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946B1 -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 Google Patents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946B1
KR101311946B1 KR1020107003610A KR20107003610A KR101311946B1 KR 101311946 B1 KR101311946 B1 KR 101311946B1 KR 1020107003610 A KR1020107003610 A KR 1020107003610A KR 20107003610 A KR20107003610 A KR 20107003610A KR 101311946 B1 KR101311946 B1 KR 10131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russ
lift
ba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489A (ko
Inventor
후토시 노모토
Original Assignee
마츠오카 하지메
후토시 노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오카 하지메, 후토시 노모토 filed Critical 마츠오카 하지메
Publication of KR2010005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Abstract

모래주머니 내부의 흙이 굳어져 형상이 안정되어 쌓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제공한다.
내부에 흙이 채워진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11)의 대각선상에 베이스 밴드(24)를 설치하고, 베이스 밴드(24)가 교차되는 교점에 사각 기둥 형상의 리프트 밴드(30)를 고정시키고 트러스 밴드(21)의 일단을 리프트 밴드(30)의 사각 기둥 주위를 감는 고정 밴드(31)로 고정시키고 그 타단을 리프트 밴드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서 베이스 밴드에 고정시킴으로써 수직 방향의 리프트 밴드(30)에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설치할 수 있어 트러스 밴드 1개에 걸리는 중량이 분산되어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의 형상이 유지된다. 따라서 복수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가지런히 쌓을 수 있어 작업시간이 대폭 줄어든다.

Description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Shape-retention-type hoisti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g}
본 발명은 주로 관개나 치수 공사, 법면 보강이나 옹벽 공사, 도로나 건물의 지반 보강이나 매립 공사, 자연 재해의 복구 공사 등에 사용되는 초대형 모래주머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육면체의 모래주머니를 복수 쌓아올려 사용할 때 쌓기 쉬운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하면서 1개의 매달음부로 시공할 수 있는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에 관한 것이다. 또 소형 모래주머니 자루를 사용한 모래주머니 공법과의 병용도 가능하여 한번에 큰 면적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특성을 살린 사용 방법으로서 보리, 콩 등 낱알형 물자를 반송할 때에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모래주머니 형상은 통상 원주형이나 풍선을 거꾸로 한 모양(염낭 모양)이어서 사이에 빈틈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은 물자의 적재나 재고 등을 사각형에 의한 효율적인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관개나 치수 공사, 태풍이나 호우에 따른 자연 재해의 복구 공사 등에서 모래주머니를 쌓아올리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모래주머니는,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마대나 폴리에틸렌제나 폴리프로필렌제 등의 자루형, 망형 등 내구성이 우수한 모래주머니(101)에 흙을 채우고 매직 테잎(등록상표)(105) 등으로 그 자루의 입구를 막은 것이다. 공사용 모래주머니는 큰 것은 그 무게가 1톤 이상인 것도 있어 모래주머니의 운반에는 크레인차나 백호(backhoe)가 사용되고 있다. 태풍이나 호우에 따른 자연 재해의 복구 공사 등에는, 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모래주머니(101)를 늘어놓고 쌓아올려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도 11은, 본건 발명자의 특허(특허문헌 1)이다. 직육면체 백(11)의 바닥면(12) 안의 중심부(19)에 리프트 밴드(30)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직육면체 백(11) 안의 바닥면 4개의 꼭지점(18a)∼(18d)의 대각선상에서 각 꼭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18a1),(18b1),(18c1),(18d1)에 제1∼제4의 4개의 트러스 밴드(21a)∼(21d)의 각 일단을 고정시키고, 바닥면(12)의 중심부(19)와 4개의 꼭지점(18a)∼(18d)의 5점에서, 직육면체 백(11)을 지탱하고, 트러스 밴드(21a)∼(21d)의 타단은 리프트 밴드(30)상의 고정점(30a)에 고정되어 있다. 리프트 밴드(30)에 의해 직육면체 백을 끌어올리면, 직육면체 백 내부의 흙은 압축되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굳어져 직육면체 백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된다. 따라서 복수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가지런히 쌓을 수 있어 작업시간이 대폭 줄어든다.
