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333A -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구조물 및 스택 배열부 - Google Patents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구조물 및 스택 배열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333A
KR20190065333A KR1020197012382A KR20197012382A KR20190065333A KR 20190065333 A KR20190065333 A KR 20190065333A KR 1020197012382 A KR1020197012382 A KR 1020197012382A KR 20197012382 A KR20197012382 A KR 20197012382A KR 20190065333 A KR20190065333 A KR 20190065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support arms
support
box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529B1 (ko
Inventor
도미닉 리하르트 엔더
Original Assignee
페스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스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스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6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 B23D47/025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of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Saw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1)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특히 원형 톱 벤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가공 유닛은 기저부 상에 세울 수 있는 상자형 지지 구조물(2)로서 가공할 공작물의 안착을 위해 사용 가능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제공하는 상자형 지지 구조물(2), 및 공구(1)의 기계적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73)를 포함하고, 구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구조물(2) 내에 배치되며 지지 구조물에서 구동 준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구동 장치(73)는 구동 장치(73)에 의해 구동되는 공구(1)에 의하여 공작물의 가공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구조물 내에 잔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구조물(2)은 지지 암들(5)을 제공하고, 지지 암들은 지지 구조물(2)이 기저부 상에 세워진 상태에서 지지 구조물(2)의 세움 면적을 규정하고, 지지 암은 선택적으로 이송 위치 또는 작업 위치에서 포지셔닝 가능하며, 지지 구조물(2)의 세움 면적은 이송 위치에 비해 작업 위치에서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더 크다.

Description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구조물 및 스택 배열부
본 발명은 공구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특히 원형 톱 벤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원형 톱 벤치는 기저부 상에 세울 수 있는 상자형 지지 구조물로서 가공할 공작물의 안착을 위해 사용 가능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지지 구조물, 및 공구의 기계적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구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구조물 내에 배치되고, 지지 구조물에서 구동 준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구동 장치는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공구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구조물 내에 잔류한다.
DE 20 2004 009 123 U1은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형 톱 벤치를 설명하고, 하우징은 둘레측 및 하측에서 실질적으로 닫힌 외부면들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안착면을 포함하는 작업 플레이트를 지지한다. 모터 및 톱날을 수용하기 위한 기계 프레임은 작업 플레이트의 아래에 배치된다. 원형 톱 벤치의 세움 면적은 하우징의 하부 외부면에 의하여 규정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구동 안전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제 1 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구조물은 지지 암들을 제공하고, 지지 암들은 지지 구조물이 기저부 상에 세워진 상태에서 지지 구조물의 세움 면적을 규정하고, 지지 암들은 선택적으로 이송 위치 또는 작업 위치에 포지셔닝 가능하며, 지지 구조물의 세움 면적은 이송 위치에서보다 작업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평 방향에서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에 따라 복수의 지지 암들이 구비되며, 지지 암들은 2개의 서로 다른 위치 - 이송 위치 및 작업 위치 - 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지지 암들의 작업 위치에서 지지 구조물의 세움 면적은 지지 암들의 이송 위치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수평 방향에서 증대된다. 이와 연관하여 수평 방향이란 특히 기저부의 평면 내에 위치한 방향을 나타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수평 방향에서 세움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구동 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틸팅 안전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 안전성이 개선된다. 동시에 지지 암들이 이송 위치로 이동하여 세움 면적이 작아질 수 있으면서, 상자형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가공 유닛의 양호한 이송 가능성 및 취급 가능성의 이점은 유지된다.
이와 연관하여 세움 면적은 특히, 지지 구조물과 기저부 사이의 접점들에 의하여 펼쳐지는 면, 예컨대 직사각형 면을 지칭해야 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접점들에 의해 펼쳐지는 최대 직사각형 면을 가리킨다.
적합한 방식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지지 암, 바람직하게는 4개의 지지 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발전 형태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물은 기본 몸체를 제공하고, 지지 암들은 기본 몸체에서 회동 가능 및/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되, 지지 암들이 이송 위치 및 작업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 영역 내에 잔류하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지지 암들의 수직 위치가 이송 위치 및 작업 위치로의 포지셔닝 시 변경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음으로써,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지지 암들의 포지셔닝 시 가공 유닛의 기저부로부터 들어 올려지지 않거나 거의 들어 올려지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지지 암들은 매우 간단하게 이송 위치와 작업 위치 사이에서 리포지셔닝될 수 있다.
적합한 방식으로, 지지 구조물은 기본 몸체를 제공하고, 지지 암들 각각은 각각의 수직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기본 몸체에 지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암들은 이러한 지지 암들이 이송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90도 만큼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암들은 하측에서 - 즉 기본 몸체의 하부 외부면에서 - 구비된다. 적합한 방식으로, 기본 몸체는 홈들을 제공하고, 지지 암들은 특히 이송 위치에서 이러한 홈들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일 형성예에서, 지지 구조물의 수평 횡단면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외부 윤곽을 포함하고, 지지 암들은 이송 위치에서 직사각형 외부 윤곽 내에 위치하고, 지지 암들은 작업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으로 외부 윤곽을 넘어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암들은 이송 위치에서 기본 몸체와 함께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 조립체를 형성한다.
지지 암들이 이송 위치에서 직사각형 외부 윤곽 내에 위치함으로써,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이 매우 양호하게 이송되고 적재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암들은 지지 구조물의 하측의 모서리 영역들에 배치된다. 특히, 기본 몸체는 이러한 모서리 영역들 내에서 홈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홈들은 지지 암들에 상응하여 형성되며, 이러한 홈들 내에는 지지 암들이 이송 위치에서 배치된다.
