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499A - 채변 시트 - Google Patents

채변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499A
KR20190031499A KR1020197003972A KR20197003972A KR20190031499A KR 20190031499 A KR20190031499 A KR 20190031499A KR 1020197003972 A KR1020197003972 A KR 1020197003972A KR 20197003972 A KR20197003972 A KR 20197003972A KR 20190031499 A KR20190031499 A KR 20190031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sheet
upper layer
fold lin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462B1 (ko
Inventor
유타카 스에히로
도모미 호시다
다카히로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야마구치 다이가쿠
에이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야마구치 다이가쿠, 에이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야마구치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9003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0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과제] 서양식 변기의 저수 부분에 적시는 일없이, 또한 채변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변기에 점착제를 이용하는 일없이 장착 가능한 채변 시트를 얻는다.
[해결 수단] 중앙에 변 받이부(2)를 설치한 상층 시트(1)와, 상층 시트(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연장설치되고, 상층 시트(1)와의 사이에 변좌를 통과시키기 위한 틈을 형성 가능한 하층 시트(9)로 이루어지는 통모양의 채변 시트(S)이다. 상층 시트(1) 및 하층 시트(9)는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층 시트(1)에는, 펼치는 것에 의해 변 받이부(2)를 하층 시트(9)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절첩 부재(10)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채변 시트
본 발명은 중앙에 변(便) 받이부를 설치한 상층 시트와, 상기 상층 시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연장설치되고, 상기 상층 시트와의 사이에 변좌(便座)를 통과시키기 위한 틈을 형성 가능한 하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통모양(筒狀)의 채변(採便) 시트에 관한 것이다.
검변(檢便)은 대장암을 비롯한 소화기계 질환의 검사, 세균이나 기생충 감염 검사 등에 있어서 전세계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특히 근래, 대장암의 스크리닝 검사에 있어서의 변 잠혈(潛血) 검사수가 급증하고, 국내에서 연간 적어도 700만건 정도 실시되고 있다.
또한, 구미를 중심으로 실시된 2000년대 후반의 인간 상재 균총(菌叢)의 게놈 해석 프로젝트도 함께, 「장내 세균총(장내 플로라)」에 관한 연구가 급속히 진전하여, 면역계·대사계·신경계 등의 각종 질환에 있어서의 중요한 역할이 나타나게 되었다. 세계적으로 보아 장관(腸管) 세균총 연구에의 자금 갹출은 2008년 이후의 약 5년간에 289백만 달러이다. 게다가 그 액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인해, 매우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장관 세균총 연구에 있어서도 「변 검체 채취」는 필수이며, 이러한 연구 분야에 있어서의 검변의 실시도 향후 증가하리라 생각되고 있다.
검변을 위한 변 검체의 채취 방법으로서는, 일본식 변기의 경우에는, 변기 위에 직접, 혹은 변기 내에 화장지나 신문지 등을 깔고, 그 위에 배변을 행한 다음에 채변용 스틱에 묻히거나 채변용 컵으로 뜨거나 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한편, 근래 서양식 변기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서양식 변기의 경우에는, 변기의 저수 부분 바로앞쪽 측에 화장지 등을 깐 다음에, 통상 이용하는 경우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향해 앉고, 그 화장지 등의 위에 배변하여 채취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지만, 화장지가 젖지 않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는 것이나, 변이 변기 내의 저수 부분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나, 통상과는 다른 스타일로 앉기 때문에, 배변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서양식 변기의 경우에는, 변기 내의 저수 부분에 수용성 배변 시트를 띄우고 그 시트 상에 배변하는 방법도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이용하는 수용성 배변 시트로서, 물 분산지(分散紙)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내수제로 내수 처리를 행하고, 물 분산성을 시간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용 시트(특허문헌 1 참조)나, 수용성 종이로 이루어지는 시트 본체의 적어도 한 면에 내수 처리제로 내수 처리를 실시하여 물 용해성을 조정한 채변용 변 받이 시트(특허문헌 2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물에 띄우고 일정 시간 이내에 채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빨리 배변하지 않으면 시트가 녹아 버린다」고 하는 심리적 압박에 의해 배변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것이나, 배변 후에 배뇨를 해 버린 경우에는 소변의 배출로가 없기 때문에, 변 표면에 부착하는 혈액 성분이 소변으로 씻겨내져 버려, 변 잠혈 검사를 올바르게 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나, 배변 전후에 배뇨해 버린 경우, 수용성 시트의 분해가 촉진되어 버리고, 그 결과 변이 수몰될 우려가 있는 것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서양식 변기의 경우에 있어서, 변 채취부를 저수 부분 위쪽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방법도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이용하는 수용성 배변 시트로서, 채취 테이프의 길이는 45㎝∼50㎝이고 폭은 2.5㎝∼5㎝ 정도로 이면 양사이드에 박리지가 달린 양면 테이프를 첩부(貼付)하고, 채취 테이프의 상면 중앙에 이탈 기구를 가지는 수용성 채취 매트를, 채취 테이프에 뚫린 2개의 구멍을 거쳐, 속측(裏側)에서 이탈 테이프로 접합되고 변기 내측에 적당한 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변용 채취구(특허문헌 3 참조)나, 적어도 양단 가장자리부가 변기의 좌우 가장자리 상에 겹치는 길이(L)와 중간부의 분변 받이부의 폭이 적어도 분변을 받기에 충분한 폭으로 형성한 수해성(水解性)의 시트 본체와, 박리 테이프로 덮인 수해성의 양면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그 양면 접착 테이프를 상기 시트 본체의 양단 가장자리부의 편면에 첩착(貼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용 시트(특허문헌 4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테이프 등의 점착제를 이용하여 시트를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해, 더러워진 변기에 테이프를 붙이거나 또는 뜯어내는 작업이 필요해지고, 더러워진 변기에 손이 닿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인해 위생면적으로 저항감이 생기는 것이나, 점착제가 변기에 남은 경우에는 그 후의 변기 사용에 의해 변기에 더러움이 부착하기 쉬워지는 것이나, 점착제에는 비수용성의 박리지가 붙어 있는 일이 많고, 이러한 박리지는 점착제로부터 뜯어낸 후에 변기에 흘려보낼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0172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0687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08552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70403호