도 12는 종래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점(18a) 및 (18b)은 점(30a)과의 사이로 뻗은 리프트 밴드(21a),(21b)에 의해 잡아당겨지므로 위쪽을 향한 힘과 옆쪽을 향한 힘이 작용하여 해칭한 부분의 흙이 압축되어 굳어지기 때문에 직육면체 백(1)은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제3949156호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난 종래의 직육면체 백은, 형상이 1m각 정도까지는 사용할 수 있지만, 1m를 초과하면 형상이 안정되지 않아 복수의 모래주머니를 쌓아올려 사용하기 힘들다. 즉, 크레인차 등에 의해 모래주머니를 운반하거나 쌓아올리는 작업을 할 때에 모래주머니 안의 흙이 움직여 모래주머니의 형상이 변형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즉, 자루의 대형화에 따라 자루의 수직 방향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자루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장착된 매달기용 밴드가 내부 자재를 밀어올려 대각에 장착된 트러스 밴드와의 사이에서 충분한 마찰을 발생시킬 때까지의 필요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전체가 ㄱ자 모양으로 변형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즉, 모래주머니 자루의 가로폭이 넓어짐에 따라 적은 수의 트러스 밴드만으로는 모래주머니 자루의 형상을 직육면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1m를 초과하는 초대형의 편평한 직육면체 백이라 해도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쌓기 쉬운 모래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 안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가 교차되는 교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매달음부에 접속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리프트 밴드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사각 기둥 주위를 감는 복수의 고정 밴드와, 각 고정 밴드마다 상기 사각 기둥 형상의 각 면에서, 그 각 일단이 상기 리프트 밴드와 상기 고정 밴드 사이에 고정되고, 그 각 타단은 리프트 밴드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에 고정되는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은, 상기 복수의 고정 밴드 중 위쪽 고정 밴드에 그 일단이 고정된 트러스 밴드의 타단이 아래쪽 고정 밴드에 그 일단이 고정된 트러스 밴드의 타단보다도 상기 중심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 안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가 교차되는 교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매달음부에 접속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리프트 밴드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사각 기둥 주위의 각 면에서 높이가 다른 위치에 장착된 복수의 상측 매달기 고리와, 상기 베이스 밴드상에서 리프트 밴드의 중심으로 다른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 장착된 복수의 하측 매달기 고리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각 면에서 그 각 일단이 상기 각 상측 매달기 고리에 고정되고, 그 각 타단이 각 하측 매달기 고리에 고정되는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 안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상에서 상기 직육면체 백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 대향하여 장착된 복수의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와, 상기 대향하는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의 한쪽에 설치된 하측 매달기 고리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쪽에 설치된 하측 매달기 고리에 그 타단이 고정되고, 소정 위치에 설치된 리프트 밴드 고정부에서 고정되고 그 중간점에서 되접혀 매달음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달음부의 끝단은 후크를 장착하기 위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 안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가 교차되는 교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매달음부에 접속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리프트 밴드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사각 기둥 주위를 감는 복수의 사각 기둥 프레임형 고정 밴드와, 각 고정 밴드마다 상기 리프트 밴드의 각 면에서 그 각 일단이 상기 리프트 밴드와 상기 고정 밴드 사이에 고정되고 그 각 타단은 리프트 밴드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에 고정되는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사용함으로써, 직육면체 백 내부의 트러스 밴드 주위의 흙의 압축 범위를 중앙부에서부터 단계적으로 넓힐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은, 복수의 고정 밴드 중 위쪽 고정 밴드에 그 일단이 고정된 트러스 밴드의 타단이 아래쪽 고정 밴드에 그 일단이 고정된 트러스 밴드의 타단보다도 중심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설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설치할 수 있어 흙의 입자간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고형화 가능한 범위가 확대되어 대형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 안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가 교차되는 교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매달음부에 접속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리프트 밴드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사각 기둥의 각 면에서 높이가 다른 위치에 장착된 복수의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 밴드상에서 리프트 밴드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 장착된 복수의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각 면에서 그 각 일단이 후크를 통해 상기 각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에 고정되고, 그 각 타단이 후크를 통해 각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구비하도록 하기 때문에 트러스 밴드의 설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 안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상에서 상기 직육면체 백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 대향하여 장착된 복수의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와, 상기 대향하는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의 한쪽에 설치된 하측 매달기 고리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쪽에 설치된 하측 매달기 고리에 그 타단이 고정되고, 소정 위치에 설치된 리프트 밴드 고정부에서 고정되고 그 중간점에서 되접혀 매달음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구비하도록 하기 때문에 트러스 밴드의 설치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트 밴드의 끝단은 후크를 설치하기 위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크레인차 등에 의해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쉽게 끌어올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트러스 밴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트러스 밴드 장착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다른 트러스 밴드 장착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또다른 트러스 밴드 장착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또다른 트러스 밴드 장착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사용시 설명에 사용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사용시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사용시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적층한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그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1은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11은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을 구성하는 직육면체 백이다. 직육면체 백(11)으로서는, 내구성이 있는 가요성 소재, 예를 들면 마 등의 천연 소재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화학섬유소재 외에 자루 모양을 제작할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된다. 직육면체 백(11)은 직육면체를 이루고 있으며, 그 상부에 좌우의 덮개부(13a) 및 (13b), 전후의 덮개부(14a) 및 (14b), 및 전후의 덮개부(14a) 및 (14b)를 닫기 위한 벨트(15) 및 로킹 부재(16)가 설치된다. 또 벨트(15)는 속에 투입하는 자재의 종류나 중량에 따라 갯수를 늘릴 수도 있다.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의 중량이 1t 정도인 경우에는 벨트(15)는 4개 정도 필요하다. 또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우의 덮개부(13a) 및 (13b)를 닫기 위한 벨트(15) 및 로킹 부재(16)를 좌우의 덮개부(13a) 및 (13b)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 13a, 13b 및 14a, 14b의 덮개부를 직육면체 백(11)과 일체로서 제작할 수도 있다.
30은 리프트 밴드이고, 21a∼21d, 22a∼22d는 트러스 밴드이다. 리프트 밴드(30) 및 트러스 밴드(21a)∼(21d),(22a)∼(22d)는 직육면체 백(11)을 매달기 위한 것이다. 리프트 밴드(30)는 사각 기둥으로 구성되고 트러스 밴드(21a)∼(21d),(22a)∼(22d)는 끈 또는 벨트형으로서 각각 내구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17은, 전후의 덮개부(14a) 및 (14b)를 닫았을 때 리프트 밴드(30)를 꺼내는 개구를 만들기 위한 홈이다.
