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475A - 전도체 단자 - Google Patents

전도체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475A
KR20190041475A KR1020197005536A KR20197005536A KR20190041475A KR 20190041475 A KR20190041475 A KR 20190041475A KR 1020197005536 A KR1020197005536 A KR 1020197005536A KR 20197005536 A KR20197005536 A KR 20197005536A KR 20190041475 A KR20190041475 A KR 2019004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tal
clamping spring
metal part
conductor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999B1 (ko
Inventor
한즈-요제프 쾰만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4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01R4/481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성 재료 하우징(2, 32) 및 접촉 요소(5, 35)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체(15)를 클램핑하는 전도체 단자(1, 31)에 관한 것이다. 접촉 요소(5, 35)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스프링(8)이 내부에 배치된 시트 금속 부분(6, 36)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성 재료 하우징(2, 32)은 각각의 클램핑 스프링(8)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안내 채널(12)을 포함한다. 개구(21)가 시트 금속 부분(6, 36) 내에 제공되어 관련된 삽입 안내 채널(12) 내로 도입되는 전기 전도체(15)를 수용한다. 절연성 재료 하우징(2, 32)은 삽입 안내 채널(12)을 한정하고 개구(21) 내로 연장되는 채널 측벽(1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도체 단자
본 발명은 절연성 재료 하우징 및 접촉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는 전도체 단자로서, 접촉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스프링이 상부에 배열된 시트 금속 부분을 갖는, 전도체 단자에 관한 것이다. 절연성 재료 하우징은 특정 클램핑 스프링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안내 채널을 갖는다. 개구가 관련된 삽입 안내 채널 내로 삽입되는 전기 전도체를 수용하도록 시트 금속 부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시트 금속 부분 그리고 시트 금속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고, 시트 금속 부분의 루트 영역(root area)에서 시트 금속 부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도체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전도체 단자는 예를 들어, 다수의 전기 전도체가 공유된 접촉 요소의 도움에 의해 서로에 전기 전도성 연결되는, 소켓 단자의 형태로 알려져 있다.
제EP 1 855 353 B1호는 스프링강 시트 그리고 이러한 스프링강 시트 내에 장착되는 버스바(busbar)를 포함하는, 이러한 타입의 전도체 단자를 기재한다.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지점은 판 스프링 설부(tongue)의 자유 단부와 버스바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판 스프링 설부는 그 설부 루트가 스프링강 시트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스프링강 시트로부터 절결된다. 버스바는 V자형 수용 공간 내로 삽입된다. 판 스프링 설부의 길이는 클램핑 지점이 폐쇄되어 비어 있을 때에 그 설부 단부가 스프링강 시트의 윈도 리세스(window recess)를 통과하여 버스바의 하부측에 인접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치수를 갖는다.
제DE 40 03 701 A1호는 클램핑 림 섹션(clamping limb section)의 방향으로 V자의 형상으로 벤딩되고, 그에 따라 중공부를 형성하는, 접촉 적용 시트를 포함하는 장비 단자를 보여준다. 이것은 장비 단자 내로 합체되는 플러그 연결부의 소켓 부분의 하나의 측방 절반부를 나타내는, 접촉 적용 시트의 성형된 표면을 형성한다.
제DE 196 54 523 A1호는 버스바 로드(rod) 그리고 판 스프링이 설부의 방식으로 스탬핑되고, 그 스탬핑된 설부 단부가 버스바 로드에 대향하여 배향되는, 스프링강 시트로부터 형성되는, 전도체 단자를 개시한다.
이것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다중-와이어 전도체의 클램핑을 개선하는, 개선된 전도체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5, 11 및 15의 특징부를 갖는 전도체 단자에 의해 성취된다. 유리한 특정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다.
절연성 재료 하우징은 삽입 안내 채널을 한정하고 개구 내로 연장되는 채널 측벽을 가질 것이 제안된다. 채널 측벽이 이제 시트 금속 부분의 개구 내로 돌출한다는 사실로 인해, 특히 개구를 통한 다중-와이어 전도체의 개선된 안내가 가능해진다. 스트랜드는 이들 채널 측벽의 도움에 의해 클램핑 지점을 넘어 함께 보유된다.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할 때에, 채널 측벽이 전도체 삽입 방향으로 클램핑 지점을 넘어 클램핑될 전기 전도체의 측방 안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스트랜드의 변위가 예를 들어 클램핑 스프링에 의한 힘의 적용으로 인해, 방지되거나, 적어도 변위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시트 금속 부분은 개구의 영역에서 벤딩될 수 있다. 채널 측벽은 그에 따라 시트 금속 부분의 벤딩된 섹션 내의 개구를 통과한다. 이것은 전도체 단자의 매우 소형의 특정 실시예 그리고 전도체의 양호한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서로로부터 특정 거리에 배치되고, 개구 내로 삽입되는, 2개의 채널 측벽이 각각의 삽입 안내 채널에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양쪽 측면 상에서 전도체를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채널 측벽이 특히 외부 채널 측벽에 대해 T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거나, 그것들이 H자형, 즉 이중 T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들 H자형의 단면을 갖는 채널 측벽은 특히 나란히 위치되는 삽입 안내 채널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T자형 및 H자형의 단면은 소형 설계에서 채널 측벽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대안으로서 또는 이러한 접근법과 조합하여, 시트 금속 부분은 루트 영역에서 아치형일 것이 제안된다. 아치는 클램핑 스프링의 주 연장 방향에 횡단방향으로 배향되는 아치의 홈의 홈 기부를 갖는다. 이러한 아치는 클램핑 스프링 설부의 설부 루트 영역에 존재하고 또한 개구를 한정하는 측면 웨브로 전이되는, 시트 금속 부분의 인접 부분 내에 위치된다. 스탬핑 후의 클램핑 스프링의 스프링 탄성은 이러한 아치의 도움에 의해 개선된다. 클램핑 스프링은 즉 우선 아치에서 클램핑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벤딩되고 이어서 탄성 변형된다. 클램핑 스프링의 길이가 그에 의해 단축될 수 있거나, 매우 낮은 높이를 갖는 전도체 단자가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다중-와이어 전도체를 삽입할 때에, 아치는 전도체가 클램핑 스프링의 탄성 부분과 충돌하고, 그에 따라 전기 전도체가 삽입될 때에 클램핑 스프링이 이미 탄성 변형된다는 사실을 초래한다. 이것은 이러한 타입의 아치를 갖지 않는 전도체 단자에 비해, 다중-와이어 전도체의 스트랜드가 변위될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또한 아치로 인해, 시트 금속 부분의 스프링 탄성이 시트 금속 부분의 루트 영역에서 증가되고, 전기 전도체가 클램핑될 때에 시트 금속 부분이 측면 웨브와 함께, 스프링-탄성 변형가능하다는 점에서 성취된다.
