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034B1 -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034B1
KR101792034B1 KR1020160093615A KR20160093615A KR101792034B1 KR 101792034 B1 KR101792034 B1 KR 101792034B1 KR 1020160093615 A KR1020160093615 A KR 1020160093615A KR 20160093615 A KR20160093615 A KR 20160093615A KR 101792034 B1 KR101792034 B1 KR 10179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rk current
vehicle
control mode
current contro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근
권진구
박명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034B1/ko
Priority to US15/354,415 priority patent/US9988015B2/en
Priority to CN201611095506.0A priority patent/CN10764010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KE 신호에 기초하여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고, RKE 신호에 의해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는, 차체제어모듈(BCM)로부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면,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송출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경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CUTTING OFF DARK CURRENT,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KE 신호에 기초하여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고, RKE 신호에 의해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주행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주로 차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차륜을 이용하여 여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으로는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 자동차나, 건설 기계, 자전거 및 선로 상에 배치된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열차 등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키홀(key hole)을 통한 기계적인 키 조작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서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하는 회로가 구비된다. 최근에는 별도의 키 조작 없이, 차량으로부터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는 리모트 키리스 엔트리(RKE; Remote Keyless Entry)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자동차에서는 램프류나 바디전장 부품, 멀티미디어 기기, 모터 구동장치 등 차량 내 전기를 소모하는 각종 전기장치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션 박스가 사용되고 있고, 이 정션 박스에는 외부 회로에 과전류나 과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퓨즈나 전원 공급을 개폐하는 릴레이들이 설치된다. 정션 박스에는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여러 전기장치들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 전기장치들이 소모하는 암전류(dark current)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 개발된 스마트 정션 박스(Smart Junction Box, SJB)에는 모드 스위치 및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암전류로 인한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파워커넥터)가 적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배터리 전원의 차단 및 허용이 필요한 경우 매번 수동으로 파워커넥터를 온/오프 해야 하고, 전원 차단 및 허용을 위하여 매번 수동으로 파워커넥터를 온/오프 조작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자동으로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암전류 차단 장치의 스위치 조작을 통해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RKE 신호에 의해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거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는,
차체제어모듈(BCM)로부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송출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이고,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입력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는,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상기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부하만 전력을 소비하는 제 1모드 및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 이외의 부하도 전력을 소비하는 제 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상기 제 1모드에서 상기 제 2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송출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의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이면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토글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경된 제 2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RKE 리모컨이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은,
차체제어모듈로부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송출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는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이고,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입력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는,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상기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부하만 전력을 소비하는 제 1모드 및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 이외의 부하도 전력을 소비하는 제 2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상기 제 1모드에서 상기 제 2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송출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의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이면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은, 상기 변경된 제 2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RKE 리모컨이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일 수 있다.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물리적인 스위치와 릴레이를 제거함으로써 암전류 차단 장치를 소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RKE 신호를 통해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차량의 딜러가 수동으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RKE 신호에 의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순서도이다.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개시된 실시예들은 개시된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개시된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개시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엔진, 모터, 배터리, 변속기 등과 같이 차량(1)에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1b), 수납 공간이 마련된 트렁크 리드(11c),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된 프런트 휀더(11d)와 쿼터 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1)의 측면에는 차체와 흰지 결합된 복수 개의 도어(15)가 마련될 수 있다.
후드(11a)와 루프 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19a)가 마련되고, 루프 패널(11b)과 트렁크 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19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의 상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 윈도우(19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램프(15, Headlamp)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램프(16, Turn Signal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방향지시램프(16)의 점멸하여 그 진행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램프(17)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램프(17)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a, 1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에 차량(1)은 엔진, 모터, 배터리 및 변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어부(160)는 제어부(160)는 배터리 제어부(미도시)와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을 수행하여 엔진, 모터, 배터리 및 변속기의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배터리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차량(1)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24)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장치가 배치된 센터페시아(125)를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1)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클러스터(123)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123)는 차량(1)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배터리 충전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25)는 대시 보드(122) 중에서 운전석(121a)과 조수석(121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센터페시아(125)에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유닛(126)이 마련될 수 있다.
헤드유닛(126)에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들이 배치될 수 있다.
