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228A -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펜 입력 디바이스 필름 평가 장치, 및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 Google Patents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펜 입력 디바이스 필름 평가 장치, 및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228A
KR20190067228A KR1020197014000A KR20197014000A KR20190067228A KR 20190067228 A KR20190067228 A KR 20190067228A KR 1020197014000 A KR1020197014000 A KR 1020197014000A KR 20197014000 A KR20197014000 A KR 20197014000A KR 20190067228 A KR20190067228 A KR 20190067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film
input device
acceler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161B1 (ko
Inventor
쇼타 시모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9006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은,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에 펜의 선단을 접촉시키면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을 따라,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중에 펜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펜의 진폭 및 펜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얻는 제 1 스텝과, 제 1 스텝에서 얻은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는 제 2 스텝을 갖는다.

Description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펜 입력 디바이스 필름 평가 장치, 및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본 발명은,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펜 입력 디바이스 필름 평가 장치, 및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스타일러스 펜 (접촉자) 에 의해 입력되는 펜 입력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면에는, 예를 들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이 배치된다.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에는, 우수한 필기감이 요구된다.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의 평가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평가자의 감각에 의해 관능 평가하는 방법이나, 펜의 선단에서 필름의 표면을 주사했을 때의 펜의 저항력에 의해 평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32277호
그러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을 평가자의 감각에 의해 관능 평가하면, 평가 결과가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 불균일할 우려가 있다. 또,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을 펜의 저항력에 의해 평가하려고 하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을 펜의 저항력에 따라서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점에서, 적절히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을 적절히 평가 가능하게 함과 함께, 우수한 필기감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제공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펜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에 걸려 떨어지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진동할 때의, 펜의 진폭 및 펜의 가속도가,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과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 펜의 진폭 및 펜의 가속도가, 기준의 필기감을 갖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에 입력했을 때의, 펜의 진폭 및 펜의 가속도에 가까워질수록,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이, 기준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에 가까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은,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에 펜의 선단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상기 표면을 따라,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상기 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 중에 상기 펜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상기 펜의 진폭 및 상기 펜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얻는 제 1 스텝과, 상기 제 1 스텝에서 얻은 상기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는 제 2 스텝을 갖는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제 1 스텝에 있어서, 상기 이동 중에 펜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에 걸려 떨어지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펜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펜의 진폭 및 펜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측정할 수 있다. 또, 제 2 스텝에 있어서, 제 1 스텝에서 측정한 펜의 진폭 및 펜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예를 들어 기준의 필기감을 갖는 필름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측정 데이터의 값이 기준 데이터의 값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평가함으로써,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텝에서는, 상기 펜의 상기 가속도의 측정치를 사용하여, 수학식 1 에 기초하여, 상기 펜의 상기 진폭을 산출해도 된다.
[수학식 1]
S = 20 × log10 (a/1 × 10-5)
단, 상기 진폭을 S (dB), 상기 가속도를 a (m/s2) 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제 1 스텝에 있어서 펜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가 얻어진 경우, 이 펜의 가속도를, 수학식 1 에 기초하여, 인간이 감각으로서 파악하기 쉬운 펜의 진폭으로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주파수의 값을, 0 ㎐ 보다 크고 4 ㎐ 이하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0 ㎐ 보다 크고 4 ㎐ 이하의 범위 내의 값의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인간이 기분 좋게 지각할 수 있는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고, 우수한 필기감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한층 더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텝에서는,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지지체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체와 함께,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상기 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지지체로 지지함으로써, 예를 들어, 지지체와 함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펜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에 펜을 접촉시킬 수 있고,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을 평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텝에서는, 상기 펜에 장착한 가속도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가속도를 측정해도 된다. 이로써, 펜의 진동이 미세한 것이어도, 펜의 가속도를 가속도 검출 센서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평가 장치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에 펜의 선단을 접촉시키도록 상기 펜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이 상기 지지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상기 표면을 따라,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과 함께, 상기 지지체를 상기 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부와, 상기 이동 중에 상기 펜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상기 펜의 진폭 및 상기 펜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체로 지지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과, 유지부로 유지한 펜을 이동 기구부에 의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펜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펜의 진폭 및 펜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측정부에 의해 측정하고, 측정부가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출력부에 의해 출력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수동에 의한 조작 부담을 경감하면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펜의 상기 가속도의 측정치를 사용하여, 수학식 1 에 기초하여, 상기 펜의 상기 진폭을 산출해도 된다.
