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297A - 차량의 통풍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통풍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297A
KR20190044297A KR1020170136552A KR20170136552A KR20190044297A KR 20190044297 A KR20190044297 A KR 20190044297A KR 1020170136552 A KR1020170136552 A KR 1020170136552A KR 20170136552 A KR20170136552 A KR 20170136552A KR 20190044297 A KR20190044297 A KR 20190044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d
air flow
flow path
width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976B1 (ko
Inventor
김도형
임호섭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976B1/ko
Priority to US16/149,616 priority patent/US10625642B2/en
Priority to CN201811208494.7A priority patent/CN109693589B/zh
Priority to DE102018217909.3A priority patent/DE102018217909A1/de
Publication of KR2019004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42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with circulation of air through a layer inside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7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adhesion, e.g.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시트패드와 접착부재의 접합시 접착부재에는 시트패드의 공기유로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시트패드와 접착부재 간에 미접합 구간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시트패드와 접착부재 사이 틈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문제가 해소됨으로써 시트에 탑승자가 착좌하더라도 소음 발생에 의한 이질감 및 불쾌감이 제거되어 상품성이 향상되는 차량의 통풍시트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통풍시트 {VENTILATION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통풍시트에 있어서, 시트패드에 채널커버를 접합시 채널커버가 시트패드에 접착되지 못한 구간에서 발생되는 소음 문제가 해소된 차량의 통풍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가 착좌할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되며, 시트는 운전자의 등, 허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시트백과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시트 쿠션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는 운전자가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둔부, 등, 허리 부분에서 땀이 배출되어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가 불쾌감을 느꼈다.
이에 따라,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에게 바람을 송풍하는 통풍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통풍 장치는 시트백 및 시트쿠션에 구비된 통풍경로를 통해 바람을 송풍하여 시트백과 시트쿠션에 탑승자가 접촉한 부위로 공기가 공급되어 냉방 기능과 더불어 쾌적한 승차감을 확보하도록 한다.
여기서, 시트백 및 시트쿠션을 이루는 쿠션부에는 통풍경로가 형성되고, 통풍경로의 공기가 세어나가지 않도록 별도의 커버가 구비된다. 이러한 커버는 접착소재를 통해 쿠션부에 접합되는데, 쿠션부와 접착소재 사이에 틈이 발생될 경우 해당 부분에서 접착소재가 점착과 이탈을 반복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1999-091456 A (1999.04.0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쿠션부와 접착소재 간의 미접합 구간을 제거하여 쿠션부와 접착소재 사이의 틈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문제가 해소된 차량의 통풍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풍시트는 하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로가 함몰 형성된 시트패드; 판형으로 형성되고, 시트 패드의 하면부에 밀착되어 공기유로를 덮는 채널커버; 및 시트패드와 채널커버 사이에 개재되고, 시트패드의 하면부와 채널커버의 상면부에 접합되며, 공기유로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시트패드의 공기유로는 시트패드의 하면부에서 다수의 경로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접착부재의 관통홀은 공기유로의 형상과 동일하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통홀의 폭은 공기유로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유로의 하면부에서 공기유로가 함몰되는 지점의 입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입구부의 폭이 공기유로의 내부 폭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 관통홀의 폭은 입구부의 양끝단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패드의 하면부에서 공기유로가 함몰되는 지점의 입구부에는 공기유로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접촉부가 형성되고, 관통홀의 폭은 접촉부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촉부는 시트패드의 하면부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착부재는 Acrylic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Rubber PSA 또는 Hot Melt PS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통풍시트는 시트패드와 접착부재의 접합시 접착부재에는 시트패드의 공기유로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시트패드와 접착부재 간에 미접합 구간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시트패드와 접착부재 사이 틈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문제가 해소됨으로써 시트에 탑승자가 착좌하더라도 소음 발생에 의한 이질감 및 불쾌감이 제거되어 상품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풍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통풍시트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통풍시트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통풍시트에 