리프트 밴드(30)의 일단은 직육면체 백(11) 안의 바닥면(12)에 대각선상에 설치된 2개의 베이스 밴드(24)가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트러스 밴드(21a)∼(21d),(22a)∼(22d)의 각 일단은, 후술하는 것처럼 리프트 밴드(30)와 고정 밴드(31) 사이에 고정되고, 그들의 각 타단은 리프트 밴드(3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2단의 트러스 밴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리프트 고정 밴드를 2단으로 설치한 도면이다. 상술한 것처럼 트러스 밴드(21a),(21c)는 일단이 리프트 밴드(30)와 리프트 고정 밴드(31) 사이에 고정되고, 트러스 밴드(22a),(22c)는 일단이 리프트 밴드(30)와 리프트 고정 밴드(32)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트러스 밴드(21a),(21c)는 그 타단이 베이스 밴드(24)상의 한 점에서 각각 고정되고, 트러스 밴드(22a),(22c)는 그 타단이 각각 베이스 밴드(24)상의 다른 한 점에서 고정되어 있다. 도 3에서는, 트러스 밴드(21),(22)의 양 끝단이 절곡되어 있으며, 리프트 밴드(30), 리프트 고정 밴드(31)와의 접속 및 베이스 밴드(24)와의 접속을 간략화하여 도시하였다. 이 접속의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것처럼 도 4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B)는 리프트 고정 밴드(31)를 3단으로 설치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리프트 고정 밴드는 여러 단 설치할 수 있어, 직육면체 백의 형상이 커지면 리프트 고정 밴드의 단수를 늘려 거기에 고정되는 트러스 밴드를 늘림으로써 직육면체 백(1)의 형상을 일정한 형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수직 방향의 리프트 밴드에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설치하기 때문에 트러스 밴드 한 개에 걸리는 중량이 분산되어 안전성이 늘어난다.
도 3의 (B)에서, 상술한 것처럼 트러스 밴드(21a),(21c)는 일단이 리프트 밴드(30)와 리프트 고정 밴드(31) 사이에 고정되고 트러스 밴드(22a),(22c)는 일단이 리프트 밴드(30)와 리프트 고정 밴드(32) 사이에 고정되고, 트러스 밴드(23a),(23c)는 일단이 리프트 밴드(30)와 리프트 고정 밴드(33)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트러스 밴드(21a),(21c)는 그 타단이 베이스 밴드(24)상의 한 점(18a1),(18c1)에서 각각 고정되고, 트러스 밴드(22a),(22c)는 그 타단이 베이스 밴드(24)상의 한 점(19a1),(19c1)에서 각각 고정되고, 트러스 밴드(23a),(23c)는 그 타단이 각각 베이스 밴드(24)상의 한 점(19a1),(19c1)에서 고정되어 있다. 도 3의 (B)에서도, 트러스 밴드(21),(22)의 양 끝단은 절곡되어 있으며 리프트 밴드(30), 리프트 고정 밴드(31),(32),(33)와의 접속 및 베이스 밴드(24)와의 접속을 간략화하여 도시하였다. 이 접속의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것처럼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리프트 밴드(30)의 끝단에는 매달음부(29)가 접속되고, 매달음부(29)의 끝단은 아치 형태로 형성되어 크레인이나 백호 등 중기의 후크 등에 의해 매달리게 된다. 매달음부(29)의 형상은 후크형으로 해도 좋고 고리형으로 해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트러스 밴드 장착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리프트 밴드(30), 트러스 밴드(21a),(21c), 리프트 고정 밴드(31) 및 베이스 밴드(24)를 측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는, 리프트 밴드(30), 트러스 밴드(21a)∼(21d), 리프트 고정 밴드(31) 및 베이스 밴드(24)를 비스듬하게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에서, 트러스 밴드(21c)의 상단(42c)과 하단(43c)이 절곡되고, 상단(42c)은 리프트 고정 밴드(31)와 리프트 밴드(30) 사이에 삽입되어 코킹 핀이나 나사나 접착제나 기타 충분한 강도가 있는 수지계 실 등으로 꿰매어 고정된다. 한편, 하단(43c)은 베이스 밴드(24)의 일단에 코킹 핀(34)이나 나사나 접착제나 기타 충분한 강도가 있는 수지계 실 등으로 꿰매어 고정된다. 여기에서 리프트 밴드(30)의 하단은 종횡의 베이스 밴드(24)의 교차점, 즉 리프트 밴드의 고정점(26)에서 베이스 밴드(24)에 고정된다. 물론 베이스 밴드(24)는 직육면체 백(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밴드(24)에 고정되는 것은 직육면체 백(1)의 바닥면에도 고정되게 된다. 또 리프트 고정 밴드(31)를 사용하지 않고 각 트러스 밴드와 리프트 밴드(30)를 직접 꿰매 붙여도 좋다. 그와 같은 실시형태를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는, 트러스 밴드(21)뿐인 1단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여러 단의 트러스 밴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또 다른 트러스 밴드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리프트 밴드(30), 트러스 밴드(21a),(21ac),(21c), 리프트 고정 밴드(31) 및 베이스 밴드(24)를 측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B)는, 리프트 밴드(30), 트러스 밴드(21a)∼(21d),(21ac),(21bd), 리프트 고정 밴드(31) 및 베이스 밴드(24)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에서, 트러스 밴드(21)는 사선부의 트러스 밴드(21a), 트러스 밴드(21c) 및 매달음부(29)를 형성하는 트러스 밴드(21ac)로 형성되는 1개의 밴드로서 제작된다. 즉, 트러스 밴드(21ac)는 트러스 밴드(21a)와 트러스 밴드(21c)가 연속되어 있는 부분이다. 도 5에 도시한 트러스 밴드(21)는, 도 4에 도시한 트러스 밴드(21)와 거의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도 4 중의 트러스 밴드(21)는 리프트 고정 밴드(31)의 부분에서 종단되지만, 도 5 중의 트러스 밴드(21)는 리프트 고정 밴드(31)의 부분에서 종단되지 않고 매달음부(29)인 트러스 밴드(21ac)를 통해 연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도 5의 트러스 밴드(21)는 도 4의 트러스 밴드(21)와 일부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도 4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는, 트러스 밴드(21a)는 트러스 밴드(21c)의 상단이 절곡되어 리프트 고정 밴드(31)와 리프트 밴드(30) 사이에 삽입되고 코킹 핀이나 나사나 접착제나 기타 충분한 강도가 있는 수지계 실 등으로 꿰매어 고정된다. 또 리프트 고정 밴드(31)와 리프트 밴드(30) 사이에 삽입된 트러스 밴드(21a)와 트러스 밴드(21c)의 상단은 연속되는 트러스 밴드(21ac)부에 의해 매달음부(29)를 형성하고 있다. 트러스 밴드(21b)와 트러스 밴드(21d)에 연속되는 부분은 트러스 밴드(21bd)에 의해 매달음부(29bd)를 형성하는데, 도면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매달음부(29bd)는 생략하였다. 리프트 고정 밴드(31)와 리프트 밴드(30) 사이에 삽입된 트러스 밴드(21ac)는 리프트 고정 밴드(31)의 부분에서 코킹 핀이나 나사나 접착제나 기타 충분한 강도가 있는 수지계 실 등으로 꿰매어 고정된다. 