(ACC) 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230).
다음, 차량(100)은 운전석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240).
다음, 차량(100)은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롤 어웨이 경고 메시지의 출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운전자 경고를 시각 또는 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250, 260).
다음, 차량(100)은 경고 출력 후 설정시간 후 경고를 종료할 수 있다(270).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100)은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가 발생되면,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에 따라 최종 변속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310, 320).
다음, 차량(100)은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330).
다음, 차량(100)은 도어의 잠금 또는 도어 개폐가 인식할 수 있다(340).
이때, 도어 잠금은 리모트 키리스 렌트리 락(Remote Keyless Entry LOCK, RKE LOCK) 또는 사용자가 키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잠그는 수동 락(Passive Lock)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스티어링 잠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스티어링을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350, 360).
만약,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차량(100)은 스티어링을 미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370).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100)은 차량(100)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410, 420). 즉, 차량(100)은 전원 오프 상태에서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차량(100)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430). 이때, 차량(100)은 일시적으로 이그니션 온(IG1) 전원을 공급하여 인히비터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현재 변속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다음, 차량(100)은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현재 변속단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440).
다음, 차량(100)은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 원격 시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차량 원격 시동을 수행할 수 있다(450, 460).
만약,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차량(100)은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복귀하고 차량 원격 시동을 미 수행할 수 있다(470, 480).
도 9는 또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100)은 차량의 전원 상태가 액세서리(ACC)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타임 카운트를 실행할 수 있다(510, 520). 즉, 차량(100)은 액세서리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타임 카운트를 실행하는 것이다.
다음, 차량(100)은 타임 카운트가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예를 들어, 60min 이상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30).
확인 결과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경우, 차량(100)은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하고,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현재 변속단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540, 550). 이때, 현재 변속단 정보는 인히비터 스위치로부터 제공되어 TCU를 통해 제어부(SMK)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 보호 모드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오프(IG OFF)(도 9의 전원 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560, 570).
만약,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차량(100)은 차량의 전원 상태를 액세서리(ACC)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580). 차량(100)은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액세서리(ACC) 상태로 복귀할 때, 타임 카운트를 초기화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100 : 차량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저장부
140 : 디스플레이
150 : 인히비터 스위치
160 : TCU
170 : 제어부

Claims (17)

  1. 차량의 전원 상태에 따른 차량 변속단을 인식하여 변속단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인히비터 스위치;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검출되는 차량 변속단으로 변속 제어하기 위한 변속기 제어기;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인식되는 최종 변속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최종 변속단 정보 또는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액세서리(ACC) 상태 또는 이그니션 오프(IG OFF)로 전환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그니션 온(IG ON)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액세서리 상태로 전환하고, 운전석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롤 어웨이 경고 메시지의 출력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운전자 경고를 시각 또는 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고, 도어의 잠금 또는 도어 개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스티어링 잠금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에서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 원격 시동 여부를 결정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액세서리(ACC) 상태에서 타임 카운트가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 또는 액세서리 상태로의 전환을 결정하는 차량.
  8.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에 따라 최종 변속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액세서리 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운전석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롤 어웨이 경고 메시지의 출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 어웨이 경고 메시지의 출력여부를 판단하는 것에서,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운전자 경고를 시각 또는 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온(IG ON) 상태에서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도어의 잠금 또는 도어 개폐가 인식되고,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스티어링 잠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잠금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서,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스티어링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최종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스티어링을 미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차량의 전원 상태가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시키고,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현재 변속단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차량 원격 시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원격 시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서,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차량 원격 시동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복귀하고 차량 원격 시동을 미 수행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차량의 전원 상태가 액세서리(ACC)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타임 카운트를 실행하고,
    상기 타임 카운트가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온(IG ON) 상태로 전환하고,
    인히비터 스위치 신호를 기초로 현재 변속단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 보호 모드를 구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호 모드를 구동하는 것에서,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인 경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현재 변속단 정보가 주차(P)단이 아닌 경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액세서리(ACC) 상태로 복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호 모드를 구동하는 것에서,
    상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액세서리(ACC) 상태로 복귀할 때, 상기 타임 카운트를 초기화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70171861A 2017-12-14 2017-12-1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5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861A KR102450548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861A KR102450548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112A true KR20190071112A (ko) 2019-06-24
KR102450548B1 KR102450548B1 (ko) 2022-10-04

Family

ID=6705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861A KR102450548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916A (ko) *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6071A (ko) * 1996-03-20 1997-10-13 김영귀 원격 안전 시동 장치 및 그 방법
JP2009061931A (ja) * 2007-09-06 2009-03-26 Mazda Motor Corp 車両の盗難防止装置
KR20130059805A (ko) * 2011-11-29 2013-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차 시 경사로 굴림 방지 방법
KR101462926B1 (ko) * 2013-12-06 2014-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및 자동 중립 주차 제어 방법
KR101728333B1 (ko) * 2015-11-26 2017-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6071A (ko) * 1996-03-20 1997-10-13 김영귀 원격 안전 시동 장치 및 그 방법
JP2009061931A (ja) * 2007-09-06 2009-03-26 Mazda Motor Corp 車両の盗難防止装置
KR20130059805A (ko) * 2011-11-29 2013-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차 시 경사로 굴림 방지 방법
KR101462926B1 (ko) * 2013-12-06 2014-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및 자동 중립 주차 제어 방법
KR101728333B1 (ko) * 2015-11-26 2017-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916A (ko) *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548B1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123B1 (ko)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차량
KR102327195B1 (ko) 차량의 원격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
KR102444390B1 (ko) 차량, 차량 보안 시스템 및 차량 보안 방법
US12093032B2 (en) Initiation of vehicle remote park-assist with key fob
KR101792034B1 (ko)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92487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customization
US9656605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87263B1 (ko) 차량 내 원격 제어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US20100131156A1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KR20190135124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235872B2 (en) Method for setting multi remote control in vehic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102450548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973159B1 (ko)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20190026343A (ko) 차량 진단 장치, 차량 진단 시스템 및 차량 진단 방법
KR10251822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3190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8996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17539B1 (ko)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KR102364419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5953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94001B1 (ko)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593132B2 (en) System for controlling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control command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71899A (ko)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6433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