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333A -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333A
KR20190069333A KR1020180159322A KR20180159322A KR20190069333A KR 20190069333 A KR20190069333 A KR 20190069333A KR 1020180159322 A KR1020180159322 A KR 1020180159322A KR 20180159322 A KR20180159322 A KR 20180159322A KR 20190069333 A KR20190069333 A KR 20190069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group
acrylate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934B1 (ko
Inventor
박현규
송희
이현섭
권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9006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THEREOF}
본 출원은 2017년 12월 11일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7-0169347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거나, 고무줄처럼 늘리는 등, 사용 단계에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요구와 휴대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소형화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상응하여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는 상황의 필요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변형된 형태를 인식하고, 인식한 형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변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이 손상될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들은 폴딩(Folding) 신뢰성 및 안정성을 만족해야 한다.
더욱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의 경우 상기 폴딩 신뢰성 및 기존의 점착제 특성을 만족해야 하며, -40 ℃ 내지 60 ℃의 전세계 온도 변화의 조건에서 구동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폴딩 신뢰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의 유변학(Rheology) 거동 조건을 만족해야 하고, 점착제의 유변물성 중 저장 탄성율 값이 104 Pa 이상 106 Pa 이하이며, 상온 및 고온에서 100,000번 폴딩 후 들뜸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은 실제 폴딩 테스트가 가능한 조건 중, 가장 가혹한 - 20℃에서 다이나믹 폴딩 테스트를 시행 시, 상기와 같은 폴딩 신뢰 조건을 만족하여도 들뜸 및 패널(panel)의 파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15-0011230 호
본 명세서에서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상온에서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필름과의 접착력이 500 gf/in 이상 5,000 gf/in 이하이고,
-20℃, 1%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측정한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저장 탄성률이 50,000 Pa 이상 250,000 Pa 이하이며,
-20℃, 12%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변형을 시작한 시점의 초기 응력(Initial Stress)은 5,000 Pa 이상 20,000 Pa 이하이고,
-20℃, 12%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10분 간 변형 후 측정된 변형 후 응력(Final Stress)은 1,000 Pa 이상 10,000 Pa 이하이며,
(초기 응력 - 변형 후 응력)/(초기 응력)으로 정의되는 응력 강하량(Stress Drop)이 40% 이상 90% 이하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백플레이트(back plate) 기재;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의 일면에 구비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체 조성물은 상온 및 고온에서의 신뢰도 조건 및 접착 특성과 같은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특징적으로 폴딩(folding) 테스트 진행 시 -20 ℃에서도 들뜸 및 파단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는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점착제층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극저온의 온도(-20℃)에서도 폴딩(folding) 및 원복시에도 점착제의 들뜸 및 파단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Stress Relaxation TEST 에서 Strain 및 Stress 변화율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은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상온에서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접착력이 500 gf/in 이상 5,000 gf/in 이하이고, -20℃, 1%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측정한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저장 탄성률이 50,000 Pa 이상 250,000 Pa 이하이며, -20℃, 12%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변형을 시작한 시점의 초기 응력(Initial Stress)은 5,000 Pa 이상 20,000 Pa 이하이고, -20℃, 12%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10분 간 변형 후 측정된 변형 후 응력(Final Stress)은 1,000 Pa 이상 10,000 Pa 이하이며, (초기 응력 - 변형 후 응력)/(초기 응력)으로 정의되는 응력 강하량(Stress Drop)이 40% 이상 90% 