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001B1 -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001B1
KR102494001B1 KR1020180076377A KR20180076377A KR102494001B1 KR 102494001 B1 KR102494001 B1 KR 102494001B1 KR 1020180076377 A KR1020180076377 A KR 1020180076377A KR 20180076377 A KR20180076377 A KR 20180076377A KR 102494001 B1 KR102494001 B1 KR 102494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rk current
vehicle
control mode
current control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513A (ko
Inventor
김우근
권진구
박명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0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전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통신부와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 모듈과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2채널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CUTTING OFF DARK CURRENT,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주행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주로 차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차륜을 이용하여 여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으로는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 자동차나, 건설 기계, 자전거 및 선로 상에 배치된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열차 등이 있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서는 램프류나 바디전장 부품, 멀티미디어 기기, 모터 구동장치 등 차량 내 전기를 소모하는 각종 전기장치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션 박스가 사용되고 있고, 이 정션 박스에는 외부 회로에 과전류나 과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퓨즈나 전원 공급을 개폐하는 릴레이들이 설치된다.
정션 박스에는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여러 전기장치들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 전기장치들이 소모하는 암전류(dark current)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개발된 스마트 정션 박스(Smart Junction Box, SJB)에는 모드 스위치 및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암전류로 인한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파워커넥터)가 적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배터리 전원의 차단 및 허용이 필요한 경우 매번 수동으로 파워커넥터를 온/오프 해야 하고, 전원 차단 및 허용을 위하여 매번 수동으로 파워커넥터를 온/오프 조작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자동으로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만,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스위치를 사용하여 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원가가 높아지거나 고객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암전류 차단 장치의 물리적인 스위치와 그에 따른 릴레이를 제거함에 따라 고객의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 생산의 원가를 낮추고자 한다.
운전자 또는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자동 제어 방법이 동작되는 암전류 차단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고객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 변환이 원활하게 동작하지 않았을 때 자동적으로 변환이 가능한 암전류 차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는,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통신부;와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 모듈;과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2채널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상기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부하만 전력을 소비하는 제 1모드에서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 이외의 부하도 전력을 소비하는 제 2모드로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출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제 2 모드를 유지시키는 토글 스위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 채널 출력부;는 제 1 입력단 및 제 2 입력단을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2채널 출력부의 상기 제 1 입력단 및 제 2 입력단으로 제어 신호를 직접(Direct)송출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제 1 입력단 및 상기 토글 스위치 모듈에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채널 출력부;는 제 1 출력단 및 제 2 출력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출력단은 상기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에서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로부터 직접 동작되는 부하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 2 출력단은 상기 제 1모드와 제 2 모드에서 상이하게 동작되는 부하에 동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상기 운전석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가 미리 설정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상기 운전석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한 차속 이상이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미리 저장된 단말기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든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이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송출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의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암전류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차량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상기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부하만 전력을 소비하는 제 1모드에서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 이외의 부하도 전력을 소비하는 제 2모드로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상기 운전석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가 미리 설정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상기 운전석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한 차속 이상이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미리 저장된 단말기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든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이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송출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의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물리적인 스위치와 릴레이를 제거함으로써 암전류 차단 장치를 소형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물리적인 스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동작 시켜야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가 변환되어야 하는 경우에 동작되지 않는 오작동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차량의 딜러가 수동으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신호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순서도이다.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개시된 실시예들은 개시된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개시된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개시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엔진, 모터, 배터리, 변속기 등과 같이 차량(1)에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1b), 수납 공간이 마련된 트렁크 리드(11c),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된 프런트 휀더(11d)와 쿼터 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1)의 측면에는 차체와 흰지 결합된 복수 개의 도어(15)가 마련될 수 있다.
후드(11a)와 루프 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19a)가 마련되고, 루프 패널(11b)과 트렁크 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19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의 상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 윈도우(19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램프(15, Headlamp)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램프(16, Turn Signal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방향지시램프(16)의 점멸하여 그 진행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램프(17)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램프(17)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a, 1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에 차량(1)은 엔진, 모터, 배터리 및 변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어부(미도시)는 배터리 제어부(미도시)와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을 수행하여 엔진, 모터, 배터리 및 변속기의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배터리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차량(1)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24)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장치가 배치된 센터페시아(125)를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1)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클러스터(123)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123)는 차량(1)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배터리 충전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25)는 대시 보드(122) 중에서 운전석(121a)과 조수석(121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센터페시아(125)에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유닛(126)이 마련될 수 있다.