본 발명의 과제는, 서양식 변기의 저수 부분에 적시는 일없이, 또한 채변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변기에 점착제를 이용하는 일없이 장착 가능한 채변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자들은, 현행의 채변 시트에서는 변 검체의 적절한 채취가 곤란한 것이나, 위생면적으로 저항감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채변 시트 개량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여러 가지 개량을 한 것 중에서, 점착제를 이용하지 않아도, 시트를 통모양으로 함으로써 시트를 변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채변 시트에 설치된 변 받이부에 산접기선(mountain fold line)과 골접기선(valley fold line)을 구비하고,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을 형성 가능하게 함으로써, 채변을 보다 효율 좋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중앙에 변 받이부를 설치한 상층 시트와, 상기 상층 시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연장설치되고, 상기 상층 시트와의 사이에 변좌를 통과시키기 위한 틈을 형성 가능한 하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통모양의 채변 시트로서, 상기 상층 시트 및 하층 시트는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 시트에는, 펼치는 것에 의해 상기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절첩 부재(folding piece)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층 시트와 상기 하층 시트 사이에 형성된 틈에 변좌를 통과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상기 채변 시트를 변좌에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층 시트에 구비한 절첩 부재를 하층 시트 측으로 밀어넣어 펼치는 것에 의해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변 받이부에 받은 변이 변 받이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층 시트 및 하층 시트는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채변 후는 그대로 수세 변기에 흘려보낼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층 시트 및 하층 시트는, 수용성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층 시트 및 하층 시트는, 수용성 종이로 이루어지므로,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상기 상층 시트에 구비한 절첩 부재는,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산접기선과 골접기선이 설치되고,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의 단부가 고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으로 접혀진 접기 부재(折片)을 상기 하층 시트 측으로 펼치는 것에 의해, 상기 변 받이부를 상기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층 시트에 구비한 상기 절첩 부재를 상기 하층 시트 측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으로 접혀진 상기 접기 부재가 펼쳐지고, 이에 의해 상기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설치된 산접기선과 골접기선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설치된 산접기선과 골접기선은 서로 평행하므로, 상기 절첩 부재를 상기 하층 시트 측으로 밀어넣었을 때의 힘은,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에 균등하게 분산해서 전해지게 되어, 상기 산접기선과 골접기선으로 접혀진 상기 접기 부재를 원활하게 펼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설치된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은, 상기 변 받이부의 전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설치된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은, 상기 변 받이부의 전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변 받이부를 안정된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설치된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은, 상기 변 받이부의 좌우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설치된 산접기선과 골접기선은, 상기 변 받이부의 좌우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변 받이부를 안정된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상기 상층 시트에 구비한 상기 절첩 부재는, 상기 상층 시트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가 이면 측으로 되접어꺾이고, 되접어꺾인 속측 시트 부재와 겉측(表側) 시트 부재와의 좌우 단부 가장자리가 고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속측 시트 부재를 겉측 시트 부재의 겉측으로 일으켜 펼치는 것에 의해, 상기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속측 시트 부재를 상기 겉측 시트 부재의 겉측으로 일으켜 펼치는 것에 의해, 상기 변 받이부를 상기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변 받이부에 받은 변이 상기 변 받이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상기 상층 시트와 상기 하층 시트는, 장방형의 시트 기재를 한번 접은 2개의 시트 기재 부재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상기 시트 기재 부재를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겉측 시트 부재로 하고, 다른 쪽의 상기 시트 기재 부재에는,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절입선(cut line)을 형성하고, 2개의 상기 절입선의 외측을 상기 상층 시트에 구비한 절첩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속측 시트 부재로 함과 동시에, 2개의 상기 절입선의 내측을 상기 하층 시트로 하고, 상기 시트 기재를 한번 접은 2개의 상기 시트 기재 부재를 겹치고, 겹친 2개의 상기 시트 기재 부재의 개방된 3방(3方)의 단부 가장자리를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므로, 채변 시트의 제작이 용이하고,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채변 시트에 의하면,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변 받이부에 받은 변이 변 받이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채변 시트가 변기의 저수 부분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배변 도중에 채변 시트가 물에 닿아 녹는 걱정을 하는 일없이, 자신의 페이스로 배변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 사이에 형성된 틈에 변좌를 통과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채변 시트를 변좌에 장착할 수 있고, 채변 시트의 변기에의 장착에 점착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위생면적으로 안심하고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변기의 더러움 부착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채변 시트는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채변 후는 그 시트 전체를 그대로 수세 변기에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채변 시트의 실시형태의 제1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변 받이부의 좌우 방향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채변 시트의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려, 입체 형상을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예의 채변 시트의 제작에 이용하는 종이제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예의 채변 시트를 변좌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예의 채변 시트를 변좌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관한 채변 시트의 실시형태의 제2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나타내는 변 받이부의 전후 방향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제2 