헤드유닛(126)의 내부에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헤드유닛(126)은 라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오디오 장치(130)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0a)와,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에 마련된 오디오 장치(130)는, 라디오 기능을 갖는 헤드 유닛일 수도 있고, 라디오 기능을 갖는 차량용 단말기인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일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13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오디오 장치(130)가 센터페시아(125)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오디오 장치(130)로부터 방송 신호를 전달 받아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134)는 차량의 전방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도 2는 스피커(134)가 설치되는 위치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스피커는 차량 내부이면 어느 곳에든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0b)는 공기 조화기 및 히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130b)에는 차량의 동작과 관련하여 생성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고,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도 있다.
센터페시아(125)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125)에는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가 유선 연결되는 멀티단자(127)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멀티단자(127)는 헤드유닛(126) 또는 차량용 단말기(140)와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 간의 유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멀티단자(127)는 USB 포트, AUX단자를 포함하고, SD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 유닛(126)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차량용 단말기(14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 또는 케이블을 통해 차량용 단말기(140) 및 외부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저장 장치, 사용자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고, 저장 장치는 카드형 메모리 및 외장형 하드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사용자용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포함한다. 차량(1)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28)는 헤드 유닛(126) 및 센터페시아(125)에 마련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작부(128)는 버튼의 조작 신호를 헤드 유닛(126) 내의 컨트롤러 또는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40)의 동작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으며, 선택된 기능을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작부(128)는 내비게이션 기능 선택 시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목적지의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하며, 디엠비 기능 선택 시 방송 채널 및 볼륨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방송 채널 및 볼륨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하며, 라디오 기능 선택 시 라디오 채널 및 라디오 볼륨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라디오 채널 및 볼륨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40) 또는 표시부(130b)에 전송한다.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일체로 마련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40)의 표시부에 버튼 형상으로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고 이때 표시된 버튼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조작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4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조작부(128)는 조그 다이얼의 조작 신호 또는 터치 패드에 터치된 터치 신호를 차량용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28)는 라디오 기능 수행 시 자동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128)를 통해 차량(1)의 운전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차량(1)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b)는 헤드 유닛(126)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조작부(128)에 입력된 입력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b)는 라디오 기능 선택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라디오 채널 및 라디오 볼륨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30b)는 라디오 기능 수행 시 자동 채널 변경 명령의 입력 정보 및 자동 채널 변경 수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기(140)는 대시 보드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단말기(14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라디오 기능, GPS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1)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1)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과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전후좌우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배터리 제어 장치, 여러 가지 안전 장치 및 각종 감지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사용자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차량(1)은 단말기, 오디오 장치,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 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에는 차량(1)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가 사용되며,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주행에 앞서 전기충전소에서 충전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은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 및 외부 단말기인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캔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USB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는 DMB 등의 TPEG, SXM, RDS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암전류(dark)는 차량(1)의 시동 오프 후에도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각종 부하장치들이 소모하는 전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장치에는 시스템을 오프 시키면 장치의 기본적인 작동과 관련된 전원은 오프되지만, 나중에 다시 온 시키는 경우에 그 온 작동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전기장치의 기본적인 작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각종 컨트롤러 등에 전류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전류를 암전류라 한다.
