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488A - 텐트 및 텐트의 설영 방법 - Google Patents
텐트 및 텐트의 설영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5488A KR20190025488A KR1020180022774A KR20180022774A KR20190025488A KR 20190025488 A KR20190025488 A KR 20190025488A KR 1020180022774 A KR1020180022774 A KR 1020180022774A KR 20180022774 A KR20180022774 A KR 20180022774A KR 20190025488 A KR20190025488 A KR 201900254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dge
- tent
- sleeve
- roof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 E04H15/425—Flexible support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텐트의 설영을 용이하게 한다.
(구성) 텐트(T1)는 텐트 시트(100), 슬리브(200a), 록킹부(300a) 및 폴(400a)를 구비하고 있다. 텐트 시트(100)의 지붕부(110)는 꼭대기부(112)를 사이에 두고 대각으로 위치하는 모서리부(111a, 111b)를 갖는다. 슬리브(200a)는 모서리부(111a)로부터 꼭대기부(112)까지의 중간 지점(114a)까지 연장되어 있다. 록킹부(300a)는 모서리부(111b)에 설치되어 있다. 폴(400a)의 삽입부(410a)가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로부터 슬리브(200a) 내로 삽입되고, 삽입부(410a)의 제 1 단(411a)이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20a)에 접촉하고, 폴(400a)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또한 폴(400a)의 제 2 단(421a)이 록킹부(300a)에 록킹됨으로써, 삽입부(410a)가 슬리브(200a)를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또한 폴(400a)의 노출부(420a)가 노출된다.
(구성) 텐트(T1)는 텐트 시트(100), 슬리브(200a), 록킹부(300a) 및 폴(400a)를 구비하고 있다. 텐트 시트(100)의 지붕부(110)는 꼭대기부(112)를 사이에 두고 대각으로 위치하는 모서리부(111a, 111b)를 갖는다. 슬리브(200a)는 모서리부(111a)로부터 꼭대기부(112)까지의 중간 지점(114a)까지 연장되어 있다. 록킹부(300a)는 모서리부(111b)에 설치되어 있다. 폴(400a)의 삽입부(410a)가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로부터 슬리브(200a) 내로 삽입되고, 삽입부(410a)의 제 1 단(411a)이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20a)에 접촉하고, 폴(400a)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또한 폴(400a)의 제 2 단(421a)이 록킹부(300a)에 록킹됨으로써, 삽입부(410a)가 슬리브(200a)를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또한 폴(400a)의 노출부(420a)가 노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텐트 및 텐트의 설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텐트는 상측에 팽창 가능한 지붕부를 갖는 텐트 시트와, 복수의 슬리브와, 복수의 보조대와, 복수의 폴을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는 지붕부의 폭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원호 형상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각 슬리브의 일단은 밀봉되어 있는 한편, 타단은 개방되어 있다. 보조대는 슬리브의 타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폴은 슬리브에 각각 삽입되고, 폴의 일단이 슬리브의 일단의 바닥에 접촉하고, 또한 폴의 타단이 보조대에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폴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여 지붕부를 상방으로 팽창시키고 있다.
슬리브가 지붕부의 폭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각각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폴을 슬리브에 삽입하면서, 폴을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폴의 타단(종단)측의 부분을 슬리브에 삽입할 때에는 폴을 파지하는 부분이 거의 없다. 게다가, 보조대는 슬리브의 타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폴을 모두 슬리브 내에 삽입한 후가 아니면, 폴의 타단을 보조대에 결합시킬 수 없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의 텐트에서는 폴을 슬리브에 삽입하는 작업이 곤란해서 상기 텐트의 설영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설영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텐트 및 텐트의 설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텐트는 상측에 팽창 가능한 지붕부를 갖는 텐트 시트와, 슬리브와, 제 1 록킹부와, 폴을 구비하고 있다. 텐트 시트의 지붕부는 꼭대기부와, 지붕부의 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한 평면으로 보았을 때 꼭대기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 및 제 2 부와, 제 1 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의 제 1 능선부와, 꼭대기부로부터 제 2 부까지의 제 2 능선부를 갖고 있다. 슬리브는 제 1 부로부터 제 1 능선부를 따라 제 1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중간 지점은 제 1 능선부 상의 제 1 부와 꼭대기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는 제 1 부측의 밀봉 단부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를 갖고 있다. 제 1 록킹부는 제 2 부에 설치되어 있다. 폴은 제 1 단을 갖는 삽입부와, 제 1 단의 반대측의 제 2 단을 갖는 노출부를 갖고 있다. 폴의 삽입부가 개방 단부로부터 슬리브 내로 삽입되고, 삽입부의 제 1 단이 슬리브의 밀봉 단부에 접촉하고, 폴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또한 폴의 제 2 단이 제 1 록킹부에 록킹 됨으로써, 폴의 삽입부가 슬리브를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또한 폴의 노출부가 슬리브의 개방 단부와 제 1 록킹부 사이에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텐트는 용이하게 설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제 1로, 슬리브가 제 1 부로부터 제 1 능선부를 따라 제 1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뿐이어서 폴의 노출부를 슬리브에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폴의 노출부를 파지해서 폴의 삽입부를 슬리브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 2로, 폴의 삽입부를 슬리브에 삽입시키고, 상기 폴의 제 1 단 슬리브의 밀봉 단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접촉부를 지점으로 폴을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폴의 제 2 단을 제 1 록킹부에 록킹시키는 것만으로 폴이 슬리브를 들어올려서 지지한다. 제 1 및 제 2 이유로부터, 폴의 텐트 시트에 대한 설치가 간단해진다.
슬리브는 제 1 부로부터 제 1 능선부 및 제 2 능선부를 따라 제 2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중간 지점은 제 2 능선부 상의 꼭대기부와 제 2 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어느 형태의 텐트는,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는 지붕부의 제 2 능선부의 슬리브의 개방 단부와 제 1 록킹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폴의 노출부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린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텐트에 의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를 폴의 노출부에 매다는 것만으로, 제 2 능선부를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를 통해서 폴에 지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어느 형태의 텐트는, 슬리브의 밀봉 단부에 설치된 제 2 록킹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록킹부 및 제 2 록킹부는 록킹구에 의해 지면에 록킹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텐트에 의한 경우, 제 1 록킹부 및 제 2 록킹부가 록킹구에 의해 지면에 록킹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텐트의 설영 방법은, 상측에 팽창 가능한 지붕부를 갖는 텐트 시트를 준비하고, 폴을 준비하고, 또한 폴을 지붕부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텐트 시트의 지붕부는 꼭대기부와, 지붕부의 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한 평면으로 보았을 때 꼭대기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 및 제 2 부와, 제 1 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의 제 1 능선부와, 꼭대기부로부터 제 2 부까지의 제 2 능선부와, 슬리브와, 제 1 록킹부를 갖고 있다. 슬리브는 제 1 부로부터 제 1 능선부를 따라 제 1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중간 지점은 제 1 능선부 상의 제 1 부와 꼭대기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는 제 1 부측의 밀봉 단부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를 갖고 있다. 제 1 록킹부는 제 2 부에 설치되어 있다. 폴은 제 1 단을 갖는 삽입부와, 제 1 단의 반대측의 제 2 단을 갖는 노출부를 갖고 있다.
폴의 지붕부에 대한 설치는 폴의 삽입부를 개방 단부로부터 슬리브 내로 삽입하고, 삽입부의 제 1 단을 슬리브의 밀봉 단부에 접촉시키고, 삽입부의 제 1 단을 지점으로 해서 폴을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이 상태에서 폴의 제 2 단을 제 1 록킹부에 록킹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텐트의 설영 방법에 의한 경우, 텐트의 설영이 용이해진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제 1로, 슬리브가 제 1 부로부터 제 1 능선부를 따라 제 1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뿐이어서 폴의 노출부를 슬리브에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폴의 노출부를 파지해서 폴의 삽입부를 슬리브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 2로, 폴의 삽입부를 슬리브에 삽입시키고, 상기 폴의 제 1 단 슬리브의 밀봉 단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접촉부를 지점으로 폴을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폴의 제 2 단을 제 1 록킹부에 록킹시키는 것만으로 폴이 슬리브를 들어올려서 지지한다. 제 1 및 제 2 이유로부터, 폴의 텐트 시트에 대한 설치가 간단해진다.
