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019A - 밥포장재 및 밥포장체 - Google Patents

밥포장재 및 밥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019A
KR20190039019A KR1020187030407A KR20187030407A KR20190039019A KR 20190039019 A KR20190039019 A KR 20190039019A KR 1020187030407 A KR1020187030407 A KR 1020187030407A KR 20187030407 A KR20187030407 A KR 20187030407A KR 20190039019 A KR20190039019 A KR 20190039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uter film
rice
conical shape
deformed co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이치 후지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마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마사
Publication of KR2019003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0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0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 B65D65/12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formed with crease lines to facilitate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5Cooked; Precooked; Fried or pre-fried in a non-aqueous liquid frying medium, e.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44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the portion of the wall being a narrow strip, e.g. between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66Inserted or applied 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Wrapp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일정한 정각(頂角)을 갖는 변형원추형상으로 정확하면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밥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으로서, 장방형상을 이루고, 일방의 단변(10a)과 일방의 장변(10d)으로 끼여지는 일방의 코너부(A)가 대향하는 타방의 장변(10c)의 중도부에 오도록 하여, 일방의 코너부(A)측이 되는 부위가 내측 권입부(22)로서 감겨들어가고, 타방의 단변(10b)측의 부위가, 내측 권입부(22)상에 외측 감아두름부(24)로서 감아둘려짐과 함께 내측 권입부(22)상에 고정됨에 의해, 일방의 장변(10d)의 중도부가 정상부가 되는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되는 밥포장재(10)에 있어서,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될 때, 외측 감아두름부(24)로서 감아둘려지는 타방의 단변(10b)측의 부위를 위치결정하는 제1의 표시(32a)가 외필름(14)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밥포장재 및 밥포장체
본 발명은, 원추형상으로 형성한 주먹밥 또는 초밥 등의 밥을 포장하는 밥포장재(飯包裝材) 및 그 밥포장체(飯包裝體)에 관한 것이다.
내필름과 외필름의 사이에 김(海苔) 등의 식재(食材) 시트를 개삽(介揷)한 밥포장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 밥포장재는, 내필름상에 원추형상으로 형성한 초밥(밥)을 배치하고, 이 초밥을, 밥포장재에 의해 양측부터 감아넣어 손으로 말은 초밥(手卷き壽司)으로 형성한 것이다.
먹을 때는, 외필름에 마련한 분리부에 의해 외필름을 2분할하고, 이에 의해 밥포장재를 2분할(내필름은 미리 2장이 분할된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하여, 필름만을 벗겨내고, 식재 시트가 초밥상에 감겨진 상태의 손으로 말은 초밥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건조한 파삭파삭한 상태의 식재 시트가 감겨진 초밥이 되기 때문에, 맛있게 먹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밥포장재는,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장방형상을 이루고, 폭방향으로 2분할 가능하게 장변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띠형상의 분리부가 마련된 외필름과, 2장의 필름이 단연부(端緣部)가 겹쳐지도록 비켜진 상태로 상기 외필름에 포개지고, 주연부의 알맞은 곳에서 상기 외필름에 고정된 내필름과, 상기 외필름과 상기 내필름의 사이에 개삽된 식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에 의해 상기 외필름이 분할된 때, 분할된 일방의 외필름 부분과 그 일방의 외필름 부분에 이어져 있는 일방의 상기 내필름을 포함하는 일방의 측에 대해, 분할된 타방의 외필름 부분과 그 타방의 외필름 부분에 이어져 있는 타방의 상기 내필름을 포함하는 타방의 측이 분리 가능한 밥포장재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14-94017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밥포장재에서는, 상기 변형원추형상(變形圓錐形狀)의 형상으로 형성한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밥포장재의 일방의 단변과 일방의 장변으로 끼여지는 일방의 코너부가 대향하는 타방의 장변상의 중도부(中途部)의 일정 위치에 오도록, 위치맞춤하는 조작이 필요해진다. 또한, 내측 권입부상에 외측 감아두름부를 감아두를 때도, 외측 감아두름부를 내측 감아두름부상의 일정 위치에 오도록 위치맞춤하는 조작이 필요해진다. 