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732B1 -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 Google Patents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732B1
KR101866732B1 KR1020160153799A KR20160153799A KR101866732B1 KR 101866732 B1 KR101866732 B1 KR 101866732B1 KR 1020160153799 A KR1020160153799 A KR 1020160153799A KR 20160153799 A KR20160153799 A KR 20160153799A KR 101866732 B1 KR101866732 B1 KR 10186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occupant
us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059A (ko
Inventor
이종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7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09Sonic sensors; Signal treatment therefor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 시동이 구동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판단 정보를 전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를 파악하고, 위치 판단 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탑승자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METHOD FOR RECOGNIZING POSITION OF PASSENGER AND CAR THEREFOR}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차량 부가 서비스 장치를 개발 및 장착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부가 서비스 장치는 차량의 도로 주행 시, 운전자의 핸들조작을 보조하여 주행차선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선이탈 경보 장치 등과 같은 안전 보조 장치를 비롯하여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경로에 따른 주변 정보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 간의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연결을 통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개인 맞춤형 서비스는 차량 내 에어컨의 공기 토출 방향 조정, 스피커의 음향 출력 방향 조정, 운전석 조정, 핸들 조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차량 내 탑승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차량 내 탑승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은, 차량의 엔진 시동이 구동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판단 정보를 전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 판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탑승자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판단 정보는, 운전자 여부, 탑승 방향과 탑승 열을 포함하는 탑승자 위치, 단말 센싱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탑승자 위치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승자 위치로 확정하고,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상기 부가 정보를 기초로 중복된 탑승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차량 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 차량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탑승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것 이후에, 상기 탑승자 위치 및 위치 조정 안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위치 조정 요청에 따라, 상기 탑승자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이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 경우, 수집된 단말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차량 탑승 시 방향 변화 값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탑승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 시 자기장 변화 값을 분석하여 차량 내 상기 사용자의 탑승 열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탑승 방향과 상기 탑승 열을 기초로 차량 내 상기 사용자의 탑승자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차량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했을 때의 자기장 변화, 센서 간의 차이, 수직 하강 변화 또는 도어를 닫을 때의 음향(Sound)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판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탑승자 위치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판단 정보는, 운전자 여부, 탑승 방향과 탑승 열을 포함하는 탑승자 위치, 단말 센싱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탑승자 위치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승자 위치로 확정하고,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상기 부가 정보를 기초로 중복된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여 탑승자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차량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상기 센서를 통해 차량 내부 상태를 감지한 차량 센싱 정보를 기초로 중복된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여 탑승자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 위치 및 위치 조정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위치 조정 요청에 따라, 상기 탑승자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단말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차량 탑승 여부와 차량 내 탑승자 위치를 파악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했을 때의 자기장 변화 값, 센서 간의 차이 값, 수직 하강 변화 값 또는 도어를 닫을 때의 음향(Sound) 변화 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탑승 시 방향 변화 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판단하고, 차량의 엔진 시동 시 자기장 변화 값을 기초로 차량 내 상기 사용자의 탑승 열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 및 상기 탑승 열을 기초로 차량 내 사용자의 탑승자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유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싱 정보를 기초로 차량 내 탑승 위치를 판단하기 때문에, 판단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차량 내 탑승자 위치 판단의 신뢰도가 향상됨에 따라, 이를 활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내 운전자 또는 동승자별 맞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16은 차량 내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차량에서의 탑승자 위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탑승자 위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외관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윈드 스크린(windscreen)(11),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3) 및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바퀴(21)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뒷바퀴(22)를 포함하여 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드 