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818A -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Google Patents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5818A KR20190025818A KR1020187033715A KR20187033715A KR20190025818A KR 20190025818 A KR20190025818 A KR 20190025818A KR 1020187033715 A KR1020187033715 A KR 1020187033715A KR 20187033715 A KR20187033715 A KR 20187033715A KR 20190025818 A KR20190025818 A KR 201900258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il
- positive electrode
- anode
- negative electrode
- cathod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3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YEJRWHAVMIAJKC-UHFFFAOYSA-N 4-Butyrolactone Chemical compound O=C1CCCO1 YEJRWHAVMIAJK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lass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BTBUEUYNUDRHOZ-UHFFFAOYSA-N Borate Chemical compound [O-]B([O-])[O-] BTBUEUYNUDRHO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 polypropylene 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THFKEDIFFGKHM-UHFFFAOYSA-N Dimethoxyethane Chemical compound COCCOC XTHFKEDIFFGK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ZJHQDSMOYNLVLX-UHFFFAOYSA-N diethyl(dimethyl)azanium Chemical compound CC[N+](C)(C)CC ZJHQDSMOYNLVL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YOMFVLRTMZWACQ-UHFFFAOYSA-N ethyltrimethylammonium Chemical compound CC[N+](C)(C)C YOMFVLRTMZWAC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CBXCPBUEXACCNR-UHFFFAOYSA-N tetraethylammonium Chemical compound CC[N+](CC)(CC)CC CBXCPBUEXACCN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SEACXNRNJAXIBM-UHFFFAOYSA-N triethyl(methyl)azanium Chemical compound CC[N+](C)(CC)CC SEACXNRNJAXI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3 acid-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GBXLFKZBHKPEV-UHFFFAOYSA-N boric acid Chemical compound OB(O)O KGBXLFKZBHK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338 bo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58 condu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73 ketje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007 phospho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83 artifici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27 bo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4 carbon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67 catio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IIPYXGDZVMZOAP-UHFFFAOYSA-N lithium nitrate Chemical compound [Li+].[O-][N+]([O-])=O IIPYXGDZVMZOA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8 multi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82 natur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242 quaternary ammon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09 single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003 spir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457 sulf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QEMXHQIAXOOASZ-UHFFFAOYSA-N tetramethylammonium Chemical compound C[N+](C)(C)C QEMXHQIAXOOAS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IAARYAFYJHUJI-UHFFFAOYSA-L zinc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Zn+2] JIAARYAFYJHUJI-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LZDKZFUFMNSQCJ-UHFFFAOYSA-N 1,2-diethoxyethane Chemical compound CCOCCOCC LZDKZFUFMNSQ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NXJIVFYUVYPPR-UHFFFAOYSA-N 1,3-dioxolane Chemical compound C1COCO1 WNXJIVFYUVYPP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GLGESCVNJSAQY-UHFFFAOYSA-N 1-ethoxy-2-nitrobenzene Chemical compound CCOC1=CC=CC=C1[N+]([O-])=O XGLGESCVNJSAQ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HOUJYFWMURBG-UHFFFAOYSA-N 1-ethyl-1-methylpyrrolidin-1-ium Chemical compound CC[N+]1(C)CCCC1 NIHOUJYFWMUR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JAKRNRJVHIIDT-UHFFFAOYSA-N 1-ethylsulfonyl-2-methylpropane Chemical compound CCS(=O)(=O)CC(C)C NJAKRNRJVHIID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BJCDTIWNDBNTM-UHFFFAOYSA-N 1-methylsulfonylethane Chemical compound CCS(C)(=O)=O YBJCDTIWNDBNT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DKKQZIFDSEMNU-UHFFFAOYSA-N 2-ethylsulfonylpropane Chemical compound CCS(=O)(=O)C(C)C RDKKQZIFDSEMN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WUJQDFVADABEY-UHFFFAOYSA-N 2-methyl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C1CCCO1 JWUJQDFVADAB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TWHVBNYYWFXSI-UHFFFAOYSA-N 2-nitro-1-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O-][N+](=O)CC(=O)C1=CC=CC=C1 JTWHVBNYYWFXS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LAMLWHELXOEJZ-UHFFFAOYSA-N 2-nitro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N+]([O-])=O SLAMLWHELXOEJ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QUPABOKLQSFBK-UHFFFAOYSA-N 2-nitro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N+]([O-])=O IQUPABOKLQSF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MJLMPKFQPJDKP-UHFFFAOYSA-N 3-methylthiolane 1,1-dioxide Chemical compound CC1CCS(=O)(=O)C1 CMJLMPKFQPJDK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100028667 C-type lectin domain family 4 member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000766908 Homo sapiens C-type lectin domain family 4 member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907 Musa texti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81 amorphous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52 auxilia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619 boric acid