육안(目視)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위치맞춤을 하는 조작은 매우 번거롭고, 자칫하면 위치 이탈하기 쉽고, 소망하는 일정한 정각(頂角)을 갖는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하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일정한 정각을 갖는 변형원추형상의 것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밥포장재 및 밥포장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밥포장재는, 장방형상(長方形狀)을 이루고, 폭방향으로 2분할 가능하게 장변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띠형상의 분리부가 마련된 외필름과, 2장의 필름이 단연부가 겹쳐지도록 비켜진 상태로 상기 외필름에 포개지고, 주연부의 알맞은 곳에서 상기 외필름에 고정된 내필름과, 상기 외필름과 상기 내필름의 사이에 개삽된 식재 시트를 구비하고, 분리부에 의해 상기 외필름이 분할된 때, 분할된 일방의 외필름 부분과 그 일방의 외필름 부분에 이어져 있는 일방의 상기 내필름을 포함하는 일방의 측에 대해, 분할된 타방의 외필름 부분과 그 타방의 외필름 부분에 이어져 있는 타방의 상기 내필름을 포함하는 타방의 측이 분리 가능한 밥포장재로서, 그 밥포장재의 일방의 단변과 일방의 장변으로 끼여지는 일방의 코너부가 대향하는 타방의 장변의 중도부에 오도록 하여, 상기 일방의 코너부측이 되는 부위가 내측 권입부로서 감겨들어가고, 상기 밥포장재의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가, 상기 내측 권입부상에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짐과 함께 그 내측 권입부상에 고정됨에 의해, 상기 일방의 장변의 중도부가 정상부(頂部)가 되는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되는 밥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지는 상기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를 위치결정하는 제1의 표시(目印)가 상기 외필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의 표시를, 상기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지는 상기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의 변을 위치결정하는 표선(標線)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지는 상기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로서, 상기 제1의 표시와 일치하는 위치에 제2의 표시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편평하게 된 때의 정각이, 42°∼50°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표시를 마련하면 알맞다.
또한,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일방의 단변과 일방의 장변으로 끼여지는 일방의 코너부가 대향하는 타방의 장변의 중도부에 오도록, 또한 상기 일방의 장변이 상기 타방의 장변에 대해 수직하게 되도록 하여, 상기 일방의 코너부측이 되는 부위가 상기 내측 권입부로서 감겨들어가고, 상기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가, 그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에서의 상기 타방의 장변이 상기 일방의 단변과 겹쳐지도록 하여, 상기 내측 권입부상에 상기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지도록 하면 알맞다.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될 때의 변형원추부의 저변(底邊)이 되는 부위에, 변형원추부의 저부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 부재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를 절곡하여, 상기 변형원추부의 저부 개구부를 덮고서 상기 외필름에 고정할 때의 위치결정을 위한 제3의 표시 및 제4의 표시를 각각,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외필름에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밥포장체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밥포장재가,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밥포장재 중에,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밥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정확한 정각을 갖는 변형원추형상의 것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밥포장재 및 밥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밥포장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분리부를 소요폭을 갖는 1개의 커트 테이프로 형성한 경우의 설명도.
도 3은 분리부를 2개의 커트 테이프로 형성한 경우의 설명도.
도 4는 분리부를 2개의 미싱 눈금으로 형성한 경우의 설명도.
도 5는 외필름에 배향성 필름을 이용하여, 2개의 칼집에 의해 분리부에 형성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밥포장체의 설명도.
도 7은 밥포장체를 쥐었을 때의 분리부의 분리 스타트 위치 및 분리 종료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일방의 코너부(A)를 사선부로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밥포장재에 있어서, 내측 권입부측을 되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다시 외측 감아두름부측을 되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도 10A 및 도 10B를 이면에서 본 설명도.
도 12는 밥포장체에 커버를 부착한 설명도.
도 13은 단연부(14a)에 커버를 마련한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
도 14는 단연부(14c)에 커버를 마련한 다른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
도 15는 단연부(14a)에 커버를 마련한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
도 16은 단연부(14a 및 14c)에 걸쳐서 커버를 마련한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
도 17은 단연부(14a, 14b 및 14c)에 걸쳐서 커버를 마련한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
도 18은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 실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주먹밥 또는 초밥 등의 밥을 포장하는 밥포장재(이하 단지 포장재라고 한다)(10)의 설명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밥포장체(이하 단지 포장체라고 한다)(26)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은, 포장재(10)를 내필름측에서 본 도면이다.