또 리프트 고정 밴드(31)를 사용하지 않고 각 트러스 밴드와 리프트 밴드(30)를 직접 꿰매 붙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트러스 밴드(21a), 트러스 밴드(21c), 트러스 밴드(21ac)는 1개의 밴드로서 제작된다. 이 경우에는, 매달음부는, 매달음부(29ac) 및 매달음부(29bd)의 2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매달을 때 안전성이 커진다. 도 5에서는, 트러스 밴드(21)뿐인 1단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여러 단의 트러스 밴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다른 트러스 밴드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리프트 밴드(30), 트러스 밴드(21), 후크(36), 매달기 고리(37),(38),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39),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 및 베이스 밴드(24)를 측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B)는 리프트 밴드(30), 트러스 밴드(21), 후크(36), 상측 매달기 고리(37), 하측 매달기 고리(38),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39),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 및 베이스 밴드(24)를 비스듬하게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에서, 트러스 밴드(21c)의 상단 하단에 후크(36c)가 설치된다. 트러스 밴드(21c)의 상단의 후크부(36c)는 상측 매달기 고리(37c)에 고정되고, 상측 매달기 고리(37c)는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39c)에 고정되고, 이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39c)는 리프트 밴드(30)에 고정된다. 또 트러스 밴드(21c)의 하단 후크(36c)는 하측 매달기 고리(38c)에 고정되고, 하측 매달기 고리(38c)는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c)에 고정되고, 이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c)는 베이스 밴드(24)에 고정된다.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39c) 및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c)는 코킹 핀(34)이나 나사나 접착제나 기타 충분한 강도가 있는 수지계 실 등으로 각각 리프트 밴드(30) 및 베이스 밴드(24)에 꿰매어 붙여 고정된다. 상기에서는 트러스 밴드(21c)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트러스 밴드(21a),(21b),(21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트러스 밴드(21)는 각 상,하측 매달기 고리(37),(38)를 미리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39) 및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에 각각 장착해 놓고, 뒤에서부터 상단 하단의 후크(36)를 각 상,하측 매달기 고리(37),(38)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트러스 밴드(21)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6에서는, 트러스 밴드(21)뿐인 1단의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도 3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여러 단의 트러스 밴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또다른 트러스 밴드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트러스 밴드(21),(22), 후크(36), 하측 매달기 고리(38),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 및 베이스 밴드(24)를 측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B)는, 트러스 밴드(21),(22), 후크(36), 하측 매달기 고리(38),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 및 베이스 밴드(24)를 비스듬하게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에서, 2단으로 설치된 트러스 밴드(21a) 및 (22a)의 하단에 각각 후크(36a)가 설치되고, 트러스 밴드(21c) 및 (22c)의 하단에 각각 후크(36c)가 설치된다. 트러스 밴드(21a),(21c),(22a),(22c)의 상단은 리프트 밴드 고정부(44)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트러스 밴드(21a),(21c) 및 트러스 밴드(22a),(22c)는 각각 1개의 밴드, 끈, 로프 등(이하 밴드라고 한다)으로 형성되며 각각 위쪽에서 되접혀 매달음부(29)를 구성한다. 모든 트러스 밴드(21a),(21c),(22a),(22c)는 리프트 밴드 고정부(44)에서 링이나 끈 등으로 고정된다. 리프트 밴드 고정부(44)에서 트러스 밴드(21a),(21c),(22a),(22c)를 묶어 고정시켜도 좋다. 트러스 밴드(21a),(21c)의 하단의 각 후크(36a),(36c)는 하측 매달기 고리(38a),(38c)에 각각 고정되고, 하측 매달기 고리(38a),(38c)는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a),(40c)에 각각 고정되고, 이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a),(40c)는 베이스 밴드(24)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에서는 트러스 밴드(21a),(21c) 및 트러스 밴드(22a),(22c)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트러스 밴드(21b),(21d) 및 (22b),(22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트러스 밴드(21),(22)는 각 하측 매달기 고리(38)를 미리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40)에 각각 장착해 놓고, 뒤에서부터 트러스 밴드(21),(22)의 끝단을 각 하측 매달기 고리(38)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트러스 밴드(21)의 설치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설명에서는, 트러스 밴드(21),(22)의 끝단에는 후크(36)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후크(36)를 설치하지 않고 트러스 밴드(21),(22)의 끝단을 직접 하측 매달기 고리(38)에 연결하여 트러스 밴드(21),(22)와 하측 매달기 고리(38)를 접속해도 좋다. 도 7에서는, 트러스 밴드(21), 트러스 밴드(22)의 2단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여러 단의 트러스 밴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의 사용시 설명에 이용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좌우의 덮개부(13a) 및 (13b), 전후의 덮개부(14a) 및 (14b)를 열린 상태로 하고 그 위에서부터 흙(25)을 채워넣는다.