따른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통풍시트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풍시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통풍시트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통풍시트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통풍시트에 따른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통풍시트에 관한 것으로, 통풍시트에는 공기유로(12)가 형성된 시트패드(10)가 구비되고, 시트패드(10)에 채널커버(20)가 접합됨으로써 공기유로(12)로 공기가 유동되되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시트패드(10)의 하측으로 블로워 유닛이 구비되며, 블로워 유닛은 채널커버(20)를 관통하여 공기유로(12)와 연통되게 연결됨으로써 공기유로(12)로 통풍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풍시트는 공기유로(12)에서 탑승자측으로 연통된 통기홀, 채널커버(20)에서 블로워 유닛이 관통되는 설치홀 등 통상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식하지 않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본 발명의 대해 설명시 시트패드(10)와 채널커버(20)가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재(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풍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로(12)가 함몰 형성된 시트패드(10); 판형으로 형성되고, 시트 패드(10)의 하면부에 밀착되어 공기유로(12)를 덮는 채널커버(20); 및 시트패드(10)와 채널커버(20) 사이에 개재되고, 시트패드(10)의 하면부와 채널커버(20)의 상면부에 접합되며, 공기유로(12)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관통홀(32)이 형성된 접착부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트패드(10)는 시트 쿠션 또는 시트백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며, 시트 쿠션에 적용시 시트패드(10)의 하면부에 공기유로(12)가 형성될 수 있고, 시트백에 적용시 시트패드(10)의 하면부는 후면부가 되어 후면부에 공기유로(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패드(10)에는 공기유로(12)가 형성되고, 채널커버(20)가 시트패드(10)의 하면부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시트패드(10)와 채널커버(20) 사이에는 접착부재(30)가 개재되어 시트패드(10)와 채널커버(20)가 접착부재(30)에 의해 결합된다. 즉, 접착부재(30)의 상면부에는 시트패드(10)의 하면부가 접합되고, 접착부재(30)의 하면부에는 채널커버(20)의 상면부가 접합됨으로써 접착부재(30)를 중심으로 시트패드(10)와 채널커버(20)가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접착부재(30)에는 시트패드(10)와 채널커버(2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공기유로(12)와 대응되는 부분에 관통홀(32)이 형성되고, Acrylic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Rubber PSA 또는 Hot Melt PS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시트패드(10)는 공기유로(12)가 형성된 부분이 접착부재(30)의 관통홀(32)에 의해 접착되지 않음에 따라 탑승자가 착좌하더라도 공기유로(12)가 형성된 주변에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가 접착과 이탈이 반복됨에 따른 소음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에 대해서 덧붙여 설명하면, 시트패드(10)에 공기유로(12)를 성형시 제조상 특성에 의해 공기유로(12) 주연이 깍여져 굴곡진 경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패드(10)와 접착소재(80)가 상호 접합되지 못하는 미접착 구간이 발생되며, 종래의 접착소재(80)를 그대로 적용시 탑승자의 착좌 상황에 따라 미접착 구간을 통해 시트패드(10)와 접착소재(80)가 접착과 이탈을 반복하여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부재(30)에는 공기유로(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32)이 형성됨으로써 미접착 구간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해소되어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의 접착 및 이탈에 의한 소음 문제가 해소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시트패드(10)의 공기유로(12)는 시트패드(10)의 하면부에서 다수의 경로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접착부재(30)의 관통홀(32)은 공기유로(12)의 형상과 동일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시트패드(10)의 공기유로(12)는 탑승자의 착좌 자세에 부합되도록 다수의 경로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일실시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재(30)의 관통홀(32)은 공기유로(12)의 형상과 동일하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시트패드(10)의 공기유로(12)가 형성된 주변으로 접착부재(30)와 접촉이 회피됨에 따라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 간의 접착과 이탈에 의한 소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로서, 관통홀(32)의 폭은 공기유로(1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재(30)의 관통홀(32) 폭은 시트패드(10)의 공기유로(12) 폭과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공기유로(12)와 관통홀(32)은 직선상으로 연장되게 연결될 수 있다. 만약, 접착부재(30)의 관통홀(32)의 폭이 시트패드(10)의 공기유로(12) 폭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될 경우 탑승자의 착좌에 의한 시트패드(10)의 가압시 시트패드(10)가 변형되어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가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트패드(10)의 복원시 시트패드(10)가 접착부재(30)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부재(30)의 관통홀(32) 폭은 시트패드(10)의 공기유로(12)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시트패드(10)가 변형되더라도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의 접착 상태는 유지되되 관통홀(32)이 형성된 부분으로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의 접촉이 회피됨에 따라 소음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소된다.
