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011A - 일방향 클러치 및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일방향 클러치 및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011A
KR20240031011A KR1020230084095A KR20230084095A KR20240031011A KR 20240031011 A KR20240031011 A KR 20240031011A KR 1020230084095 A KR1020230084095 A KR 1020230084095A KR 20230084095 A KR20230084095 A KR 20230084095A KR 20240031011 A KR20240031011 A KR 2024003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way clutch
outer ring
retainer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츠시마
히로노리 호리에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Brakes connected to the spool by one-way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F16D41/06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and the members being distributed by a separate cage encircling the axis of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릴 본체의 소형, 경량화가 도모되고, 구성 부재의 취급이 용이한 일방향 클러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20)는, 내륜과, 외륜(27)과, 복수의 구름 부재(25)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3a)를 구비한 보유 지지기(23)를 구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기(23)는 보유 지지부(23a)가 마련된 제1 보유 지지기(23A)와, 외륜을 축 방향에서 끼움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에 설치되는 제2 보유 지지기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보유 지지기(23A)와 제2 보유 지지기(23B)는, 외륜(27)의 내주 윤곽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 결합 고정부(30)에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방향 클러치 및 낚시용 릴{ONE-WAY CLUTCH AND FISHING REEL}
본 발명은 구동축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일방향 클러치 및 그러한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인 스피닝 릴에는, 핸들의 회전 조작으로 로터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을 허용함과 함께, 핸들을 역회전시키려고 했을 때, 로터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전 방지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통상, 역전 방지 기구는, 피니언 기어에 회전 방지 끼워 맞춤되는 내륜과, 내륜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구름 부재를 보유 지지한 보유 지지기와, 보유 지지기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릴 본체에 대해 회전 방지 고정된 외륜을 구비한 일방향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성 부재를 일체화한 어셈블리 구조로 해 두고, 릴 본체에 대한 조립 장착을 나사 고정식으로 하는(외륜의 외측에 나사 시트를 마련하여 릴 본체에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보유 지지기에 대해서는, 구름 부재, 가압 스프링, 외륜 등의 구성 부재가 축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복수의 구조체(제1 보유 지지기, 제2 보유 지지기)로 하여, 이들을 일체화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72272호
종래의 낚시용 릴에 내장되는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기를 복수의 구조체로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양자를 일체화하는 구성에 대해서, 충분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보유 지지기와 제2 보유 지지기의 결합을 외륜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일방향 클러치가 직경 방향으로 커져 버려, 릴 본체를 소형화 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그때, 경압입으로 하는 등,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어, 이에 의해, 제조 시, 혹은 릴 본체에의 내장 작업 시, 메인터넌스 시에, 구성 부품의 탈락 등의 비산을 염려한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그러한 일방향 클러치를, 릴 본체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에서 나사 고정 고정한다는 점에서, 릴 본체의 소형, 경량화가 도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릴 본체의 소형, 경량화가 도모되고, 구성 부재의 취급이 용이한 일방향 클러치 및 그러한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일방향 클러치는, 내륜과, 외륜과, 복수의 구름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한 보유 지지기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 지지기는, 상기 보유 지지부가 마련된 제1 보유 지지기와, 상기 외륜을 축 방향에서 끼움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에 설치되는 제2 보유 지지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와 제2 보유 지지기는, 상기 외륜의 내주 윤곽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 결합 고정부에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일방향 클러치에 의하면, 구성 부재인 보유 지지기가, 복수의 구름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한 제1 보유 지지기와, 외륜을 축 방향에서 끼움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에 설치되는 제2 보유 지지기를 구비하고, 제1 보유 지지기와 제2 보유 지지기는, 외륜의 내주 윤곽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 결합 고정부에서 일체화된다. 즉, 제1 보유 지지기와 제2 보유 지지기를 일체화하기 위한 결합 고정부가, 외륜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일방향 클러치를 소형,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의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며, 소형, 경량화된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함으로써, 릴 본체에 대해서도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 본체의 소형, 경량화가 도모되고, 구성 부재의 취급이 용이한 일방향 클러치가 얻어지며, 또한 그러한 일방향 클러치를 릴 본체에 내장함으로써 소형, 경량화한 낚시용 릴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시 릴(스피닝 릴)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낚시용 릴에 내장되는 일방향 클러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일방향 클러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일방향 클러치의 평면도.