클램핑 스프링의 루트 영역으로부터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단부까지의 클램핑 스프링의 중간 연장부는 클램핑 스프링의 주 연장 방향으로서 간주된다. 클램핑 스프링의 주 연장 방향은 시트 금속 부분의 루트 영역과 지지 섹션 사이에서 삽입 안내 채널 내에 위치되는 클램핑 스프링의 영역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핑 스프링의 주 연장 방향은 삽입 안내 채널 내의 시트 금속 부분의 측면 웨브 및 지지 섹션에 의해 한정되는 클램핑 스프링의 영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는 것이 또한 고려가능하다.
시트 금속 부분에는 루트 영역에서 2개의 아치가 제공된다는 것이 고려가능하다. 이들 2개의 아치는 서로에 인접하고 서로에 반대방향으로, 즉 S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클램핑 스프링의 탄성 효과를 강화시킨다. 제2 아치는 기본적으로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단부의 방향으로 제1 아치에 인접할 수 있다. 클램핑 스프링의 주 연장 방향으로, 클램핑 스프링의 경로의 일종의 유사성이 이러한 S자형 설계로 인해, 횡단방향 웨브 또는 전도체 삽입 영역과 대면하는 횡단방향 웨브의 표면에 대해 일어난다. 클램핑 스프링의 주 연장 방향의 경로는 기본적으로 삽입 안내 채널 내에, 즉 지지 섹션과 측면 웨브 또는 클램핑 스프링의 루트 영역 사이의 영역에 있다.
따라서, 제1 아치 및 제2 아치는 클램핑 스프링의 비-편향 상태에서, 클램핑 스프링의 주 연장 방향이 평행하게, 즉 루트 영역에 인접한 시트 금속 부분의 횡단방향 웨브의 표면에 대해 또는 횡단방향 웨브의 길이방향 연장 방향 또는 클램핑 스프링의 라인-업 방향에 직각으로 있는 횡단방향 웨브의 횡단방향 배향에 대해, +/- 10˚ 대략 평행하게 배향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아치의 홈은 클램핑 스프링이 돌출되는 시트 금속 부분의 측면에 대향하는 시트 금속 재료의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스프링은 시트 금속 부분의 재료로부터 단일 피스로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스프링은 이어서 시트 금속 부분으로부터 해제(예컨대 절결 또는 스탬핑)되고, 시트 금속 부분의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된다. 개구가 이어서 시트 금속 부분의 평면 내에 존재한다. 이러한 개구는 시트 금속 부분으로부터의 클램핑 스프링의 제거로 인해 남고 2개의 측면 웨브에 의해 한정되는 윈도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 금속 부분이 그것으로부터 형성되는 클램핑 스프링과 함께, 전기 전도체의 스프링-탄성 클램핑에 기여하는, 상당한 재료-보존성을 갖는 전도체 단자가 제공될 수 있다.
시트 금속 부분은 클램핑 스프링의 자유 단부에 대향하는 전기 전도성 버스바를 보유할 수 있다. 전기 전도체가 놓이고 클램핑 스프링의 스프링력으로 인해 클램핑되는, 이러한 타입의 별개의 버스바의 제공은 개선된 전류 전달이 예를 들어, 더 높은 구리 함량을 갖는 또 다른 전기 전도성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보증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대안으로서, 클램핑 지점은 또한 클램핑 스프링과 클램핑 스프링에 대향하는 시트 금속 부분의 웨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전도체 단자는 시트 금속 부분이 수용되는,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절연성 재료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이어서, 예를 들어, 하우징 부분과 결합할 수 있는, 커버 부분에 의해 폐쇄된다. 커버 부분은 그에 따라 특정 클램핑 스프링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안내 채널을 갖는다.
채널 측벽은 커버 부분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대응 도면에 의해 예로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전도체 단자의 제1 특정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클램핑된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는, 도 1로부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2로부터의 단자 전도체를 위한 접촉 요소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전도체 단자의 제2 특정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으로부터의 접촉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 2 및 4로부터의 전도체 단자의 커버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전도체 단자를 위한 하우징 부분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전도체 단자의 하우징 부분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로부터의 하우징 부분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6으로부터의 커버 부분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6으로부터의 커버 부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5로부터의 접촉 요소의 시트 금속 부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2-열 전도체 단자를 위한 접촉 요소의 제2 특정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으로부터의 접촉 부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3 및 14로부터의 접촉 부분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3 내지 15로부터의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전도체 단자의 2-열 특정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으로부터의 전도체 단자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6으로부터의 전도체 단자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는 제1, 단일-열 전도체 단자(1)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전도체 단자(1)는 하우징 부분(3)으로부터 형성되는, 절연성 재료 하우징(2) 그리고 전방 측면 상의 하우징 부분(3)을 폐쇄하는, 커버 부분(4)을 갖는다. 커버 부분(4)은 하우징 부분(3) 내로 삽입되어 그것과 결합된다. 시트 금속 부분(6) 및 버스바(7)를 갖는, 접촉 요소(5)가 하우징 부분(3) 내로 도입된다. 시트 금속 부분(6)은 시트 금속 부분(6)으로부터 해제(예컨대 절결 또는 스탬핑)되어 시트 금속 부분(6)의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는, 클램핑 스프링(8)을 갖는다. 클램핑 스프링(8)을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함으로써, 측면 웨브(9)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가 시트 금속 부분(6) 내에 남는다. 클램핑 스프링(8)의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단부는 클램핑 단부를 형성하고, 클램핑 단부는 예컨대 비어 있는 아이들 상태(idle state)에서, 버스바(7) 상에 놓이고 버스바(7)와 함께 클램핑 단부(10)와 버스바(7) 사이에 클램핑되는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지점을 형성한다.