[수학식 1]
S = 20 × log10 (a/1 × 10-5)
단, 상기 진폭을 S (dB), 상기 가속도를 a (m/s2) 로 한다. 이로써 펜의 가속도를, 인간이 감각으로서 파악하기 쉬운 펜의 진폭으로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주파수의 값은, 0 ㎐ 보다 크고 4 ㎐ 이하의 범위 내의 값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0 ㎐ 보다 크고 4 ㎐ 이하의 범위 내의 값의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인간이 기분 좋게 지각할 수 있는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고, 우수한 필기감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한층 더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펜에 장착된 가속도 검출 센서를 가져도 된다. 이로써, 펜의 진동이 미세한 것이어도, 가속도 검출 센서를 사용하여 펜의 가속도를 직접적 또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은, 펜 입력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표면에 펜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표면을 따라, 상기 펜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펜이 진동할 때의 진동의 진폭의 최대치가, 90 dB 이상 110 dB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펜의 진동의 진폭을, 종이에 펜으로 필기했을 때의 펜의 진동의 진폭에 가깝게 할 수 있어, 우수한 필기감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 1 필름 부재와, 상기 제 1 필름 부재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덮도록 배치된 제 2 필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필름 부재는, 상기 제 1 필름 부재의 상기 반대측의 면을 따라 퍼지는 베이스부와, 서로 분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에 유지된 복수의 비드 입자를 갖고, 상기 제 2 필름 부재의 상기 비드 입자를 유지하는 유지 영역이, 당해 영역의 둘레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필름 부재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필름 부재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5 ㎛ 이상 1.5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고, 또한 구름원 최대 기복 WEM 이 10.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은, 펜 입력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 1 필름 부재와, 상기 제 1 필름 부재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덮도록 배치된 제 2 필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필름 부재는, 상기 제 1 필름 부재의 상기 반대측의 면을 따라 퍼지는 베이스부와, 서로 분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에 유지된 복수의 비드 입자를 갖고, 상기 제 2 필름 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의 중량 M1 에 대한 상기 제 2 필름 부재의 상기 비드 입자의 중량 M2 의 비 M2/M1 이, 0.002 이상 0.1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비드 입자의 평균 입경 D1 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의 평균 두께 D2 의 비 D2/D1 이, 0.5 이상 0.8 이내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필름 부재의 상기 비드 입자를 유지하는 유지 영역이, 당해 영역의 둘레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필름 부재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각 구성에 의하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을 따라, 펜을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에 대해 상대 이동시킬 때, 펜이 제 2 필름 부재의 각 유지 영역과 걸려 떨어지는 동작을 반복하여 진동한다. 여기서, 비 D2/D1, M2/M1 을 상기 값으로 각각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필름 부재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와 구름원 최대 기복 WEM 을 상기 값으로 각각 설정함으로써,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에 펜으로 입력할 때, 펜이 각 유지 영역과 걸려 떨어질 때의, 펜의 진동에 의한 펜의 진동의 진폭 및 펜의 가속도가, 종이에 펜으로 필기했을 때의, 펜의 진동에 의한 펜의 진동의 진폭 및 펜의 가속도에 가까워져, 종이의 필기감에 가까운 필기감이 얻어진다. 따라서, 우수한 필기감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비드 입자의 평균 입경 D1 이, 8 ㎛ 이상 30 ㎛ 이내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비드 입자를 시인하기 어렵고 또한 펜으로부터 입력자의 손에 적절히 진동이 전해지기 쉬운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장착함으로써 펜 입력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면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비드 입자의 재질이 동일해도 된다. 이로써, 우수한 필기감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이 얻어짐과 함께, 베이스부 및 비드 입자의 광학 특성의 차이를 저감시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에 양호한 광 투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평균 두께 D2 가, 50 ㎛ 이상 25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 1 필름 부재의 평균 두께 D2 를 상기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비드 입자를 제 1 필름 부재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광 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제 1 필름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2 필름 부재의 상기 유지 영역이 상기 둘레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측의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면과는 반대측의 최표면이어도 된다. 이로써, 펜의 진동이 입력자의 손에 전해지기 쉬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양태에 의하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음과 함께, 우수한 필기감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평가 장치의 모식 외관도이다.
도 3 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필름에 펜으로 입력했을 때의 펜의 진동 주파수와 펜의 가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필름에 펜으로 입력했을 때의 펜의 진동 주파수와 펜의 진폭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형태)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1) (이하, 간단히 필름 (1) 으로 칭한다) 의 모식 단면도이다. 필름 (1) 은, 광 투과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필름 (1) 은, 헤이즈가, 5 % 이상 6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필름 (1) 은, 전광선 투과율이, 85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1) 은, 제 1 필름 부재 (2) 와 제 2 필름 부재 (3) 를 구비한다. 제 1 필름 부재 (2) 는, 펜 입력 디바이스 (40) 의 디스플레이면 (40a) 을 덮도록 배치된다. 제 1 필름 부재 (2) 는, 일례로서 점착제를 개재하여 디스플레이면 (40a) 에 적층된다. 제 1 필름 부재 (2) 의 평균 두께 D2 는, 50 ㎛ 이상 25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 두께는, 제 1 필름 부재 (2) 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합을 2 등분한 값이다. 평균 두께 D2 는 이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 1 필름 부재 (2) 의 재질은, PET 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필름 부재 (3) 는, 제 1 필름 부재 (2) 의 디스플레이면 (40a) 과는 반대측의 면 (여기서는 상면 (2a)) 을 덮도록 배치된다. 제 2 필름 부재 (3) 는, 베이스부 (4) 와 복수의 비드 입자 (5) 를 갖는다. 베이스부 (4) 는, 제 1 필름 부재 (2) 의 상기 반대측의 면을 따라 퍼져 있다. 복수의 비드 입자 (5) 는, 서로 분산된 상태에서, 베이스부 (4) 에 유지되어 있다.
제 2 필름 부재 (3) 의 비드 입자 (5) 를 유지하는 유지 영역 (3a) 은, 당해 영역 (3a) 의 둘레 가장자리 영역 (3b) 으로부터, 제 1 필름 부재 (2) 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필름 부재 (3) 에서는, 복수의 유지 영역 (3a) 이, 각 비드 입자 (5) 에 대응하는 위치에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다. 일례로서 비드 입자 (5) 는, 유지 영역 (3a) 에 있어서 베이스부 (4) 에 덮여 있다. 제 2 필름 부재 (3) 의 제 1 필름 부재 (2) 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복수의 유지 영역 (3a) 과 둘레 가장자리 영역 (3b) 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필름 부재 (3) 의 유지 영역 (3a) 이 둘레 가장자리 영역 (3b) 으로부터 돌출되는 측의 면이, 디스플레이면 (40a) 과는 반대측의 최표면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필름 부재 (3) 는, 펜 (6) (도 2 참조) 의 선단과 접촉된다. 또한, 제 2 필름 부재 (3) 의 외표면에는, 다른 필름 부재를 겹쳐 배치해도 된다. 또, 제 1 필름 부재 (2) 와 제 2 필름 부재 (3) 사이에는, 다른 필름 부재를 배치해도 된다.
