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010A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010A
KR20190052010A KR1020197008818A KR20197008818A KR20190052010A KR 20190052010 A KR20190052010 A KR 20190052010A KR 1020197008818 A KR1020197008818 A KR 1020197008818A KR 20197008818 A KR20197008818 A KR 20197008818A KR 20190052010 A KR20190052010 A KR 20190052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prepreg sheet
reinforcing fibers
fixed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772B1 (ko
Inventor
다쿠지 가와무라
히로카즈 야마모토
히데아키 데시로기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64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for making non-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장대의 굴곡을 저해하지 않고 설치 부품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고정부의 외관이 양호한 낚싯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낚싯대는, 성형된 장대의 표면에 적재된 낚싯줄 가이드(10B)의 고정부(10a) 상에 강화 섬유를 평직상으로 편성해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30)를 권회하여 낚싯줄 가이드(10B)를 고정하고 있다. 프리프레그 시트(30)는, 강화 섬유(F1, F2)가 축 길이 방향 X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됨과 함께, 고정부(10a)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보다도, 고정부(10a)의 선단(10e)으로부터 앞의 장대 상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가 작아지도록 권회,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싯대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2016-191740(2016년 9월 29일 출원)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낚싯대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낚싯줄 가이드나 릴 시트 등의 설치 부품을 장대에 대하여 고정하는 낚싯대의 설치 부품의 고정 구조에 특징을 갖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릴을 장착하여 사용되는 낚싯대에는, 낚싯줄 가이드나 릴 시트 등의 부품(이하, 설치 부품이라고도 칭한다)를 장대 표면에 고정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설치 부품은, 장대 위에 적재한 상태에서 고정 실을 권회하고, 그 표면에 합성 수지를 도포하여 고정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고정 구조 이외에도,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강화 섬유를 평직상으로 편성하여 합성 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설치 부품의 고정부에 권회하고, 이것을 가열하여 합성 수지를 경화함으로써 설치 부품을 고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고정용 프리프레그 시트는, 강화 섬유가 낚싯대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0°, 90°로 배향한 상태에서 권회, 고정된다. 또한, 설치 부품인 릴 시트를 장대에 고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강화 섬유를 낚싯대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90°로 정렬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2-26474호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1-9408호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고정 구조에 사용되는 프리프레그 시트는,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부로부터 장대에 걸쳐서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층이 있기 때문에, 장대가 휘는 방향에 대하여 강성이 커서, 굴곡을 저해해 버린다. 또한, 복수개의 장대가 이어 붙여진 낚싯대에서는, 이어 붙임 상태/비 이어 붙임 상태로 할 때 낚싯줄 가이드 부분을 파지하여 장대끼리를 비트는 경우가 있고, 고정부에 비틂 방향의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고정부에 권회, 고정된 프리프레그 시트는, 주위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강화 섬유가 파손되기 쉬워, 충분한 비틀림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권회 작업 시에 있어서, 고정부의 선단 부근에서는, 장대 표면 사이에서 직경 변화하기 때문에, 강화 섬유가 0°, 90°로 배향한 프리프레그 시트에서는 형상 변화에 추종하기 어려워지고, 주름이 발생하여 외관이 저하된다.
