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432A -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및 당해 역전 방지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및 당해 역전 방지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432A
KR20190063432A KR1020180149804A KR20180149804A KR20190063432A KR 20190063432 A KR20190063432 A KR 20190063432A KR 1020180149804 A KR1020180149804 A KR 1020180149804A KR 20180149804 A KR20180149804 A KR 20180149804A KR 20190063432 A KR20190063432 A KR 2019006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reverse
switching
fishing
abutt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126B1 (ko
Inventor
히로노리 호리에
히로무 야스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29678A external-priority patent/JP68463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06122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3638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1)은,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핸들 조작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체(7)를 역전 방지 상태 또는 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이동체(51)와, 전환 이동체(51)의 이동을 규제하고, 역전 방지 상태 또는 역전 허가 상태를 유지하는 전환 유지부(60)를 구비하고, 전환 유지부(60)는 릴 본체측에 설치된 이동체(62)와, 전환 이동체(51)측에 설치된 걸림 결합 유지부(63)를 구비하고, 이동체(62)와 걸림 결합 유지부(63)는 구동체(7)의 회전축(O1)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고, 이동체(62)는 걸림 결합 유지부(63)를 향해 상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및 당해 역전 방지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 {REVERSE ROTATION PREVENTING DEVICE FOR SPINNING REEL FOR FISHING, AND SPINNING REEL FOR FISHING INCLUDING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은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및 당해 역전 방지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낚시용 스피닝 릴은 캐스팅 조작 시나 권취 조작 시에 로터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전 방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역전 방지 장치는 캐스팅 조작 시에 있어서 낚싯대 끝으로부터의 장치의 늘어짐 길이를 조정하거나, 소정 포인트로 장치를 방출하거나 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역전 방지 장치의 역전 방지 상태로부터 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낚시용 스피닝 릴은 낚시꾼이 의도치 않게 역전 방지 상태로부터 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되거나, 또는 역전 허가 상태로부터 역전 방지 상태로 전환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 결합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205947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전환 유지부를 구성하는 캠(전환 부재(31)]이나 분류 스프링[데드 포인트 스프링(35)]이 릴 본체의 보디 전방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환 유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가 커져, 낚시용 스피닝 릴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이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의 제1 발명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핸들 조작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체를 역전 방지 상태 또는 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이동체와, 상기 전환 이동체의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역전 방지 상태 또는 역전 허가 상태를 유지하는 전환 유지부를 갖고, 상기 전환 유지부는, 상기 릴 본체측에 설치된 이동체와, 상기 전환 이동체측에 설치된 걸림 결합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와 상기 걸림 결합 유지부는 상기 구동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걸림 결합 유지부를 향해 상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전환 유지부(이동체와 걸림 결합 유지부)가 구동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릴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릴 본체의 보디 전방부에 배치되어 전방측을 향해 가압되고, 상기 걸림 결합 유지부는, 상기 전환 이동체의 저면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체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환 이동체는 합성 수지제이고, 상기 릴 본체의 보디 전방부를 둘러싸고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바닥이 있는 통상 부품이고, 상기 걸림 결합 유지부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환 이동체를 합성 수지로 형성하여 경량화를 도모하는 한편, 걸림 결합 유지부를 금속 재료로 형성하여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환 이동체가 역전 방지 장치의 외벽을 구성하여, 역전 방지 장치의 내부에 해수나 사진 등이 침입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역전 방지 장치의 염 가미 등이 억제되어, 장기에 걸쳐서 역전 방지 장치의 성능 유지가 도모된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 이동체에 의해 상기 구동체의 회전 상태를 전환 가능한 롤러식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 이동체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전환 조작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환 조작부와 전환 이동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인 상기 역전 방지 기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은, 상기 전환 이동체는, 릴 본체의 보디 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커버이고, 상기 보디 전방부에는, 상기 조작 커버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작 커버에 맞닿는 복수의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각 맞닿음부는 주위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맞닿음부와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에 의하면, 각 맞닿음부 사이가 조작 커버와 맞닿지 않기 때문에, 조작 커버와 맞닿는 맞닿음 면적(미끄럼 이동 면적)이 저감되어 있다. 따라서, 가볍게 회동 조작할 수 있음과 함께 전환 조작부의 조작 시에 조작 커버가 보디 전방부에 걸릴 가능성이 저감되고, 조작 커버의 원활한 회동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의하면, 보디 전방부의 외주면 전체 주위에 걸쳐서 연장되는 맞닿음부를 형성한 경우보다도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복수의 맞닿음부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스페이스에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있고, 낚시용 스피닝 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맞닿음부는, 상기 조작 커버의 전방측에 맞닿는 복수의 전방측 맞닿음부와, 상기 조작 커버의 후방측에 맞닿는 복수의 후방측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방측 맞닿음부와 복수의 후방측 맞닿음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전방측 맞닿음부와 복수의 후방측 맞닿음부 사이가 조작 커버와 맞닿지 않기 때문에, 조작 커버와 맞닿는 맞닿음 면적(미끄럼 이동 면적)이 저감되어 있다. 따라서, 보디 전방부가 경량화됨과 함께, 전환 조작부의 조작 시에 조작 커버가 보디 전방부에 걸릴 가능성이 더 저감되어, 조작 커버의 회동이 보다 원활해진다.
또한,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방측 맞닿음부와 복수의 후방측 맞닿음부는 주위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에 의한 조작 커버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주위 방향의 지지 상태가 안정되고, 조작 커버의 회동이 보다 원활해진다.
또한,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방측 맞닿음부는 복수의 후방측 맞닿음부보다도 외경이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디 전방부에 조작 커버를 조립할 때에, 복수의 전방측 맞닿음부가 조작 커버 내에 걸리기 어려워, 조립성이 양호하다.
이상과 같이 제1 발명에 의하면,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명에 의하면,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조작 커버의 원활한 회동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베어링 부재를 떼어낸 릴 본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릴 본체를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커트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왼손으로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낚시용 스피닝 릴을 우측에서 본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보디 전방부에 조립된 부품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보디 전방부를 도 8에 도시하는 VI-VI선으로 커트하고, 그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보디 전방부를 도 8에 도시하는 VII-VII선으로 커트하고, 그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보디 전방부를 도 6에 도시하는 VIII-VIII선으로 커트하고, 그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자성 유체 시일 기구에 있어서는 내측 자성판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a)는 낚시용 스피닝 릴로부터 조작 커버만을 추출하고, 조작 커버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고, (b)는 도 9의 (a)의 IXB-IXB선으로 커트하고, 그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c)는 전환 조작부를 도 9의 (b)의 화살표 IXC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X-X선으로 커트하고, 그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파선 XI로 둘러싸인 범위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낚시용 스피닝 릴로부터 자성 유체 시일 기구의 내측 자성판만을 추출하고, 그 내측 자성판을 사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 보디 전방부에 조립된 부품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중심축(O1)을 포함하는 수평면으로 보디 전방부 근방을 커트하고, 그 단면을 상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보디 전방부를 도 2에 도시하는 III-III선으로 커트하고, 그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보디 전방부를 도 2에 도시하는 IV-IV선으로 커트하고, 그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자성 유체 시일 기구에 있어서는 내측 자성판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의 (a)는 낚시용 스피닝 릴로부터 조작 커버만을 추출하고, 조작 커버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고, (b)는 도 17의 (a)에 도시하는 VB-VB선으로 커트하고, 그 화살표 방향에서 그 단면을 본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 각 발명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상하」를 말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좌우」를 말할 때는, 도 5에 도시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내지 12는 제1 발명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용 스피닝 릴(1)은 구동축 통(7)(도 2 참조) 및 스풀축(8)(도 2 참조)을 갖는 릴 본체(2)와, 구동축 통(7)에 장착되어 릴 본체(2)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로터(4)와, 스풀축(8)에 장착되어 로터(4)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스풀(3)을 구비한다.