도 8은 (a)는 일방향 클러치의 보유 지지기(제1 보유 지지기)의 보유 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b)는 (a)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인 스피닝 릴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은 분해 사시도, 도 2는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 일방향 클러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스풀측이 되는 방향을 전방(상측), 릴 본체측이 되는 방향을 후방(하측)으로 정의하고, 축 방향 X는, 스풀 축의 축심 방향, 중심 O는, 스풀 축의 축심 위치로 정의한다(도 2 참조).
먼저,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의 전체 구성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스피닝 릴(이하, 릴이라고 칭함)(1)의 릴 본체(2)에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다리(2A)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릴 본체(2)의 전방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와, 로터(3)의 회전 운동과 동기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공지의 스풀(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로터(3)는 스풀의 주위를 회전하는 한 쌍의 암부(3a)를 구비하고 있고, 각 암부(3a)의 각각의 전단부에는, 베일(5)의 기단부를 설치한 베일 지지 부재(3b)가 낚싯줄 권취 위치와 낚싯줄 방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베일(5)의 한쪽의 기단부는, 베일 지지 부재(3b)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낚싯줄 안내부(라인 롤러)(6)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릴 본체(2) 내에는, 핸들축이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돌출 단부에는, 핸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축에는, 핸들을 회전 조작했을 때, 그 구동력을 상기 로터(3)에 전달하여 로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10)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력 전달 기구(10)는 공지와 같이, 상기 핸들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기어와, 이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부를 구비한 피니언(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피니언(11)은 핸들축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내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부(11a)가 형성된 회전 구동축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 공동부(11a)에는, 핸들을 회전 조작하였을 때에 스풀을 전후 이동시키는 공지의 오실레이트 기구와 결합하는 스풀 축이 삽입 관통되어, 그 선단에게 상기 스풀이 장착된다.
상기 피니언(11)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11)은 스풀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고, 피니언(11)의 선단부에는, 상기 로터(3)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터(3)는 중심 부분에 형성된 보스부(3A)의 관통 구멍이 피니언(11)의 선단에 외부 끼움되고,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피니언(11) 상에는, 역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일방향 클러치(2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핸들을 권취 조작하면, 구동력 전달 기구(10)를 통해 로터(3)가 회전 구동됨과 함께, 오실레이트 기구 및 스풀 축을 통해 스풀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따라서, 낚싯줄은, 회전 구동되는 로터(3)의 낚싯줄 안내부(6)를 통해 스풀에 균등하게 권회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일방향 클러치(20)에 대해서, 도 1 및 도 2에 더하여,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에 내장되는 어셈블리 구조로 된 일방향 클러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사시도, 도 4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일방향 클러치의 평면도, 그리고 도 8의 (a)는 일방향 클러치의 보유 지지기(제1 보유 지지기)의 보유 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의 (b)는 (a)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스풀측에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기부(2B)가 배치되어 있고, 기부(2B)의 표면 부분에는, 일방향 클러치(20)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규제부는, 릴 본체(2)에 마련된 원주 벽(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부)(2C)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11)은 원주 벽(2C)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중간부에 일방향 클러치(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원주 벽(2C)에는, 후술하는 일방향 클러치(20)의 돌출부(규제부)가 배치되도록, 180° 간격으로 절결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11)은,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구동 기어를 통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상기 일방향 클러치(20)는 피니언(11)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어, 피니언(11)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을 허용함과 함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내륜(21)과, 외륜(27)과, 복수의 구름 부재(25)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24)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3a)를 구비한 보유 지지기(23)를 갖고 있다. 보유 지지기(23)는 상기 보유 지지부(23a)를 구비한 제1 보유 지지기(23A)와, 상기 외륜(27)을 축 방향에서 끼움 지지하도록 제1 보유 지지기(23A)에 설치되는 제2 보유 지지기(23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구성 부재는, 어셈블리화되어 있어(복수의 구성 부재를 일체화한 어셈블리 구조; ASSY라고도 칭해짐),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유 지지기(23)를 복수의 부재(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제2 보유 지지기(23B))로 구성함으로써, 외륜 등의 구성 부재가 축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억제되어, 어셈블리화를 도모하기 쉬워진다.