비드 입자 (5) 의 평균 입경 D1 은, 8 ㎛ 이상 30 ㎛ 이내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 입자경은, 쿨터 카운터법에 있어서의 50 % 체적 평균 입자경이다.
또한 평균 입경 D1 은, 상기와 같이 쿨터 카운터법에 있어서의 50 % 체적 평균 입자경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필름으로부터 평균 입경 D1 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필름을 에폭시 수지 등으로 포매하여, 단면을 마이크로톰 등으로 잘라내어 TEM 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필름의 무작위의 부분에서 5 점 샘플을 취하고, 각각의 샘플의 부분에서 100 점 정도의 비드 입자 (5) 에 대해 치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 이로써 얻어진 입자경의 분포의 중앙치를「평균 입경 D1」로 해도 된다.
제 2 필름 부재 (3) 의 베이스부 (4) 의 중량 M1 에 대한 제 2 필름 부재 (3) 의 비드 입자 (5) 의 중량 M2 의 비 M2/M1 은, 0.002 이상 0.1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비드 입자 (5) 의 평균 입경 D1 에 대한 베이스부 (4) 의 평균 두께 D2 의 비 D2/D1 은, 0.5 이상 0.8 이내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평균 두께 D2 는, 베이스부 (4) 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합을 2 등분한 값이다.
또, 제 2 필름 부재 (3) 의 디스플레이면 (40a) 과는 반대측의 면은,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5 ㎛ 이상 1.5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고, 또한 구름원 최대 기복 WEM 이 10.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베이스부 (4) 및 비드 입자 (5) 의 재질은 동일하다. 베이스부 (4) 및 비드 입자 (5) 의 재질은, 일례로서, 아크릴레이트 수지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 (4) 및 비드 입자 (5) 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베이스부 (4) 및 비드 입자 (5) 의 재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일례로서, 제 2 필름 부재 (3) 의 유지 영역 (3a) 이 돌출되는 면과 펜 (6) 사이의 동마찰 계수는, 0.05 이상 0.30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필름 (1) 에 펜 (6) 으로 입력할 때, 제 2 필름 부재 (3) 의 표면을 따라, 펜 (6) 을 제 2 필름 부재 (3) 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면, 펜 (6) 이, 각 유지 영역 (3a) 과 걸려 떨어지는 동작이 반복되고, 펜 (6) 의 진동이, 펜 (6) 으로부터 입력자의 손에 전달된다. 이 진동은, 입력자에게 지각되는 필름 (1) 의 필기감의 한 요인이 된다.
여기서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은,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을 따라, 펜 (6) 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에 대해 상대 이동할 때, 펜 (6) 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과 접촉하여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와 상관 관계가 있다. 이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가, 기준의 필기감을 갖는 기준 필름에 펜 (6) 으로 입력했을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에 가까워질수록,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은, 기준 필름의 필기감에 가까워진다. 바꾸어 말하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에 펜 (6) 으로 입력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가,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에 펜 (6) 으로 입력하는 경우, 펜 (6) 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의 요철과 걸려 떨어지는 동작을 반복하여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의 크기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의 요철의 형상 등에 따라 변화한다.
필름 (1) 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고, 일례로서, 종이의 필기감에 가까운 필기감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필름 (1) 의 기준 필름은, 종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필름 (1) 은, 표면에 펜 (6) 을 접촉시키면서, 표면을 따라, 펜 (6) 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펜 (6) 이 진동할 때의 진폭의 최대치가, 90 dB 이상 110 dB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펜 (6) 의 진동의 진폭을, 종이에 펜 (6) 으로 필기했을 때의 펜 (6) 의 진동의 진폭에 가깝게 할 수 있어, 우수한 필기감의 필름 (1) 을 얻을 수 있다.
또, 비 D2/D1, 비 M2/M1 을 상기 값으로 각각 설정하고, 또는, 제 2 필름 부재 (3) 의 디스플레이면 (40a) 과는 반대측의 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와 구름원 최대 기복 WEM 을 상기 값으로 각각 설정함으로써, 펜 (6) 이 각 유지 영역 (3a) 과 걸려 떨어지는 동작을 반복하여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동에 의한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가, 종이에 펜 (6) 으로 필기했을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에 가까워져, 종이의 필기감에 가까운 필기감이 얻어진다. 따라서, 우수한 필기감의 필름 (1) 을 얻을 수 있다.
또, 비드 입자 (5) 의 평균 입경 D1 이, 8 ㎛ 이상 30 ㎛ 이내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비드 입자 (5) 를 시인하기 어렵고 또한 펜 (6) 으로부터 입력자의 손에 적절히 진동이 전해지기 쉬운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필름 (1) 을 장착함으로써 펜 입력 디바이스 (40) 의 디스플레이면 (40a) 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베이스부 (4) 및 비드 입자 (5) 의 재질이 동일하기 때문에, 우수한 필기감의 필름 (1) 이 얻어짐과 함께, 베이스부 (4) 및 비드 입자 (5) 의 광학 특성의 차이를 작게 하여, 필름 (1) 에 양호한 광 투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제 1 필름 부재 (2) 의 평균 두께 D2 가, 50 ㎛ 이상 25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비드 입자 (5) 를 제 1 필름 부재 (2) 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광 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제 1 필름 부재 (2) 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2 필름 부재 (3) 의 유지 영역 (3a) 이 둘레 가장자리 영역 (3b) 으로부터 돌출되는 면이, 디스플레이면 (40a) 과는 반대측의 최표면이기 때문에, 펜 (6) 의 진동이 입력자의 손에 전해지기 쉬운 필름 (1) 을 얻을 수 있다.