group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8620 butyrolacto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60 carbonate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63 carbo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33 carboxylic acid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1 channel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EDZKIACDBYJLQ-UHFFFAOYSA-N ethane-1,2-diol;hydrate Chemical compound O.OCCO AEDZKIACDBYJL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5 kraft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3 nit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8 nitro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YGJENNIWJXYER-UHFFFAOYSA-N nitromethane Chemical compound C[N+]([O-])=O LYGJENNIWJXYE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477 pH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09 phospho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14 phosphoric acid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16 phosphor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79 polypropylene 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UJWROOIHBZHMG-UHFFFAOYSA-O pyridinium Chemical compound C1=CC=[NH+]C=C1 JUJWROOIHBZHMG-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719 pyrrolidi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XJUTPCZVOIRIF-UHFFFAOYSA-N sulfolane Chemical compound O=S1(=O)CCCC1 HXJUTPCZVOIRI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SIJQEHRDSCQIU-UHFFFAOYSA-N tert-butyl 2,7-diazaspiro[4.5]decane-7-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1N(C(=O)OC(C)(C)C)CCCC11CNCC1 ISIJQEHRDSCQI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OXIMZWYDAKGHI-UHFFFAOYSA-N toluene-4-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S(O)(=O)=O)C=C1 JOXIMZWYDAKG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74 zinc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2 zinc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01G11/60—Liqu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0—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2—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용매에 γ-부티로락톤을 이용해도, 간편하게 양극의 확산 저항의 경년(經年)에 의한 증대를 억제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공한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양극박(1)과 음극박(2)을 세퍼레이터(3)를 개재(介在)하여 권회(卷回)한 소자에 전해액을 함침시켜 이루어진다. 전해액은, 용매로서 γ-부티로락톤을 함유한다. 양극박(1)의 띠 폭은, 음극박(2)의 띠 폭보다 폭넓으며, 소자는, 양극박(1)이 음극박(2)보다 띠 폭 방향으로 돌출하여 권회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γ-부티로락톤을 용매로서 함유하는 권회형(卷回型)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한 쌍의 분극성 전극을 전해액에 함침시킨 소자를 용기에 수용하여 이루어지고, 분극성 전극과 전해액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전기 이중층의 축전 작용을 이용하고 있다. 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반복 충방전에 의한 전극 활물질의 열화(劣化)가 적어 수명이 길다는 이점을 갖는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대표적으로는, 분극성 전극 재료에 활성탄 분말이 이용되고, 집전체에 알루미늄 등의 밸브 작용을 갖는 금속이 이용되고, 비(非)프로톤계 전해액이 전해액으로서 이용된다. 전해액의 전해질은, 제4급 암모늄염이 주로 이용된다. 전해액의 용매는, 대표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계 용매나, γ-부티로락톤 등의 카르복시산에스테르가 이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카보네이트계 용매는, 용매의 분해에 의해 일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내압을 상승시켜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γ-부티로락톤은, 분해에 의한 가스 발생이 생기기 어려운 점에서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γ-부티로락톤은, 전해액 중에 함유하는 수분에 의해 알칼리화된 음극에서 가수분해되고, 양이온성 화합물이 되어 양극에 퇴적해버린다. 양극의 퇴적물에 의해, 양극은 확산 저항을 증대시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내부 저항의 증대 및 용량저하에 이르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는, 전해액의 수분 함유율을 제어함으로써, γ-부티로락톤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있다. 단, 전해액의 수분 함유율의 제어는 고도의 기술 및 제조 관리를 요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그 목적은, γ-부티로락톤을 용매에 이용해도, 간편하게 양극의 확산 저항의 경년(經年)에 의한 증대를 억제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예의 연구에 의해, 양극박을 음극박의 띠(帶) 폭보다 폭넓게 하면, 음극박에 양극박과의 비대향 부분은 생기지 않고, 양극박에 음극박과의 비대향 부분이 생겨, 이 양극박에 형성된 비대향 부분에 의해 음극박의 알칼리화가 초래하는 전해액에의 영향이 완화되고, 즉, 양극박에 퇴적해야 할 생성물이 생기기 어려워, 양극의 확산 저항이 억제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양극박을 음극박의 띠 폭보다 폭넓게 한다는 것은, 양극박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이 음극박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보다 폭넓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상기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양극박과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介在)하여 권회한 소자에 전해액을 함침시켜 이루어지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로서, 상기 전해액은, 용매로서 γ-부티로락톤을 함유하고, 상기 양극박의 띠 폭은, 상기 음극박의 띠 폭보다 폭넓으며, 상기 소자는, 상기 양극박이 상기 음극박보다 띠 폭 방향으로 돌출하여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극박의 띠 길이는, 상기 양극박보다 길고, 상기 소자는, 상기 음극박이 최(最)내주 및 최외주에 위치하도록 권회되고, 상기 음극박은, 상기 양극박보다 띠 길이에 있어서 감김 시작 및 감김 끝에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음극박에 대향하지 않는 양극박의 비대향 부분을 발생시키면, 세퍼레이터에 이상(異常) 열화가 일어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직류 내부 저항이 증대한다.
상기 양극박은, 상기 음극박보다 0㎜ 초과 12㎜ 미만 폭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양극박의 돌출량이 클수록, 직류 내부 저항의 증대가 억제된다. 상기 양극박은, 상기 음극박보다 0㎜ 초과 10㎜ 미만 폭넓으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박의 띠 폭을 상기 음극박보다 10㎜ 폭넓게 하면, 직류 내부 저항의 절대값이 커진다. 또한, 0㎜ 초과 12㎜ 미만 폭넓거나 또는 0㎜ 초과 10㎜ 미만 폭넓다는 것은,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에 대해서 당해 범위에서 폭넓다는 의미이다.
상기 소자는, 상기 양극박의 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兩)변부가 상기 음극박보다 돌출하여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양극박의 비대향 부분에 의해, 전해액의 알칼리화를 억제하여, γ-부티로락톤의 열화 반응이 생기기 어려운 양호한 환경을 작출(作出)할 수 있다.