상기 내륜(21)은 피니언(11)에 대해 회전 방지되어 있고, 피니언(11)과 함께 일체 회전하는 구동축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피니언(11)의 단면은, 부분적으로 비원형부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부분에 내륜(21)의 비원형부를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내륜(21)은 피니언(11)과 함께 일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보유 지지기(23)는 내륜(21)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일체화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유 지지기(23A)가 하측에, 제2 보유 지지기(23B)가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제2 보유 지지기(23B)는, 외륜(27)을 끼움 지지하도록 하여 일체적으로 조립 장착되어 어셈블리화되어 있다. 또한, 제1 보유 지지기(23A)를 상측, 제2 보유 지지기(23B)를 하측으로서 정의해도 된다.
상기한 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제2 보유 지지기(23B)는, 후술하는 결합 고정부(30)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이 결합 고정부(30)에 대해서는, 쐐기 영역(27a) 및 프리 영역(27b)이 형성되어 있는 외륜(27)의 내주 윤곽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 내측 위치에서 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제2 보유 지지기(23B)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보유 지지기(23A)에는, 주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보유 지지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보유 지지부(23a)에는, 원주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오목부(23b)가 형성되어 있고, 각 오목부(23b) 내에는, 가압 스프링(24)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보유 지지부 사이에는, 구름 부재(25)가 배치되어 있고, 각 구름 부재(25)는 가압 스프링(24)에 의해 주위 방향(도 5에서는, 반시계 방향; 역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외륜(27)은 각 구름 부재(25)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링 형상(대략 링 형상이어도 됨)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외륜(27)의 내주면에는, 각각의 구름 부재(25)의 회전을 저지하는 쐐기 영역(27a)과, 구름 부재(25)를 자유롭게 회전시키는 프리 영역(27b)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유 지지기(23)(제1 보유 지지기(23A))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각 구름 부재(25)는 가압 스프링(24)에 의해 상시, 쐐기 영역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외륜(27)의 외주면(27d)은 원 형상(대략 원 형상이 포함됨)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된 외륜(27)의 일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27c)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는, 외륜(27)의 회전을 규제하는 돌출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이하, 돌출부(27c)라고도 칭함). 돌출부(27c)는 외륜(27)의 외주면(27d)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 형성되어 있고, 1개소 이상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외륜에는, 큰 토크가 걸려, 1개소에서는 응력이 집중되어 치우침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등간격으로 2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80° 간격으로 축심(중심 O)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2개소 마련되어 있다. 각 돌출부(27c)는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있고, 주위 방향의 양 사이드(27e, 27f)가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1 보유 지지기(23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륜(27)과 마찬가지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륜(27)의 돌출부(27c)와 동일한 위치(축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대략 동일 형상의 돌출부(23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3c)도 외륜과 마찬가지로, 180° 간격으로 축심(중심 O)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2개소 마련되어 있고, 돌출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이하, 돌출부(23c)라고도 칭함). 상기 돌출부(23c)는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있고, 주위 방향의 양 사이드(23e, 23f)가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다.