릴 본체(2)는 측부 개구부(13)가 형성된 보디(10)와, 보디(10)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낚싯대 장착부(11a)가 형성된 다리부(11)와, 보디(10)의 전방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는 통상의 보디 전방부(12)(도 2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보디(10)의 측부 개구부(13)에 베어링 부재(30)가 장착되고, 보디(10)의 후방부에 보호 커버(34)가 장착되어 있다.
보디(10)와 다리부(11)와 보디 전방부(12)는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0)는 구동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 보디(10)의 내부 공간을 보디(10) 내 또는 수용 공간 S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다리부(11)의 하단부인 기부(11b)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분기하여 보디(10)의 상부에 접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부(11b)는 보디(10)의 전방측 상부에 접속하는 전방 기부(11c)와, 보디(10)의 후방측 상부에 접속하는 후방 기부(11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방 기부(11c)와 후방 기부(11d)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11e)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 전방부(12)는 중간 베어링(12a)을 통해 구동축 통(7)을 지지하고, 구동축 통(7)이 중심축(O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 통(7)의 후단은 보디 전방부(12)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고, 구동축 통(7)의 후단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7a)가 보디(10)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밖에, 보디 전방부(12)에는 보디 전방부(12) 내에 수용되는 부품의 보호나 미관 향상을 위해,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커버(12b)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축 통(7)의 내부에, 스풀축(8)이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풀축(8)의 전단은 구동축 통(7)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8)의 후방부(8a)는 구동축 통(7)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고, 보디(10)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0) 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축(5)과, 핸들축(5)에 고정되는 드라이브 기어(6) 및 기어(축통)(6a)와, 스풀 왕복 이동 장치(35)가 조립되어 있다.
핸들축(5)은 보디(10)와 베어링 부재(30)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막대상 부재이고,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보디(10)와 베어링 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축(5)의 좌측단은 보디(10)의 좌측에 배치된 핸들(5a)(도 1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5a)의 권취 조작이 행해지면, 드라이브 기어(6) 및 기어(6a)가 핸들축(5)의 중심축(O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권취 조작에 의한 구동력은 드라이브 기어(6)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7a)[구동축 통(7)]로 전달하고, 로터(4)가 회전한다.
스풀 왕복 이동 장치(35)는 보디(10)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축(36)과, 우측면에 안내 홈(37a)이 형성되고 가이드축(36)을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자(37)와, 안내 홈(37a)에 걸림 결합하는 편심 돌기부(38a)가 형성된 연동 기어(38)를 구비한다.
연동 기어(38)는 핸들축(5)으로부터 후방 하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기어(6a)의 후방측과 맞물려 있다.
또한, 핸들(5a)의 권취 조작이 행해지면, 기어(6a)에 맞물리는 연동 기어(38)가 회전한다. 그리고, 연동 기어(38)의 편심 돌기부(38a)가 미끄럼 이동자(37)의 안내 홈(37a)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압박하고, 미끄럼 이동자(37)와 스풀축(8)[스풀(3)]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0)의 후방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후방부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부 개구부(15)를 통해, 스풀 왕복 이동 장치(35)의 일부가 보디(10) 밖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 개구부(15)는 보호 커버(34)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보호 커버(34)는 전방을 향해 개구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을 나타내고, 보호 커버(34)의 전방면측에 수용 공간 S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부 개구부(15)를 통해 보디(10) 밖에 배치된 스풀 왕복 이동 장치(35)의 일부는 수용 공간 S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우측부(2b)에는 역전 방지 장치(40)의 역전 방지 상태 또는 역전 허가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조작부(5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역전 방지 장치(40)나 전환 조작부(5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보디 전방부(12)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 전방부(12)는 구동축 통(7)의 중심축(O1)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통상을 나타내고 있다. 보디 전방부(12)의 외형은, 전방부의 쪽이 후방부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보디 전방부(12)의 후방부를 대경부(16)라고 칭하고, 전방부를 소경부(17)라고 칭한다.
보디 전방부(12)[대경부(16), 소경부(17)]에는 역전 방지 장치(40), 조작 커버(50), 전환 유지부(60),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 규제체(80), 후방 시일 부재(91) 및 전방 시일 부재(92)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조작 커버(50)는 전술한 커버(12b)이다. 이하, 보디 전방부(12)[대경부(16), 소경부(17)]와 각 부품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경부(16)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플랜지(16a)와, 주위 방향에 걸쳐서 오목한 주위 홈(16b)과, 암나사 구멍(16c)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6a)는 대경부(16)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16a)의 외형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작 커버(50)의 후기하는 전환 이동체(51)의 내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환 이동체(51)의 후방측 개구는 플랜지(16a)에 의해 폐색되고, 조작 커버(50) 내에 해수 등이 침입하기 어렵다.
주위 홈(16b)은 후방 시일 부재(91)를 보디 전방부(12)에 조립하기 위한 홈이다.
암나사 구멍(16c)은 180° 간격으로 2개 형성되고, 각각에 조작 커버(50)를 빠짐 방지하는 나사(16d)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대경부(16)의 내주측에는 중간 베어링(12a)이 감입되어 있다. 중간 베어링(12a)의 외륜에는 리테이닝 링(18)이 맞닿아 있고, 중간 베어링(12a)이 대경부(16)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닝 링(18)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플랜지(1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18a)가 나사(18b)에 체결되고, 리테이닝 링(18)이 소경부(17) 내에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경부(16)의 외주측의 하방에는 복귀 맞대기 이음부(19)가 설치되어 있다. 복귀 맞대기 이음부(19)는 베일 반전 기구의 구성 요소이고, 베일이 낚싯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터(4)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로터(4)의 암부(4a)(도 4 참조)의 내주측에 설치된 복귀용 맞닿음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하고, 베일을 반전(낚싯줄 권취 위치로 복귀)시키고 있다.
소경부(17) 내에는 역전 방지 장치(40)가 수용된다. 또한, 소경부(17)의 전방 단부면(17e)에는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78b)가 나사 결합하는 고정부(17f)가 2개 형성되고, 소경부(17)의 전방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가 고정되어 있다(도 6, 도 7 참조).
소경부(17)에는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결되고, 소경부(17)의 내주측과 외주측을 연통시키는 4개의 절결부[제1 절결부(17a) 내지 제4 절결부(17d)]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결부(17a), 제2 절결부(17b)는 리테이닝 링(18)의 플랜지(18a)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절결부(17a)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상측에 설치되고, 제2 절결부(17b)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절결부(17c)는 역전 방지 장치(40)의 후술하는 돌출부(45)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고,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절결부(17c)는 돌출부(45)가 주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크게 절결되어 있다.
제4 절결부(17d)는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의 후술하는 걸림 지지부(79)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고,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전 방지 장치(40)는 구동축 통(7)의 정회전을 허용하면서, 구동축 통(7)의 역전을 방지하는 롤러식 일방향 클러치이고, 공지의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역전 방지 장치(40)의 내주측에는, 구동축 통(7)의 외주측에 끼워 맞춤으로써 구동축 통(7)에 회전 멈춤되고, 핸들(5a)의 조작에 의해 구동하는 내륜(구동축·구동체)(4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역전 방지 장치(40)는 내륜(41)을 통해 구동축 통(7)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내륜(41)의 전방부(41a)는 외륜(42)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고,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내륜(41)은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내륜(41)의 전방부(41a)는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의 자성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 내륜(41)의 전방부를 자성부(41a)라고 칭한다.