포장재(10)는, 장방형의 형상을 이루고, 폭방향으로 2분할 가능하게 장변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공지의 띠형상의 분리부(12)가 마련된 외필름(14)과, 2장의 필름이 단연부(端緣部)끼리가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외필름(14)에 포개지고, 주연부의 알맞은 곳에서 외필름(14)에 열용착에 의해 고정된 내필름(16a, 16b)과, 외필름(14)과 내필름(16a, 16b) 사이에 개삽된 김이나 다시마 시트 등의 식재 시트(18)를 갖는다. 또한, 장방형의 형상이란, 모서리부(角部)를 노치하였을 뿐인 것인, 실질적으로 장방형을 하고 있는 것도 포함한다.
분리부(1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요폭을 갖는 1개의 커트 테이프외,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커트 테이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미싱 눈금에 하는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어느 것이나, 분리부(12)의 단부(端部) 양측의 외필름(14)의 부위에는 칼집(切り入み)(11)을 마련하여, 절단 시작을 용이해지도록 하고 있다. 도 3의 것에서는, 2개의 커트 테이프 및 그 사이의 외필름의 부위가 절단되게 되고, 또한 도 4의 것에서는, 2개의 미싱 눈금의 사이의 외필름의 부위가 절단되게 된다. 또는 분리부(1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필름(14) 자체를 장변방향에 용이하게 찢어지는 배향성 필름으로 하고, 일단측에 2개의 칼집(11)을 마련하고, 이 칼집(11)에 따라 절단(분리)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는 도시하지 않지만, 외필름(14)을 폭방향으로 2분할하고, 부분적으로 용착하는 등으로 분리부로 하여도 좋다.
외필름(14)과 내필름(16)은 열용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용착 부위(도 1에서의 사선의 부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리부(12)에 의해 외필름(14)을 2개로 분할한 때에, 분할된 일방의 외필름 부분과 이 일방의 외필름 부분에 이어져 있는 일방의 내필름편(16b)을 포함하는 일방의 측에 대해, 분할된 타방의 외필름 부분과 이 타방의 외필름 부분과 이어져 있는 타방의 내필름편(16a)을 포함하는 타방의 측이 분리 가능해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분할된 일방의 외필름편(14)과 일방의 내필름(16b)의 용착 부위와, 분할된 타방의 외필름편(14)과 타방의 내필름(16a)의 용착 부위가, 분리부(12)를 끼우고 서로 반대측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분리부(12)가 일부에서 상기 타방의측에 이어져 있어서, 분리부(12)를 끌어당김에 의해 상기 일방의 측에 대해 타방의 측이 한꺼번에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분리부(12)의 폭방향의 일방의 측연부(12a)의 단부측(절단 방향에서의 종단측의 단부측)이 외필름(14)을 2분할 불능한 분할 불능부(13)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분리부(12)의 폭방향의 일방의 측연부(12a)란, 도 3과 같은 2개의 커트 테이프인 경우나, 도 4에 도시하는 2개의 미싱 눈금인 경우에는, 일방의 커트 테이프나 일방의 미싱 눈금을 말하고,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향성 필름인 경우에는, 2개의 칼집(11)에 따라 절단될 예정선의 일방의 예정선을 말한다.
분리부(12)의 폭방향의 타방의 측연부(12b)는 외필름(14)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2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분할 불능부(13)를 형성하려면, 한 예로서 분리부(12)의 폭방향의 일방의 측연부(12a)의 단부와 그 단부에 인접하는 외필름(14)과의 사이에 걸쳐서 고정 테이프(15)를 접착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분리 불능부(13)는, 도 2∼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필름(14)과 내필름(16)을 고정하는 열용착의 부위를, 분리부(12)의 폭방향의 일방의 측연부(12a)의 단부에까지 이르도록 마련함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포장재(10)를 이용하여 초밥 또는 주먹밥 등의 밥(이하, 초밥으로서 설명한다)(20)을 포장하고 손으로 말은 초밥풍의 포장체(26)(도 6)를 형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우선, 원추형상으로 형성한 초밥(20)을, 포장재(10)의 내필름(16)상에, 포장재(10)의 일방의 장변(10d)의 중도부에 정상부가 향하도록(저부는 코너부(B)를 향하도록), 포장재(10)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배치한다(도 1).