슬리브는 제 1 부로부터 제 1 능선부 및 제 2 능선부를 따라 제 2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중간 지점은 제 2 능선부 상의 꼭대기부와 제 2 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지붕부의 제 2 능선부의 슬리브의 개방 단부와 제 1 록킹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텐트의 설영 방법은 폴의 지붕부에 대한 설치 후에,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를 폴의 노출부에 매달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텐트에 의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를 폴의 노출부에 매다는 것만으로, 제 2 능선부를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를 통해서 폴에 지지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상기 텐트의 배면도이다.
도 1c는 상기 텐트의 평면도이다.
도 1d는 상기 텐트의 저면도이다.
도 1e는 상기 텐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1f는 상기 텐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2a는 상기 실시예 1에 관한 텐트의 제 1 설계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제 1 설계 변형예 텐트의 배면도이다.
도 2c는 상기 제 1 설계 변형예 텐트의 평면도이다.
도 2d는 상기 제 1 설계 변형예 텐트의 저면도이다.
도 2e는 상기 제 1 설계 변형예 텐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2f는 상기 제 1 설계 변형예 텐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텐트의 배면도이다.
도 3c는 상기 텐트의 평면도이다.
도 3d는 상기 텐트의 저면도이다.
도 3e는 상기 텐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3f는 상기 텐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텐트의 배면도이다.
도 4c는 상기 텐트의 평면도이다.
도 4d는 상기 텐트의 저면도이다.
도 4e는 상기 텐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4f는 상기 텐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1b는 상기 텐트의 배면도이다.
도 1c는 상기 텐트의 평면도이다.
도 1d는 상기 텐트의 저면도이다.
도 1e는 상기 텐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1f는 상기 텐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2a는 상기 실시예 1에 관한 텐트의 제 1 설계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제 1 설계 변형예 텐트의 배면도이다.
도 2c는 상기 제 1 설계 변형예 텐트의 평면도이다.
도 2d는 상기 제 1 설계 변형예 텐트의 저면도이다.
도 2e는 상기 제 1 설계 변형예 텐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2f는 상기 제 1 설계 변형예 텐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텐트의 배면도이다.
도 3c는 상기 텐트의 평면도이다.
도 3d는 상기 텐트의 저면도이다.
도 3e는 상기 텐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3f는 상기 텐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텐트의 배면도이다.
도 4c는 상기 텐트의 평면도이다.
도 4d는 상기 텐트의 저면도이다.
도 4e는 상기 텐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4f는 상기 텐트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텐트(T1) 및 그 설계 변형예에 대해서 도 1a∼도 2f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도 1f에는 실시예 1에 관한 텐트(T1)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2a∼도 2f에는 실시예 1의 텐트(T1)의 제 1 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텐트(T1)는 텐트 시트(100)를 구비하고 있다. 텐트 시트(100)는 지붕부(110)를 갖고 있다. 지붕부(110)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측으로 팽창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시트이다. 도 1c에서는 지붕부(110)는 팽창 상태에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정방형이며, 도 2c에서는 지붕부(110)는 팽창 상태에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장방형이다.
지붕부(110)는 4개의 모서리부(111a(제 1 부), 111b(제 2 부), 111c(제 2 부), 111d(제 1 부))와, 꼭대기부(112)와, 4개의 능선부(113a(제 1 능선부), 113b(제 2 능선부), 113c(제 2 능선부), 113d(제 1 능선부))를 갖고 있다. 모서리부(111a, 111d)는 지붕부(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부(111c, 111b)는 지붕부(110)의 일단의 반대측 타단에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부(111a)와 모서리부(111b)는 꼭대기부(1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각으로 위치하고(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모서리부(111c)와 모서리부(111d)는 꼭대기부(1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각으로 위치하고 있다(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능선부(113a)는 지붕부(110)의 모서리부(111a)로부터 꼭대기부(112)까지의 부분이다. 능선부(113b)는 지붕부(110)의 꼭대기부(112)로부터 모서리부(111b)까지의 부분이며, 능선부(113a)에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능선부(113c)는 지붕부(110)의 모서리부(111c)로부터 꼭대기부(112)까지의 부분이다. 능선부(113d)는 지붕부(110)의 꼭대기부(112)로부터 모서리부(111d)까지의 부분이며, 능선부(113c)에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능선부(113a, 113b)와 능선부(113c, 113d)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꼭대기부(112)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지붕부(110)는 제 1 면, 제 2 면, 제 3 면 및 제 4 면을 더 갖고 있다. 제 1 면은 능선부(113a)와 능선부(113c)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2 면은 능선부(113b)와 능선부(113d)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3 면은 능선부(113a)와 능선부(113d)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4 면은 능선부(113c)과 능선부(113b)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1 면∼제 4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제 1 면∼제 4 면 중 적어도 하나에 통풍창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텐트 시트(100)는 저부(120)를 더 구비하고 있고도 좋다. 저부(120)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지붕부(110)와 거의 같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가요성을 갖는 시트이다. 저부(120)와 지붕부(110)는 각 변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저부(120)는 생략 가능하다.
텐트(T1)는 2개의 슬리브(200a, 200b)를 더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200a)는 모서리부(111a)로부터 능선부(113a)를 따라 중간 지점(114a)(제 1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113a)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지점(114a)은 능선부(113a) 상의 제 1 지점(모서리부(111a)로부터 꼭대기부(112)까지의 약 2/3의 지점)과 꼭대기부(1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00a)는 모서리부(111a)측의 밀봉 단부(210a)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220a)를 갖고 있다. 밀봉 단부(210a)는 밀봉되고 바닥을 갖고 있다. 이 밀봉 단부(210a)는 보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밀봉 단부(210a)는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10a) 이외의 부분보다 강도가 높은 직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밀봉 단부(210a)가 2중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밀봉 단부(210a)의 바닥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개방 단부(220a)는 꼭대기부(112)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슬리브(200b)는 모서리부(111d)로부터 능선부(113d)를 따라 중간 지점(114b)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113d)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지점(114b)은 능선부(113d) 상의 제 2 지점(모서리부(111d)으로부터 꼭대기부(112)까지의 약 2/3의 지점)과 꼭대기부(1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00b)는 모서리부(111d)측의 밀봉 단부(210b)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220b)를 갖고 있다. 밀봉 단부(210b)는 밀봉되고 바닥을 갖고 있다. 이 밀봉 단부(210b)는 밀봉 단부(210a)와 마찬가지로 보강되어 있다. 개방 단부(220b)는 꼭대기부(112)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텐트(T1)는 2개의 제 1 록킹부(300a, 300b)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 1 록킹부(300a, 300b)는 모서리부(111b, 111c)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록킹부(300a, 300b)는 적어도 록킹링을 갖고 있으면 좋다. 제 1 록킹부(300a, 300b)는 모서리부(111b, 111c)로부터 떨어지도록 신장된 벨트와, 이 벨트에 설치된 록킹링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텐트(T1)는 2개의 폴(400a, 400b)을 더 구비하고 있다. 폴(400a, 400b)은 그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폴부를 갖고 있고, 이 복수의 폴부가 이웃하는 2개의 폴부끼리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폴(400a)은 삽입부(410a)와 노출부(420a)를 갖고 있다. 삽입부(410a)는 폴(400a)의 제 1 단(411a)을 갖고, 노출부(420a)는 폴(400a)의 제 1 단(411a)의 반대측의 제 2 단(421a)을 갖고 있다. 삽입부(410a)는 개방 단부(220a)로부터 슬리브(200a) 내로 삽입되어 있고, 제 1 단(411a)이 개방 단부(220a)의 바닥에 접촉하는 한편, 제 2 단(421a)은 제 1 록킹부(300a)의 록킹링에 삽입되어 록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폴(400a)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여, 폴(400a)의 삽입부(410a)가 슬리브(200a)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붕부(110)의 능선부(113a)도 폴(400a)의 삽입부(410a)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노출부(420a)는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와 제 1 록킹부(300a) 사이에서 능선부(113b)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노출되어 있다.