직육면체 백(11)에 충분한 흙(25)을 채워넣었으면 흙(25)속에서 매달음부(29)를 꺼낸다. 다음으로, 도 8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좌우의 덮개부(13a) 및 (13b)를 닫고 벨트(15) 및 로킹 부재(16)에 의해 덮개부(13a) 및 (13b)를 로킹한다. 그리고, 전후의 덮개부(14a) 및 (14b)를 닫고 직육면체 백(11)의 상부 표면의 중심의 홈(17)에 의해 형성된 개구로부터 매달음부(29)를 꺼내고, 벨트(15) 및 로킹 부재(16)에 의해 개부(14a) 및 (14b)를 로킹한다. 단, 벨트(15) 및 로킹 부재(16)에 의해 덮개부(13a) 및 (13b)를 로킹한 상태는 개부(14a) 및 (14b)에 가려져 도 8의 (B)에서는 보이지 않는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직육면체 백(11)에 충분한 흙(25)을 채우고 좌우의 덮개부(13a) 및 (13b), 전후의 덮개부(14a) 및 (14b)를 닫고, 매달음부(29)를 홈(17)에 의해 형성된 개구로부터 끌어낸 후, 도 9의 (A)로 도시한 것처럼 매달음부(29)의 끝단에, 크레인차(미도시)의 후크(28)를 통해 매달음부(29)로 직육면체 백(11)을 끌어올려 소정 위치까지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을 운반하고, 도 9의 (B)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직육면체 백(1)을 적층한다. 도 9의 (B)는 적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인데, 보통은 홀수단인 제1 단과 제3 단은 상하로 동일하게 쌓고, 짝수단인 제2 단은 홀수단과 직육면체 백의 반 정도의 폭만큼 어긋나게 하여 적층한다. 도 9는 직육면체 백의 적층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방향으로의 적층은 도면과 같이 3단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몇단이라도 적층할 수 있다. 또 횡방향에 대해서도 도면과 같이 1열이 아니라 면 형태로 몇열이라도 적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에서는, 직육면체 백(11) 안의 베이스 밴드(24)의 리프트 밴드의 고정점(26)에 리프트 밴드(30)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트러스 밴드(21)의 각 일단을 리프트 밴드(30)에 고정시키고, 트러스 밴드(21)의 각 타단을 베이스 밴드(24)의 한 점에 고정시켜 직육면체 백(11)을 지탱하고 있다. 따라서 매달음부(29)로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을 끌어올리면, 직육면체 백(11) 내부의 리프트 밴드(30) 및 트러스 밴드(21) 주위의 흙(25)이 압축되고, 직육면체 백(11)은 들어올려져 공중에 있을 때에도 직육면체 형태의 형상을 유지하여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의 형상이 안정적이 된다. 이것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의 구조를, 도 1의 화살표(A)방향에서 보면, 도 10의 (A)에 도시한 것처럼 트러스 밴드(21a)와 리프트 밴드(30)와 바닥면(12)에 의해 삼각형(T1)의 구조가 생긴다. 마찬가지로 트러스 밴드(21c)와 리프트 밴드(30)와 바닥면(12)에 의해 삼각형(T2)의 구조가 생긴다. 트러스 밴드(22a)와 리프트 밴드(30)와 바닥면(12)에 의해 삼각형(T3)의 구조가 생긴다. 트러스 밴드(22c)와 리프트 밴드(30)와 바닥면(12)에 의해 삼각형(T4)의 구조가 생긴다.
여기에서 매달음부(29)로 직육면체 백(11)을 끌어올리면 그 자중(自重)에 의한 힘(F0)을 받아 트러스 밴드(21a) 및 (21c)에 인장력(F2)이 가해진다. 트러스 밴드(21a) 및 (21c)는 바닥면(12)에 대해 각도(θ1)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트러스 밴드(21a) 및 (21c)의 인장력(F2)는, 트러스 밴드(21a) 및 (21c)가 바닥면(12)을 매달고 있는 점(18a1) 및 (18c1)에서는 직육면체 백(11)을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힘(F3)과, 안쪽으로 끌어들이는 힘(F4)로 분해된다. 직육면체 백(11)을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힘(F3)이 생김으로써 트러스 밴드(21a) 및 (21c)가 바닥면(12)을 매다는 점(18a1) 및 (18c1)은 들어 올려지고, 이로써 직육면체 백(11)안에 채워진 흙(25)은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압축되어 굳어진다. 또 안쪽으로 끌어들이는 힘(F4)에 의해 점(18a1) 및 (18c1) 주변의 흙(25)은 횡방향으로 압축되어 굳어진다.