양극박의 양변부가 음극박보다 돌출할 경우, 상기 양극박은, 상기 음극박보다 양변부가 각각 0㎜ 초과 6.0㎜ 미만 돌출하여 권회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양극박의 돌출량이 클수록, 직류 내부 저항의 증대가 억제된다. 상기 양극박은, 상기 음극박보다 양변부가 각각 0㎜ 초과 5.0㎜ 미만 돌출하여 권회되어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박의 양변부를 상기 음극박보다 각각 6.0㎜ 돌출시키면, 직류 내부 저항의 절대값이 커진다. 또한, 0㎜ 초과 6.0㎜ 미만 돌출하거나 또는 0㎜ 초과 5.0㎜ 미만 돌출한다는 것은,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에 대해서 당해 범위에서 돌출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이도록 해도 된다. 양극측 비대향 부분에 의해 전해액의 알칼리화가 억제되는 것에 대응하여, 내(耐)산성의 재료인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세퍼레이터로 하면, 양극박의 양변부가 상기 음극박보다 각각 5.0㎜ 이상 6.0㎜ 이하 돌출해 있어도, 세퍼레이터가 착색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γ-부티로락톤을 용매에 이용해도, 양극의 확산 저항의 경시(經時)적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양극박 및 음극박의 배치 및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양극박 및 음극박의 권회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양극박 및 음극박의 권회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전체 구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양극박 및 음극박의 치수 및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양극박 및 음극박의 권회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분극성 전극과 전해액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전기 이중층의 축전 작용을 이용한 것으로, 한 쌍의 분극성 전극을 전해액에 함침시킨 소자를 용기에 수용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분극성 전극은,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을 집전체와 일체화시켜 이루어지는 양극박(1) 및 음극박(2)이며, 단락(短絡) 방지를 위해 세퍼레이터(3)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권회형이다. 소자는, 띠 형상의 양극박(1)과 음극박(2)에 탭(4)을 마련하고, 양극박(1)과 음극박(2)을 세퍼레이터(3)의 개재 상에서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진다. 양극박(1) 및 음극박(2)에 있어서, 나선을 따르는 방향을 띠 길이 방향이라 하고, 소자의 동체 높이 방향을 띠 폭 방향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양극박(1)과 음극박(2)은, 장척(長尺) 방향을 따라 감겨들어가고, 이 장척 방향이 띠 길이 방향이 되며, 단척(短尺) 방향이 띠 폭 방향이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박(1)은, 음극박(2)과 비교하여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이 폭넓다. 양극박(1)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은, 음극박(2)과 세퍼레이터(3)를 개재하여 대향시켰을 때, 띠 폭 방향이 음극박(2)보다 돌출된다. 환언하면, 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의 변부가 노출된다. 양극박(1)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에 있어서 돌출된 부분은, 음극박(2)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과 대면하지 않는다. 양극박(1)의 음극박(2)으로부터 돌출한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의 부분을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이라고 한다. 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양극박(1)에 띠 폭 방향으로 확장된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갖는다.
여기에서, 「폭넓음」 및 「돌출함」은,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면,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의 띠 폭과 집전체의 띠 폭은, 동일하거나 혹은 집전체의 쪽을 넓게 할 수 있다. 단, 집전체의 띠 폭이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보다 넓더라도, 양극박(1) 및 음극박(2)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이 동일 폭이면, 「폭넓음」 및 「돌출함」이 되지 않는다. 이하, 양극박(1)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의 띠 폭이 음극박(2)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의 띠 폭보다 폭넓은 것을, 단순히, 양극박(1)의 띠 폭이 음극박(2)의 띠 폭보다 폭넓다고 표현한다. 또한, 양극박(1)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이 음극박(2)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으로부터 띠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단순히, 양극박(1)이 음극박(2)으로부터 돌출한다고 표현한다. 즉, 양극박(1)의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에 대해서만,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이라고 하고,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이 없는 집전체의 영역은,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에 포함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음극측 비대향 부분(2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을 가리킨다.
이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은, 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양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극박(1)은, 음극박(2)의 띠 폭 방향 상하 단부(端部)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은, γ-부티로락톤이 열화 반응하기 어려운 산성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고 추측되지만,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이 띠 폭 방향 상하에 존재하면, 전해액의 알칼리화의 진행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상하의 돌출량은 예를 들면 균등하다. 양극박(1)과 음극박(2)의 띠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가지런히 하도록, 양극박(1)과 음극박(2)을 세퍼레이터(3)의 개재 상에서 겹쳐 권회하면 된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동체 높이 방향이 상하가 되도록 세워 실장(實裝)되는 것이 예정될 경우, 전해액이 잔류하기 쉬운 하측의 돌출량을 더 많이 하면 된다.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돌출량은,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0㎜ 초과 6.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특히, 직경 40㎜ 및 높이 65㎜의 소자를 이용할 경우, 이들 범위가 호적(好適)하다. 양변부의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이 각각 0㎜ 초과 6.0㎜ 이하의 범위에서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경년에 의한 용량 유지율은 높고, 또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직류 내부 저항의 경년 열화가 적다.
