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698B1 -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698B1
KR100290698B1 KR1019950005098A KR19950005098A KR100290698B1 KR 100290698 B1 KR100290698 B1 KR 100290698B1 KR 1019950005098 A KR1019950005098 A KR 1019950005098A KR 19950005098 A KR19950005098 A KR 19950005098A KR 100290698 B1 KR100290698 B1 KR 100290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rolling
retaining
outer fram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786A (ko
Inventor
가즈오 히라노
Original Assignee
마쯔이 요시유끼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911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9738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이 요시유끼,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이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95003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01K89/0118Anti-reverse mechanisms defining home position of reel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역전 방지 장치는 핸들(12)의 회전과 연동해서 회전 가능한 릴의 회전 부재(20)과 동심으로 배열되고 릴 본체(10)과 일체로 형성된 유지 부재(26)과, 유지 부재의 내주측 및 외주측과 연통할 정도로 완전 개방되도록 유지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다수의 다수의 유지 구멍에 각각 유지되고 회전 부재(20)의 외주측에 접촉함으로써 회전 부재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한 웨지 작용을 수행하는 다수의 롤링 부재와, 롤링 부재(30)의 외측 운동을 규제하도륵 유지 부재(26)의 외주측 상에 배치된 외부 프레임(32)를 포함한다. 롤링 부재를 유지시키는 유지 구조체는 고강도와 치수 정밀도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역전 방지 장치는 원활하고 확실한 웨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전 방지 장치를 합체한 스피닝 릴의 부분 절결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릴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선 3-3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와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5도는 실시예 1의 변형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주요부의 다른 상태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역전 방지 장치의 확대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양축 베어링형 릴에 합체된 역전 방지 장치의 부분 절결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장치의 변형예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역전 방지 장치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화살선 13-13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상태와는 다른 실시예 4의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하는 제12도에 도시한 실시예 4의 부분 확대도.
제16도는 제13도에 도시한 상태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도.
제17도는 제15도의 일부분을 보다 확대한 도면.
제18도는 실시예 4의 변형예의 도면.
제19도는 제18도의 화살선 19-19를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20도는 실시예 4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화살선 21-21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22도는 실시예 4의 또 다른 변형예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릴 본체 12 : 핸들
20 : 회전 부재 26 : 유지 부재
30 : 롤링 부재 32 : 외부 프레임
34 : 절환 부재 58 : 프레임 부재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역회전, 즉 낚시줄 권취 방향에 반대되는 낚시줄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장치로는 롤링 부재의 웨지(wedge) 작용을 이용해서 회전 부재의 공회전의 정도를 최소화함으로써 역회전이 방지하는 장치가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소 제64-38963호 및 평 제4-8036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공보에 개시된 역전 방지 장치에는 롤링 부재와 롤링 부재를 유지시키는 외륜을 구비하고 핸들의 회전과 연동해서 회전 가능한 회전축 상에 끼워 맞추어지는 일 방향 클러치가 장착되어 있다. 핸들의 역회전 시에, 롤링 부재와 활주 끼워 맞추어진 일 방향 클러치의 외륜 또는 그 내륜의 회전이 방지되어 핸들이 공회전이 거의 없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 공보 소 제54-141285호는 롤러와 같은 베어링 부재가 가동성 있게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안내 홈을 구비한 베어링 안내부가 릴 본체의 전방부에 고정되어 있고, 베어링 부재가 정방향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규제판이 베어링 안내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 베어링 부재를 웨지 작용 위치와 비웨지 작용 위치 사이에서 절환시키는 복수의 고정편이 규제판 상에 마련되어 있는 다른 유형의 역전 방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두 공보에 각각 개시된 역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그 구성 부품들이 회전축 상에 중첩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해서 조립뿐만 아니라 분해시에 효율이 불량하며, 또 내구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역전 방지 장치를 웨지 작용 위치와 비웨지 작용 위치 사이에서 절환시키기 위해서는 외륜 또는 내륜의 외주의 고정부에 대해 결합 또는 해제되는 고정 멈춤쇠가 방사상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방사상 방향으로의 공간을 필요로 해서 릴의 크기가 증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에 언급한 공보에 개시된 역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는, 롤링 부재가 베어링 안내부에 의해 유지되고 롤링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의 위치가 규제판 상에 각각 마련된 고정편에 의해 규제되는 구조가 채용된다. 롤링 부재를 웨지 작용 위치와 비웨지 작용 위치 사이에서 절환시키는 고정편은 규제판의 복수의 부분들을 접거나 또는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편의 강도 및 강성이 충분하지 않으며 각 고정 부재의 형상에 대한 치수 정밀도가 유지될 수 없다. 따라서, 웨지 작용은 유지될 수 없다.