스크린(11)은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2)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3)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차량(1)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바퀴(21, 22)를 회전시키는 동력 장치(16), 차량(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조향 장치(미도시), 바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16)는 본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앞바퀴(21) 또는 뒷바퀴(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동력 장치(16)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 받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도 2의 42), 스티어링 휠(42)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21)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제동 조작을 입력받는 제동 페달(미도시), 바퀴(21, 22)와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미도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는 바퀴(21, 2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1)의 내부는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14), 차량(1)의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5), 차량(1)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51, 52),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 안내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까지 제공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7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14)는 윈드 스크린(11)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14)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석(15)은 대시 보드(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의 전방과 대시 보드(14)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 표시부(51, 52)는 대시 보드(14)의 운전석 측에 마련되며, 차량(1)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5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70)은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운전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1)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가 일체화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내비게이션(70)은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페시아는 대시 보드(14)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시 보드(14)와 시프트레버가 수직으로 만나는 영역이며, 이곳에는 내비게이션(70)을 비롯하여 에어컨, 히터의 컨트롤러, 송풍구, 시거잭과 재떨이, 컵홀더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는 센터콘솔과 함께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70)을 비롯한 각종 구동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그 다이얼(60)을 구비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조그 다이얼(60)은 회전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여 구동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도구를 이용하여 구동 조작을 위한 필기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차량 내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서(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차량(100) 내에서 발생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차량 내 기기 간 또는 외부의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차량 내 기기간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교통 메시지 채널(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RDS-TMC),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탑승자 위치 조정을 위한 제어 정보 입력을 비롯하여 차량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15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센서(130)는 차량(100)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카메라, PIR(Pyroelectric InfraRed)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서, 센서(130)는 영상 촬영, 적외선 감지, 무선 주파수 감지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 또는 확인하기 위한 역할로 활용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된 위치 판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6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50)는 탑승자 위치 및 위치 조정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운전석, 동반자석(앞 열, 뒷열)을 포함하는 좌석에 탑승자가 감지된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탑승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안내 방법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판단 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응되는 탑승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0)은 엔진 시동 시 탑승자 위치 인식 모드를 구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차량(100) 엔진 시동과 동시에 위치 판단 정보를 차량(1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 판단 정보는 운전자 여부, 탑승 방향과 탑승 열을 포함하는 탑승자 위치, 단말 센싱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센싱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된 센서(도 4의 22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시간정보(timestamp)도 포함한다. 또한, 부가 정보는 LF(Low Frequency), RF(Radio Frequency), BLE(Bluetooth Low Energy), UWB(Ultra Wide Band) 등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 값(RSSI : Radio Signal Strength Indicato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00)의 제어부(160)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200a, 200b, ...)와 자체 구비된 센서(130)로부터 각각 단말 센싱 정보와 차량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서,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경우, 탑승자 위치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탑승자 위치로 확정하고,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부가 정보를 기초로 중복된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여 탑승자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 200a와 200b로부터 수신한 탑승자 위치가 모두 운전석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200a와 200b로부터 수신한 부가 정보인 무선 통신 신호 세기 값을 기초로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큰 이동통신 단말기 200a의 탑승자 위치를 운전석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차량(100) 내에서 대시 보드(도 2의 14)와 같은 전반부에 통신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은 것이다.