폴(400b)은 삽입부(410b)와 노출부(420b)를 갖고 있다. 삽입부(410b)는 폴(400b)의 제 1 단(411b)을 갖고, 노출부(420b)는 폴(400b)의 제 1 단(411b)의 반대측의 제 2 단(421b)을 갖고 있다. 삽입부(410b)는 개방 단부(220b)로부터 슬리브(200b) 내로 삽입되어 있고, 제 1 단(411b)이 개방 단부(220b)의 바닥에 접촉하는 한편, 제 2 단(421b)은 제 1 록킹부(300b)의 록킹링에 삽입되어 록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폴(400b)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폴(400a)의 삽입부(410b)가 슬리브(200b)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붕부(110)의 능선부(113d)도 폴(400b)의 삽입부(410a)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노출부(420b)는 슬리브(200b)의 개방 단부(220b)와 제 1 록킹부(300b) 사이에서 능선부(113c)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노출되어 있다. 노출부(420a, 420b)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꼭대기부(112)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텐트(T1)는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 500b)를 더 구비하고 있고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는 지붕부(110)의 능선부(113b)에 설치되어 있고,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와 제 1 록킹부(300a)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폴(400a)의 노출부(420a)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이것에 의해, 지붕부(110)의 능선부(113b)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통해서 폴(400a)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는 능선부(113b)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된 벨트와, 이 벨트에 설치된 훅을 갖고 있고, 훅이 노출부(420a)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는 능선부(113b)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또한 노출부(420a)에 결부된 끈 등 이어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는 지붕부(110)의 능선부(113c)에 설치되어 있고, 슬리브(200b)의 개방 단부(220b)와 제 1 록킹부(300b)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폴(400b)의 노출부(420b)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이것에 의해, 지붕부(110)의 능선부(113c)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통해서 폴(400b)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는 능선부(113c)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된 벨트와, 이 벨트에 설치된 훅을 갖고 있고, 훅이 노출부(420b)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는 능선부(113c)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또한 노출부(420b)에 결부된 끈 등이어도 좋다.
또한, 도 1a∼도 1e 및 도 2a∼도 2e에서는, 매담부(500a, 500b)는 복수이며, 능선부(113b, 113c)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매담부(500a, 500b)는 생략할 수 있다.
텐트(T1)는 매담부(600)를 더 구비하고 있고도 좋다. 매담부(600)는 꼭대기부(112)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폴(400a, 400b)의 노출부(420a, 420a)의 교차부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이것에 의해, 지붕부(110)의 꼭대기부(112)가 폴(400a, 400b)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예를 들면, 매담부(600)는 꼭대기부(112)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또한 폴(400a, 400b)의 교차부에 결부된 끈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매담부(600)는 꼭대기부(112)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된 벨트와 이 벨트에 설치된 훅을 갖고 있고, 훅이 폴(400a, 400b)의 교차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매담부(600)는 생략 가능하다.
텐트(T1)는 2개의 제 2 록킹부(700a, 700b)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 2 록킹부(700a)는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10a)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록킹부(700b)는 슬리브(200b)의 밀봉 단부(210b)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록킹부(700a, 700b)는 페그 등의 록킹구에 의해 지면에 록킹 가능한 구성이다. 예를 들면, 제 2 록킹부(700a, 700b)는 밀봉 단부(210a, 210a)로부터 연장된 벨트에 록킹구를 삽입 가능한 링을 갖는 구성, 또는 밀봉 단부(210a, 210a)로부터 연장된 끈으로서 록킹구에 결부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록킹부(700a, 700b)는 생략 가능하다.
제 1 록킹부(300a, 300b)도 페그 등의 록킹구에 의해 지면에 록킹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록킹부(300a, 300b)가 벨트 및 록킹링을 갖고 있을 경우, 벨트에 록킹구를 삽입 가능한 링을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록킹부(300a, 300b)는 상기 제 1 록킹부(300a, 300b)로부터 연장된 끈을 더 갖고, 이 끈이 지면에 박힌 록킹구에 결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록킹부(300a, 300b)는 록킹구에 의해 지면에 록킹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하, 상기한 텐트(T1)의 설영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텐트 시트(100)를 준비하고, 또한 폴(400a)을 준비한다. 그 후, 폴(400a)의 노출부(420a)를 파지해서 폴(400a)의 삽입부(410a)를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로부터 슬리브(200a) 내로 삽입하고, 삽입부(410a)의 제 1 단(411a)을 개방 단부(220a)의 바닥에 접촉시킨다. 그 후, 이 접촉부(제 1 단(411a))를 지점으로 해서 폴(400a)을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그 상태에서 폴(400a)의 제 2 단(421a)을 제 1 록킹부(300a)의 록킹링에 삽입하고 록킹시킨다. 이때, 폴(400a)의 삽입부(410a)가 슬리브(200a) 및 지붕부(110)의 능선부(113a)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또한 폴(400a)의 노출부(420a)가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와 제 1 록킹부(300a) 사이에서 능선부(113b)를 따라 배치되어 노출된다. 이렇게 하여 폴(400a)이 지붕부(110)에 설치된다.
텐트(T1)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폴(400a)을 설치한 후,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폴(400a)의 노출부(420a)에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가 설치된 지붕부(110)의 능선부(113b)가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폴(400a)의 노출부(420a)에 걸거나 또는 결부시킨다. 이렇게 하여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가 노출부(420a)에 매달리고, 또한 지붕부(110)의 능선부(113b)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통해서 폴(400a)에 지지된다.
그 후, 폴(400b)을 준비한다. 폴(400b)의 노출부(420b)를 파지해서 폴(400b)의 삽입부(410b)를 슬리브(200b)의 개방 단부(220b)로부터 슬리브(200b) 내로 삽입하고, 삽입부(410b)의 제 1 단(411b)을 개방 단부(220b)의 바닥에 접촉시킨다.
그 후, 이 접촉부 (제 1 단(411b))를 지점으로 해서 폴(400b)을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폴(400b)의 제 2 단(421b)을 제 1 록킹부(300b)의 록킹링에 삽입하여 록킹시킨다. 이때, 폴(400b)의 삽입부(410b)가 슬리브(200b) 및 지붕부(110)의 능선부(113d)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또한 폴(400b)의 노출부(420b)가 슬리브(200b)의 개방 단부(220b)와 제 1 록킹부(300b) 사이에서 능선부(113c)를 따라 배치되어 노출되고, 노출부(420a)에 꼭대기부(112)에서 교차한다. 이렇게 하여 폴(400b)이 지붕부(110)에 설치된다.
텐트(T1)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폴(400b)을 설치한 후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폴(400b)의 노출부(420b)에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가 설치된 지붕부(110)의 능선부(113c)가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폴(400b)의 노출부(420b)에 걸거나 또는 결부시킨다. 이렇게 하여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가 노출부(420b)에 매달리고, 또한 지붕부(110)의 능선부(113c)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 를 통해서 폴(400b)에 지지된다.
텐트(T1)가 매담부(600)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폴(400a, 400b)을 설치한 후 매담부(600)를 폴(400a, 400b)의 교차부에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매담부(600)가 설치된 지붕부(110)의 꼭대기부(112)가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매담부(600b)를 교차부에 걸거나 또는 결부시킨다. 이렇게 하여 매담부(600)가 교차부에 매달리고, 또한 지붕부(110)의 꼭대기부(112)가 매담부(600)를 통해서 교차부에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능선부(113a)가 슬리브(200a)를 통해서 폴(400a)에 지지되고, 능선부(113b)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통해서 폴(400a)에 지지되고, 능선부(113d)가 슬리브(200b)를 통해서 폴(400b)에 지지되고, 또한 능선부(113c)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통해서 폴(400b)에 지지됨으로써, 텐트 시트(100)의 지붕부(110)가 상방이 팽창한 상태(전개 상태)로 지지된다.
이하, 텐트(T1)의 수납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텐트(T1)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 500b)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 500b)를 폴(400a, 400b)의 노출부(420a, 420b)로부터 각각 분리한다. 텐트(T1)가 매담부(600)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매담부(600)를 폴(400a, 400b)의 교차부로부터 분리한다.