상술한 역전 방지 장치에서 발견된 결함을 감안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역회전이 방지되어야 할 때에 공회전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한 역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전 방지 장치가 원활하고 확실한 웨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역전 방지 장치의 구성 부품들의 강도와 치수 정밀도를 안정화시키고 유지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릴 본체에 고정되고 핸들의 회전과 연동해서 회전 가능한 릴 회전 부재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된 유지 부재와, 유지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유지 구멍에 각각 유지되는 복수의 롤링 부재와, 롤링 부재의 방사상 외측 이동을 규제하도록 유지 부재의 외주측 상에 장착된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각각의 유지 구멍은 회전 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롤링 부재가 웨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지부재의 내주측 및 외주측을 서로 연통하게 하고 롤링 부재가 회전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멍 부재를 방사상으로 통과하는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유지 부재는 릴 본체의 일체부로서 또는 릴 본체의 적소에 고정되는 별도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롤링 부재가 웨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위치와 롤링 부재가 웨지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 사이에서 절환되는 절찬 부재의 절환 조작에 의해서 외부 프레임이 유지 부재 둘레로 회전 구동될 수 있도록 외부 프레임이 릴 본체의 외측에 마련된 절환 부재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링 부재를 유지시키는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또 롤링 부재를 유지시키는 유지 구조가 강도 및 치수 정밀도 면에서 안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역전 방지 장치는 원활하고 확실한 웨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릴 회전 부재의 역회전(공회전) 시도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한, 롤링 부재의 외측 운동을 규제하는 외부 프레임이 절환 부재의 절환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롤링 부재를 웨지 작용 위치와 비웨지 작용 위치 사이에서 절환되도록 역전 방지 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릴 회전 부재는 정역양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더욱이, 방사상 방향으로의 결합 및 해제 기구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릴은 소형화될 수 있다.
유지 부재가 별도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즉 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유지 부재는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그와 같이 별도로 제조된 유지 부재를 릴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롤링 부재의 웨지 작용 중에 롤링 부재를 유지시키는 유지 부재의 강도 및 치수 정밀도가 안정화될 수 있으므로 원활하고 확실한 웨지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릴 회전 부재의 역회전(공회전) 시도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역전 방지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역전 방지 장치를 합체한 스피닝 릴을 도시하고 있다. 핸들(12)이 회전되면 핸들(12)의 힘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 치차를 통해 원통축(20) 상에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 치차(20A)로 전달됨으로써 원통축(20)에 고정된 로우터(16)가 회전된다. 원통축(20)은 베어링(24)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원통축(20) 안으로 삽입된 스풀축(22)이 공지된 기구에 의해 전후로 활주됨으로써 스풀(18)을 전후로 이동시켜서 낚시줄이 스풀(18) 둘레에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다.
릴 본체(10)는 그 전방 단부에 환형 돌출부, 즉 릴 본체(10)의 전방 단부의 일체부이고 원통축(20)과 동심으로 배열된 유지 부재(26)를 포함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부재(26)는 유지 부재(26)의 내주측 및 외주측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유지 부재(26)를 각각 통과하는 네 개의 유지 구멍(26A)을 포함한다. 네 개의 원통형 롤링 부재(30)가 이들 각각의 유지 구멍(26A)에 배치된다. 각 롤링 부재(30)는 원통 형상 이외에 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됨을 주지해야 한다. 롤링 부재(30)는 릴본체(10)의 전방 단부의 일체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유지 부재(26)에 의해 윈주 방향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롤링 부재(30)를 소망하는 강도와 정밀도로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서 원활한 웨지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또한 유지 기구의 구조의 단순화를 가능케 한다.
유지 부재(26)의 내주측 상에 배치된 내륜 부재(28)가 원통축(20)과 함께 회전되는 방식으로 원통축(20)에 고정되어 있다. 내륜 부재(28)에는 플랜지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8A)와 릴 본체(10)의 전방 단부는 상호 작동해서 롤링 부재(3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또는 제거)을 방지한다.
