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494A - 자동차 잠금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잠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494A
KR20190062494A KR1020197012410A KR20197012410A KR20190062494A KR 20190062494 A KR20190062494 A KR 20190062494A KR 1020197012410 A KR1020197012410 A KR 1020197012410A KR 20197012410 A KR20197012410 A KR 20197012410A KR 20190062494 A KR20190062494 A KR 20190062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ush
open
sensor syste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너 비르트스
미카엘 플라인즈
Original Assignee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브로제 슐리스지스템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to KR1020217032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7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7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comprising 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hand of a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acous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0Control units therefor
    • E05Y2400/41Control units therefor for multiple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05Y2400/86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by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2)에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도어(3), 특히 사이드 도어를 위한 자동차 잠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된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3) 또는 자동차 차체(2)에 배치되는 자동차 잠금 장치(5)가 제공되고, 자동차 잠금 조립체(1), 특히 자동차 잠금 장치(5)는 푸시 오픈 시스템(6)을 포함하며, 이러한 푸시 오픈 시스템에 의해 자동차 도어(3)는 모터 구동식 푸시 오픈 작동(9)에서 폐쇄 도어 위치, 특히 메인 폐쇄 도어 위치 또는 예비 폐쇄 도어 위치로부터 그 개방 방향(8)으로 더 나아가 위치된 푸시 오픈 도어 위치로 조절 가능하고, 이를 통해 자동차 도어(3)의 맞물림 도어 에지(11)와 자동차 차체(2) 사이의 간극(10), 특히 맞물림 간극이 생성될 수 있고, 제어 시스템(12) 및 이와 제어 기술적으로 결합된 센서 시스템(13)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12)에 의해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이 센서 시스템(13)을 통해 검출될 수 있고, 제어 시스템은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을 검출할 때 푸시 오픈 작동(9)을 트리거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잠금 조립체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 잠금 조립체 그리고 청구항 제14항의 전제부에 따른 이러한 자동차 잠금 조립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언급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자동차 도어를 개방할 때 사용자 편의의 증가가 달성된다. 이러한 사용자 편의의 증가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가 모터 구동식 푸시 오픈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한다. 이것은, 자동차 도어가 푸시 오픈 시스템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 위치로부터 푸시 오픈 도어 위치로 조절될 수 있어, 자동차 도어의 맞물림 도어 에지와 자동차 차체 사이에 맞물림 간극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맞물림 도어 에지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후방 결합되고, 자동차 도어는 편안하게 수동으로 개방된다. 편의의 증가 외에도, 언급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를 사용함으로써, 자동차 도어를 형성할 때 새로운 설계 자유도가 형성되는데, 왜냐하면 도어 외부 손잡이가 완전히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동차 잠금 조립체는 DE 10 2014 205 371 A1호가 보여준다.
공지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에는 푸시 오픈 작동을 보다 적합한 방식으로 트리거하기 위한 요구 사항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는 충분한 해결 방안이 공지되지 않았다. 설계에 따라, 전체적으로 발생되는 사용자 편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낮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공지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를 사용자 편의가 증가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기본적인 고려 사항은 푸시 오픈 작동이 트리거 사용자 액션을 통해 트리거되는 경우, 자동차 도어를 개방할 때의 사용자 편의가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동차 도어의 개방은 따라서 직관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서 시스템과 제어 기술적으로 결합된 제어 시스템에 의해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이 검출될 수 있는 것이 제안된다. 이 때, 이러한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의 검출 시 제어 시스템은 푸시 오픈 작동을 트리거한다. 이 경우, 트리거 사용자 액션은 유리하게는 맞물림 도어 에지의 후방 결합으로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리거 사용자 액션은 사용자에 의한 사전 결정된 트리거 손 움직임을 포함한다. 그러나, 트리거 사용자 액션은 사용자의 위치, 런닝 움직임, 런닝 속도, 자세 등에 관한 다른 양태들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푸시 오픈 작동 또는 다른 작동을 트리거할 수 있는 복수의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이 또한 정의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청구항 제5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과 푸시 오픈 작동 사이의 동기화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손이 맞물림 도어 에지에 도달하는 시점에 푸시 오픈 작동이 이미 트리거되거나, 이미 진행되거나 또는 이미 완료되도록 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서는 푸시 오픈 작동이 완료될 때까지 감수해야만 하는 대기 시간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제6항 내지 제8항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센서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유리한 구조적 변형예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청구항 제6항에 따라 용량성 센서 시스템으로서 센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은 자동차 도어 내로의 공간 최적화된 통합을 허용한다.