상기 릴 본체(2)에 돌출 형성된 원주 벽(2C)에는, 그 원주 벽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결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c)는 상기한 제1 보유 지지기(23A)의 돌출부(23c), 및 외륜(27)의 돌출부(27c)를 배치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2c)에 각 돌출부(23c, 27c)를 끼워 맞추고, 그 표면으로부터 제2 보유 지지기(23B)를 배치함으로써, 일방향 클러치는 회전 방지 고정됨과 함께 외륜의 빠짐이 규제된다(주위 방향 및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절결부(2c)는 원주 벽(2C)에 1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외륜(27)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동일수가 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2개소(180° 간격으로 중심 O에 대해 대칭이 되는 2개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결부(2c)에 대해서는, 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외륜(27)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동일수로, 2개소 이상 마련해 둠으로써, 일방향 클러치가 덜걱거리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돌출부(23c, 27c)의 외주면은, 원주 벽(2C)의 절결부(2c) 부분에서 직경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어, 손가락을 대고 집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출되는 각 돌출부에 의해, 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외륜(27)을 일체적으로 집기 쉬워져, 일방향 클러치(20)의 착탈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이 경우, 절결부(2c)의 개구측(상단측)에는, 상방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점차 넓어지도록 모따기부(2d)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이러한 모따기부(2d)를 형성해 둠으로써, 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외륜(27)의 착탈 조작을 행하기 쉬워진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기(23A)의 돌출부(23c)와 절결부(2c)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 없이 접촉(여유도가 없는 상태에서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끼워 맞춤 관계에 의하면, 제1 보유 지지기(23A)에 탑재되어 있는 구름 부재(25)의 릴 본체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되어, 제동 속도가 느려지는(제동될 때까지의 시간이 걸리는) 일은 없어, 신속한 로크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양자 사이에 여유도가 존재하고 있으면, 내륜(21)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가압 스프링(24)을 보유 지지하고 있는 제1 보유 지지기(23A)도 내륜에 의해 동반 회전 작용을 받아, 가압 스프링(24)은 주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에 있어서, 가압 스프링(24)은 여유도 만큼, 제1 보유 지지기와 함께 시계 방향으로 동반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역회전측으로 부하가 걸리면, 그 여유도 만큼, 각 구름 부재(25)를 외륜(27)의 쐐기 영역(27a)으로 이동시키는 시간이 연장되어 버리기 때문에, 제동까지의 시간이 걸려 버려, 신속한 로크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이에 비해, 제1 보유 지지기(23A)의 돌출부(23c)와 절결부(2c)를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이 없는 끼워 맞춤 상태로 함으로써, 가압 스프링(24)의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여유도에 의한 작동까지의 시간이 걸리는 일은 없어, 역회전 시에 신속한 로크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보유 지지기(23A)의 외주면(23g)과 원주 벽(2C) 사이는, 간극 S가 생길 정도로 형성해 두어도 되고, 이에 의해, 제1 보유 지지기(23A)의 공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외륜(27)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7c)와 절결부(2c) 사이, 및 외륜(27)의 외주면과 원주 벽(2C)의 내주면 사이에 다소의 여유도 S1을 갖게 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륜(27)과 원주 벽(2C)에 다소의 공차가 발생하여, 중심 O에 대해 동심도가 어긋났다고 해도, 그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원활한 회전 성능을 확보하면서, 덜걱거림을 방지하고, 나아가,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외륜(27)을, 원주 벽(2C) 내에 끼워 맞춤시켜 양자 사이가 비접촉 상태(여유도 S1이 발생함)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내륜(21)을 센터링했을 때, 외륜(27)과 원주 벽(2C) 사이에서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양 부재 사이에서 도통하지 않도록 하는(전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양 부재의 사이에 전식 방지 플레이트를 개재시키는 구조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일체화하는 결합 고정부(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결합 고정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쐐기 영역(27a) 및 프리 영역(27b)이 형성되는 외륜(27)의 내주 윤곽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 고정부(30)는, 예를 들어 제1 보유 지지기(23A)에,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변위 가능한 볼록부를 형성함과 함께, 제2 보유 지지기(23B)의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가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외륜(27)을 끼워 넣도록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오목부에 볼록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제1 보유 지지기(23A) 및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는,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변위됨과 함께 선단에 걸림 갈고리(31a)를 구비한 변위부(돌출편)(31)에 의해 구성되고, 오목부는, 변위부(31)의 걸림 갈고리(31a)를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부(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빠짐 방지부(32)는 변위부(31)의 선단측의 걸림 갈고리(31a)를 통과시키는 끼워 맞춤 구멍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양자를 조립 장착하기 쉽게(변위부(31)와 빠짐 방지부(32)를 위치 정렬하기 쉽게) 하고 있다. 