유지 부재(26)의 외주측 상에는 외부 프레임(32)이 릴 본체(10)에 형성된 다른 환형 돌출부(10B)에 의해 안내 및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축(20)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32)은 긴 결합 구멍(32A)이 관통 형성된 돌기(31)를 포함한다. 절환 부재(34)가 릴 본체(10) 외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종축(36)이 절환부재(34)에 연결되어 있다. 종축(36)의 선단부에는 상술한 결합 구멍(32A)의 폭과 사실상 동일한 직경을 갖고 또 결합 구멍(32A) 안으로 삽입되는 결합부(36A)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36A)는 종축(36)의 중심에 대해 편심을 이룬다.
유지 부재(26)에는, 유지 부재(26)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90도 각도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네 개의 유지 구멍(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네 개의 롤링 부재(30)이 이들 각각의 유지 구멍(26A)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롤링 부재(30)는 판 스프링(38)에 의해 제3도 및 제4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항상 에너지를 부여받는다. 각각의 롤링 부재(30)의 외측 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외부 프레임(32)이 정팔각형의 각 코너부를 모떼기함으로써 얻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내주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 프레임(32)이 제3도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될 때 각 롤링부재(30)의 내주측이 내륜 부재(28)의 외주부와 접촉 상태에 있고, 롤링 부재의 외주측은 외부 프레임(32)의 내주의 정팔각형의 변들의 각각의 대향 중심부(32a)와 접촉 상태에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원통축(20)이 제3도에 도시한 화살선 A방향(낚시줄 권취 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롤링 부재(30)는 판 스프링(38)의 에너지 부여력에 대항하여 약간 이동되고 거기에서 회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원통축(20)은 낚시줄을 권취 가능하게 하는 화살선 A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원통축(20)이 역방향(낚시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롤링 부재(30)는 각각의 유지 구멍(26A)의 벽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롤링 부재(30)와 접촉하고 있는 원통축(20) 뿐만 아니라 내륜 부재(28)의 회전이 방지된다. 즉, 그 역회전은 공 역회전이 거의 없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롤링 부재(30)의 상기 작용을 웨지 작용이라고 부른다.
절환 부재(34)가 제4도의 상태로 절환되면, 종축(36)이 회전되어 결합부(36A)가 회전되며, 이것은 또 돌기(31)를 통해 외부 프레임(32)를 회전시켜 외부 프레임(32)이 제4도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된다. 즉, 유지 부재(26)에 의해 유지된 각각의 롤링 부재(30)는 외부 프레임(32)의 대향측 중심 위치(32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코너부(32b) 근방의 위치까지 변위된다. 결과적으로, 롤링 부재(30)와 외부 프레임(32)의 각 내주부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각각 발생해서 롤링부재(30)를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원통축(20)이 A 및 B 양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환 장치를 사용해서 외부 프레임을 유지 부재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프레임은 그 웨지 작용 위치와 비웨지 작용 위치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외부 프레임의 방사상 방향으로 무용 공간이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고, 릴의 소형화에 기여하며, 역회전을 위한 절환조작을 허용한다.
또한, 외부 프레임(32)의 내주 형상이 유지 부재(26)에 위치 결정된 롤링 부재(30)의 위치 각도(즉, 90도의 동일하게 배열된 각도)에 따른 정팔각형을 기초로 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웨지 작용의 절환은 외부 프레임(3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의 내주 형상도 (정사각형)정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정팔각형의 코너의 돌출량은 정사각형의 모서리의 돌출량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즉, 정팔각형이 원에 보다 근접하고 정팔각형의 외주가 소직경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어서 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해서, 외부 프레임(32)의 내주 형상은 정십이각형, 정십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서로 동일 각도로 배열된 롤링 부재(30)의 수의 배수인 정다각형으로 내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대안으로 내주가 그 요소들이 한 요소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마치 풍차처럼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환 부재(34)에 의해 조작되는 절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릴의 정회전만을 허용하도록 제3도에 도시된 상태로 고정된 구조가 본 발명의 범주안에 해당된다.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러한 구조에서도 롤링 부재(30)의 그 원주 방향으로의 유지는 릴 본체와 일체로 되고 릴 본체(10)에 대해 고정된 유지부재(26)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롤링 부재(30)의 지지가 강도와 정밀도 면에서 안정화될 수 있으므로 (후술할) 원활한 웨지 작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 단순화된 구조가 얻어질 수 있다.