특히, 지지 암들은 각각 수직 방향에서보다 수평 방향에서 더 연장됨으로써, 지지 암들은 각각 하나의 평편한 기본 형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암들은 실질적으로 L형인 각각 하나의 밑면을 포함한다. 평편하고 및/또는 L형의 형상으로 인하여, 지지 암들이 설치 공간을 덜 필요로 한다는 이점이 달성된다.
적합한 방식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지지 암들 중 적어도 하나라도 작업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한 구동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안전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안전장치는 센서들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지지 암들의 위치를 감지하고 지지 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암, 바람직하게는 모든 지지 암들이 작업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것이 감지되면 구동 장치를 위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로지, 지지 암들이 작업 위치에 있고, 이를 통해 최대 세움 면적 - 및 이로 인하여 최대 틸팅 안정성 - 이 주어진다는 것을 전제할 수 있을 때에만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이 구동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 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암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관통 홀은 스크류의 장착을 위해 적합하며, 이러한 스크류를 이용하여 지지 구조물은 기저부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적합한 방식으로, 지지 암들 중 2개, 바람직하게는 모든 지지 암들은 그러한 관통 홀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암들을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암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용부를 제공하고, 수용부는 클램프의 클램핑 암의 장착을 위해 적합하고, 이러한 클램프를 이용하여 지지 구조물은 기저부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적합한 방식으로, 지지 암들 중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모든 지지 암들은 그러한 수용부를 제공한다.
적합한 방식으로, 지지 암들은 각각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받침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원통형 받침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격되되, 이러한 받침부들이 지지 암들의 작업 위치 및/또는 이송 위치에서 작업 플레이트의 소규정 홀 그리드 내에 부합하도록 이격된다. 원통형 받침부들을 이용하여,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홀 그리드를 포함한 작업 플레이트 상에 포지셔닝 시 이러한 작업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성예에서, 원통형 받침부들은 선택적으로 고정 위치 또는 보관 위치로 포지셔닝 가능하다. 특히, 원통형 받침부들은 고정 위치에서보다 보관 위치에서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하지 않거나 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암들은 각각 하나의 스탠드형 받침부를 제공하고, 이러한 스탠드형 받침부는 원통형 받침부들의 보관 위치에서 지지 구조물이 기저부 상에 세워진 상태에서 기저부와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탠드형 받침부들은 원통형 받침부들보다 더 큰 접촉면을 제공한다.
예컨대 원통형 받침부들은 볼트들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받침부들은 고정 위치에서 취출 가능하게 하측에 지지 암들에 구비된 장착 개구부들 내에 장착된다. 적합한 방식으로, 원통형 받침부들은 보관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측에 지지 암들에 구비되는 보관 개구부들 내에 부속한다.
또한, 전술한 형성예들 중 하나에 따르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홀 그리드를 구비한 작업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조물이 제공되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작업 플레이트 상에 포지셔닝되되, 원통형 받침부들이 홀 그리드의 각각의 홀들 내에 물려 들어가고, 이를 통해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을 작업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어도 수평 방향에서 고정하도록 포지셔닝된다.
또한, 전술한 형성예들 중 하나에 따르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를 포함하는 스택 배열부가 제공되며, 상자형 몸체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과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아래에 배치된다. 지지 암들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맞물림 구조물들이 구비되고, 이러한 맞물림 구조물들의 배치는, 이들이 지지 암들의 이송 위치에서 상자형 몸체의 대응 맞물림 구조물들과 맞물리고, 지지 암들의 작업 위치에서는 상자형 몸체의 대응 맞물림 구조물과 맞물리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암들이 이송 위치에 있을 때에만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이 안정적으로 상자형 몸체 상에 안착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안전장치가 구비되고, 이러한 안전장치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구동을 오로지 작업 위치에서만 허용하는 전술한 형성예와 조합하여,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안정적인 적층된 상태에서, 즉 이러한 가공 유닛이 이송되어야 하는 상태에서, 과실로 인한 전원 연결이 될 수 없도록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성예에서, 지지 구조물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을 제공하고, 이러한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 또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상자형 몸체와의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고, 지지 암들에 구비되는 맞물림 구조물들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지지 암들이 이송 위치에 있을 때는 분리 가능하며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이 제공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암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는 분리 가능하며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이 제공될 수 없도록 형성된다.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에 의하여,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매우 양호하게 스택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성예는 전술한 안전장치와 조합하여,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이 이송 시 과실로 인하여 전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예시적인 일 실시 형태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 1은 이송 위치의 지지 암들을 포함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작업 위치의 지지 암들을 포함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위로부터 지지 암들을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위로부터 지지 암들을 관찰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아래로부터 지지 암들을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아래로부터 지지 암들을 관찰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을 상단부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2개의 상자형 용기로 이루어진 스택 배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및 홀 그리드를 포함하는 작업 플레이트로 구성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사시도로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그 세움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지 암들(5)을 제공한다. 도 1은 이송 위치에서의 지지 암들(5)을 도시하는 반면, 도 2는 작업 위치에서의 지지 암들을 도시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도면들에 표시된 z축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수직 방향, 도면들에 표시된 x축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종 방향 및 도면들에 표시된 y축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하여 정렬된다. 종 방향 및 횡 방향은 이하에서 수평 방향으로도 지칭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도면들에서 예시적으로 원형 톱 벤치로서 형성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예컨대 라우터(router), 스크롤쏘(scroll saw) 또는 에지 그라인더(edge grinder)와 같은 다른 반고정식 기계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연관하여, 반고정식 기계로서 특히 공작물 가공 시 기저부 상에 세워지며 이송 시 사람이 들기에 적합한 가공 유닛을 지칭해야 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도면들에 미도시된 공작물을 공구(1)를 이용하여 가공하기 위해 역할한다. 공구(1)는 도면들에서 예시적으로 톱날로서 형성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기저부 상에 세울 수 있는 상자형 지지 구조물(2)을 포함하고, 이러한 상자형 지지 구조물은 가공할 공작물의 안착을 위해 사용 가능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제공한다. 상자형 지지 구조물(2)은 적합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 구조물을 가리키며, 이러한 직육면체형 구조물에서 외부면들, 바람직하게는 전체 외부면들은 실질적으로 닫혀 있다.