한편,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복수 개이고,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센서(130)를 통해 차량 내부 상태를 감지한 차량 센싱 정보를 기초로 중복된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여 탑승자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센싱 정보는 차량 내 센서(13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된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차량(100) 내 카메라, PIR 센서 및 RFID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130)에서 자체적으로 감지된 차량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탑승자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 200a와 200b로부터 수신한 탑승자 위치가 모두 운전석인 경우, 이를 센서(130)를 통해 인식된 이동통신 단말기 200a와 200b의 차량 내 위치와 비교하여,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60)는 탑승자 위치 및 위치 조정 안내를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위치 조정 요청에 따라, 탑승자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단말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차량 탑승 여부와 차량 내 탑승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 자체에서 탑승자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16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단말 센싱 정보를 기초로 직접 탑승자 위치를 파악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했을 때의 자기장 변화 값, 센서 간의 차이 값, 수직 하강 변화 값 또는 도어를 닫을 때의 음향(Sound) 변화 값을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탑승 시 방향 변화 값을 기초로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판단하고, 차량의 엔진 시동 시 자기장 변화 값을 기초로 차량 내 상기 사용자의 탑승 열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 및 상기 탑승 열을 기초로 차량 내 사용자의 탑승자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16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차량 내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6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센서(220), 저장부(230), 마이크로폰(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차량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센서(220)는 자신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센서(22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자기장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이크로폰(240)은 음향(Sound)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폰(240)은 차량(100)의 도어를 닫을 때의 음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복수의 센서(220) 및 마이크로폰(240)을 통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차량 탑승 여부 및 차량 내 사용자의 탑승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보유한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 순간을 감지하면, 복수의 센서(220) 및 마이크로폰(240)으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복수의 센서(220) 및 마이크로폰(240)을 통해 수집된 감지 정보 단독 또는 조합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차량(100)의 차량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했을 때의 자기장 변화, 복수의 센서 간의 차이, 수직 하강 변화 또는 도어를 닫을 때의 음향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250)는 차량(100)의 차량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했을 때의 자기장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및 도 7은 차량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했을 때의 자기장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 있을 때(Standing), 차량 내 진입할 때(Entering), 좌석에 앉아 있을 때(Seated)는 각각 다른 자기장 값을 나타내며, 특히, 차량에 진입할 때의 자기장 변화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자기장 센서(Magnetometer)와 자이로(Gyroscope) 센서 간의 차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자기장 변화와 차량에 의한 외부 자기장 변화를 구분하여,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는 전기적 전파 방해(electrical interference)가 없는 경우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8의 (b)는 전기적 전파 방해(electrical interference)가 있는 경우로 차량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움직임만 있는 경우 두 센서(자기장 센서와 자이로 센서) 간 각도 변화가 유사하나, 차량에 의한 외부 자기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두 센서 간 각도 차이(
Figure 112016112594733-pat00001
)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 탑승을 인지하는 것이다. 이때, 환경 영향에 의한 변화 값(Variation by environmental effect)인
Figure 112016112594733-pat00002
는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112594733-pat00003
이때, va는 방위각의 변화(variation of azimuth)이고, vg는 자이로스코프의 변화(variation of gyroscope)를 의미한다.
도 9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움직임과 차량에 의한 외부 자기장이 존재하는 경우, 자기장 센서와 자이로 센서 간의 차이 값을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9와 같이, 차량 탑승 시, 두 센서(자기장 센서와 자이로 센서) 값의 차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움직일 때 발생한 차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므로, 문턱값(threshold)을 기초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차량 탑승을 인지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250)는 차량(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했을 때의 수직 하강 변화 값 또는 도어를 닫을 때의 음향 변화 값을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도어를 닫을 때의 음향 변화 값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11은 수직 하강 변화 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서 있을 때를 감지한 이후, 도 10 또는 도 11의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제어부(250)는 상술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단독 또는 복수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차량 탑승 시, 방향 변화 값을 기초로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방향 변화 값이 시계 방향(도12의 A 방향)의 회전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차량 탑승 방향이 차량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이라고 판단하고, 방향 변화 값이 반 시계 방향(도 12의 B 방향)의 회전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차량 탑승 방향이 차량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이동궤적을 센싱하고(도 13의 (a)), 센싱된 이동궤적으로 좌/우 탑승 시의 특징점을 추출(도 13의 (b))한 뒤, 벡터 계산을 통해 궤적의 방향을 추론(도 13의 (c))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차량(100)의 엔진 시동 시 자기장 변화 값을 기초로 차량 내 사용자의 탑승 열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자기장 변화 값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사용자가 차량(100) 내 앞 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자기장 변화 값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사용자가 차량(100) 내 뒷 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50)의 탑승열 판단은 차량(100)이 엔진 시동 시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운전자석 주변에 대부분의 전자기기들이 밀집해 있음을 고려하여 자기장의 변화폭이 뒷 좌석(도 15의 (b)의 Rear)보다 앞 좌석(도 15의 (b)의 Front)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도 15의 (b))을 이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4는 차량(100)의 엔진 시동 시 차량 내부의 자기장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5의 (a)는 엔진 시동 시 엔진 떨림 신호(도 15의 (a)의 V)가 발생됨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15의 (b)는 엔진 시동 시 앞 좌석과 뒷 좌석의 자기장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엔질 떨림 신호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의 (a)의 차량 내 센싱 위치를 기초로 감지된 자기장 신호의 변화는 도 16의 (b)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자기장 신호 변화 측정은 스파이크 감지(spike detection) 계산식인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6112594733-pat00004
이때, x는 자료값, N은 자료의 개수,
Figure 112016112594733-pat00005
은 모평균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도 16과 같은 자기장 변화가 감지된 경우, 차량 내 앞 좌석(앞 열)과 뒷 좌석(뒷 열)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고(미리 설정 가능), 이 기준을 기초로 자기장 신호 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을 앞 열이라고 판단하고, 변화가 상대적으로 낮은 곳을 뒷 열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 및 탑승 열을 기초로 차량 내 사용자의 탑승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서 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 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차량에서의 탑승자 위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100)의 엔진 시동이 구동됨에 따라, 차량(100)은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310).