다음, 제5도 및 제6도에는, 외부 프레임(32)이 제3도 및 제4도에 각각 도시된 상태로 유지될 때 외부 프레임(32)의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32)의 외주와 핀 부재(44)의 소정 위치에는 두개의 구멍(H1, H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프레임과 핀 부재는 이들 두개의 구멍(H1, H2) 안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릴 본체(10)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유지된다. 핀 부재(44)는 그 헤드부에 형성된 긴 구멍(44A)을 포함한다. 한편, 레버(40)가 릴 본체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종축(46)이 레버(4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종축(46)은 그 선단부의 편심 위치에 소직경부(46A)를 포함하며 소직경부(46A)는 긴 구멍(44A) 안으로 삽입된다.
또한, 종축(46)과 릴 본체(10)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 부재(4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4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즉,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그 사점을 초과해서 변형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그 어느한 쪽의 위치에 부재를 유지시키므로 제5도에 도시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핀부재(44)는 외부 프레임(32)의 구멍(H1) 안으로 삽입되어 그와 결합되며, 그 상태는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제한되지 않고 레버(40)가 제5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될 때 종축(46)을 제5도에 도시된 본래 위치로 회전 복귀되게 하는 유형의 다른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비틀림 코일 스프링(42)의 에너지 부여력에 대항해서 레버가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되면 상술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42)의 작용으로 인해 레버(40)가 그 회전 위치에 다시 유지되고, 핀 부재(44)는 외부 프레임(32)의 구멍(H1)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 프레임(32)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절환 부재(34)가 절환되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32)의 구멍(H2)은 핀 부재(44)에 대향된다. 그 후, 레버(40)가 다시 제5도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되면 핀 부재(44)가 회전 종축(46)의 소직경부(46A)에 의해 밀어 내려져 구멍(H2)안으로 결합됨으로써 제4도에 도시된 A 및 B의 양 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의 후반부에 설명된 스프링 부재(42)에 따르면, 스프링부재(42)의 에너지 부여력에 대항해서 레버(40)가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되고, 이 상태에서 외부 프레임(32)이 제6도에 도시된 상태로 소정 각도 회전되고 레버(40)가 해제되면 종축(46)이 제5도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 부재(42)의 에너지 부여력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회전되어 핀 부재(44)가 구멍(H2) 안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역전 방지 장치의 실시예 2를 도시하고 있다. 릴 본체(10)는 핸들(12)와 함께 회전 가능한 핸들 축(12′)과 일체로 형성된 구동 치차(12A)를 내장하고 있다. 또, 릴 본체(10)는 베어링(24′)을 유지시키는 치차 케이스(10A)를 포함하며, 핸들 축(12′)은 베어링(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유지 부재(26′)가 핸들 축(12′)과 동심으로 치차 케이스(10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롤링 부재(30′)가 실시예 1과 유사한 구조체에 의해 유지된다. 내륜(28′)이 핸들 축(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롤링 부재(30′)의 핸들 축 방향으로의 운동은 구동 치차(12A)의 측면과 치차 케이스(10A)에 의해 규제된다. 그리고 롤링 부재(30′)의 외측 운동은 실시예 1와 유사한 형상을 갖고 또한 핸들 축(12′)과 동심으로 유지 부재(26′)의 외주측 상에 설치된 외부 프레임(32′)에 의해 규제된다. 또,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형성된 절환 부재(34′)가 치차 케이스(10A)의 외측 상에 마련되어 있으며,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절환 부재(34′)를 절환시킴으로써 정역 양 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 또는 역회전을 방지하고 정회전만을 허용하는 상태가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실시예 2는 유사한 작용 및 효과를 제공하지만 그 역전 방지 장치가 다른 장소에 위치되어 있다. 또,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절환 장치가 생략됨으로써 역전 방지 상태를 항상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베어링형 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역전 방지 장치의 실시예 3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62)과 연결된 핸들 축(70)이 릴 측판(60)에 의해 지지되는 베어링(7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 치차(70A)가 핸들 축(70)과 함께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핸들 축(70)에 장착되어 있다. 한 편, 피니언 치차(72A)가 스풀축(7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프레임 부재(58)와 릴 측판(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68)의 스풀축(72)에 장착되어 있으며, 또 피니언 치차(72A)가 구동 치차(70A)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핸들(62)이 회전되면 스풀(68)이 회전되어 낚시줄이 권취되거나 또는 풀려질 수 있다.