예의 채변 시트의 제작에 이용하는 종이제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관한 채변 시트의 실시형태의 제3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나타내는 변 받이부의 좌우 방향의 C-C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제3 예의 채변 시트의 제작에 이용하는 종이제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채변 시트의 실시형태의 제4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채변 시트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채변 시트의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려, 입체 형상을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채변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나타내는 제4 예의 채변 시트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나타내는 제4 예의 채변 시트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6은 도 10에 나타내는 제4 예의 채변 시트를 변좌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채변 시트는, 중앙에 변 받이부를 설치한 상층 시트와, 상기 상층 시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연장설치되고, 상층 시트와의 사이에 변좌를 통과시키기 위한 틈을 형성 가능한 하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통모양의 채변 시트로서, 상층 시트 및 하층 시트는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층 시트에는, 펼치는 것에 의해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절첩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층 시트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45∼70㎝이다. 상층 시트의 길이를 45∼70㎝로 하는 것에 의해,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변좌를 통과시킴으로써, 채변 시트가 변기 내의 저수 부분에 닿는 일없이, 또한 시일(seal) 등의 점착제를 이용하는 일없이 저수 부분 위쪽의 소정 위치에 상층 시트에 설치된 변 받이부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층 시트에 설치된 변 받이부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폭은, 절첩 부재를 전개한 상태에서 8∼30㎝이고, 바람직하게는 10∼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9㎝이다. 변 받이부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폭이 8㎝ 미만으로 되면 변을 받기 어렵고, 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채변 시트 상에 남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며, 30㎝를 넘으면, 소변이 나온 경우에 상층 시트가 녹아, 받은 변이 채변 시트로부터 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변 받이부의 좌우 방향(긴쪽 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절첩 부재를 전개한 상태에서 5∼35㎝, 바람직하게는 10∼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9㎝를 들 수 있다.
상층 시트의 중앙에 설치되고, 변을 받는 변 받이부는,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절첩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변이 입체 형상 내로 들어가, 상층 시트의 변 받이부에서 받은 변을 하층 시트면에서 보존유지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배변 시에 변이 엉덩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 전에는 절첩 부재를 절첩함으로써 입체 형상이 없는 평면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채변 시트 전체를 평면모양으로 컴팩트하게 절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채변자가 화장실에 들어가기 전에는 주머니 등에 수납 가능함과 동시에, 채변 시트를 채변을 위한 스틱이나 채변 컵 등을 포함하는 채변 키트와 함께 유통시키는 경우에, 채변 키트의 용기 내의 얼마되지 않는 공간에 채변 시트를 수납 가능해진다.
또한, 절첩 부재를 전개시켜,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배출한 변에 의해 엉덩이가 더러워질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장암 검사를 위한 변 DNA 검사용 또는 장내 세균총 검사용의 검체에는 충분량의 변이 필요하게 되지만, 입체 형상의 형성에 의해, 충분량의 변의 채취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변 받이부에 있어서, 시트를 2층, 3층, 4층 등의 복수층으로 하거나, 변 받이부 이외의 부분보다도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변 받이부 이외의 부분보다도 내수성을 높이는 것 등에 의해, 물에 대한 풀어짐을 저하시켜, 만일 소변이나 비데 등으로 젖더라도 풀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층 시트 전체에 대해 변 받이부를 무겁게 하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변 받이부 전체가 하층 시트 측으로 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층 시트의 변 받이부 이외의 부분의 전후 방향(짧은쪽 방향)의 폭은, 변 받이부를 서양식 수세 변기에 있어서 저수 부분에 닿지 않는 소정 위치에 매다는 것이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1∼40㎝이더라도, 2∼35㎝이더라도, 5∼30㎝이더라도, 8∼25㎝이더라도, 10∼20㎝이더라도, 12∼19㎝이더라도 좋다. 물로 씻을 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물로 씻을 때에 흘려보내는 채변 시트량을 줄이는 관점에서는 전후 방향의 폭을 좁게 하면 좋고, 채변자가 상층 시트 상에 앉는 것에 의한 상층 시트의 땀에 의한 풀어짐이나 물리적인 힘에 의한 파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전후 방향의 폭을 넓게 하면 좋다. 변 받이부와 상층 시트의 변 받이부 이외의 부분의 전후 방향의 폭은 동일해도 달라도 좋지만, 동일하면 채변 시트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층 시트의 변 받이부 이외의 부분은, 변 받이부를 서양식 수세 변기에 있어서 저수 부분에 닿지 않는 소정 위치에 매다는 것이 가능한 한, 2매, 3매, 4매, 5매, 6매, 또는 7매 등, 복수매의 변 받이부보다 전후 방향의 폭이 좁은 시트가 병렬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채변 시트를 변좌에 장착하는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매수가 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1매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층 시트의 변 받이부 이외의 부분은 배변자가 변기에 앉을 때에 변좌 상에 깔리게 되는 것으로 인해, 병원 등의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화장실에 있어서도, 위생면적으로 안심감을 주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겨울철 등의 추운 시기에 변좌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배변자의 대퇴부가 직접 변좌에 닿는 면적이 감소하는 것으로 인해 변좌에 앉았을 때의 차가움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층 시트는, 상층 시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연장설치되고, 상층 시트와의 사이에 변좌를 통과시키기 위한 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에 의해 통모양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채변 시트는 물에 의한 풀어짐을 걱정하는 일없이 장시간 변을 변 받이부로 보존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인해, 변 잠혈 검사용의 검체를 채취할 때에, 변 표면을 골고루 찰과(擦過)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대장암 검사를 위한 변 DNA 검사용 또는 장내 세균총 검사용으로, 충분량의 변 채취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하층 시트의 전후 방향(짧은쪽 방향)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40㎝이더라도, 2∼35㎝이더라도, 5∼30㎝이더라도, 8∼25㎝이더라도, 10∼20㎝이더라도, 12∼19㎝이더라도 좋다. 