이하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경화되어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과 커버 글라스를 부착하는 등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접혔다 폈다는 반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접힘 부분이 곡률 반경이 5mm 이내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점착제는 기존 점착제와는 달리 굽힘 신뢰성을 만족해야 하는데, 이러한 굽힘 신뢰성이 우수하기 위해서는 넓은 온도 구간에서 신뢰성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상온 및 고온 구간뿐만 아니라 저온(예를 들면 -20℃)에서 폴딩 테스트 진행 시, 들뜸 및 파단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물성을 가진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상온에서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접착력이 500 gf/in 이상 5,000 gf/in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gf/in 이상 2,000 gf/i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50 gf/in 이상 1,800 gf/in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상온에서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접착력이 상기의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추후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폴딩(folding)시 점착제층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계면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단계는 120℃의 온도 조건에서 3분의 건조 및 경화 단계 후 40℃에서 3일의 에이징(aging)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상온은 25℃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GF200 (SKC-Kolon PI)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력은 180° 필(peel) 접착력을 측정한 값이며, 점착제를 피착제에 적층하여 하루 방치한 후 측정할 수 있다. 측정장비로 Texture Analyser (Stable Micro Systems)를 사용하였으며, 0.3 mpm의 박리속도 및 시편폭 1 inch로 점착제의 접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저장 탄성률」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동적 저장 탄성률」을 의미한다. 즉, 탄성체에 사인(sine) 형태의 전단 변형을 가하면, 점탄성 물질의 경우 중간적인 형태로 응력이 지연되어 나타나게 되고,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한 성분은 같은 위상에 있고, 다른 한 성분은 pi/2만큼 지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같은 위상에 있는 부분, 즉 탄성에 의하여 손실 없이 저장되는 에너지를 「동적 저장 탄성률」 또는 「저장 탄성률」이라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저장 탄성률 값은, 예를 들면 1%의 변형율 조건에서 유변 물성 측정기(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Ta Instruments)를 이용하여 매뉴얼에 따라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20℃, 1%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측정한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저장 탄성률이 50,000 Pa 이상 250,000 Pa 이하, 바람직하게는 70,000 Pa 이상 250,000 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0 Pa 이상 250,000 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의 경도가 적합하여 점착제층의 물성이 우수하며, 폴딩시 발생하는 스트레스(Stress)를 해소할 수 있어, 점착제층이 접합하고 있는 층의 손상(damage)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저장 탄성률이 상기의 범위를 갖게 됨으로써, 폴딩 및 펼침을 반복하였을 때, 회복력이 우수하여 필름 접힘 자국이 남지 않는 특징을 갖게 된다.
즉, 상기 -20℃, 1%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측정한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제가 너무 단단해져, 점착제의 물성을 손실하며, 이에 따라 폴딩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지 못하여 점착된 층에 손상(damage)을 줄수 있으며, 상기 범위 미만이 되는 경우, 회복력이 부족하여 폴딩 후 필름상 접힘 자국이 시인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응력 강하량」은 (초기 응력 - 변형 후 응력)/(초기 응력)으로 정의되며, 분자량, 가교도 및 점착제 조성을 설계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응력은 측정장비로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 (TA社)를 사용하고, -20 ℃, 12% Strain 600 sec, recovery 1200 sec의 조건에서 폭: 6mm, 두께: 1m, 길이: 10 내지 15 mm 내외의 샘플로 측정하였다.
샘플을 긴 쪽 방향으로 스트레인(strain)을 12% 늘려 일정 시간을 유지하게 되면, 인장 strain에 의해 증가했던 스트레스(stress)가 서서히 감소한다.
즉, 12% 늘어난 시점에서 보이는 가장 큰 stress가 초기 응력을 의미하며, stress가 감소하다가 일정 시간(600 초)이 지난 후 큰 변화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상기와 같이 유지되는 stress가 변형 후 응력을 의미한다.
도 1에 시간에 따른 Strain 및 Stress 변화를 예시하였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 샘플시편을 12% 스트레인(strain)으로 늘렸을 때의 초기 가장 큰 스트레스(stress)가 초기 응력이며, 이후, 특정 시간(600초)가 지난 후의 스트레스(stress)가 변형 후 응력을 의미한다.
