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538B1 - 전기 콘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538B1
KR920007538B1 KR1019870010727A KR870010727A KR920007538B1 KR 920007538 B1 KR920007538 B1 KR 920007538B1 KR 1019870010727 A KR1019870010727 A KR 1019870010727A KR 870010727 A KR870010727 A KR 870010727A KR 920007538 B1 KR920007538 B1 KR 92000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hannel
groove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601A (ko
Inventor
후루사 찰스
사라 헤베
Original Assignee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 세이트칙 filed Critical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콘넥터
제1도는 암콘넥터의 횡단면도이다.
제2도는 암단자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3-3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4-4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2도의 5-5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제6도는 단자의 전선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캡을 제거한 수콘넥터의 횡단면도이다.
제8도는 수단자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 : 암단자 12 : 태브수용 리셉터클부
13, 13′ : 몸통부 14, 82 : 전선연결부
15, 15′ : 연장부 16 : 베이스(base)
29, 29′ : 통로 31, 32 : 전선수용홈
39 : 록킹러그/지주(strut) 51,72 : 하우징
57 : 공구수용구멍 71 : 수단자
74 : 태브(tab)
본 발명은 전기콘넥터 및 전기콘넥터의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넥터들은 전선수용홈을 포함하는 전선연결부를 가진 단자들을 포함하는데, 단자가 미리 설치된 절연 하우징의 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공구를 사용하여 전선을 강제로 단자의 전선 수용홈에 삽입시켜, 전선을 종단접속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전선수용홈 대신에 압착 페루울(ferrule)을 가지는 단자들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일한 설계의 하우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런 페루울들은 전선의 절연체를 죌 수 있도록 반경 크기가 크게 되어 있어, 전선의 심선(cere)이 단자와 정확히 일치되게 한다.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 통로의 바닥에는 페루울도 수용할 수 있도록 단이 진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징에 전선 수용홈을 포함하는 전선연결부가 사용되면 홈을 형성하는 단자의 부분과 하우징 사이에 틈새가 생겨서, 바닥에 대해서 수직인 삽입행정을 갖는 공구를 사용하여 전선을 홈에 삽입할 때에 가해지는 힘 때문에 그 부분 및 홈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전선수용 홈을 형성하는 콘넥터의 부분에 하우징 바닥에 맞닿는 지주를 설치하여 공구의 전선삽입 행정시에 그 부분의 붕괴를 방지한다.
다른 특징은 하우징의 공구수용구멍을 통하여 공구를 삽입하므로써 하우징에 2열로 미리 설치된 단자들에 전선들을 종단접속하는 것이다. 선행의 발명에서는 각 열에 전선을 종단접속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양쪽면에 두 개의 진입구멍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한 열의 전선을 종단접속한 후에 하우징을 뒤집어 다른 쪽의 구멍이 공구와 일치되게 하거나 두 개의 삽입방향에서 작용하는 복잡한 공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이 두 번째 특징에 의해 하우징에 전선 연결부들이 모두 하우징의 한쪽면에만 있는 공구수용구멍 아래에 정렬되도록 단자들의 전선연결부를 길이방향으로 엇갈린 상태로 제1 및 제2열 즉 상, 하열에 설치되게 제작되어서, 단일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삽입행정을 갖는 공구에 의하여 두열로 전선들을 종단접속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조립용 공구의 사용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높아지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접촉부와 전선연결부의 폭이 상이한 단자구조를 갖게 하여 단자들을 하우징 안에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암, 수단자들을 각기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암, 수콘넥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단자(11,11′)들을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며, 단일의 얇은 금속판소재로부터 스탬핑 및 성형되며, 몸통부들(13,13′)(길이가 다름)에 의하여 전선연결부(14)에 연결된 태브수용 리셉터클부(12)를 포함한다. 각 태브수용 리셉터클부(12)는 태브 삽입종단의 베이스(16)위에서 서로 마주보고 구부러진 채널 측벽의 자유단들의 제1 및 제2의 연장부(15,15′) 쌍들을 각각 가진 통상 채널 부분으로 이루어져, 태브 제한입구(17)를 형성하고 제2의 연장부(15′)로부터 앞쪽으로, 채널 안쪽으로 뻗는 한쌍의 캔틸레버 스프링 접촉암(18)을 지지하며, 그 캔딜레버 스프링 접촉암(18)은 태브 제한입구(17) 뒤쪽에서 베이스(16)에 인접한 자유단(19)을 갖는다. 연장부들 사이에 위치한 베이스(16)의 일부분(21)은 채널 안쪽으로 구부러져 캔틸레버 스프링 접촉암(18)의 맞은편 아래쪽에 돌출된 태브 지지용 평탄부를 형성한다.