또, 제 2 필름 부재 (3) 의 유지 영역 (3a) 이 둘레 가장자리 영역 (3b) 으로부터 돌출되는 면과 펜 (6) 사이의 동마찰 계수가, 0.05 이상 0.30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 2 필름 부재 (3) 의 유지 영역 (3a) 이 둘레 가장자리 영역 (3b) 으로부터 돌출되는 면과 펜 (6) 사이의 동마찰 저항을, 종이를 필기했을 때의 종이의 표면과 펜 (6) 사이의 동마찰 저항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필름 (1) 의 필기감을 한층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필름 (1) 의 헤이즈가, 5 % 이상 6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고, 필름 (1) 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필름 (1) 에 우수한 광 투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베이스부 (4) 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우수한 광 투과성, 경도, 및 기능성을 갖는 제 2 필름 부재 (3) 를 얻을 수 있다.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평가 장치]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평가 장치 (10) (이하, 간단히 평가 장치 (10) 로 칭한다) 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가 장치 (10) 는, 대좌부 (11), 지지체 (12), 이동 기구부 (13), 유지부 (14), 측정부 (15), 제어 장치 (16), 및 펜 (6) 을 구비한다.
대좌부 (11) 는, 평가 장치 (10) 의 하부로서, 지지체 (12) 를 지지한다. 지지체 (12) 는, 평가 대상이 되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30) (이하, 간단히 필름 (30) 으로 칭한다) 을 지지한다. 여기서는, 지지체 (12) 는 판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그 판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게, 대좌부 (11) 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체 (12) 는, 필름 (30) 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 (12a) 을 갖는다. 지지면 (12a) 은, 일례로서, 지지체 (12) 의 상면이다. 지지면 (12a) 에는, 필름 (30) 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점착 시트가 형성되어 있다. 점착 시트는, 필름 (30) 의 전체면에 첩착 (貼着) 된다. 필름 (30) 을 지지면 (12a) 에서 고정 지지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기구부 (13) 는, 필름 (30) 이 지지체 (12) 에 지지된 상태에서, 필름 (30) 의 표면을 따라, 필름 (30) 과 함께, 지지체 (12) 를 펜 (6)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기구부 (13) 는, 롤 (20), 모터 (21), 및 와이어 (22) 를 갖는다. 롤 (20) 은, 지지체 (12) 와 이격된 위치에서, 그 축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아암부를 통하여 대좌부 (11) 에 축지지되어 있다. 모터 (21) 의 모터축은, 롤 (20) 에 모터 (21) 의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롤 (20) 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 (21) 는, 제어 장치 (16) 에 의해 제어된다. 와이어 (22) 의 일단은, 지지체 (12) 에 접속되고, 와이어 (22) 의 타단은, 롤 (20) 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 (21) 가 구동되면, 모터 (21) 의 구동력에 의해 롤 (20) 이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전하고, 와이어 (22) 가 롤 (20) 의 둘레면에 권취된다. 와이어 (22) 가 권취되는 동안, 지지체 (12) 는, 필름 (30) 과 함께, 일방향 (여기서는 롤 (20) 에 근접하는 방향) 으로 일정 거리에 걸쳐 이동된다. 또한 평가 장치 (10) 는, 일정 거리에 걸쳐 이동한 후의 지지체 (12) 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유지부 (14) 는, 필름 (30) 의 표면에 펜 (6) 의 선단을 접촉시키도록 펜 (6) 을 유지한다. 유지부 (14) 는, 지지체 (12) 의 상방에 배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아암부를 통하여 대좌부 (11) 에 지지되어 있다. 펜 (6) 의 후부에는, 소정 중량의 추 (23) 가 장착된다. 추 (23) 에 의해, 펜 (6) 의 선단은, 추 (23) 의 중량에 따른 가압력 (필압력) 으로, 필름 (30) 의 상면에 가압된다.
지지체 (12) 가 정지 (靜止) 한 상태에서, 롤 (20) 의 축 방향에서 보아, 유지부 (14) 는, 펜 (6) 과 필름 (30) 의 상기 일방향측의 사이의 각도 (θ) 가 소정값 (예를 들어 45°이상 60°이하의 범위의 값) 이 되도록, 펜 (6) 을 유지한다. 평가 장치 (10) 에서는, 지지체 (12), 이동 기구부 (13), 및 유지부 (14) 를 사용함으로써, 펜 (6) 이 필름 (30) 에 접촉한 상태에서, 필름 (30) 의 표면을 따라, 필름 (30) 이 펜 (6)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시, 펜 (6) 의 선단이 필름 (30) 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요철과 걸려 떨어지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펜 (6) 이 진동한다. 펜 (6) 이 진동하면, 각도 (θ) 는 약간 변동된다.
측정부 (15) 는, 상기 이동 중에 펜 (6) 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 (여기서는 양방) 을 측정한다. 측정부 (15) 는, 일례로서, 가속도 검출 센서 (25) 와 해석 장치 (26) 를 갖는다.
가속도 검출 센서 (25) 는, 펜 (6) 에 장착되어 펜 (6) 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가속도 검출 센서 (25) 는, 펜 (6) 의 진동량을, 펜 (6) 의 가속도에 비례한 전기 신호로서 취출한다. 가속도 검출 센서 (25) 는, 해석 장치 (26) 와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해석 장치 (26) 는, 가속도 검출 센서 (25) 가 취출한 전기 신호를 증폭시킴과 함께, 펜 (6) 이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 (여기서는 양방) 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 (이하, 간단히 측정 데이터라고도 칭한다) 를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해석 장치 (26) 는, 펜 (6) 의 가속도의 측정치를 사용하여, 수학식 1 에 기초하여, 펜 (6) 의 진폭을 산출한다.
