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900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900A
KR20190031900A KR1020170120162A KR20170120162A KR20190031900A KR 20190031900 A KR20190031900 A KR 20190031900A KR 1020170120162 A KR1020170120162 A KR 1020170120162A KR 20170120162 A KR20170120162 A KR 20170120162A KR 20190031900 A KR20190031900 A KR 2019003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ffic information
reliability
inform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환
이창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1900A/ko
Publication of KR2019003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54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29Traffic data processing for creating historical data or processing based on historical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및 차량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센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기;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및 차량 센서, GPS 수신기 및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교통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상태 정보를 기초로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교통정보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차량 부가 서비스 장치를 개발 및 장착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부가 서비스 장치는 차량의 도로 주행 시, 운전자의 핸들조작을 보조하여 주행차선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선이탈 경보 장치 등과 같은 안전 보조 장치를 비롯하여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경로에 따른 주변 정보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상에는 정체, 교통사고 발생 등 돌발적인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교통과 관련된 각종 안내판, 신호등과 같은 교통 안내 장치 등의 신규, 변경,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위해 차량을 통해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운용자는 차량을 통해 수집되는 유효 표본을 기반으로 이상 현상이 발생하는 표본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 표본을 필터링한다. 이때 유효 표본 산출을 위한 비교 과정을 위해 다양한 표본이 요구되는데, 유효 표본을 제공하는 차량 자체의 문제로 다양한 표본과 단순 비교로 이상 표본을 정확하게 추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교통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의 상태를 고려하여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교통정보 신뢰도를 기초로 양질의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 및 상기 차량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센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기;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및 상기 차량 센서,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교통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상기 교통정보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 센서로부터 수집된 비상등 점등 여부, 도어 오픈 여부 및 브레이크 작동 여부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획득된 맵 매칭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등 점등 여부, 상기 도어 오픈 여부, 상기 브레이크 작동 여부,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맵 매칭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파악된 결과, 상기 차량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정차 상태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다시 주행하기 이전에,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 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등 점등 여부, 상기 도어 오픈 여부, 상기 브레이크 작동 여부,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맵 매칭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파악된 결과, 상기 차량이 주차장 내 파킹 상태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등 점등 여부, 상기 도어 오픈 여부, 상기 브레이크 작동 여부,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맵 매칭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파악된 결과, 상기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접근하여 정차 예정 상태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중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정보 및 상기 교통정보에 매칭되는 교통정보 신뢰도를 함께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 센서, GPS 수신기 및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교통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상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이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가 오픈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도어가 오픈 상태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이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주차 모드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차장 진입을 인지한 상태 또는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차량 위치를 미수신하는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차장 진입을 인지한 상태 또는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차량 위치를 미수신하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반복적인 패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이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주차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중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이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주차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상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이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주차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중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 센서로부터 수집된 비상등 점등 여부, 도어 오픈 여부 및 브레이크 작동 여부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획득된 맵 매칭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상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미 전송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교통정보 중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교통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상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교통정보를 상기 교통정보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함께 전송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교통정보 및 상기 교통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주변에서 감지되는 교통정보와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상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교통정보 수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 수집 장치는,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미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교통정보 