몸통부(13)의 측벽부(22)들은 태브수용 리셉터클부(12)에 인접한 위치에서 높이가 낮고 단자의 제2록킹장치(24)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23)이 베이스에 뚫려 있다. 한쌍의 단자 보지용 탱(25)(tang)은 높이가 낮은 부분의 측벽의 뒤쪽 자유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며, 앵글부분의 측벽 연장부(26)들은 탱(25)의 뒤쪽으로 인접한 베이스 윗쪽에서 서로 마주보고 구부러져 하우징의 단자수용통로(29) 안에 있는 단자 지지암(28)과 맞닿는 접지부를 형성한다.
제6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연결부(14)는 각각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 제1 및 제2의 전선수용 홈(32 및 31)들에 의해 형성되는 윗면이 개방된 통상 상자형의 구조로서, 제1 및 제2의 전선수용 홈들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엇갈린 위치에서 측벽으로부터 타격되어 뻗은 전선 클램프용 암(30)이 위치한다. 제2전선수용홈(31)은 제2판넬(34)에 형성되는데, 제2판넬(34)은 베이스(40)의 평면의 소재로부터 타격되어(struck out) 채널을 가로질러 위로 구부러져 세워지고, 양쪽 가장자리에서 뻗어 나와 채널 양측벽에 형성된 구멍(36)들에 수용되게 되어 있는 한쌍의 록킹러그(lug)(35)에 의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된다.
제1의 전선수용홈(32)은 제1의 판넬(33)에 형성되는데, 제1판넬(33)은 한쪽 측벽의 뒤쪽연장부가 수직축에 대해서 구부러져 채널을 가로지르게 하여 형성된다. 제1판넬(33)의 제1록킹러그(37)는 수직의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쪽 채널벽의 구멍(38) 안으로 연장되며, 제1판넬의 제2록킹러그(39)는 하부의 수평 가장자리로부터 베이스의 구멍(42)을 관통하여서 베이스를 지나 일정한 거리만큼 연장하여 채널을 가로질러 있는 제1판넬을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이 단이 진 부분(41)의 베이스에 인접한 위치까지 뻗어, 전선을 종단접속할 때 제1판넬(33)의 실질적인 변형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판넬을 지지하는 지주역할을 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의 전선수용홈(31)은 제1의 전선 수용홈(32)보다 폭이 좁으며, 거의 전선 연결부(14)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베이스쪽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반하여, 제1전선 수용홈(32)의 막힌 끝부분은 제2전선수용홈보다 베이스로부터 더 많이 떨어져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하우징(51)은 일체로써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는데, 제한된 크기의 태브수용용 입구(53)의 앞쪽 결합면 및 뒤쪽의 전선수용면(54)과 통하도록 단자수용 통로(29,29′)가 각각 상, 하열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수용 통로들은(제1도에는 캡(61)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음) 뒤쪽면에 인접된 곳에서 윗면이 개방되고, 단자수용 통로의 축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전선종단접속용 공구가 삽입되는 틈새가 마련되게 하부열의 단자수용 통로(29′)가 상부열의 단자수용 통로를 지나서 서로 엇갈리게 뻗어, 각열의 단자수용 통로에 있는 단자의 전선 연결부(14)에 전선들을 동시에 종단접속한다. 앞쪽으로 연장되는 탄성의 단자 지지암(28)은 공구수용구멍(57)의 앞쪽 위치에서 통로 천정으로부터 연장되는데, 그 단자 지지암(28)은 자유단에 단자와 맞물리는 노치(56)를 갖는다.