또한, 2.5R 로 폴딩 시 발생하는 strain을 대략 12%로 생각하여 측정하였으며, 폴딩 직후 점착제 내에 존재하는 응력과 폴딩한 상태로 보관 시 남아있는 응력을 모사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초기 응력(Initial Stress)은 5,000 Pa 이상 20,000 Pa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Pa 이상 18,000 Pa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20℃, 12%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10분 간 변형 후 측정된 변형 후 응력(Final Stress)은 1,000 Pa 이상 10,000 Pa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Pa 이상 8,000 Pa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초기 응력 - 변형 후 응력)/(초기 응력)으로 정의되는 응력 강하량(Stress Drop)이 40% 이상 90%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6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응력 강하량이 40% 내지 90%의 범위를 만족할 경우, 폴딩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최소화하고, 접착력을 유지하는 응집력을 가지므로 저온, 상온 및 고온에서 모두 우수한 폴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응력 강하량이 40% 미만인 경우, 폴딩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해소되지 않아, 반복적으로 폴딩 시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커버 윈도우(cover window) 쪽의 하드 코팅에 크랙(crack)을 유발하거나, 큰 스트레스로 인한 계면간 들뜸(delamin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응력 강하량이 90% 초과인 경우에는 응집력이 너무 낮아서, 접착력이 매우 낮아지거나 폴딩 시 계면에 점착제 응집 파괴로 인한 기포 또는 들뜸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50 내지 99 중량부 및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함량은 1 내지 50 중량부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50 내지 9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9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 중량부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함량은 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 내에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4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20℃의 온도에서 목적하는 저장 탄성률을 달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상기와 같이 특정의 물질을 특정 함량 포함함에 따라, 상기의 저장 탄성률 및 응력 강하량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극저온의 온도(-20℃)에서도 폴딩(folding) 및 원복시에도 점착제의 들뜸 및 파단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중량부」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각 성분 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중합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일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중합되어 생성된 중합체에 가교성 관능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가교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글리시딜기, 에폭시기, 아민기 및 카르복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8-히드록시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히드록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폴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르복시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beta-carboxyethyl acrylate),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민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2-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양한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중에서, 아크릴 중합체의 목적하는 유리전이온도나 후술하는 가교제와의 반응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종류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가교성 관능기는 카르복시기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예를 들면, 약 50℃ 내지 300℃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후술하는 가교제와 가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150℃ 내지 0℃ 범위 내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리전이온도(Tg)의 범위 내에서 넓은 온도 구간에서 낮은 저장 탄성률 변화율을 나타내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Tg)는 -150℃ 내지 0℃, -100℃ 내지 -10℃, 또는 -90℃ 내지 -2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는 -50℃ 이상 -20℃ 이하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는 -50℃ 이상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의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추후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은 경도 및 점착성이 우수하며,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저온 구동에서 폴딩 특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유리 전이 온도는 Rotational Rheometer ARES-G2를 이용하여, 온도구간 -60℃ 내지 80℃에서 진동수(frequency) 1Hz 에서의 G' 및 tan δ 값을 측정한다. 승온 속도 5℃/min의 조건에서, 온도를 상승시키면, G'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부분에서 tan δ 가 peak를 형성하며, tan δ의 최고점이 나타나는 온도를 Tg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단량체 성분을 모두 포함한 점착제 조성물 전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3,000,0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수치를 의미할 수 있고,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어떠한 중합체의 분자량은 그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0 내지 2,500,000, 500,000 내지 2,200,000, 또는 1,500,000 내지 2,000,0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분자량 분포(PDI, Polydispersity)는 2.0 내지 3.9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체에 포함된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지는 가교제를 포함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는 알콕시 실란기, 카르복시기, 산 무수물기, 비닐에테르기, 아민기, 카르보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아지리디닐기, 카르보디이미드기 및 옥사졸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능기의 종류는 상기 중합체에 포함되어 있는 가교성 관능기의 종류나 기타, 가교 구조의 구현 메커니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는, 예를 들면, o-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디메틸테레프탈산, 1,3-디메틸이소프탈산, 5-설포-1,3-디메틸이소프탈산,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노르보르넨디카르복실산, 디페닐메탄-4,4'-디카르복실산 또는 페닐인단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류; 무수 프탈산, 1,8-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2,3-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류; 헥사히드로프탈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류; 헥사히드로 무수프탈산, 