헤드유닛(126)에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들이 배치될 수 있다.
헤드유닛(126)의 내부에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헤드유닛(126)은 라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오디오 장치(130)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0a)와,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에 마련된 오디오 장치(130)는, 라디오 기능을 갖는 헤드 유닛일 수도 있고, 라디오 기능을 갖는 차량용 단말기인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일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13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오디오 장치(130)가 센터페시아(125)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오디오 장치(130)로부터 방송 신호를 전달 받아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134)는 차량의 전방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도 2는 스피커(134)가 설치되는 위치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스피커는 차량 내부이면 어느 곳에든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0b)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130b)에는 차량의 동작과 관련하여 생성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고,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도 있다.
센터페시아(125)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125)에는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가 유선 연결되는 멀티단자(127)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멀티단자(127)는 헤드유닛(126) 또는 차량용 단말기(140)와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 간의 유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멀티단자(127)는 USB 포트, AUX단자를 포함하고, SD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 유닛(126)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차량용 단말기(14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 또는 케이블을 통해 차량용 단말기(140) 및 외부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저장 장치, 사용자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고, 저장 장치는 카드형 메모리 및 외장형 하드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사용자용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포함한다. 차량(1)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28)는 헤드 유닛(126) 및 센터페시아(125)에 마련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작부(128)는 버튼의 조작 신호를 헤드 유닛(126) 내의 컨트롤러 또는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40)의 동작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으며, 선택된 기능을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작부(128)는 내비게이션 기능 선택 시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목적지의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하며, 디엠비 기능 선택 시 방송 채널 및 볼륨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방송 채널 및 볼륨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하며, 라디오 기능 선택 시 라디오 채널 및 라디오 볼륨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라디오 채널 및 볼륨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40) 또는 표시부(130b)에 전송한다.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일체로 마련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40)의 표시부에 버튼 형상으로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고 이때 표시된 버튼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4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조작부(128)는 조그 다이얼의 조작 신호 또는 터치 패드에 터치된 터치 신호를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28)는 라디오 기능 수행 시 자동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128)를 통해 차량(1)의 운전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차량(1)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b)는 헤드 유닛(126)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조작부(128)에 입력된 입력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b)는 라디오 기능 선택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라디오 채널 및 라디오 볼륨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30b)는 라디오 기능 수행 시 자동 채널 변경 명령의 입력 정보 및 자동 채널 변경 수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기(140)는 대시 보드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단말기(14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라디오 기능, GPS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1)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1)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과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전후좌우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배터리 제어 장치, 여러 가지 안전 장치 및 각종 감지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사용자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차량(1)은 단말기, 오디오 장치,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 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에는 차량(1)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가 사용되며,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주행에 앞서 전기충전소에서 충전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은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 및 외부 단말기인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캔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USB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는 DMB 등의 TPEG, SXM, RDS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암전류(dark)는 차량(1)의 시동 오프 후에도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각종 부하장치들이 소모하는 전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장치에는 시스템을 오프 시키면 장치의 기본적인 작동과 관련된 전원은 오프되지만, 나중에 다시 온 시키는 경우에 그 온 작동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전기장치의 기본적인 작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각종 컨트롤러 등에 전류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전류를 암전류라 한다.