및 상기 교통정보에 매칭되는 교통정보 신뢰도를 함께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차량에서 수집되는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기준치 이상인 양질의 교통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차량에서 수집되는 교통정보 및 이에 매칭되는 교통정보 신뢰도를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유효한 교통정보를 필터링 할 때, 필터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외관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윈드 스크린(windscreen)(11),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3) 및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바퀴(21)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뒷바퀴(22)를 포함하여 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드 스크린(11)은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2)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3)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차량(1)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바퀴(21, 22)를 회전시키는 동력 장치(16), 차량(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조향 장치(미도시), 바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16)는 본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앞바퀴(21) 또는 뒷바퀴(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동력 장치(16)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받는 조향 핸들(도 2의 42), 조향 핸들(42)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21)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제동 조작을 입력받는 제동 페달(미도시), 바퀴(21, 22)와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미도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는 바퀴(21, 2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1)의 내부는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14), 차량(1)의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5), 차량(1)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51, 52),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 안내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까지 제공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7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14)는 윈드 스크린(11)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14)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석(15)은 대시 보드(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의 전방과 대시 보드(14)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 표시부(51, 52)는 대시 보드(14)의 운전석(15) 측에 마련되며, 차량(1)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5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70)은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운전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1)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가 일체화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내비게이션(70)은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페시아는 대시 보드(14)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시 보드(14)와 시프트레버가 수직으로 만나는 영역이며, 이곳에는 내비게이션(70)을 비롯하여 에어콘, 히터의 컨트롤러, 송풍구, 시거잭과 재떨이, 컵홀더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는 센터콘솔과 함께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70)을 비롯한 각종 구동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그 다이얼(60)을 구비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조그 다이얼(60)은 회전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여 구동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도구를 이용하여 구동 조작을 위한 필기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디스플레이(140), 차량 내 장치(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 또는 차량(100) 내 구성들 간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차량 내 장치(150)를 통해 감지된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교통 메시지 채널(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RDS-TMC),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교통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교통정보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차량(100) 내부의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내부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100)의 내부 통신 프로토콜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이더넷(Ethern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14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저장부(130)는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차량 내 장치(150)를 통해 수집된 차량 상태 정보, 교통정보를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교통정보 신뢰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는 방법 등을 차량(100) 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내비게이션의 디스플레이와 별도 또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량 내 장치(150)는 차량 및 상기 차량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차량 센서, 차량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기,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된 발명에서 차량 내 장치(150)는 차량 상태 정보와 교통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차량(100)에 마련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어부(160)는 차량 센서, GPS 수신기 및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교통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상태 정보를 기초로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교통정보의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 센서로부터 수집된 비상등 점등 여부, 도어 오픈 여부 및 브레이크 작동 여부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획득된 맵 매칭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오픈 여부에서 도어는 사용자가 입출입할 수 있는 도어를 비롯하여 트렁크의 도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는 기어/사이드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목적지의 주차장과 관련된 정보를 비롯하여 차량(100) 주행 시 요구되는 목적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비상등 점등 여부, 도어 오픈 여부, 브레이크 작동 여부, 차량의 위치, 맵 매칭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파악된 결과, 차량(100)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정차 상태인 경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차량(100)이 다시 주행하기 이전에, 교통정보 신뢰도 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이 다시 주행하면 교통정보 신뢰도를 초기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차량이 정차 상태(차량 속도 = 0)이고, 차량(100)의 도어가 오픈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정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는 상중하 