역전 방지 장치(40)는 소경부(17) 내에 삽입된 대략 원통상의 외륜(42)과, 내륜(41)과 외륜(4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롤러(43)와, 복수의 롤러(43)를 유지하는 리테이너(전환 제어 부재)(44)를 구비하고 있다.
역전 방지 장치(40)는 리테이닝 링(18)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륜(42)의 후단이 소경부(17)의 저면에 맞닿고, 역전 방지 장치(40)가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륜(42)의 후단에는 절결부(42a)가 형성되고, 절결부(42a) 내에 리테이닝 링(18)의 플랜지(18a)가 들어가 외륜(42)이 회전 멈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역전 방지 장치(40) 자체가 회동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리테이너(44)의 외주면에는 외륜(42)을 관통하고, 외륜(42)의 외주면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돌출부(45)는 리테이너(44)를 회동시켜 각 롤러(43)를 주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돌출부(45)를 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롤러(43)가 내륜(41)과 외륜(42) 사이에서 쐐기 작용을 발휘하여 내륜(41)[구동축 통(7)]의 역전이 방지되거나, 또는 롤러(43)가 내륜(41)과 외륜(42) 사이에서 쐐기 작용을 발휘하지 않고 내륜(41)[구동축 통(7)]의 역전이 허가되거나 한다.
돌출부(45)는 소경부(17)의 제3 절결부(17c)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8 참조). 또한, 돌출부(45)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타원 형상의 원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커버(50)는 보디 전방부(12)[대경부(16), 소경부(17)]의 외주측에 배치된 통상 부재이다.
도 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커버(50)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전환 이동체(51)와, 전환 이동체(51)의 내측에 설치된 걸림 결합부(54)와, 전환 이동체(51)의 후단에 설치된 전환 조작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전환 이동체(51)와 걸림 결합부(54)와 전환 조작부(55)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부품 개수의 삭감이 도모되어 있다.
전환 이동체(51)는 중심축(O1)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상의 원통부(52)와, 원통부(52)의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링상의 전방 벽부(53)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이동체(51)는 보디 전방부(12)[대경부(16), 소경부(17)]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고, 역전 방지 장치(40) 내에 해수나 사진 등이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역전 방지 장치(40)의 염 가미 등이 억제되고, 장기에 걸쳐서 역전 방지 장치(40)의 성능이 유지된다.
원통부(52)의 내주면은 부분적으로 보디 전방부(12)[대경부(16), 소경부(17)]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조작 커버(50)는 보디 전방부(12)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원통부(52)의 후방부에는 관통 구멍(52a)이 2개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9의 (a)를 참조].
각 관통 구멍(52a) 내에는 대경부(16)에 나사 결합하고 있는 나사(16d)가 배치되고, 조작 커버(50)가 보디 전방부(12)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52a)은 주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조작 커버(5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전방 벽부(53)의 중앙 구멍(53a)은 구동축 통 및 스풀축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도 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벽부(53)의 후방면(저면)(53b)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벽(53c)이 3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벽(53c)은 소경부(17)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다(도 6 참조). 이 때문에, 조작 커버(50)의 회동시의 덜컥거림이 억제되어, 조작 커버(50)의 회동이 원활하게 되어 있다.
도 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54)는 사각 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원통부(52)의 내주면과 전방 벽부(53)의 후방면(53b)과 연속하고 있다. 또한, 걸림 결합부(54)의 후방 단부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기둥상의 돌기(54a)가 형성되어 있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걸림 결합부(54)는 소경부(17)의 제3 절결부(17c) 내에 배치되고, 돌기(54a)가 돌출부(45)의 원 구멍(46)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커버(50)와 리테이너(44)가 주위 방향으로 걸림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낚시꾼이 전환 이동체(51)를 회동하면, 역전 방지 장치(40)의 역전 방지 상태와 역전 허가 상태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부(52)의 후단부는 스풀(3)의 스커트부(3a)의 후방에 있어서의 로터(4)의 후단측 개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통부(52)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전환 조작부(55)는 로터(4)의 암부(4a)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전환 조작부(55)는 기부측(전단측)이 로터(4)의 암부(4a)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 있고, 중간부로부터 후단부까지의 범위가 암부(4a)보다도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겹치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환 조작부(55)의 중간부나 후단부를 파지함으로써, 로터(4) 등에 접촉하지 않고 전환 조작부(55)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전환 조작부(55)에 있어서 스풀(3)이나 로터(4)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조작 본체부(55a)라고 칭한다.
전환 조작부(55)는 릴 본체(2)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역전 방지 장치(40)가 역전 방지 상태인 경우, 전환 조작부(55)는 릴 본체(2)의 우측부(2b)의 하방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역전 방지 장치(40)가 역전 허가 상태인 경우, 전환 조작부(55)는 역전 방지 장치(40)가 역전 방지 상태인 경우보다도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도 4의 파선 P 참조).
즉, 전환 조작부(55)는 역전 방지 장치(40)가 역전 방지 상태 또는 역전 허가 상태인 경우라도, 항상 릴 본체(2)의 우측부(2b)에 위치하고, 릴 본체(2)의 측면에서 볼 때 측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외형(2c)의 내측에 들어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환 조작부(55)는 측면에서 볼 때 릴 본체(2)의 외형보다도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지 않다. 따라서, 낚싯줄이 릴 본체(2)의 외형(2c)을 따라 이동해도 전환 조작부(55)에 얽히는 경우가 없다. 또한, 낚시터의 이동 시에 릴 본체(2)를 떨어뜨려 릴 본체(2)의 외형(2c)이 지면 등에 접촉해도, 전환 조작부(55)는 지면 등에 접촉하기 어렵고, 전환 조작부(55)가 파손되기 어렵다. 또한, 수송 시에 있어서도, 전환 조작부(55)는 충격을 받기 어렵고, 수송 시에 파손될 우려가 저감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환 조작부(55)를 조작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한쪽의 왼손의 손바닥(또는 집게 손가락, 가운뎃 손가락, 약손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을 릴 본체(2)의 하면(2a)에 닿게 하고, 왼손의 집게 손가락, 가운뎃 손가락, 약손가락을 릴 본체(2)의 우측부(2b)의 쪽으로 돌아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릴 본체(2)의 우측부(2b)에 배치된 왼손의 집게 손가락, 가운뎃 손가락, 약손가락의 어느 손끝의 배부로 전환 조작부(55)의 조작 본체부(55a)를 조작하는 등의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왼손으로 릴 본체(2)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전환 조작부(55)를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환 조작부(55)를 조작하는 하중이 낚시용 스피닝 릴(1)에 작용하여 낚시용 스피닝 릴(1)이 불안정해져 전환 조작부(55)를 조작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1)은 전환 조작부(55)를 조작하기 쉽고, 실제 낚시 시의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조작 본체부(55a)는 핸들축(5)의 중심축(O2)보다도 전방이고 또한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조작 본체부(55a)는 릴 본체(2)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왼손의 손가락 중에서 집게 손가락에 가장 근접한다. 따라서, 손가락 중 가장 깔끔하게 움직이는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 본체부(55a)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 조작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전환 조작부(55)는 릴 본체(2)의 측부 중 우측의 우측부(2b)에 배치되고, 핸들(5a)이 설치된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전환 조작부(55)의 조작 본체부(55a)를 조작할 때, 핸들(5a)에 접촉하지 않아, 조작성이 향상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본체부(55a)의 외면은 통부(52)의 외주면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단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조작부(55)의 기부측(전방측)의 외면은 조작 본체부(55a)[전환 조작부(55)의 중간부나 후단부]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고, 로터(4)의 암부(4a)의 후단부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조작부(55)의 외면은 원통부(52)의 외주면을 따라 주위 방향 일측(대략 상측)을 향하는 역전 방지 조작면(55b)과, 원통부(52)의 외주면을 따라 주위 방향 타측(대략 하측)을 향하는 역전 허가 조작면(5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역전 방지 조작면(55b)은 역전 허가 상태로부터 역전 방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하방으로 압박되는 조작면이다. 역전 허가 조작면(55c)은 역전 방지 상태로부터 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방으로 압박되는 조작면이다.