물로 씻을 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물로 씻을 때에 흘려보내는 채변 시트량을 줄이는 관점에서는 좁게 하면 좋다. 또한, 변 받이부와 하층 시트의 전후 방향(짧은쪽 방향)의 폭은 동일해도 달라도 좋지만, 동일한 것이 채변 시트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하층 시트는 2매, 3매, 4매, 5매, 6매, 또는 7매 등, 복수매의 변 받이부보다 전후 방향의 폭이 좁은 시트가 병렬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채변 시트를 변좌에 장착하는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매수가 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1매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층 시트의 좌우 방향(긴쪽 방향)의 길이는, 45∼70㎝이다.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지만, 동일하면 채변 시트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의 재료는, 수용성 재질의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용성 재질이란, 일본공업규격(JIS) P4501에서 규정되는 풀어지기 쉬움 시험에 있어서의 초수(秒數)로서, 9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60초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초 이상 30초 이하의 재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을 구비한 재료로서는, 수용성 종이, 수용성 폴리비닐 알콜 등의 수용성 폴리머, 수용성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해, 채변이 완료되면, 상층 시트(1)와 하층 시트(9)의 일부를 찢어 변좌로부터 벗겨지는 상태로 하고, 채변 시트(S) 전체를 그대로 물로 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층 시트 및/또는 하층 시트는 엠보싱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상층 시트 및/또는 하층 시트에 엠보싱 가공해 두면, 배변할 때에 배변자의 대퇴부가 상층 시트에 부착하여 상층 시트가 찢어지기 쉽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나, 배변자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채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매의 시트로 제조해도, 복수매의 시트로 제조해도 좋다. 제조할 때의 고착 공정에 있어서는, 수용성 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수용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심 없는(stapless) 스테플러(stapler)를 이용하여 고착하는 방법이나,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해 고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채변 시트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예)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채변 시트의 제1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변 받이부의 좌우 방향의 A-A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채변 시트의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려, 입체 형상을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예의 채변 시트의 제작에 이용하는 종이제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예의 채변 시트를 변좌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예의 채변 시트를 변좌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예의 채변 시트(S)는, 중앙에 변 받이부(2)를 설치한 상층 시트(1)와, 상층 시트(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연장설치된 하층 시트(9)로 구성되어 있고, 상층 시트(1)와 하층 시트(9)의 재료는, 수용성 재질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상층 시트(1)와 하층 시트(9) 사이에는, 변좌를 통과시키기 위한 틈을 형성 가능한 통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층 시트(1)에는, 펼치는 것에 의해 변 받이부(2)를 하층 시트(9)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절첩 부재(1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예에서는, 절첩 부재(10)는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 받이부(2)에, 변 받이부(2)의 전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산접기선(3)과 골접기선(4)으로 절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산접기선(3) 및/또는 골접기선(4)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3a, 4a)의 전부 혹은 일부는 전개할 수 없도록 고착되어 있다.
산접기선(3) 및/또는 골접기선(4)의 단부(3a, 4a)의 일단측 또는 양단측의 전부 혹은 일부를 고착해 두면, 산접기선(3)과 골접기선(4)으로 절첩된 절첩 부재(10)의 접기 부재(10a)를 펼치는 것에 의해, 변 받이부(2)를 하층 시트(9) 측으로 부풀어오른 보다 채변하기 쉬운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전방측 가장자리부 및/또는 후방측 가장자리부에 장력을 일으키는 것에 의해 산접기선(3) 및/또는 골접기선(4)의 단부(3a, 4a) 부근에서 받은 변이 변 받이부(2)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산접기선(3) 및/또는 골접기선(4)의 단부(3a, 4a)를 고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용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그 산접기선(3) 및/또는 골접기선(4)의 단부(3a, 4a) 위에 또 수용성 시일로 고착하는 방법이나, 심 없는 스테플러를 이용하여 고착하는 방법이나,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해 고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제1 예에서는, 산접기선(3)과 골접기선(4)의 단부(3a, 4a)는, 길이 8㎝의 수용성 테이프(5)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제1 예에서는, 변 받이부(2)를 꺾어접은 상태에 있어서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폭(X1)은 19㎝, 좌우의 폭(Y1)은 12㎝이다. 또한, 상층 시트(1)의 변 받이부(2) 이외의 부분의 폭(X2)도 19㎝이다. 또한, 상층 시트(1)의 좌우 방향의 길이(Y2)는 52㎝이다.
도 1a에 있어서는 상층 시트(1)에 의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층 시트(1)와 동일한 길이 및 폭의 하층 시트(9)가 상층 시트(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연장설치되어 통모양으로 되어 있다. 하층 시트(9)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양쪽에는 파선으로 나타낸 절입부(6)를 설치하고 있다.
절첩 부재(10)를 구성하는 변 받이부(2)에 설치된 산접기선(3)과 골접기선(4)에 있어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 받이부(2)의 중심(20)을 향해 전방에 산접기선(3)이, 후방에 골접기선(4)이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첩 부재(10)를, 하층 시트(9) 측으로 밀어 펼치고, 변 받이부(2)의 중심(20)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전개시키는 것에 의해, 변 받이부(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층 시트(9)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변 받이부(2)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폭(X1)은 8∼19㎝이고, 좌우의 길이(Y1)는 12∼16㎝이다. X1에 관해서는, 전후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더욱더 짧아진다.