폴(400a, 400b)의 제 2 단(421a, 421b)을 제 1 록킹부(300a, 300b)의 록킹링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폴(400a, 400b)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상태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복원된다. 그 후, 폴(400a, 400b)의 노출부(420a, 420b)를 파지하고, 폴(400a, 400b)의 삽입부(410a, 410b)를 슬리브(200a, 200b)로부터 뺀다. 이렇게 하여 폴(400a, 400b)이 지붕부(110)로부터 분리되므로, 텐트 시트(100)를 접어서 개고, 또한 폴(400a, 400b)을 분해하여, 텐트(T1)를 자루 등에 수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텐트(T1) 및 그 설영 방법은 이하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제 1로, 텐트(T1)의 설영이 용이해진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제 1로, 슬리브(200a, 200b)가 모서리부(111a, 111d)로부터 능선부(113a, 113d)를 따라 중간 지점(114a, 114b)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뿐이어서 폴(400a, 400b)의 노출부(420a, 420b)를 슬리브(200a, 200b)에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노출부(420a, 420b)를 파지해서 폴(400a, 400b)의 삽입부(410a, 410b)의 슬리브(200a, 200b)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 2로, 폴(400a, 400b)의 삽입부(410a, 410b)의 슬리브(200a, 200b)에 삽입시키고, 폴(400a, 400b)의 제 1 단(411a, 411b)을 슬리브(200a, 200b)의 밀봉 단부(210a, 210b)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접촉한 제 1 단(411a, 411b)을 지점으로 해서 폴(400a, 400b)을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폴(400a, 400b)의 제 2 단(421a, 421b)을 제 1 록킹부(300a, 300b)에 록킹시키는 것만으로 폴(400a, 400b)이 슬리브(200a, 200b) 및 능선부(113a, 113d)을 들어올려서 지지한다. 제 3으로, 텐트(T1)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 500b)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 500b)를 폴(400a, 400b)의 노출부(420a, 420b)에 매다는 것만으로 능선부(113b, 113c)를 들어올려 지지하므로, 매담부(500a, 500b)를 폴(400a, 400b)의 노출부(420a, 420b)에 대한 설치도 간단해진다. 상기 제 1 이유∼제 2 이유 또는 제 1 이유∼제 3 이유로부터, 폴(400a, 400b)의 텐트 시트(100)에 대한 설치가 간단해진다.
제 4로, 폴(400a, 400b)의 길이방향의 일방측 부분인 삽입부(410a, 410b)가 슬리브(200a, 200b)에 삽입되어 있는 한편으로, 폴(400a, 400b)의 나머지 부분인 노출부(420a)가 슬리브(200a, 200b) 밖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텐트(T1)의 설영 방법을 복잡화시키지 않고, 새로운 디자인의 텐트(T1)를 얻을 수 있다.
제 5로, 제 2 록킹부(700a, 700b)가 슬리브(200a, 200b)의 밀봉 단부(210a, 210b)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록킹부(300a, 300b) 및 제 2 록킹부(700a, 700b)가 록킹구에 의해 지면에 록킹 가능할 경우, 텐트(T1)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텐트(T2)에 대해서 도 3a∼도 3f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텐트(T2)는 슬리브(200a', 200b')의 구성이 텐트(T1)의 슬리브(200a, 200b)의 구성과 상위하는 것 이외에, 텐트(T1)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텐트(T1)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c에서는 지붕부(110)는 팽창 상태에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정방형이지만, 텐트(T1)와 마찬가지로 대략 장방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리브(200a')는 모서리부(111a)(제 1 부)로부터 능선부(113a)(제 1 능선부) 및 능선부(113b)(제 2 능선부)를 따라 중간 지점(114c)(제 2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113a) 및 능선부(113b)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지점(114c)은 능선부(113b) 상의 꼭대기부(112)와 제 3 지점(꼭대기부(112)와 모서리부(111b)(제 2 부) 사이의 대략 절반의 지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00a')는 모서리부(111a)측의 밀봉 단부(210a')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220a')를 갖고 있다.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10a')는 텐트(T1)의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10a)와 같은 구성이다.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는 모서리부(111b)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슬리브(200b')는 모서리부(111d)로부터 능선부(113d) 및 능선부(113c)를 따라 다른 중간 지점(114d)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113d) 및 능선부(113c)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지점(114d)은 능선부(113c) 상의 꼭대기부(112)와 제 4 지점(꼭대기부(112)과 모서리부(111c) 사이의 대략 절반의 지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00a')는 모서리부(111c)측의 밀봉 단부(210a')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220a')를 갖고 있다.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10a')는 텐트(T1)의 슬리브(200b)의 밀봉 단부(210b)와 같은 구성이다.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는 모서리부(111c)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슬리브(200a', 200b')는 꼭대기부(112)에서 교차하고 있다. 양자의 완충을 피하기 위해서, 일방에 타방이 통과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경우, 매담부(600)는 생략된다.
폴(400a)의 삽입부(410a)가 슬리브(200a)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함으로써, 지붕부(110)의 능선부(113a, 113b)가 폴(400a)의 삽입부(410a)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노출부(420a)는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와 제 1 록킹부(300a) 사이에서 능선부(113b)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노출되어 있다.
폴(400a)의 삽입부(410b)가 슬리브(200b)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함으로써, 지붕부(110)의 능선부(113d, 113c)가 폴(400b)의 삽입부(410a)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노출부(420b)는 슬리브(200b)의 개방 단부(220b)와 제 1 록킹부(300b) 사이에서 능선부(113c)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노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능선부(113a)가 슬리브(200a)를 통해서 폴(400a)에 지지되고, 능선부(113b)가 슬리브(200a)를 통해서 폴(400a)에 지지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통해서 폴(400a)에 지지되고, 능선부(113d)가 슬리브(200b)를 통해서 폴(400b)에 지지되고, 또한 능선부(113c)가 슬리브(200b)를 통해서 폴(400b)에 지지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통해서 폴(400b)에 지지됨으로써, 텐트 시트(100)의 지붕부(110)가 상방이 팽창된 상태(전개 상태)에서 지지된다. 또한, 텐트(T2)에서도 매담부(500a, 500b)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한 텐트(T2)는 텐트(T1)와 같은 방법으로 설영된다. 또한, 텐트(T2) 및 그 설영 방법은 텐트(T1) 및 그 설영 방법과 같은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텐트(T3)에 대해서 도 4a∼도 4f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텐트(T3)는 텐트 시트(800)를 구비하고 있다. 텐트 시트(800)는 지붕부(810)를 갖고 있다. 지붕부(810)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측으로 팽창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시트이다. 또한, 도 4c에서는 지붕부(810)는 팽창 상태에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장방형이지만, 대략 정방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붕부(810)는 제 1 변(801a)과, 제 2 변(801b)과, 2개의 꼭대기부(803a, 803b)와, 8개의 능선부(804a(제 1 능선부), 804b(제 2 능선부), 804c, 804d, 804e, 804f, 804g, 804h)를 갖고 있다.
제 1 변(801a)은, 도 4c 및 도 4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붕부(810)의 일방의 단(변)이며, 2개의 모서리부(811a, 811b)와, 2개의 중간부(812a, 812b)를 갖고 있다. 모서리부(811a)는 제 1 변(801a)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부(811b)는 제 1 변(801a)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812a, 812b)는 제 1 변(801a)의 모서리부(811a, 811b)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812a)는 중간부(812b)보다 모서리부(811b)측에 위치하고, 중간부(812b)는 중간부(812a)보다 모서리부(811a)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변(801b)은 지붕부(810)의 타방의 단(변)이며, 2개의 모서리부(811c, 811d)와, 2개의 중간부(812c, 812d)를 갖고 있다. 모서리부(811c)는 제 2 변(801b)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부(811d)는 제 2 변(801b)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812c, 812d)는 제 2 변(801b)의 모서리부(811c, 811d)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812c)는 중간부(812d)보다 모서리부(811d)측에 위치하고, 중간부(812d)는 중간부(812c)보다 모서리부(811c)측에 위치하고 있다.