트러스 밴드(22a) 및 (22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매달음부(29)로 직육면체 백(11)을 끌어올리면, 그 자중에 의한 힘(F0)을 받아 트러스 밴드(22a) 및 (22c)에 인장력(F5)이 가해진다. 트러스 밴드(22a) 및 (22c)는 바닥면(12)에 대해 각도(θ2)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트러스 밴드(22a) 및 (22c)의 인장력(F5)는, 트러스 밴드(22a) 및 (22c)가 바닥면(12)을 매다는 점(19a1) 및 (19c1)에서는 직육면체 백(11)을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힘(F6)와 안쪽으로 끌어들이는 힘(F7)으로 분해된다. 직육면체 백(11)을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힘(F6)이 생김으로써 트러스 밴드(22a) 및 (22c)가 바닥면(12)을 매다는 점(19a1) 및 (19c1)은 들어 올려지고, 이로써 점(19a1) 및 (19c1) 주변의 흙(25)은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압축되어 굳어진다. 또 안쪽으로 끌어들이는 힘(F7)에 의해 점(19a1) 및 (19c1) 주변의 흙(25)은 횡방향으로 압축되어 굳어진다.
또 직육면체 백(11)의 바닥면(12)의 리프트 밴드의 고정점(26)에는 리프트 밴드(30)의 끝단이 고정되어 있어, 바닥면(12)의 리프트 밴드의 고정점(26)에는 직육면체 백(11)을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힘(F1)이 작용한다. 따라서 바닥면(12)의 중심은 위쪽으로 끌어올려져 직육면체 백(11)에 채워진 토양은 압축되어 굳어진다. 즉, 리프트 밴드(30)로 직육면체 백(11)을 끌어올리면, 직육면체 백(11)은 도 10의 (B)에 도시한 것처럼 트러스 밴드가 바닥면(12)을 매다는 점(18a1) 및 (18c1), 점(19a1) 및 (19c1)은 들어올려지고, 이로써 점(18a1) 및 (18c1), 점(19a1) 및 (19c1) 주변의 흙(25)은 위쪽 및 횡방향으로 압축되어 굳어진다. 도 10의 (B)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트러스 밴드에 의해 단계적으로 압축 범위를 넓히기 때문에 매달아올린 상태에서 일어나는 하부 중앙 리프트 밴드 장착 위치의 패임이 작아지기 때문에 매달아내려 설치했을 때 모래주머니 하부에 빈틈이 생기지 않는다. 즉, 설치 후의 변형이 거의 없어 치수 관리가 용이해진다.
도 10의 (B)에서는 점(18a1) 및 (18c1), 점(19a1) 및 (19c1)이 상방으로 끌어당겨지는 상태를 과장하여 그린 도면으로서, 실제로는 이 형상은 점(18a1) 및 (18c1), 점(19a1) 및 (19c1)의 위치, 트러스 밴드(21)의 장력 등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이 도면과 동일하게 되지는 않는다. 도 10의 (B)에서, 해칭한 부분의 흙이 압축되어 굳어지기 때문에 직육면체 백(1)은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리프트 밴드(30)에 의해 직육면체 백(11)을 매달게 되면 바닥면(12)의 중심부(19)에 오목부(35)가 생긴다. 이 바닥면(12)의 오목부(35)는 직육면체 백(11)의 중심부(19) 위치를 정확하게 반영하여 생기는 것이므로 이 오목부(35)를 위치 결정에 이용하면 복수의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정확하게 깔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관개나 치수 공사, 법면 보강이나 옹벽 공사, 도로나 건물의 지반 보강이나 매립 공사, 자연 재해의 복구 공사 등에 사용되는 모래주머니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 소형 모래주머니 자루를 사용한 모래주머니 공법과의 병용도 가능하여 한번에 큰 면적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특성을 살린 사용 방법으로서 보리, 콩 등의 낱알형 물자를 반송할 때에도 이용 가능하여 물자의 적재나 재고 등을 사각형에 의한 효율적인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1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11 직육면체 백
12 바닥면
13a, 13b, 14a, 14b 덮개부
15 벨트
16 로킹 부재
17 홈
18a1∼18d1 트러스 밴드의 고정점
19a1,19c1 트러스 밴드의 고정점
20a1,20c1 트러스 밴드의 고정점
21a∼21d 트러스 밴드
22a∼22d 트러스 밴드
23a∼23d 트러스 밴드
24 베이스 밴드
25 흙
26 리프트 밴드의 고정점
27 링
28 후크
29 매달음부
30 리프트 밴드
30a 리프트 밴드상의 고정점
31 리프트 고정 밴드
32 리프트 고정 밴드
33 리프트 고정 밴드
34 코킹 핀
35 오목부
36 후크
37 상측 매달기 고리
38 하측 매달기 고리
39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
40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
42 트러스 밴드의 상단
43 트러스 밴드의 하단
44 리프트 밴드 고정부

Claims (5)

  1.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 안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가 교차되는 교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매달음부에 접속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리프트 밴드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사각 기둥 주위를 감는 복수의 사각기둥 프레임형 고정 밴드와,
    각 고정 밴드마다, 상기 리프트 밴드의 각 면에서, 그 각 일단이 상기 리프트 밴드와 상기 고정 밴드 사이에 고정되고, 그 각 타단은 리프트 밴드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서 상기 베이스 밴드에 고정되는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은, 상기 복수의 고정 밴드 중 위쪽 고정 밴드에 그 일단이 고정된 트러스 밴드의 타단이 아래쪽 고정 밴드에 그 일단이 고정된 트러스 밴드의 타단보다도, 상기 중심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3.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 안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가 교차되는 교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매달음부에 접속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리프트 밴드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사각 기둥의 각 면에서 높이가 다른 위치에 장착된 복수의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 밴드상에서 리프트 밴드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 장착된 복수의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와,