시트 금속 부분은 U자의 형상으로 벤딩되고, 클램핑 단부(10)에 인접한 버스바(7)를 위한 지지 섹션(11)을 갖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커버 부분(4)은 채널 측벽(13)에 의해 한정되는, 삽입 안내 채널(12)을 갖는다. 커버 부분(4)의 채널 측벽(13)은 클램핑 스프링(8)을 넘어 시트 금속 부분(6)의 개구 내로 측방으로 연장된다. 채널 측벽(13)은 전도체 삽입 방향(L)으로 시트 금속 부분(6) 뒤로 돌출되어 전도체 포획 포켓(14) 내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또한 시트 금속 부분(6)의 측면 웨브(9)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핑 지점을 넘는 클램핑될 전기 전도체의 측방 안내가 제공된다. 또한, 클램핑 스프링(8)은 중심에 설정되어 측방으로 안내된다.
도 1로부터의 전도체 단자(1)는 이제 도 2에서 분명하게 보이고, 이러한 경우에 삽입 및 클램핑된 전기 전도체(1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기 전도체(15)는 전기 전도성 전도체 코어(17)를 포위하는, 절연성 재료 외피(16)를 갖는다. 전기 전도체(15)의 박리된 단부는 채널 측벽(13)을 따라 측방으로 시트 금속 부분(6)의 측면 웨브(9)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를 통해 안내되어 전도체 포획 포켓(14) 내로 진입한다. 클램핑 스프링(8)은 이제 버스바(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그 클램핑 모서리(10)가 전기 전도체(15) 상에 있는 상태로 놓인다는 것이 분명하게 보인다. 전기 전도체(15)는 그 박리된 단부가 클램핑 모서리(10)의 정반대에 있는 버스바(7)의 측면 상에 있는 상태로 놓인다. 전기 전도체(15)는 클램핑 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해 버스바(7)에 대항하여 가압되고, 전기 전도체(15)는 클램핑 스프링(8)의 예리한-모서리를 갖는 클램핑 모서리(10)에 의해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클램핑 스프링(8)은 버스바(7)의 이러한 클램핑 위치에서, 루트 영역(18)에서, 즉 프레임형 시트 금속 부분(6)으로의 전이부에서 볼록형 아치를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아치형 섹션을 갖는 루트 영역(18)은 스프링 탄성에 그리고 필요한 스프링력의 적용에 크게 기여한다.
도 1에 비교될 때에, 그 루트 영역(18)을 갖는 시트 금속 부분(6)은 대향 버스바(7)로부터 약간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된다는 것이 또한 명백하다. 인접 측면 웨브(9)를 포함하는, 루트 영역(18)이 또한 스프링 탄성에 현저하게 기여한다.
루트 영역(18)에 대향하여, 시트 금속 부분(6)은 개구를 한정하는, 측면 웨브(9)가 클램핑된 전기 전도체(15)의 길이방향 연장 방향에 횡단방향(90˚ +/- 10˚)으로 연장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2개의 벤드가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절첩된다. 클램핑 스프링(8)의 클램핑 단부(10)는 전도체 삽입 방향(L)으로 관찰될 때에, 아이들 위치(도 1)로부터 측면 웨브(9)의 이러한 수평 섹션으로부터 상류에 있는 클램핑 위치(도 2)로 이동한다.
클램핑 스프링(8)은 시트 금속 부분(6)의 측면 웨브(9) 및 지지 섹션(11)에 의해 한정되는 클램핑 스프링(8)의 영역 내의 삽입 안내 채널(12)에서 클램핑 스프링(8)의 중간 배향에 의해 한정되는, 주 연장 방향(H)으로 연장된다는 것이 또한 명백하다.
도 3은 시트 금속 부분(6)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클램핑 스프링(8)은 예리한-모서리를 갖는 클램핑 단부(10)가 지지 섹션(11) 상에 놓이는, 아이들 상태에 있다.