차량(1)에서는 차량의 시동을 정지시키면 배터리에서 시동장치 및 라디오 등과 같은 각종 액세서리 장치에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은 차단되지만, 즉각적인 시동을 위한 전류의 공급 및 기타 다른 컨트롤러 등과 같은 장치에는 배터리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차량(1)을 생산한 후 고객 인도 까지 통관 및 배송 단계 등에서 오랜 시간이 소요되거나 수출, 장기 보관 혹은 주차 등으로 인해 차량을 오랜 기간 운행하지 않을 경우 차량(1)의B+ 전원을 사용하는 부하장치(디지털 시계, 룸 램프, 비상램프 등)에 항상 암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배터리가 방전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고자, 차량(1)을 고객에게 인도하기 전까지는 최소한의 전기부하만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고객 인도 전/후 모드 스위치)를 적용하고 있다. 즉, 차량(1)의 고객 인도 전에는 차량(1)의 시동과 관련된 전장품(엔진 ECU, 원격시동 등)만 시동 오프 조건에서 대기전력을 사용하게 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최소화하고, 고객 인도 후에는 각종 편의부하(오디오 등)등도 대기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스위치를 적용하고 있다. 반면, 차량(1)을 고객에게 인도할 경우 모드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배터리 전원이 정상적으로 차량(1) 내 부하장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개발된 스마트 정션 박스(SJB)에는 모드 스위치 및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암전류로 인한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파워커넥터)가 적용되고 있지만,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를 고객 인도 전 모드에서 고객 인도 후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또는 차량(1) 딜러가 스위치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 모드를 변경해야 되므로 번거로운 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의 구성에 의해 암전류 차단 장치가 소형화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정션 박스의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기존의 모드 스위치와 릴레이를 제거하고 자동으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스마트 정션 박스 이외에도 IPM(In-Panel Module), ICU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스마트 정션 박스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3을 참고하면,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배터리 전원의 공급 및 차단 등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해 차량(1) 내 타 모듈과 CAN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차량(1) 내 타 모듈은, 예를 들면 차체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300), 운전석 도어모듈(Driver Door Module, DDM)(310), 스마트키모듈(SMK)(320), 조수석 도어모듈(Assist Door Module, ADM)(미도시), 클러스터(cluster)(미도시)와 같은 복수 개의 모듈일 수 있고, 이러한 타 모듈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물리적인 스위치와 릴레이가 제거된 대체회로가 적용된 것으로 통신부(240) 및 제어부(210) 이외에 시동 검출 모듈(211), 토글 스위치(250) 및2채널 출력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240)는 차량(1)에 포함되는 각종 구성과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부(240)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등을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에 접속하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다양한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240)는 CAN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차량의 각종 동작 상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벨트 체결 여부, 또는 AVN 동작 여부, 및 더욱 상세하게는 AVN 동작 시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 여부 등을 CAN 통신을 통하여 동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21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10)는 통신부(240)로부터 각종 CAN 통신 제어 신호를 입력 받으며,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110)의 스위치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시동 검출 모듈(211)은 차량(1)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따라서, 시동 검출 모듈(211)은 제어부(210)가 2 채널 출력부(251)의 제 1 입력단(251a) 또는 제 2 입력단(251b)에 시동 온/오프 상태 정보를 추가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토글 스위치(250)는 1회의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하며, 동작 이후에는 스위치 동작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토글 스위치(25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제어 모드가 고객 인도 후 모드로 변경되면, 차량(1)의 부하에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2채널 출력부(251)는 제어부(210) 또는 토글 스위치(250)로부터 송출된 제어 신호에 따라2 종류의 출력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신호의 경우, 고객 인도 전 모드 또는 고객 인도 후 모드 여부에 상관 없이, 암전류 차단 장치에 연결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컨대, 엔진 ECU, 원격시동이나, 실내등, 실외등 부하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달리, B 신호의 경우, 고객 인도 전 모드 또는 고객 인도 후 모드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의 주체가 달라지는 경우의 신호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고객 인도 전 모드에서는 암전류 차단 장치(20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반면 고객 인도 후 모드에서는 상시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부하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제어 모드는 '고객 인도 전 모드'와 '고객 인도 후 모드'가 있는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객 인도 전 모드'를 '제 1모드', '고객 인도 후 모드'를 '제 2모드'라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제1모드는 차량(1)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차량(1)의 시동과 관련된 전장품(엔진 ECU, 원격시동 등) 등의 부하만 시동 오프 조건에서 대기전력을 사용하는 모드이고, 제 2모드는 차량(1)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에 시동과 관련된 부하 이외에 각종 편의 부하(오디오, AVN) 등도 대기전력을 사용하는 모드이다.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제어부(210)가 송출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며, 도 4는 고객 인도 전 모드(제 1 모드)에서의 제어 신호의 입력 및 출력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고객 인도 후 모드(제 2 모드)에서의 제어 신호의 입력 및 출력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의 제 1 모드의 상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송출 상태에서 도 5의 제 2 모드의 상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송출 상태로 변환되면 제 2 모드 상태를 지속하여 유지하게 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드 상태에서는 제어부(210)가 2 채널 출력부(251)를 직접 제어한다. 제어부(210)에서 굵은 신호로 표시된 제어 신호가 이를 의미한다. 이에, 차량이 고객 인도 전 모드인 대기 전력만을 사용하는 모드로 차량에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에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모드 상태에서는 제어부(210)가 2채널 출력부(251)의 입력단 중1개의 제 1 입력단(251a)과 토글 스위치(250)의 입력단(250a)를 제어한다.