또한, 역전 방지 조작면(55b) 및 역전 허가 조작면(55c)은 대략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의 배로 압박할 수 있고, 조작하기 쉽다.
전환 유지부(60)는 역전 방지 장치(40)의 역전 방지 상태 또는 역전 허가 상태를 유지하고, 낚시꾼이 의도치 않게 역전 방지 상태로부터 역전 허가 상태로 또는 역전 허가 상태로부터 역전 방지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유지부(60)는 릴 본체(2)와 전환 이동체(51)가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61)와, 이동체(62)와, 걸림 결합 유지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릴 본체(2)의 대향부(61)는 릴 본체(2)의 소경부(17)의 전방 단부면(17e)이고, 전환 이동체(51)의 대향부(61)는 전방 벽부(53)의 후방면(저면)(53b)으로 되어 있다.
소경부(17)의 전방 단부면(17e)에는 후방을 향해 관통하는 이동체 수용 구멍(17g)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 수용 구멍(17g) 내에는 이동체(62)와 코일 스프링(64)이 수용되어 있다.
이동체(62)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상의 부품이고, 전단(62a)이 원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62)의 후단(62b)은 이동체 수용 구멍(17g)을 관통하고, 이동체 수용 구멍(17g)의 후방면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동체(62)는 이동체 수용 구멍(17g)으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64)은 압축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이동체(62)를 상시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유지부(63)는 전방 벽부(53)의 후방면(53b)을 따라 연장되는 판상 부재이다. 걸림 결합 유지부(63)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이동체(62)보다도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걸림 결합 유지부(63)는 이동체(62)보다도 강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하고, 금속 재료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에, 걸림 결합 유지부(63)의 강도 향상을 위해, 걸림 결합 유지부(63)와 걸림 결합 유지부(63)가 고정되는 전환 이동체(51)를 금속 재료로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걸림 결합 유지부(63)를 금속 재료로 형성하고, 전환 이동체(51)를 합성 수지로 형성하는 쪽이 전체의 중량이 경량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걸림 결합 유지부(63)는 중심축(O1)의 좌측 방향에 배치되고, 이동체(62)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전 방지 장치(40)의 역전 방지 상태의 경우, 걸림 결합 유지부(63)의 하단부(63b)가 이동체(62)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전환 이동체(51)가 회동하여[도 9의 (a)의 화살표 참조], 역전 방지 장치(40)가 역전 허가 상태로 된 경우, 바꾸어 말하면, 걸림 결합 유지부(63)도 회동하여 하방으로 변위된 경우(도 10의 화살표 참조), 걸림 결합 유지부(63)의 상단부(63a)가 이동체(62)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유지부(63)의 상단부(63a)와 하단부(63b)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이동체(62)의 전단(62a)과 이격되어 있다. 한편, 걸림 결합 유지부(63)의 상하 방향(이동 방향)의 중간부에는 후방으로 볼록형으로 형성된 볼록상부(63c)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상부(63c)는 상하 방향의 중앙부의 정점(63d)과, 정점(63d)으로부터 상단부(63a)를 향해 연장되는 상방 경사면(63e)과, 정점(63d)으로부터 하단부(63b)를 향해 연장되는 하방 경사면(63f)을 갖고 있다.
따라서, 역전 방지 장치(40)가 역전 허가 상태로부터 역전 방지 상태로 전환되려고 하면, 하방 경사면(63f)에 이동체(62)가 걸림 지지되어, 전환 이동체(51)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한, 역전 방지 장치(40)가 역전 방지 상태로부터 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되려고 하면, 상방 경사면(63e)이 이동체(62)에 걸림 지지되어, 전환 이동체(51)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상의 점에서, 상방 경사면(63e) 또는 하방 경사면(63f)이 이동체(62)를 후방으로 압박하여 정점(63d)이 이동체(62)를 극복할 정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역전 방지 장치(40)의 역전 허가 상태 또는 역전 방지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전환 이동체(51)의 전방 벽부(53)의 후방면(53b)에는 걸림 결합 유지부(63)의 외형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오목한 오목부(53d)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53d) 내에 걸림 결합 유지부(63)가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목부(53d)의 오목부 양의 분만큼, 전환 이동체(51)와 보디 전방부(12)의 거리가 줄어들고 있고, 낚시용 스피닝 릴(1)이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53d)의 저면에는 후방으로 볼록상으로 되어 있는 볼록상부(53e)가 형성되고, 오목부(53d)의 저면이 걸림 결합 유지부(63)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경년 변화에 의해 걸림 결합 유지부(63)의 볼록상부(63c)의 돌출량이 저감되어 전환 이동체(51)가 회동하기 쉬워진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종래의 전환 유지부의 구성 요소는 보디 전방부(12)[릴 본체(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크게 이격된 개소에 설치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로터(4)의 스커트부(3a)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있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성 요소의 한쪽[이동체(62)]이 보디 전방부(12)[릴 본체(2)]에 설치되고, 구성 요소의 다른 쪽[걸림 결합 유지부(63)]이 전환 이동체(51)에 설치되고, 중심축(O1) 방향으로 배치되어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소형화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62)와 걸림 결합 유지부(63)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것보다도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는 환상의 영구 자석(71)과, 영구 자석(71)의 전방측(외측)에 배치된 환상의 외측 자성판(72)과, 영구 자석(71)의 후방측(내측)에 배치된 환상의 내측 자성판(73)과, 내륜(41)과 일체로 형성된 자성부(41a)와, 자성 유체(74)를 구비하고 있다. 영구 자석(71)과 외측 자성판(72)과 내측 자성판(73)은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영구 자석(71)은 전방면측이 N극, 후방면측이 S극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영구 자석(71)의 전방면으로부터 후방면을 향해, 내주측의 자기 회로(도 11의 화살표 A를 참조)와, 외주측의 자기 회로(도 11의 화살표 B1-B3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자성판(72)과 내측 자성판(73)은 투자율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영구 자석(71)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을 집중시키는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외측 자성판(72)의 내경은 자성부(41a)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자성판(72)과 자성부(41a) 사이에는 간극 C1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자성판(72)의 외경은 영구 자석(71)의 외경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자성판(72)의 외주단(72b)은 영구 자석(71)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자성판(73)은 내주측에 위치하는 환상의 내주부(75)와, 내주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중간부(76)와, 중간부(76)의 외주연에 연속하는 환상의 외주부(77)와, 외주부(77)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플랜지(78)와, 외주부(77)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3개의 걸림 지지부(79)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부(75)는 영구 자석(71)을 유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내주부(75)의 내경은 자성부(41a)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주부(75)[내측 자성판(73)]와 자성부(41a) 사이에는 간극 C2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76)는 영구 자석(71)의 외주면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외측 자성판(72)의 외주단(72b)과 협동하여 전방 시일 부재(92)를 끼움 지지하고 있다.
중간부(76)는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후방에 위치하고 후방으로 경사져 있고, 내주부(75)가 외주부(77)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내주부(75)에 유지되는 영구 자석(71)도 전방 근처에 배치되고, 역전 방지 장치(4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외주부(77)는 외측 자성판(72)의 외주단(72b)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내측 자성판(73)의 외경은 외측 자성판(72)의 외경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부(77)의 외경은 역전 방지 장치(40)의 외륜(42)의 외경보다도 약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78)는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를 보디 전방부(12)에 고정하기 위한 부위이고, 나사(78b)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78a)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78)는 보디 전방부(12)의 고정부(17f)(도 5 참조)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78b)에 체결되어 있다.