시트 금속 부분(6)은 루트 영역(18)에서, 즉 횡단방향 웨브(20)로부터 클램핑 스프링(8)으로의 전이부에서 아치형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아치는 S자형이고, 즉 그것은 제1 아치(29)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아치(30)로 구성된다. 이들 아치(29, 30) 중 적어도 하나는 홈(19)을 갖고, 그 홈 기부는 클램핑 스프링(8)의 주 연장 방향(H)에 횡단방향으로 배향된다. 제1 아치(29)는 클램핑 스프링(8) 상에 그리고 또한 인접 측면 웨브(9) 상에 존재한다. 제3 아치(40)가 횡단방향 웨브(20)와 측면 웨브(9) 사이의 전이부 내에 존재한다. 제1 및 제3 아치(29, 40)가 또한 S자형이고, 즉 서로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클램핑 스프링(8)은 우선 클램핑 단부(10)로부터 출발하여, 아이들 상태에서 각도 α로 루트 영역(18)에서 벤딩되고, 이어서 각도 β로 벤딩된다. 이들 2개의 곡률 반경 α 및 β는 상이하다. 각도 α는 예를 들어, 38˚ +/- 2˚의 영역 내의 각도를 가질 수 있고, 각도 β는 41.5˚ +/- 1˚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클램핑 스프링(8)에 인접하여, 측면 웨브(9)는 우선 지지 레그(11)의 평면의 방향으로 일단 하향으로 벤딩되고 이어서 만곡된다. 이러한 만곡 각도는 90˚보다 클 수 있고, 대략 120˚ +/- 20˚의 영역 내에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스탬핑에 의해, 클램핑 스프링(8)(예컨대 스프링 설부)을 해제할 때에, 루트 영역(18)에서의 클램핑 스프링(8)의 필요한 안정화는 이러한 설명된 아치에 의해 성취된다. 도시된 벤딩 각도 α, β로 다시 클램핑 스프링(8)을 벤딩하는 것은 탄성 예비변형을 발생시키고, 이것은 클램핑 스프링(8)의 스프링력을 개선하고, 클램핑 스프링(8)을 단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매우 낮은 높이를 갖는 전도체 단자(1)를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삽입된 전기 전도체(15)가 남아 있는 시트 금속 부분(6) 내의 슬릿을 통해 시트 금속 부분(6)의 해제된 영역에서만 클램핑 스프링(8)과 충돌하고, 클램핑 스프링은 그에 따라 삽입된 전기 전도체(15)의 충돌 시에 스프링-탄성 방식으로 변형된다.
루트 영역(18)에 인접한 시트 금속 부분(6)의 횡단방향 웨브(20)는 지지 섹션(11)의 평면에 대해 각도 γ로 경사져 있다는 것이 또한 분명하게 보인다. 이러한 각도 γ는 예를 들어, 38˚ +/- 2˚의 영역 내에 있을 수 있다.
횡단방향 웨브(20)는 삽입 안내 채널(12)과 대면하는, 표면(41)을 갖는다. 클램핑 스프링(8)의 표면(41) 및 주 연장 방향(H)은 서로에 대해 대략 평행한 위치를 갖는다. 횡단방향 웨브(20)의 횡단 방향은 서로에 기본적으로 평행한 그 길이방향 연장 방향 및 주 연장 방향에 직각으로 되어 있다.
클램핑 스프링(8)의 주 연장 방향(H)은 삽입 안내 채널(12)의, 즉 전도체 리셉터클의 영역에서 시트 금속 부분(6)의 루트 영역(18)과 지지 섹션(11) 사이에 위치된다는 것이 또한 분명하게 보인다.
제2 특정 실시예의 전도체 단자(1)가 도 4에서 분명하게 보인다. 제1 예시 실시예의 설명이 기본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예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접촉 요소(5)는 별개의 추가적인 버스바(7)를 갖지 않는 시트 금속 부분(6)만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체(15)는 클램핑 스프링(8)의 도움에 의해 시트 금속 부분(6)의 지지 섹션(11)에 클램핑된다.
위에서 설명된 전도체 단자(1)의 시트 금속 부분(6)의 사시도가 도 5에서 분명하게 보인다. 나란히 위치되는, 다수의 클램핑 스프링(8)이 시트 금속 부분(6)으로부터 해제되고, 특정 루트 영역(18)에 인접한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대향 지지 섹션(11)을 향해 측면 웨브(9)에 의해 횡단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클램핑 스프링(8)의 해제로 인해 남아 있는 측면 웨브(9)는 개구(21)를 한정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측면 웨브(9)는 루트 영역(18)에 인접한 측면 웨브(9)의 평면에 직각으로 벤딩되고 이어서 지지 섹션(11)과 함께 전도체 삽입 방향(L)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절첩된다. 클램핑 스프링(8)(클램핑 설부)은 측면 웨브(9)의 수직 섹션에 의해 횡단되는 평면 앞에서, 전도체 삽입 방향(L)으로 관찰될 때에, 특정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지지 섹션(11)은 버스바(7)(도시되지 않음)가 지지될 수 있는, 전도체 삽입 방향(L)으로 관찰될 때에, 클램핑 스프링(8)의 특정 클램핑 단부(10) 뒤에서 돌출 노즈(nose)(22)(재료 탭)를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버스바(7)는 이들 노즈(22)와 측면 웨브(9) 사이의 중간 공간 내에 폼-피팅 방식으로 보유될 수 있다.
도 6은 특정 삽입 안내 채널(12)을 측방으로 한정하는, 채널 측벽(13)을 포함하는, 커버 부분(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나란히 배열되는 삽입 안내 채널(12)의 2개의 인접 채널 측벽(13)이 연결 웨브(23)에 의해 서로에 각각 연결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연결 웨브(23)는 이어서 측면 웨브(9)에 의해 한정되는 시트 금속 부분(6) 내의 개구 내로 삽입되는, 더 좁은 러그(24) 앞에서 종료된다. 웨브(9)는 이어서 커버 부분(4)의 연결 웨브(23)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는 러그(24)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커버 부분(4)은 절연성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하우징 부분(3)에 커버 부분(4)을 래칭하는 적절한 래칭 요소를 갖는다. 2개의 외부 채널 측벽(13)은 T자형의 단면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연결 웨브(23)를 포함하는, 중간 쌍의 채널 측벽(13)은 H자형, 즉 이중 T자형의 단면을 갖는다. 관찰된 단면은 러그(24) 뒤의 주 영역 내에 있다.