즉, 제2 보유 지지기(23B)의 끼워 맞춤 구멍을 변위부(31)에 위치 정렬하여,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보유 지지기(23A)에 겹치면, 걸림 갈고리 부분이 탄성적으로 변위(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걸림 갈고리(31a)가 빠짐 방지부(32)를 통과하면, 걸림 갈고리 부분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걸림 갈고리(31a)의 이측 평탄부(31b)와, 빠짐 방지부(32)의 주위의 평탄부(32a)가 결합하여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보유 지지기(23A), 외륜(27),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조립 장착할 때,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제1 보유 지지기(23A)에 위치 정렬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뿐인 간단한 조작으로, 일방향 클러치의 어셈블리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변위부(31)는, 상기 제1 보유 지지기(23A)의 보유 지지부(23a)에 일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유 지지기(23A)의 돌출부(23c)와 절결부(2c)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이 없는 끼워 맞춤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시, 안정된 위치에 가압 스프링(24)이 위치하게 되어, 역회전 시에 신속한 로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결합 고정부(30)는 변위부(31)가 탄성 변형되어, 걸림 갈고리(31a)의 이측 평탄부(31b)와, 빠짐 방지부(32)의 주위의 평탄부(32a)가 평탄부끼리에서 고정되므로, 제1 보유 지지기(23A)와 제2 보유 지지기(23B)의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결합 고정부(30)는, 제1 보유 지지기(23A)와 제2 보유 지지기(23B)에 복수 개소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의 직경에 대해 대략 대칭이 되는 위치에 4개소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1 보유 지지기(23A)와 제2 보유 지지기(23B)가 주위 방향으로 변위되는 일 없이, 안정된 고정 상태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결합 고정부(30)는 제1 보유 지지기(23A)와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였지만, 양 부재를 용착 또는 코킹 또는 나사 고정에 의해 일체 고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양 부재를 고정함으로써, 고정 상태가 강고해져, 충격에 충분히 견디는 발거 하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는, 외륜(27)과 제2 보유 지지기(23B) 사이에, 외륜(27)과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 결정부를 마련해 둠으로써, 제1 보유 지지기(23A)와 제2 보유 지지기(23B)를 결합 고정부(30)로 일체화했을 때, 양자의 위치 관계가 유지되게 되어, 상기한 구성 부재를 어셈블리화한 일방향 클러치를 릴 본체에 내장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제1 보유 지지기(23A)의 돌출부(23c)와 외륜(27)의 돌출부(27c)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취급이 용이해져, 원주 벽(2C)의 절결부(2c)에 조립 장착하기 쉬워진다.
상기 위치 결정부는, 외륜(27)과 보유 지지기(23) 사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위치 결정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륜(27)의 돌출부(27c)의 외주면(27c1)에 형성된 오목부(27c2)와, 제2 보유 지지기(23B)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7c2)에 끼워 맞추어지는 돌기부(23c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보유 지지기(23B)에는, 상기한돌출부(23c, 27c)와 겹치는 위치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편(23m)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편(23m)의 외주면(23n)에 상기 돌기부(23c2)가 수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위치 결정부를 배치함으로써, 원판상으로 형성된 제1 보유 지지기(23A), 외륜(27), 제2 보유 지지기(23B)를 겹치고, 각각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보유 지지기(23A)의 돌출부(23c) 및 외륜(27)의 돌출부(27c)에 대해, 제2 보유 지지기(23B)의 돌출편(23m)을 위치 정렬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축 방향을 따라서 외륜(27)에 씌우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기부(23c2)가 상기 오목부(27c2)에 끼워 맞춤되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짐과 함께, 결합 고정부(30)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져, 어셈블리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일방향 클러치에서는, 원주 벽(2C)의 직경(원주 벽의 외주면의 직경)과, 상기 외륜(27)의 최외경(돌출부(27c)의 노출측의 외주면(27c1)의 직경)이 동일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일방향 클러치가 배치되는 부분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구성의 일방향 클러치(20)를 내장한 낚시용 릴에 의하면, 핸들(로터(3))의 낚싯줄 조출 방향의 회전(역회전)이 방지된다. 