기준으로, "상"이 교통정보 신뢰도가 가장 높고 순차적으로 낮은 순으로 "중"과 "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교통정보 신뢰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은 수치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정보 신뢰도는 1/0.5/0 또는 1~0 또는 100% ~ 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비상등 점등 여부, 도어 오픈 여부, 브레이크 작동 여부, 차량의 위치, 맵 매칭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파악된 결과, 차량(100)이 주차장 내 파킹 상태인 경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차량(100)이 정차 상태가 아니고, 차량(100)이 주차 모드인 경우 차량(100)이 주차장 내 파킹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차장 진입을 인지한 상태 또는 GPS 수신기를 통해 차량 위치를 미수신하는 상태인 경우, 차량(100)이 주차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차장 진입을 인지한 상태 또는 GPS 수신기를 통해 차량 위치를 미수신하는 상태에서, 차량(100)이 반복적인 패턴(예를 들어, 반복적인 원형 이동 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이 주차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비상등 점등 여부, 도어 오픈 여부, 브레이크 작동 여부, 차량의 위치, 맵 매칭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파악된 결과,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접근하여 정차 예정 상태인 경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중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차량(100)이 정차 상태가 아니고, 차량(100)이 주차 모드가 아니며, 차량(100)이 오프 로드(Off Road)에 위치하지 않고, 차량(100)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100)이 목적지 주변에 접근하여 정차 예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차량(100)이 정차 상태가 아니고, 차량(100)이 주차 모드가 아니며, 차량(100)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 경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중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차량(100)이 정차 상태가 아니고, 차량(100)이 주차 모드가 아니며, 차량(100)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지 않고, 차량(100)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이 정상 상태에서 주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여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상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술한 방법으로 교통정보 신뢰도가 설정된 교통정보를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60)는 교통정보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미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정보 신뢰도의 기준치가 "하"인 경우, 제어부(160)는 교통정보 신뢰도가 "하"로 설정된 교통정보에 대해서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지 않는 것이다.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는 차량(100) 측에서 양질의 교통정보만을 제공받기 때문에 이후 생성되는 교통정보를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고, 정확도도 높아질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양질의 교통정보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되는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교통정보 및 교통정보에 매칭되는 교통정보 신뢰도를 함께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는 차량(100) 측에서 교통정보와 교통정보에 매칭되는 교통정보 신뢰도도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교통정보 프로브 필터링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16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차량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 센서, GPS 수신기 및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교통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300). 이때, 차량(100)은 차량 센서, GPS 수신기 및 내비게이션이 이외에도 교통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센서로부터 수집된 비상등 점등 여부, 도어 오픈 여부 및 브레이크 작동 여부와 GPS 수신기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위치와 내비게이션으로부터 획득된 맵 매칭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수집된 차량 상태 정보를 기초로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다(310~350, 370~390).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10). 이때, 차량의 정차 상태는 차량의 속도가 0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차량(100)이 정차 상태가 아닌 경우, 차량(100)은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20).
일 예로, 차량(100)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차장 진입을 인지한 상태 또는 GPS 수신기를 통해 차량 위치를 미수신하는 상태인 경우, 차량(100)이 주차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주차장 진입 인지는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전달받은 맵 매칭 정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100)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차장 진입을 인지한 상태 또는 GPS 수신기를 통해 차량 위치를 미수신하는 상태에서, 차량(100)이 반복적인 패턴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100)이 주차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주차 모드가 아닌 경우, 차량(100)은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30).
확인 결과 차량(100)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은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40). 이때, 차량(100)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전달받은 목적지 정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차량(100)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은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상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350).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는 상중하 기준으로, "상"이 교통정보 신뢰도가 가장 높고 순차적으로 낮은 순으로 "중"과 "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교통정보 신뢰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은 수치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정보 신뢰도는 1/0.5/0 또는 1~0 또는 100% ~ 0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방법에 따라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360).
일 예로, 차량(100)은 교통정보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미 전송 되도록 결정하고, 교통정보 중 교통정보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100)은 교통정보를 교통정보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되, 교통정보 신뢰도를 함께 전송하도록 결정하고, 교통정보 및 교통정보에 매칭되는 교통정보 신뢰도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10의 확인 결과 차량(100)이 정차 상태인 경우, 차량(100)은 차량(100)의 도어가 오픈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370).
확인 결과 도어가 오픈 상태인 경우, 차량(100)은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380).
이후, 단계 360에서 교통정보 신뢰도에 상관없이 교통정보와 함께 교통정보 신뢰도를 모두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차량(100)은 수집된 교통정보를 교통정보 신뢰도와 함께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 36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20의 확인 결과 주차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380).