상층 시트(1)와 하층 시트(9)의 재료는, 수용성 재질의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예에서는, 상층 시트(1)와 하층 시트(9)의 재료로서, 수용성 종이가 이용되고 있다.
제1 예에서 이용한 수용성 종이의 품질 성능은 이하와 같다.
(1) 종이의 두께       0.06㎜/매
(2) 평량         25g/㎡
(3) 인장 강도(gf/25㎜)
 MD        2750g
  CD       750g
(4) 풀어지기 쉬움(초)   30초 이하
다음에, 제1 예의 채변 시트(S)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 3을 참고로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제 시트(L1)를 준비한 다음에 이하의 공정으로 제작한다. 도면 중의 수치는 길이(㎜)이다.
(1) 시트(L1)의 사선부를 커트하여 제거한다. f2에 점구멍(perforation)을 낸다.
(2) f1의 선에서 꺾어접어, 변 받이부를 2층으로 하고, 변 받이부의 단부 2군데를 심 없는 스테플러로 고착한다.
(3) 산접기선(일점쇄선)을 4개, 골접기선(쇄선)을 4개 형성한다.
(4) 중심 방향을 향해 산접기선을 맞춘다.
(5) 수용성 테이프로 산접기선 및 골접기선의 양단을 고착한다.
(6) f2의 선에서 절첩하고, 단부끼리를 심 없는 스테플러로 고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예의 채변 시트(S)를 변좌에 장착하려면, 우선 변좌를 수직 방향으로 세우거나, 혹은 변좌를 손으로 변기로부터 들뜨게 한 다음에, 변좌 시트(S)를 구성하는 상층 시트(1)와 하층 시트(9) 사이에 형성된 틈에 변좌를 통과시켜, 변좌 시트(S)를 안쪽측(奧側)에 설치하고, 그 후 변좌를 변기에 둔다.
다음에, 변 받이부(2)가 변을 받기 쉬운 위치로 되도록 조정하고, 상층 시트(1) 전체를 가볍게 하층 방향으로 밀어넣고, 절첩 부재(10)를 펼쳐 변 받이부(2)가 하층 시트(9)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을 형성하도록 전개한다(도 4, 도 5 참조.).
펼쳐진 절첩 부재(10)는, 산접기선(3)과 골접기선(4)의 단부(3a, 4a)가 수용성 테이프(5)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개했을 때에 수용성 테이프(5)가 1∼5.5㎝ 정도 내측으로 만곡한다. 이에 의해, 상층 시트(1)가 소변으로 젖는 것에 의한 상층 시트(1)의 풀어짐을 보다 방지하는 것이나, 변 검체가 소변과 섞일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테이프(5)에 의해 전후 양측 가장자리부에 장력이 생기는 것으로 인해, 변 받이부(2)의 전후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의 변의 낙하를 보다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예)
도 6a는 본 발명에 관한 채변 시트의 제2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에 나타내는 변 받이부의 전후 방향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제2 예의 채변 시트의 제작에 이용하는 종이제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2 예의 채변 시트에 대해서, 제1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 예의 채변 시트(S)와 제1 예의 채변 시트(S)와의 다른 점은, 변 받이부(2)에 설치된 절첩 부재(10)의 구성이다. 제2 예의 절첩 부재(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 받이부(2)의 좌우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산접기선(3)과 골접기선(4)으로 절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산접기선(3) 및/또는 골접기선(4)의 단부(3a, 4a)는 전개할 수 없도록 고착되어 있다. 제2 예에서는, 산접기선(3)과 골접기선(4)의 단부(3a, 4a)는, 길이 12㎝의 수용성 테이프(5)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제2 예에서는, 변 받이부(2)를 꺾어접은 상태에 있어서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폭(X1)은 12㎝, 좌우의 폭(Y1)은 19㎝이다. 또한, 상층 시트(1)의 변 받이부(2) 이외의 부분의 폭(X2)도 12㎝이다. 또한, 상층 시트(1)의 좌우 방향의 길이(Y2)는 52㎝이다.
도 6a에 있어서는 상층 시트(1)에 의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층 시트(1)와 동일한 길이 및 폭의 하층 시트(9)가 상층 시트(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연장설치되어 통모양으로 되어 있다.
절첩 부재(10)를 구성하는 변 받이부(2)에 설치된 산접기선(3)과 골접기선(4)에 있어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 받이부(2)의 중심(20)을 향해 전방에 산접기선(3)이, 후방에 골접기선(4)이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첩 부재(10)를, 하층 시트(9) 측으로 밀어 펼쳐서, 변 받이부(2)의 중심(20)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전개시키는 것에 의해, 도시하지 않지만, 변 받이부(2)는 하층 시트(9)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의 변 받이부(2)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폭(X1)은 12∼15㎝이고, 좌우의 길이(Y1)는 13∼19㎝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예를 원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2 예의 채변 시트(S)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 7을 참고로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제 시트(L2), 시트(S2)의 2매의 시트를 준비한 다음에 이하의 공정으로 제작한다. 도면 중의 수치는 길이(㎜)이다.
(1) 시트(L2)의 양단으로부터 175㎜인 f3의 선에 점구멍을 내고, 내측으로 접는다.
(2) 시트(S2)를 f4의 선으로 절반으로 접는다.
(3) 산접기선(일점쇄선)을 4개, 골접기선(쇄선)을 6개 형성한다.
(4) 중심을 향해 산접기선을 맞춘다.