각 단자수용 통로의 바닥은 뒤쪽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한단 낮아져,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압착 페루울형의 절연체 조임 부분을 수용하도록 단이 진 부분(41)이 마련된다. 한쌍의 리브(59)(rib)는 탱(25)과 맞물려 걸리도록 단자 지지암에 인접한 하부의 단자수용 통로의 천정 양쪽에 형성되어, 하우징안에 단자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캡(61)도 또한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되는데, 선단부에는 한줄의 탄성의 단자 록킹암(62)을, 후단부에는 복수의 구멍(66)을 갖는다. 그 복수의 구멍(66)은 후단에서 통로 측벽으로부터 직립하는 훅크(63)들을 수용하고, 측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직립하는 탄성의 훅크(67)들과 서로 협조하여 캡이 하우징에 걸리게 한다.
제7도 및 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콘넥터는 수단자(71)와 하우징(72)으로 구성되며, 모두(71,72) 암콘넥터의 것들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자(71)는 앰프 인코퍼레이티드(AMP Incorporated)의 프랑스 특허번호 2320644(4637)호에 발표된 태브와 본질상 동일한 태브(74)를 포함하는데, 여기에 그 내용을 인용하였다. 태브는 소재의 가장자리 끝부분들(75,76)을 접어서 성형되는데, 한쪽 끝부분(76)은 다른쪽 끝부분(75)보다 더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천이부(77)는 채널 모양의 설치부분(78)으로 형성되는데, 그 설치부분(78)내에 채널벽(79,80)의 선단부들이 길이 방향으로 편이되어 있어, 즉 한쪽끝이 태브 뒷부분에서 끝나고 다른쪽이 태브 뒷부분의 앞쪽으로 연장하여, 천이부에서 응력을 분산시킨다.
설치부분(78)과 전선 연결부(82) 사이에 있는 제2 천이부(81)에 있어서, 양쪽벽(79,80)은 전선 연결부(82)와 태브(74) 사이의 단자폭이 좁아지도록 전선 연결부(82)에 인접한 단자의 베이스로 부터 축의 방향 앞쪽으로 채널입구 즉 설치부분(78)에 인접한 상단까지 연장하는 선(83)을 따라 안쪽으로 단이 만들어져 있다. 이것은 단자길이 방향으로 응력을 분산시켜 단자를 효과적으로 보강시킨다.
하우징(72)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위치의 베이스 위쪽에서 서로를 향하여 구부러진 벽(79,80)의 연장부(87,88)에 의하여 형성된 구멍(86)에 삽입되는 복수의 탄성 록킹암(85) 열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방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통로베이스에 있는 쏠더(shoulder)(92)와 맞물리도록 베이스로부터 돌출한 멈춤부(91)와 협조하여 하우징에 단자들을 고착시킨다.
상술한 콘넥터의 장점들은, 여러 가지 크기의 전선들(한 예로 연섬심(stranded wire core)의 크기가 0.35㎟에서 1.0㎟까지의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단자들의 전선연결부들의 구조, 즉 제1의 전선연결홈(32)보다 더 탄성적인 제2의 전선연결홈(31) ; 동일한 하우징 설계를 사용하여 큰 전선의 절연체 압착 페루울이나 전선 수용홈을 가지는 단자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지주(39)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지 ; 하우징에서 매우 효과적인 단자보지 ; 및 단일의 삽입행정을 갖는 공구를 사용하여 하부열 및 이어서 상부열의 단자수용 통로에 있는 단자들에 동시에 전선을 종단접속할 수 있도록 한 엇갈려 있는 전선연결부들과 통로들에 대한 구조에 있다.