단,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돌출량을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6.0㎜로 하면, 직류 내부 저항의 절대값이 높아진다. 따라서, 직류 내부 저항의 절대값의 관점을 더하면, 더 바람직한 범위는,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돌출량이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0㎜ 초과 6.0㎜ 미만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양극 비대향 부분(11)의 돌출량은,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0㎜ 초과 5.0㎜ 미만이다.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은 전해액의 알칼리화를 억제하지만, 이 범위이면,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에 의한 전해액의 알칼리화의 억제 효과가 세퍼레이터(3)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단, 양변부의 양극 비대향 부분(11)이 각각 5.0㎜ 이상 6.0㎜ 이하여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산성 재료로 제작된 세퍼레이터(3)를 이용함으로써, 세퍼레이터(3)의 착색이 억제된다.
한편, 양극박(1)을 음극박(2)보다 띠 길이 방향에 있어서도 길게 하고, 양극박(1)이 최내주 및 최외주가 되도록 하여, 양극박(1)의 감김 시작과 감김 끝에 음극박(2)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하면, 띠 폭 방향과 동일하게 음극박(2)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을 띠 길이 방향으로 작출하고 있음에 지나지 않지만, 의외로 세퍼레이터(3)가 열화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극박(2)은, 양극박(1)과 비교하여 띠 길이 방향으로 길다. 음극박(2)은, 양극박(1)과 세퍼레이터(3)를 개재하여 대향시켰을 때, 띠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양단부가 양극박(1)보다 돌출된다. 음극박(2)이 돌출된 부분은, 양극박(1)과 대면하지 않는다. 음극박(2)의 양극박(1)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음극측 비대향 부분(21)이라고 한다. 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띠 길이 방향에 음극박(2)의 음극측 비대향 부분(21)을 갖는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는, 음극박(2)을 선(先) 감김 시작측이며 또한 후(後) 감김 끝측으로서 형성한다. 즉, 앞서 음극박(2)이 1 둘레 이상 감겨들어가고, 양극박(1)과 세퍼레이터(3)와 음극박(2)의 층에 있어서 양극박(1)이 내주측이고 음극박(2)이 외주측이 되도록 감으면서, 최외주에서는 음극박(2)을 양극박(1)의 단부를 넘어 마지막으로 감기 종료함으로써, 음극박(2)을 최내주 및 최외주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음극박(2)의 감김 시작과 감김 끝에 음극측 비대향 부분(21)을 갖는다.
(양극박·음극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각 구성의 상세예는 이하와 같다. 분극성 전극 재료는 대표적으로는 탄소 분말이다. 탄소 분말에 도전 조제를 첨가하여 분극성 전극 재료로 해도 된다. 탄소 분말은, 수증기 부활(賦活), 알칼리 부활, 염화아연 부활 또는 전계 부활 등의 부활 처리 그리고 개구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탄소 분말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탄소 분말로서는, 야자 껍질 등의 천연 식물 조직, 페놀 등의 합성 수지, 석탄, 코크스, 피치 등의 화석 연료 유래의 것을 원료로 하는 활성탄,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채널 블랙 등의 카본 블랙, 카본 나노혼, 무정형 탄소,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흑연화 케첸 블랙, 활성탄, 메조포러스 탄소 등을 들 수 있다.
도전 조제로서는,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천연/인조 흑연, 섬유 형상 탄소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섬유 형상 탄소로서는, 카본 나노 튜브, 카본 나노 파이버(이하, CNF) 등의 섬유 형상 탄소를 들 수 있다. 카본 나노 튜브는, 그라펜시트가 1층인 단층 카본 나노 튜브(SWCNT)여도, 2층 이상의 그라펜시트가 동축(同軸) 형상으로 둥글고, 튜브벽이 다층을 이루는 다층 카본 나노 튜브(MWCNT)여도 되고, 그것들이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집전체로서는, 알루미늄박, 백금, 금, 니켈, 티탄, 강(鋼), 및 카본 등의 밸브 작용을 갖는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집전체의 형상은, 막 형상, 박 형상, 판 형상, 망(網) 형상, 익스팬드메탈 형상, 원통 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집전체의 표면은 에칭 처리 등에 의한 요철면을 형성해도 되고, 또한 플레인면이어도 된다. 또한, 표면 처리를 행하고, 인을 집전체의 표면에 부착시켜도 된다.
(카본 코팅층)
집전체와 분극성 전극층 사이에는, 흑연 등의 도전제를 함유하는 카본 코팅층을 마련해도 된다. 집전체의 표면에 흑연 등의 도전제, 바인더 등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도포, 건조함으로써, 카본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전해액)
전해액의 용매는 γ-부티로락톤이다. γ-부티로락톤은, 알칼리화된 음극박(2)에서 용이하게 가수분해되어 양이온성 화합물이 되고, 양극박(1)에 퇴적하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수명을 줄이기 때문에,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에 의해 전해액의 알칼리화를 억제시키는 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호적하다.