3-메틸-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4-메틸-헥사히드로 무수프탈산 또는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류; 또는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수베르산, 말레산, 클로로말레산, 푸마르산, 도데칸이산, 피멜산, 시트라콘산, 글루타르산 또는 이타콘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류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산 무수물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는, 예를 들면 무수 피로멜리트산,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옥시디프탈산 2무수물, 디페닐설폰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디페닐설피드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또는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비닐에테르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디비닐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비닐에테르, 1,4-부탄디올디비닐에테르, 1,6-헥산디올디비닐에테르, 글리세린디비닐데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비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시클로헥산디비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디비닐에테르, 하이드로퀴논디비닐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하이드로퀴논디비닐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레조르신디비닐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A 디비닐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S 디비닐에테르, 글리세린트리비닐에테르, 소르비톨테트라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비닐에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비닐에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폴리비닐에테르,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비닐에테르 또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비닐에테르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또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류; 4,4'-디아미노-3,3'-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 4,4'-디아미노-3,3'-디메틸디시클로헥실, 디아미노시클로헥산 또는 이소포론디아민 등의 지환족 디아민류; 또는 크실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류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는, 예를 들면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 1,3,5-트리이소시아네이트벤젠, 디아니시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4,4',4"-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ω,ω'-디이소시아네이트-1,3-디메틸벤젠, ω,ω'-디이소시아네이트-1,4-디메틸벤젠, ω,ω'-디이소시아네이트-1,4-디에틸벤젠, 1,4-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2,3-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4,4-트라메틸헥사메티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3-이소시아네이트 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6-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4-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나,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물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1,3-자일렌디아민, 또는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가교제를 포함하여, 중합체에 포함되는 가교성 관능기와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중합체 및 가교제 이외에 공지의 추가 성분, 예를 들면 대전 방지제, 점착성 부여 수지,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재, 소포제, 계면 활성제 또는 가소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점착제 조성물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굽힘 신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패널과 커버 글라스 등을 부착하는 등의 용도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점착제층을 제공한다.
상기 이형 필름은 두께가 매우 얇은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점착제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하는 투명층을 말하는 것이며,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시클로 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및 아크릴계 수지 필름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나, 시판되는 실리콘 처리 이형필름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의 기타 구체적인 구성은,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5-0138450 등에 의해 공지되어 있으며, 본 출원은 상기 점착제 이러한 공지의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백플레이트(back plate) 기재;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의 일면에 구비된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EK(polyether ether ketone), PAR(polyarylate), PCO(polycylicolefin),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PES(polyethersulphone) 및 COP(cycloolefin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 기재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와 점착제층을 통하여 점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으로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층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는 반대면에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편광판과 상기 표시 패널은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층을 통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의 상기 표시 패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커버 윈도우(Cover window)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편광판과 상기 커버 윈도우는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층을 통하여 접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있어서,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접힘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힘 조절수단은 탄성플레이트와 상기 탄성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체인플레이트 및 상기 체인플레이트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은 하기 방식에 의해 평가하였다.
저장 탄성률 측정
이형필름 사이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한 후 15 cm × 25 cm의 크기로 재단하고, 편면의 이형 필름을 제거한 다음, 여러번 적층시켜서, 두께를 약 1mm가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를 지름 8 mm의 원형으로 재단하고, 글래스(glass)를 이용하여, 압축한 다음, 밤새 방치하여, 각 층간의 계면에서의 웨팅(wetting)을 향상시켜, 적층 시 생긴 기포를 제거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시료를 패러랠 플레이트(parallel plate) 위에 놓고, 갭(gap)을 조정한 후, Normal & Torque의 영점을 맞추고, Normal force의 안정화를 확인한 후, 저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1) 측정 기기 및 측정 조건
측정 기기: 강제 대류 오븐을 구비한 ARES-G2, TA Instruments Inc.