[수학식 1]
S = 20 × log10 (a/1 × 10-5)
단, 펜 (6) 의 진폭을 S (dB), 펜 (6) 의 가속도를 a (m/s2) 로 한다.
제어 장치 (16) 는, 이동 기구부 (13) 를 제어함과 함께, 측정부 (15) 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 장치 (16) 는, 이동 기구부 (13) 및 해석 장치 (26) 에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 (16) 는, 입력부 (27), 제어부 (28), 및 출력부 (29) 를 갖는다. 입력부 (27) 는, 일례로서, 키보드이고, 오퍼레이터로부터 설정 정보를 접수한다.
제어 장치 (16) 는, 일례로서, CPU, RAM, 및 ROM 를 내장한 컴퓨터이고, 제어부 (28) 는, CPU 를 포함한다. 제어부 (28) 는, ROM 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이동 기구부 (13) 를 제어한다. 출력부 (29) 는, 측정부 (15) 가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부 (29) 는, 일례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부 (29) 가 출력하는 측정 데이터는, 평가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기준 데이터와 비교된다. 기준 데이터는, 평가 기준이 되는 기준 필름을 필름 (30) 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얻어지는 측정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기준 데이터는, 평가 기준이 되는 기준 필름 (일례로서, 종이) 을 필름 (30) 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얻어지는,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이다. 여기서 말하는 기준 필름에는, 수지 필름 외에, 널리 시트상의 부재가 포함된다.
펜 (6) 의 선단은, 일례로서, 펜 (6) 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포물선상으로 커브되어 있다. 펜 (6) 의 선단의 재질은, 일례로서, 폴리아세탈 (POM) 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이나, 금속이어도 된다.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이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이하, 간단히 평가 방법으로 칭한다) 을 설명한다. 평가 방법은, 제 1 스텝과 제 2 스텝을 갖는다. 제 1 스텝에서는, 필름 (30) 의 표면에 펜 (6) 의 선단을 접촉시키면서, 필름 (30) 의 표면을 따라, 필름 (30) 을 펜 (6)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 중에 펜 (6) 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 (여기서는 양방) 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얻는다. 제 2 스텝에서는, 제 1 스텝에서 얻은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한다. 이 평가 방법으로는, 일례로서, 평가 장치 (10) 를 사용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오퍼레이터는, 제 1 스텝에 있어서, 대좌부 (11) 의 바로 위에 지지체 (12) 를 배치하고, 지지체 (12) 의 지지면 (12a) 에 필름 (30) 을 재치 (載置) 하여, 점착 시트에 의해 필름 (30) 을 지지면 (12a) 에 고정시킨다.
오퍼레이터는, 펜 (6) 을 유지부 (14) 에 유지시키고, 펜 (6) 의 후부에 추 (23) 를 장착하여, 펜 (6) 의 선단을 필름 (30) 의 표면에 가압시킨다. 오퍼레이터는, 입력부 (27) 을 통하여, 제어 장치 (16) 에 평가 장치 (10) 의 동작 개시를 지시한다.
제어 장치 (16) 의 제어부 (28) 는,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모터 (21) 를 소정 회전량만큼 구동시키고, 롤 (20) 을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 (28) 는, 롤 (20) 을 상기 일방향으로 등속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필름 (30) 의 표면을 따라, 필름 (30) 이, 펜 (6)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일정 거리 (일례로서, 100 ㎜) 에 걸쳐 등속 이동된다.
이 등속 이동 중, 측정부 (15) 는, 일례로서, 소정 범위 내의 진동 주파수로 펜 (6) 이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를 측정한다. 가속도 검출 센서 (25) 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해석 장치 (26) 에서 산출된 측정 데이터는, 제어 장치 (16) 로 송신된다. 제어부 (28) 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RAM 에 격납한다.
제어부 (28) 는, RAM 에 격납한 측정 데이터 중, 0 ㎐ 보다 크고 4 ㎐ 이하의 범위 내의 진동 주파수로 펜 (6) 이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출력부 (29) 에 출력시킨다.
평가자는, 제 2 스텝에 있어서, 출력부 (29) 로부터 출력된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한다. 일례로서, 평가자는, 2.5 ㎐ 의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한다. 평가자는, 측정 데이터의 값이 기준 데이터의 값에 어느 정도 가까운지를 확인함으로써, 필름 (30) 의 필기감을 평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부 (29) 는,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의 양방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이 중 일방만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출력해도 된다. 또 출력부 (29) 는,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함께 출력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평가 방법에 의하면, 제 1 스텝에 있어서, 상기 이동 중에 펜 (6) 이 필름 (30) 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과 걸려 떨어지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펜 (6) 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측정할 수 있다. 또, 제 2 스텝에 있어서, 제 1 스텝에서 측정한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예를 들어 기준의 필기감을 갖는 필름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측정 데이터의 값이 기준 데이터의 값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평가함으로써, 필름 (30) 의 필기감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평가 방법에 의하면, 필름 (30) 에 대한 입력시의 진동감을 수치화할 수 있음으로써, 필름 (30) 의 필기감을, 수치화에 의해 객관적으로 또한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 평가 장치 (10) 를 사용함으로써, 지지체 (12) 로 지지한 필름 (30) 을, 유지부 (14) 로 유지한 펜 (6) 에 대해 이동 기구부 (13) 에 의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펜 (6) 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측정부 (15) 에 의해 측정하고, 측정부 (15) 가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출력부 (29) 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부 (29) 에 의해 출력된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평가자 또는 오퍼레이터의 수동에 의한 조작 부담을 경감하면서, 필름 (30) 의 필기감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또 제 1 스텝에서는, 펜 (6) 의 가속도의 측정치를 사용하여, 수학식 1 에 기초하여 펜 (6) 의 진폭을 산출하므로, 제 1 스텝에 있어서, 펜 (6) 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가 얻어진 경우, 이 펜 (6) 의 가속도를, 인간이 감각으로서 파악하기 쉬운 펜 (6) 의 진폭으로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다.