청구항 제9항 내지 제11항에 따른 마찬가지로 바람직한 실시예는 자동차 도어를 예비 폐쇄 도어 위치로부터 완전히 폐쇄된 위치로의 모터 구동식 폐쇄 보조 작동을 허용하는 폐쇄 보조 시스템을 자동차 잠금 조립체에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청구항 제11항에 따르면, 센서 시스템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자동차 도어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이를 통해, 센서 시스템은 트리거 사용자 액션의 검출 외에도 다른 기능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폐쇄 보조 작동 중에 사용자를 통한 비상 정지 요구의 검출일 수 있다.
독립적인 중요성을 갖는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다른 교시에 따르면, 제안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를 제어하는 방법이 그 자체로 청구된다.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센서 시스템을 통해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이 검출될 수 있고,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이 검출될 때 푸시 오픈 작동이 트리거되는 것이 본질적인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안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의 작동 방식에 대한 모든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푸시 오픈 작동과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 사이의 상기 언급된 동기화가 제안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제안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의 작동 방식에 대한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안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제안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제안된 자동차 도어 조립체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자동차 도어의 a) 메인 폐쇄 도어 위치, b) 푸시 오픈 도어 폐쇄 위치 및 c) 예비 폐쇄 도어 위치를 도시한다.
제안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1)는 자동차 차체(2)에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도어(3)에 할당된다. 도시된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차 도어(3)는 사이드 도어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자동차 도어(3)는 또한 후방 도어일 수도 있다. 두 경우에서 자동차 도어(3)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기하학적 도어 축(4)에 대해 선회될 수 있고, 도어 축(4)은 선회 중에 반드시 위치 고정적일 필요는 없다. 또한, 자동차 도어(3)는 슬라이드 도어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자동차 잠금 조립체(1)는 장착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도어(3)에 배치되는 자동차 잠금 장치(5)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자동차 잠금 장치(5)는 자동차 차체(2)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안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1)는 푸시 오픈 구동 장치(7)를 구비한 푸시 오픈 시스템(6)을 포함하며, 상기 푸시 오픈 구동 장치는 자동차 도어(3) 상에 개방 방향(8)으로 구동력을 가하기 위한 구동 트레인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자동차 도어(3)는 푸시 오픈 시스템(6)에 의해 모터 구동식 푸시 오픈 작동(9)에서 폐쇄 도어 위치(도 3a)로부터 개방 방향(8)으로 더 나아가 위치된 푸시 오픈 도어 위치(도 3b)로 조절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자동차 도어(3)의 맞물림 도어 에지(11)와 자동차 차체(2) 사이의 간극(10),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맞물림 간극(10)이 다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푸시 오픈 시스템(6)은 자동차 잠금 장치(5)에 할당되므로, 푸시 오픈 시스템(6)은 자동차 잠금 장치(5)와 함께 사전 장착될 수 있고, 이것은 제조 기술적으로 유리하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푸시 오픈 시스템(6)은 자동차 잠금 장치(5)와는 별도로 설계될 수도 있다.
푸시 오픈 작동(9)은 두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도 3a로부터 도 3b로 전이되는 것으로부터 형성된다. 이 경우, 푸시 오픈 작동(9)이 시작하는 폐쇄 도어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도어(3)의 메인 폐쇄 도어 위치, 즉 완전히 폐쇄된 위치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러한 폐쇄 도어 위치는 또한 도 3c에 도시되고 더 설명될 예비 폐쇄 도어 위치일 수도 있다.