Claims (17)

  1. 마주보는 결합면 및 전선 수용면을 관통하는 단자 수용 통로들(29,29′)이 형성된 절연성 하우징(51,72), 및 접촉부(12,74)를 결합면 쪽에, 전선연결부(14,82)를 전선수용면 쪽에 각각 갖으며 단자수용 통로(29,29′)에 수용된 얇은 금속판 소재로부터 스탬핑 및 성형된 단자(11,71)를 포함하되, 전선연결부(14,82)는 일반적으로 채널부분으로 형성되고 측벽으로부터 구부러져 채널입구까지 판넬(33)의 상단 가장자리에 홈 입구를 가지면서, 채널을 가로질러 수직으로 세워져 수직의 전선수용 홈(32)을 형성하는 판넬(33)을 포함하며, 하우징(51,72)은 전선수용 홈(32) 위에 배치된 공구 수용구멍(57)을 가지며, 전선을 전선수용 홈(32)에 삽입시키기 위해 공구수용 구멍(57)을 통하여 종단접속용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전기 콘넥터에 있어서, 하우징 베이스벽이 전선연결부(14,82) 아래쪽에 단이 진 부분(41)을 가지며, 단이 진 부분의 바닥은 전선연결부의 베이스(40)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록킹 러그가 판넬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베이스(40)를 관통하여 단이 진 부분(41)의 바닥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하여 공구에 의하여 전선수용 홈(32)안으로 전선을 삽입할 때 판넬(33)을 지지하는 지주(39)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수용 홈(32)이 채널 베이스 위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한 막힌 끝부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판넬(33)이 베이스(40)를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구부러진 측벽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제2의 전선수용 홈(31)을 갖는 제2의 판넬(34)이 채널을 가로질러 연장하되 제2전선수용 홈(31)이 제1의 전선수용 홈(32)과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제2전선수용 홈(31)이 제1의 전선수용 홈(32)보다 베이스(40)쪽으로 더 깊이 거의 채널높이 전체에 걸쳐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선수용 홈(31)의 벽이 제1의 전선수용 홈(32)의 벽보다 더 유연성을 가지며, 제2전선수용 홈(31)이 상기 제1의 전선수용 홈(32)보다 폭이 더 좁은 전기 콘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넬(34)이 베이스(40)와 동일한 평면산의 소재부분으로부터 위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전선 클램프용 암(30)이 상기 제2전선수용 홈(31)에 인접한 적어도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타격되어 뻗으며, 그 암이 채널을 가로질러서 전선수용 홈들(31,32)에 수용된 전선에 압착 맞물림되도록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8. 얇은 금속판 소재로부터 스탬핑 및 성형되고 접촉부(12,74) 및 전선 연결부(14,82)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 연결부(14,82)가 일반적으로 채널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직립의 전선수용 홈(32)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40)를 가로질러 측벽으로부터 구부러진 판넬(33)을 포함하는 제1항의 콘넥터용 단자에 있어서, 록킹러그가 채널 베이스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판넬(33)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채널 베이스(40)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전선이 강제로 홈 안으로 삽입될 때 지지벽과 맞닿는 지주(39)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용 단자.