한편, 제2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패드(10)의 하면부에서 공기유로(12)가 함몰되는 지점의 입구부(14)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입구부(14)의 폭이 공기유로(12)의 내부 폭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 관통홀(32)의 폭(a)은 입구부(14)의 양끝단 폭(b)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패드(10)의 하면부에는 공기유로(12)가 함몰 형성되는데, 공기유로(12)가 함몰되는 시작지점에 따른 입구부(14)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경우 관통홀(32)의 폭(a)이 입구부(14)의 양끝단 폭(b)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가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시트패드(10)의 입구부(14)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경우 탑승자의 착좌에 의한 시트패드(10)의 가압시 시트패드(10)가 변형되어 라운드지게 형성된 입구부(14)가 접착부재(30)에 순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트패드(10)의 복원시 시트패드(10)의 입구부(14)가 접착부재(30)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패드(10)의 입구부(14)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경우 접착부재(30)에 형성되는 관통홀(32)의 폭(a)을 입구부(14)의 양끝단 폭(b)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시트패드(10)가 변형되더라도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의 접착 상태는 유지되되 관통홀(32)이 형성된 부분으로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의 접촉이 회피됨에 따라 소음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소된다.
한편, 제3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패드(10)의 하면부에서 공기유로(12)가 함몰되는 지점의 입구부(14)에는 공기유로(12)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접촉부(16)가 형성되고, 관통홀(32)의 폭(c)은 접촉부(16) 사이의 이격거리(d)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16)는 시트패드(10)의 하면부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접착부재(30)가 시트패드(10)의 하면부와 접촉부(16)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시트패드(10)의 공기유로(12)에는 접촉부(16)를 형성하고, 관통홀(32)의 폭(c)을 접촉부(16) 사이의 이격거리(d)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시트패드(10)가 변형되더라도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 간의 접착 및 이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탑승자의 착좌에 의해 시트패드(10)의 변형시, 공기유로(12)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접촉부(16)가 접착부재(30)에 접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시트패드(10)가 변형되더라도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 간의 접착과 이탈의 반복됨이 회피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통풍시트는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의 접합시 접착부재(30)에는 시트패드(10)의 공기유로(12)와 대응되는 관통홀(32)이 형성됨으로써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30) 간에 미접합 구간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시트패드(10)와 접착부재 사이 틈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문제가 해소됨으로써 시트에 탑승자가 착좌하더라도 소음에 의한 이질감 및 불쾌감이 제거되어 상품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시트패드 12:공기유로
14:입구부 16:접촉부
20:채널커버 30:접착부재
32:관통홀

Claims (7)

  1. 하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로가 함몰 형성된 시트패드;
    판형으로 형성되고, 시트 패드의 하면부에 밀착되어 공기유로를 덮는 채널커버; 및
    시트패드와 채널커버 사이에 개재되고, 시트패드의 하면부와 채널커버의 상면부에 접합되며, 공기유로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통풍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패드의 공기유로는 시트패드의 하면부에서 다수의 경로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접착부재의 관통홀은 공기유로의 형상과 동일하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풍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관통홀의 폭은 공기유로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풍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패드의 하면부에서 공기유로가 함몰되는 지점의 입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입구부의 폭이 공기유로의 내부 폭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 관통홀의 폭은 입구부의 양끝단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풍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패드의 하면부에서 공기유로가 함몰되는 지점의 입구부에는 공기유로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접촉부가 형성되고,
    관통홀의 폭은 접촉부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풍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촉부는 시트패드의 하면부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풍시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착부재는 Acrylic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Rubber PSA 또는 Hot Melt P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풍시트.