따라서, 2채널 출력부(251)의 입력단 중 1개의 제 1 입력단(251a)와 연결된 회로는 차량의 조건에 따라서 차량의 각종 부하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토글 스위치(250)를 통해 연결된 제 2 입력단(251b)을 통해 연결된 회로는 2채널 출력부(251)를 통하여 차량 조건과 무관하게 차량의 각종 부하에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 1 모드에서의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제어 신호 및 제 2 모드에서의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제어 신호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의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모드 변경 조건에 대하여 자세히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10은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모드 변경에 대한 실시예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동 검출 모듈을 통해 시동이 On 상태에 진입하고,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110)의 스위치가 폐쇄되어 체결된 상태로(610의 예),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620의 예), 제 1 모드 상태에 있던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모드 변경을 수행한다(630). 구체적으로,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110)의 동작 상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가 제 1 모드 상태에서 제어 신호를 2채널 출력부(251)로 송신할 때에(도 4의 굵은 실선), 시동 검출 모듈(211)에서 시동 ON 상태 정보를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110)는 복수개의 시트석 중 운전석의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가 동작된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경우에, 제어부(210)는 모든 제어 신호가 직접 2채널 출력부(251)를 제어하는 상태에서 제 1 입력단(251a)으로의 제어 신호 송출 및 토글 스위치(25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상태로 변경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동 검출 모듈을 통해 시동이 On 상태에 진입하고,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110)의 스위치가 폐쇄되어 체결된 상태로(710의 예), 차량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면(720의 예), 제 1 모드 상태에 있던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모드 변경을 수행한다(630). 구체적으로,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110)의 동작 상태를 입력 받고, CAN 통신을 통해 통신부(240)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10)가 제 1 모드 상태에서 제어 신호를 2채널 출력부(251)로 송신할 때에(도 4의 굵은 실선), 시동 검출 모듈(211)에서 시동 ON 상태 정보를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경우에, 제어부(210)는 모든 제어 신호가 직접 2채널 출력부(251)를 제어하는 상태에서 제 1 입력단(251a)으로의 제어 신호 송출 및 토글 스위치(25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상태로 변경된다.
다음으로, 도 8은 암전류 차단 장치(200)가 아닌, AVN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차량(1)의 오디오 장치(130) 또는 차량용 단말기(140)와 연계하여 동작되어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 AVN장치는 사용자 단말기가 AVN 장치와 연결된 경우에 해당 정보를 암전류 차단 장치(200)에 제어 신호로서 송신할 수 있다.
즉,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AVN 장치(미도시)로부터 단말기와 연결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입력 받으면,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를 변경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과 사용자의 단말기가 연결되면(810의 예), 차량(1)은 저장된 단말기 정보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820). 이 때, 차량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가 일치하면(820의 예), 차량(1)은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 변경을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AVN 장치가 미리 저장된 단말기 정보와 일치하는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임을 암전류 차단 장치(200)에 송신하는 것으로 암전류 차단 장치 모드 변경 요청이 진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시동 검출 모듈을 통해 시동이 On 상태에 진입하고,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110)의 스위치가 폐쇄되어 체결된 상태로(610의 예)이면, 제 1 모드 상태에 있던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모드 변경을 수행한다(630).
뿐만 아니라,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암전류 차단 장치 모드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로부터 암전류 차단 장치 모드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된 AVN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모드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사용자의 모드 변경 요청 신호 이외에 시동 ON 된경우 및 운전석 시트 벨트가 체결된 경우여야만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어함에 따라, 차량 모드 변경에 제한을 둘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운전석 이외의 차량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인 경우에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모드가 변경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시동이 온 되고(910의 예), 전좌석 시트벨트가 체결되면(920의 예), 제 1 모드 상태에 있던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모드 변경을 수행한다(930). 이 때, 암전류 차단 장치(200) 의 제어부(210)는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110)의 동작 상태를 입력 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석 시트 벨트 스위치로부터 체결 여부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가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변경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즉, 도 6 내지 도9에서 설명한 실시예 이외의 경우에 자동적으로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고객 인도 전 모드 상태(제 1 모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10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조건을 만족하여 고객 인도 후 모드로 변환 요청이 수신되면(1100의 예), 제어부(210)는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를 변경한다.
다만, 고객 인도 전 모드 상태에서, 고객 인도 후 모드로의 변환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일지라도(1100의 아니오),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시동의 온/오프 횟수가 미리 설정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를 변경한다.