또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공구(1)의 기계적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73), 예컨대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73)는 논의된 예시에서 완전히 지지 구조물(2) 내에 배치되고, 지지 구조물(2)에서 구동 준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구동 장치는 구동 장치(73)에 의해 구동된 공구(1)에 의하여 공작물의 가공 시 지지 구조물(2) 내에 잔류한다.
지지 구조물(2)은 지지 암들(5)을 제공한다. 지지 암들(5)은 지지 구조물(2)이 기저부 상에 세워진 상태에서 지지 구조물(2)의 세움 면적을 규정한다. 지지 암들은 선택적으로 이송 위치 또는 작업 위치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2)의 세움 면적은 이송 위치에서보다 작업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평 방향으로 더 크다.
적어도 하나의 수평 방향에서 세움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틸팅 안정성이 구동 시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 안전성이 개선된다.
이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예시적 구성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지지 구조물(2)은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직교하여 정렬되는 4개의 둘레벽을 포함한다. 둘레 벽들은 전면 벽(12), 후면 벽(13) 및 측벽들(25, 26)을 포함한다. 전면 벽(12) 및 후면 벽(13)은 종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고, 측벽들(25, 26)은 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지지 구조물(2)은 기본 몸체(71)를 제공하고, 이러한 기본 몸체에서 지지 암들(5)이 지지된다. 기본 몸체(71) 및 지지 암들(5)로 구성되는 조합물은 이하에서 지지 구조물(2)의 하단부(3)로도 지칭된다.
지지 구조물(2)은 4개의 지지 암들(5)을 제공하고, 이러한 지지 암들은 지지 구조물(2)의 하측의 모서리 영역들 내에 배치된다. 지지 구조물(2)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의 기본 형상을 포함한다. 이송 위치에서 4개의 지지 암들(5)은 직육면체형 기본 형상의 하부의 4개의 모서리 영역들을 나타낸다. 기본 몸체(71)는 이에 상응하는 홈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홈들 내에는 이송 위치에서의 4개의 지지 암들(5)이 배치되어, 지지 구조물(2)의 직육면체형의 기본 형상의 하부의 4개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한다. 작업 위치에서 지지 암들(5)은 각각 부분적으로만 홈들 내에 배치된다.
지지 구조물(2)의 수평 횡단면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외부 윤곽을 포함한다. 지지 암들(5)은 이송 위치에서 직사각형 외부 윤곽 내부에 위치한다. 작업 위치에서 지지 암들(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으로 외부 윤곽보다 돌출한다.
지지 암들(5)은 각각의 수직 회전 축 둘레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기본 몸체(71)에서 지지된다. 지지 암들(5)은 기본 몸체(71)의 하측에서 기본 몸체(71)의 홈들의, 아래쪽으로 지향된 면들에서 지지된다. 수직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지지 암들(5)은 이송 위치 및 작업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 영역 내에 잔류한다. 따라서 지지 암들(5)은 작업 위치 및 이송 위치에서 z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좌표 영역을 점유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지지 암(5)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4는 지지 암(5)을 위로부터 경사지게(oblique) 도시하고, 도 5 내지 도 6은 아래로부터 경사지게 도시한다. 도시된 지지 암(5)은 도 1에서 전면에서 우측에 배치되는 - 즉 전면(12)과 측면(26) 사이의 하부 모서리 영역 내에 배치되는 지지 암(5)을 가리킨다. 도 1에서 전면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 암(5)은 전면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 암(5)의 미러링된 모습으로 (예컨대 y-z-거울 평면에서)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지지 암(5)은 평편한 기본 형상을 포함한다; 즉, 지지 암은 수직 방향 또는 z 방향에서보다 수평 방향 또는 x- 및/또는 y 방향에서 더 연장된다.
지지 암(5)은 실질적으로 프리즘의 형상 또는 L형의 밑면을 가지는 일반적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 암(5)은 제1 암 부(83) 및 제2 암 부(84)를 제공하고, 이러한 암 부들은 서로 직교하여 정렬되며 함께 L 형상을 형성한다.
지지 암(5)은 L 형상의 상부 벽(85) 및 L 형상의 하부 벽(86)을 제공한다. 상부 벽 및 하부 벽(85, 86)은 수평으로 정렬된다. 지지 암(5)은 옆면(lateral surface)(87)을 더 제공하고, 이러한 옆면은 볼록부 및 오목부(88, 89)로 나눠진다. 볼록부(88)는 제1 및 제2 측벽(91, 92)을 포함하고, 이러한 측벽들은 서로 직교하여 정렬된다. 제1 측벽(91)은 제1 암 부(83)에 연관되고, 제2 측벽(92)은 제2 암 부(84)에 연관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측벽(91)은 전방의 우측 지지 암(5)의 이송 위치에서 지지 구조물(2)의 전면 벽(12)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2 측벽(92)은 지지 구조물(2)의 측벽(26)의 일부를 형성한다.
