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539B1 -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539B1
KR101817539B1 KR1020160149931A KR20160149931A KR101817539B1 KR 101817539 B1 KR101817539 B1 KR 101817539B1 KR 1020160149931 A KR1020160149931 A KR 1020160149931A KR 20160149931 A KR20160149931 A KR 20160149931A KR 101817539 B1 KR101817539 B1 KR 101817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anes
guidance
navig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원
박소연
이종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엠엔소프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엠엔소프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8Lan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때 실제 도로 형상을 기초한 안내 필요 기준에 따라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NAVIG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차량 부가 서비스 장치를 개발 및 장착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부가 서비스 장치는 차량의 도로 주행 시, 운전자의 핸들조작을 보조하여 주행차선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선이탈 경보 장치 등과 같은 안전 보조 장치를 비롯하여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경로에 따른 주변 정보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내비게이션은 지도를 기초로 길 안내 정보 제공 여부를 결정하여 안내하는데, 때때로 지도에 구축된 도로 형상이 실제 형상과 차이가 있어 길 안내가 불필요한데 안내하거나, 이와 반대로 길 안내가 필요한데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실제 도로 형상을 기초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 결과에 따라 효율적인 길 안내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를 입력 받는 입력부;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때 실제 도로 형상을 기초한 안내 필요 기준에 따라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우선 도로(through route)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회전(turn)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제공하고, 상기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주행 도로 유지(Keep)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제공할 때, 주행 도로 유지 안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동일한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가 진출 차선 수 보다 큰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출 차선 수가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 도로의 차선 수에 2를 합한 수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 제공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구불구불(Serpentine)한 형태의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구불구불한 형태의 주행 도로에 연결된 도로가 기 설정된 도로 폭 이하의 좁은 도로면 상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좁은 도로가 지방 도로(Local Way)이고, 도로 등급이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상기 주행 도로의 등급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도로의 도로 종별과 상기 좁은 도로의 도로 종별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섬 형태의 교차로(Plural Junction)가 연결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도로와 상기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1이면, 상기 섬 형태의 교차로로의 주행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섬 형태의 교차로(Plural Junction)가 연결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도로와 상기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도로의 속성과 진출 도로의 속성이 동일하면, 상기 섬 형태의 교차로로의 주행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고,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고, 제공할 길 안내 정보가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및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우선 도로(through route)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서, 상기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확인 결과 상기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회전(turn)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제공하고, 상기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주행 도로 유지(Keep)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제공할 때, 주행 도로 유지 안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서,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 또는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의 도로 차선 수를 기초로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판단 결과,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동일한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생략하고, 상기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가 진출 차선 수 보다 큰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주행 도로의 진출 차선 수가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 도로의 차선 수에 2를 합한 수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이 구불구불(Serpentine)한 형태의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서, 상기 구불구불한 형태의 주행 도로에 연결된 도로가 기 설정된 도로 폭 이하의 좁은 도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확인 결과 좁은 도로인 경우 상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섬 형태의 교차로(Plural Junction)가 연결된 경우, 상기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 도로와 상기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1인지 여부 또는 상기 차량의 주행 도로와 상기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도로의 속성과 진출 도로의 속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확인 결과 상기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1이거나 또는 상기 진입 도로의 속성과 진출 도로의 속성이 동일한 경우, 상기 섬 형태의 교차로로의 주행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실제 도로 형상을 기초한 안내 필요 조건을 기초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 필요한 길 안내를 생략하기 때문에, 운전자 입장에서 불 필요한 길 안내 정보 제공으로 인한 주행 혼선 및 잦은 길 안내 음성 제공으로 인한 소음 공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기 저장된 지도에 표시된 도로 형상에 따라 길 안내 정보 제공이 생략되는 경우라도, 실제 도로 형상에 기초한 안내 필요 조건에 만족된다면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내비게이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개시된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개시된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개시된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개시된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외관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윈드 스크린(windscreen)(11),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3) 및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바퀴(21)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뒷바퀴(22)를 포함하여 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드 스크린(11)은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2)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3)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차량(1)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바퀴(21, 22)를 회전시키는 동력 장치(16), 차량(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조향 장치(미도시), 바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16)는 본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앞바퀴(21) 또는 뒷바퀴(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동력 장치(16)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 받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도 2의 42), 스티어링 휠(42)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21)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제동 조작을 입력받는 제동 페달(미도시), 바퀴(21, 22)와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미도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는 바퀴(21, 2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1)의 내부는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14), 차량(1)의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5), 차량(1)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51, 