3개의 걸림 지지부(79)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규제체(80)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걸림 지지부(79)는 소경부(17)의 제1 절결부(17a), 제3 절결부(17c), 제4 절결부(17d) 내에 배치되어, 소경부(17)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 유체(74)는, 예를 들어 Fe3O4과 같은 자성 미립자를, 베이스 오일에 분산시켜 구성된 것이다. 자성 유체(74)는 외측 자성판(72)과 자성부(41a) 사이의 간극 C1과, 내측 자성판(73)과 자성부(41a) 사이의 간극 C2에 충전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영구 자석(71)의 내주측의 발생하는 자속은, 외측 자성판(72)의 내주단(72a), 자성부(41a), 내주부(75)[내측 자성판(73)]의 내주단(75a)에 집중하여 분포하고, 도 11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자기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간극 C1, C2에는 큰 자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결과, 간극 C1, C2에 충전된 자성 유체(74)는 유출되지 않고 장기간 유지되기 때문에, 시일성이 매우 높다.
한편, 영구 자석(71)의 외주측의 발생하는 자속은, 도 11의 화살표 B1, B2, B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자성판(72)의 외주단(72b)과, 내측 자성판(73)의 전방면(73a)[상세하게는 중간부(76) 및 외주부(77)의 전방면]을 연결하는 곡선 상에 분포한다.
이 때문에, 외측 자성판(72)의 외주단(72b)으로부터 분산되는 자속은, 내측 자성판(73)의 대경부를 형성하는 중간부(76) 및 외주부(77)에서 집속됨으로써, 이 사이에 효과적인 자기 회로가 형성되어 보디 전방부(12) 내에 누설되는 여분의 자속이 저감된다. 이 결과, 내측 자성판(73)의 후방에 분포하는 자속이 저감되고, 역전 방지 장치(40)의 롤러(43)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회전 성능 및 쐐기 작용에 지장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중간부(76)에 의해 영구 자석(71)이 전방 근처에 위치하고 영구 자석(71)이 역전 방지 장치(4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역전 방지 장치(40)측에 분포하는 자속이 더 저감되어, 롤러(43)가 자화되기 어렵다. 이상의 점에서, 역전 방지 장치(40)의 토크 손실이나 이음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체(80)는 중앙부에 내륜(41) 및 구동축 통(7)과 스풀축(8)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환상의 부품이다. 또한, 규제체(80)는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영구 자석(71)의 자속에 의해 규제체(80)가 자화되지 않도록, 바꾸어 말하면, 역전 방지 장치(40)측에 분포하는 자속이 증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규제체(80)는 내측 자성판(73)과 역전 방지 장치(일방향 클러치)(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체(80)는 전후 방향으로 박육으로 형성되고 판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규제체(80)는 내주단(82)으로부터 외주단(83)을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여 경사져 있다.
내주단(82)은 역전 방지 장치(40)의 외륜(42)의 전방 단부면(42a)에 맞닿고, 외주단(83)이 내측 자성판(73)의 외주부(77)의 후방면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역전 방지 장치(일방향 클러치)(40)는 전후 방향[중심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면, 역전 방지 장치(40)의 롤러(43)와 내륜(41)의 미끄럼 접촉 상태가 안정화된다.
이 결과, 구동축 통(7)의 회전이 안정화됨과 함께, 롤러(43)의 쐐기 작용도 안정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규제체(80)는 역전 방지 장치(40)와 내측 자성판(73)에 단순히 맞닿아 있지만, 본 발명의 규제체(80)는 역전 방지 장치(40)와 내측 자성판(73)을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는 가압력을 발휘하는 탄성재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규제체(8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 역전 방지 장치(4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롤러(43)가 자화되기 쉬워지고, 내륜(41)의 회전 토크에 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역전 방지 장치(40)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롤러(43)가 자화되기 어렵고, 내륜(41)의 회전 토크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체(80)는 내측 자성판(73)의 걸림 지지부(79)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규제체(80)의 외주단(83)이 걸림 지지부(79)의 내주면(79a)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규제체(80)가 직경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이 없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규제체(80)를 걸림 지지하는 걸림 지지부(79)는 내측 자성판(73)의 일부이다. 따라서,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의 구성 요소인 내측 자성판(73)에 의해 규제판(80)의 직경 방향의 이동을 억제하면서, 역전 방지 장치(40)의 축(O1) 방향의 이동 규제를 효과적으로 규제하고 있어, 부품 개수의 증가가 회피되고, 효율이 양호하다. 또한, 걸림 지지부(79)는 판상의 내측 자성판(73)의 일부이고,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용 스피닝 릴(1)의 중량화도 피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시일 부재(91) 및 전방 시일 부재(92)는 환상을 나타내고, 탄성재에 의해 형성된 탄성 시일 부재이다.
후방 시일 부재(91) 및 전방 시일 부재(92)의 각각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립부(91a, 92a)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시일 부재(91)는 대경부(16)의 주위 홈(16d)에 감입되어 있고, 소경부(17)에 형성된 제1 절결부(15a) 내지 제4 절결부(15d)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 시일 부재(91)의 립부(91a)는 조작 커버(50)의 원통부(52)의 내주면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한 상태로 맞닿아 있다. 여기서, 립부(91a)는 원통부(52)에 있어서 관통 구멍(52a)보다도 전방측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원통부(52)의 후방부 개구나 관통 구멍(52a)을 통해 원통부(52) 내에 침입한 해수 등이 제1 절결부(15a) 내지 제4 절결부(15d)를 통해, 소경부(17) 내의 역전 방지 장치(20)에 부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전방 시일 부재(92)는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의 영구 자석(71)의 외주면에 감입되어 있다. 전방 시일 부재(92)의 립부(92a)는 조작 커버(50)의 전방 벽부(53)의 중앙 구멍(53a)의 내주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한 상태로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해수 등이 중앙 구멍(53a)을 통해 조작 커버(50) 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환 조작부(55)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전환 조작부(55)의 조작 본체부(55a)가 핸들축(5)의 후방이고 또한 하방에 배치되고, 손바닥으로 릴 본체(2)의 하면(2a)을 지지하는 왼손의 약손가락 또는 새끼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환 조작부(55)를 핸들(5a)과 동일한 측에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전환 조작부(55)와 핸들(5a)이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핸들(5a)을 가지면서 전환 조작부(55)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핸들(5a)로부터 손을 떼는 일 없이 전환 조작부(55)를 조작할 수 있고, 실제 낚시 시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역전 방지 조작면(55b)과 역전 허가 조작면(55c)은 평면상이 아니라 곡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환 조작부(55)는 반드시 역전 방지 조작면(55b) 및 역전 허가 조작면(55c)을 구비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 형태의 규제체(80)는 내주단(82)으로부터 외주단(83)을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여 경사져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내주단으로부터 외주단에 걸쳐서 평판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의 규제체(80)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환상으로 되어 있지만, 중심축(O1) 방향에서 볼 때 C자상이어도 된다. 또한, 규제체(80)의 재질에 관하여, 비자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합성 수지나 금속 등이어도 되고,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제1 발명에 관한 역전 방지 장치를 구비한 제2 발명인 낚시용 스피닝 릴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3 내지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상하」 「좌우」를 말할 때는, 도 13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용 스피닝 릴(1)은 구동축 통(7) 및 스풀축(8)을 지지하는 릴 본체(2)와, 스풀축(8)에 장착되어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도시하지 않음)과, 구동축 통(7)에 장착되어 스풀에 낚싯줄을 권회하는 로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릴 본체(2)는 내부에 구동 장치를 수용하는 보디(10)와, 보디(10)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이 낚싯대에 장착되는 다리부(11)와, 보디(10)의 전방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는 통상의 보디 전방부(12)를 구비한다. 또한, 보디(10)와 다리부(11)와 보디 전방부(12)는, 금속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높은 강도를 구비한다.