상기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고정 구조에 사용되는 프리프레그 시트는, 강화 섬유가 주위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기 때문에, 비틂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고정부의 들뜸을 견고하게 억제할 수 있지 않아, 장대에 대한 고정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장대의 굴곡을 저해하지 않고 설치 부품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고정부의 외관이 양호한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성형된 장대의 표면에 적재된 설치 부품의 고정부 상에 강화 섬유를 평직상으로 편성해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여 상기 설치 부품을 고정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는, 상기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됨과 함께, 상기 고정부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보다도, 상기 고정부의 선단으로부터 앞의 장대 상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가 작아지도록 권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싯대는, 강화 섬유가 평직상으로 편성된 프리프레그 시트를, 설치 부품의 고정부 상에서,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한다는 점에서, 축 길이 방향의 강성을 억제하여 장대의 굴곡을 저해하는 것이 저감됨과 함께, 고정부에 있어서의 비틀림 강도가 커져, 설치 부품의 고정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권회 시에 형상 변화에 추종하기 쉬워진다. 특히, 상기 고정부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보다도, 상기 고정부의 선단으로부터 앞의 장대 상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가 작아지도록 권회,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권회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외관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고정부의 선단으로부터 앞측은, 강화 섬유의 방향이 상대적으로 축 길이 방향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강화 섬유가 일어서기 어려워지고, 고정부를 효과적으로 단단히 눌러서, 고정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강화 섬유를 평직상으로 편성한 프리프레그 시트는, 설치 부품의 고정부 영역에 권회할 때, 상기 고정부 상에서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주위 방향으로 권회하고, 고정부로부터 앞에서는, 낚싯대의 기단부측을 향하여 축 길이 방향으로 텐션을 가하면서 주위 방향으로 권회함으로써, 고정부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보다도, 상기 고정부의 선단으로부터 앞의 장대 상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직경 변화에 추종하면서 권회 상태로 되고, 프리프레그 시트가 열경화한 상태에서는,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깔끔한 외관이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대의 굴곡을 저해하지 않고 설치 부품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고정부의 외관이 양호한 낚싯대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낚싯대의 낚싯줄 가이드의 다리부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부를 장대에 대하여 고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부 영역에 권회, 고정된 프리프레그 시트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1)는, 원대(3), 중대(5) 및 초릿대(7)(각 장대를 장대라고도 칭한다)를 구비하고 있고, 각 장대는, 병계식에 의해 이어 붙임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1)에는, 원대(3)에 릴 시트(9)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원대(3), 중대(5) 및 초릿대(7)에는, 릴 시트(9)에 장착되는 릴(R)로부터 풀어내지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가 적소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원대(3)에 마련되는 낚싯줄 가이드를 10A로 나타내고, 중대(5)에 마련되는 낚싯줄 가이드를 10B로 나타내고, 초릿대(7)에 마련되는 낚싯줄 가이드를 10C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초릿대(7)의 선단에는, 톱 가이드(10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가이드(톱 가이드)(10A 내지 10D) 및 릴 시트(9)는, 장대의 표면(외주면)에 고정되는 설치 부품을 구성한다.
상기 원대(3), 중대(5) 및 초릿대(7)는, 바람직하게는 섬유 강화 수지제의 관상체로 구성되어 있고, 강화 섬유(주로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에,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의 합성 수지를 함침한 섬유 강화 수지 프리프레그(프리프레그 시트)를 코어 금속에 권회하고, 가열 공정을 거친 후, 탈중심하는 등, 통상적인 방법을 따라 소정 치수의 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장대에 대해서는, 중실상으로 구성하거나, 중실상의 코어재(예를 들어, 초탄성 합금 선재나, 초탄성 수지 재료)에 관상체를 이어 붙임 하는 등, 여러 가지 양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대는, 그 외표면이 도장 등 표면 처리되어 있고, 표면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한 설치 부품이 설치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설치 부품의 고정 방법 및 그 고정 구조에 대해서, 상기 낚싯줄 가이드(10B)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낚싯줄 가이드(10B)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낚싯대의 낚싯줄 가이드의 다리부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부를 장대에 대하여 고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고정부 영역에 권회, 고정된 프리프레그 시트의 확대도, 그리고,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된 장대(중대)(5)의 표면에, 설치 부품인 낚싯줄 가이드(10B)의 고정부(10a)를 적재하고, 그 상으로부터 열경화성 수지제의 시트 부재(프리프레그 시트)(30)를 권회하고, 또한, 긴장 체결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권회 상태를 고정한 후, 가열로에 넣어서 가열 처리를 행한다. 가열로 내에서는, 소정의 온도(열경화 온도)에 달하면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하여 낚싯줄 가이드(10B)가 장대 상에 고정된다.