상기 위치 판단 정보는 운전자 여부, 탑승 방향과 탑승 열을 포함하는 탑승자 위치, 단말 센싱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위치 판단 정보를 전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320).
다음,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와 위치 판단 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응되는 탑승자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330, 340, 350, 360, 370, 331, 341, 351).
구체적으로, 단계 320의 판단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0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30).
단계 330의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0인 경우 오류 발생으로 처리하여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331).
단계 330의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0이 아닌 경우, 차량(10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1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40).
단계 340의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1인 경우 탑승자 위치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승 위치로 확정할 수 있다(341). 이때, 차량(100)은 탑승 위치를 운전자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40의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1이 아닌 경우, 차량(100)은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50).
단계 350의 확인 결과,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은 탑승자 위치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승자 위치로 확정할 수 있다(351).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수가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경우, 수신한 탑승자 위치를 최종 탑승자 위치로 확정하는 것이다.
단계 350의 확인 결과,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차량(100)은 부가 정보를 기초로 중복된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별 최종 탑승자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360, 370).
한편, 단계 350의 확인 결과,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차량(100)은 차량 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 차량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센싱 정보를 기초로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여, 최종 탑승자 위치를 확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계 370 이후에 차량(100)은 탑승자 위치 및 위치 조정 안내를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위치 조정 요청에 따라, 탑승자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8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탑승자 위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탑승자 위치 판단은 도 17의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하는 것(31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10, 420).
단계 4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집된 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수집된 단말 센싱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30, 440).
이때, 단계 4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차량(100)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했을 때의 자기장 변화, 센서 간의 차이, 수직 하강 변화 또는 도어를 닫을 때의 음향(Sound)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차량 탑승 시의 방향 변화 값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탑승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450).
단계 450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탑승 방향이 왼쪽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차량의 엔진 시동 시 자기장 변화 값을 분석하여 차량 내 상기 사용자의 탑승 열을 판단할 수 있다(460, 470).
단계 470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탑승 열이 앞 열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를 운전자로 판단하고, 뒷 열일 경우 동승자로 판단할 수 있다(480, 491, 493).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탑승 방향과 탑승 열을 기초로 차량 내 사용자의 탑승자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단계 450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탑승 방향이 왼쪽인 아닌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를 동승자로 판단하고(461), 차량의 엔진 시동 시 자기장 변화 값을 분석하여 차량 내 상기 사용자의 탑승 열을 판단할 수 있다(463).