꼭대기부(803a)는 지붕부(810)의 모서리부(811a, 811c)와 중간부(812a, 812c)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영역에 형성된 꼭대기부이다. 모서리부(811a)(제 1 부)와 중간부(812c)(제 2 부)는 꼭대기부(803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고, 모서리부(811c)(제 2 부)와 중간부(812a)(제 1 부)는 꼭대기부(803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꼭대기부(803b)는 지붕부(810)의 모서리부(811b, 811d)와 중간부(812b, 812d)에 의해 구획되는 제 2 영역에 형성된 꼭대기부이다. 모서리부(811b)(제 1 부)와 중간부(812d)(제 2 부)는 꼭대기부(803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고, 모서리부(811d)(제 2 부)와 중간부(812b)(제 1 부)는 꼭대기부(803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꼭대기부(803a, 803b)는 지붕부(810)의 중앙부에 텐트(T3)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꼭대기부(803a)의 높이는 도 4a∼도 4f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꼭대기부(803b)의 높이보다 높아도 좋고, 그 반대이어도 좋다. 또한 꼭대기부(803a, 803b)의 높이는 같아도 좋다.
능선부(804a)(제 1 능선부)는 지붕부(810)의 모서리부(811a)로부터 꼭대기부(803a)까지의 부분이다. 능선부(804b)(제 2 능선부)는 지붕부(810)의 꼭대기부(803a)로부터 중간부(812c)까지의 부분이며, 능선부(804a)에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능선부(804c)(제 2 능선부)는 지붕부(810)의 모서리부(811c)로부터 꼭대기부(803a)까지의 부분이다. 능선부(804d)(제 1 능선부)는 지붕부(810)의 꼭대기부(803a)로부터 중간부(812a)까지의 부분이며, 능선부(804c)에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능선부(804a, 804b)와 능선부(804c, 804d)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꼭대기부(803a)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능선부(804e)(제 1 능선부)는 지붕부(810)의 모서리부(811b)로부터 꼭대기부(803b)까지의 부분이다. 능선부(804f)(제 2 능선부)는 지붕부(810)의 꼭대기부(803b)로부터 중간부(812d)까지의 부분이며, 능선부(804e)에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능선부(804g)(제 2 능선부)는 지붕부(810)의 모서리부(811d)로부터 꼭대기부(803b)까지의 부분이다. 능선부(804h)(제 1 능선부)는 지붕부(810)의 꼭대기부(803b)로부터 중간부(812b)까지의 부분이며, 능선부(804g)에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능선부(804e, 804f)와 능선부(804g, 804h)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꼭대기부(803b)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지붕부(810)는 제 1 면, 제 2 면, 제 3, 제 4 면, 제 5 면, 제 6면, 제 7 면 및 제 8 면을 더 갖고 있다. 제 1 면은 능선부(804a)와 능선부(804c)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2 면은 능선부(804e)와 능선부(804g)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3 면은 능선부(804a)와 능선부(804d)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4 면은 능선부(804c)와 능선부(804b)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5 면은 능선부(804e)와 능선부(804h)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6 면은 능선부(804g)와 능선부(804f)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7 면은 능선부(804d)와 능선부(804h)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8 면은 능선부(804b)와 능선부(804f)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 1 면∼제 8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제 1 면∼제 8 면 중 적어도 하나에 통풍창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텐트 시트(800)는 도 4a∼도 4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을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바닥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닥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지붕부(810)과 거의 같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가요성을 갖는 시트이다. 바닥과 지붕부(810)는 각 변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텐트(T3)는 4개의 슬리브(200a'', 200b'', 200c'', 200d'')를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200a'')는 하기 a) 또는 b)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a) 슬리브(200a'')는 모서리부(811a)로부터 능선부(804a) 및 능선부(804b)를 따라 중간 지점(813a)(제 2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804a) 및 능선부(804b)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지점(813a)은 능선부(804b) 상의 꼭대기부(803a)와 제 1 지점(꼭대기부(803a)와 중간부(812c) 사이의 대략 절반의 지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b) 슬리브(200a'')는 모서리부(811a)로부터 능선부(804a)를 따라 다른 중간 지점(제 1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804a)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지점은 능선부(804a) 상의 제 2 지점(모서리부(811a)로부터 꼭대기부(803a)까지의 약 2/3의 지점)과 꼭대기부(803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a) 및 b)의 어느 경우도, 슬리브(200a'')는 모서리부(811a)측의 밀봉 단부(210a'')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220a'')를 갖고 있다. 밀봉 단부(210a'')는 텐트(T1)의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10a)와 같은 구성이다. 개방 단부(220a'')는, 상기 a)의 경우 중간부(812c)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b)의 경우 꼭대기부(803a)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슬리브(200b'')는 하기 c) 또는 d)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c) 슬리브(200b'')는 중간부(812a)로부터 능선부(804d) 및 능선부(804c)를 따라 중간 지점(813b)(제 2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804d) 및 능선부(804c)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지점(813b)은 능선부(804c) 상의 꼭대기부(803a)와 제 3 지점(꼭대기부(803a)과 모서리부(811c) 사이의 대략 절반의 지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d) 슬리브(200b'')는 중간부(812a)로부터 능선부(804d)를 따라 다른 중간 지점(제 1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804d)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중간 지점은 능선부(804d) 상의 제 4 지점(중간부(812a)로부터 꼭대기부(803a)까지의 약 2/3의 지점)과 꼭대기부(803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c) 및 d)의 어느 경우도, 슬리브(200b'')는 중간부(812a)측의 밀봉 단부(210b'')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220b'')를 갖고 있다. 밀봉 단부(210b'')는 텐트(T1)의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10a)와 같은 구성이다. 개방 단부(220b'')는, 상기 c)의 경우 모서리부(811c)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d)의 경우 꼭대기부(803a)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슬리브(200a'')가 상기 a)이며, 슬리브(200b'')가 상기 c)일 경우, 슬리브(200a'', 200b'')는 꼭대기부(803a)에서 교차하고 있다. 양자의 완충을 피하기 위해서, 일방에 타방이 통과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경우, 꼭대기부(803a)에 매담부(600)(도 1a 및 도 2를 빌려서 참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한편, 슬리브(200a'')가 상기 b)이며, 슬리브(200b'')가 상기 d)일 경우, 꼭대기부(803a)에는 매담부(600)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매담부(600)는 꼭대기부(803a)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폴(400a, 400b)의 교차부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슬리브(200c'')는 하기 e) 또는 f)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e) 슬리브(200c'')는 모서리부(811b)로부터 능선부(804e) 및 능선부(804f)를 따라 중간 지점(813c)(제 2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804e) 및 능선부(804f)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지점(813c)은 능선부(804f) 상의 꼭대기부(803b)와 제 5 지점(꼭대기부(803b)와 중간부(812d) 사이의 대략 절반의 지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f) 슬리브(200c'')는 모서리부(811b)로부터 능선부(804e)를 따라 다른 중간 지점(제 1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804e)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중간 지점은 능선부(804e) 상의 제 6 지점(모서리부(811b)로부터 꼭대기부(803b)까지의 약 2/3의 지점)과 꼭대기부(803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e) 및 f)의 어느 경우도, 슬리브(200c'')는 모서리부(811b)측의 밀봉 단부(210c'')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220c'')를 갖고 있다. 밀봉 단부(210c'')는 텐트(T1)의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10a)와 같은 구성이다. 개방 단부(220c'')는, 상기 e)의 경우 중간부(812d)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f)의 경우 꼭대기부(803b)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슬리브(200d'')는 하기 g) 또는 h)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g) 슬리브(200d'')는 중간부(812b)로부터 능선부(804h) 및 능선부(804g)를 따라 중간 지점(813d)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804h) 및 능선부(804g)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지점(813g)은 능선부(804g) 상의 꼭대기부(803b)와 제 7 지점(꼭대기부(803b)과 모서리부(811d) 사이의 대략 절반의 지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h) 슬리브(200d'')는 중간부(812b)로부터 능선부(804h)를 따라 다른 중간 지점까지 연장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된 통체로서, 능선부(804h)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중간 지점은 능선부(804h) 상의 제 8 지점(중간부(812b)로부터 꼭대기부(803b)까지의 약 2/3의 지점)과 꼭대기부(803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g) 및 h)의 어느 경우도, 슬리브(200d'')는 중간부(812b)측의 밀봉 단부(210d'')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220d'')를 갖고 있다. 밀봉 단부(210d'')는 텐트(T1)의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10a)와 같은 구성이다. 개방 단부(220d'')는, 상기 g)의 경우 모서리부(811d)측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h)의 경우 꼭대기부(803b)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슬리브(200c'')가 상기 e)이며, 슬리브(200d'')가 상기 g)일 경우, 슬리브(200c'', 200d'')는 꼭대기부(803b)에서 교차하고 있다. 양자의 완충을 피하기 위해서, 일방에 타방이 통과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경우, 꼭대기부(803b)에 매담부(600)(도 1a 및 도 2를 빌려서 참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한편, 슬리브(200c'')가 상기 f)이며, 슬리브(200d'')가 상기 h)일 경우, 꼭대기부(803b)에는 매담부(600)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매담부(600)는 꼭대기부(803b)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폴(400c, 400d)의 교차부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텐트(T3)는, 도 4f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4개의 제 1 록킹부(300a', 300b', 300c', 300d')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 1 록킹부(300a')는 중간부(812c)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의 제 1 록킹부(300a)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록킹부(300b')는 모서리부(811c)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의 제 1 록킹부(300a)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록킹부(300c')는 중간부(812d)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의 제 1 록킹부(300a)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록킹부(300d')는 모서리부(811d)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의 제 1 록킹부(300a)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텐트(T3)는 4개의 폴(400a, 400b, 400c, 400d)을 더 구비하고 있다. 텐트(T3)의 폴(400a)은 텐트(T1)의 폴(400a)과 동일한 구성이다. 폴(400a)의 삽입부(410a)는 개방 단부(220a'')로부터 슬리브(200a'') 내로 삽입되어 있고, 삽입부(410a)의 제 1 단(411a)이 개방 단부(220a'')의 바닥에 접촉하는 한편, 폴(400a)의 제 2 단(421a)은 제 1 록킹부(300a')의 록킹링에 삽입되어 록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폴(400a)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폴(400a)의 삽입부(410a)가 슬리브(200a'')을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붕부(810)의 능선부(804a, 804b) 또는 능선부(804a)도 폴(400a)의 삽입부(410a)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노출부(420a)는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와 제 1 록킹부(300a') 사이에서 능선부(804b)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노출되어 있다.