KR1020170136552A 2017-10-20 2017-10-20 차량의 통풍시트 KR10198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52A KR101987976B1 (ko) 2017-10-20 2017-10-20 차량의 통풍시트
US16/149,616 US10625642B2 (en) 2017-10-20 2018-10-02 Ventilation seat of vehicle
CN201811208494.7A CN109693589B (zh) 2017-10-20 2018-10-17 车辆的通风座椅
DE102018217909.3A DE102018217909A1 (de) 2017-10-20 2018-10-19 Belüfteter Fahrzeugsitz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52A KR101987976B1 (ko) 2017-10-20 2017-10-20 차량의 통풍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297A true KR20190044297A (ko) 2019-04-30
KR101987976B1 KR101987976B1 (ko) 2019-06-11

Family

ID=6599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552A KR101987976B1 (ko) 2017-10-20 2017-10-20 차량의 통풍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25642B2 (ko)
KR (1) KR101987976B1 (ko)
CN (1) CN109693589B (ko)
DE (1) DE102018217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7695A (zh) * 2015-12-22 2018-08-03 株式会社塔捷斯 车辆用座椅
CN114435208A (zh) * 2021-12-09 2022-05-06 深圳斯诺凡科技有限公司 一种座椅通风系统及其总成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456A (ja) 1997-09-18 1999-04-0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内装材
JP2008279995A (ja) * 2007-05-14 2008-11-20 Bridgestone Corp 車両用シートパッド
JP2010100173A (ja) * 2008-10-23 2010-05-06 Nicca Chemical Co Ltd 車両用座席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3086B2 (en) * 2002-07-03 2005-05-17 W.E.T. Automotive Systems Ltd. Automotive vehicle seat insert
US6857697B2 (en) * 2002-08-29 2005-02-22 W.E.T. Automotive Systems Ag Automotive vehicle seating comfort system
US7114771B2 (en) * 2004-05-25 2006-10-03 Amerigon, Inc. Climate controlled seat
CN1970338A (zh) * 2005-11-10 2007-05-30 W.E.T.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具有减震层的汽车座椅
DE102008063850A1 (de) * 2008-12-19 2010-07-01 Tesa Se Polster eines, insbesondere aktiv, klimatisierten Sitz- oder Liegemöbels
DE102012009295A1 (de) * 2011-05-12 2013-01-03 W.E.T. Automotive System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Wärm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6212387A1 (de) * 2016-05-27 2017-11-30 Lear Corporation Sitz-Stützschichtanordnung
US10625643B2 (en) * 2017-06-14 2020-04-21 Gentherm Gmbh Conditioning system with blower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of attach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456A (ja) 1997-09-18 1999-04-0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内装材
JP2008279995A (ja) * 2007-05-14 2008-11-20 Bridgestone Corp 車両用シートパッド
JP2010100173A (ja) * 2008-10-23 2010-05-06 Nicca Chemical Co Ltd 車両用座席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93589A (zh) 2019-04-30
CN109693589B (zh) 2021-06-15
KR101987976B1 (ko) 2019-06-11
US20190118683A1 (en) 2019-04-25
US10625642B2 (en) 2020-04-21
DE102018217909A1 (de)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8862B2 (ja) シート
US7506938B2 (en) Automotive vehicle seating comfort system
WO2005096891A1 (ja) 車両用シート
JP6337735B2 (ja) 乗物用シート
WO2018079041A1 (ja) 通風シートおよび座席空調装置
GB2429404A (en) Vehicle seat cushion with air plenum
CN111791766B (zh) 通风座椅的通道盖及其制造方法
WO2005084493A1 (ja) 通風装置
KR101987976B1 (ko) 차량의 통풍시트
JP6423732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9093843A (ja) 車両用シート
JP4347646B2 (ja) クッションパッド
JP2012001134A (ja) 車両用シート
JP2003235676A (ja) 車両の座席構造
JP5855403B2 (ja) 空調シート
JP5994674B2 (ja) 車両用シート
JP6930289B2 (ja) シート
JP6838429B2 (ja) 空調シート
JP2016132350A (ja) 乗物用空調シート
JP5569172B2 (ja) 送風機能付シート
KR101601547B1 (ko) 시트의 통풍장치
US20240174144A1 (en) Seat pad
JP2003237444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06346359A (ja) シート用張地、及び車両用シート
KR101781476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