(5) 시트(S2)의 산접기선 및 골접기선의 양단을 시트(L2)에 수용성 테이프로 고착한다. 여기서, 시트(S2)의 산접기선 및 골접기선은 변 받이부의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시트(L2)에 접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예의 채변 시트(S)를 변좌에 장착하려면, 제1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예를 원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예)
도 8a는 본 발명에 관한 채변 시트의 제3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b는 도 8a에 나타내는 변 받이부의 좌우 방향의 C-C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제3 예의 채변 시트의 제작에 이용하는 종이제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3 예의 채변 시트에 대해서, 제1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3 예의 채변 시트(S)와 제1 예의 채변 시트(S)와의 다른 점은, 변 받이부(2)에 설치된 절첩 부재(10)의 구성이다.
제3 예의 절첩 부재(1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 시트(1)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변 받이부(2)의 상단의 4개의 모서리(7)에 위치하는 부분이, 변 받이부(2)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선을 따라 골접기되고 고착되고 절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변 받이부(2)를 하층 시트(1) 측으로 전개해서 부풀려,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의 변 받이부(2)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폭(X1)은 16∼17㎝이고, 좌우의 길이(Y1)는 13∼19㎝이고, 상층 시트(1)의 변 받이부(2) 이외의 부분의 전후 방향의 폭(X2)은 19㎝이다. 또한, 변 받이부(2)의 중심부에는, 폭 7㎝, 길이 7㎝의 바닥부(8)가 형성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예를 원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3 예의 채변 시트(S)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 9를 참고로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제 시트(L3)를 준비한 다음에 이하의 공정으로 제작한다. 도면 중의 수치는 길이(㎜)이다.
(1) 사선부를 절취한다.
(2) f5의 선으로 절첩하고, 심 없는 스테플러로 2군데 고착한다.
(3) f6의 선에 점구멍을 내고, 절첩한다.
(4) 단을 심 없는 스테플러로 5군데 고착한다.
(5) 중심의 대각선을 접는다(2개).
(6) 중심의 정방형 주위를 접는다(4개).
(7) 입체 형상으로 되도록 접고, 4개의 모서리를 심 없는 스테플러로 고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 예의 채변 시트(S)를 변좌에 장착하려면, 제1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예를 원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예)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채변 시트의 제4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채변 시트의 저면도,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채변 시트의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려, 입체 형상을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채변 시트의 사시도, 도 14, 도 15는 제4 예의 채변 시트(S)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16은 도 10에 나타내는 제4 예의 채변 시트를 변좌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4 예의 채변 시트에 대해서, 제1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4 예의 채변 시트(S)와 제1 예의 채변 시트(S)와의 다른 점은, 상층 시트(1)에 구비된 절첩 부재(10)의 구성이다.
제4 예에서는, 절첩 부재(10)는, 상층 시트(1)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가 이면 측으로 되접어꺾이고, 되접어꺾인 속측 시트 부재(11)와 겉측 시트 부재(12)와의 좌우 단부 가장자리가 고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부호 13은 속측 시트편(11)과 겉측 시트편(12)과의 좌우 단부 가장자리를 고착한 고착부이다.
또한, 절첩 부재(10)에는, 상층 시트(1)의 좌우 단부와 상층 시트(1)의 중앙에 설치된 변 받이부(2)와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속측 시트 부재(11)와 겉측 시트 부재(12)의 되접어꺾는 측의 가장자리부끼리를 고착한 고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절첩 부재(10)의 속측 시트 부재(11)를 겉측 시트 부재(12)의 겉측으로 일으켜 펼치는 것에 의해, 변 받이부(2)를 하층 시트(9)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절첩 부재(10)에는, 상층 시트(1)의 좌우 단부와 상층 시트(1)의 중앙에 설치된 변 받이부(2)와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속측 시트 부재(11)와 겉측 시트 부재(12)의 되접어꺾는 측의 가장자리부끼리를 고착한 고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착부(14)가 속측 시트 부재(11)의 확대를 규제하고, 변 받이부(2)의 부풀음을 안정시킨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예를 원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4 예의 채변 시트(S)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 14, 도 15를 참고로 설명한다.
우선, 장방형의 시트 기재(15)를 한번 접고, 한쪽의 시트 기재 부재(15a)를 상층 시트(1)의 겉측 시트 부재(12)로 한다.
다른 쪽의 시트 기재 부재(15b)에는,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점구멍으로 형성한 절입선(16)을 형성하고, 2개의 절입선(16)의 외측을 상층 시트(1)에 구비한 절첩 부재(10)를 구성하는 속측 시트 부재(11)로 함과 동시에, 2개의 절입선(16)의 내측을 하층 시트(9)로 한다(도 14 참조.).
다음에, 2개의 시트 기재 부재(15a, 15b)를 겹치고, 2개의 시트 기재 부재(15a, 15b)의 개방된 3방의 단부 가장자리를 고착한다. 도면부호 15A는 시트 기재 부재(15a, 15b)의 개방된 좌우 단부 가장자리를 고착한 고착부, 도면부호 15B는 시트 기재 부재(15a, 15b)의 개방된 전단 가장자리를 고착한 고착부이다. 고착부(15A)는 속측 시트편(11)과 겉측 시트편(12)과의 좌우 단부 가장자리를 고착한 고착부(13)로 된다. 고착부(15B)는, 상층 시트(1)의 겉측 시트 부재(12)와, 겉측 시트 부재(12)의 이면 측으로 되접어꺾여 있는 속측 시트 부재(11)와의 되접어꺾는 부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층 시트(1)에 절첩 부재(10)를 형성한다.
또한, 절첩 부재(10)에는, 상층 시트(1)의 좌우 단부와 상층 시트(1)의 중앙에 설치된 변 받이부(2)와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속측 시트 부재(11)와 겉측 시트 부재(12)의 되접어꺾는 측의 가장자리부끼리를 고착하여 고착부(14)를 형성한다(도 15 참조.).