지지 암(5)은 지지 암의 상부 벽(85)에서 제1 암 부(83)의 원단부에서 베어링 부재(93)를 제공하고, 이러한 베어링 부재를 이용하여 지지 암은 수직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기본 몸체(71)에 취부된다.
지지 암(5)은 수직 축 둘레에서 약 90도 만큼 회동될 수 있어서, 이송 위치로부터 작업 위치로 포지셔닝된다. 작업 위치에서 제2 측벽(92)은 전면 벽(1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횡 방향으로 전면 벽(12) 앞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암(5)은 지지 암의 하부 벽(86)에서 2개의 암 부들(83, 84)이 합류하는 영역 내에서 스탠드형 받침부로서 형성된 맞물림 구조물(82)을 포함하고, 이러한 맞물림 구조물은 아래쪽을 향하여 평편한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구조물(82)의 하부면(94)은 지지 암(5)과 기저부 사이의 접촉면을 제공하고, 이러한 기저부 상에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세워진다.
지지 암(5)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관통 홀(74)을 제공한다. 관통 홀(74)은 상부 벽(85)으로부터 맞물림 구조물(82)의 하부 면(94)으로 연장된다. 관통 홀(74)은 스크류의 장착을 위해 적합하고, 이러한 스크류를 이용하여 지지 구조물(2)은 기저부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암(5)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용부(75)를 더 제공한다. 수용부(75)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포함하고, 제2 측벽(92)에서 종결된다. 수용부(75)는 클램프의 클램핑 암의 장착을 위해 적합하며, 이러한 클램프를 이용하여 지지 구조물(2)은 기저부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수용부(75)는 맞물림 구조물(82) 위에 연장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암은 이에 대해 부가적으로 수용부(75)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수용부는 제1 측벽(91)에서 종결된다.
지지 암(5)은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받침부(76)를 더 제공한다.
도시된 예에서 원통형 받침부(76)는 볼트(78)로서 형성된다.
볼트(78)는 선택적으로 고정 위치 또는 보관 위치에 포지셔닝 가능하다. 도 3에서 볼트(78)는 보관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서 고정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고정 위치에서 볼트(78)는 취출 가능하게 하측에서 지지 암(5)에 구비된 장착 개구부(79) 내에 장착된다. 보관 위치에서 볼트(78)는 상측에서 지지 암(5)에 구비되는 보관 개구부(81) 내에 부속한다. 보관 위치에서 원통형 받침부들(76)은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 장착 개구부(79) 및 보관 개구부(81)는 동일한 관통 홀에 속한다. 이러한 관통 홀 내에서 그리고 볼트(78)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응하는 환형 칼라들(ring collars)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환형 칼라들은 수직의 형상끼워맞춤을 제공하여, 볼트(78)가 관통 홀로부터 떨어져 나오거나 위쪽으로 미끄러지며 관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에서 전면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 암(5)은 전면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 암(5)의 미러링된 모습으로서 형성된다.
도면들에서 확인할 수 없는 후면 좌측에 배치된 지지 암(5)은 앞에서 전면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 암(5)과 관련하여 논의된 특징들을 포함하나, 이러한 지지 암에 비해 특히, 이하에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후면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 암(5)의, 스탠드형 받침부로서 형성되는 맞물림 구조물(82)이 프로파일링된, 예컨대 웨지형으로 프로파일링된 리어 그립부(rear grip portion)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11에는 전면 및 후면 지지 암(5)의 맞물림 구조물(82)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후면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 암(5)은 전면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 암(5)에 비해, 이하에 더 설명되는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이 제1 측벽이 아니라 제2 측벽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후면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 암(5)은 후면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 암의 미러링된 모습으로서 형성된다.
도 7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을 도시하고, 이러한 가공 유닛에서 지지 구조물(2)은 하단부(3)에 대해 추가적으로 하단부(3) 상에 안착 가능한 상단부(16)를 제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16)는 특히,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을 상자형 몸체들로 구성된 스택 내에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부속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지지 구조물(2)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을 제공한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은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지지 구조물(2)이 상자형 몸체들(21, 22)과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자형 몸체들(21, 22)과 분리 가능하며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예컨대 상자형 용기들과 같은 상자형 몸체들 및/또는 다른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들(10)로 구성된 스택 내에 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스택 내에서 매우 실용적으로 적재되고 및/또는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특히 시스템 박스의 기본 형상을 가진다. 도면들에 도시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다른 시스템 박스들의 스택 내에 부속되도록 형성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기본 형상은 특히 상자형 지지 구조물에 의해 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물의 외부면들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하우징 또는 외부 하우징면들을 나타낸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하우징 또는 기본 형상은 특히 시스템 박스의 형상을 포함한다. 하나의 시스템의 시스템 박스들은 이러한 시스템 내에 규정되는 밑면을 제공하고, 이러한 시스템 내에 규정된 결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시스템의 시스템 박스들은 하나의 안정적인 스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시스템 박스들은 예컨대 수동 전동 공구, 부자재 및/또는 소모재의 보관을 위한 모듈형 공구 박스들로서 더 확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유닛의 하우징 또는 기본 형상이 시스템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면,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실용적인 방식으로 시스템 박스들로 구성된 스택 내에서 적재 및 이송될 수 있다.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2)은, 제거 가능하게 하단부(3)에 취부될 수 있는 상단부(16)를 제공한다. 도 7은 상단부(16)가 하단부(3)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가공 유닛(10)을 도시한다. 