  9. 마주보는 앞쪽의 결합면 및 뒤쪽의 전선수용면(54)을 관통하는 상, 하열의 단자수용 통로(29,29′)가 형성되어 있고 뒷면에 인접한 상부에 종단접속용 공구수용구멍(57)을 갖는 절연성 하우징(51,72) 및 각 단자수용 통로(29,29′)에 수용된 단자들(11,71)을 포함하는 전기 콘넥터에 있어서, 하부 열의 단자수용 통로(29′)에 있는 단자들(11,71)이 상부 열의 단자수용 통로(29)에 있는 단자들(11,71)보다 뒤쪽으로 더 연장되어, 각열의 전선연결부들(14,82)이 공구수용구멍(57) 아래에서 길이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공구수용구멍(57)과 일치되므로써, 공구수용구멍(57)을 통하여 삽입된 공구에 의하여, 전선들이 하우징의 뒷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상, 하열의 단자수용 통로(29′,29)에 있는 단자(11,71)의 전선연결부(14,82)에 연속적으로 전선들을 종단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부 열의 단자수용 통로(29)들이 하우징(51,72)의 전선수용면(54)으로부터 앞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끝나고, 하부 열의 단자수용 통로(29′)가 전선수용면(54)에서 끝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11. 마주보고 떨어져 있는 한쌍의 측벽(79,80)을 가지는 천이부(81)에 의하여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접촉부와 채널부분의 전선연결부(74,82)를 각각 갖도록 단일의 얇은 금속판으로부터 스탬핑 및 성형된 전기 단자(71)에 있어서, 접촉부(74)와 전선연결부(82)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며, 천이부의 양쪽벽(79,80)이 일정 폭을 가진 한 부분(74 또는 82)의 베이스로부터 다른 폭을 가진 다른 부분(82 또는 74)의 입구까지 연장되는 선(83)을 따라 안쪽으로 한 단(段) 좁아져 천이부(81)의 벽(79,80)이 단을 이루는 선(83)의 양쪽에 있는 각 부분(79,80)의 벽과 공면(coplanar)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단자(71).
  12. 제3항에 있어서, 제2의 전선수용홈(1)을 갖는 제2의 판넬(34)이 채널을 가로질러 연장하되 상기 제2전선수용 홈(31)이 제1의 전선수용 홈(32)과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제2전선 수용 홈(31)이 제1의 전선수용 홈(32)보다 베이스(40) 쪽으로 더 깊이 거의 채널높이 전체에 걸쳐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넬(34)이 베이스(40)와 동일한 평면상의 소재부분으로부터 위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14. 제3항에 있어서, 전선 클램프용 암(30)이 상기 제2전선수용 홈(31)에 인접한 적어도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타격되어 뻗으며, 그 암이 채널을 가로질러서 전선수용 홈들(31,32)에 수용된 전선에 압착 맞물림 되도록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15. 제4항에 있어서, 전선클램프용 암(30)이 상기 제2전선수용 홈(31)에 인접한 적어도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타격되어 뻗으며, 그 암이 채널을 가로질러서 전선수용 홈들(31,32)에 수용된 전선에 압착 맞물림 되도록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16. 제5항에 있어서, 전선클램프용 암(30)이 상기 제2전선수용 홈(31)이 인접한 적어도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타격되어 뻗으며, 그 암이 채널을 가로질러서 전선수용 홈들(31,32)에 수용된 전선에 압착 맞물림 되도록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17. 제6항에 있어서, 전선클램프용 암(30)이 상기 제2전선수용 홈(31)에 인접한 적어도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타격되어 뻗으며, 그 암이 채널을 가로질러서 전선수용 홈들(31,32)에 수용된 전선에 압착 맞물림 되도록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KR1019870010727A 1986-09-30 1987-09-28 전기 콘넥터 KR920007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95 1986-09-30
FR8613595A FR2604565B1 (fr) 1986-09-30 1986-09-30 Connecteur electrique et borne pour ce connecteur
FR?86-13595 1986-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01A KR880004601A (ko) 1988-06-07
KR920007538B1 true KR920007538B1 (ko) 1992-09-05

Family

ID=933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727A KR920007538B1 (ko) 1986-09-30 1987-09-28 전기 콘넥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780092A (ko)
EP (1) EP0262775B1 (ko)
JP (1) JP2681353B2 (ko)
KR (1) KR920007538B1 (ko)
BR (1) BR8705031A (ko)
DE (1) DE3786438T2 (ko)
ES (1) ES2041688T3 (ko)
FR (1) FR2604565B1 (ko)
MX (1) MX160581A (ko)
PT (1) PT85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2758A (en) * 1988-11-11 1994-02-01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tact
US4948382A (en) * 1988-12-06 1990-08-14 Amp Incorporated Miniature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contact
DE8901559U1 (ko) * 1989-02-10 1990-06-13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De
JPH0716294Y2 (ja) * 1989-04-20 1995-04-1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ターミナル
NL8901477A (nl) * 1989-06-09 1991-01-02 Du Pont Nederland Insnijcontact-orgaan.