전해액의 용매로서, γ-부티로락톤에 추가로 부(副)용매를 혼합할 수도 있다. 부용매로서는, 에틸이소프로필설폰, 에틸메틸설폰, 에틸이소부틸설폰 등의 쇄(鎖) 형상 설폰, 설포란, 3-메틸설포란 등의 환(環) 형상 설폰, 아세토니트릴, 1,2-디메톡시에탄,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테트라히드로퓨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1,3-디옥소란, 니트로메탄,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전해액의 전해질로서는 제4급 암모늄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각종 제4급 암모늄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특히, 에틸트리메틸암모늄 BF4, 디에틸디메틸암모늄 BF4, 트리에틸메틸암모늄 BF4, 테트라에틸암모늄 BF4, 스피로-(N,N')-비피롤리디늄 BF4, 메틸에틸피롤리디늄 BF4, 에틸트리메틸암모늄 PF6, 디에틸디메틸암모늄 PF6, 트리에틸메틸암모늄 PF6, 테트라에틸암모늄 PF6, 스피로-(N,N')-비피롤리디늄 PF6, 테트라메틸암모늄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 에틸트리메틸암모늄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 디에틸디메틸암모늄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 트리에틸메틸암모늄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 테트라에틸암모늄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 스피로-(N,N')-비피롤리디늄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 테트라메틸암모늄디플루오로옥살라토보레이트, 에틸트리메틸암모늄디플루오로옥살라토보레이트, 디에틸디메틸암모늄디플루오로옥살라토보레이트, 트리에틸메틸암모늄디플루오로옥살라토보레이트, 테트라에틸암모늄디플루오로옥살라토보레이트, 스피로-(N,N')-비피롤리디늄디플루오로옥살라토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3)로서는, 셀룰로오스계 세퍼레이터, 합성 섬유 부직포계 세퍼레이터, 셀룰로오스와 합성 섬유를 혼초(混抄)한 혼초지 혹은 다공질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로서는, 크래프트, 마닐라삼, 에스파르토, 헴프(hemp), 레이온 등이 있다. 부직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불소 수지,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세라믹스나 유리 등등의 섬유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극박(1)의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에 의해 전해액의 알칼리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합성 섬유 부직포나 유리 재료 등의 내산성의 재료를 세퍼레이터(3)로서 이용한다.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이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5㎜ 이상 6㎜ 이하의 범위여도, 합성 섬유 부직포나 유리 재료 등의 내산성의 재료의 세퍼레이터(3)에는 착색이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전해액에는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인산류 및 그 유도체(인산, 아인산, 인산에스테르류, 포스폰산류 등), 붕산류 및 그 유도체(붕산, 산화 붕산, 붕산에스테르류, 붕소와 수산기 및/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착체 등), 질산염(질산리튬 등), 니트로 화합물(니트로벤조산, 니트로페놀, 니트로페네톨, 니트로아세토페논,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량은, 도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전해질 전체의 10중량%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다. 또한, 전해질(2)에는, 가스 흡수제를 함유해도 된다.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흡수제로서, 전해질의 각 성분(용매, 전해질염, 각종 첨가제 등)과 반응하지 않으며, 또한, 제거(흡착 등)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수증기 부활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 9중량부, 분산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2중량부, 바인더로서 SBR 에멀젼 2중량부, 및 순수(純水)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또한, 에칭 처리를 한 알루미늄박에 대하여 인산 수용액에 침지하여, 표면에 인을 부착시키고, 박의 표면에 흑연을 함유하는 도료를 도포하고, 알루미늄박 표면의 카본 코팅층을 알루미늄박 양면에 형성시킴으로써, 집전박을 제작했다.
제작한 집전박의 양면에, 동일하게 제작한 슬러리를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도포 전극으로 했다. 이 도포 전극을 다음 치수로 재단하여, 실시예 1에 이용하는 양전박(1), 음전박(2)을 제작했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양극박(1)의 띠 폭을 41.0㎜, 음극박(2)의 띠 폭을 40.0㎜로 하고, 양극박(1)을 음극박(2)보다 1.0㎜ 폭넓게 했다. 띠 폭의 수치는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에 대해서 계측한 값이다.
그리고, 양극박(1)과 음극박(2)의 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가지런히 하고, 양극박(1)이 음극박(2)보다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균등하게 0.5㎜씩 돌출되도록 하여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마련하고, 레이온 세퍼레이터(3)를 개재하여 서로 겹쳐, 권회형의 소자를 형성했다. 소자에 있어서는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했다.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에 있어서 띠 길이 방향으로 30㎜ 돌출시키고, 후 감김 개시에 있어서 띠 길이 방향으로 30㎜ 돌출시킴으로써, 음극박(2)에 음극측 비대향 부분(22)을 형성했다. 띠 길이의 수치는 분극성 전극 재료의 층에 대해서 계측한 값이다.
이 소자에 전해액을 함침시켰다. 전해액은, 1.5M의 메틸에틸피롤리디늄 BF4/γ-부티로락톤 용액을 이용하고, 이 전해액을 함침시킨 소자를, φ40×65L의 외장 케이스에 넣어 봉구체에서 봉입함으로써, 실시예 1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작했다.