푸시 오픈 작동(9)의 과정에서 생성된 간극(10)은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맞물림 간극이고, 상기 맞물림 간극은 맞물림 간극(10) 및 특히 맞물림 도어 에지(11)가 사용자의 손(H)을 통해 후방 파지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푸시 오픈 도어 위치(도 3b)에서, 간극 폭이 18 mm 초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mm 초과인 맞물림 간극(10)이 생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맞물림 간극(10)의 간극 폭은 약 26 mm 내지 약 31 mm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맞물림 간극(10)의 간극 폭은 약 30 mm이다. 이러한 값은 특히 사용자의 손(H)에 의한 맞물림 간극(10), 특히 맞물림 도어 에지(11)의 후방 파지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예비 폐쇄 도어 위치에서, 자동차 도어(3), 특히 맞물림 도어 에지(11)와 자동차 차체(2) 사이의 간극(10)은 오직 1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6 mm인 간극 폭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간극 폭은 항상 자동차 도어(3)의 개방 방향(8)으로 측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푸시 오픈 작동(9)의 트리거는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를 위해, 우선 제어 시스템(12) 및 제어 시스템(12)과 제어 기술적으로 결합된 센서 시스템(13)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시스템(12)은 전체적으로 자동차 잠금 조립체(1)의 전기적 제어에 사용된다. 센서 시스템(13)의 제어는 센서 시스템(13)의 설계에 따라 공급 전압 및/또는 측정 전압을 센서 시스템(13)에 공급하는 것 그리고 센서 시스템(13)에 의해 생성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용량성 센서 시스템(13)에서, 제어 시스템(12)은 센서 시스템(13)에 측정 전압을 작용시키고, 센서 시스템(13)의 결과적인 전기적 특성으로부터 사용자의 손(H)의 존재 및/또는 센서 시스템(13)에 대한 사용자의 손(H)의 거리를 확인한다.
이제 제어 시스템(12)에 의해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이 센서 시스템(13)을 통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고, 제어 시스템(12)은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을 검출할 때 푸시 오픈 작동(9)을 트리거한다. 이 경우, 각각 푸시 오픈 작동(9)을 트리거하는 복수의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이 또한 정의될 수 있다. 도 3에는 2개의 이러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이 도시되어 있다.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은 매우 상이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 런닝 움직임, 런닝 속도, 자세 등이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으로 정의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은 어떠한 경우든 사전 결정된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을 포함한다.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은 도 3a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사전 결정된 움직임 패턴, 특히 사전 결정된 움직임 경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움직임 패턴은 예를 들어 움직임 패턴이 와이핑 움직임 또는 왕복 움직임을 포함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움직임 경로는 자동차 차체(2)에 대해 절대 위치의 시퀀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움직임 경로는 그 절대 위치와 관계 없이 그 자체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움직임 패턴 또는 움직임 경로가 자동차 차체(2) 또는 자동차 도어(3)의 사전 결정된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의 의미에서 움직임 패턴 또는 움직임 경로가 검출된 것으로 간주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은 사전 결정된 움직임 속도 및/또는 사전 결정된 움직임 속도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은 사전 결정된 움직임 가속도 및/또는 사전 결정된 움직임 가속도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은 자동차의 차체 외각(bodyshell)(18)을 따라 사용자의 손(H)의 와이핑 움직임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는 자동차 도어(3) 또는 다른 자동차 도어 또는 자동차 차체(2)의 차체 외각(18)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은 맞물림 도어 에지(11)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맞물림 간극(10), 특히 맞물림 도어 에지(11)가 사용자의 손(H)에 의해 후방 파지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은 도 3a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가능한 트리거 손 움직임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도어 에지(11)를 향해 테이퍼지는 것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이 자동차 도어(3)의 맞물림 도어 에지(11)의 영역에서 종료되거나 또는 심지어 자동차 도어(3)의 맞물림 도어 에지(11)를 스치고 지나가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의 적어도 일부가 맞물림 도어 에지(11)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은 자동차의 차체 외각(18)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이 차체 외각(18)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차체 외각(18)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푸시 오픈 작동(9)과 사용자의 손(H)의 움직임과의 동기화는 이러한 경우에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시스템(12)은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의 검출에 대해 푸시 오픈 작동(9)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손(H)이 맞물림 도어 에지(11)에 도달하는 시점에 맞물림 도어 에지(11)의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H)의 움직임(19, 20)이 계속되는 경우 푸시 오픈 작동(9)이 이미 트리거되거나, 이미 진행되거나 또는 이미 완료되도록 한다. 이것은, 운전자의 손(H)이 맞물림 도어 에지(11)에 도달하는 경우, 자동차 도어(3)가 이미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완전히 푸시 오픈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푸시 오픈 작동(9)의 완료를 기다리는 것을 사용자가 감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3a는 계속되는 움직임(19, 20)이 맞물림 간극(10)의 상기 언급된 후방 파지로 끝나는 것을 도시한다. 후방 파지는 도 3b에 예시적으로 도시되고, 여기서 사용자의 손(H)은 자동차 도어(3)의 단부면(22)에서 이를 위해 특별히 제공된 포켓(21)에 들어가게 된다.