차량(1)에서는 차량의 시동을 정지시키면 배터리에서 시동장치 및 라디오 등과 같은 각종 액세서리 장치에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은 차단되지만, 즉각적인 시동을 위한 전류의 공급 및 기타 다른 컨트롤러 등과 같은 장치에는 배터리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차량(1)을 생산한 후 고객 인도 까지 통관 및 배송 단계 등에서 오랜 시간이 소요되거나 수출, 장기 보관 혹은 주차 등으로 인해 차량을 오랜 기간 운행하지 않을 경우 차량(1)의 B+ 전원을 사용하는 부하장치(디지털 시계, 룸 램프, 비상램프 등)에 항상 암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배터리가 방전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고자, 차량(1)을 고객에게 인도하기 전까지는 최소한의 전기부하만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고객 인도 전/후 모드 스위치)를 적용하고 있다. 즉, 차량(1)의 고객 인도 전에는 차량(1)의 시동과 관련된 전장품(엔진 ECU, 원격시동 등)만 시동 오프 조건에서 대기전력을 사용하게 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최소화하고, 고객 인도 후에는 각종 편의부하(오디오 등)등도 대기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도록 스위치를 적용하고 있다. 반면, 차량(1)을 고객에게 인도할 경우 모드 스위치를 온(on) 시켜서 배터리 전원이 정상적으로 차량(1) 내 부하장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개발된 스마트 정션 박스(SJB)에는 모드 스위치 및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암전류로 인한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파워커넥터)가 적용되고 있지만, 암전류 차단 장치의 모드를 고객 인도 전 모드에서 고객 인도 후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또는 차량(1) 딜러가 스위치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 모드를 변경해야 되므로 번거로운 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의 구성에 의해 암전류 차단 장치가 소형화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정션 박스의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기존의 모드 스위치와 릴레이를 제거하고 자동으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스마트 정션 박스 이외에도 IPM(In-Panel Module), ICU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스마트 정션 박스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배터리 전원의 공급 및 차단 등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해 차량(1) 내 타 모듈과 CAN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차량(1) 내 타 모듈은, 예를 들면 차체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300), 운전석 도어모듈(Driver Door Module, DDM)(310), 스마트키모듈(SMK)(320), 조수석 도어모듈(Assist Door Module, ADM)(미도시), 클러스터(cluster)(미도시)와 같은 복수 개의 모듈일 수 있고, 이러한 타 모듈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제어부(210)로의 배터리 전원을 조절해주는 레귤레이터(220), 로컬 스위치(110)의 온오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 신호 검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스위치(110)는 차량(1)의 시동 온오프 외에도 도어 및 트렁크리드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스위치 신호 검출부(230)의 신호로부터 차량(1)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차량(1)의 부하들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소자가 턴 온 되면, 램프(260), 바디전장 부품(270), 오디오 장치 또는 AVN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280), 메모리(290) 등의 차량(1) 부하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반면,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 되면, 상술한 부하들로의 전원 연결이 차단된다.
제어부(21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차량(1)에 포함되는 각종 구성과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부(240)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등을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에 접속하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다양한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토글 스위치(250)는 1회의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하며, 동작 이후에는 스위치 동작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토글 스위치(25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제어 모드가 고객 인도 후 모드로 변경되면, 차량(1)의 부하에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통신부(240)는 RKE 리모컨(400)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500).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RKE 리모컨(400)을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제어 신호는 차체제어모듈(BCM)(300)이 수신하여, 통신부(240)를 통해 제어부(21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체제어모듈(300)은 RKE 리모컨(4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RKE 리모컨(400)은 복수의 입력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복수의 입력 버튼 중에서 일 버튼을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입력 버튼은 차량 잠금 해제 버튼(410), 트렁크 잠금 해제 버튼(420) 및 차량 잠금 버튼(430)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차량 잠금 해제 버튼(410)을 통해 차량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한 RKE 리모컨(400)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510).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나,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RKE 리모컨(400)의 입력 신호가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이고,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입력되는 것을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RKE 리모컨(400)의 차량 잠금 해제 버튼(410)을 통해 차량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하고, 이러한 차량 잠금 해제 신호를 연속해서 10초동안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부합하는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 잠금 해제 신호를 연속해서 10초 동안 입력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신호의 입력 시간은 설정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RKE 리모컨(400)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520). 암전류 제어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 인도 전 모드' 및 '고객 인도 후 모드'가 있는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객 인도 전 모드'를 '제 1모드', '고객 인도 후 모드'를 '제 2모드'라 한다.