(실시예 2)
양극박(1)의 띠 폭을 42.0㎜, 음극박(2)의 띠 폭을 40.0㎜로 하고, 양극박(1)을 음극박(2)보다 2.0㎜ 폭넓게 했다. 양극박(1)이 음극박(2)보다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균등하게 1.0㎜ 돌출되도록 권회하여 소자를 형성했다. 슬러리의 제작, 집전박의 제작, 및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하여 권회하는 등, 그 밖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3)
양극박(1)의 띠 폭을 44.0㎜, 음극박(2)의 띠 폭을 40.0㎜로 하고, 양극박(1)을 음극박(2)보다 4.0㎜ 폭넓게 했다. 양극박(1)이 음극박(2)보다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균등하게 2.0㎜ 돌출되도록 권회하여 소자를 형성했다. 슬러리의 제작, 집전박의 제작, 및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하여 권회하는 등, 그 밖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4)
양극박(1)의 띠 폭을 46.0㎜, 음극박(2)의 띠 폭을 40.0㎜로 하고, 양극박(1)을 음극박(2)보다 6.0㎜ 폭넓게 했다. 양극박(1)이 음극박(2)보다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균등하게 3.0㎜ 돌출되도록 권회하여 소자를 형성했다. 슬러리의 제작, 집전박의 제작, 및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하여 권회하는 등, 그 밖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5)
양극박(1)의 띠 폭을 48.0㎜, 음극박(2)의 띠 폭을 40.0㎜로 하고, 양극박(1)을 음극박(2)보다 8.0㎜ 폭넓게 했다. 양극박(1)이 음극박(2)보다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균등하게 4.0㎜ 돌출되도록 권회하여 소자를 형성했다. 슬러리의 제작, 집전박의 제작, 및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하여 권회하는 등, 그 밖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6)
양극박(1)의 띠 폭을 50.0㎜, 음극박(2)의 띠 폭을 40.0㎜로 하고, 양극박(1)을 음극박(2)보다 10㎜ 폭넓게 했다. 양극박(1)이 음극박(2)보다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균등하게 5.0㎜ 돌출되도록 권회하여 소자를 형성했다. 슬러리의 제작, 집전박의 제작, 및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하여 권회하는 등, 그 밖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7)
양극박(1)의 띠 폭을 52.0㎜, 음극박(2)의 띠 폭을 40.0㎜로 하고, 양극박(1)을 음극박(2)보다 12㎜ 폭넓게 했다. 양극박(1)이 음극박(2)보다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균등하게 6.0㎜ 돌출되도록 권회하여 소자를 형성했다. 슬러리의 제작, 집전박의 제작, 및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하여 권회하는 등, 그 밖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비교예 1)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7과 달리, 음극박(2)이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양극박(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했다. 비교예 1에서는, 양극박(1)의 띠 폭을 38.0㎜, 음극박(2)의 띠 폭을 40.0㎜로 하고, 음극박(2)을 양극박(1)보다 2.0㎜ 폭넓게 했다. 그리고, 음극박(2)이 양극박(1)보다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균등하게 1.0㎜ 돌출되도록 권회하여 소자를 형성했다. 슬러리의 제작, 집전박의 제작, 및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하여 권회하는 등, 그 밖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실시예 1 내지 7과 달리, 음극박(2)이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양극박(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했다. 비교예 2에서는, 양극박(1)의 띠 폭을 39.0㎜, 음극박(2)의 띠 폭을 40.0㎜로 하고, 음극박(2)을 양극박(1)보다 1.0㎜ 폭넓게 했다. 그리고, 음극박(2)이 양극박(1)보다 띠 폭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균등하게 0.5㎜ 돌출되도록 권회하여 소자를 형성했다. 슬러리의 제작, 집전박의 제작, 및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하여 권회하는 등, 그 밖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실시예 1 내지 7과 달리, 양극박(1)과 음극박(2)의 띠 폭을 같은 40.0㎜로 하여, 양극박(1)과 음극박(2)의 쌍방에 돌출 부분이 없도록 했다. 슬러리의 제작, 집전박의 제작, 및 음극박(2)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하여 권회하는 등, 그 밖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수명 성능의 확인)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85℃에서 2.5V의 정전압을 인가하고, 초기의 방전 용량 및 직류 내부 저항과, 일정 시간 경과 후의 방전 용량 및 직류 내부 저항을 측정하여, 용량 변화율(ΔCap)(%)과 직류 내부 저항(ΔDCIR)(%)을 산출했다.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서는 2000시간 경과 후에 방전 용량과 직류 내부 저항을 다시 측정하고, 용량 변화율(ΔCap)(%)과 직류 내부 저항(ΔDCIR)(%)을 산출하여, 하기 표 1에 정리했다. 실시예 3 내지 7에 대해서는 1500시간 경과 후에 방전 용량과 직류 내부 저항을 다시 측정하고, 용량 변화율(ΔCap)(%)과 직류 내부 저항(ΔDCIR)(%)을 산출하여, 하기 표 2에 정리했다. 또한, 표 중,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폭」은 양변부의 각각의 돌출량을 나타내고,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폭」이 음수가 되는 것은, 음극박(2)이 양극박(1)으로부터 돌출하여, 그 돌출량이 음수의 절대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표 2)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비교예 3과 실시예 1 내지 7은, 용량 변화율의 증대와 직류 내부 저항의 증대의 양방이 억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양극 비대향 부분(11)을 확장하면 할수록 용량 변화율의 증대와 직류 내부 저항의 증대의 양방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양극박(1)과 음극박(2)이 동일 폭인 비교예 3도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용량 변화율 및 직류 내부 저항의 증대가 억제되어 있으므로,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폭을 적어도 0㎜ 초과 6.0㎜ 이하로 하면, 용량 변화율의 증대와 직류 내부 저항의 증대의 양방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γ-부티로락톤을 용매로 했을 경우, 양극박(1)에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마련함으로써,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품 수명이 개선됨이 확인되었다. 단,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각 변부에 있어서 6.0㎜ 폭으로 확장한 실시예 7은, 가장 양호한 직류 내부 저항의 증대 억제 효과가 얻어졌지만, 1500시간 경과 후의 직류 내부 저항의 절대값이,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하여 커졌다.