푸시 오픈 작동(9)과 트리거 손 움직임(16, 17) 사이의 상기 동기화는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이 맞물림 도어 에지(11)에 대해 이전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H)이 맞물림 도어 에지(11)에 아직 도달하기 이전에,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이 제어 시스템(12)에 의해 검출되는 것이 달성된다.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의 검출 직후에 푸시 오픈 작동(9)이 트리거되는 한, 맞물림 도어 에지(11)까지의 나머지 계속되는 움직임(19, 20)은 푸시 오픈 작동(9)을 개시하거나 또는 심지어 완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의 검출에 의해 이미 사용자의 손(H)의 움직임 속도가 확인되므로, 사용자의 손(H)이 맞물림 도어 에지(11)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이 계산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계산에 기초하여, 푸시 오픈 작동(9)은 푸시 오픈 구동 장치(7)의 대응하는 제어를 통해 푸시 오픈 작동이 상기 의미에서 적시에 완료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계속되는 움직임(19, 20)의 움직임 속도는 트리거 손 움직임(16, 17) 동안의 움직임 속도에 비해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는 것이 간단하게 가정될 수 있다.
센서 시스템(13)의 설계를 위해, 매우 상이하고 유리한 변형예가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시스템(13)은 상이한 센서 원리에 기초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13)의 설계는 유도성 센서 시스템, 광학 센서 시스템, 초음파 기반 센서 시스템 등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센서 시스템(13)은 용량성 센서 시스템으로서, 특히 용량성 근접 센서 시스템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용량성 센서 시스템(13)은 그 간단한 구조를 통해 공간적으로 최적화되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동시에 특히 수분, 오염 물질 등과 관련한 환경 조건의 변화와 같은 교란성 영향에 대한 높은 견고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용량성 센서 시스템(13)은 제어 시스템(12)과 제어 기술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 전극(23, 24)을 포함하고, 여기서 측정 전극(23, 24)과 자동차 접지(25) 사이에는 그 크기가 사용자의 손(H)의 위치에 의존하는 측정 커패시턴스가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측정 커패시턴스가 측정 전극(23, 24)과 다른 전극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의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H)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2개의 측정 전극(23, 24)이 제공된다.
각각의 측정 전극(23, 24) 전방에서의 사용자의 손(H)의 존재 또는 위치를 검출하는 가능성은, 제어 시스템(12)이 접지(25)에 대해 측정 전극(23, 24)에 AC 전압을 작용시키고, 결과적인 전류 프로파일로부터 측정 커패시턴스의 크기 그리고 이로부터 다시 사용자의 손(H)의 존재 또는 위치에 대해 추론하는 것이다. 이 경우,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은, 사용자의 손(H)이 사전 결정된 순서로 그리고 사전 결정된 시간 간격 내에서 두 측정 전극(23, 24)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에, 검출된 것으로 간주된다.
측정 전극(23, 24)의 설계를 위해 기본적으로 다른 설계 변형예가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측정 전극(23, 24)은 각각 세장형으로 설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정 전극(23, 24)이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정렬된다.
도 1에 도시된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센서 시스템(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자동차 도어(3)의 공동(26) 내에, 특히 자동차 도어(3)의 도어 외부 패널(27)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 경우, 기본적으로 도어 외부 패널(27)은 도시되지 않은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상기 개구를 통해 센서 시스템(13)은 사용자의 손(H)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배치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트리거 손 움직임(16)이 검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센서 시스템(13)이 자동차 차체(2)의 공동(28) 내에,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차체(2)의 차체 패널(29)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도 2에 따른 설명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센서 시스템(13)의 위치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트리거 손 움직임(17)이 검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센서 시스템(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 부품 내에 또는 장착 부품 상에, 바람직하게는 장착 부품과 자동차 도어(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 부품은 예를 들어 윈도우 스트립, 장식 스트립, 엠블럼 등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언급된 푸시 오픈 시스템(6) 외에, 제안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1), 특히 자동차 잠금 장치(5)는 추가적으로 폐쇄 보조 시스템(30)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보조 시스템에 의해 자동차 도어(3)는 모터 구동식 폐쇄 보조 작동(32)에서 예비 폐쇄 도어 위치(도 3c)로부터 그 폐쇄 방향(31)으로 더 나아가 위치된, 자동차 도어(3)가 완전히 폐쇄되는 메인 폐쇄 도어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자동차 도어(3)를 폐쇄할 때 자동차 도어(3)를 단지 도 3c에 도시된 예비 폐쇄 도어 위치로만 조절해야 하는 경우의 편의 기능으로서, 이 예비 폐쇄 도어 위치에서는 높은 도어 밀봉 압력이 아직 정기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동차 도어(3)를 도어 밀봉 압력에 대항하여 완전히 폐쇄된 위치 즉, 상기 언급된 메인 폐쇄 도어 위치로 당기는 것은 이 경우 폐쇄 보조 시스템(30)의 폐쇄 보조 구동 장치(33)에 의해 인수된다. 특히 컴팩트하고 동시에 비용 효율적인 실시예가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폐쇄 보조 시스템(30)이 푸시 오픈 시스템(6)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생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폐쇄 보조 시스템(30)과 푸시 오픈 시스템(6)이 구동 움직임을 생성하기 위한 구동 모터(34)를 공유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센서 시스템(13)의 특히 효율적인 사용은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12)이 센서 시스템(13)을 한편으로는 자동차 도어(3)가 폐쇄된 경우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폐쇄 보조 작동(32) 중에 자동차 도어(3)가 적어도 약간 개방된 경우에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생긴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2)은 폐쇄 보조 작동(32) 중에 센서 시스템(13)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비활성화"라는 용어는 제어 시스템(12)이 센서 시스템(13)에 의해 어떠한 센서 측정 값도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제어 시스템(12)이 측정 전극(23, 24)을 전류 없이 스위칭한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의미한다.