(2) 측정 조건:
geometry: 8 mm parallel plate
간격: 약 1 mm
test type: dynamic strain frequency sweep
변형(Strain) = 0.1 [%]
온도: -20℃
주파수: 1Hz
실시예 1
내부에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8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중량부의 에틸 아세테이트(EAc)를 용제로 투입하고, 산소 제거를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 동안 퍼지(Purging)하고, 온도를 60℃로 유지한 상태에서 반응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2 중량부를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시킨 후, 약 1시간 반응을 시킨 반응물을 에틸 아테세이트(EAc)로 희석하여 분자량이 약 200만인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인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 디아민(BXX-5240, 삼영 잉크사(제)) 0.0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SKC 사 실리콘 이형 필름(RF12N)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C1)을 약 25㎛ 두께로 코팅하여 건조한 후, 경박리 이형필름(RF02N)을 도포하고, 40℃에서 2일간 경화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8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 중량부 대신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의 함량을 59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BA)의 함량을 40 중량부 및 베타-카르복실에틸아크릴레이트(B-CEA)의 함량을 1 중량부로 투입하여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8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 중량부 대신 부틸 아크릴레이트(BA)의 함량을 97.5 중량부 및 아크릴산(AA)의 함량을 2.5 중량부로 투입하여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의 함량을 98 중량부 및 아크릴산(AA)의 함량을 2 중량부로 투입하여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의 함량을 0.3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8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 중량부 대신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의 함량을 19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BA) 80 중량부 및 베타-카르복실에틸아크릴레이트(B-CEA)의 함량을 1 중량부로 투입하여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3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의 함량을 98 중량부 및 아크릴산(AA)의 함량을 2 중량부로 투입하여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의 함량을 0.5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4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8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 중량부 대신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의 함량을 94 중량부 및 아크릴산(AA)의 함량을 6 중량부로 투입하여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5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8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 중량부 대신 부틸 아크릴레이트(BA) 98 중량부 및 아크릴산(AA)의 함량을 2 중량부로 투입하여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6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8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 중량부 대신 부틸 아크릴레이트(BA) 99 중량부 및 아크릴산(AA)의 함량을 1 중량부로 투입하여 아크릴 중합체를 제조하고, 가고제를 0.5 중량부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의 경화 후,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 (TA社)를 사용하여, -20 ℃, 12% Strain 600 sec, recovery 1200 sec의 조건에서 폭: 6mm, 두께: 1mm, 길이: 10 내지 15 mm 내외의 점착제층 샘플로부터, 점착제층의 초기 응력, 변형 10분 후의 변형 후 응력 및 응력 강하량을 측정하였으며, 강제 대류 오븐을 구비한 ARES-G2, TA instruments 장비를 이용하여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즉, 상기 점착제층 샘플을 긴 쪽 방향으로 스트레인(strain)을 12% 늘려 일정 시간을 유지(600s)하면 stress가 감소하다가 일정 시간(600s)이 지난 후 큰 변화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상기와 같이 유지되는 stress값으로 변형 후 응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초기 응력, 변형 후 응력, 저장 탄성률, 응력 강하량 및 접착력과 -20℃에서 다이나믹 폴딩 테스트(Dynamic Folding TEST) 시 패널이 파단 되거나 들뜸 현상이 발생한 횟수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초기 응력 변형 후 응력 응력 강하량 저장 탄성률 접착력
(gf/in)
-20℃, Dynamic
Folding TEST (횟수)
Pa Pa % Pa PI
실시예 1 12941 6682 48.4 222394 1464 60000
실시예 2 16154 7153 55.7 122965 1114 50000
실시예 3 14865 7433 50 238102 1163 30000
비교예 1 17810 13066 26.6 207767 618 20000
비교예 2 28097 15080 46.3 179863 950 20000
비교예 3 21987 18432 16.2 220614 703 15000
비교예 4 35100 14313 59.2 983903 1630 15000
비교예 5 40874 29221 28.5 345672 1280 5000
비교예 6 39462 30756 22.1 298076 691 6400
상기 표 1의 비교예 1, 3, 5 및 6에 따르면, 응력 강하량이 너무 낮은 경우, 폴딩(Folding)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Stress)가 잘 해소되지 못하며, 패널(panel)의 각 층에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더 빨리 문제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응력 강하량이 너무 높을 경우 응집력이 부족하여 점착제로 사용이 어렵다.