보디 전방부(12)는 구동축 통(7)의 중심축(O1)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전방부(12)의 외형은 전방부의 쪽이 후방부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보디 전방부(12)의 후방부를 대경부(16)라고 칭하고, 전방부를 소경부(17)라고 칭한다.
보디 전방부(12)[대경부(16), 소경부(17)]에는 역전 방지 장치(40), 조작 커버(50), 전환 유지부(60),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 규제체(80), 후방 시일 부재(91) 및 전방 시일 부재(92)가 조립되어 있다.
이하, 보디 전방부(12)[대경부(16), 소경부(17)]와 각 부품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경부(16)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6a)와, 주위 방향에 걸쳐서 오목한 주위 홈(16b)과, 나사(16d)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 구멍(16c)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6a)는 대경부(16)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다. 플랜지(16a)의 외형은 원형상을 나타내고, 조작 커버(50)의 후기하는 전환 이동체(51)의 내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환 이동체(51)의 후방측 개구는 플랜지(16a)에 의해 폐색되고, 조작 커버(50) 내에 해수 등이 침입하기 어렵다.
주위 홈(16b)은 후방 시일 부재(91)를 보디 전방부(12)에 조립하기 위한 홈이다. 암나사 구멍(16c)은 180° 간격으로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 구멍(16c)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16d)는 조작 커버(50)가 보디 전방부(1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대경부(16)의 내주측에는 구동축 통(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중간 베어링(12a)이 감입되어 있다.
또한, 중간 베어링(12a)의 전방측에는 리테이닝 링(18)이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닝 링(18)은 중간 베어링(12a)의 외륜에 맞닿고, 중간 베어링(12a)이 대경부(16)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링 상의 부품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닝 링(18)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플랜지(1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플랜지(18a)가 나사(18b)에 체결됨으로써 리테이닝 링(18)이 소경부(17) 내에 고정되어 있다.
소경부(17)의 내경은 내부에 역전 방지 장치(40)가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경부(17)의 전방 단부면(17e)에는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나사 결합하는 고정부(17f)가 2개 형성되고, 보디 전방부(12)의 전방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가 조립되어 있다.
소경부(17)에는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결되고, 소경부(17)의 내주측과 외주측을 연통시키는 4개의 절결부[제1 절결부(17a) 내지 제4 절결부(17d)]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결부(17a), 제2 절결부(17b)는 리테이닝 링(18)의 플랜지(18a)를 통과시키고 플랜지(18a)를 저부에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절결부(17a)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상측에 설치되고, 제2 절결부(17b)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절결부(17c)는 역전 방지 장치(40)의 후술하는 돌출부(45)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고,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절결부(17d)는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의 후술하는 걸림 지지부(79)(도 13 참조)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고,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4 절결부(17d)는 소경부(17)의 전방 단부면(17e)으로부터 후방으로의 절결량이 다른 제1 절결부(17a) 내지 제3 절결부(17c)보다도 적다. 이 때문에, 제4 절결부(17d)는 도 15에 나타나 있지 않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경부(17)에는 조작 커버(50)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19)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역전 방지 장치(40)는 구동축 통(7)의 정회전을 허용하면서, 구동축 통(7)의 역전을 방지하는 롤러식 일방향 클러치이고, 공지의 장치이다. 또한, 역전 방지 장치(40)의 내주측에는 구동축 통(7)의 외주측에 끼워 맞춤으로써 구동축 통(7)에 회전 방지된 내륜(4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역전 방지 장치(40)는 내륜(41)을 통해 구동축 통(7)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다.
역전 방지 장치(40)는 대략 원통상의 외륜(42)과, 내륜(41)과 외륜(4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롤러(43)와, 복수의 롤러(43)를 유지하는 리테이너(전환 제어 부재)(44)를 구비한다.
리테이너(44)에는 외륜(42)을 관통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또한, 돌출부(45)는 제3 절결부(17c) 내에 배치된다(도 15의 파선 참조).
돌출부(45)가 주위 방향으로 이동하면, 리테이너(44)가 회동하고, 롤러(43)가 내륜(41)과 외륜(42) 사이에서 쐐기 작용을 발휘하여 내륜(41)[구동축 통(7)]의 역전이 방지되거나, 또는 롤러(43)가 내륜(41)과 외륜(42) 사이에서 쐐기 작용을 발휘하지 않고 내륜(41)[구동축 통(7)]의 역전이 허가되거나 한다.
조작 커버(50)는 보디 전방부(12)[대경부(16), 소경부(17)]의 외주측에 배치된 통상 부재이다.
도 1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커버(50)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전환 이동체(51)와, 전환 이동체(51)의 내측에 설치된 걸림 결합부(54)와, 전환 이동체(51)의 후단에 설치된 전환 조작부(5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환 조작부(55)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릴 본체(2)의 측부에 배치되어 낚시꾼의 손가락에 의해 압박 가능(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환 이동체(51)는 중심축(O1)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상의 원통부(52)와, 원통부(52)의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링상의 전방 벽부(353)를 구비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이동체(51)는 보디 전방부(12)[대경부(16), 소경부(17)]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고, 역전 방지 장치(40) 내에 해수나 사진 등이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역전 방지 장치(40)의 염 가미 등이 억제되어, 장기에 걸쳐서 역전 방지 장치(40)의 성능이 유지된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52)의 내경은 r1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52)의 내주면(52b)에는 후술하는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도 15 참조)가 맞닿아 있다.
원통부(52)의 후방부에는 관통 구멍(52a)이 2개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7의 (a)를 참조]. 각 관통 구멍(52a) 내에는 대경부(16)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나사(16d)가 배치되고, 조작 커버(50)가 보디 전방부(12)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14 참조).
전방 벽부(353)의 중앙 구멍(353a)은 구동축 통(7) 및 스풀축(8)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전방 벽부(353)의 후방면(저면)(353b)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벽(53c)이 3개 형성되어 있다.
3개의 가이드 벽(53c)의 내경은 r2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3개의 가이드 벽(53c)은 중심축(O1) 방향에서 볼 때 후술하는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54)는 사각 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원통부(52)의 내주면과 전방 벽부(353)의 후방면(353b)과 연속하고 있다. 또한, 걸림 결합부(54)의 후방 단부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기둥상의 돌기(5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54)는 제3 절결부(17c)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 결합부(54)의 돌기(54a)[도 17의 (a), (b) 참조]가 돌출부(45)의 원 구멍(46)(도 13 참조)에 삽입되고, 조작 커버(50)와 리테이너(44)가 주위 방향으로 걸림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낚시꾼이 전환 조작부(55)를 압박하여 전환 이동체(51)를 회동시키면, 역전 방지 장치(40)의 역전 방지 상태와 역전 허가 상태가 전환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유지부(60)는 릴 본체(2)의 소경부(17)측에 배치된 이동체(62)와, 조작 커버(50)의 전방 벽부(353)의 후방면(저면)(353b)에 배치된 걸림 결합 유지부(63)를 구비한다.