52),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 안내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까지 제공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10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14)는 윈드 스크린(11)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14)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석(15)은 대시 보드(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의 전방과 대시 보드(14)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 표시부(51, 52)는 대시 보드(14)의 운전석 측에 마련되며, 차량(1)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5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0)은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운전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1)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가 일체화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내비게이션(100)은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페시아는 대시 보드(14)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시 보드(14)와 시프트레버가 수직으로 만나는 영역이며, 이곳에는 내비게이션(100)을 비롯하여 에어콘, 히터의 컨트롤러, 송풍구, 시거잭과 재떨이, 컵홀더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는 센터콘솔과 함께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100)을 비롯한 각종 구동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그 다이얼(60)을 구비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조그 다이얼(60)은 회전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여 구동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도구를 이용하여 구동 조작을 위한 필기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내비게이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4 내지 도 13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내비게이션(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디스플레이(140), 출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 내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을 비롯한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교통 메시지 채널(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RDS-TMC),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교통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교통정보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를 비롯하여 내비게이션(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14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저장부(130)는 지도 정보, 안내 메시지, 길 안내 정보의 안내 필요 기준 등을 비롯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3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6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비게이션(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출력부(150)는 길 안내 정보를 음성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비게이션(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음성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때 실제 도로 형상을 기초한 안내 필요 기준에 따라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제 도로 형상을 기초한 안내 필요 기준은 지도에 구축된 도로 형상 자체가 실제 도로 형상과 차이가 있는 것을 고려하여, 도로 속성을 이용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때, 도로 속성은 도로의 종별, 도로의 등급, 차선 수를 비롯하여 도로의 실제 형상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도로의 종별은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로의 등급은 상술한 도로의 종별에 부여된 등급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술한 도로의 종별, 도로의 등급 및 차선 수를 이용하여 도로의 실제 형상을 유추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6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우선 도로(through route)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회전(turn)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제공하고,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주행 도로 유지(Keep)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도로는 유럽에서 종종 확인할 수 있는 도로 형태로,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직진 도로와 회전 도로가 존재할 때, 회전 도로 방향으로의 주행을 우선 시 하는 도로이다. 즉, 회전 도로가 메인 도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60)는 회전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제공할 때, 주행 도로 유지 안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회전 안내가 발생하여도 차량이 주행 도로를 따라 회전 주행하면 되는데, 회전 안내로 인해 운전자가 혼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방에 우선 도로가 존재하는 상황(도 4, 5 및 6의 우선 도로 안내 표지판 M 참고)에서, 도 4와 같은 경우 차량의 회전 각도가 도 5 및 6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하여 현재 주행 도로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Keep"과 같은 우선 도로 정보 안내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도 5 및 6의 경우 차량의 회전 각도가 도 4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서(즉, 기준치 이상), 회전(Turn) 안내를 해야 하는 경우, 회전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전방 200m에서 주행 도로(메인 도로)를 따라 좌회전 하세요."와 같은 주행 도로 유지 안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차량(1)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동일한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 제공을 생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도 7의 P1)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동일하게 3 개인 경우, 제어부(160)는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 제공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차량(1)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가 진출 차선 수 보다 큰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도 8의 P1)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가 3 개이고, 진출 차선 수가 2개인 경우, 제어부(160)는 "Keep Right(또는 Left)"와 같은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출 차선 수가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 도로의 차선 수에 2를 합한 수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도 9의 P1)으로 주행 도로의 진출 차선 수가 3 개이고, 나들목 또는 분기점 도로의 차선 수에 2를 합한 수 3인 경우, 제어부(160)는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 제공을 생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차량(1)이 구불구불(Serpentine)한 형태의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구불구불한 형태의 주행 도로에 연결된 도로가 기 설정된 도로 폭 이하의 좁은 도로면 상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길에 존재하는 구불구불한 주행 도로에 연결된 도로가 좁은 도로(보행자 도로(pedestrian road), 폐쇄 도로(close road), 사유 도로(private road), 막힌 도로(no thru road) 등과 같은 도로)인 경우, 연결된 지점에서 회전 안내를 생략하는 것이다. 즉, 내비게이션(100)에 저장된 지도의 형상으로는 도로가 존재하지만 실제 차량 주행 시 길 안내가 불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수준의 도로인 경우 안내를 생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고하면, 제어부(160)는 좁은 도로(B)가 지방 도로(Local Way)이고, 도로 등급이 차량(1)이 주행하는 주행 도로(A)의 등급 보다 작은 경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고하면, 제어부(160)는 주행 도로(A)의 도로 종별과 좁은 도로(C)의 도로 종별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도로의 종별이 6 이하인 간선도로(Arterial)이고, 좁은 도로의 종별이 9 이상인 국도인 경우, 제어부(160)는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이때, 좁은 도로의 종별은 숫자가 작을수록 등급이 높은 도로를 의미하고 숫자가 클수록 등급이 낮은 도로를 의미한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에 도 12, 13과 같이 섬 형태의 교차로(Plural Junction)가 연결된 경우, 차량의 주행 도로와 교차로의 접점(도 12, 13의 P2)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1이면, 섬 형태의 교차로로의 주행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에 섬 형태의 교차로(Plural Junction)가 연결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도로와 상기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도로(도 13의 IR)의 속성과 진출 도로(도 13의 OR)의 속성이 동일하면, 상기 섬 형태의 교차로로의 주행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160)는 내비게이션(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4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100)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210).