다음에, 일방의 장변(10d)과 일방의 단변(10a)으로 끼여지는 일방의 코너부(A)측을 정점으로 하는 포장재(10)의 삼각형상의 부위(도 8에서의 사선부)를 초밥(20)의 외형에 따라 감아둘러서 내측 권입부(22)로 형성한다(도 6).
뒤이어, 포장재(10)의 타방의 단변(10b)측의 소정폭의 부위(C0(도 9A에서의 사선부)를 내측 권입부(22)상에 감아둘러서 외측 감아두름부(24)로 형성한다(도 6, 도 9A).
그리고, 외측 감아두름부(24)를 내측 권입부(22)상에 적절히 실 테이프(17)(도 7)나 열용착 등에 의해 고정하여 포장체(26)에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는 초밥(20)을 생략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밥포장재(10) 중에, 원추형상의 밥이 수용된 손으로 말은 초밥풍의 밥포장체(26)를 형성할 수 있다.
포장재(10)를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한 때,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권입부(22)가 되는 부위의 외필름(14)의 분리부(12)가, 외측 감아두름부(24)에 의해 덮여 있지 않고, 따라서 그 분리부(12)가 외필름(1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노출하도록 하면 알맞다.
이와 같이, 외필름(14)의 분리부(12)가 자신의 외측 감아두름부(24)에 의해 덮이지 않고, 외필름(1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노출하도록 하면, 분리부(12)에 의해 외필름(14)을 분단할 때, 분리부(12)가 외측 감아두름부(24)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외필름을 용이하게 분할할 수 있고, 미리 분리되어 있는 내필름(16)과 함께, 식재 시트(18)를 초밥(20)상에 남겨 둔 채로 초밥(2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포장체(26)를 손에 든 때의 분리부(12)의 분할 스타트 위치(P)와, 분리부(12)의 분할 종료 위치(Q)를 나타내는 것인데, 분리부(12)가 외필름(1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체(26)가 쥐기 쉽고, 또한, 분리부(12)에 의한 외필름(14)의 분리 조작이 극히 용이해지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외측 감아두름부(24)를 내측 권입부(22)상에 실 테이프(17)를 이용하여 고정할 때, 그 실 테이프가 분리부(12)상에 걸쳐지는(덮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 테이프를 부착한 부위의 외측 감아두름부(24)의 단연부를 조금 노치하여 두어(노치부(17a)), 그 단연부를 후퇴시켜 둠에 의해, 실 테이프(17)가 분리부(12)에 걸쳐지지 않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부(12)의 폭방향의 일방의 측연부(12a)의 단부측(절단 방향에서의 종단측의 단부측)이 외필름(14)을 2분할 불능한 분할 불능부(13)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부(12)를 분할 스타트 위치(P)로부터 분할 종료 위치(Q)를 향하여 당겨서 외필름(14)을 분할하여 가면, 일방의 측연부(12a)에서의 분할 불능부(13)에서는 외필름(14)은 분할되지 않고, 타방의 측연부(12b)에서 외필름(14)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2분할된다.
이와 같이 외필름(14)은, 분리부(12)의 폭방향의 타방의 측연부(12b)에 의해 전체 길이에 걸쳐서 2분할되지만, 분리부(12)는 분할 불능부(13)에서, 분할된 외필름(14)의 일방(상측의 외필름 부분)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분리부(12)를 그대로 끌어당김에 의해, 분리부(12)에 이어져 있는 분할된 일방의 외필름 부분과 그 일방의 외필름 부분에 미리 이어져 있는 일방의 내필름(상측의 필름)(16a)으로 이루어지는 타방의 측(변형원추부의 저부측)이, 분할된 타방의 외필름 부분과 그 타방의 외필름 부분에 미리 이어져 있는 타방의 내필름(16b)의 일방의 측(변형원추부의 정상부측)에 대해, 용이하게 상방으로 떼어놓음 가능(분리 가능)(식재 시트(18)를 초밥(20)상에 남겨둔 채로 제거 가능)하게 된다.