즉, 핸들을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피니언이 회전 구동되면(도 5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피니언과 함께 내륜(21)도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보유 지지기(23)(제1 보유 지지기(23A))에 보유 지지되는 구름 부재(25)는 외륜(27)의 프리 영역(27b)으로 이동하므로, 내륜(21)의 회전력이 외륜(27)에 전달되지 않고 피니언(11)과 함께 로터(3)는 지장없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피니언과 함께 내륜(21)이 역회전(로터(3)가 낚싯줄 조출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보유 지지기(23)(제1 보유 지지기(23A))에 보유 지지되는 구름 부재(25)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름 이동함과 함께 가압 스프링(24)에 의해 외륜(27)의 쐐기 영역(27a)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륜(21)의 회전력이 외륜(27)에 전달된다. 이 경우, 외륜(27)은 돌출부(27c)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이것이 스토퍼가 되어, 피니언 및 로터(3)의 역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의 일방향 클러치(20)는 외륜(27)의 내주 윤곽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서 구성 부품의 보유 지지(제1 보유 지지기(23A)와 제2 보유 지지기(23B)의 고정)가 이루어지므로, 일방향 클러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그것을 내장한 낚시용 릴에 대해서도, 릴 본체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져, 실제 낚시 시의 사용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 경우, 제1 보유 지지기와 제2 보유 지지기는, 상기한 구조의 결합 고정부(30)에 의해, 상대적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어셈블리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보유 지지기(23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이 없는 상태에서 회전 방지 고정된 상태에 있고, 제1 보유 지지기(23A)와 제2 보유 지지기(23B)는, 가압 스프링(24)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3a) 부분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역회전 시에, 제동까지의 시간이 걸리는 일은 없어, 신속한 로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유 지지기(23A), 외륜(27)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를 릴 본체에 마련한 규제부에 끼워 맞춤시켜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릴 본체에 나사 고정 등을 하는 것이 불필요해져, 릴 전체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규제부에 대해서는, 릴 본체에 마련된 원주 벽(2C)의 절결부(2c)로 구성하고, 여기에 제1 보유 지지기(23A), 외륜(27)의 각 돌출부(23c, 27c)를 배치함(바람직하게는 2개소 이상 배치함)으로써, 역전 방향으로 가해지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받아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일방향 클러치(20)를 릴 본체에 내장한 후,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20)에 대한 방수, 방진 효과를 높이도록, 자기 시일 기구(50)를 배치해도 된다.
이 자기 시일 기구(50)는 공지와 같이, 구동축(내륜(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링 형상의 자성판(극판)(51, 52)과, 자성판 사이에 끼움 지지되는 링상의 자석(53)을 구비하고, 구동축과 자성판 사이의 간극에 자성 유체를 충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원주 벽(2C)과 상기 일방향 클러치(20)를 감싸도록, 릴 본체에 방수 캡(60)을 마련하고 있다. 이 방수 캡(60)은 일방향 클러치(20)를 포위하는 원통부(61)와, 스풀측의 개구를 폐색하는 커버부(62)를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커버부(62)의 내면에, 상기 자기 시일 기구(50)의 자성판(51)이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20)의 스풀측에 자기 시일 기구(50)를 배치함과 함께, 원주 벽(2C)과 일방향 클러치(20)를 감싸도록 방수 캡(60)을 마련함으로써, 수분이나 티끌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결합 고정부(30)에 대해서는, 제2 보유 지지기(23B)측에 변위부(31)을 형성하고, 제1 보유 지지기(23A)측에 빠짐 방지부(32)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일체화하기 위한 결합 고정의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보유 지지기(23A)와 제2 보유 지지기(23B)를 상대 회전시켜, 양자를 로크하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결합 고정부(30)는 모든 구성 요소가 외륜의 내주 윤곽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일부의 구성 요소가, 외륜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합 고정부(3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방향 클러치를 회전 방지하는 규제부 및 돌출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의 일방향 클러치는, 보유 지지기(23)를 고정 상태로 하여 로터의 역회전을 방지하였지만, 릴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 부재를 마련하고, 조작 부재의 조작으로 보유 지지기를 회동시킴으로써 구름 부재를 프리 영역에 위치시켜, 로터의 역회전을 허용하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일방향 클러치(20)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별도로 일방향 클러치(20)에 인접하여 규제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스피닝 릴을 예시하였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어셈블리화한 일방향 클러치(20)에 대해서는, 그것을 내장하는 것이 가능한 다른 릴(양 베어링형 릴 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스피닝 릴(낚시용 릴)
2: 릴 본체
2C: 원주 벽(규제부)
2c: 절결부
3: 로터
20: 일방향 클러치
23: 보유 지지기
23A: 제1 보유 지지기