상기 표 1의 비교예 2, 3, 4 및 5에 따르면, 초기 응력이 높으면, 반복되는 폴딩 및 언폴딩(unfolding)마다 각 층에 스트레스를 전달하여 누적된 피로에 의해 패널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1의 비교예 1과 같이, 초기 응력이 낮더라도 폴딩 후 해소되고 남은 변형 응력이 높다면, 다이나믹 폴딩(dynamic folding) 뿐만 아니라, 스태틱 폴딩 테스트(static folding test)에서도 패널에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표 1의 비교예 4 내지 6에 따르면, 저장 탄성률이 너무 높으면 -20℃에서 폴딩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폴딩에 불리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알 수 있듯, 본 명세서에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체 조성물은 상온 및 고온에서의 신뢰도 조건 및 접착 특성과 같은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특징적으로 폴딩(folding) 테스트 진행 시 -20 ℃에서도 들뜸 및 파단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신뢰도 조건을 만족하는 우수한 장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상온에서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필름과의 접착력이 500 gf/in 이상 5,000 gf/in 이하이고,
    -20℃, 1%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측정한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저장 탄성률이 50,000 Pa 이상 250,000 Pa 이하이며,
    -20℃, 12%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변형을 시작한 시점의 초기 응력(Initial Stress)은 5,000 Pa 이상 20,000 Pa 이하이고,
    -20℃, 12%의 변형율(strain) 조건에서 10분 간 변형 후 측정된 변형 후 응력(Final Stress)은 1,000 Pa 이상 10,000 Pa 이하이며,
    (초기 응력 - 변형 후 응력)/(초기 응력)으로 정의되는 응력 강하량(Stress Drop)이 40% 이상 90% 이하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는 -50℃ 이상 -20℃ 이하인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글리시딜기, 에폭시기, 아민기 및 카르복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50 내지 99 중량부 및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함량은 1 내지 50 중량부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알콕시 실란기, 카르복시기, 산 무수물기, 비닐에테르기, 아민기, 카르보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아지리디닐기, 카르보디이미드기 및 옥사졸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대전 방지제, 점착성 부여 수지,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재,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점착제층.
  11. 백플레이트(back plate) 기재;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의 일면에 구비된 청구항 9에 따른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표시 패널;
    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 기재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C(Polycarbonate), PI(polyimid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EK(polyether ether ketone), PAR(polyarylate), PCO(polycylicolefin),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PES(polyethersulphone) 및 COP(cycloolefin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KR1020180159322A 2017-12-11 2018-12-11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KR102245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347 2017-12-11
KR20170169347 2017-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333A true KR20190069333A (ko) 2019-06-19
KR102245934B1 KR102245934B1 (ko) 2021-04-29

Family

ID=6682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322A KR102245934B1 (ko) 2017-12-11 2018-12-11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32153A1 (ko)
JP (1) JP7059505B2 (ko)
KR (1) KR102245934B1 (ko)
CN (1) CN111133072B (ko)
TW (1) TWI691572B (ko)
WO (1) WO2019117594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137A (ko) * 2019-02-07 2020-08-18 (주)이녹스첨단소재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KR102283522B1 (ko) * 2021-03-04 2021-07-29 주식회사 오플렉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JP2021144118A (ja) * 2020-03-11 2021-09-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21144116A (ja) * 2020-03-11 2021-09-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21144117A (ja) * 2020-03-11 2021-09-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KR102305521B1 (ko) * 2021-03-04 2021-09-30 주식회사 오플렉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백플레이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WO2022055148A1 (ko) * 2020-09-11 2022-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WO2022220498A1 (ko) * 2021-04-15 2022-10-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2413A1 (en) * 2019-08-05 2022-04-14 Lg Chem, Ltd. Adhes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381676B1 (ko) 2019-11-15 2022-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 가변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332989A1 (en) * 2019-12-10 2022-10-20 Lg Chem, Ltd. Multi-region foldable adhesive fil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CN112266741A (zh) * 2020-10-28 2021-01-26 南京汇鑫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溶剂型低弹性模量高强度压敏胶及其制备方法
KR20220098063A (ko) * 2020-12-31 2022-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385795B1 (ja) * 2022-10-19 2023-11-2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積層体、およびディスプレ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404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광학필름