즉,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확장이 양변부에 있어서 0㎜ 초과 6.0㎜ 폭 이하까지이면 양호한 직류 내부 저항의 증대 억제 효과는 얻어진다. 직류 내부 저항의 절대값을 고려하면,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바람직한 범위는,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0㎜ 초과 6.0㎜ 미만이다.
(실시예 8 및 실시예 9)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5.0㎜로 한 실시예 6에 대하여, 실시예 8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부직포인 폴리올레핀 세퍼레이터(3)를 이용한 점에서 다르고, 그 외는 동일하다.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6.0㎜로 한 실시예 7에 대하여, 실시예 9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부직포인 폴리올레핀 세퍼레이터(3)를 이용한 점에서 다르고, 그 외는 동일하다.
(외관 확인)
실시예 3 내지 9의 소자를 동체면 및 하단면에서 관찰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 있어서, 세퍼레이터(3)에 갈색 등으로 변색이 보여진 것을 「유」라고 기록하고, 세퍼레이터(3)에 변색이 보여지지 않은 것을 「무」라고 기록했다.
(표 3)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2.0㎜∼4.0㎜로 한 실시예 3 내지 5와 비교하여,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5.0㎜ 및 6.0㎜로 한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은, 세퍼레이터(3)의 하단측에 착색이 보여졌다. 한편,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실시예 6 및 7과 같은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5.0㎜ 및 6.0㎜로 한 실시예 8 및 실시예 9는, 세퍼레이터(3)의 하단측에 착색은 없었다. 실시예 8 및 실시예 9의 세퍼레이터(3)는 내산성의 부직포이다.
이에 따라, 세퍼레이터(3)의 착색의 관점을 추가하면,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더 바람직한 범위는,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0㎜ 초과 5㎜ 미만이다. 단, 세퍼레이터(3)를 내산성의 부직포로 함으로써,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을 양변부에 있어서 각각 5㎜ 초과 6㎜ 이하로 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4)
소자에 있어서는 양극박(1)을 선 감김 시작 및 후 감김 끝으로 했다. 즉, 즉, 앞서 양극박(1)이 감겨들어가고, 양극박(1)과 세퍼레이터(3)와 음극박(2)의 층에 있어서 양극박(1)이 내주측이고 음극박(2)이 외주측이 되도록 감으면서, 최외주에서는 양극박(1)을 1 둘레 많이 권회하고, 음극박(2)의 단부를 넘어 양극박(1)을 마지막으로 감기 종료함으로써, 양극박(1)을 최내주 및 최외주에 위치시켰다. 그리고, 양극박(1)을, 선 감김 시작에 있어서 띠 길이 방향으로 30㎜ 돌출시키고, 후 감김 개시에 있어서 띠 길이 방향으로 30㎜ 돌출시킴으로써, 양극박(1)의 띠 길이 방향의 양단에 음극박(2)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을 형성했다.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의 크기 등, 그 밖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작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수명 성능의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4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85℃에서 2.5V의 정전압을 인가하고, 초기의 방전 용량 및 직류 내부 저항과, 150시간 경과 후의 방전 용량 및 직류 내부 저항을 측정하고, 용량 변화율(ΔCap)(%)과 직류 내부 저항(ΔDCIR)(%)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표 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 길이 방향 양단에 음극박(2)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을 양극박(1)에 마련한 비교예 4는, 음극측 비대향 부분(21)을 띠 길이 방향에 마련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용량 변화율 및 직류 내부 저항이 좋지 않은 결과가 되었다.
이에 따라, 양극측 비대향 부분(11)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용량 변화율 및 직류 내부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한편, 양극박(1)의 띠 길이 방향에 음극박(2)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을 마련하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용량 변화율 및 직류 내부 저항의 증대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4의 소자를 동체면 및 하단면에서 관찰하면, 비교예 4의 세퍼레이터(3)에는, 감김 시작 및 감김 끝의 부분에 탄화 현상이 보여졌다.