환형 유지 부재(76)가 핸들 축(70)과 동심으로 그리고 핸들 축(70)의 주연부에 배치되어 릴 본체의 부분들을 형정하는 릴 측판(60)과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1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원통형 롤링 부재(80)가 유지 부재(76)에 의해 유지된다. 내륜(78)이 핸들 축(7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지 부재(76)의 내주측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내륜(78)은 그 한 단부에 플랜지부(78A)를 포함한다. 롤링 부재(80)의 핸들 축 방향으로의 운동은 플랜지부(78A)와 릴측판(60)에 의해 규제된다.
롤링 부재(80)의 외측 운동은 상술한 핸들 축과 동심으로 배치된 외부 프레임(82)에 의해 규제된다. 이 부분의 확대 도면이 제10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외부 프레임(82)은 그 외주 상에 마련된 돌출부(81)를 포함하고 긴 구멍(82A)이 돌출부(81)에 형성되어 있다. 한 편, 축(86)이 릴 측판(60)의 외측에 마련된 절환 부재(84)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 축(86)은 그 선단부에 긴 구멍(82A) 안으로 삽입되어 그와 결합되는 결합부(86A)를 포함한다. 본 역전 방지 장치의 평면도는 제3도 및 제4도와 유사하며, 본 역전 방지 장치에 따른 역회전의 가부는 절환부재(84)의 절환 조작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 3의 조작 및 효과는 실시예 1의 조작 및 효과와 유사하다.
제11도는 릴 본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58) 상에 역전 방지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부재(76′)는 프레임 부재(5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형 롤링 부재(80′)가 유지 부재(76′)에 의해 유지되고, 핸들 축(70)의 원통형 단부가 유지 부재(76′)의 내주측 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롤링 부재(80′)가 실시예 1에 따른 유지구멍(26A)에 유사한 유지 구멍에 형성된 내주측 개구를 통해서 원통형 단부의 외주와 접촉 상태에 있다.
또한, 외부 프레임(82′)이 유지 부재(76′)의 외주측 상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82′)의 평면도는 절환 장치부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제3도와 유사해서 역회전이 항상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클러치 기구가 양축 베어링형 릴에 존재하기 때문에 클러치를 해제시킴으로서 낚시줄이 풀려질 때 정역 양 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하므로 역회전이 항상 방지되더라도 양축 베어링형 릴에 있어서는 아무런 문제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롤링 부재(80′)의 그 핸들 축(70) 방향으로의 운동을 감안해서 환형판부재(90)가 프레임 부재(58)에 고정되어 있는데, 즉 롤링 부재(80′)의 그 핸들축(70) 방향으로의 운동은 판 부재(90)와 프레임 부재(58)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의 실시예 4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13도 및 제14도는 각각 제12도의 화살선 13-13을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고, 제15도 및 제17도는 각각 장치 일부분의 조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유지 부재(26)가 롤링 부재(30)를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릴 본체(10)의 전방부에 장착되어 있다. 유지 부재(26)가 릴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나사부재(29)가 유지 부재(26)를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유지 부재(26)를 릴 본체(10)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릴 본체(10)가 보다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4의 나머지 부분은 실시예 1과 유사하다. 즉, 롤링 부재(30)가 내륜 부재(28)와 접촉 가능하고 또 판 스프링(38)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가압되는 방식으로 유지 부재(26)의 유지 구멍(26A)에 배치되어 있으며, 롤링 부재(30)의 그 종방향으로의 유지는 릴 본체의 전방부와, 플랜지부(26F)를 포함하는 유지부재(26)의 전방부에 의해 수행된다. 외부 프레임(32)이 원통축(20)과 동심으로 유지 부재(26)의 외주측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 외부 프레임(32)은 돌출부(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43)이 제3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종축(36)이 릴 본체의 외측 상에 마련된 절환 부재(34)에 연결되어 있으며, 종축(36)은 그 선단부에 결합부(36′)를 포함한다.