KR20090077664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20077667A (ko) * 2010-12-30 2012-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20150011230A (ko) 2013-07-22 2015-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6196541A1 (en) * 2015-06-03 2016-1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rylic-based flexible assembly layer
KR20170084402A (ko) * 2016-01-11 2017-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097850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5313B2 (en) * 2004-01-20 2007-10-23 Lg Chem Lt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KR101177685B1 (ko) * 2005-09-20 2012-08-27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판
KR20080004021A (ko) * 2006-07-04 2008-01-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양면의 접착력이 서로 다른 전도성 점착 테이프 및 그제조방법
KR101552741B1 (ko) * 2010-04-05 2015-09-11 (주)엘지하우시스 터치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 패널
JP6009777B2 (ja) * 2012-02-21 2016-10-19 東洋化学株式会社 曲げ変形を受ける対象物に貼付して用いる貼付材用フィルム
TWI621681B (zh) * 2012-05-21 2018-04-21 Lg化學股份有限公司 光學構件、壓敏性黏著劑組成物及液晶顯示器
JP2014170221A (ja) * 2013-02-07 2014-09-18 Nitto Denko Corp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JP6770799B2 (ja) * 2014-11-28 2020-10-2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11492516B2 (en) * 2014-12-23 2022-11-08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including the same
KR20160083583A (ko) * 2014-12-31 201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US10603876B2 (en) * 2016-02-25 2020-03-31 Samsung Sdi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190038B1 (ko) * 2016-04-06 2020-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404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광학필름
KR20090077664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20077667A (ko) * 2010-12-30 2012-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KR20150011230A (ko) 2013-07-22 2015-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6196541A1 (en) * 2015-06-03 2016-1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rylic-based flexible assembly layer
KR20170084402A (ko) * 2016-01-11 2017-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097850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137A (ko) * 2019-02-07 2020-08-18 (주)이녹스첨단소재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JP2021144118A (ja) * 2020-03-11 2021-09-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21144116A (ja) * 2020-03-11 2021-09-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21144117A (ja) * 2020-03-11 2021-09-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WO2022055148A1 (ko) * 2020-09-11 2022-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KR102283522B1 (ko) * 2021-03-04 2021-07-29 주식회사 오플렉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305521B1 (ko) * 2021-03-04 2021-09-30 주식회사 오플렉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백플레이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WO2022220498A1 (ko) * 2021-04-15 2022-10-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594A1 (ko) 2019-06-20
JP7059505B2 (ja) 2022-04-26
TWI691572B (zh) 2020-04-21
TW201927979A (zh) 2019-07-16
JP2020535246A (ja) 2020-12-03
KR102245934B1 (ko) 2021-04-29
US20200332153A1 (en) 2020-10-22
CN111133072B (zh) 2021-09-28
CN111133072A (zh)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9333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KR102245936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CN108064202B (zh) 基于丙烯酸的柔性组件层
KR102564340B1 (ko) 가요성 전자 디스플레이를 위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저 유전 접착제
KR102069480B1 (ko)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KR102159485B1 (ko)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TW201435024A (zh) 黏合劑膜、該膜用黏合劑組合物和包含該膜的顯示裝置
KR20170097856A (ko)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KR20170097851A (ko)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CN112625623A (zh) 一种柔性显示用粘合剂及柔性显示组件层
KR102551125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6400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의 제조방법
KR20170097854A (ko)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US11594156B2 (en) Foldable back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foldable backpl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193854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KR20150138241A (ko) 양면 점착 시트
KR102212135B1 (ko)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KR102212139B1 (ko)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KR101699125B1 (ko)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352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20230106137A (ko)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6457433A (zh) 粘合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