1: 양극박
11: 양극측 비대향 부분
2: 음극박
21: 음극측 비대향 부분
3: 세퍼레이터
4: 탭
11: 양극측 비대향 부분
2: 음극박
21: 음극측 비대향 부분
3: 세퍼레이터
4: 탭
Claims (8)
- 양극박과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介在)하여 권회(卷回)한 소자에 전해액을 함침시켜 이루어지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로서,
상기 전해액은, 용매로서 γ-부티로락톤을 함유하고,
상기 양극박의 띠(帶) 폭은, 상기 음극박의 띠 폭보다 폭넓으며,
상기 소자는, 상기 양극박이 상기 음극박보다 띠 폭 방향으로 돌출하여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박의 띠 길이는, 상기 양극박보다 길고,
상기 소자는, 상기 음극박이 최(最)내주 및 최외주에 위치하도록 권회되고,
상기 음극박은, 상기 양극박보다 띠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감김 시작 및 감김 끝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박은, 상기 음극박보다 0㎜ 초과 12.0㎜ 미만 폭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박은, 상기 음극박보다 0㎜ 초과 10.0㎜ 미만 폭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상기 양극박의 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兩)변부가 상기 음극박보다 돌출하여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박은, 상기 음극박보다 양변부가 각각 0㎜ 초과 6.0㎜ 미만 돌출하여 권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박은, 상기 음극박보다 양변부가 각각 0㎜ 초과 5.0㎜ 미만 돌출하여 권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136355 | 2016-07-08 | ||
JP2016136355A JP6816395B2 (ja) | 2016-07-08 | 2016-07-08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PCT/JP2017/024759 WO2018008713A1 (ja) | 2016-07-08 | 2017-07-06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5818A true KR20190025818A (ko) | 2019-03-12 |
Family
ID=6091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3715A KR20190025818A (ko) | 2016-07-08 | 2017-07-06 |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90148084A1 (ko) |
EP (1) | EP3483908A4 (ko) |
JP (1) | JP6816395B2 (ko) |
KR (1) | KR20190025818A (ko) |
CN (1) | CN109416982A (ko) |
WO (1) | WO201800871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1565A (ko) * | 2021-06-28 | 2023-01-05 | (주) 퓨리켐 | 슈퍼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6125733A1 (de) * | 2016-12-27 | 2018-06-28 | Epcos Ag | Hybrid-Polymer-Aluminium-Elektrolytkondens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densators |
US12111420B2 (en) | 2020-07-29 | 2024-10-08 | Lg Innotek Co., Ltd. | Mirror with polarizing beam splitter for LIDAR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17150A (ja) | 2013-04-25 | 2014-11-17 | 株式会社ニコン | 端末装置、受給電管理システム、受給電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06582A (en) * | 1974-03-14 | 1975-09-23 | Trico Products Corp | Windshield wiper arm |
JP3580161B2 (ja) * | 1998-12-15 | 2004-10-2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発電要素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1217150A (ja) * | 2000-01-31 | 2001-08-10 | Hitachi Maxell Ltd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JP4887593B2 (ja) * | 2001-09-28 | 2012-02-29 |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 電解コンデンサ |
JP4391861B2 (ja) * | 2004-03-23 | 2009-12-24 |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6059912A (ja) * | 2004-08-18 | 2006-03-02 | Nec Tokin Corp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JP2007201118A (ja) * | 2006-01-26 | 2007-08-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巻回形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
KR100967504B1 (ko) * | 2005-12-01 | 2010-07-07 | 파나소닉 주식회사 | 감김형 전기 이중층 콘덴서 |
JP2007157811A (ja) * | 2005-12-01 | 2007-06-2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巻回形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
JP2008182215A (ja) * | 2006-12-25 | 2008-08-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KR101153625B1 (ko) * | 2010-06-08 | 2012-06-18 | 삼성전기주식회사 | 2차 전원용 전극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차 전원의 제조 방법 |
JP5811893B2 (ja) * | 2011-09-28 | 2015-11-11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蓄電装置、及び車両 |
US20150111085A1 (en) * | 2012-05-09 | 2015-04-23 | Kyushu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Element and Fabrication Method for Same |
JP6413082B2 (ja) * | 2012-11-28 | 2018-10-3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解コンデンサ |
US10147556B2 (en) * | 2014-03-31 | 2018-12-04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Power stora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JP6693736B2 (ja) * | 2014-12-26 | 2020-05-13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蓄電装置 |
CN107408463B (zh) * | 2015-03-30 | 2019-05-03 | 日本贵弥功株式会社 | 电容器及其制造方法 |
JP7086605B2 (ja) * | 2015-11-06 | 2022-06-20 | 三洋電機株式会社 | 蓄電装置用電極板及び蓄電装置 |
-
2016
- 2016-07-08 JP JP2016136355A patent/JP6816395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7-06 KR KR1020187033715A patent/KR2019002581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07-06 EP EP17824316.8A patent/EP3483908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7-07-06 WO PCT/JP2017/024759 patent/WO2018008713A1/ja unknown
- 2017-07-06 US US16/310,426 patent/US2019014808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7-06 CN CN201780038565.0A patent/CN109416982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17150A (ja) | 2013-04-25 | 2014-11-17 | 株式会社ニコン | 端末装置、受給電管理システム、受給電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1565A (ko) * | 2021-06-28 | 2023-01-05 | (주) 퓨리켐 | 슈퍼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816395B2 (ja) | 2021-01-20 |
EP3483908A4 (en) | 2020-03-18 |
US20190148084A1 (en) | 2019-05-16 |
WO2018008713A1 (ja) | 2018-01-11 |
EP3483908A1 (en) | 2019-05-15 |
CN109416982A (zh) | 2019-03-01 |
JP2018006717A (ja) | 2018-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40626B2 (ja) | 電力貯蔵デバイスセル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4557001B2 (ja) | 電気化学デバイス用電極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 |
JP5839303B2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 |
US7173807B2 (en) |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 |
KR20060050524A (ko) |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
US10504661B2 (en) | Hybrid capacitor and separator for hybrid capacitors | |
KR20190025818A (ko) |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
US6710999B2 (en) |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 |
US7755879B2 (en) |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using the same | |
JP2016197649A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
JP6623538B2 (ja) | ハイブリッドキャパシタ用セパレータおよびハイブリッドキャパシタ | |
WO2012111333A1 (ja) | 電気化学キャパシタ | |
US20210296055A1 (en) | Capacitor electrode foil and capacitor | |
JP2003243260A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
JP2016197648A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
WO2024004740A1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9099978A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分極性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
WO2023176372A1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23182269A1 (ja) | 電気化学デバイスおよび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 |
JP2024082269A (ja) | 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 |
JP2019029570A (ja) | 電解液用溶媒 | |
JP2016207670A (ja) |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 |
JP2007273924A (ja) | 電解コンデン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