FR2712122B1 (fr) * 1993-11-02 1998-01-09 Amp France Borne électrique à contact à déplacement d'isolant .
JP3130224B2 (ja) * 1995-02-02 2001-01-3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US5766033A (en) * 1996-03-28 1998-06-16 The Whitaker Corporatio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32A (en) * 1861-01-15 Improvement in cultivators
US3926498A (en) * 1972-09-14 1975-12-16 Bunker Ramo Electrical connector and insulation-piercing contact member
US3993391A (en) * 1975-09-19 1976-11-23 Itt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tact for stripless cable connections
FR2412962A1 (fr) * 1977-12-22 1979-07-20 Socapex Element de contact pour connecteur a auto-denudage, et connecteur muni d'un tel element de contact
US4327956A (en) * 1978-08-07 1982-05-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insertion force dual beam pin terminal and connector
US4343528A (en) * 1980-04-25 1982-08-10 Amp Incorporated Modular interconnect system
US4421375A (en) * 1982-03-29 1983-12-20 Amp Incorporated Flag-type terminal having insulation displacement wire connection
JPS6010062U (ja) * 1982-10-27 1985-01-23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扉等の移動体係止装置
JPS60138266U (ja) * 1984-02-27 1985-09-1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
JPS60177465U (ja) * 1984-05-04 1985-11-25 日本電気株式会社 Dip形フラツトケ−ブルコネクタ
FR2581259B1 (fr) * 1985-04-30 1987-10-09 Amp Inc Connecteur electrique a fente de reception de f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60581A (es) 1990-03-27
JPS6391970A (ja) 1988-04-22
DE3786438T2 (de) 1994-01-20
BR8705031A (pt) 1988-05-24
FR2604565B1 (fr) 1990-02-09
JP2681353B2 (ja) 1997-11-26
KR880004601A (ko) 1988-06-07
EP0262775B1 (en) 1993-07-07
PT85814A (pt) 1988-10-14
EP0262775A1 (en) 1988-04-06
DE3786438D1 (de) 1993-08-12
ES2041688T3 (es) 1993-12-01
PT85814B (pt) 1993-12-31
FR2604565A1 (fr) 1988-04-01
US4780092A (en) 198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412338U (zh) 背板连接器
EP0308448B1 (en) Mass terminable flat flexible cable to pin connector
JPH0713180Y2 (ja) 電気コネクタ
US5030132A (en) Bidirectional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contact terminal
JPS645754B2 (ko)
KR101534997B1 (ko) 하네스 커넥터
GB2345591A (en) Connector unit
KR100359465B1 (ko) 전기터미날
US5133672A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US4648678A (en) Electrical connector
US6010377A (en)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terminal
KR920007538B1 (ko) 전기 콘넥터
US4895532A (en) Modular connector coupler with selective commoning system
US4693536A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CN115764382A (zh) 模组连接器及其组装方法
US20090311906A1 (en) Cable assembly with jumper function
US472679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ectrical contacts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N210517070U (zh) 电连接器
US525209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retention
EP0152690B1 (en) Multi-wir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ssembly
EP0235193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16624638U (zh) 高速连接器
TWI714255B (zh) 電連接器
GB2248528A (en) Wire-to-wire shielded electrical connecting means
JP3275281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