제 1모드는 차량(1)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차량(1)의 시동과 관련된 전장품(엔진 ECU, 원격시동 등) 등의 부하만 시동 오프 조건에서 대기전력을 사용하는 모드이고, 제 2모드는 차량(1)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에 시동과 관련된 부하 이외에 각종 편의 부하(오디오, AVN) 등도 대기전력을 사용하는 모드이다.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제어부(210)가 송출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또는 차량(1)의 딜러가 차량(1)을 고객에게 인도한 후에 수동으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RKE 리모컨(400)을 통해 차량 잠금 해제 신호를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입력함으로써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210)가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를 송출하면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제 2모드로 변경될 수 있고, 송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토글 스위치(250)는 변경된 제 2모드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의해 토글 스위치(250)에 1회의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 상태가 유지되며 제 2모드에 따라 차량(1)의 부하에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210)는 RKE 리모컨(400)의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600), 차량(1)의 시동이 온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610). 즉, 제어부(210)는 스위치 신호 검출부(230)의 신호로부터 차량(1)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차량(1)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경우 제어부(210)는 RKE 리모컨(400)이 차량(1)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620). RKE 리모컨(400)이 차량(1)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신호의 세기나 신호가 도달하는 거리 등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고,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RKE 리모컨(400)이 차량(1)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RKE 리모컨(400)이 차량 외부에 있고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려는 의도가 아님에도 RKE 리모컨(400)의 버튼을 통해 입력 신호가 제어부(210)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210)가 차량(1)의 시동이 온 상태인지 여부 및 RKE 리모컨(400)이 차량(1)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여 특정한 조건 하에서만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210)의 판단 결과, 차량(1)의 시동이 온 상태이고, RKE 리모컨(400)이 차량(1)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한 RKE 리모컨(400)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630).
제어부(210)는 RKE 리모컨(400)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640),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제어부(210)가 송출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가 송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토글 스위치(250)는 변경된 제 2모드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도 4에서 전술하였는 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어부(210)는 RKE 리모컨(400)의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700), 차량(1)의 시동이 온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710). 판단 결과, 차량(1)의 시동이 온 상태인 경우 제어부(210)는 RKE 리모컨(400)이 차량(1)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720).
제어부(210)의 판단 결과, 차량(1)의 시동이 온 상태이고, RKE 리모컨(400)이 차량(1)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한 RKE 리모컨(400)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730).
제어부(210)는 RKE 리모컨(400)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740), 암전류 차단 장치(200)는 제어부(210)가 송출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고(750), 제어부(210)가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를 송출하였음에도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RKE 리모컨(400)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여 제어부(210)가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를 송출하였으나,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변경되지 않고, 계속 제 2모드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10)의 판단 결과,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10)는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760). 제어부(210)는 신호 검출부(230)의 신호로부터 차량(1)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의 판단 결과,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가 50회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210)가 다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740).
즉,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가 50회 이상인 경우임에도 암전류 제어 모드가 제 1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210)의 송출 신호에 따라 암전류 제어 모드가 제대로 변경된 것이 아니므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다시 제 2모드로 변경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10)가 판단하는 차량(1)의 시동 온오프 횟수를 50회로 예로 들었으나, 제어부(210)가 판단하는 시동 온오프 횟수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가 암전류 제어 모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1)의 시동 횟수에 기초하여 제 2모드로 다시 변경 함으로써,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동작 불량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을 때도 제 2모드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210)가 다시 송출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암전류 차단 장치(200)의 암전류 제어 모드는 제 1모드에서 제 2모드로 변경될 수 있고, 토글 스위치(250)는 제 2모드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의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암전류 차단 장치
210 : 제어부
240 : 통신부
250 : 토글 스위치
300 : 차체제어모듈
400 : RKE 리모컨

Claims (18)

  1. 차체제어모듈(BCM)로부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송출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이고,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입력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는,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상기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부하만 전력을 소비하는 제 1모드 및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 이외의 부하도 전력을 소비하는 제 2모드를 포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상기 제 1모드에서 상기 제 2모드로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송출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의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이면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토글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된 제 2모드를 유지시키는 암전류 차단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RKE 리모컨이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9. 차체제어모듈로부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키는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는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이고,
    상기 차량 잠금 해제 입력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입력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는,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상기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부하만 전력을 소비하는 제 1모드 및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게 인도된 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 이외의 부하도 전력을 소비하는 제 2모드를 포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RKE 리모컨의 입력 신호가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를 상기 제 1모드에서 상기 제 2모드로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송출된 암전류 제어 모드 변경 신호에 의해 상기 암전류 차단 장치의 암전류 제어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이면 상기 암전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암전류 제어 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은,
    상기 변경된 제 2모드를 유지시키는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
  17. 제 9항에 있어서,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RKE 리모컨이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암전류 차단 장치 제어방법.