또, 0 ㎐ 보다 크고 4 ㎐ 이하의 범위 내의 값의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인간이 기분 좋게 지각할 수 있는 진동 주파수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어, 우수한 필기감의 필름 (30) 을 한층 더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또, 필름 (30) 이 지지체 (12) 에 지지됨으로써, 예를 들어, 지지체 (12) 와 함께 필름 (30) 을 펜 (6) 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필름 (30) 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필름 (30) 에 펜을 접촉시킬 수 있고, 필름 (30) 의 필기감을 평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제 1 스텝에서는, 펜 (6) 에 장착한 가속도 검출 센서 (25) 에 의해 펜 (6) 의 가속도를 검출하므로, 펜 (6) 의 진동이 미세한 것이어도, 펜 (6) 의 가속도를, 가속도 검출 센서 (25) 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 펜 (6) 의 선단의 재질이 폴리아세탈이기 때문에, 펜 (6) 의 선단에 높은 내마모성을 부여할 수 있고, 펜 (6) 의 마모에 의해 필름 (30) 의 필기감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필름 (30) 의 필기감을 안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해석 장치 (26) 는, 제어 장치 (16) 의 출력부 (29) 와는 다른 출력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해석 장치 (26) 는, 측정 데이터를 당해 출력부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 (16) 는, 해석 장치 (26) 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어부 (28) 가 측정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확인 시험)
기준 필름을, 종이 (KOKUYO 주식회사 제조「캠퍼스 노트」) 로 설정하였다. 비드 입자 (5) 의 평균 입경을 15 ㎛, 비 D2/D1 을 0.70, 비 M2/M1 을 0.10, 헤이즈를 40 % 로 각각 설정한 필름 (1) 을, 실시예 1 로서 준비하였다. 비 M2/M1 을 0.012, 헤이즈를 15 % 로 각각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필름 (1) 을, 실시예 2 로서 준비하였다.
실시예 1 및 2 와 동등한 헤이즈값을 갖고, 입경이 8 ㎛ 이상인 비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하드 코트층이, 펜 (6) 과의 접촉면에 형성된 2 종류의 시판 필름을, 비교예 1 및 2 로서 준비하였다.
선단의 재질이 폴리아세탈이고, 선단 직경이 1.4 ㎜ 인 펜 (6) 을 구비하는 평가 장치 (10) 를 준비하였다. 추 (23) 의 중량을 200 g, 지지체 (12) 와 펜 (6) 의 상대 속도 (펜 (6) 의 필기 속도) 를 50 ㎜/s, 각도 (θ) 를 60°, 지지체 (12) 의 등속 이동 거리를 100 ㎜ 로 각각 설정하여, 펜 (6) 에 대해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각 필름을 상대적으로 등속 이동시키도록, 평가 장치 (10) 를 동작시켰다. 이로써,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에 있어서, 펜 (6) 이 진동할 때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를 측정하였다. 이 시험 결과를 도 3 및 4 에 나타낸다.
도 3 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필름에 펜 (6) 으로 입력했을 때의 펜 (6) 의 진동 주파수와 펜 (6) 의 가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필름에 펜 (6) 으로 입력했을 때의 펜 (6) 의 진동 주파수와 펜 (6) 의 진폭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및 4 중의 기준 필름의 곡선이, 기준 데이터에 상당하고,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곡선이, 측정 데이터에 상당한다. 이 기준 필름의 곡선에,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곡선이 어느 정도 가까운지 (구체적으로는, 곡선의 위치나 형상 등이 어느 정도 가까운지) 를 평가함으로써,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각 필름의 필기감을 평가할 수 있다.
도 3 및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 (6) 의 진동 주파수가 0 ㎐ 보다 크고 4 ㎐ 이하의 범위 내에서는, 실시예 1 및 2 에서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는, 비교예 1 및 2 에 비하여, 기준 필름에서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에 각각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이유로서, 실시예 1 및 2 의 각 필름에서는, 제 2 필름 부재 (3) 에 있어서, 비 D2/D1 및 비 M2/M1 이 적절히 설정되고, 제 2 필름 부재 (3) 의 외표면이 기준 필름의 외표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 에서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는, 기준 필름에서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에 각각 매우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이유로서, 실시예 2 에서는, 실시예 1 에 비하여, 제 2 필름 부재 (3) 에 있어서, 복수의 비드 입자 (5) 가 드문드문하게 분산되어 배치됨으로써, 펜 (6) 의 선단이, 제 2 필름 부재 (3) 의 표면의 요철과 걸려 벗어나기 쉬워져,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가, 기준 필름에서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에 보다 가까워진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발명자들이 실시한 다른 확인 시험에 있어서, 기준 필름과,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각 필름에 동등한 조건에서 펜 (6) 으로 입력한 결과, 실시예 1, 2 의 각 필름의 필기감이, 비교예 1, 2 의 각 필름의 필기감보다 기준 필름의 필기감에 가깝고, 특히 실시예 2 의 필름의 필기감이, 기준 필름의 필기감에 가장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확인 시험의 결과에 의해, 입력시의 펜 (6) 의 진폭 및 펜 (6) 의 가속도에 의해,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에 있어서, 펜 (6) 이 닿는 필름 부재의 면 (실시예 1, 2 에서는 제 2 필름 부재 (3) 의 디스플레이면 (40a) 과는 반대측의 면) 에 대해, 산술 평균 조도 Ra 와 구름원 최대 기복 WEM 을 측정하였다.