    상기 리프트 밴드의 각 면에서, 그 각 일단이 후크를 통해 상기 각 상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에 고정되고, 그 각 타단이 후크를 통해 각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4.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과,
    상기 직육면체 백 안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 밴드와,
    상기 베이스 밴드상에서 상기 직육면체 백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 대향하여 장착된 복수의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와,
    상기 대향하는 하측 매달기 고리 고정부의 한쪽에 설치된 하측 매달기 고리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쪽에 설치된 하측 매달기 고리에 그 타단이 고정되고, 소정 위치에 설치된 리프트 밴드 고정부에서 고정되고 그 중간점에서 되접혀 매달음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트러스 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음부의 끝단은 후크를 장착하기 위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KR1020107003610A 2007-08-21 2008-03-17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KR101311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14962A JP5160838B2 (ja) 2007-08-21 2007-08-21 形状保持型吊上げ式直方体バック
JPJP-P-2007-214962 2007-08-21
PCT/JP2008/054897 WO2009025098A1 (ja) 2007-08-21 2008-03-17 形状保持型吊上げ式直方体バ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489A KR20100058489A (ko) 2010-06-03
KR101311946B1 true KR101311946B1 (ko) 2013-09-26

Family

ID=4037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610A KR101311946B1 (ko) 2007-08-21 2008-03-17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85757B2 (ko)
EP (1) EP2202360B1 (ko)
JP (1) JP5160838B2 (ko)
KR (1) KR101311946B1 (ko)
CN (1) CN101796249B (ko)
DK (1) DK2202360T3 (ko)
RU (1) RU2459903C2 (ko)
WO (1) WO2009025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0838B2 (ja) * 2007-08-21 2013-03-13 太 野本 形状保持型吊上げ式直方体バック
US9394081B2 (en) * 2010-11-03 2016-07-19 Aldon E. Beale Soft-sided bulk material containers with hold-ins
US8602683B2 (en) * 2010-08-03 2013-12-10 Alphafuze Manufacturing, Llc Device for storing a floating oil boo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2606866A (zh) * 2011-12-13 2012-07-25 宁波万汇休闲用品有限公司 可折叠伞座
USD771935S1 (en) 2011-12-29 2016-11-22 Oliver Joen-An Ma Umbrella base
KR101232212B1 (ko) * 2012-03-29 2013-02-12 시지엔지니어링(주)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232214B1 (ko) * 2012-04-26 2013-02-12 시지엔지니어링(주)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CN102926373B (zh) * 2012-11-09 2014-11-19 河海大学 一种开挖土现场装袋装置及就地铺设土工袋的施工方法
KR101327166B1 (ko) * 2013-02-28 2013-11-06 시지엔지니어링(주)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327171B1 (ko) * 2013-02-28 2013-11-06 시지엔지니어링(주)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US9181022B2 (en) * 2013-05-29 2015-11-10 Tommy Armstrong Trophy container apparatus
US9957728B2 (en) 2013-09-19 2018-05-01 Oliver Joen-An Ma Rotation base for umbrella
JP6502130B2 (ja) * 2015-03-12 2019-04-17 前田工繊株式会社 土木工事用袋体及び土木工事用構造体
USD775461S1 (en) 2015-03-27 2017-01-03 Oliver Joen-An Ma Umbrella base
USD768978S1 (en) 2015-03-27 2016-10-18 Oliver Joen-An Ma Umbrella base
US20170096298A1 (en) * 2015-10-02 2017-04-06 Wal-Mart Stores, Inc. Express Recycling Sack
US10538359B2 (en) * 2016-05-02 2020-01-21 New Heights Llc Mobile waste storage device
CN106498966A (zh) * 2016-11-18 2017-03-15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防渗墙施工结构
US10707802B1 (en) 2017-03-13 2020-07-07 AquaEnergy, LLC Pressurized pumped hydro storage system
US11916508B1 (en) 2017-03-13 2024-02-27 Aquaenergy Llc Underground pumped hydro storage
USD833136S1 (en) 2017-09-27 2018-11-13 ZHUN-AN Ma Umbrella base
CN107938644B (zh) * 2017-12-26 2023-12-22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充气式土工袋及其施工方法
KR102576069B1 (ko) * 2018-07-27 2023-09-07 메트리기술연구소주식회사 다단 형태에 의한 형상 유지형 걸이식 직육면체 백
KR102038086B1 (ko) * 2018-10-16 2019-10-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CN209473820U (zh) 2018-11-02 2019-10-11 宁波万汇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遮阳伞
US11365557B2 (en) 2018-12-27 2022-06-21 ZHUN-AN Ma Movable base for shade structure
WO2021068262A1 (zh) * 2019-10-12 2021-04-15 南京森淼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人造土拱的形状可调节的软基加固构件