또한, 제어 시스템(12)이 자동차 도어(3)의 위치에 따라 센서 시스템(13)의 상이한 감도를 설정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센서 시스템(13)이 감도에 따라 상이한 거리 범위로 설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차 잠금 장치(5)의 설계에 대해 다양하고 유리한 변형예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자동차 잠금 장치(5)가 폐쇄 부분(36),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폐쇄 클립을 갖는 잠금 래치(35) 및 잠금 래치(35)에 할당되는 디텐트(37)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잠금 래치(35) 및 디텐트(37)를 갖는 이러한 장벽의 배치는 기본적으로 알려져 있다. 잠금 래치(35)는 메인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거기에서 디텐트(37)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자동차 도어(3)는 메인 폐쇄 도어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잠금 래치(35)는 예비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거기에서 디텐트(37)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자동차 도어(3)는 예비 폐쇄 도어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중요한 것은 푸시 오픈 시스템(6)이 잠금 래치(35)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우선 한 번 자동차 도어(3)를 푸시 오픈 도어 위치로 조절하는 것은 푸시 오픈 시스템(6)을 통해 잠금 래치(35)를 그 개방 방향(38)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폐쇄 보조 작동(32)과 관련하여, 자동차 도어(3)를 메인 폐쇄 도어 위치로 조절하는 것은 푸시 오픈 시스템(6)을 통해 잠금 래치(35)를 그 폐쇄 방향(39)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잠금 래치(35)는 여기서 즉 폐쇄 부분(36)과의 유지되는 맞물림을 위해, 푸시 오픈 작동(9)에 필요한 힘의 전달을 위해 그리고 폐쇄 보조 작동(32)에 필요한 힘의 전달을 위해 다중으로 사용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개방 보조 시스템(40)이 제공되고, 상기 개방 보조 시스템에 의해 디텐트(37)는 모터 구동식으로 리프팅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으며, 푸시 오픈 작동(9)과 관련하여 제어 시스템(12)은 우선 디텐트(37)의 모터 구동식 리프팅 및 이어서 자동차 도어(3)의 푸시 오픈을 위한 푸시 오픈 구동 장치(7)의 제어를 트리거한다. 여기서, 개방 보조 시스템(40), 폐쇄 보조 시스템(30) 및 푸시 오픈 시스템(6)은 구동 움직임을 생성하기 위한 구동 모터(34)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립적인 중요성을 갖는 다른 교시에 따르면, 제안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1)를 제어하는 방법이 그 자체로 청구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12)에 의해, 센서 시스템(13)을 통해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이 검출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고, 여기서 제어 시스템(12)에 의해,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이 검출될 때 푸시 오픈 작동이 트리거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안된 자동차 잠금 조립체(1)의 작동 방식에 대한 모든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추가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푸시 오픈 작동(9)을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 특히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에 대해 동기화시키는 것에도 적용된다.

