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525A -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525A
KR20190070525A KR1020170171123A KR20170171123A KR20190070525A KR 20190070525 A KR20190070525 A KR 20190070525A KR 1020170171123 A KR1020170171123 A KR 1020170171123A KR 20170171123 A KR20170171123 A KR 20170171123A KR 20190070525 A KR20190070525 A KR 20190070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eat insulating
coil base
insulating material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940B1 (ko
Inventor
임경민
박민영
권오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7017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9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1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을 보관하는 용기, 상기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코일 베이스, 상기 코일 베이스의 외면에 설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 베이스 및 상기 코일을 감싸도록 상기 코일 베이스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에 의해 에너지 소비 효율이 증가된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IH COOKING UTENSILS WITH INCREASED EFFICIENCY}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너지 소비 효율이 증대된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방식 조리기(Induction Heating Cooker)는 열원으로 유도가열(IH: Induction heating)을 사용하는 조리기로, 전원입력에 의해 자력선을 발생하는 워킹코일을 포함하는 유도가열부와, 상기 유도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유도가열방식의 조리기 중 전기밥솥은 밥맛과 조리시간의 장점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 밥솥은 내솥을 유도 가열시키는 코일(13)의 감김 상태 또는 코일(1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코일 베이스(15), 코일 베이스(11)의 외주면에 감기는 코일(13), 코일(13)을 코일 베이스(15)에 고정시키는 코일 홀더(17)로 구성되며, 코일 홀더(17)에는 페라이트(FERRITE)(19)가 추가될 수 있다. 페라이트(19)는 코일(13)의 자기력 손실을 차단시킨다.
유도가열 방식의 밥솥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81909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재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도 가열 방식의 조리기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켜 용기의 유도자화를 통해 발생되는 발열이 조리기에 적용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코일 자체 및 내솥의 열에너지의 손실로 인한 밥솥의 에너지 소비효율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8190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가열 조리기의 에너지 효율이 증대된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단열재 설치가 용이한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는,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설치되며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내솥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코일 베이스; 상기 코일 베이스에 설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 베이스 및 상기 코일을 감싸도록 상기 코일 베이스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일 베이스에는 상기 단열재를 상기 코일 베이스에 가고정하는 단열재 가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 가고정부는 상기 코일베이스 상단 외주면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단열재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기에서 자기 유도로 발생되는 용기의 열 손실이나 코일 자체의 열 손실이 최소화되는 보온 효과로 인해 성능 및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기의 조리가 행해지는 내부가 외부와 단열재에 의해 차단되므로 조리에 따른 필요 온도로 유도 가열 가동 시 필요 출력을 절감 시킬 수 있고, 보온 시 유도 가열 Heater ON 횟수 감소를 통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 가고정부로 단열재를 코일 베이스에 가설치시킬 수 있어 밥솥 제작 공정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유도 가열방식 조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밥솥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밥솥의 취사시 온도(T)-시간(t) 비교 그래프 - 도 5(a)는 종래 그래프이고, 도 5(b)는 발명 그래프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밥솥의 보온시 온도(T)-시간(t) 비교 그래프 - 도 6(a)는 종래 그래프이고, 도 6(b)는 발명 그래프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되, 유도가열 방식의 조리기 중 전기밥솥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보관하는 용기(101), 상기 용기(101)를 수용하는 수용부(110)를 갖는 코일 베이스(103), 상기 코일 베이스(103)에 설치되는 코일(140), 상기 코일 베이스(103) 및 상기 코일(140)을 감싸도록 상기 코일 베이스(103)에 설치되는 단열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밥솥은 용기(101)가 수용되는 본체(미도시)와, 본체(미도시)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미도시)을 포함한다.
코일 베이스(103)는 상기 용기(101)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상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20)를 포함한다.
수용부(110)는 바닥부(111)와, 바닥부(111)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플랜지부(120)가 형성되는 측부(115), 바닥부(111)에 코일 베이스(10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측부코일(143)이 설치되는 측부리브(117)들과, 측부(115)에 코일 베이스(10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바닥코일(141)이 설치되는 바닥리브(11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브(113,117)들은 단열재(150)와 면접촉된다.
측부리브(117)는 코일 베이스(103)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바닥리브(113)는 코일 베이스(103)의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코일 베이스(103)의 바닥부(111) 중앙에는 하부 온도 센서(미도시)가 수용되는 돌출부(132)가 형성되고, 바닥부(111) 둘레 부근에는 홀더(160)와 코일 베이스(103)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미도시)가 체결되는 제1스크류 체결부(130a)와, 본체와 코일 베이스(103)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또 다른 스크류(미도시)가 체결되는 제2스크류 체결부(130b)가 복수 개 형성된다. 즉 한 개의 스크류가 본체와 제1스크류 체결부(130a)에 순서대로 체결되면 본체와 코일 베이스(103)가 서로 고정된다. 또한, 홀더(160)에는 코일 베이스(103)의 제1스크류 체결부(130a)와 함께 스크류(미도시)가 체결되는 제3크류 체결부(162)가 형성된다. 즉 한 개의 스크류가 제3크류 체결부(162)와 제1스크류 체결부(130a)에 순서대로 체결되면 홀더(160)와 코일 베이스(103)가 서로 고정된다.