이후, 단계 360에서 교통정보 신뢰도에 상관없이 교통정보와 함께 교통정보 신뢰도를 모두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차량(100)은 수집된 교통정보를 교통정보 신뢰도와 함께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 36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30의 확인 결과 차량(100)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100)은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중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390). 다음, 차량(100)은 단계 36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40의 확인 결과 차량(100)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100)은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중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390). 다음, 차량(100)은 단계 36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교통정보 수집 장치(400) 및 차량 내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 장치(150)는 차량(100) 및 차량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차량 센서, 차량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기,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교통정보 수집 장치(400)는 주변에서 감지되는 교통정보와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상태 정보를 기초로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센서로부터 수집된 비상등 점등 여부, 도어 오픈 여부 및 브레이크 작동 여부와 GPS 수신기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위치와 내비게이션으로부터 획득된 맵 매칭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교통정보 수집 장치(400)는 교통정보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미 전송하거나, 또는 교통정보 및 교통정보에 매칭되는 교통정보 신뢰도를 함께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100 : 차량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저장부
140 : 디스플레이
150 : 차량 내 장치
160 : 제어부
200 :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

Claims (20)

  1. 차량 및 상기 차량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센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기;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및
    상기 차량 센서,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교통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상기 교통정보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 센서로부터 수집된 비상등 점등 여부, 도어 오픈 여부 및 브레이크 작동 여부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획득된 맵 매칭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등 점등 여부, 상기 도어 오픈 여부, 상기 브레이크 작동 여부,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맵 매칭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파악된 결과, 상기 차량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정차 상태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다시 주행하기 이전에,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 하 상태를 유지하는 차량.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등 점등 여부, 상기 도어 오픈 여부, 상기 브레이크 작동 여부,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맵 매칭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파악된 결과, 상기 차량이 주차장 내 파킹 상태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하는 차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등 점등 여부, 상기 도어 오픈 여부, 상기 브레이크 작동 여부,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맵 매칭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파악된 결과, 상기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접근하여 정차 예정 상태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중 상태로 설정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미 전송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정보 및 상기 교통정보에 매칭되는 교통정보 신뢰도를 함께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9. 차량 센서, GPS 수신기 및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교통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상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이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가 오픈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도어가 오픈 상태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이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주차 모드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하 상태로 설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차장 진입을 인지한 상태 또는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차량 위치를 미수신하는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차장 진입을 인지한 상태 또는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차량 위치를 미수신하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반복적인 패턴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이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주차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중 상태로 설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이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주차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상 상태로 설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이 정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주차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오프 로드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중하 중에서 중 상태로 설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 센서로부터 수집된 비상등 점등 여부, 도어 오픈 여부 및 브레이크 작동 여부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내비게이션으로부터 획득된 맵 매칭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상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미 전송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교통정보 중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교통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상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교통정보를 상기 교통정보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함께 전송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교통정보 및 상기 교통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를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함께 전송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주변에서 감지되는 교통정보와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통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에 따라 수집된 상기 교통정보를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교통정보 수집 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수집 장치는,
    상기 교통정보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교통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미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교통정보 및 상기 교통정보에 매칭되는 교통정보 신뢰도를 함께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KR1020170120162A 2017-09-19 2017-09-1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31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162A KR20190031900A (ko) 2017-09-19 2017-09-1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162A KR20190031900A (ko) 2017-09-19 2017-09-1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900A true KR20190031900A (ko) 2019-03-27

Family

ID=6590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162A KR20190031900A (ko) 2017-09-19 2017-09-1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19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4022A (zh) * 2019-12-26 2021-06-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行驶的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4022A (zh) * 2019-12-26 2021-06-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行驶的装置及方法
CN113044022B (zh) * 2019-12-26 2024-05-0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行驶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123B1 (ko)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차량
KR102327195B1 (ko) 차량의 원격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
KR20180099215A (ko) 차량의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KR20190078824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1742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네비게이션
KR102444390B1 (ko) 차량, 차량 보안 시스템 및 차량 보안 방법
JP4930716B2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KR102287263B1 (ko) 차량 내 원격 제어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20190098411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3190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9939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291308B1 (ko)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기
CN109747414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KR102309447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66732B1 (ko)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10248996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51822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26343A (ko) 차량 진단 장치, 차량 진단 시스템 및 차량 진단 방법
KR101817539B1 (ko)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KR102450548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6150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4636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7135A (ko)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KR102364419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51394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