절환 부재(34)가 절환되면 제13도 및 제14도에 각각 도시된 역전 방지 장치의 상태는 각각 서로 절환될 수 있다. 특히, 제13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원통축(20)은 화살선 A 및 B로 도시된 양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한다. 제14도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각 롤링 부재(30)는 그 내주측 상에서 내륜 부재(28)의 외주부와 접촉 상태에 있으며, 롤링 부재(30)의 외주부는 외부 프레임(32)의 내주 정팔각형의 각 변의 중심부(32a)와 접촉 상태에 있다. 실시예 1과 유사한 이유로 인해, 원통축(20)은 화살선 A 방향으로의 회전만이 허용되고 역회전이 방지되며 역방향으로의 유격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4에 따르면, 절환 장치를 사용해서 외부 프레임을 유지 부재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역전 방지 장치가 웨지 작용 위치와 비웨지 작용 위치 사이에서 절환되기 때문에 그 방사상 방향으로 어떠한 무용 공간도 발생하지 않고 역회전의 가부가 변경될 수 있으며 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롤링 부재(30)의 그 원주 방향으로의 유지는 릴 본체(10)에 일체로 장착된 유지 부재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롤링 부재(30)의 유지는 강도 및 정밀도 면에서 안정화될 수 있고 원활한 웨지 작용을 제공한다.
상술한 역전 방지 위치 상태(제14도)를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장치가 채용된다. 즉, 외부 프레임(32)에 결합 구멍(H1′)이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41)을 통해서 릴 본체(10)에 지지된 고정 부재(39)가 역전 방지 위치 상태에서 결합 구멍(H1′)과 결합될 수 있다. 제15도는 고정 부재(37)가 결합 구멍(H1′)과 결합하고 있는 상태의 확대 종단면도이고, 또 제17도는 제15도의 부분 확대 도면이고, 그리고 제16도는 고정 부재의 비결합 상태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종축(36)은 경사면을 갖고 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출부(B)를 그 중앙부에 포함하며, 한 편 고정 부재(39)는 경사면을 갖고 돌출부(B)에 대응하는 고정부(39B)를 포함한다. 절환 부재(34)가 제15도의 상태, 즉 제14도의 상태로부터 조작되면, 종축(36)이 회전되고 고정 돌출부(36B)가 고정부(39B)와 접촉되고, 그리고 돌출부(36B) 및 고정부(39B)는 서로 협력해서 코일 스프링(41)의 에너지 부여력에 대항해서 고정 부재(39)를 당겨내고 이들 경사면은 계속 서로 접촉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절환 부재(34)가 제16도의 상태, 즉 제13도의 상태로 회전된다. 절환 부재(34)가 역방향으로 절환되면 고정 부재(39)가 결합 구멍(H1′)과 결합되도록 고정 부재(39)는 코일 스프링(41)의 에너지 부여력으로 인해 결합 구멍(H1′) 내로 밀어 넣어진다(즉, 제14도에 도시된 상태가 제공된다).
외부 프레임(32)은 홈(32H)을 포함하며, 유지 부재(26)은 홈(32H) 안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6B)를 그 외주부 상에 포함한다. 이는, 제14도의 상태가 절환 부재(34)의 절환 조작에 의해 제13도의 상태로 절환될 때 외부 프레임(32)이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이다.
제18도는 실시예 4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19도는 제18도의 화살선 19-19를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이 변형예는 릴 본체(10)로의 유지부재(26)의 일체식 장착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세 개의 돌출부(26′)를 통과하는 나사 부재(29)에 의해 수행된다는 점에 있어서 제12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실시예 4와는 상이하다. 또, 결합 구멍(H1′) 및 고정 부재(39)를 제거하고, 유지 부재(26)에 형성된 돌출부(26B) 대신에, 릴 본체(10) 상에 마련된 핀 부재(11)가 외부 프레임(32)에 형성된 홈(32H′) 안으로 돌출된다. 즉, 외부 프레임(32)의 회전범위가 이 수단에 의해 규제된다.