도 8에는 상단부(16)가 하단부(3) 상에 안착되고, 이러한 하단부에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결합된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은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을 포함하고,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상단부(16)에 구비된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은 상자형 몸체(21)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자형 몸체와 분리 가능하며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잠금 요소(9)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잠금 요소(9)는 지지 구조물(2)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볼트(turning bolt)(11)를 포함한다. 회전 볼트(11)는 지지 구조물(2)의 전면 벽(12)에 배치된다. 회전 볼트(11)의 회전 축은 전면 벽(12)에 대해 직교한다.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은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을 더 포함하고,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하단부(3)에 구비된다.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상자형 몸체(22)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자형 몸체(22)와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은 지지 구조물(2)에 위치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앵커 윤곽(14)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잠금 앵커 윤곽(14)은 지지 구조물(2)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제1 잠금 앵커 윤곽(14)은 지지 구조물의 전면 벽(12)에 위치하고, 종 방향과 관련하여 중앙에서 지지 구조물(2)에 배치된다. 제1 잠금 앵커 윤곽(14)은 잠금 돌출부로서 형성되고, 전면 벽(12)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잠금 요소(9) 및 제1 잠금 앵커 윤곽(14)은, 수직으로 서로 포개어 적층된 2개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들에서 하나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잠금 요소(9)가 다른 가공 유닛의 제1 잠금 앵커 윤곽(14)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은 제1 잠금 앵커 윤곽(14)에 대해 부가적으로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을 더 포함한다.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은 잠금 돌출부들로서 형성되고, 전방의 지지 암들(5)의 제1 측벽들(91)에 그리고 후방의 지지 암들(5)의 제2 측벽들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 위치에서,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은 전면 벽(12)의 하부의 모서리 영역들 내에 그리고 후면 벽(13)에 위치한, 측벽들(25, 26)의 하부의 모서리 영역들 내에 배치된다.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을 용기들 또는 다른 물체들에 결합시키는 역할이고, 이러한 용기들 또는 다른 물체들은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에 대해 보완적인 잠금 요소들을 제공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이와 같은 용기들 또는 물체들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이 고려되지 않는다면, 제2 잠금 앵커 윤곽들(15)은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상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7)은 지지 구조물(2)의 상측에 분포하며 배치되는 복수의 맞물림 구조물들을 더 포함하고, 이러한 맞물림 구조물들은 맞물림 함몰부들(32)로서 형성된다. 맞물림 함몰부들(32)은 전면 벽(12)의 근방에 배치되는 2개의 제1 맞물림 함몰부(33) 및 후면 벽(13)의 전방에 배치되는 1개의 제2 맞물림 함몰부(34)를 포함한다.
하부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8)은 앞에서 이미 논의된 맞물림 구조물들(82)을 포함하고, 이러한 맞물림 구조물들은 지지 암들(5)의 하부 벽(82)에 배치되고, 따라서 이송 위치에서 지지 구조물(2)의 하측의 4개의 모서리 영역들 내에 위치한다. 맞물림 구조물들(82) 및 맞물림 함몰부들(32, 34)은, 수직으로 서로 포개어 적층된 2개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들(10)에서 지지 암들(5)이 이송 위치에 있는 한, 상부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맞물림 구조물들(82)이 하부의 가공 유닛의 맞물림 함몰부들(32)과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맞물림 구조물들(82) 및 맞물림 함몰부들(32)은 수직 방향에서의 결합을 위해 기여한다. 이는 맞물림 구조물들(82) 및/또는 맞물림 함몰부들(32)의 리어 그립 구성 요소들이 서로 잠겨지며 맞물림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EP 2315701 B1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다. 예컨대 제2 맞물림 함몰부(34)는 언더컷된 횡단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맞물림 함몰부(34) 내에 물려 들어가는 대응 맞물림 구조물들(82)은 이에 상응하여 프로파일링된, 예컨대 웨지형으로 프로파일링된 리어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지지 구조물(2)의 상단부(16)는 캡 형상의 커버로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단부(16)는 공구-안착 플레이트(4)를 덮는다. 상단부(16)는 수직 방향에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구조물(17)을 포함한다. 상단부(16) 또는 프레임 구조물(17)의 수평 횡단면은 실질적으로 하단부(3)의 수평 횡단면과 동일한 외부 윤곽을 포함한다. 상단부(16)는 하단부(3)와 일직선상에 배치됨으로써, 상단부는 하단부(3)와 함께 상자형 지지 구조물(2)을 형성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17)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의 옆면의 형태를 가진다; 즉 프레임 구조물(17)은 서로 직교하여 정렬되는 4개의 둘레벽들을 포함하고, 개방된 하측 및 개방된 상측을 제공한다.
프레임 구조물(17)은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 구동 장치에 취부된 공구(1) 보다 더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일 스택 내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도 공구(1)는 구동 장치(5)에 잔류할 수 있다.
상단부(16)는 상단부-결합 수단(28)을 제공하고, 하단부(3)는 하단부-결합 수단(29)을 제공한다. 상단부-결합 수단(28) 및 하단부-결합 수단(29)을 이용하여 상단부(16)는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하단부(3)에 결합될 수 있다.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상측은 도시된 예에서 그루브들을 구비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의 상측은 그루브들을 포함하지 않거나 평편하거나 다른 구조화를 포함할 수 있다.
톱날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선분 위에 놓이며, 이러한 가상 선분은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종 방향에서 2개의 플레이트부(47, 48)로 분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플레이트부(47)는 공구(1)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반면, 제2 플레이트부(48)는 적어도 횡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제2 플레이트부(48)는 공구(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플레이트부(48)를 이용하여 공작물은 가공 시 공구(1)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내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48)가 바깥쪽으로 가동될 때 바로, 회동 가능한 지지 암들(5)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증대된 세움 면적 및 이와 결부되어 개선된 틸팅 안정성이 유리하다.