도 7은 단일-열 전도체 단자(1)의 하우징 부분(3)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래칭 돌출부(25)가 하우징 부분(3)의 내부 상에 존재하고, 커버 부분(4)을 래칭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래칭 탭(26)이 또한 하우징 부분(3)의 단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커버 부분(4)의 대응 래칭 개구 내로 진입한다. 도 5에 도시된 시트 금속 부분(6)으로부터 형성되는 접촉 요소 그리고 아마도 버스바(7)는 하우징 부분(3)의 내부 내로 삽입된다. 하우징 부분(3)은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커버 부분(4)에 의해 폐쇄된다.
도 8은 도 7로부터의 하우징 부분(3)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시험 개구(27)가 하우징 부분(3)의 후방부 상에 존재하고, 시트 금속 부분(6)의 측면 웨브(9)로 이어진다는 것이 명백하다. 접촉 요소에 존재하는 전위는 전기 전도성 시험 도구를 삽입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도 9는 위로부터 관찰될 때의, 하우징 부분(3)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우징 부분(3)은 나란히 배열되는, 후방 영역 내의 다수의 전도체 포획 포켓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하우징 부분(3)의 내부 내로 이어지는, 시험 개구(27)가 또한 분명하게 보인다.
도 10은 위로부터 관찰될 때의, 커버 부분(4)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삽입 안내 채널(12)은 커버 부분(4)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단부까지 연장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삽입 안내 채널(12)은 우선 확장된 섹션을 갖고 이어서 원뿔 테이퍼형 방식으로 테이퍼형 섹션으로 전이된다. 삽입 안내 채널(12)은 채널 측벽(13)에 의해 한정되고, 원뿔 테이퍼형 부분을 넘어 추가로 연장되고, 더 좁은 러그(24)에서 종료된다. 채널 측벽(13)의 재료 두께는 러그(14)로부터 전방 측면으로 확장된다. 인접 삽입 안내 채널(12)의 정반대에 있는 채널 측벽(13)은 연결 웨브(23)에 의해 단일 피스를 형성하도록 서로에 각각 연결된다. 연결 웨브(23) 및 채널 측벽(13)은 동일한 절연성 재료로부터 형성되므로, 채널 측벽(13) 및 연결 웨브(23)는 단면도에서 별개인 것처럼 보이지 않고, 이러한 재료 섹션의 양쪽 대향 표면 상에서, 채널 측벽을 포함하는, 넓혀진 섹션으로서 보일 수 있다.
도 11은 삽입 안내 채널(12)의 관점으로부터 관찰될 때의 커버 부분(4)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3-극 전도체 단자(3)를 위한 이러한 커버 부분(4)에서, 삽입 안내 채널(12)은 나란히 배열되고, 연결 웨브(23)를 갖는 채널 측벽(13)에 의해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이 명백하다. 각각의 삽입 안내 채널(12)은 특정 삽입 안내 채널(12) 내로 삽입되는 전기 전도체(15)를 클램핑할 목적을 위해 삽입 안내 채널(12)의 연장 방향에 횡단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램핑 스프링(8) 및 공유된 버스바(7)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핑 지점으로 이어진다.
도 12는 위에서 설명된 전도체 단자(1)의 시트 금속 부분(6)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클램핑 설부를 형성하는, 클램핑 스프링(8)이 시트 금속 부분(6)으로부터 절결되고, 그에 따라 클램핑 설부를 형성하고, 한편 측면 웨브(9)가 남아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들 측면 웨브(9)는 공유된 횡단방향 웨브(28)를 통해 루트 영역에서 서로에 연결되고, 그에 따라 시트 금속 부분(6)은 프레임형 구조를 갖는다.
측면 웨브(9)는 수직 섹션으로 직각으로 상향으로 절첩되고, 지지 섹션(11)으로 전이된다는 것이 또한 명백하다. 이러한 지지 섹션(11)은 측면 웨브(9) 사이의 노즈(22)가 특정 개구(21) 내에 임의로 배열되는, 측면 웨브(9)를 연결하는 횡단방향 웨브를 또한 포함한다.
도 13은 2-열 전도체 단자(31)를 위한 시트 금속 부분(36)의 또 다른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다. 위에서 논의된 실시예가 기본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지지 섹션(11)은 측면 웨브(9)의 수직 개구(21) 또는 수직 섹션의 평면 내에 배열되고, 특정 횡단방향 웨브(28)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고 서로에 경면대칭되도록 배열되는, 2개 그룹의 클램핑 스프링(8)을 연결한다. 클램핑 스프링(8)의 대향 그룹의 클램핑 설부(8)는 서로를 향해 대각선으로 돌출되고, 지지 섹션(11)의 방향으로 배향된다.
도 3에 도시된 아치는 양쪽 측면 상에 존재한다.
도 14는 도 13으로부터의 시트 금속 부분(36)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경우에, 2개의 클램핑 스프링(8)이 상하로 배열되고, 시트 금속 부분(36)의 수직 섹션에서 중심 지지 섹션(11)을 향해 배향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15는 중심 지지 섹션(11)의 관점으로부터 관찰될 때의 도 13 및 14의 시트 금속 부분(36)의 도면을 도시한다. 클램핑 스프링(8)의 클램핑 단부(10)는 중심 테이퍼형 방식으로 둔각으로 배열된다는 것이 상당히 명백하게 분명하게 보인다. 클램핑 스프링(8)의 클램핑 단부(10)는 그에 따라 직선형 클램핑 모서리를 갖지 않고 대신에 삼각형 클램핑 모서리를 갖는다. 클램핑된 전기 전도체를 비틀어 인출하려는 시도가 수행되면, 전기 전도체는 회전 방향에 따라, 클램핑 단부의 하나의 또는 다른 모서리 상으로 활주하고, 그에 따라 전도체 삽입 방향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는 나선 형상이 발생한다. 전기 전도체를 비틀어 인출하는 것이 그에 따라 어렵다. 클램핑 단부(10)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는 극의 개수와 무관하게 그리고 또한 접촉 요소(5) 및 절연성 재료 하우징(2, 32)의 설계와 무관하게 각각의 전도체 단자(1, 31)에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전도체(15)를 위한 2개 열의 스프링 클램핑 연결부가 양쪽 대향 클램핑 스프링(8)에 의해 제공된다는 것이 또한 명백하다.