이 경우, 고정부(10a)는, 장대(5)의 직경보다도 좁은 폭으로 축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면(10b)은, 평탄면 또는 장대와 상이한 곡률을 갖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최초로 장대(5)에 대하여 열경화성 수지제의 시트 부재를 권회해 두어도 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의 하면(10b)과 장대 표면(5a)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해도, 가열 시의 수지 플로에 의해 매립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장대 표면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30)는,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평직상으로 편성하고, 이것에 에폭시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페놀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한 시트상인 것이 사용된다. 즉, 평직상으로 편성된 프리프레그 시트(30)의 강화 섬유의 배향 방향은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고, 이 프리프레그 시트(30)를, 교차하고 있는 강화 섬유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재단하고, 이것을 장대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강화 섬유가 경사 배향되도록 권회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차하고 있는 강화 섬유(F1, F2)에 대하여 (+45°, -45°) 방향으로 되도록 프리프레그 시트(30)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재단하고, 이것을, 장대(5)의 축 길이 방향 X에 대하여 각 강화 섬유가 ±45° 기울도록 고정부(10a) 상에 권회하고 있다.
프리프레그 시트(30)의 권회수에 대해서는, 1플라이 이상이 되도록 재단되어 있으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플라이 이하로 고정부(10a)가 적재된 장대(5)에 권회된다. 이 경우, 장대에 대하여 2플라이 이상이 되면 중량화하거나 권회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에서, 권회수는 2플라이 이하로 하고, 낚싯줄 가이드(10B)의 고정부(10a)에서는, 1플라이 한 후의 겹침 마진이 존재하도록 권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부(10a)의 영역에 겹침 마진이 존재하도록 권회함으로써, 낚싯줄 가이드(10B)를 안정된(견고한) 고정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프리프레그 시트(30)를 고정부(10a) 상에 권회할 시에는, 고정부(10a)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보다도, 고정부(10a)의 선단(10e)으로부터 앞의 장대 상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가 작아지도록 권회된다. 도 4에서는, 고정부(10a)의 영역에서 강화 섬유(F1, F2)가 축 길이 방향 X에 대하여 ±45°로 권회, 고정되고, 고정부(10a)의 선단(10e)으로부터 앞에서는, 강화 섬유(F1´, F2´)가 축 길이 방향 X에 대하여 ±40° 정도로 되도록 권회,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부(10a)의 선단(10e)으로부터 앞에서는, 교차 각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그 부분의 굽힘 탄성이 높아져서 장대의 굴곡이 원활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부분의 교차 각도는 ±20° 이상 되면 된다.
또한, 고정부(10a)의 선단(10e)으로부터 장대 표면(5a)으로 이행하는 부분은, 큰 직경 변화가 발생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프리프레그 시트(30)를 그대로 권회하면 경계 부분에 주름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고정부(10a) 상에서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주위 방향으로 권회하면서, 고정부로부터 앞에서는, 낚싯대의 기단부측을 향하여 축 길이 방향으로 텐션을 가하면서 주위 방향으로 권회하고, 이 상태에서 긴장 체결 테이프로 고정하도록 한다. 이렇게 권회하면, 경계 영역에 있어서의 직경 변화 및 인장 상태에 의해, 정사각 형상의 그물눈이 인장되어서 마름모꼴상의 그물눈이 되고, 고정부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F1, F2)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보다도, 고정부의 선단으로부터 앞의 장대 상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F1´, F2´)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가 작아지도록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축 길이 방향으로 잡아늘이도록 권회한다는 점에서, 열경화한 상태에서는,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깔끔한 외관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고정부(10a)와 장대 표면(5a)의 사이에 큰 단차가 있으면, 권회 시에 단차 영역에서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는 점에서, 고정부(10a)에는, 선단을 향하여 점차 박육 형상으로 되도록 테이퍼(10f)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10a)의 선단(10e)으로부터 장대 상에 권회되는 프리프레그 시트(30)의 축 길이 방향 길이 L은, 2mm 내지 5mm의 범위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너무 짧으면 고정부가 떠서 박리되거나, 비틂 방향에 힘이 가해지면 파손되기 쉬워져 버리고, 반대로, 지나치게 길면 장대의 휨에 영향을 미쳐 버리기 때문에, 상기한 범위 내에 설정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30)를 고정부(10a)에 권회한 낚싯대는, 가열 처리함으로써 열경화성 수지가 화학 반응하고, 일정한 온도(경화 온도)가 되면 유동성이 없어져서 큐어되고, 낚싯줄 가이드(10B)가 장대 상에 고정된다. 프리프레그 시트(30)는, 강화 섬유가 평직상으로 편성되어 있어, 고정부(10a) 상에서는,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 X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권회 시에 형상 변화에 추종하기 쉬워 권회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고정 상태에서는, 장대의 굴곡을 저해하는 것이 저감되어, 고정부에 있어서의 비틀림 강도도 커지고, 낚싯줄 가이드의 고정 강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 상에서는, 강화 섬유가 ±45°로 되도록 권회 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위 방향 및 축 길이 방향에 밸런스가 좋은 고정 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고정부(10a)의 선단(10e)으로부터 앞측은, 강화 섬유의 방향이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축 길이 방향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강화 섬유가 일어서기 어려워지고, 고정부(10a)를 효과적으로 단단히 눌러서, 고정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30)는, 고정부(10a)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보다도, 