23B: 제2 보유 지지기
23c: 돌출부
27: 외륜
27c: 돌출부
30: 결합 고정부

Claims (8)

  1. 내륜과, 외륜과, 복수의 구름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한 보유 지지기를 구비한 일방향 클러치이며, 상기 보유 지지기는, 상기 보유 지지부가 마련된 제1 보유 지지기와, 상기 외륜을 축 방향에서 끼움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에 설치되는 제2 보유 지지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와 제2 보유 지지기는, 상기 외륜의 내주 윤곽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 결합 고정부에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와 제2 보유 지지기를 상대적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탄성적으로 변위됨과 함께 걸림 갈고리를 구비한 변위부와, 상기 변위부의 걸림 갈고리를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의 보유 지지부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빠짐 방지부는, 상기 제2 보유 지지기에 형성되고, 상기 변위부의 걸림 갈고리가 걸리는 끼워 맞춤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와 제2 보유 지지기에 복수 개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와 제2 보유 지지기를, 용착 또는 코킹 또는 나사 고정에 의해 일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6. 릴 본체 내에 지지된 회전 구동축의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일방향 클러치가 내장된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내륜과, 외륜과, 복수의 구름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한 보유 지지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유 지지기는, 상기 보유 지지부가 마련된 제1 보유 지지기와, 상기 외륜을 축 방향에서 끼움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에 설치되는 제2 보유 지지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보유 지지기와 제2 보유 지지기는, 상기 외륜의 내주 윤곽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 결합 고정부에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고정하는 규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보유 지지기 및 상기 외륜에는,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릴 본체에 마련된 규제부와 상기 각 돌출부에 의해 회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릴 본체에 마련된 원주 벽에 주위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는 절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230084095A 2022-08-29 2023-06-29 일방향 클러치 및 낚시용 릴 KR20240031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35549A JP2024032093A (ja) 2022-08-29 2022-08-29 一方向クラッチ、及び、魚釣用リール
JPJP-P-2022-135549 2022-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011A true KR20240031011A (ko) 2024-03-07

Family

ID=8713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095A KR20240031011A (ko) 2022-08-29 2023-06-29 일방향 클러치 및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65244A1 (ko)
EP (1) EP4336061A1 (ko)
JP (1) JP2024032093A (ko)
KR (1) KR20240031011A (ko)
CN (1) CN117628082A (ko)
AU (1) AU2023204084A1 (ko)
TW (1) TW2024083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272A (ja) 2009-01-30 2010-08-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3269B2 (ja) * 2007-09-05 2013-02-27 株式会社シマノ ローラクラッチ
JP2011202756A (ja) * 2010-03-26 2011-10-13 Ntn Corp 一方向クラッチおよびそのリユース方法
JP2023149351A (ja) * 2022-03-31 2023-10-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272A (ja) 2009-01-30 2010-08-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5244A1 (en) 2024-02-29
TW202408355A (zh) 2024-03-01
CN117628082A (zh) 2024-03-01
AU2023204084A1 (en) 2024-03-14
EP4336061A1 (en) 2024-03-13
JP2024032093A (ja)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41484A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20150109274A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20240031011A (ko) 일방향 클러치 및 낚시용 릴
JP6653359B2 (ja) 一方向クラッチユニット、及び、一方向クラッチをユニット化する方法
JP427696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40031010A (ko) 낚시용 릴 및 일방향 클러치
JP684633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EP3491920B1 (en) Reel body for fishing spinning reel having an anti-reverse device and fishing spinning reel having the same
KR20200080125A (ko) 듀얼 베어링 릴
KR20230141549A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100290698B1 (ko)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
US11122787B2 (en) Fishing reel
US20230309528A1 (en) Fishing reel
KR20230141485A (ko) 낚시용 릴
JP2009155027A (ja) 巻取りユニット及び巻取り装置
JP2019122321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070946A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