단계 463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탑승 열이 앞 열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를 앞 열 동승자로 판단하고, 뒷 열일 경우 뒷 열 동승자로 판단할 수 있다(465, 467, 469).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 차량
110, 2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220 : 센서
140, 230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
160, 250 : 제어부

Claims (16)

  1. 차량의 엔진 시동이 구동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판단 정보를 전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 판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판단 정보는, 운전자 여부, 탑승 방향과 탑승 열을 포함하는 탑승자 위치, 단말 센싱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탑승자 위치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승자 위치로 확정하고,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상기 부가 정보를 기초로 중복된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는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차량 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 차량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는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것 이후에,
    상기 탑승자 위치 및 위치 조정 안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위치 조정 요청에 따라, 상기 탑승자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이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 경우, 수집된 단말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차량 탑승 시 방향 변화 값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탑승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 시동 시 자기장 변화 값을 분석하여 차량 내 상기 사용자의 탑승 열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탑승 방향과 상기 탑승 열을 기초로 차량 내 상기 사용자의 탑승자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제자리에 서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차량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했을 때의 자기장 변화, 센서 간의 차이, 수직 하강 변화 또는 도어를 닫을 때의 음향(Sound)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
  9.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판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판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탑승자 위치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판단 정보는,
    운전자 여부, 탑승 방향과 탑승 열을 포함하는 탑승자 위치, 단말 센싱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탑승자 위치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탑승자 위치로 확정하고,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상기 부가 정보를 기초로 중복된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여 탑승자 위치를 확정하는 차량.
  12. 제9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 위치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 상기 센서를 통해 차량 내부 상태를 감지한 차량 센싱 정보를 기초로 중복된 탑승자 위치를 조정하여 탑승자 위치를 확정하는 차량.
  13. 제9항에 있어서,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 위치 및 위치 조정 안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위치 조정 요청에 따라, 상기 탑승자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14.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단말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차량 탑승 여부와 차량 내 탑승자 위치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외부에서 내부로 탑승했을 때의 자기장 변화 값, 자기장 센서와 자이로 센서 간의 차이 값, 수직 하강 변화 값 또는 도어를 닫을 때의 음향(Sound) 변화 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탑승 시 방향 변화 값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을 판단하고, 차량의 엔진 시동 시 자기장 변화 값을 기초로 차량 내 상기 사용자의 탑승 열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방향 및 상기 탑승 열을 기초로 차량 내 사용자의 탑승자 위치를 판단하는 차량.
KR1020160153799A 2016-11-18 2016-11-18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101866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799A KR101866732B1 (ko) 2016-11-18 2016-11-18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799A KR101866732B1 (ko) 2016-11-18 2016-11-18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59A KR20180056059A (ko) 2018-05-28
KR101866732B1 true KR101866732B1 (ko) 2018-06-15

Family

ID=6245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799A KR101866732B1 (ko) 2016-11-18 2016-11-18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0890B2 (en) * 2016-08-29 2020-01-07 Volkswagen Ag Method for assigning a user profile of a user to a seat in a motor vehicle, mobile unit and mot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843A (ko) 2019-09-23 2021-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277A (ko) * 2013-10-24 2015-05-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장치의 휴대용 단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670B1 (ko) * 2014-08-25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 및 탑승 위치 인식 시스템
KR101673684B1 (ko) * 2014-10-28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승객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277A (ko) * 2013-10-24 2015-05-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장치의 휴대용 단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0890B2 (en) * 2016-08-29 2020-01-07 Volkswagen Ag Method for assigning a user profile of a user to a seat in a motor vehicle, mobile unit and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59A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2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river phone operation using vehicle dynamics data
KR102215325B1 (ko) 차량의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CN110114245B (zh) 车辆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EP2945137B1 (en) Mobile terminal and vehicle control
US104718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ular user interface under driving circumstance
KR102300836B1 (ko) 자율 주행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7195B1 (ko) 차량의 원격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
US9528835B2 (en) Terminal, vehicle communicating with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10121478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021167A1 (en) Method for extending vehicle interface
KR20200093091A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6732B1 (ko) 탑승자 위치 인식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20160114486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562581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196427A1 (en) Mobile Device and Vehicle
KR101698102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787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394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9939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2127A (ko)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차량 제어 방법
KR10248996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3190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20057441A (ja) 操作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220381578A1 (en) Mobile apparatus and vehicle
KR2019010264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