Claims (15)

  1. 자동차 차체(2)에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자동차 도어(3), 특히 사이드 도어를 위한 자동차 잠금 조립체로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 도어(3) 또는 상기 자동차 차체(2)에 배치되는 자동차 잠금 장치(5)가 제공되고,
    상기 자동차 잠금 조립체(1), 특히 상기 자동차 잠금 장치(5)는 푸시 오픈 시스템(6)을 포함하며, 상기 푸시 오픈 시스템에 의해 상기 자동차 도어(3)는 모터 구동식 푸시 오픈 작동(9)에서 폐쇄 도어 위치, 특히 메인 폐쇄 도어 위치 또는 예비 폐쇄 도어 위치로부터 그 개방 방향(8)으로 더 나아가 위치된 푸시 오픈 도어 위치로 조절 가능하고, 이를 통해 상기 자동차 도어(3)의 맞물림 도어 에지(11)와 상기 자동차 차체(2) 사이의 간극(10), 특히 맞물림 간극이 생성될 수 있고,
    제어 시스템(12) 및 이와 제어 기술적으로 결합된 센서 시스템(13)이 제공되는, 상기 자동차 잠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12)에 의해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이 상기 센서 시스템(13)을 통해 검출될 수 있고, 상기 제어 시스템(12)은 상기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을 검출할 때 상기 푸시 오픈 작동(9)을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은 사전 결정된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은 사전 결정된 움직임 패턴, 특히 사전 결정된 움직임 경로 및/또는 사전 결정된 움직임 속도 및/또는 사전 결정된 움직임 속도 프로파일 및/또는 사전 결정된 움직임 가속도 및/또는 사전 결정된 움직임 가속도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은 상기 자동차 도어(3)의 상기 맞물림 도어 에지(11)를 향해 테이퍼지거나 또는 상기 자동차 도어(3)의 상기 맞물림 도어 에지(11)의 영역에서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자동차 도어(3)의 상기 맞물림 도어 에지(11)를 스치고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맞물림 도어 에지(11)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12)은 상기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의 검출에 대해 상기 푸시 오픈 작동(9)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H)이 상기 맞물림 도어 에지(11)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맞물림 도어 에지(11)의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H)의 움직임이 계속되는 경우, 특히 움직임 속도가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푸시 오픈 작동(9)이 이미 트리거되거나, 이미 진행되거나 또는 이미 완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시스템(13)은 용량성 센서 시스템, 특히 용량성 근접 센서 시스템으로 설계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시스템(13)은 상기 제어 시스템(12)와 제어 기술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 전극(23, 24)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 전극(23, 24)과 다른 전극 또는 자동차 접지(25) 사이에는 그 크기가 상기 사용자의 손(H)의 위치에 의존하는 측정 커패시턴스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전극(23, 24)은 세장형으로 설계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전극(23, 24)은 상기 트리거 손 움직임(16, 17)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시스템(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자동차 도어(3)의 공동(26) 내에, 특히 상기 자동차 도어(3)의 도어 외부 패널(27)의 후방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차 도어(3)의 상기 도어 외부 패널(27)의 개구 후방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 시스템(13)은 상기 자동차 차체(2)의 공동(28) 내에, 특히 상기 자동차 차체(2)의 차체 패널(29)의 후방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 시스템(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 부품 내에 또는 장착 부품 상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부품과 상기 자동차 도어(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잠금 조립체(1), 특히 상기 자동차 잠금 장치(5)는 폐쇄 보조 시스템(30)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보조 시스템(30)에 의해 상기 자동차 도어(3)는 모터 구동식 폐쇄 보조 작동(32)에서 예비 폐쇄 도어 위치로부터 그 폐쇄 방향(31)으로 더 나아가 위치된 메인 폐쇄 도어 위치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보조 시스템(30)은 상기 푸시 오픈 시스템(9)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공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쇄 보조 시스템(30)과 상기 푸시 오픈 시스템(9)은 구동 움직임을 생성하기 위한 구동 모터(34)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12)은 상기 센서 시스템(13)을 한편으로는 자동차 도어(3)가 폐쇄된 경우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상기 폐쇄 보조 작동(32) 중에 자동차 도어(3)가 적어도 약간 개방된 경우에 상이하게 제어하고, 특히 상기 센서 시스템(13)의 상이한 감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잠금 장치(5)는 폐쇄 부분(36), 특히 폐쇄 클립을 갖는 잠금 래치(35) 및 상기 잠금 래치(35)에 할당되는 디텐트(37)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오픈 시스템(6)은 상기 잠금 래치(35)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시 오픈 작동(9)과 관련하여, 상기 자동차 도어(3)를 상기 푸시 오픈 도어 위치로 조절하는 것은 상기 푸시 오픈 시스템(6)을 통해 상기 잠금 래치(35)를 그 개방 방향(38)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폐쇄 보조 작동과 관련하여, 상기 자동차 도어(3)를 상기 메인 폐쇄 도어 위치로 조절하는 것은 상기 푸시 오픈 시스템(6)을 통해 상기 잠금 래치(35)를 그 폐쇄 방향(39)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보조 시스템(40)이 제공되고, 상기 개방 보조 시스템(40)에 의해 상기 디텐트(37)는 모터 구동식으로 리프팅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시 오픈 작동(9)과 관련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12)은 우선 상기 디텐트(37)의 모터 구동식 리프팅을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조립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 잠금 조립체(1)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12)에 의해, 상기 센서 시스템(13)을 