이 포장재(10)를, 본 실시의 형태에 따라,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하는 순서를, 도 8∼도 11에 의해 또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장재(10)의 일방의 단변(10a)측의 일방의 코너부(A)측의 삼각형상의 부위(도 8에서 사선부 : 일부가 내측 권입부가 된다)를 되접는다(실제로는 초밥에 따라 활모양(弧狀)으로 되접혀진다). 즉, 일방의 코너부(A)측의 장변(일방의 장변)(10d)이 타방의 코너부(B)측의 장변(타방의 장변)(10c)에 대해 수직하게 되도록, 코너부(A)측을 되접는다. 이때, 초밥이 내부에 둘러싸여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겹쳐지지 않는 것이지만, 도 9A의 방향에서 본 경우에, 단변(10a)이 장변(10c)에 겹쳐지는 것으로 보이고, 포장체로 한 때에 겉모양(體裁)이 좋아진다. 또한, 일방의 장변(10d)이 타방의 장변(10c)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필름(14)의 타방의 장변(10c)상에, 코너부(A)의 정점이 위치하여야 할 위치에 스폿형상의 표시(제5의 표시)(31)를 마련하여 두면 알맞다. 도 9B는, 도 9A에서 X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표시(31)는 반드시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장재(10)의 타방의 단변(10b)측의 소요폭의 부위(도 9A에 있어서 사선부(C))를, 상기 되접은 부위의 장변(10d)을 되접는 기선(基線)으로 하여, 코너부(A)측의 위에 겹쳐지도록 되접어(실제로는 초밥에 따라 활형상으로 되접혀진다), 외측 감아두름부(24)로 한다. 외측 감아두름부(24)에 덮였던 부위가 내측 권입부(22)와 다름없다. 이 경우, 포장재(10)의 장변(10c)이 일방의 단변(10a)과 겹쳐져서(도 10A), 겉모양가 좋은 것으로 된다. 도 10B는, 도 10A에서 X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A 및 도 10B를 뒤(裏)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포장재(10)의 타방의 단변(10b)측의 소요폭의 부위(도 9A에서 사선부(C))를, 상기 되접은 부위의 장변(10d)을 되접는 기선으로 하여, 코너부(A)측의 위에 정확하게 겹쳐지도록 되접을 수가 있도록, 외필름(14)의 소정의 부위에,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지는 타방의 단변(10b)측의 부위를 위치결정한 스폿형상의 제1의 표시(32a)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지는 타방의 단변(10b)측의 부위로서, 제1의 표시(32a)와 일치하는 위치에 스폿형상의 제2의 표시(33a)를 마련하고 있다.
양 표시(32a, 33a)가 일치하도록(겹쳐지도록) 위치결정하여 사선부(C)를 되접도록 한다.
또한, 제1의 표시(32a)를 직선형상의 표선(標線)으로 마련하고, 이 직선형상의 표시(32a)에 일방의 장변(10d)이 따르도록, 사선부(C)를 되접도록 하여도 좋다(이 경우, 제2의 표시(33a)는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또는 또한, 제1의 표시(32b)로서, 외측 감아두름부(24)로서 감아둘려지는 타방의 단변(10b)측의 부위(사선부(C))에서의 타방의 단변(10b)이 대향하는 외필름(14)의 부위에, 타방의 단변(10b)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표선(32b)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직선형상의 제1의 표시(32b)에 타방의 단변(10b)이 따르도록, 사선부(C)를 되접도록 함에 의해, 사선부(C)를 정확한 위치에 되접을 수 있다.
또한, 제1의 표시로서, 표시(32a, 32b)의 양쪽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각 표시(31, 32a, 32b, 33a)는 적절히 인쇄에 의해 외필름(14)상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표시(32a) 및/또는 제1의 표시(32b)에 따라 대응 부위가 위치결정될 수 있으면, 제5의 표시(31)에 대해서는, 코너부(A)의 정상부가 필연적으로 위치결정되는 것으로도 되기 때문에, 제5의 표시(31)는 반드시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역으로 말하면, 제1의 표시(32a) 및/또는 제1의 표시(32b)는 미리 그와 같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내(內)권입부상에 외(外)감아두름부를 감아두르고, 알맞은 곳에, 실 테이프(17)를 붙이거나, 당해 부위를 열용착하여 고정함에 의해, 포장재(10)를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도 9B∼도 11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포장재(10)를 편평한 상태로 접어넣은 상태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정각(頂角)은 45°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변형원추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정각은 30°정도가 된다.
또한, 편평한 상태로 한 경우의 정각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볼품(見榮)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45°정도가 바람직하지만, 편평하게 한 때의 정각은 42°∼50°의 범위라도 좋다.