도 8에는 예시적으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2개의 다른 상자형 몸체들(21, 22)을 포함한 스택 내에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스택 배열부(20)는 앞에서 논의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상에 배치되는 상부의 상자형 몸체(21) 및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의 상자형 몸체(22)를 포함한다. 2개의 상자형 몸체들(21, 22)은 도 8에서 예시적으로 상자형 용기들로서 형성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상자형 몸체들(21, 22) 각각은 추가적 가공 유닛(10)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상자형 몸체들(21, 22)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과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한다. 상자형 몸체들(21, 22)은 몸체-결합 수단(23)을 포함하고, 몸체-결합 수단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과 연동하여, 상자형 몸체들(21, 22)과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사이에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수평 횡단면은 상자형 몸체들(21, 22)의 수평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윤곽을 포함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상자형 몸체들(21, 22)에 대해 일직선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및 상자형 몸체들(21, 22)은 함께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 스택을 형성한다.
몸체-결합 수단(23)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결합 수단(23)과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 간의 결합은 2개의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들(10)의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 사이의 전술한 결합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몸체-결합 수단(23)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볼트로서 형성되는 잠금 요소(65), 잠금 앵커 윤곽(66) 및 맞물림 구조물들(67)을 포함한다.
도 8에서 이송 가능 유닛(10) 상에 안착된 상부의 상자형 몸체(21)의 잠금 앵커 윤곽(66)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잠금 요소(9)와 결합되도록 맞물린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잠금 앵커 윤곽(14)은 하부의 상자형 몸체(22)의 잠금 요소(65)와 결합되도록 맞물린다.
또한, 상부의 상자형 몸체(21)는 그 하측에 맞물림 구조물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맞물림 구조물들은 앞에서 논의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맞물림 구조물들(82)에 대응하고,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의 맞물림 함몰부들(32) 내에 물려 들어간다. 또한, 하부의 상자형 몸체(22)는 그 상측에 맞물림 함몰부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맞물림 함몰부들은 앞에서 논의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맞물림 함몰부들(32)에 대응하고,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맞물림 구조물들(82)과 맞물린다.
맞물림 구조물들(82)이 지지 암들(5)에 구비됨으로써, 지지 암들(5)의 포지셔닝 시 하부의 상자형 몸체(22)의 맞물림 함몰부들에 대해 상대적인 지지 암들의 위치가 변경된다. 맞물림 구조물들(82)은 오로지 이송 위치에서만 상자형 몸체(22)의 대응 맞물림 함몰부들과 맞물릴 수 있다. 지지 암들(5)의 작업 위치에서, 맞물림 구조물들(82)은 상자형 몸체(22)의 대응 맞물림 함몰부들과 맞물릴 수 없다.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맞물림 구조물들 및 맞물림 함몰부들은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에 관여한다. 맞물림 구조물들(82)이 지지 암들(5)에 구비됨으로써, 지지 암들(5)이 이송 위치에 있을 때에만 분리 가능하면서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이 제공될 수 있다. 분리 가능하며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암(5)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제공될 수 없다.
도 9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및 홀 그리드(96)를 구비한 작업 플레이트(77)를 포함하는 구조물(30)을 도시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작업 플레이트(77) 상에 포지셔닝되되, 원통형 받침부들(76)이 홀 그리드(96)의 각각의 홀들 내에 물려 들어감으로써,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작업 플레이트(77)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포지셔닝된다. 홀 그리드(96)는 예시적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0은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개략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보다 나은 개관을 위한 목적으로, 도 10에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의 전체 구성 요소가 도시되지 않고, 그 대신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 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제어 전자 장치(97)를 포함하고, 제어 전자 장치는 구동 장치(73)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안전장치(72)를 더 포함하고, 안전장치는 예컨대 제어 전자 장치(97)의 구성요소이다. 안전장치(72)는 특히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위치 센서(95)를 더 포함하며, 위치 센서는 지지 암들(5)이 작업 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은 4개의 위치 센서(95)를 포함하고, 각 위치 센서(95)는 각각의 지지 암(5)에 연관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한, 각각의 지지 암(5)을 위해 고유의 위치 센서(5)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종합적으로 또한 1개의 위치센서(95)만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암들(5)은 기계적으로 나란히 결합될 수 있어서, 이러한 지지 암들은 오로지 다 함께 작업 위치 및/또는 이송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일 지지 암(5)의 감지된 위치로부터 타 지지 암(5)의 위치가 추론될 수 있다.