다음, 내비게이션(100)은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220).
다음, 내비게이션(100)은 차량(1)이 주행하는 주행 도로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230). 이때, 도로 속성은 도로의 종별, 도로의 등급, 차선 수를 비롯하여 도로의 실제 형상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
다음, 내비게이션(100)은 제공할 길 안내 정보가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40). 이때, 실제 도로 형상을 기초한 안내 필요 기준은 지도에 구축된 도로 형상 자체가 실제 도로 형상과 차이가 있는 것을 고려하여, 도로 속성을 이용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다음, 내비게이션(100)은 확인 결과에 따라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240의 확인 결과 제공할 길 안내 정보가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해당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250).
이후, 내비게이션(100)은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제공할 길 안내 정보에 대해 단계 240부터 단계 250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260).
한편, 단계 240의 확인 결과 제공할 길 안내 정보가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해당 길 안내 정보의 제공을 생략하고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개시된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14의 단계 240과 단계 250에 대한 일 예를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우선 도로(through route)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주행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230 이후에,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우선 도로(through route)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10).
확인 결과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내비게이션(100)은 회전(turn)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320).
상기 회전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제공할 때, 내비게이션(100)은 주행 도로 유지 안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내비게이션(100)은 주행 도로 유지(Keep) 안내를 포함하는 우선 도로 정보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4에 개시된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14의 단계 240과 단계 250에 대한 일 예를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주행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주행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230 이후에,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는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안내 필요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10).
즉, 내비게이션(100)은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 또는 나들목 또는 분기점의 도로 차선 수를 기초로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내비게이션(100)은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내비게이션(100)은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가 진출 차선 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내비게이션(100)은 주행 도로의 진출 차선 수가 나들목 또는 분기점 도로의 차선 수에 2를 합한 수 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410의 판단 결과, 안내 필요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420). 만약, 안내 필요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 제공을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동일한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가 진출 차선 수 보다 큰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도로의 진출 차선 수가 나들목 또는 분기점 도로의 차선 수에 2를 합한 수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4에 개시된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14의 단계 240과 단계 250에 대한 일 예를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차량이 구불구불(Serpentine)한 형태의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주행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230 이후에, 차량이 구불구불(Serpentine)한 형태의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구불구불한 형태의 주행 도로에 연결된 도로가 기 설정된 도로 폭 이하의 좁은 도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10).
확인 결과, 좁은 도로가 아닌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520).
한편, 단계 510의 확인 결과 좁은 도로인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4에 개시된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14의 단계 240과 단계 250에 대한 일 예를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주행 도로에 섬 형태의 교차로(Plural Junction)가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주행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230 이후에,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섬 형태의 교차로(Plural Junction)가 연결된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차량의 주행 도로와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1인지 여부 또는 차량의 주행 도로와 상기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도로의 속성과 진출 도로의 속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610).
확인 결과,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1이 아니거나 또는 진입 도로의 속성과 진출 도로의 속성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섬 형태의 교차로로의 주행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620).