이 편평하게 한 때의 정각이 42°∼50°의 범위라면, 둘러싼 초밥 등의 밥 위로부터, 식재 시트(18)를 밥 위에 남겨 둔 채로, 분할한 밥포장재의 일방의 측 및 타방의 측의 뽑아냄(引き拔き)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편평하게 한 때의 정각이 50°보다도 큰 변형원추형상의 것이 되어 버린 경우에는, 분리부(12)에 의한 개봉(開封)일 때, 분리부(12)를 횡방향에 당기는 동작과 종방향에 당기는 동작이 커지고, 개봉 작업이 하기 어렵게 되고 버린다. 한편, 편평하게 한 때의 정각이 42°보다도 작아져 버리면, 내측 권입부와 외측 감아두름부의 겹치는 부분이 커져서, 일방의 측과 타방의 측과의 분리 조작이 행하기 어려워져 버린다.
정각이 45°이외인 경우는, 일방의 장변(10d)은 타방의 장변(10c)에 대해 수직으로는 되지 않는다. 또한, 타방의 장변(10c)이, 일방의 단변(10a)에 겹쳐지지 않는다.
그렇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시(32a, 32b, 33a) 등을 소정의 위치에 마련함에 의해, 편평하게 한 때의 정각이 42°∼50°의 범위 내에서의 일정한 정각이 되는 변형원추형상의 밥포장재를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필름(16)의 2장의 필름을, 폭광(幅廣) 필름편(片)(16a)과 이 폭광 필름편(16a)보다도 폭이 좁은 폭협(幅狹) 필름편(16b)으로 구성하면 알맞다. 그리고 이 경우에, 폭협 필름편(16b)을, 포장재(10)의 장변(10d)측에 위치하도록 하면, 후기하는 바와 같이, 분할한 필름을 주먹밥 또는 초밥으로부터 뽑아내기 쉬워지기 때문에 알맞다. 또한, 양 내필름편(16a, 16b)의 포개지는 부위는, 어느 내측, 또는 외측이라도 좋다. 또한, 이 포개지는 부분의 필름편의 일방 또는 양방을 다시 2개로 접어도 좋다(도시 생략).
또한, 코너부(A)측에서의 식재 시트(18)의 코너부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치하고 두도록 하면 좋다. 이에 의해, 후기하는 바와 같이, 분할한 필름을 주먹밥 또는 초밥으로부터 뽑아낼 때에, 필름편이 식재 시트(18)의 코너부가 걸리지 않고, 뽑아내기 쉬워져서 알맞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필름(16)을, 폭광 필름편(16a)과 폭협 필름편(16b)으로 함에 의해, 분리부(12)에 의해 외필름(14)을 2개로 분단하면, 외필름(14)의 상측부분(코너부(B)가 존재하는 부분 : 도 6)과, 이 상측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내필름(16)이 폭광 필름편(16a)을, 식재 시트(18)를 초밥(20)상에 남겨 둔 채로 상방으로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내측 필름(16)의 폭광 필름편(16a)은, 폭광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만큼 초밥(20)과의 사이의 저항이 커져서, 뽑아내기 어려워지지만, 초밥(20) 상방의 개방 공간측에 뽑아내기 때문에, 식재 시트(18)가 개재하고 있어도 식재 시트(18)에 방해받는 일이 없고, 분리부(12)를 상방으로 당김에 의해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오히려, 분단된 외필름(14)의 하측 부분과, 이 하측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내필름(16)이 폭협 필름편(16b)은, 하방으로 오므라져 있는 식재 시트(18)가 존재하기 때문에, 하방으로 뽑아내기 어렵지만, 내측 필름(16)이 폭협 필름편(16b)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재 시트(18)나 초밥(20)으로부터 벗겨지기 쉽고, 뽑아내기 쉬운 것으로 된다.
특히, 폭협 필름편(16b)의, 도 1에서의 코너부(A)의, 단변(10a)측의 부분을 외측 필름(14)에 용착하지 않도록 하든지, 및/또는 당해 부위의 식재 시트(18)를 노치하여 둠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분단한 필름을 하방으로 뽑아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원추형상으로 성형한 초밥(20)에 포장재(10)를 감아둘리도록 하여 포장체(26)를 형성하는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포장체(26)를 형성하는 경우는, 포장재(10)를 미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하여 두고, 이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한 포장재(10) 중에, 원추형상으로 성형한 초밥(20)을 떨어뜨려 넣도록 하여, 포장체(26)로 형성하도록 하면 알맞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미리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한 포장재(10)를 순차적으로 장치(도시 생략) 내로 연속적에 송입하고, 미리 원추형상으로 성형한 초밥(20)을 순차적으로 포장재(10) 중에 떨어뜨려 넣도록 할 수가 있어서, 포장의 자동화를 행할 수 있다.