텐트(T3)의 폴(400b)은 텐트(T1)의 폴(400b)과 동일한 구성이다. 폴(400b)의 삽입부(410b)는 개방 단부(220b'')로부터 슬리브(200b'') 내로 삽입되어 있고, 삽입부(410b)의 제 1 단(411b)이 개방 단부(220b'')의 바닥에 접촉하는 한편, 폴(400b)의 제 2 단(421b)은 제 1 록킹부(300b')의 록킹링에 삽입되어 록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폴(400b)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폴(400b)의 삽입부(410b)가 슬리브(200b'')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붕부(810)의 능선부(804d, 804c) 또는 능선부(804d)도 폴(400b)의 삽입부(410b)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노출부(420b)는 슬리브(200b'')의 개방 단부(220b'')와 제 1 록킹부(300b') 사이에서 능선부(804c)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노출되어 있다.
텐트(T3)의 폴(400c)은 텐트(T1)의 폴(400a)과 동일한 구성이다. 폴(400c)의 삽입부(410c)는 개방 단부(220c'')로부터 슬리브(200c'') 내로 삽입되어 있고, 삽입부(410c)의 제 1 단(411c)이 개방 단부(220c'')의 바닥에 접촉하는 한편, 폴(400c)의 제 2 단(421c)은 제 1 록킹부(300c')의 록킹링에 삽입되어 록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폴(400c)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폴(400c)의 삽입부(410c)가 슬리브(200c'')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붕부(810)의 능선부(804e, 804f) 또는 능선부(804e)도 폴(400c)의 삽입부(410c)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노출부(420c)는 슬리브(200c'')의 개방 단부(220c'')와 제 1 록킹부(300c') 사이에서 능선부(804f)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노출되어 있다.
텐트(T3)의 폴(400d)은 텐트(T1)의 폴(400b)과 동일한 구성이다. 폴(400d)의 삽입부(410d)는 개방 단부(220d'')로부터 슬리브(200d'') 내로 삽입되어 있고, 삽입부(410d)의 제 1 단(411d)이 개방 단부(220d'')의 바닥에 접촉하는 한편, 폴(400d)의 제 2 단(421d)은 제 1 록킹부(300d')의 록킹링에 삽입되어 록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폴(400d)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폴(400d)의 삽입부(410d)가 슬리브(200d'')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붕부(810)의 능선부(804h, 804g) 또는 능선부(804h)도 폴(400d)의 삽입부(410d)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노출부(420d)는 슬리브(200d'')의 개방 단부(220d'')와 제 1 록킹부(300d') 사이에서 능선부(804g)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노출되어 있다.
텐트(T1)는, 도 4f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 500b, 500c, 500d)를 더 구비하고 있고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는 지붕부(810)의 능선부(804b)에 설치되어 있고,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와 제 1 록킹부(300a')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폴(400a)의 노출부(420a)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이것에 의해, 지붕부(810)의 능선부(804b)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통해서 폴(400a)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는 텐트(T1)의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는 지붕부(810)의 능선부(804c)에 설치되어 있고, 슬리브(200b'')의 개방 단부(220b'')와 제 1 록킹부(300b')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폴(400b)의 노출부(420b)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이것에 의해, 지붕부(810)의 능선부(804c)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통해서 폴(400b)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는 텐트(T1)의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c)는 지붕부(810)의 능선부(804f)에 설치되어 있고, 슬리브(200c'')의 개방 단부(220c'')와 제 1 록킹부(300c')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폴(400c)의 노출부(420c)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이것에 의해, 지붕부(810)의 능선부(804f)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통해서 폴(400c)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c)는 텐트(T1)의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d)는 지붕부(810)의 능선부(804g)에 설치되어 있고, 슬리브(200d'')의 개방 단부(220d'')와 제 1 록킹부(300d')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폴(400d)의 노출부(420d)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이것에 의해, 지붕부(810)의 능선부(804g)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d)를 통해서 폴(400d)에 의해 들어올려져 지지된다. 이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d)는 텐트(T1)의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텐트(T3)는 텐트(T1)와 마찬가지로, 4개의 제 2 록킹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첫 번째의 제 2 록킹부의 하나는 슬리브(200a'')의 밀봉 단부(210a'')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의 제 2 록킹부(700a)와 동일한 구성이다. 두 번째의 제 2 록킹부는 슬리브(200b'')의 밀봉 단부(210b'')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의 제 2 록킹부(700a)와 동일한 구성이다. 세 번째의 제 2 록킹부는 슬리브(200c'')의 밀봉 단부(210c'')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의 제 2 록킹부(700a)와 동일한 구성이다. 네 번째의 제 2 록킹부는 슬리브(200d'')의 밀봉 단부(210d'')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의 제 2 록킹부(700a)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제 2 록킹부는 생략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텐트(T3)의 설영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텐트 시트(800)를 준비하고, 또한 폴(400a)을 준비한다. 그 후, 텐트(T1)의 폴(400a)의 지붕부(110)에 대한 설치 공정과 마찬가지로, 폴(400a)을 지붕부(810)에 설치한다. 이때, 폴(400a)의 삽입부(410a)가 슬리브(200a'')와, 지붕부(810)의 능선부(804a, 804b) 또는 능선부(804a)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또한 폴(400a)의 노출부(420a)가 슬리브(200a'')의 개방 단부(220a'')와 제 1 록킹부(300a') 사이에서 능선부(804b)를 따라 배치되어 노출된다.
텐트(T3)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폴(400a)의 설치 후 텐트(T1)의 매담부(500a)의 폴(400a)의 노출부(420a)에 대한 매담 공정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폴(400a)의 노출부(420a)에 걸거나 또는 결부시킨다. 이렇게 하여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가 노출부(420a)에 매달리고, 또한 지붕부(810)의 능선부(804b)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통해서 폴(400a)에 지지된다.