산술 평균 조도 Ra 는, JIS B0601 에 준거하여, 주식회사 도쿄 정밀 제조의 표면 조도 형상 측정기「서프컴 570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름원 최대 기복은, JIS B0610 에 준거하여, 상기 측정기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측정자 : 기복 측정자 (0102505)
측정자의 사양 : 800 ㎛R, 루비
구동 속도 : 3 ㎜/s
λf 저감 컷오프값 : 8 ㎜
측정 길이 : 15 ㎜
이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술 평균 조도 Ra 에 대해서는, 실시예 1, 2 가 비교예 1, 2 에 비해 크고, 특히 실시예 1 이 비교예 1, 2 에 비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시예 1, 2 의 구름원 최대 기복 WEM 은, 비교예 2 보다 크고, 비교예 1 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실시예 1, 2 의 제 2 필름 부재 (3) 의 디스플레이면 (40a) 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충분한 크기 및 조도의 요철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측정 결과와, 발명자들이 실시한 그 밖의 측정 결과로부터, 기준 필름의 필기감에 가까운 필기감을 얻기 위하여, 제 2 필름 부재 (3) 의 디스플레이면 (40a) 과는 반대측의 면은,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5 ㎛ 이상 1.5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고, 또한 구름원 최대 기복 WEM 이 10.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구성 및 방법을 변경,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가 방법 및 평가 장치에서는, 펜 (6) 을 고정 위치에 배치하여, 필름 (30) 을 펜 (6) 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도록 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필름 (30) 을 고정 위치에 배치하여, 펜 (6) 을 필름 (30) 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혹은, 필름 (30) 과 펜 (6) 의 양방을, 서로 역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평가 방법에 비하여,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필기감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음과 함께, 우수한 필기감의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이 효과의 의의를 발휘할 수 있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펜 입력 디바이스 필름 평가 장치, 및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으로서, 널리 적용하면 유익하다.
1, 30 :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2 : 제 1 필름 부재
3 : 제 2 필름 부재
3a : 유지 영역
3b : 둘레 가장자리 영역
4 : 베이스부
5 : 비드 입자
6 : 펜
10 :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평가 장치
12 : 지지체
13 : 이동 기구부
14 : 유지부
15 : 측정부
29 : 출력부
40a : 디스플레이면

Claims (15)

  1.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에 펜의 선단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상기 표면을 따라,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상기 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 중에 상기 펜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상기 펜의 진폭 및 상기 펜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얻는 제 1 스텝과,
    상기 제 1 스텝에서 얻은 상기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는 제 2 스텝을 갖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텝에서는, 상기 펜의 상기 가속도의 측정치를 사용하여, 수학식 1 에 기초하여, 상기 펜의 상기 진폭을 산출하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수학식 1]
    S = 20 × log10 (a/1 × 10-5)
    단, 상기 진폭을 S (dB), 상기 가속도를 a (m/s2) 로 한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주파수의 값을, 0 ㎐ 보다 크고 4 ㎐ 이하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텝에서는,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지지체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체와 함께,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상기 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텝에서는, 상기 펜에 장착한 가속도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가속도를 측정하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6.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표면에 펜의 선단을 접촉시키도록 상기 펜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이 상기 지지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상기 표면을 따라, 상기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과 함께, 상기 지지체를 상기 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부와,
    상기 이동 중에 상기 펜이 소정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때의, 상기 펜의 진폭 및 상기 펜의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평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펜의 상기 가속도의 측정치를 사용하여, 수학식 1 에 기초하여, 상기 펜의 상기 진폭을 산출하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평가 장치.
    [수학식 1]
    S = 20 × log10 (a/1 × 10-5)
    단, 상기 진폭을 S (dB), 상기 가속도를 a (m/s2) 로 한다.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주파수의 값은, 0 ㎐ 보다 크고 4 ㎐ 이하의 범위 내의 값인,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평가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펜에 장착된 가속도 검출 센서를 갖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평가 장치.