  18.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암전류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60093615A 2016-07-22 2016-07-22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92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15A KR101792034B1 (ko) 2016-07-22 2016-07-22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5/354,415 US9988015B2 (en) 2016-07-22 2016-11-17 Apparatus for cutting off dark current,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611095506.0A CN107640109B (zh) 2016-07-22 2016-12-02 用于切断暗电流的装置、包括该装置的车辆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15A KR101792034B1 (ko) 2016-07-22 2016-07-22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034B1 true KR101792034B1 (ko) 2017-11-01

Family

ID=6038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615A KR101792034B1 (ko) 2016-07-22 2016-07-22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88015B2 (ko)
KR (1) KR101792034B1 (ko)
CN (1) CN1076401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513A (ko) * 2018-07-02 2020-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2292B2 (en) * 2017-03-27 2019-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n exhaust oxygen sensor operation
KR102579150B1 (ko) * 2018-12-11 2023-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0406486A (zh) * 2019-08-30 2019-11-05 湖北亿咖通科技有限公司 降低车载电子设备静态功耗的方法、系统及开关电路
US11180114B1 (en) 2020-05-07 2021-11-23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key fob communication disconnection
CN111880040B (zh) * 2020-08-17 2022-12-02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暗电流测试系统、方法及工程机械
CN114771437B (zh) * 2022-04-28 2024-04-2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源管理系统及其控制、远程控制控制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73B1 (ko) 2012-05-0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션박스의 암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JP2016043794A (ja) 2014-08-22 2016-04-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制御装置
JP2016073068A (ja) 2014-09-29 2016-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ボック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5141B1 (en) 1998-05-11 2001-08-14 Gerhard Walter Single-key security system
US7388466B2 (en) * 2004-11-30 2008-06-17 Lear Corporation Integrated passive entry and remote keyless entry system
JP2006303792A (ja) * 2005-04-19 2006-11-02 Adc Technology Kk ハンズフリー装置用アダプタ
JP5365979B2 (ja) 2008-08-29 2013-12-11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無線通信機
KR20100116447A (ko) 2009-04-22 2010-11-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암전류 차단장치 및 방법
JP5558981B2 (ja) * 2010-09-13 2014-07-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通信システム
WO2014017199A1 (ja) * 2012-07-27 2014-0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KR101960092B1 (ko) 2012-10-23 2019-03-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동기화 패턴 매칭을 이용한 RKE 수신기 Wake-up 방지 장치 및 방법
JP6000894B2 (ja) 2013-04-01 2016-10-05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用携帯機
US20150022317A1 (en) 2013-07-17 2015-01-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nlock with security mode
KR102080117B1 (ko) * 2013-09-16 2020-02-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키 시스템의 동작 성능 향상을 위한 포브 장치
CN104460393A (zh) * 2013-09-17 2015-03-25 张立洁 基于can总线的大电流汽车继电器控制系统
KR102123868B1 (ko) * 2013-10-08 2020-06-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전원 제어 장치
KR101534702B1 (ko) 2013-12-05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73B1 (ko) 2012-05-0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션박스의 암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JP2016043794A (ja) 2014-08-22 2016-04-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制御装置
JP2016073068A (ja) 2014-09-29 2016-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ボックス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513A (ko) * 2018-07-02 2020-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94001B1 (ko) * 2018-07-02 2023-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40109B (zh) 2022-01-18
US9988015B2 (en) 2018-06-05
US20180022313A1 (en) 2018-01-25
CN107640109A (zh)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034B1 (ko)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9738815B (zh) 云服务器、车辆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KR101624180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8421589B2 (en) Dual purpose wireless device, wherein vehicle controls depend on device location
KR20170114148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0481497B (zh) 车辆防盗装置
US9365157B2 (en) System for adjusting brightness of vehicle lighting,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75951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vehicle having th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109693640B (zh) 车辆、车辆安全系统和车辆安全方法
CA2951747A1 (en) Remote function device and associated wireless security sensor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CA2951778A1 (en) Remote function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databus device and associated wireless security sensor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KR20180106227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0076509A (ja) 電源監視装置
KR101624188B1 (ko)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JP5228724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5983390B2 (ja) 車両のランプ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102494001B1 (ko) 암전류 차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2208A (ko) 서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50548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3056577A (ja) 車両用制御装置
CN114206681A (zh) 车载电源系统
KR20160023268A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40061768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US20240123830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91220B1 (ko) 차량 모듈의 자동 실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