도 16은 이러한 타입의 2-열 전도체 단자(31)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절연성 재료 하우징(32)은 결국 하우징 부분(33) 및 커버 부분(34)을 포함하는, 2개-부분 설계를 갖는다. 그것은 이제 단일-열 특정 실시예의 높이의 대략 2배이다. 커버 부분(34)은 상하로 배치되는 2개의 삽입 안내 채널(12) 그리고, 극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그러한 나란한 쌍의 삽입 안내 채널(12)을 갖는 것이 명백하다.
채널 측벽(13)은 또 다시 커버 부분(34) 상에 존재하고, 시트 금속 부분(6) 내의 개구를 통해 돌출한다.
2-열 전도체 단자(31)의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버스바(37)는 더 이상 판-형상이 아니고 U자의 형상으로 벤딩되는 시트 금속 부분으로서 설계된다는 것이 또한 분명하게 보인다. 이러한 버스바(37)는 이어서 재료 탭(22)을 포함하는, 지지 섹션(11)이 버스바(37)에 의해 양쪽 측면 상에서 포위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지지 섹션(11) 내로 구축된다.
도 17은 도 16으로부터의 2-열 전도체 단자(31)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또 다시 시험 개구(27)가 하우징 부분(33) 내에 존재하고, 시트 금속 부분(36)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18은 도 16으로부터의 2-열 전도체 단자(31)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다수의 삽입 안내 채널(12)이 일렬로 연속하여 커버 부분(34) 내로 도입되고, 2개의 그러한 열의 삽입 안내 채널이 상하로 그 내에 도입된다는 것이 분명하게 보인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6-극의 전도체 단자(31)가 제공된다.
그러나, 2-극, 4-극, 8-극 등의 전도체 단자의 변형예, 즉 다른 정수개의 극을 갖는 전도체 단자가 또한 고려가능하다.
전도체 단자 1, 31
절연성 재료 하우징 2, 32
하우징 부분 3, 33
커버 부분 4, 34
접촉 요소 5
시트 금속 부분 6, 36
버스바 7, 37
클램핑 스프링 8
측면 웨브 9
클램핑 단부 10
지지 섹션 11
삽입 안내 채널 12
채널 측벽 13
전도체 포획 포켓 14
전기 전도체 15
절연성 재료 외피 16
전도체 코어 17
루트 영역 18
홈 19
횡단방향 웨브 20
개구 21
노즈 22
연결 웨브 23
러그 24
래칭 돌출부 25
래칭 탭 26
시험 개구 27
횡단방향 웨브 28
제1 아치 29
제2 아치 30
제3 아치 40
표면 41
전도체 삽입 방향 L
주 연장 방향 H

Claims (16)

  1. 절연성 재료 하우징(2, 32)을 포함하고 접촉 요소(5, 35)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체(15)를 클램핑하는 전도체 단자(1, 31)로서, 접촉 요소(5, 35)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스프링(8)이 상부에 배열된 시트 금속 부분(6, 36)을 갖고, 절연성 재료 하우징(2, 32)은 특정 클램핑 스프링(8)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안내 채널(12)을 갖고, 개구(21)가 관련된 삽입 안내 채널(12) 내로 삽입되는 전기 전도체(15)를 수용하도록 시트 금속 부분(6, 36) 내에 존재하는, 전도체 단자(1, 31)에 있어서, 절연성 재료 하우징(2, 32)은 삽입 안내 채널(12)을 한정하고 개구(21) 내로 연장되는 채널 측벽(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2. 제1항에 있어서, 시트 금속 부분(6, 36)은 개구(21)의 영역에서 벤딩되고, 채널 측벽(13)은 시트 금속 부분(6, 36)의 벤딩되지 않은 섹션 내의 개구(21)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3. 제2항에 있어서,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서로로부터 특정 거리에 배치되고, 개구(21) 내로 삽입되는 2개의 측벽(13)이 각각의 삽입 안내 채널(12)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 측벽(13)은 T자형 또는 H자형 설계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5. 시트 금속 부분(6, 36) 그리고 시트 금속 부분(6, 36)으로부터 돌출되어 시트 금속 부분(6, 36)의 루트 영역(18)에서 시트 금속 부분(6, 36)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스프링(8)을 포함하는 전도체 단자(1, 31)에 있어서, 시트 금속 부분(6, 36)은 루트 영역(18)에서 아치형이고, 아치는 클램핑 스프링(8)의 주 연장 방향에 횡단방향으로 배향되는 홈(19)의 홈 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6. 제5항에 있어서, 아치의 홈(19)은 시트 금속 부분(6, 36)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클램핑 스프링(8)으로부터 돌출되는 시트 금속 부분(6, 36)의 측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스프링(8)은 시트 금속 부분(6, 36)의 재료로부터 단일 편으로서 형성되고, 클램핑 스프링(8)은 시트 금속 부분(6, 36)으로부터 해제되어 시트 금속 부분(6, 36)의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고, 개구(21)가 시트 금속 부분(6, 36)의 평면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 금속 부분(6, 36)은 클램핑 스프링(8)의 자유 단부에 대향하는 전기 전도성 버스바(7, 37)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 금속 부분(6, 36)은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클램핑 스프링(8)을 갖고, 버스바(37, 7)는 클램핑 스프링(8)의 라인-업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체 단자(1, 31)는 시트 금속 부분(6, 36)이 수용되는, 하우징 부분(3, 33)을 포함하는 절연성 재료 하우징(2, 32), 및 하우징 부분(3, 33)을 폐쇄하는 커버 부분(4, 34)으로서, 커버 부분(4, 34)은 특정 클램핑 스프링(8)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안내 채널(12)을 갖는, 커버 부분(4, 3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11. 시트 금속 부분(6) 그리고 시트 금속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시트 금속 부분(6)의 루트 영역(18)에서 시트 금속 부분(6)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스프링(8)을 포함하는 전도체 단자(1, 31)에 있어서, 시트 금속 부분(6)은 루트 영역(18)에서 제1 아치(29) 및 제2 아치(30)를 갖고, 이들 2개의 아치(29, 30)는 서로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아치(29) 및 제2 아치(30)는 클램핑 스프링(8)의 비-편향 상태에서, 클램핑 스프링(8)의 주 연장 방향(H)이 루트 영역(18)에 인접한 시트 금속 부분(6)의 횡단방향 웨브(20)의 표면(41)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13. 