  10. 펜 입력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표면에 펜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표면을 따라, 상기 펜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펜이 진동할 때의 진동의 진폭의 최대치가, 90 dB 이상 110 dB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제 1 필름 부재와,
    상기 제 1 필름 부재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덮도록 배치된 제 2 필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필름 부재는, 상기 제 1 필름 부재의 상기 반대측의 면을 따라 퍼지는 베이스부와, 서로 분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에 유지된 복수의 비드 입자를 갖고,
    상기 제 2 필름 부재의 상기 비드 입자를 유지하는 유지 영역이, 당해 영역의 둘레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필름 부재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필름 부재의 상기 디스플레이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5 ㎛ 이상 1.5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고, 또한 구름원 최대 기복 WEM 이 10.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입자의 평균 입경 D1 이, 8 ㎛ 이상 30 ㎛ 이내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비드 입자의 재질이 동일한,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평균 두께 D2 가, 50 ㎛ 이상 250 ㎛ 이하의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름 부재의 상기 유지 영역이 상기 둘레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측의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면과는 반대측의 최표면인,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KR1020197014000A 2017-02-08 2017-10-10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펜 입력 디바이스 필름 평가 장치, 및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KR102197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1154A JP6783680B2 (ja) 2017-02-08 2017-02-08 ペン入力デバイス用フィルム及びペン入力デバイス
JPJP-P-2017-021154 2017-02-08
PCT/JP2017/036710 WO2018146863A1 (ja) 2017-02-08 2017-10-10 ペン入力デバイス用フィルムの評価方法、ペン入力デバイスフィルム評価装置、及びペン入力デバイス用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228A true KR20190067228A (ko) 2019-06-14
KR102197161B1 KR102197161B1 (ko) 2020-12-31

Family

ID=6310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000A KR102197161B1 (ko) 2017-02-08 2017-10-10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펜 입력 디바이스 필름 평가 장치, 및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23605B2 (ko)
EP (2) EP4177720A1 (ko)
JP (1) JP6783680B2 (ko)
KR (1) KR102197161B1 (ko)
CN (1) CN110168481B (ko)
TW (1) TWI779012B (ko)
WO (1) WO2018146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5945A1 (ja) * 2019-02-12 2020-08-20 株式会社ダイセル ペン入力デバイス用表面材
WO2020213156A1 (ja) * 2019-04-19 2020-10-22 株式会社ダイセル ペン入力デバイス用表面材
WO2023162455A1 (ja) * 2022-02-28 2023-08-31 株式会社ワコム ペン入力装置用シー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2709A (ja) * 1998-01-29 1999-08-06 Ricoh Co Ltd 表面特性検出装置
US6324237B1 (en) * 1996-10-17 2001-11-27 De La Rue International Limited Sheet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4232277A (ja) 2013-05-30 2014-12-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5054417A (ja) * 2013-09-10 2015-03-23 株式会社ダイセル 透明触感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96113A (ja) * 2015-04-02 2016-11-24 株式会社ダイセル 透明積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7348A (en) * 1995-04-07 1997-05-06 A.T. Cross Company Electronic stylus with writing feel
US5902968A (en) * 1996-02-20 1999-05-11 Ricoh Company, Ltd. Pen-shaped handwriting input apparatus using accelerometers and gyroscopes and an associated operational device for determining pen movement
CN100495302C (zh) * 2002-02-04 2009-06-03 日油株式会社 笔输入装置用表面材料和笔输入装置
TWI383890B (zh) * 2010-01-06 2013-02-01 E San Prec Coating Corp 一種適合以筆輸入之易書寫表面
US8988445B2 (en) * 2010-07-30 2015-03-24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recreating the feel of surfaces
JP5918701B2 (ja) * 2012-10-17 2016-05-18 株式会社ダイセル 透明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タッチパネル
JP5737428B2 (ja) * 2012-10-23 2015-06-1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96164B2 (ja) * 2013-01-09 2017-09-13 株式会社ダイセル ペン入力デバイス
JP6347652B2 (ja) 2013-05-09 2018-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574190B (zh) * 2014-12-18 2017-03-1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觸控感測裝置及包含該觸控感測裝置的顯示裝置
US10671186B2 (en) * 2016-06-15 2020-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nomous haptic styl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4237B1 (en) * 1996-10-17 2001-11-27 De La Rue International Limited Sheet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JPH11212709A (ja) * 1998-01-29 1999-08-06 Ricoh Co Ltd 表面特性検出装置
JP2014232277A (ja) 2013-05-30 2014-12-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5054417A (ja) * 2013-09-10 2015-03-23 株式会社ダイセル 透明触感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96113A (ja) * 2015-04-02 2016-11-24 株式会社ダイセル 透明積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6863A1 (ja) 2018-08-16
JP6783680B2 (ja) 2020-11-11
EP3582088B1 (en) 2023-12-27
US20190346304A1 (en) 2019-11-14
EP3582088A1 (en) 2019-12-18
TW201830201A (zh) 2018-08-16
TWI779012B (zh) 2022-10-01
KR102197161B1 (ko) 2020-12-31
US10823605B2 (en) 2020-11-03
EP4177720A1 (en) 2023-05-10
EP3582088A4 (en) 2021-04-07
CN110168481A (zh) 2019-08-23
CN110168481B (zh) 2023-03-21
JP2018128827A (ja)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3696B2 (en) Force-sensing stylus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s
KR20190067228A (ko)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의 평가 방법, 펜 입력 디바이스 필름 평가 장치, 및 펜 입력 디바이스용 필름
EP3043176B1 (en) Portable ultrasonic flow detection device and ultrasonic flow detection method
JP5809452B2 (ja) 動作検出センサ
KR930020260A (ko)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인가된 힘의 접촉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 감지 장치
JP6017187B2 (ja) 押込み試験機
JP6138092B2 (ja) 触覚評価測定装置
CN107883882A (zh) 用于光学测量系统的测量装置
JP6375178B2 (ja) 天秤型の食感測定装置
JP2003185547A (ja) 材料表面の機械的特性試験装置
JP2018128827A5 (ko)
JP2008101991A (ja) 形状測定機
JP6326710B2 (ja) 表面粗さ測定機
JP6252845B2 (ja) 爪振動計測装置、爪振動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爪振動フィードバック提示システム
Fontaine et al. Development of a sensor for surface state measurements usi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modal analysis
JP2005127717A (ja) 触感計
JP2008164568A (ja) 表面物性解析方法および表面物性解析装置
JP4500156B2 (ja) 材料特性評価装置
JP5962454B2 (ja) 触覚感測定器
JP2013096892A (ja) 簡易型振子式摩擦係数測定器
KR102538763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커버글래스의 임계곡률반경 측정을 위한 음향센서장치를 적용한 접힘시험 시스템 및 방법
KR10253876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커버글래스의 임계곡률반경 측정을 위한 영상 및 음향 분석법을 적용한 접힘시험 시스템 및 방법
JP7403770B2 (ja) 触感測定システム
JP2006071557A (ja) 摩擦試験方法および装置
JPH06186152A (ja) 塗膜硬さ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