제20도는 실시예 4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21도는 제20도의 화살선 21-21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릴 본체(10)는 역전 방지 장치를 내장하기 위해 본체 전방부와 일체로 형성된 저장 몸체(10B′)를 그 전방부에 포함한다. 저장 몸체(10B′)는 그 원주 방향으로 서로 동일 거리로 배열된 세 개의 돌출부(10C)를 그 전방부에 포함하고, 유지 부재(26)의 원주 방향이 상기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롤링 부재(30)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26)가 이들 돌출부(10C) 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유지 부재(26)의 외주는 제1 외부 프레임(35)으로 덮여지고, 또 제1 외부 프레임(35)의 외주는 제1 외부 프레임(35)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제2 외부 프레임(33)의 외주부로 덮혀지는데, 즉 제2 외부 프레임(33)은 저장 몸체(10B)의 내부면으로 안내되고 소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제2 외부 프레임(33)은 저장 몸체(10B′)의 내주 상에 마련된 스프링 링 부재(45)를 그 전방부에 포함하고, 스프링 링 부재(45)는 외부 프레임(35)과 기타 부재들을 그 전후방향으로 위치 결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제2 외부 프레임(33)이 회전되어 제2 외부 프레임(33)과 함께 제1 외부 프레임을 회전시키면 역회전이 방지될 수 있거나, 또는 정역 양 방향 회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즉, 역전 방지 장치가 상용 일 방향 클러치의 사용에 의해 상기 방식으로 구성되면 역전 방지 장치는 용이하고 저가로 제조될 수 있다.
제22도는 실시예 4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회전의 가부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치(31′)가 외부 프레임(32)의 외주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절환 부재(34)와 연결된 치차(36A″)가 치(31′)와 맞물릴 수 있다. 즉, 제22도는 이러한 구조의 실례를 도시하고 있다.

Claims (5)

  1. 릴 본체 상에 마련된 핸들의 회전과 연동해서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대해 고정 배열되고 상기 회전 부재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되며, 그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유지 구멍을 구비하는 유지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유지 구멍과 협력해서 웨지 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유지 구멍에 각각 유지되는 복수의 롤링 부재와, 상기 롤링 부재의 방사상 외측 운동을 규제하도록 유지 부재의 상기 외주측 주위로 장착된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구멍의 각각은 상기 유지 부재의 내주측 및 외주측을 방사상으로 서로 연통시키도록 상기 유지 부재를 방사상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릴 본체의 일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릴 본체에 확실하게 고정되는 별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부재가 웨지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상태와 상기 롤링 부재가 웨지 작용을 수행할 수 없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롤링 부재를 절환시키도록 상기 외부 프레임을 상기 유지 부재에 대해 회전 구동시키는 절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구멍에 의해 상기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호형 블록으로 분할되고, 상기 각각의 롤링 부재의 각각은 상기 호형 블록의 대응하는 인접 쌍들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 방지 장치.
KR1019950005098A 1994-03-14 1995-03-13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 KR100290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69112 1994-03-14
JP6911294A JP2919738B2 (ja) 1994-01-21 1994-03-14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786A KR950030786A (ko) 1995-12-18
KR100290698B1 true KR100290698B1 (ko) 2001-06-01

Family

ID=1339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098A KR100290698B1 (ko) 1994-03-14 1995-03-13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672345B1 (ko)
KR (1) KR100290698B1 (ko)
DE (1) DE69502754T2 (ko)
DK (1) DK067234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9532B2 (ja) * 1994-10-17 2002-10-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KR100383660B1 (ko) * 2000-12-20 2003-05-12 이필균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방지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1826B1 (en) * 1992-06-11 2003-01-08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672345T3 (da) 1999-02-01
EP0672345A1 (en) 1995-09-20
KR950030786A (ko) 1995-12-18
EP0672345B1 (en) 1998-06-03
DE69502754D1 (de) 1998-07-09
DE69502754T2 (de) 199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9829B (zh) 滾子離合器
US5494232A (en) Reversal preventive device
US5503343A (en) Reverse rotation preventive device for fishing reel
CN116889220A (zh) 钓鱼用旋压式卷线器
JP3166900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KR100290698B1 (ko) 낚시용 릴의 역전 방지 장치
US6003799A (en) Backstop device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of rotor in fishing reels
JP2016059310A (ja) コード式刈払機用刈払ヘッド
JP427696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919738B2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US6454069B2 (en) Oneway clutch bearing
KR100699325B1 (ko) 낚시용 릴
US20240065244A1 (en) One-way clutch and fishing reel
JP2996339B2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KR900010254Y1 (ko) 스피닝 리일
JP3012344U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4221625B2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00125720A (ja) 魚釣用リール
TW202408355A (zh) 單向離合器及釣魚用捲線器
JP2003269299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H11276034A (ja) 魚釣用リール
JPH0658348A (ja) 逆転防止装置
JPH06225673A (ja) 逆転防止装置
JP2007239694A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内燃機関の可変動弁機構
JP200217688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