고정부(10a)의 선단(10e)으로부터 앞의 장대 상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가 작아지도록 권회, 고정되기 때문에, 권회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외관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나는 낚싯대(1)는, 병계식으로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각 장대의 이어 붙임 구조는, 진출 방식, 역병계 방식, 스피곳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중대에 대해서는 복수개(2개 이상)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또한, 전체로서 1개 장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설치 부품에 대해서는, 낚싯줄 가이드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나타내는 릴 시트(9)를 고정할 때도, 상기한 고정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 상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경사 방향은, ±45°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일방측의 각도가 타방측의 각도보다도 큰 상태에서 권회되어 있어도 된다.
1: 낚싯대
3: 원대(장대)
5: 중대(장대)
7: 초릿대(장대)
9: 릴 시트(설치 부품)
10A, 10B, 10C: 낚싯줄 가이드(설치 부품)
10a: 고정부
30: 프리프레그 시트
F1, F2: 강화 섬유

Claims (9)

  1. 성형된 장대의 표면에 적재된 설치 부품의 고정부 상에 강화 섬유를 평직상으로 편성해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여 상기 설치 부품을 고정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는, 상기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됨과 함께, 상기 고정부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보다도, 상기 고정부의 선단으로부터 앞의 장대 상의 권회 영역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축 길이 방향에 대한 교차 각도가 작아지도록 권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는, 고정부 상에서는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로 되도록 권회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 앞에서는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에 대하여 ±20° 내지 ±40°로 되도록 권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는, 상기 고정부 상에 겹침 마진이 존재하도록, 1플라이 이상 권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선단으로부터 장대 상에 권회되는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의 축 길이 방향 길이는, 2mm 내지 5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는, 상기 장대에 2플라이 이하만큼 권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그 선단을 향하여 박육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품은, 릴 시트인, 낚싯대.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품은, 낚싯줄 가이드인, 낚싯대.
  9. 상기 장대 상에 설치 부품의 고정부를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로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상에서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주위 방향으로 권회하고, 고정부로부터 앞에서는, 낚싯대의 기단부측을 향하여 축 길이 방향으로 텐션을 가하면서 주위 방향으로 권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낚싯대에 있어서의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의 권회 방법.
KR1020197008818A 2016-09-29 2017-06-20 낚싯대 KR102436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1740 2016-09-29
JPJP-P-2016-191740 2016-09-29
PCT/JP2017/022731 WO2018061345A1 (ja) 2016-09-29 2017-06-20 釣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010A true KR20190052010A (ko) 2019-05-15
KR102436772B1 KR102436772B1 (ko) 2022-08-26

Family

ID=6176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818A KR102436772B1 (ko) 2016-09-29 2017-06-20 낚싯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02139B2 (ko)
EP (1) EP3520610B1 (ko)
JP (1) JP6894912B2 (ko)
KR (1) KR102436772B1 (ko)
CN (1) CN109788746B (ko)
WO (1) WO2018061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379B1 (ko) 2018-06-28 2023-11-0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설치 부품이 설치된 로드 몸체를 갖는 낚싯대
JP6995704B2 (ja) * 2018-06-28 2022-01-1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取付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竿体を有する釣竿
JP6995705B2 (ja) * 2018-06-29 2022-01-1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取付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竿体を有する釣竿
JP6921040B2 (ja) * 2018-07-18 2021-08-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取付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竿体を有する釣竿
JP7258643B2 (ja) * 2019-05-07 2023-04-17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7193440B2 (ja) * 2019-11-20 2022-12-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り用品用の湾曲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474U (ko) 1988-08-06 1990-02-21
JPH03126464U (ko) * 1990-04-04 1991-12-19
JP2009178132A (ja) * 2008-01-31 2009-08-13 Daiwa Seiko Inc 釣竿および釣竿の製造方法
JP2013202004A (ja) * 2012-03-29 2013-10-07 Globeride Inc 釣竿及び物品取付構造
JP2014045719A (ja) * 2012-08-31 2014-03-17 Globeride Inc 釣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8895A (en) * 1964-04-14 Protective wrappers for breakable articles
US1231150A (en) * 1917-04-19 1917-06-26 Harry G Gere Fishing-rod.