그 후, 폴(400b)을 준비한다. 그 후, 텐트(T1)의 폴(400b)의 지붕부(110)에 대한 설치 공정과 마찬가지로, 폴(400b)을 지붕부(810)에 설치한다. 이때, 폴(400b)의 삽입부(410b)가 슬리브(200b)와, 지붕부(810)의 능선부(804d, 804c) 또는 능선부(804d)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또한 폴(400b)의 노출부(420b)가 슬리브(200b'')의 개방 단부(220b'')와 제 1 록킹부(300b') 사이에서 능선부(804c)를 따라 배치되어 노출된다.
텐트(T3)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폴(400b)의 설치 후 텐트(T1)의 매담부(500b)의 폴(400b)의 노출부(420b)에 대한 매담 공정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폴(400b)의 노출부(420b)에 걸거나 또는 결부시킨다. 이렇게 하여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가 노출부(420b)에 매달리고, 또한 지붕부(810)의 능선부(804c)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통해서 폴(400b)에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능선부(804a, 804b) 또는 능선부(804a)가 슬리브(200a)를 통해서 폴(400a)에 지지되고, 능선부(804b)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를 통해서 폴(400a)에 지지되고, 능선부(804d, 804c) 또는 능선부(804d)가 슬리브(200b)를 통해서 폴(400b)에 지지되고, 또한 능선부(804c)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b)를 통해서 폴(400b)에 지지됨으로써, 텐트 시트(800)의 지붕부(810)의 제 1 영역이 상방이 팽창한 상태(전개 상태)에서 지지된다.
폴(400c)을 준비한다. 그 후, 텐트(T1)의 폴(400a)의 지붕부(110)에 대한 설치 공정과 마찬가지로 폴(400c)을 지붕부(810)에 설치한다. 이때, 폴(400c)의 삽입부(410c)가 슬리브(200c'')와, 지붕부(810)의 능선부(804e, 804f) 또는 능선부(804e)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또한 폴(400c)의 노출부(420c)가 슬리브(200c'')의 개방 단부(220c'')와 제 1 록킹부(300c') 사이에서 능선부(804f)를 따라 배치되어 노출된다.
텐트(T3)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c)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폴(400c)의 설치 후 텐트(T1)의 매담부(500a)의 폴(400a)의 노출부(420a)에 대한 매담 공정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c)를 폴(400c)의 노출부(420c)에 걸거나 또는 결부시킨다. 이렇게 하여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c)가 노출부(420c)에 매달리고, 또한 지붕부(810)의 능선부(804f)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c)를 통해서 폴(400c)에 지지된다.
그 후, 폴(400d)을 준비한다. 그 후, 텐트(T1)의 폴(400b)의 지붕부(110)에 대한 설치 공정과 마찬가지로 폴(400d)을 지붕부(810)에 설치한다. 이때, 폴(400d)의 삽입부(410d)가 슬리브(200d)와, 지붕부(810)의 능선부(804h, 804g) 또는 능선부(804h)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또한 폴(400d)의 노출부(420d)가 슬리브(200d'')의 개방 단부(220d'')와 제 1 록킹부(300d') 사이에서 능선부(804g)를 따라 배치되어 노출된다.
텐트(T3)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d)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폴(400d)의 설치 후 텐트(T1)의 매담부(500b)의 폴(400b)의 노출부(420b)에 대한 매담 공정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d)를 폴(400d)의 노출부(420d)에 걸거나 또는 결부시킨다. 이렇게 하여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d)가 노출부(420d)에 매달리고, 또한 지붕부(810)의 능선부(804g)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d)를 통해서 폴(400d)에 지지된다.
텐트(T3)가 매담부(600)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텐트(T1)의 매담부(600)와 마찬가지로 꼭대기부(803a)로부터 신장하는 매담부(600)를 폴(400a, 400b)의 교차부에 걸거나 또는 결부시키고, 또한 꼭대기부(803b)로부터 신장하는 매담부(600)를 폴(400c, 400d)의 교차부에 걸거나 또는 결부시킨다. 이렇게 하여 하나의 매담부(600)가 교차부에 매달리고, 또한 지붕부(810)의 꼭대기부(803a)가 상기 매담부(600)를 통해서 교차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또 하나의 매담부(600)가 교차부에 매달리고, 또한 지붕부(810)의 꼭대기부(803b)가 상기 매담부(600)을 통해서 교차부에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능선부(804e, 804f) 또는 능선부(804e)가 슬리브(200c)를 통해서 폴(400c)에 지지되고, 능선부(804f)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c)를 통해서 폴(400c)에 지지되고, 능선부(804h, 804g) 또는 능선부(804h)가 슬리브(200d)를 통해서 폴(400d)에 지지되고, 또한 능선부(804g)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d)를 통해서 폴(400d)에 지지됨으로써, 텐트 시트(800)의 지붕부(810)의 제 2 영역이 상방이 팽창한 상태(전개 상태)에서 지지된다.
이하, 텐트(T3)의 수납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텐트(T3)가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 500b, 500c, 500d)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500a, 500b, 500c, 500d)를 폴(400a, 400b, 400c, 400d)의 노출부(420a, 420b, 420c, 420d)로부터 각각 분리한다. 텐트(T3)가 매담부(600)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매담부(600)를 폴(400a, 400b)의 교차부, 폴(400c, 400d)의 교차부로부터 각각 분리한다.
텐트(T1)의 폴(400a, 400b)의 지붕부(110)로부터의 분리 공정과 마찬가지로 폴(400a, 400b, 400c, 400d)을 지붕부(810)로부터 분리한다. 이것에 의해, 텐트 시트(800)를 접어 개고, 또한 폴(400a, 400b, 400c, 400d)을 분해하여, 텐트(T3)를 자루 등에 수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텐트(T3) 및 그 설영 방법은 텐트(T1) 및 그 설영 방법과 같은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한 텐트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텐트 시트의 지붕부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형상 이외의 다각형이나 원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지붕부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원형일 경우, 본 발명의 제 1 부 및 제 2 부는 텐트 시트의 지붕부의 꼭대기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둘레 가장자리부(즉, 지붕부의 단)의 임의의 개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중간 지점은 제 1 능선부 상의 제 1 부로부터 꼭대기부까지의 사이의 임의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제 2 중간 지점은 제 2 능선부 상의 꼭대기부와 제 2 부 사이의 임의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제 1 록킹부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폴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이 폴의 제 2 단을 록킹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 1 록킹부는 폴의 제 2 단을 록킹 가능한 오목부나 폴의 제 2 단의 록킹 구멍에 삽입 제거 가능한 록킹 돌기부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각 형태 및 설계 변형예에 있어서의 텐트의 각 구성 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개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각 형태 및 설계 변경예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1: 텐트 100: 텐트 시트
110: 지붕부 111a: 모서리부
111b: 모서리부 111c: 모서리부
111d: 모서리부 112: 꼭대기부
113a: 능선부 113b: 능선부
113c: 능선부 113d: 능선부
114a: 중간 지점 114b: 중간 지점
120: 저부 200a, 200b: 슬리브
210a, 210b: 밀봉 단부 220a, 220b: 개방 단부
300a, 300b: 제 1 록킹부 400a, 400b: 폴
410a, 410b: 삽입부 411a, 411b: 제 1 단
420a, 420b: 노출부 421a, 421b: 제 2 단
500a: 매담부 500b: 매담부
600: 매담부 700a: 제 2 록킹부
700b: 제 2 록킹부
110: 지붕부 111a: 모서리부
111b: 모서리부 111c: 모서리부
111d: 모서리부 112: 꼭대기부
113a: 능선부 113b: 능선부
113c: 능선부 113d: 능선부
114a: 중간 지점 114b: 중간 지점
120: 저부 200a, 200b: 슬리브
210a, 210b: 밀봉 단부 220a, 220b: 개방 단부
300a, 300b: 제 1 록킹부 400a, 400b: 폴
410a, 410b: 삽입부 411a, 411b: 제 1 단
420a, 420b: 노출부 421a, 421b: 제 2 단
500a: 매담부 500b: 매담부
600: 매담부 700a: 제 2 록킹부
700b: 제 2 록킹부
Claims (10)
- 상측에 팽창 가능한 지붕부를 갖는 텐트 시트와,
슬리브와,
제 1 록킹부와,