제12항에 있어서, 클램핑 스프링(8)의 주 연장 방향(H)은 시트 금속 부분(6)의 루트 영역(18)과 지지 섹션(11) 사이에서 삽입 안내 채널(12) 내에 위치되는 클램핑 스프링(8)의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14. 제12항에 있어서, 클램핑 스프링(8)의 주 연장 방향(H)은 시트 금속 부분(6)의 측면 웨브(9) 및 지지 섹션(11)에 의해 삽입 안내 채널(12) 내에 한정되는 클램핑 스프링(8)의 영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15. 횡단방향 웨브(20), 루트 영역(18)을 보유한 클램핑 스프링(8) 그리고 측면 웨브(9)를 갖는, 시트 금속 부분(6)을 포함하는 전도체 단자(1, 31)로서, 클램핑 스프링(8) 및 측면 웨브(9)는 루트 영역(18)으로부터 돌출되는, 전도체 단자(1, 31)에 있어서, 횡단방향 웨브(20)와 클램핑 스프링(8) 사이의 연결부는 루트 영역(18)에서 제1 아치(29) 및 제2 아치(30)를 갖고, 제1 아치(29) 및 제2 아치(30)는 서로에 대향하여 연장되도록 설계되고, 횡단방향 웨브(20)와 측면 웨브(9) 사이의 연결부는 제1 아치(29) 및 제3 아치(40)를 갖고, 제1 아치(29) 및 제3 아치(40)는 서로에 대향하여 연장되도록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도체 단자(1, 31)로서, 시트 금속 부분(6)은 횡단방향 웨브(20), 루트 영역(18)을 보유한 클램핑 스프링(8) 그리고 측면 웨브(9)를 갖는, 전도체 단자(1, 31)에 있어서, 측면 웨브(9) 및 클램핑 스프링(8)은 아치(29, 30, 40)에 의해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단자(1, 31).
KR1020197005536A 2016-09-02 2017-08-28 전도체 단자 KR102514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6510.7A DE102016116510A1 (de) 2016-09-02 2016-09-02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6116510.7 2016-09-02
PCT/EP2017/071541 WO2018041774A2 (de) 2016-09-02 2017-08-28 Leiteranschlussklem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475A true KR20190041475A (ko) 2019-04-22
KR102514999B1 KR102514999B1 (ko) 2023-03-29

Family

ID=5970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536A KR102514999B1 (ko) 2016-09-02 2017-08-28 전도체 단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024988B2 (ko)
EP (2) EP3507866B1 (ko)
JP (1) JP7080876B2 (ko)
KR (1) KR102514999B1 (ko)
CN (1) CN109690875B (ko)
DE (1) DE102016116510A1 (ko)
ES (1) ES2946240T3 (ko)
PL (1) PL3507866T3 (ko)
RU (1) RU2739591C2 (ko)
WO (1) WO20180417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49469U (zh) * 2017-05-16 2017-09-21 Switchlab Inc 用於接線端子之插線輔助套結構
BR202019016911Y1 (pt) * 2019-08-14 2024-03-12 Gridspertise Latam S.A Bloco de conexão elétrica
DE202019105887U1 (de) * 2019-10-23 2021-01-2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zum Anschließen eines elektrischen Leiters und Set aus einer Leiteranschlussklemme und einem elektrischen Leiter
DE102020104417B4 (de) 2020-02-19 2022-08-11 Bjb Gmbh & Co. Kg Anschlussklemme
CN111585062A (zh) * 2020-05-21 2020-08-25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一种新型接线端子
DE102020120151A1 (de) 2020-07-30 2022-02-0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bindungsklemme zum Verbinden elektrischer Leiter
DE102020120150A1 (de) 2020-07-30 2022-02-0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iteranschlussklemme, Verwend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Leiteranschlussklemme
CN114824889A (zh) * 2022-05-09 2022-07-29 东莞市晨名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弯折压迫和弯折导电片方式的自耦合导线接线器
CN116779233B (zh) * 2023-08-24 2023-10-24 济南富利通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轨道式母线主干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221A (ko) * 2006-04-21 2007-10-25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기 클램프용 절연물 하우징
KR20070104220A (ko) * 2006-04-21 2007-10-25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기 연결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3668A (en) * 1951-06-21 1955-07-19 Hart Mfg Co Quick detachable electrical connector
US2720634A (en) * 1954-01-15 1955-10-11 Hart Mfg Co Quick detachable electrical connector
DE2317040C3 (de) * 1973-04-05 1980-01-31 Wago-Kontakttechnik Gmbh, 4950 Minden Steckklemme zum Verbinden starrer elektrischer Leiter
FR2480037A1 (fr) * 1980-04-04 1981-10-09 Legrand Sa Appareillage electrique a connexion automatique, notamment pour conducteurs electriques
US4482198A (en) * 1982-11-08 1984-11-13 Amp Incorporated Shunt
DE4003701C2 (de) 1990-02-05 1996-04-18 Wago Verwaltungs Gmbh Elektr. Anschlußklemme
EP0616386A3 (en) * 1993-03-18 1996-03-13 Tadao Tozuka Plug-in connector.