포장재(10)를 미리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하려면, 사람손에 의해 형성하든지, 자동기에 의해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도, 상기한 각 표시(31, 32a, 32b)를 마련하고, 이 표시에 의해 각 부분을 위치결정함에 의해, 상기한 변형원추형상의 것으로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포장체(26)에 투명한 커버 부재(28)를 씌워서, 초밥(20)의 노출 부위(원추의 저부 개구측)을 감추도록 한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13, 도 15는, 커버 부재(28)를, 포장재(10)의, 외필름(14)의 일방의 단연부(14a)에 일체로 마련한 예, 도 14는, 커버 부재(28)를, 일방의 단연부(14a)에 인접한 단연부(14c)에 마련한 예, 도 16은, 커버 부재(28)를, 양 단연(14a, 14c)에 걸쳐서 마련한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커버 부재(28)를, 양 단연(14a, 14b 및 14c)에 걸쳐서 마련한 예를 도시한다.
즉, 커버 부재(28)를,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될 때의 변형원추부의 저변이 되는 부위에 마련하고, 반대 방향으로 절곡함에 의해 변형원추부의 저부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8은, 커버 부재(28)를 외필름(14)에 고정 실(30)로 고정하는 경우의 고정 실(30)의 위치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28)를 절곡하여, 변형원추부의 저부 개구부를 덮어서 외필름(14)에 고정할 때의 위치결정을 위한 제3의 표시(34) 및 제4의 표시(35)를 각각, 커버 부재(28) 및 외필름(14)에 마련하도록 하면 알맞다.

Claims (8)

  1. 장방형상을 이루고, 폭방향으로 2분할 가능하게 장변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띠형상의 분리부가 마련된 외필름과, 2장의 필름이 단연부가 겹쳐지도록 비켜진 상태로 상기 외필름에 포개지고, 주연부의 알맞은 곳에서 상기 외필름에 고정된 내필름과, 상기 외필름과 상기 내필름의 사이에 개삽된 식재 시트를 구비하고, 분리부에 의해 상기 외필름이 분할된 때, 분할된 일방의 외필름 부분과 그 일방의 외필름 부분에 이어져 있는 일방의 상기 내필름을 포함하는 일방의 측에 대해, 분할된 타방의 외필름 부분과 그 타방의 외필름 부분에 이어져 있는 타방의 상기 내필름을 포함하는 타방의 측이 분리 가능한 밥포장재로서, 그 밥포장재의 일방의 단변과 일방의 장변으로 끼여지는 일방의 코너부가 대향하는 타방의 장변의 중도부에 오도록 하여, 상기 일방의 코너부측이 되는 부위가 내측 권입부로서 감겨들어가고, 상기 밥포장재의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가, 상기 내측 권입부상에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짐과 함께 그 내측 권입부상에 고정됨에 의해, 상기 일방의 장변의 중도부가 정상부가 되는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되는 밥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지는 상기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를 위치결정하는 제1의 표시가 상기 외필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표시가, 상기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지는 상기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의 변을 위치결정하는 표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지는 상기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로서, 상기 제1의 표시와 일치하는 위치에 제2의 표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포장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편평하게 된 때의 정각이, 42°∼50°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표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포장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일방의 단변과 일방의 장변으로 끼여지는 일방의 코너부가 대향하는 타방의 장변의 중도부에 오도록, 또한 상기 일방의 장변이 상기 타방의 장변에 대해 수직하게 되도록 하여, 상기 일방의 코너부측이 되는 부위가 상기 내측 권입부로서 감겨들어가고, 상기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가, 그 타방의 단변측의 부위에서의 상기 타방의 장변이 상기 일방의 단변과 겹쳐지도록 하여, 상기 내측 권입부상에 상기 외측 감아두름부로서 감아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포장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될 때의 변형원추부의 저변이 되는 부위에, 반대 방향으로 절곡함에 의해 변형원추부의 저부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포장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를 절곡하여, 상기 변형원추부의 저부 개구부를 덮고서 상기 외필름에 고정할 때의 위치결정을 위한 제3의 표시 및 제4의 표시가 각각,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외필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포장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밥포장재가, 상기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변형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밥포장재 중에,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밥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포장체.