확인 결과,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1이거나 또는 진입 도로의 속성과 진출 도로의 속성이 동일한 경우, 내비게이션(100)은 섬 형태의 교차로로의 주행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 내비게이션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저장부
140 : 디스플레이
150 : 출력부
160 : 제어부

Claims (21)

  1.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때 실제 도로 형상을 기초한 안내 필요 기준에 따라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의 도로 속성을 확인하며 도로 속성에 우선 도로(through route)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회전(turn) 안내를 포함하는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회전 안내를 제공할 때 주행 도로 유지 안내를 함께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동일한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생략하는 내비게이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가 진출 차선 수 보다 큰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출 차선 수가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 도로의 차선 수에 2를 합한 수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 제공을 생략하는 내비게이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구불구불(Serpentine)한 형태의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구불구불한 형태의 주행 도로에 연결된 도로가 기 설정된 도로 폭 이하의 좁은 도로면 상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하는 내비게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좁은 도로가 지방 도로(Local Way)이고, 도로 등급이 차량이 주행하는 상기 주행 도로의 등급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하는 내비게이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도로의 도로 종별과 상기 좁은 도로의 도로 종별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하는 내비게이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섬 형태의 교차로(Plural Junction)가 연결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도로와 상기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1이면, 상기 섬 형태의 교차로로의 주행 안내를 생략하는 내비게이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섬 형태의 교차로(Plural Junction)가 연결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도로와 상기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도로의 속성과 진출 도로의 속성이 동일하면, 상기 섬 형태의 교차로로의 주행 안내를 생략하는 내비게이션.
  12.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고,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 도로의 속성을 확인하고,
    제공할 길 안내 정보가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및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경로에 우선 도로(through route)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서, 상기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확인 결과 상기 우선 도로의 회전 각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회전(turn) 안내를 포함하는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회전 안내를 제공할 때 주행 도로 유지 안내를 함께 제공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 전방에 나들목 또는 분기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서,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 또는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의 도로 차선 수를 기초로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판단 결과,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동일한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생략하고, 상기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가 진출 차선 수 보다 큰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주행 도로의 진출 차선 수가 상기 나들목 또는 분기점 도로의 차선 수에 2를 합한 수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나들목 또는 분기점 안내 정보를 생략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구불구불(Serpentine)한 형태의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서,
    상기 구불구불한 형태의 주행 도로에 연결된 도로가 기 설정된 도로 폭 이하의 좁은 도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확인 결과 좁은 도로인 경우 상기 좁은 도로로의 회전 안내를 생략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섬 형태의 교차로(Plural Junction)가 연결된 경우,
    상기 안내 필요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 도로와 상기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1인지 여부 또는 상기 차량의 주행 도로와 상기 교차로의 접점을 기준으로 주행 도로의 진입 도로의 속성과 진출 도로의 속성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확인 결과 상기 진입 차선 수와 진출 차선 수가 1이거나 또는 상기 진입 도로의 속성과 진출 도로의 속성이 동일한 경우, 상기 섬 형태의 교차로로의 주행 안내를 생략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KR1020160149931A 2016-11-11 2016-11-11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KR101817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31A KR101817539B1 (ko) 2016-11-11 2016-11-11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31A KR101817539B1 (ko) 2016-11-11 2016-11-11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539B1 true KR101817539B1 (ko) 2018-02-28

Family

ID=6140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931A KR101817539B1 (ko) 2016-11-11 2016-11-11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9077A (zh) * 2020-11-16 2022-05-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导航引导线的生成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435B1 (ko) * 2003-07-26 2006-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교차로 주행 안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435B1 (ko) * 2003-07-26 2006-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교차로 주행 안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9077A (zh) * 2020-11-16 2022-05-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导航引导线的生成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325B1 (ko) 차량의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CN107848537B (zh) 自动驾驶辅助装置、自动驾驶辅助方法以及非暂时性的记录介质
KR102416123B1 (ko)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차량
KR102327195B1 (ko) 차량의 원격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
JP2015134521A (ja) 車両情報表示制御装置
WO2015045326A1 (ja) 車両用表示処理装置
KR20190029192A (ko) 자율 주행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001818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97709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JP2020021350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207877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287263B1 (ko) 차량 내 원격 제어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20190098411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WO2017022150A1 (ja) 自動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自動運転支援プログラム
JP2023054632A (ja) 車両用表示装置、車両、表示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17539B1 (ko)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KR10251394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291308B1 (ko)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189939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09447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973159B1 (ko)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10236150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8996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51822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8165762A (ja) 表示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表示制御装置、車両、プログラム、表示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