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텐트 시트의 상기 지붕부는 꼭대기부와, 상기 지붕부의 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꼭대기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 및 제 2 부와, 상기 제 1 부로부터 상기 꼭대기부까지의 제 1 능선부와,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상기 제 2 부까지의 제 2 능선부를 갖고 있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 1 부로부터 상기 제 1 능선부를 따라 제 1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중간 지점은 상기 제 1 능선부 상의 상기 제 1 부와 상기 꼭대기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 1 부측의 밀봉 단부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록킹부는 상기 제 2 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폴은 제 1 단을 갖는 삽입부와, 상기 제 1 단의 반대측의 제 2 단을 갖는 노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폴의 상기 삽입부가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슬리브 내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 1 단이 상기 슬리브의 상기 밀봉 단부에 접촉하고, 상기 폴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또한 상기 폴의 상기 제 2 단이 상기 제 1 록킹부에 록킹됨으로써, 상기 폴의 상기 삽입부가 상기 슬리브를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또한 상기 폴의 상기 노출부가 상기 슬리브의 상기 개방 단부와 상기 제 1 록킹부 사이에서 노출되는 텐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 1 부로부터 상기 제 1 능선부 및 상기 제 2 능선부를 따라 제 2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중간 지점은 상기 제 2 능선부 상의 상기 꼭대기부와 상기 제 2 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텐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는 상기 지붕부의 상기 제 2 능선부의 상기 슬리브의 상기 개방 단부와 상기 제 1 록킹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폴의 상기 노출부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려 있는 텐트.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기 밀봉 단부에 설치된 제 2 록킹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록킹부 및 상기 제 2 록킹부는 록킹구에 의해 지면에 록킹 가능한 텐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간 지점은 상기 제 2 능선부 상의 상기 꼭대기부와, 상기 꼭대기부와 상기 제 2 부 사이의 대략 절반의 지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텐트.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는 복수의 모서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부는 상기 복수의 모서리부 중 하나이며, 상기 제 2 부는 상기 복수의 모서리부 중 다른 하나인 텐트.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는 복수의 모서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부 및 상기 제 2 부 중 어느 일방은 상기 복수의 모서리부 중 하나이며, 타방은 상기 복수의 모서리부 중 이웃하는 2개의 모서리부 사이의 중간부인 텐트. - 상측에 팽창 가능한 지붕부를 갖는 텐트 시트를 준비하고,
폴을 준비하고, 또한
상기 폴을 상기 지붕부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텐트 시트의 상기 지붕부는 꼭대기부와, 상기 지붕부의 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또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꼭대기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 및 제 2 부와, 상기 제 1 부로부터 상기 꼭대기부까지의 제 1 능선부와,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상기 제 2 부까지의 제 2 능선부와, 슬리브와, 제 1 록킹부를 갖고 있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 1 부로부터 상기 제 1 능선부를 따라 제 1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중간 지점은 상기 제 1 능선부 상의 상기 제 1 부와 상기 꼭대기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 1 부측의 밀봉 단부와 그 반대측의 개방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록킹부는 상기 제 2 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폴은 제 1 단을 갖는 삽입부와, 상기 제 1 단의 반대측의 제 2 단을 갖는 노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폴의 상기 지붕부에 대한 설치는 상기 폴의 상기 삽입부를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슬리브 내로 삽입하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 1 단을 상기 슬리브의 상기 밀봉 단부에 접촉시키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 1 단을 지점으로 해서 상기 폴을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폴의 상기 제 2 단을 상기 제 1 록킹부에 록킹시키는 텐트의 설영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 1 부로부터 상기 제 1 능선부 및 상기 제 2 능선부를 따라 제 2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중간 지점은 상기 제 2 능선부 상의 상기 꼭대기부와 상기 제 2 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텐트의 설영 방법.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의 상기 제 2 능선부의 상기 슬리브의 상기 개방 단부와 상기 제 1 록킹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폴의 상기 지붕부에 대한 설치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담부를 상기 폴의 상기 노출부에 매다는 텐트의 설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68257 | 2017-09-01 | ||
JP2017168257A JP6948058B2 (ja) | 2017-09-01 | 2017-09-01 |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設営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5488A true KR20190025488A (ko) | 2019-03-11 |
Family
ID=6551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2774A KR20190025488A (ko) | 2017-09-01 | 2018-02-26 | 텐트 및 텐트의 설영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948058B2 (ko) |
KR (1) | KR20190025488A (ko) |
CN (2) | CN109424255A (ko) |
TW (1) | TW20191290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48058B2 (ja) * | 2017-09-01 | 2021-10-13 | 株式会社ロゴスコーポレーション |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設営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6670U (ko) | 1989-09-01 | 1991-04-30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00439U (zh) * | 1990-09-07 | 1992-04-01 | 南京宏光空降装备厂 | 轻便遮阳篷 |
JP2829726B2 (ja) * | 1996-10-22 | 1998-12-02 | 日本用品株式会社 | テント |
JP3300689B2 (ja) * | 1999-09-22 | 2002-07-08 | 日本用品株式会社 | 自立式テント |
JP4444519B2 (ja) * | 2001-02-01 | 2010-03-31 | 株式会社廣瀬商会 | テント |
US20100018561A1 (en) * | 2008-07-23 | 2010-01-28 | The Coleman Company, Inc. | Negative angle window for tent |
CN201963028U (zh) * | 2011-01-27 | 2011-09-07 | 上海洋帆实业有限公司 | 一种帐篷 |
JP5779035B2 (ja) * | 2011-08-02 | 2015-09-16 | 株式会社ロゴスコーポレーション | テント |
CN203846849U (zh) * | 2014-05-09 | 2014-09-24 | 厦门友一金属有限公司 | 一种凉篷 |
JP6047589B2 (ja) * | 2015-01-05 | 2016-12-21 | 株式会社モンベル | テント |
JP6948058B2 (ja) * | 2017-09-01 | 2021-10-13 | 株式会社ロゴスコーポレーション |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設営方法 |
-
2017
- 2017-09-01 JP JP2017168257A patent/JP6948058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2-26 TW TW107106344A patent/TW201912908A/zh unknown
- 2018-02-26 KR KR1020180022774A patent/KR20190025488A/ko unknown
- 2018-08-28 CN CN201810985140.7A patent/CN109424255A/zh active Pending
- 2018-08-28 CN CN201821391763.3U patent/CN208966135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6670U (ko) | 1989-09-01 | 1991-04-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424255A (zh) | 2019-03-05 |
TW201912908A (zh) | 2019-04-01 |
JP6948058B2 (ja) | 2021-10-13 |
JP2019044464A (ja) | 2019-03-22 |
CN208966135U (zh) | 2019-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1946B1 (ko) |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 |
US7316339B2 (en) | Cargo platform with foldable walls | |
US6938807B2 (en) | Collapsible trunk cargo organizer | |
DK164183B (da) | Stativ til en transportabel overdaekning | |
KR20190025488A (ko) | 텐트 및 텐트의 설영 방법 | |
JP2886458B2 (ja) |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 |
CN102535828A (zh) | 作业用踏脚凳 | |
JPH09278348A (ja) | 吊りクランプ | |
CN202426187U (zh) | 一种悬挂稳定的加长型衣架改进结构 | |
JP7353620B2 (ja) | テント | |
TWM571400U (zh) | tent | |
US10801232B2 (en) | Hanging room for a temporary shelter | |
JP2022118687A (ja) | 支持脚及びこれを備えた折り畳み椅子 | |
KR101929880B1 (ko) | 텐트 | |
JP4482738B2 (ja) | 足場ユニット用玉掛吊具 | |
KR102693906B1 (ko) | 자동차 텐트용 연결 부재 | |
JP3241596U (ja) | 折畳式三角コーン | |
JPS6040674Y2 (ja) | フロ−トフエンスの連結金具 | |
JPH0311444Y2 (ko) | ||
US20090128443A1 (en) | Fixing device of a radiator sheet | |
KR101605117B1 (ko) | 가설 구조물 | |
JP3643893B2 (ja) | 棚装置 | |
JPS5943240Y2 (ja) | モツコ | |
JP3123423U (ja) | フレコンバッグ積載用スタンド | |
JP3053391U (ja) | 置き敷低床二重床パネ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