KR1020187030407A 2016-08-22 2017-05-29 밥포장재 및 밥포장체 KR201900390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1690 2016-08-22
JP2016161690 2016-08-22
PCT/JP2017/019834 WO2018037649A1 (ja) 2016-08-22 2017-05-29 飯包装材および飯包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019A true KR20190039019A (ko) 2019-04-10

Family

ID=6124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407A KR20190039019A (ko) 2016-08-22 2017-05-29 밥포장재 및 밥포장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90039794A1 (ko)
EP (1) EP3502008A4 (ko)
JP (1) JP6839860B2 (ko)
KR (1) KR20190039019A (ko)
CN (1) CN109071079A (ko)
AU (1) AU2017315722A1 (ko)
BR (1) BR112018072420B1 (ko)
WO (1) WO201803764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4017A (ja) 2009-08-27 2014-05-22 Shuichi Fujimori 飯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1642A (en) * 1988-09-26 1995-01-17 Highland Supply Corporation Method of wrapping a floral grouping using a material having postioning marks
JP3017980B1 (ja) * 1998-10-14 2000-03-13 下村化工紙株式会社 末広手巻寿司用の海苔包装体
JP2001010688A (ja) * 1999-06-29 2001-01-16 Makoto Suzuki 包装円錐状寿司
US6604674B1 (en) * 2002-03-15 2003-08-12 The Lindy Bowman Co. Gift wrapping
US20060054521A1 (en) * 2003-10-16 2006-03-16 Steven Tchira Container wrap and methods for making
JP3138850U (ja) * 2007-10-18 2008-01-24 有限会社住友 おにぎりの包装材
RU2642415C1 (ru) * 2014-06-13 2018-01-24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Упаков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гигие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упаковочного элемент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4017A (ja) 2009-08-27 2014-05-22 Shuichi Fujimori 飯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38924B2 (en) 2023-08-29
CN109071079A (zh) 2018-12-21
US20220185555A1 (en) 2022-06-16
BR112018072420B1 (pt) 2022-11-01
EP3502008A4 (en) 2019-07-31
EP3502008A1 (en) 2019-06-26
WO2018037649A1 (ja) 2018-03-01
JP6839860B2 (ja) 2021-03-10
BR112018072420A2 (pt) 2019-03-12
US20190039794A1 (en) 2019-02-07
JPWO2018037649A1 (ja) 2019-06-20
AU2017315722A1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A57617C2 (uk) Упаковка та спосіб її виготовлення (варіанти), пачка для продукції тютюнової промисловості та блок пачок для продукції тютюнової промисловості
US11434056B2 (en) Rice wrapper and wrapped rice
JP4998799B2 (ja) 棒状食品包装体
JP4362658B2 (ja) 棒状食品用包装材
US4726473A (en) Wrapper with a perforation line for tearing
KR20170017715A (ko) 샌드위치 포장용 봉지
KR20190039019A (ko) 밥포장재 및 밥포장체
JP7374429B2 (ja) 食品用包装体
JP2002101832A (ja) 包装巻寿司
JP2004136970A (ja) 米飯加工食品の包装方法、包装食品およびこの包装に用いられる包装シート
JP7223990B2 (ja) おにぎり用包装材
US20160296071A1 (en) Rice wrapper and wrapped rice
KR20030011216A (ko) 포장 주먹밥 및 그 포장 시트
KR101930903B1 (ko) 식품 포장재
JP3943567B2 (ja) 包装部材、包装おにぎり及び包装おにぎりの開封方法
JP2006230223A (ja) 成形米飯食品包装用シート体及び包装付き成形米飯食品
JP6746192B2 (ja) 棒状寿司の包装方法
KR101656886B1 (ko) 포장 밥 덩어리 및 이 밥 덩어리에 시트 형상 식품을 감는 방법
JP2009083927A (ja) おにぎり用包装材
KR20150061551A (ko) 포장 시트 및 봉형상 포장 밥덩어리
JPH05162768A (ja) おにぎり用包装体
JP2001301813A (ja) オーバラップ包装用フィルム
JPH0739476U (ja) 包装おにぎ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