플랜지부(120)는 수용부(110)의 외면 중 상측에 형성되되 상단보다는 하측에 형성되며, 본체의 돌출부(미도시)가 삽입되는 안착부(121)가 사방에 형성된다. 본체의 돌출부(미도시)가 플랜지부(120)의 안착부(121)에 삽입되어 코일 베이스(103)가 돌출부(미도시) 상에 안착되면 용기(101)는 수용부(11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다.
안착부(121)는 관 형상이되, 관 내주면에 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띠가 형성되어 있어 안착부(121)가 본체의 돌출부(미도시) 상에 얹혀질 수 있다.
상기 코일 베이스(103)에는 상기 단열재(150)를 상기 코일 베이스(103)에 가고정하는 단열재 가고정부(123,1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재 가고정부(123,160)는 상기 코일 베이스(103)의 상단 외주면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열재 고정편(123)과, 상기 코일 베이스(103)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재(150)를 상기 코일 베이스(103) 측으로 누르는 홀더(160)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150)는 상기 수용부(110)와 상기 단열재 고정편(123)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 베이스(103)에 고정된다. 따라서 홀더(160)를 설치시키기 전에 단열재 고정편(123)으로 단열재(150)를 코일 베이스(103)에 가설치시킬 수 있어 밥솥 제작 공정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재(150)는 단부가 단열재 고정편(123)에 눌려 들뜨지 않으므로 코일 베이스(103)와 단열재(150)의 단부 사이에 틈새가 없어 열손실이 방지된다.
단열재 고정편(123)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다.
단열재 고정편(123)은 일면이 수용부(110)의 측부(115)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단열재 고정편(123)은 코일 베이스(10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단열재 고정편(123)은 플랜지부(12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있고, 안착부(121)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있다.
단열재 고정편(123) 중 플랜지부(120) 외주면에 형성된 것은 외주면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단열재(150)가 잘 고정되기 위해 각 단열재 고정편(123)들 각각의 형성 반경은 코일 베이스(103)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150)는 코일 베이스(103)의 측부(115)와 바닥부(111) 및 코일(140)을 감싸도록 코일 베이스(103)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즉 단열재(150)는 평면인 바닥부와, 바닥부(111)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곡면인 측부를 포함한다. 단열재(150)는 단면이 일정하다.
또한, 단열재(150)의 바닥부(111) 둘레 부근에는 코일 베이스(103)의 제1,2스크류 체결부(130a, 130b)가 삽입 안착되는 관통공(151a)이 복수 개 형성되고, 바닥부(111)의 중앙에는 코일 베이스(103)의 돌출부(132)가 삽입 안착되는 관통공(151b)이 더 형성된다.
단열재(150)는 홀더(160)와 수용부(110)와 단열재 고정편(123)에 눌릴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열재(150)는 코일 베이스(103)에 설치되면, 코일 베이스(103)와 홀더(160)에 눌려 형상이 변형된다. 이때 단열재(150)는 코일 베이스(103)의 리브(113,117)들과 코일(140)과 플랜지부(120)에 접촉되되, 코일 베이스(103) 중 상기 접촉 부분들을 제외한 부분과는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다. 또한 단열재(150)는 홀더(160)의 하편 전체와 양 측편의 하측과 접촉된다. 따라서 단열재(150)가 코일(140)과 홀더(160)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설치되어 코일(140)과 홀더(160)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코일(140)의 열은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홀더(160)로 직접 전달되지도 않는다.
홀더(160)는 코일 베이스(103)와 코일(140) 및 단열재(150)의 외측에 위치되어 단열재(150)와 코일(140)의 위치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홀더(160)는 하편(도면부호 미도시)과, 하편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된 양 측편(도면부호 미도시)과, 양 측편을 연결시키는 연결편(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한다.
홀더(160)의 하편, 측편, 연결편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페라이트(170)가 삽입될 수 있다.
홀더(160)는 코일 베이스(103)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절곡된 형상이며, 상하길이가 코일 베이스(103)의 외면의 상하길이보다 조금 짧고, 폭은 페라이트(170)의 폭보다 조금 더 넓다. 페라이트(170)는 후술될 바닥코일(141)의 하측에 위치된다.
홀더(160)는 코일 베이스(103)의 바닥부(111) 중앙에서 상측으로 길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홀더(160)는 코일 베이스(10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3 개가 설치된다.
한편, 코일(140)은 코일 베이스(103)의 측부리브(117)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측부코일(143)과, 코일 베이스(103)의 바닥리브(113)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바닥코일(141)을 포함한다. 코일(140)은 마이컴(미도시)에서 연장된 코일(140)이 측부코일(143)에서 바닥코일(141)까지 연장 설치된 것이다.
코일(140)은 단열재(150)와 면접촉된다.