이동체(6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상의 부품이고, 전단부(62a)가 원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62)는 소경부(17)의 전방 단부면(17e)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관통하는 이동체 수용 구멍(17g)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 수용 구멍(17g) 내에는 코일 스프링(64)이 수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64)은 압축된 상태로 내장되고, 이동체(62)가 상시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유지부(63)는 전방 벽부(353)의 후방면(353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부재의 금속 부품이고, 이동체(62)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걸림 결합 유지부(63)는 상하 방향 중앙부에 볼록상부(63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역전 방지 장치(40)가 역전 허가 상태로부터 역전 방지 상태[또는 역전 방지 장치(40)가 역전 방지 상태로부터 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되려고 하면, 볼록상부(63c)에 이동체(62)의 전단부(62a)가 걸림 지지되고, 전환 이동체(51)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상으로부터, 볼록상부(63c)가 이동체(62)를 후방으로 압박하여 볼록상부(63c)가 이동체(62)의 전단(62a)을 극복할 정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역전 방지 장치(40)의 역전 허가 상태 또는 역전 방지 상태가 유지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는 환상의 영구 자석(71)과, 영구 자석(71)의 전방측(외측)에 배치된 환상의 외측 자성판(72)과, 영구 자석(71)의 후방측(내측)에 배치된 환상의 내측 자성판(73)과, 내륜(41)과 일체로 형성된 자성부(41a)를 구비한다. 또한, 외측 자성판(72) 및 내측 자성판(73)과, 자성부(41a) 사이에는 자성 유체(도시하지 않음)가 충전되어 있다.
영구 자석(71)은 전방면측이 N극, 후방면측이 S극으로 되어 있고, 영구 자석(71)의 전방면으로부터 후방면을 향하고, 내주측의 자기 회로(도 14의 화살표 A를 참조)와, 외주측의 자기 회로(도 14의 화살표 B를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성 유체는 내주측의 자기 회로(도 14의 화살표 A) 상에 배치되어 유출되기 어렵고, 장기간 시일 기능을 발휘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자성판(73)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플랜지(78)와, 외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3개의 걸림 지지부(79)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78)는 보디 전방부(12)의 고정부(17f)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체결되고, 내측 자성판(73)이 보디 전방부(12)의 전방측에 고정된다.
3개의 걸림 지지부(79)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규제체(80)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걸림 지지부(79)는 소경부(17)의 제1 절결부(17a), 제3 절결부(17c), 제4 절결부(17d) 내에 배치되어, 소경부(17)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체(80)는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환상이고 또한 박판상의 부품이다. 규제체(80)는 내측 자성판(73)과 역전 방지 장치(일방향 클러치)(40) 사이에 배치되어, 역전 방지 장치(40)가 전후 방향[중심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 규제체(80)에 의하면, 역전 방지 장치(40)의 롤러(43)와 내륜(41)의 미끄럼 접촉 상태가 안정화된다. 이 결과, 구동축 통(7)의 회전이 안정화됨과 함께, 롤러(43)의 쐐기 작용도 안정적으로 발휘된다.
후방 시일 부재(91) 및 전방 시일 부재(92)는 환상을 나타내고, 탄성재에 의해 형성된 탄성 시일 부재이다. 후방 시일 부재(91) 및 전방 시일 부재(92)의 각각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립부(91a, 92a)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시일 부재(91)는 대경부(16)의 주위 홈(16b)에 감입되어 있고, 소경부(17)에 형성된 제1 절결부(17a) 내지 제4 절결부(17d)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 시일 부재(91)의 립부(91a)는 조작 커버(50)의 원통부(52)의 내주면(52b)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한 상태로 맞닿아 있다. 또한, 립부(91a)는 원통부(52)의 관통 구멍(52a)보다도 전방측에 맞닿아 있다.
이상으로부터, 원통부(52)의 후방부 개구나 관통 구멍(52a)을 통해 원통부(52) 내에 침입한 해수 등이 제1 절결부(17a) 내지 제4 절결부(17d)를 통해, 소경부(17) 내의 역전 방지 장치(40)에 부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전방 시일 부재(92)는 자성 유체 시일 기구(70)의 영구 자석(71)의 외주면에 감입되어 있다. 전방 시일 부재(92)의 립부(92a)는 조작 커버(50)의 전방 벽부(353)의 중앙 구멍(353a)의 내주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한 상태로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해수 등이 중앙 구멍(353a)을 통해 조작 커버(50) 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소경부(17)에 형성된 지지부(31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319)는 조작 커버(50)의 후방측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측 지지부(320)와, 조작 커버(50)의 전방측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측 지지부(330)를 구비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 지지부(320)는 소경부(17)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5개의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를 구비한다. 또한,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는 소경부(17)의 외주면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에 위치하고,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호상(주위 방향으로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후방측 맞닿음부(322)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에 위치하고,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호상(주위 방향으로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후방측 맞닿음부(323)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상측에 위치하고, 주위 방향으로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후방측 맞닿음부(324)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위치하고, 주위 방향으로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하측에 위치하고, 주위 방향으로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의 외경은 조작 커버(50)의 원통부(52)의 내경 r1[도 17의 (a) 참조]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의 각각의 외주면(321a 내지 325a)은 조작 커버(50)의 원통부(52)의 내주면(52b)에 맞닿고, 조작 커버(50)가 주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와 제4 후방측 맞닿음부(324)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는 전후 방향[중심축(O1) 방향]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고, 조작 커버(50)의 내주면(52b)의 전방측에는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후방측 맞닿음부(322)(도 14 참조)와 제3 후방측 맞닿음부(323)(도 14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음)는 전후 방향[중심축(O1) 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있지만, 제2 후방측 맞닿음부(322)와 제3 후방측 맞닿음부(323)의 외경이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축소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후방측 맞닿음부(322)의 외주면(322a)과 제3 후방측 맞닿음부(323)의 외주면(323a)은 후방측만이 조작 커버(50)의 내주면(52b)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의 각각은 주위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후방측 맞닿음부[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와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지 않다. 즉, 후방측 지지부(320)는 조작 커버(50)의 내주면(52b) 전체 주위에 맞닿아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원통부(52)의 내주면(52b)과의 맞닿음 면적(미끄럼 이동 면적)이 저감되어, 조작 커버(50)의 회동이 원활해진다. 또한, 후방측 지지부(320)는 주위 방향으로 분단한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위 방향으로 연속된 환상의 맞닿음부를 형성한 경우보다도 경량화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 후방측 맞닿음부(324)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 사이의 스페이스에, 역전 방지 장치(40)의 돌출부(45)와 조작 커버(50)의 걸림 결합부(54)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를 주위 방향으로 이격시킴으로써, 돌출부(45) 및 걸림 결합부(54)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낚시용 스피닝 릴(1)의 소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지지부(330)는 소경부(17)의 외주면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3개의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를 구비한다.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는 소경부(17)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는 후방측 지지부(320)보다도 외경이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디 전방부(12)에 조작 커버(50)를 조립할 때에,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가 조작 커버(50)의 내주면(52b)에 걸릴 우려가 없어, 조립하기 쉽다.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전방측 맞닿음부(332)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는 중심축(O1)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의 외경은 조작 커버(50)의 가이드 벽(53c)의 내경 r2[도 17의 (a) 참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의 각각의 외주면(331a 내지 333a)은 조작 커버(50)의 가이드 벽(53c)의 내주면(353d)에 맞닿고, 조작 커버(50)가 주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의 각각은 주위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맞닿음부[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와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전방측 지지부(330)는 조작 커버(50)의 내주측의 전체 주위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조작 커버(50)와의 맞닿음 면적(미끄럼 이동 면적)이 저감되어, 조작 커버(50)의 회동이 원활해진다.