일 예로, 제어부(210)의 판단 결과,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10)는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210)는 차량(1)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의 판단 결과,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가 50회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210)가 다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740).
즉,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가 50회 이상인 경우임에도 암전류 제어 모드가 제 1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210)의 송출 신호에 따라 암전류 제어 모드가 제대로 변경된 것이 아니므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다시 제 2모드로 변경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10)가 판단하는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를 50회로 예로 들었으나, 제어부(210)가 판단하는 시동 온오프 횟수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가 암전류 제어 모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1)의 시동 횟수에 기초하여 제 2모드로 다시 변경 함으로써,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동작 불량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을 때도 제 2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210)가 다시 송출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암전류 제어 모드는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변경될 수 있고, 토글 스위치(250)는 제 2모드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의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암전류 차단 장치
210 : 제어부
240 : 통신부
250 : 토글 스위치
300 : 차체제어모듈

Claims (19)

  1.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 모듈;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동작 신호를 송출하고,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포함하는 2채널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상기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부하만 전력을 소비하는 제 1모드에서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 이외의 부하도 전력을 소비하는 제 2모드로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출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제 2 모드를 유지시키는 토글 스위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2채널 출력부의 상기 제 1 입력단 및 제 2 입력단으로 제어 신호를 직접(Direct)송출하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제 1 입력단 및 상기 토글 스위치 모듈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2채널 출력부;는
    제1 출력단 및 제 2 출력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출력단은 상기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에서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로부터 직접 동작되는 부하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 2 출력단은 상기 제 1모드와 제 2 모드에서 상이하게 동작되는 부하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6. 삭제
  7.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 모듈;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2채널 출력부; 및
    적어도 하나의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운전석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가 미리 설정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8.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 모듈;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2채널 출력부; 및
    적어도 하나의 시트 벨트 체결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운전석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한 차속 이상이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9.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 모듈;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2채널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미리 저장된 단말기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10.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 모듈;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2채널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든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이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송출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의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12. 제1항,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암전류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3.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차량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미리 저장된 단말기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상기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부하만 전력을 소비하는 제 1모드에서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 이외의 부하도 전력을 소비하는 제 2모드로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
  15.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차량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운전석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가 미리 설정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
  16.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차량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운전석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한 차속 이상이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차량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 ON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든 시트 벨트가 체결된 상태이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
  19.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검출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따라 차량 동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의 각종 동작 신호 또는 시동 검출 신호를 기초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송출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의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0076377A 2018-07-02 2018-07-02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9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77A KR102494001B1 (ko) 2018-07-02 2018-07-02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77A KR102494001B1 (ko) 2018-07-02 2018-07-02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513A KR20200003513A (ko) 2020-01-10
KR102494001B1 true KR102494001B1 (ko) 2023-02-01

Family

ID=6915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377A KR102494001B1 (ko) 2018-07-02 2018-07-02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0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515A (ja) 2000-05-11 2001-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暗電流低減方法および装置
JP2008296855A (ja) * 2007-06-04 2008-12-11 Denso Corp シートベルトスイッチ装置
KR101776310B1 (ko) * 2011-06-09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객 인도 전후 모드 자동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1792034B1 (ko) * 2016-07-22 2017-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447A (ko) * 2009-04-22 2010-11-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암전류 차단장치 및 방법
KR20170054014A (ko) * 2015-11-09 2017-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원 관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515A (ja) 2000-05-11 2001-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暗電流低減方法および装置
JP2008296855A (ja) * 2007-06-04 2008-12-11 Denso Corp シートベルトスイッチ装置
KR101776310B1 (ko) * 2011-06-09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객 인도 전후 모드 자동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1792034B1 (ko) * 2016-07-22 2017-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513A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40109B (zh) 用于切断暗电流的装置、包括该装置的车辆及其控制方法
CN109738815B (zh) 云服务器、车辆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KR102370464B1 (ko) 차량 비상 시스템의 강화
US9365157B2 (en) System for adjusting brightness of vehicle lighting,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063489A1 (en)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US11590887B2 (en)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CN109693640B (zh) 车辆、车辆安全系统和车辆安全方法
KR101624188B1 (ko)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94001B1 (ko)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2208A (ko) 서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11203B1 (ko)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30132847A (ko) 고가시성 차량 라이트 통신 시스템의 컨트롤
US20240123830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16912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