코일(140)에는 3 개의 홀더(160)에 눌리는 부분들과, 단열재(150)와 면접촉된 외면 전체에 고정력이 적용되므로 종래보다 확실하게 설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코일(140)의 하측이 단열재(150)에 가려지므로 코일(140)의 자기력 손실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페라이트(170)가 꼭 필요하지 않지만, 페라이트(170)가 설치된다면 코일(140)의 자기력 손실이 더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밥솥은 코일 베이스(103)와 코일(140)의 외측이 단열재(150)에 감싸져 있어, 코일(140)의 열이 외측으로 배출되더라도 단열재(150)에 막혀 코일 베이스(103) 측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용기(101)에서 외측으로 배출된 열이 단열재(150)에 막혀 코일(140), 코일 베이스(103), 용기(101)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기 유도로 발생되는 용기(101)의 열 손실이나 코일(140) 자체의 열 손실이 최소화되는 보온 효과로 인해 유도가열 조리기의 성능 및 효율이 향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밥솥은 취사 시 가열공정(최대 유도 가열 ON) 시간이 종래보다 t2만큼 감소되어 유도가열 밥솥의 에너지 소비 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 밥솥은 보온 시 온도 하락 구간, 유도 가열 OFF, Top Heater OFF, Side Heater OFF와 같은 휴지기 시간이 종래보다 t4만큼 연장되므로 유도 가열이 ON되는 시간이 감소되어 유도가열 밥솥의 에너지 소비 효율이 증대된다. 즉 조리가 행해지는 내부가 외부와 단열재(150)에 의해 차단되므로 조리에 따른 필요 온도로 유도 가열 가동 시 필요 출력을 절감 시킬 수 있고, 보온 시 유도 가열 Heater ON 횟수 감소를 통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된 실시 예와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상단 외주에 상기 단열재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150)는 상기 수용부(110)와 상기 단열재 고정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 베이스(1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 예의 단열재 고정편은 상기 수용부(110)의 상단 중 외측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용부(110)와 상기 단열재 고정편의 이격을 형성하는 이격부와, 상기 이격부의 외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수용부(110)와 마주보는 가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열재(150)는 상기 이격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 즉 수용부(110)와 상기 가고정편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예의 설명되지 않은 구성 및 효과는 전술된 실시 예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1 : 용기 103 : 코일 베이스
110 : 수용부 111 : 바닥부
113 : 바닥리브 115 : 측부
117 : 측면리브 120 : 플랜지부
121 : 안착부 123 : 단열재 고정편
130a : 제1스크류 체결부 130b : 제2스크류 체결부
132 : 돌출부 140 : 코일
150 : 단열재 151a : 관통공(130삽입)
151b : 관통공(132삽입) 160 : 홀더
162 : 제3스크류 체결부 170 : 페라이트

Claims (3)

  1.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설치되며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내솥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코일 베이스;
    상기 코일 베이스에 설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 베이스 및 상기 코일을 감싸도록 상기 코일 베이스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베이스에는 상기 단열재를 상기 코일 베이스에 가고정하는 단열재 가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가고정부는 상기 코일베이스 상단 외주면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단열재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
KR1020170171123A 2017-12-13 2017-12-13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 KR102368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123A KR102368940B1 (ko) 2017-12-13 2017-12-13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123A KR102368940B1 (ko) 2017-12-13 2017-12-13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525A true KR20190070525A (ko) 2019-06-21
KR102368940B1 KR102368940B1 (ko) 2022-03-04

Family

ID=6705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123A KR102368940B1 (ko) 2017-12-13 2017-12-13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9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521A (ko) * 1998-07-14 2000-02-07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
KR20040081909A (ko) 2003-03-17 200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밥솥
JP2011161077A (ja) * 2010-02-12 2011-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CN202060565U (zh) * 2011-01-28 2011-12-07 李玉青 一种电磁电饭煲
CN204445368U (zh) * 2015-03-02 2015-07-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521A (ko) * 1998-07-14 2000-02-07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
KR20040081909A (ko) 2003-03-17 200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밥솥
JP2011161077A (ja) * 2010-02-12 2011-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CN202060565U (zh) * 2011-01-28 2011-12-07 李玉青 一种电磁电饭煲
CN204445368U (zh) * 2015-03-02 2015-07-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940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123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60134129A (ko) 전기조리기
KR20190070525A (ko) 효율이 증대된 유도가열 조리기
JP6480633B1 (ja) 電気ロースター
JP4135270B2 (ja) 炊飯器
US20090230122A1 (en) Heater holder and electric hob including the same
JP6145703B2 (ja) グリル調理器
US8735780B2 (en) Heater supporter and electric hob including the same
KR102421922B1 (ko) 전기밥솥
JP2010015764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685408B2 (ja) 電子調理器の温度感知素子取付装置
JP200434234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3292059B2 (ja) 電気炊飯器
JP7378206B2 (ja) 炊飯器
JP7337029B2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器の製造方法
JP7108446B2 (ja) 調理器
KR101822512B1 (ko) 전기압력밥솥
CN212996072U (zh) 烹饪器
CN210694414U (zh) 线圈盘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4180137U (zh) 绕线盘、电磁加热装置及烹饪器具
CN212066450U (zh) 烹饪器具
JP5550491B2 (ja) 電磁調理器
JP4528824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9846865U (zh) 烹饪器具
KR101822511B1 (ko) 전기압력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