US5758952A (en) * 1996-07-26 1998-06-02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Lampholder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DE19654523C2 (de) 1996-12-19 2003-10-09 Wago Verwaltungs Gmbh Verbindungsklemme mit mindestens zwei Klemmstellen zum Anschließen elektrischer Leiter
DE19654611B4 (de) * 1996-12-20 2004-09-3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ß für elektrische Leiter
US6746286B2 (en) * 2002-03-06 2004-06-08 Ideal Industries, Inc. Push-in wire connector
US6832938B2 (en) * 2002-12-13 2004-12-2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wire release member
DE20303537U1 (de) * 2003-03-05 2003-05-15 Electro Terminal Ges M B H & C Schraubenlose Dosenklemme
DE102004030085B4 (de) * 2004-06-22 2013-09-2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Klemme zum Anschluß elektrischer Leiter und Klemmenanordnung
DE102006010309B4 (de) * 2006-03-07 2008-01-2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Dosenklemme
DE102007017593B4 (de) * 2006-04-28 2011-07-2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32423 Elektrische Anschluß- und Verbindungsklemme
DE102007024690B4 (de) * 2007-05-25 2009-06-0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ß- oder Verbindungsklemme
US7507106B2 (en) * 2007-06-14 2009-03-24 Ideal Industries, Inc. Push-in wire connector with improved busbar
US7972166B2 (en) * 2007-06-29 2011-07-05 The Patent Store, Llc Waterproof push-in wire connectors
US7722384B2 (en) * 2007-07-09 2010-05-25 Ideal Industries, Inc. In-line push-in wire connector
EP2483969B1 (en) * 2009-09-29 2017-01-25 Ideal Industries Inc. One-piece conductive clip for push-in wire connector
JP5679551B2 (ja) * 2010-10-07 2015-03-04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US20120208394A1 (en) * 2011-02-15 2012-08-16 Heavy Power Co., Ltd. Reusable double-contact electrical wire connector for single-and multi-thread wires
US8187023B1 (en) * 2011-05-13 2012-05-29 Uta Auto Industrial Co., Ltd. Wire connector with two spring plates
DE102011056410B4 (de) * 2011-12-14 2013-06-2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CN202888496U (zh) * 2012-09-10 2013-04-17 深圳立讯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US9105991B1 (en) * 2012-10-17 2015-08-11 Steve W. Bliss Crimpless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102012219741A1 (de) * 2012-10-29 2014-04-30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Kontakt und Steckverbinder mit einem solchen elektrischen Kontakt
CN202888495U (zh) * 2012-10-31 2013-04-17 蔡添庆 一种分体式结构连接器
DE102014102517B4 (de) * 2014-02-26 2021-06-1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bindungsklemme und Federkraftklemmkontakt hierzu
RU2576463C1 (ru) * 2015-01-20 2016-03-10 Дмитрий Анатольевич Семаков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лемм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ов
DE102016111536A1 (de) * 2016-06-23 2017-12-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Kontakteinsatz einer Federkraftanschlussklemme sowie damit ausgebildete Federkraftanschlussklemme
JP6931223B2 (ja) * 2017-07-25 2021-09-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221A (ko) * 2006-04-21 2007-10-25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기 클램프용 절연물 하우징
KR20070104220A (ko) * 2006-04-21 2007-10-25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기 연결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80876B2 (ja) 2022-06-06
DE102016116510A1 (de) 2018-03-08
PL3507866T3 (pl) 2023-08-21
KR102514999B1 (ko) 2023-03-29
US20190199011A1 (en) 2019-06-27
US11024988B2 (en) 2021-06-01
EP3507866B1 (de) 2023-04-26
CN109690875A (zh) 2019-04-26
RU2739591C2 (ru) 2020-12-28
CN109690875B (zh) 2021-05-28
RU2019103673A (ru) 2020-10-02
JP2019530143A (ja) 2019-10-17
EP4224635A1 (de) 2023-08-09
WO2018041774A3 (de) 2018-04-26
RU2019103673A3 (ko) 2020-10-07
ES2946240T3 (es) 2023-07-14
WO2018041774A2 (de) 2018-03-08
EP3507866A2 (de)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4999B1 (ko) 전도체 단자
KR102434680B1 (ko) 전기 도체의 접촉-연결을 위한 스프링 단자 접촉부, 도체 연결 단자, 및 스프링 단자 접접부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EP2483969B1 (en) One-piece conductive clip for push-in wire connector
CN101325288B (zh) 具有改进的母线的压入式接线器
US10014596B2 (en) Conductor terminal
EP0017330B1 (en) A barrier terminal block for the interconnection of electrical wires
KR20180078239A (ko) 연결 클램프
CN112670724A (zh) 连接接线端子和用于其的弹簧接线端子触头
CA109898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 plurality of wires and connecting them to other components
CN107666095B (zh) 汇流排连接器以及套件
CN109326913B (zh) 高电流电气端子
US3437983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ounting means therefor
EP0321285A1 (en) Bidirectional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N107026333B (zh) 用于轨装式接线端子的横向连接器
CN107394424B (zh) 弹簧接线端子
US3665373A (en) Push-in connector switch
EP0232591B1 (en) Multicircuit electrical connector
US3202959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housing
US6616476B1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with at least one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element consisting of a sheet metal stamping, and corresponding mating connector
EP0390449A2 (en) Electrical connector
EP0101290B1 (en) Multigaug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contacts therefor
CN113113786A (zh) 接线端子
US20150349476A1 (en) Multiport terminal with current bars
KR920007538B1 (ko) 전기 콘넥터
US6045391A (en) Multi-pole connecting terminal for electrical condu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