고착부(13, 14, 15A, 15B)에 있어서의 고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용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심 없는 스테플러를 이용하여 고착하는 방법이나,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해 고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절첩 부재(10)의 속측 시트편(11)을 겉측 시트편(12)의 겉측으로 일으켜 펼치는 것에 의해, 변 받이부(2)를 하층 시트(9)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12, 도 13 참조.).
그리고 절첩 부재(10)에는, 상층 시트(1)의 좌우 단부와 상층 시트(1)의 중앙에 설치된 변 받이부(2)와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속측 시트 부재(11)와 겉측 시트 부재(12)의 되접어꺾는 측의 가장자리부끼리를 고착한 고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착부(14)에 의해 속측 시트 부재(11)의 확대가 규제되어, 변 받이부(2)를 안정된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 예의 채변 시트(S)를 변좌에 장착하려면, 제1 예와 마찬가지로, 우선 변좌를 수직 방향으로 세우거나, 혹은 변좌를 손으로 변기로부터 들뜨게 한 다음에, 변좌 시트(S)를 구성하는 상층 시트(1)와 하층 시트(9) 사이에 형성된 틈에 변좌를 통과시키고, 변좌 시트(S)를 안쪽측에 설치하고, 그 후 변좌를 변기에 두면 좋다.
다음에, 변 받이부(2)가 변을 받기 쉬운 위치로 되도록 조정하고, 절첩 부재(10)의 속측 시트편(11)을 겉측 시트편(12)의 겉측으로 일으켜 펼치고, 변 받이부(2)가 하층 시트(9)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을 형성하도록 전개한다(도 16 참조.).
그 외는, 제1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예를 원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S: 채변 시트
1: 상층 시트
2: 변 받이부
3: 산접기선
3a: 산접기선의 단부
4: 골접기선
4a: 골접기선의 단부
5: 수용성 테이프
6: 절입부
7: 변 받이부의 상단의 모서리
8: 바닥부
9: 하층 시트
10: 절첩 부재
10a: 접기 부재
11: 속측 시트 부재
12: 겉측 시트 부재
13, 14: 고착부
15: 시트 기재
15a, 15b: 시트 기재 부재
15A, 15B: 고착부
16: 절입선
20: 변 받이부의 중심
X1: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폭
X2: 상층 시트의 변 받이부 이외의 부분의 폭
Y1: 변 받이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
Y2: 상층 시트의 좌우 방향의 길이

Claims (8)

  1. 중앙에 변 받이부를 설치한 상층 시트와, 상기 상층 시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연장설치되고, 상기 상층 시트와의 사이에 변좌를 통과시키기 위한 틈을 형성 가능한 하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통모양의 채변 시트로서, 상기 상층 시트 및 하층 시트는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 시트에는, 펼치는 것에 의해 상기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절첩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층 시트 및 하층 시트는, 수용성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시트에 구비한 상기 절첩 부재는,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산접기선과 골접기선이 설치되고,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의 단부가 고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으로 접혀진 접기 부재를 상기 하층 시트 측으로 펼치는 것에 의해, 상기 변 받이부를 상기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설치된 산접기선과 골접기선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설치된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은, 상기 변 받이부의 전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변 받이부에 설치된 상기 산접기선과 상기 골접기선은, 상기 변 받이부의 좌우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시트.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시트에 구비한 상기 절첩 부재는, 상기 상층 시트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와 후방측 가장자리부가 이면 측으로 되접어꺾이고, 되접어꺾인 속측 시트 부재와 겉측 시트 부재와의 좌우 단부 가장자리가 고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속측 시트 부재를 겉측 시트 부재의 겉측으로 일으켜 펼치는 것에 의해, 상기 변 받이부를 하층 시트 측으로 부풀어오른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시트와 상기 하층 시트는, 장방형의 시트 기재를 한번 접은 2개의 시트 기재 부재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상기 시트 기재 부재를 상기 상층 시트의 상기 겉측 시트 부재로 하고, 다른 쪽의 상기 시트 기재 부재에는,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절입선을 형성하고, 2개의 상기 절입선 외측을 상기 상층 시트에 구비한 상기 절첩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속측 시트 부재로 함과 동시에, 2개의 상기 절입선의 내측을 상기 하층 시트로 하고, 상기 시트 기재를 한번 접은 2개의 상기 시트 기재 부재를 겹치고, 겹친 2개의 상기 시트 기재 부재의 개방된 3방의 단부 가장자리를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시트.