또한,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의 각각이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점에서, 이것에 맞닿는 3개의 가이드 벽(53c)도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커버(50)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된 환상의 가이드 벽을 형성한 경우보다도 경량화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지지부(330)[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와, 후방측 지지부(320)[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지지부(319)는 전방측 지지부(330)와 후방측 지지부(320) 사이에서, 조작 커버(50)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조작 커버(50)와의 맞닿음 면적(미끄럼 이동 면적)이 더 저감되어, 조작 커버(50)의 회동이 원활하게 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지지부(330)[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와, 후방측 지지부(320)[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와,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의 각각이 밸런스 좋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커버(50)가 기울기 어렵고, 조작 커버(50)의 자세가 안정되고 회동도 원활해진다.
이상, 제2 발명의 낚시용 스피닝 릴(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319)는 후방측 지지부(320)와 전방측 지지부(330)를 구비하고 있지만, 다른 지지부를 구비하거나, 혹은 후방측 지지부(320)의 외주면을 축방향으로 길게 하여 전방측 지지부(330)를 구비하지 않도록 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지지부(319) 중 후방측 지지부(320)를 소경부(17)가 아니라 대경부(16)로 형성해도 된다.
또는, 제1 전방측 맞닿음부(331)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333)와, 제1 후방측 맞닿음부(321)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325)가 주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해도 된다.
1 : 낚시용 스피닝 릴
2 : 릴 본체
2b : 우측부(측부)
2c : 외형
12 : 보디 전방부
12b : 커버
40 : 역전 방지 장치(롤러식 일방향 클러치)
41 : 내륜
42 : 외륜
43 : 롤러
44 : 리테이너(전환 제어 부재)
45 : 돌출부
50 : 조작 커버
51 : 전환 이동체
55 : 전환 조작부
55a : 조작 본체부
55b : 역전 방지 조작면
55c : 역전 허가 조작면
60 : 전환 유지부
61 : 대향부
62 : 이동체
63 : 걸림 결합 유지부
70 : 자성 유체 시일 기구
71 : 영구 자석
72 : 외측 자성판
73 : 내측 자성판
74 : 자성 유체
75 : 내주부
76 : 중간부
77 : 외주부
78 : 플랜지
79 : 걸림 지지부
80 : 규제체
O1 : 중심축
O2 : 중심축
319 : 지지부
320 : 후방측 지지부
321 내지 325 : 제1 후방측 맞닿음부 내지 제5 후방측 맞닿음부(맞닿음부)
330 : 전방측 지지부
331 내지 333 : 제1 전방측 맞닿음부 내지 제3 전방측 맞닿음부(맞닿음부)
353d : 내주면

Claims (9)

  1.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이며,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핸들 조작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체를 역전 방지 상태 또는 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이동체와,
    상기 전환 이동체의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역전 방지 상태 또는 역전 허가 상태를 유지하는 전환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유지부는, 상기 릴 본체측에 설치된 이동체와, 상기 전환 이동체측에 설치된 걸림 결합 유지부를 갖고,
    상기 이동체와 상기 걸림 결합 유지부는 상기 구동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걸림 결합 유지부를 향해 상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릴 본체의 보디 전방부에 배치되어 전방측을 향해 가압되고,
    상기 걸림 결합 유지부는, 상기 전환 이동체의 저면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체에 걸림 결합 가능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이동체는 합성 수지제이고, 상기 릴 본체의 보디 전방부를 둘러싸고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바닥이 있는 통상 부품이고,
    상기 걸림 결합 유지부는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이동체에 의해 상기 구동체의 회전 상태를 전환 가능한 롤러식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이동체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전환 조작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역전 방지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상기 전환 이동체는, 릴 본체의 보디 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커버이고,
    상기 보디 전방부에는, 상기 조작 커버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작 커버에 맞닿는 복수의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각 맞닿음부는 주위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맞닿음부와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맞닿음부는,
    상기 조작 커버의 전방측에 맞닿는 복수의 전방측 맞닿음부와,
    상기 조작 커버의 후방측에 맞닿는 복수의 후방측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방측 맞닿음부와 복수의 후방측 맞닿음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방측 맞닿음부와 복수의 후방측 맞닿음부는 주위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방측 맞닿음부는 복수의 후방측 맞닿음부보다도 외경이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0180149804A 2017-11-29 2018-11-28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및 당해 역전 방지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627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9678A JP6846332B2 (ja) 2017-11-29 2017-11-29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JP-P-2017-229678 2017-11-29
JP2018006122A JP6913638B2 (ja) 2018-01-18 2018-01-18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JP-P-2018-006122 2018-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432A true KR20190063432A (ko) 2019-06-07
KR102627126B1 KR102627126B1 (ko) 2024-01-22

Family

ID=6455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804A KR102627126B1 (ko) 2017-11-29 2018-11-28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및 당해 역전 방지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06802B2 (ko)
EP (1) EP3491920B1 (ko)
KR (1) KR102627126B1 (ko)
CN (1) CN1099978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0994B2 (ja) * 2020-08-27 2023-12-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情報管理システ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1566U (ja) * 1982-02-15 1983-08-18 シルバ−・スタ−・カンパニ−・リミテツド 魚釣用リ−ルの逆止め機構
JPH09205947A (ja) 1996-02-08 1997-08-12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H09322679A (ja) * 1996-06-04 1997-12-1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US20050017112A1 (en) * 2003-07-07 2005-01-27 Steven Grice Anti-reverse bail control
JP2017055697A (ja) * 2015-09-16 2017-03-2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8000067A (ja) * 2016-06-30 2018-01-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8046A (en) 1978-11-06 1981-09-08 Ryobi, Ltd. Spinning reel with anti-reversal mechanism
JP2994151B2 (ja) * 1992-06-11 1999-12-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逆転防止装置
US5779171A (en) * 1994-10-31 1998-07-14 Seitz Corporation Overriding clutch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switch
JP2996339B2 (ja) * 1996-06-20 1999-12-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3854732B2 (ja) * 1998-09-17 2006-12-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TW440425B (en) * 1999-07-14 2001-06-16 Shimano Kk Rotor drive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JP3585782B2 (ja) * 1999-09-01 2004-11-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4809265B2 (ja) * 2007-02-23 2011-11-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9545088B2 (en) * 2013-11-29 2017-01-17 Globeride, Inc. Fishing reel
CN107549128B (zh) 2016-06-30 2020-11-06 古洛布莱株式会社 钓鱼用卷线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1566U (ja) * 1982-02-15 1983-08-18 シルバ−・スタ−・カンパニ−・リミテツド 魚釣用リ−ルの逆止め機構
JPH09205947A (ja) 1996-02-08 1997-08-12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H09322679A (ja) * 1996-06-04 1997-12-1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US20050017112A1 (en) * 2003-07-07 2005-01-27 Steven Grice Anti-reverse bail control
JP2017055697A (ja) * 2015-09-16 2017-03-2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8000067A (ja) * 2016-06-30 2018-01-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1920B1 (en) 2021-05-19
EP3491920A1 (en) 2019-06-05
CN109997815B (zh) 2021-08-17
KR102627126B1 (ko) 2024-01-22
CN109997815A (zh) 2019-07-12
US10506802B2 (en) 2019-12-17
US20190090465A1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0552B2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6560551B2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US10130084B2 (en) Fishing reel
KR20190063432A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 방지 장치 및 당해 역전 방지 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
JP684633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2095759B1 (ko) 낚시용 릴
JP684633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685423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615057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9176785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9930875B2 (en) Anti-reverse device for fishing spinning reel
JP6913638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560553B2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6335740B2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KR20240031011A (ko) 일방향 클러치 및 낚시용 릴
AU2023203916A1 (en) Fishing reel and one-way clutch
JP2020191828A (ja) 釣り用リール
CN116889217A (zh) 钓鱼用旋压式卷线器
JP2021158930A (ja) 魚釣用リール
JP201701806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0108598A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2012157266A (ja) 魚釣用リール
JP2004222579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