GB1028380A (en) 1964-12-07 1966-05-04 Samuel Merle Shobert Attachment for line guides on fishing rods
ES482752A0 (es) * 1978-07-14 1981-12-01 Netlon Ltd Metodo para conformar recubrimientos reticulares para el embalaje y similares de articulo.
JPS649408U (ko) 1987-07-06 1989-01-19
GB2326103B (en) * 1997-06-11 2001-07-04 You Chin San Fiber-reinforced rodlike article
JP2000106798A (ja) * 1998-10-01 2000-04-18 Shimano Inc 釣竿及びその製造方法
CA2365484A1 (en) * 2001-12-17 2003-06-17 Sport Maska Inc. Hockey stick blade with braided fibre envelope
JP2005229955A (ja) * 2004-02-23 2005-09-02 Shimano Inc 竿体への部品の装着方法
JP2006166841A (ja) 2004-12-17 2006-06-29 Shimano Inc 釣り竿
CN102834000A (zh) * 2010-02-18 2012-12-19 株式会社岛野 钓竿用钓线引导件(包含顶部钓线引导件)以及钓竿
JP6035186B2 (ja) 2013-03-29 2016-11-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を備える釣竿
KR101391116B1 (ko) 2013-07-23 2014-04-30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US9713322B2 (en) * 2014-03-27 2017-07-25 Globeride, Inc. Fishing rod having fitting mounted on rod bod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474U (ko) 1988-08-06 1990-02-21
JPH03126464U (ko) * 1990-04-04 1991-12-19
JP2009178132A (ja) * 2008-01-31 2009-08-13 Daiwa Seiko Inc 釣竿および釣竿の製造方法
JP2013202004A (ja) * 2012-03-29 2013-10-07 Globeride Inc 釣竿及び物品取付構造
JP2014045719A (ja) * 2012-08-31 2014-03-17 Globeride Inc 釣竿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1-9408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0610B1 (en) 2024-01-03
JP6894912B2 (ja) 2021-06-30
WO2018061345A1 (ja) 2018-04-05
EP3520610A1 (en) 2019-08-07
CN109788746A (zh) 2019-05-21
KR102436772B1 (ko) 2022-08-26
US20210127654A1 (en) 2021-05-06
US11602139B2 (en) 2023-03-14
EP3520610A4 (en) 2020-05-27
CN109788746B (zh) 2024-04-30
JPWO2018061345A1 (ja)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2010A (ko) 낚싯대
KR102436855B1 (ko) 낚싯대
EP2888938B1 (en) Reel seat having fiber-reinforced resin sheet in fixed ho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reel seat
JP6251070B2 (ja) 軸状複合部材の製造方法
US20150181851A1 (en) Reel seat having fiber-reinforced resin sheet in fixed ho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reel seat
KR100879904B1 (ko) 장대의 제조 방법
JP6715791B2 (ja) 取付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竿体を有する釣竿、管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94563A (ja) 釣竿
JP5171607B2 (ja) 釣り用スプールの製造方法
JP7105758B2 (ja) 取付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竿体を有する釣竿、管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272930B2 (ja) 釣竿及び釣糸ガイド
JP7126996B2 (ja) 釣糸ガイド、該ガイドを備える釣竿及び釣糸ガイドの成型方法
JP5112284B2 (ja) 釣り用スプール
JP7284734B2 (ja)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5308367B2 (ja) 釣糸ガイド
JPH09182547A (ja) 釣 竿
JP2020000146A (ja) 取付部品が取り付けられた竿体を有する釣竿
JP2010104335A (ja) 釣り竿
JPH11178481A (ja) 釣 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