KR1020197003972A 2016-07-26 2017-07-26 채변 시트 KR102521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6168 2016-07-26
JP2016146168 2016-07-26
PCT/JP2017/026993 WO2018021390A1 (ja) 2016-07-26 2017-07-26 採便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499A true KR20190031499A (ko) 2019-03-26
KR102521462B1 KR102521462B1 (ko) 2023-04-12

Family

ID=6101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972A KR102521462B1 (ko) 2016-07-26 2017-07-26 채변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72907B2 (ko)
EP (1) EP3492914B1 (ko)
JP (1) JP6924444B2 (ko)
KR (1) KR102521462B1 (ko)
CN (1) CN109791135B (ko)
AU (1) AU2017303620A1 (ko)
TW (1) TWI731127B (ko)
WO (1) WO2018021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5079B2 (en) * 2016-04-26 2022-02-22 Takahashi Keisei Corporation Feces sampling tool and feces sampling tool manufacturing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403A (ja) 1994-03-30 1995-10-20 Fujisawa Pharmaceut Co Ltd 採便用シート
JPH1068726A (ja) 1996-08-28 1998-03-10 Eiken Chem Co Ltd 採便用便受けシート及び採便方法
JP2004085520A (ja) 2002-08-28 2004-03-18 Yoshihiro Maekawa 検便用採取具
WO2004075757A1 (de) * 2003-02-25 2004-09-10 Rathenberg Juergen Aufnahmehilfe für wc-toilettenbecken
JP2005017252A (ja) 2003-06-30 2005-01-20 Nittoku Kk 採便用シート及び採便方法
WO2008020776A1 (en) * 2006-08-17 2008-02-21 Luis Vargas Collapsible package
US20150038875A1 (en) * 2012-03-01 2015-02-05 Fubusc B.V. Device for collecting faec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use of such 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8921A (en) * 1969-10-09 1971-06-29 Theodore C Nagel Toilet mounted disposable stool specimen collector
US4309782A (en) * 1980-09-11 1982-01-12 Esteban Paulin Device for collecting fecal specimens
DE3905572A1 (de) * 1989-02-23 1990-08-30 Polykarp Voelk Maschinenbau Endlos-papiermanschette
US5337426A (en) * 1990-11-21 1994-08-16 Beckman Instruments, Inc. Disposable sample collection device
JPH076760A (ja) 1993-06-18 1995-01-10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アルカリ蓄電池用焼結式陽極板およびその製造法
JPH076760U (ja) * 1993-06-30 1995-01-31 丸ノ内紙工株式会社 検便用採便具
US5463782A (en) * 1994-11-21 1995-11-07 Eric V. Carlson Foldable stool sample collection device
FR2740672B1 (fr) * 1995-11-08 1997-12-26 Le Fourn Gilbert Sac jetable pour le recueil de matieres fecales
JP3292815B2 (ja) * 1997-02-10 2002-06-17 株式会社松野製紙 携帯用便器
JP2000352093A (ja) * 1999-06-11 2000-12-19 Daiichi Shiko Kk 便採取用シート
WO2011122949A1 (en) * 2010-04-02 2011-10-06 Antonius Henricus Petrus Bosch Auxiliary device for receiving fecal matter
CA2863440C (en) * 2012-01-09 2016-09-20 Kyoung-Hun Kim Collector for human feces
JP2015135296A (ja) * 2014-01-18 2015-07-27 株式会社▲高▼橋型精 採便具
FR3025716B1 (fr) * 2014-09-15 2023-04-21 M3At Sa Article pour recueillir l'urine et les selles d'un utilisateur
JP3200606U (ja) * 2015-08-13 2015-10-22 光一郎 町野 採便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403A (ja) 1994-03-30 1995-10-20 Fujisawa Pharmaceut Co Ltd 採便用シート
JPH1068726A (ja) 1996-08-28 1998-03-10 Eiken Chem Co Ltd 採便用便受けシート及び採便方法
JP2004085520A (ja) 2002-08-28 2004-03-18 Yoshihiro Maekawa 検便用採取具
WO2004075757A1 (de) * 2003-02-25 2004-09-10 Rathenberg Juergen Aufnahmehilfe für wc-toilettenbecken
JP2005017252A (ja) 2003-06-30 2005-01-20 Nittoku Kk 採便用シート及び採便方法
WO2008020776A1 (en) * 2006-08-17 2008-02-21 Luis Vargas Collapsible package
US20150038875A1 (en) * 2012-03-01 2015-02-05 Fubusc B.V. Device for collecting faec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use of such 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9862A1 (en) 2019-08-08
AU2017303620A1 (en) 2019-02-14
US11272907B2 (en) 2022-03-15
TWI731127B (zh) 2021-06-21
EP3492914A1 (en) 2019-06-05
EP3492914A4 (en) 2020-03-04
CN109791135B (zh) 2022-06-03
JP6924444B2 (ja) 2021-08-25
KR102521462B1 (ko) 2023-04-12
CN109791135A (zh) 2019-05-21
TW201819910A (zh) 2018-06-01
JPWO2018021390A1 (ja) 2019-06-20
EP3492914B1 (en) 2024-05-22
WO2018021390A1 (ja)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174897A3 (en) Absorption article with a partition against infiltration
CN104335917A (zh) 狗便自动承接总成、便器、固定片、便袋
CN1258487A (zh) 一次性尿布
KR20190031499A (ko) 채변 시트
JP2021156904A (ja) 排泄物採取具
NL2008396C2 (en) Device for collecting faec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use of such a device.
US20100058551A1 (en) Personal hygiene devices to aid physically impaired users to clean their recto-genital area
JP7104986B2 (ja) 排泄物採取具
CN101516307A (zh) 一次性尿布
KR101606886B1 (ko) 분변 시료 채취용 위생용기
TWI657782B (zh) 拋棄式容置袋
JP3200606U (ja) 採便用シート
JP4630138B2 (ja) 排泄物処理装具
JP2004085520A (ja) 検便用採取具
CN211094277U (zh) 一种粪便采集盒
JP3139911U (ja) 採便シート
GB2558687A (en) Stool sample collector
JP3071228U (ja) 採尿コップ補助具
JP3095799U (ja) 便採取袋
KR200451621Y1 (ko) 여성용 소변 보조기
JP3079553U (ja) 中高年に適した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3092181U (ja) 排尿排便受け具
JP3117034U (ja) 検便用の採便具
CN1893902A (zh) 便于将吸收制品施加到使用者身上的方法以及相关制品和施加辅助件
JP2004033048A (ja) 糞収集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