USD951624S1 (en) 2021-01-03 2022-05-17 Amiram Kohen Cantilever umbrella base
USD1021376S1 (en) 2021-06-21 2024-04-09 Amiram Kohen Section of a round cantilever umbrella base
CN114232592B (zh) * 2021-12-31 2023-06-02 华东交通大学 一种地基加固构件装置及施工方法
JP7445819B1 (ja) 2023-12-14 2024-03-07 前田工繊株式会社 土木工事用袋体、土木工事用構造体、及び土木工事用構造体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931A (ja) 1999-12-20 2001-06-26 Choji Shimoyama 土嚢袋
JP2002275850A (ja) 2001-03-13 2002-09-25 Sumitomo Rubber Ind Ltd 防水用具
JP2005076439A (ja) * 2003-09-02 2005-03-24 Takeshi Kanai 土嚢用箱
KR200410540Y1 (ko) * 2005-10-14 2006-03-14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3209A1 (en) * 1980-06-26 1982-01-06 Spanset Inter Ag Lifting assembly
US4390051A (en) * 1981-04-03 1983-06-28 Bonar Industries Inc. Securing a liner within a flexible container
US5161693A (en) * 1988-10-27 1992-11-10 Cool Carriers Svenska Ab Carcass cargo handling
US5104236A (en) * 1991-03-15 1992-04-14 Custom Packaging Systems, Inc. Scrapless collapsible bag with circumferentially spaced reinforced strips
US5073035A (en) * 1991-05-09 1991-12-17 Williams Kenneth J Bulk carrying bag
JPH05124652A (ja) * 1991-07-15 1993-05-21 Shikoku Sogo Kenkyusho:Kk 収納具
HU218147B (hu) * 1992-03-10 2000-06-28 Oy W. Rosenlew Ab. Eljárás ömlesztett áru egységrakomány-göngyölegbe történő csomagolására és egységrakomány-göngyöleg ömlesztett áru csomagolására
JP3221587B2 (ja) * 1993-10-28 2001-10-22 株式会社三洋 粒状物搬送袋内装式立ち上げフレーム
RU2131493C1 (ru) * 1997-04-18 1999-06-10 Грицык Валерий Иванович Грунтогабион
US6155772A (en) * 1997-11-14 2000-12-05 Beale; Aldon Evans Lift-liner apparatus with improved weight-carrying capacity
JPH11334786A (ja) * 1998-05-25 1999-12-07 Grand Kaihatsu:Kk クレーン・フォークリフト等の揚重機器用運搬袋及びその使用方法
CN2362810Y (zh) * 1999-02-08 2000-02-09 王冬云 具有新型侧吊结构的柔性集装袋
JP3108062B1 (ja) * 1999-06-22 2000-11-13 栄光産業株式会社 残コン処理容器
RU2200790C2 (ru) * 2000-08-01 2003-03-20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габионного крепления
JP3571005B2 (ja) * 2001-05-01 2004-09-29 株式会社山本商店 土木工事用のフレックスコンテナー
JP2003245913A (ja) * 2002-02-27 2003-09-02 Tripole Co Ltd 擬石の製造方法と擬石
CN1824589B (zh) * 2005-02-27 2011-05-18 高德金 钢筋强固底部排料口为方形多用途散状物料集装袋
JP3949156B1 (ja) * 2006-12-20 2007-07-25 太 野本 形状保持型吊上げ式直方体バック
JP5160838B2 (ja) * 2007-08-21 2013-03-13 太 野本 形状保持型吊上げ式直方体バ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931A (ja) 1999-12-20 2001-06-26 Choji Shimoyama 土嚢袋
JP2002275850A (ja) 2001-03-13 2002-09-25 Sumitomo Rubber Ind Ltd 防水用具
JP2005076439A (ja) * 2003-09-02 2005-03-24 Takeshi Kanai 土嚢用箱
KR200410540Y1 (ko) * 2005-10-14 2006-03-14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10623A (ru) 2011-09-27
WO2009025098A1 (ja) 2009-02-26
US20110262056A1 (en) 2011-10-27
EP2202360B1 (en) 2017-07-19
EP2202360A1 (en) 2010-06-30
JP5160838B2 (ja) 2013-03-13
EP2202360A4 (en) 2013-10-02
CN101796249A (zh) 2010-08-04
RU2459903C2 (ru) 2012-08-27
JP2009046911A (ja) 2009-03-05
CN101796249B (zh) 2012-03-28
KR20100058489A (ko) 2010-06-03
US8485757B2 (en) 2013-07-16
DK2202360T3 (en)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946B1 (ko)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JP3949156B1 (ja) 形状保持型吊上げ式直方体バック
JP4019100B1 (ja) 土嚢袋ガイド枠および土嚢袋ガイド枠を用いた土嚢袋工法
KR101327166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386913B1 (ko)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
JP6188184B1 (ja) 土木工事用袋体
KR20130047024A (ko) 소일 백
KR101884115B1 (ko) 돌망태
KR101232213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JP3476571B2 (ja) 仮設道路用合成樹脂発泡体ブロックおよびその連結体
KR101232214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2038086B1 (ko)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JP5411045B2 (ja) フェンス
JP7445819B1 (ja) 土木工事用袋体、土木工事用構造体、及び土木工事用構造体の製造方法
JP3362243B2 (ja) 土木工事用網状収納体
JP4097075B2 (ja) フトン籠の敷設方法
JP2003096778A (ja) 土壁構築工法
KR101327171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JP7128996B2 (ja) 多段形態による形状保持型吊上げ式直方体バック
JP3880682B2 (ja) 土のう等の吊上げ装置
JP2008121221A (ja) ポール間にネットを張る方法
JP2007100322A (ja) 土嚢用袋体、土嚢及び土嚢構造体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