통해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이 검출될 수 있고, 상기 제어 시스템(12)에 의해, 상기 사전 결정된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이 검출될 때 상기 푸시 오픈 작동(9)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12)에 의해 상기 푸시 오픈 작동은 상기 트리거 사용자 액션(14, 15)의 검출에 대해 제어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H)이 상기 맞물림 도어 에지(11)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맞물림 도어 에지(11)의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H)의 움직임이 계속되는 경우, 특히 움직임 속도가 변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푸시 오픈 작동(9)이 이미 트리거되거나, 이미 진행되거나 또는 이미 완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7012410A 2016-09-30 2017-09-27 자동차 잠금 조립체 KR20190062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2041A KR102456762B1 (ko) 2016-09-30 2017-09-27 자동차 잠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8685.6A DE102016118685A1 (de) 2016-09-30 2016-09-30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DE102016118685.6 2016-09-30
PCT/EP2017/074454 WO2018060226A1 (de) 2016-09-30 2017-09-27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041A Division KR102456762B1 (ko) 2016-09-30 2017-09-27 자동차 잠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494A true KR20190062494A (ko) 2019-06-05

Family

ID=599744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410A KR20190062494A (ko) 2016-09-30 2017-09-27 자동차 잠금 조립체
KR1020217032041A KR102456762B1 (ko) 2016-09-30 2017-09-27 자동차 잠금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041A KR102456762B1 (ko) 2016-09-30 2017-09-27 자동차 잠금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86706B2 (ko)
EP (1) EP3519653B8 (ko)
JP (1) JP7086059B2 (ko)
KR (2) KR20190062494A (ko)
CN (1) CN110073071A (ko)
DE (1) DE102016118685A1 (ko)
WO (1) WO20180602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951A (ko)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5371A1 (de) * 2014-03-22 2015-09-2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DE102016118685A1 (de) 2016-09-30 2018-04-05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DE102018010026A1 (de) * 2018-12-19 2020-06-25 Daimler Ag Fahrzeugtür für ein Kraftfahrzeug
CN111516637A (zh) * 2020-04-28 2020-08-11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汽车车门自动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8339B1 (fr) 2000-04-26 2003-06-13 Valeo Electronique Vehicule, en particulier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systeme permettant de commander un ouvrant a distance et systeme permettant la realisation d'une telle commande
JP4576837B2 (ja) * 2003-02-12 2010-1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作動装置
US8474886B2 (en) * 2003-07-09 2013-07-02 Kiekert Aktiengesellschaft Vehicle door latch
DE10361115A1 (de) * 2003-12-22 2005-07-21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Fernbedienung von Türen und/oder Klappen für Fahrzeuge und zugehöriges Fernbediensystem
DE102005017250A1 (de) * 2005-04-14 2006-06-14 Daimlerchrysler A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FR2920172B1 (fr) 2007-08-21 2009-12-04 Valeo Securite Habitacle Procede de deverrouillage automatiqu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pour systeme mains-libr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KR100887688B1 (ko) * 2007-11-29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드 셰이프에 의한 도어개폐 제어장치
JP5131546B2 (ja) * 2008-07-02 2013-01-30 オムロン株式会社 ドア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102137B2 (ja) * 2008-07-30 2012-12-19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車両ドアラッチ装置
US8376416B2 (en) * 2008-09-04 2013-02-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atch system for a door of an automobile
FR2936267A1 (fr) 2008-09-24 2010-03-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commande mains libres d'une trappe de fermeture d'un logement de rangement notamment pour un vehicule automobile, planche de bord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DE102009040395A1 (de) * 2009-09-07 2011-04-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Tür eines Fahrzeugs
DE102010060364A1 (de) * 2010-11-04 2012-05-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018847A1 (de) * 2011-04-27 2012-10-3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Verschlusselement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1101266B4 (de) * 2011-05-11 2020-06-0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für den Betrieb einer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JP2013028903A (ja) 2011-07-27 2013-02-0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