안전장치(72)는 위치 센서들(95)에 의해 지지 암들(5)의 감지된 위치를 수신한다. 안전장치(72)는 지지 암들(5) 중 적어도 하나라도 작업 위치에 없으면, 구동 장치(73)에 출력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안전장치(72)는, 지지 암들(5) 중 적어도 하나라도 작업 위치에 없을 때 이러한 제어 전자 장치(97)가 구동 장치에 출력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예컨대 소프트웨어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정보의 저장에 의해 및/또는 하드웨어에 따라 스위치의 개방/폐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5)

  1. 공구(1)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특히 원형 톱 벤치로서,
    기저부 상에 세울 수 있는 상자형 지지 구조물(2)로서, 상기 상자형 지지 구조물은 가공할 공작물의 안착을 위해 사용 가능한 공작물-안착 플레이트(4)를 제공하는, 상기 상자형 지지 구조물(2) 및
    공구(1)의 기계적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73)로서, 상기 구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구조물(2)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구조물에 구동 준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73)는 상기 구동 장치(73)에 의해 구동된 공구(1)를 통한 상기 공작물의 가공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구조물 내에 잔류하는, 상기 구동 장치(7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2)은 지지 암들(5)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 암들은 상기 지지 구조물(2)이 상기 기저부 상에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 구조물(2)의 세움 면적을 규정하고, 상기 지지 암들은 선택적으로 이송 위치 또는 작업 위치에 포지셔닝 가능하며, 상기 지지 구조물(2)의 세움 면적은 상기 이송 위치에서보다 상기 작업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평 방향으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2)은 기본 몸체(71)를 제공하고, 상기 지지 암들(5)은 회동 가능 및/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기본 몸체(71)에서 지지되어, 상기 지지 암들(5)이 상기 이송 위치 및 상기 작업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 영역 내에 잔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2)은 기본 몸체(71)를 제공하고, 상기 지지 암들(5) 각각은 각각의 수직 회전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기본 몸체(71)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2)의 수평 횡단면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외부 윤곽을 가지고, 상기 지지 암들(5)은 상기 이송 위치에서 직사각형 외부 윤곽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암들(5)은 상기 작업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으로 상기 외부 윤곽 보다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들(5)은 상기 지지 구조물(2)의 하측의 모서리 영역들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들(5)은 각각 수직 방향에서보다 수평 방향에서 더 연장됨으로써, 상기 지지 암들(5)은 각각 하나의 평편한 기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 암들(5)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L형인 각각 하나의 밑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들(5)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작업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한, 구동 장치(73)에 출력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안전장치(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들(5)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관통 홀(74)을 제공하고, 상기 관통 홀은 스크류의 장착을 위해 적합하며, 상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 구조물(2)은 기저부 상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들(5) 중 적어도 하나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용부(75)를 제공하고, 상기 수용부는 클램프의 클램핑 암의 장착을 위해 적합하며, 상기 클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 구조물(2)은 상기 기저부 상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들(5)은 각각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받침부(76)를 제공하고, 상기 원통형 받침부들(76)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원통형 받침부들은 상기 지지 암들(5)의 작업 위치 및/또는 이송 위치에서 작업 플레이트(77)의 소규정 홀 그리드 내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받침부들(76)은 선택적으로 고정 위치 또는 보관 위치로 포지셔닝 가능하고, 상기 원통형 받침부들(76)은 상기 고정 위치에서보다 상기 보관 위치에서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하지 않거나 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받침부들(76)은 볼트들(78)로서 형성되고, 상기 볼트들은 상기 고정 위치에서 취출 가능하게 하측에서 상기 지지 암들(5)에 구비되는 장착 개구부들(79) 내에 장착되고, 적합한 방식으로 상기 보관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측에서 상기 지지 암들(5)에 구비되는 보관 개구부들(81) 내에 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및 홀 그리드(96)를 구비한 작업 플레이트(77)를 포함하는 구조물(30)로서,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은 상기 작업 플레이트(77) 상에 포지셔닝되ㅇ어상기 원통형 받침부들(76)이 상기 홀 그리드(96)의 각각의 홀들 내에 물려 들어감으로써,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이 상기 작업 플레이트(77)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30).
  14. 제 2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및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10)과 함께 수직 스택을 형성하는 상자형 몸체(22)를 포함하는 스택 배열부 (20)로서,
    상기 지지 암들(5)에 맞물림 구조물들(82)이 구비되고, 상기 맞물림 구조물들은 상기 맞물림 구조물들이 상기 지지 암들(5)의 이송 위치에서 상기 상자형 몸체의 대응 맞물림 구조물들(67)과 맞물리고 상기 지지 암들(5)의 작업 위치에서 상기 상자형 몸체의 대응 맞물림 구조물들(67)과 맞물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배열부(2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2)은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자형 몸체(22)와 분리 가능하며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을 제공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지지 암들(5)에 구비되는 맞물림 구조물들(82)은 상기 지지 구조물-결합 수단(6)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암들(5)이 상기 이송 위치에 있을 때 분리 가능하며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이 제공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암(5)이 상기 작업 위치에 있을 때 분리 가능하며 수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결합이 제공될 수 없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배열부(20).