DE102012102724A1 (de) * 2012-03-29 2013-10-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8894103B2 (en) * 2012-06-29 2014-11-2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DE102012108004A1 (de) * 2012-08-30 2014-03-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icherheitssystem für eine Kraft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es mit mindestens zwei Sensoren
JP6007745B2 (ja) * 2012-11-20 2016-10-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駆動装置
DE102012025053A1 (de) * 2012-12-21 2014-06-26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DE102013012117B4 (de) * 2013-07-18 2015-12-03 D. la Porte Söhne GmbH Fahrzeugschloss mit Zuzieheinrichtung sowie 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Fahrzeugschloss
WO2015064471A1 (ja) * 2013-10-28 2015-05-07 アイシン精機 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6337440B2 (ja) * 2013-10-28 2018-06-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DE102013018594B4 (de) 2013-11-07 2022-04-2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Verschlusselement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3018838A1 (de) * 2013-11-08 2015-05-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ahrzeug mit einer Stell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Stell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Stellvorrichtung
DE102013114883A1 (de) * 2013-12-25 2015-06-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teuersystem für eine motorische Verschlusselement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JP6405639B2 (ja) 2014-02-06 2018-10-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DE102014205371A1 (de) 2014-03-22 2015-09-2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JP6251939B2 (ja) * 2014-04-10 2017-12-27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検出装置、及びドアハンドル装置
JP6459276B2 (ja) * 2014-07-30 2019-01-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KR101770249B1 (ko) * 2014-12-30 2017-08-22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08547B1 (ko) * 2015-06-26 2017-12-13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TW201803615A (zh) 2016-05-31 2018-02-01 賽諾菲阿凡提斯德意志有限公司 藥物輸送裝置的按鈕及組裝藥物輸送裝置的按鈕之方法
US10844639B2 (en) * 2016-05-31 2020-11-2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E-latch with mechanical backup and electronic override cancel feature
DE102016118685A1 (de) 2016-09-30 2018-04-05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951A (ko)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DE112021000048T5 (de) 2020-04-21 2022-04-28 Woobo Tech Co., Ltd. Elektrisches Schloss für eine Fahrzeugt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02996A1 (en) 2020-01-02
EP3519653B1 (de) 2021-03-03
KR102456762B1 (ko) 2022-10-19
EP3519653B8 (de) 2021-04-14
DE102016118685A1 (de) 2018-04-05
CN110073071A (zh) 2019-07-30
JP2019534963A (ja) 2019-12-05
WO2018060226A1 (de) 2018-04-05
EP3519653A1 (de) 2019-08-07
US11286706B2 (en) 2022-03-29
JP7086059B2 (ja) 2022-06-17
KR20210124537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2494A (ko) 자동차 잠금 조립체
RU26298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верью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истема открывания/закрыван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2959878B (zh) 车辆前车门电力打开系统
CN106437404B (zh) 用于控制车辆后车门的方法和系统
US7977903B2 (en) Electrically powered door actuating system of motor vehicle
CN203669511U (zh) 门把手装置
GB25388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 vehicle gate using a camera
JP2020537724A (ja) 自動車ドア用の開放装置
US20140244073A1 (en) Vehicle including automatic steering portion
US9790727B2 (en) Vehicle opening/closing body control device and opening/closing system for vehicle
US20130234828A1 (en) Sensor unit for actuating a vehicle door in a contactless fashion
GB2549341B (en) A vehicle door control arrangement to selectively move the door handle.
CN109334597B (zh) 基于磁流变阻尼器的汽车开门防撞装置及方法
CN111630243A (zh) 用于运行机动车的车身盖的驱动系统的方法
US20190040659A1 (en) Motor-Vehicle Door Handle
JPH0891128A (ja) 補助ステップの制御装置
JP2019124052A (ja) ドア開閉装置及びハンドル装置
CN115398074A (zh) 用于为机动车检测障碍物的系统
JP2005227242A (ja) 静電容量型センサ
JP2007308008A (ja) 車両ドアの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KR100488661B1 (ko) 탑승자 의도 감지식 도어 개폐장치
JP5440825B2 (ja) 車両用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JP2015148075A (ja) 開閉体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60057332A (ko) 가동형 웨이스트라인 몰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