KR1020197012382A 2016-10-05 2016-10-05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구조물 및 스택 배열부 KR102627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6/073740 WO2018065041A1 (de) 2016-10-05 2016-10-05 Transportable bearbeitungseinheit, aufbau und stapel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333A true KR20190065333A (ko) 2019-06-11
KR102627529B1 KR102627529B1 (ko) 2024-01-19

Family

ID=5710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382A KR102627529B1 (ko) 2016-10-05 2016-10-05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구조물 및 스택 배열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7506B2 (ko)
EP (2) EP3523076B1 (ko)
JP (1) JP6892917B2 (ko)
KR (1) KR102627529B1 (ko)
CN (1) CN109862984A (ko)
WO (1) WO2018065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582669T3 (da) * 2017-04-11 2023-04-03 Festool Gmbh Adapterramme, anordning og sugeindretning
IL259990B (en) * 2018-06-13 2022-07-01 Keter Home And Garden Products Ltd Connectivity system for various applications
USD928583S1 (en) * 2018-09-14 2021-08-24 TANOS GmbH Verpacken Ordnen Präsentieren Locking device
TWI747765B (zh) * 2021-03-11 2021-11-21 明欣國際有限公司 組合式工具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2699B1 (en) * 2004-06-15 2010-07-13 Fruzzetti Jr Francis Paul Tubing preparation machine
EP2277651A2 (en) * 2009-07-24 2011-01-26 Robert Bosch Gmbh Power table saw with extension table
US20140060279A1 (en) * 2011-03-03 2014-03-06 Robert Bosch Gmbh Power Tool System
CN104922833A (zh) * 2015-05-08 2015-09-23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工作平台的自动翻转控制系统、消防车及方法
US20150298860A1 (en) * 2014-04-17 2015-10-22 Jeff Kulich Stabilized Mixing Contain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956362A1 (ru) * 1980-01-09 1982-09-07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опы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автоматизации черной металлургии Контейнер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грузов
JPS5815187U (ja) * 1981-07-22 1983-01-2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US4613847A (en) * 1983-08-08 1986-09-23 Life Light Systems Emergency signal
JPH023407Y2 (ko) * 1985-03-15 1990-01-26
US5722473A (en) * 1997-03-31 1998-03-03 New Era Industries, Inc. Workbench-based interchangeable power tool mounting and operating apparatus
EP0890534A1 (en) * 1997-07-02 1999-01-13 Christopher Lyon Tool transporter with deployable wheels
JP2000176902A (ja) * 1998-12-17 2000-06-27 Makita Corp 丸鋸盤
DE20314301U1 (de) * 2003-09-17 2004-02-26 Berner Gmbh Stapelbarer Werkzeugkoffer
US6942229B2 (en) 2003-10-31 2005-09-13 One World Technologies Limited Collapsible stand for a bench-top power tool
DE202004009123U1 (de) 2004-06-09 2004-09-09 Proxxon S.A. Tischkreissäge
CN2803589Y (zh) * 2005-06-10 2006-08-09 宁波大墩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机台稳固的台锯机
DE102008034273B4 (de) * 2008-07-22 2013-06-27 Gerhard Weusthof Kapp- und Gehrungssäge
JP2010115795A (ja) * 2008-11-11 2010-05-27 Nakano Kensetsu Consultant Kk 黒板支持具
ATE546373T1 (de) 2009-06-29 2012-03-15 Tts Tooltechnic Systems Ag Stapelbehälteranordnung mit gegenseitiger verriegelung gestapelter behälter
JP5457756B2 (ja) * 2009-08-11 2014-04-02 株式会社アマダ 突起物切断装置
DE102010009986A1 (de) 2010-03-02 2011-09-08 Westfalia-Automotive Gmbh Anhängekupplung mit einem Kraftsensor
US9403224B1 (en) * 2011-06-30 2016-08-02 Carlos Silva Combined chop saw and work table and associated use thereof
JP3174100U (ja) * 2011-08-31 2012-03-08 有限会社 Rkt 可搬式広告パネル
US9168597B2 (en) * 2011-10-14 2015-10-27 Robert Bosch Gmbh Table saw with foldable tabletop and legs
US10702933B2 (en) * 2013-12-20 2020-07-07 Robert Bosch Tool Corporation Universal extension for work surfaces of bench top power tools and work benches
JP2015136875A (ja)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マキタ 卓上切断機用補助ベース
CN205470370U (zh) * 2016-01-12 2016-08-17 安捷包装(苏州)有限公司 一种木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2699B1 (en) * 2004-06-15 2010-07-13 Fruzzetti Jr Francis Paul Tubing preparation machine
EP2277651A2 (en) * 2009-07-24 2011-01-26 Robert Bosch Gmbh Power table saw with extension table
US20140060279A1 (en) * 2011-03-03 2014-03-06 Robert Bosch Gmbh Power Tool System
US20150298860A1 (en) * 2014-04-17 2015-10-22 Jeff Kulich Stabilized Mixing Container System
CN104922833A (zh) * 2015-05-08 2015-09-23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工作平台的自动翻转控制系统、消防车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5031B1 (de) 2021-12-29
EP3523076B1 (de) 2022-07-13
CN109862984A (zh) 2019-06-07
EP3715031A1 (de) 2020-09-30
JP6892917B2 (ja) 2021-06-23
JP2019532826A (ja) 2019-11-14
KR102627529B1 (ko) 2024-01-19
US11077506B2 (en) 2021-08-03
WO2018065041A1 (de) 2018-04-12
US20200047265A1 (en) 2020-02-13
EP3523076A1 (de)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5333A (ko) 이송 가능한 가공 유닛, 구조물 및 스택 배열부
US7367571B1 (en) Tool and task box storage, transport, and workbench system
US20170173779A1 (en) Rotatable Fixturing Platform
WO2017066276A1 (en) Hybrid modular fixturing platform
DE112013006578B4 (de) Schneidevorrichtung des Tischtyps
CA2199461A1 (en) Complete workstation
CN204135939U (zh) 一种用于夹紧板材的工作台
KR20120040994A (ko) 중장비용 엔진과 트랜스미션 결합을 위한 보조지그
EP3291949B1 (en) Workbench support system
US11890744B2 (en) Workbench-hand truck assembly
JP6895514B2 (ja) 搬送可能な加工ユニット及びスタック装置
WO2002094500A1 (en) Work centre
US20190283154A1 (en) Transportable machining unit
US4523617A (en) Three-in-one work station
US20030070727A1 (en) Multi-purpose tool system
JP6492781B2 (ja) 工作機械の基台及び工作機械
JP2023113580A (ja) 鋸装置、スタックユニット、カバーユニット、搬送ユニット及び方法
CN212556379U (zh) 一种运输装置
KR101523364B1 (ko) 지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장치
JPH0742577Y2 (ja) 組立作業用パレット
CN109625891B (zh) 一种用于机器人工装零部件加工的转送机构及方法
GB2336799A (en) Portable workbench provided with tool box
JPS6341701B2 (ko)
GB2395150A (en) Modular work board
SI9500066A2 (sl) Naprava za nagibljivo držanje pa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