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540Y1 -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540Y1
KR200410540Y1 KR2020050029306U KR20050029306U KR200410540Y1 KR 200410540 Y1 KR200410540 Y1 KR 200410540Y1 KR 2020050029306 U KR2020050029306 U KR 2020050029306U KR 20050029306 U KR20050029306 U KR 20050029306U KR 200410540 Y1 KR200410540 Y1 KR 200410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frame
present
traction memb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상
Original Assignee
이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상 filed Critical 이영상
Priority to KR2020050029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5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 쌓기, 사면보호 시설, 하천보호 시설 등에 사용되는 개비온의 구조와 개비온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재료를 사용하여 견고하고, 견인 고리가 형성되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개비온과 자동화 제조가 가능하고, 생산성이 높은 개비온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개비온은 통상의 망체로 된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의 외부에는 개비온 외부 크기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보다 견고하고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개비온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비온 제조 시 진동을 줌으로써 공극을 채우고 결속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으며, 공장 규격으로 제조하여 품질이 우수하고 생산성이 높으며 제조 및 시공방법의 간소화로 제조 및 시공 시간을 줄이고 불필요한 인력과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개비온, 프레임, ㄱ자앵글, 견인고리, 보강편, 콘크리트

Description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Gabion and gabion production device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개비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각견인부재가 부가된 개비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의 A-A'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비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가 타설된 개비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난 개비온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을 지그재그로 쌓은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개비온의 B부분 연결 상태도
도 12은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 제조장치를 나타낸 참고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 제조장치의 부분 상세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의 운반 및 이동을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덮개부 20: 측면부
30: 전면부 32: 전면보강철선
35: 후면부 40: 저면부
42: 보강편 44: 열십자 보강편
46: 메쉬망 50: 프레임
51: 끼움관 53: 볼트
55: 수직견인부재 57: 대각견인부재
60: 견인고리 61: 견인고리 고정대
63, 63a, 64: 개비온 연결공 65, 66: 개비온 연결구
70: 콘크리트부재 100: 개비온
110: 컨베이어 120: 돌
130: 호퍼 140: 개비온 형틀몰드
142: 고정수단 144: 절첩수단
150: 진동베이스 152: 진동판
154: 가진장치 160: 배출컨베이어
180: 크레인 차량 190: 크레인
본 고안은 개비온과 개비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 강재료를 사용하여 견고하고, 견인 고리가 형성되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개비온과 자동화 제조가 가능하고, 생산성이 높은 개비온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비온은 철망으로 하나의 상자를 만들고 그 안에 돌을 채워넣는 것으로 옹벽쌓기, 사면보호시설, 하천보호시설, 세굴방지공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산악지역이 많은 우리나라는 산을 깎고 도로를 내는 경우가 많음에 따라 산사태와 도로 유실의 위험이 높다. 또한 하천이나 해안에서도 토압이나 수압에 의한 붕괴가 빈번히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비온이 주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개비온이 시공이 간편하고 투수성이 좋으며 굴요성을 갖는 환경 친화적인 구조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개비온의 구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는데 그 중 본 고안과 관련된 사례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6327호 “전면부가 보강된 상자형 돌망태”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236327호 “전면부가 보강된 상자형 돌망태”는 시공 설치 후 전면부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강한 압력에 견딜 수 있게 전면부를 보강하여 안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 전면부가 보강된 상자형 돌망태에 관한 것으로 테두리부와 전면부에 모재선보다 굵은 철선으로 보강한 것이 특징이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만으로는 돌망태(개비온)의 이동 및 설치에 불편함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비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 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비온에 견인고리를 설치하여 이동 및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ㄱ자앵글, 보강편 등의 보강구조로 설계되어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 개비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비온의 저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도를 보강하고, 바닥면을 평탄하게 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시공시 안정감을 더할 수 있는 개비온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비온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시 상기 연결공에 H형상의 연결구를 끼워 개비온의 상, 하, 좌, 우를 연결하여 폭우나 기타 자연재해 발생시에도 단단히 고정되어 연결이 풀리지 않는 개비온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은 진동베이스를 갖춘 진동발생수단에 의해 상기 개비온 제조시 개비온 내부의 공극을 줄이고 개비온 내부로 투입된 돌 사이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개비온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상기 개비온의 제조를 규격화 및 자동화하여 공장에서 제조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또한 크레인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개비온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옹벽 쌓기, 사면보호 시설, 하천보호 시설 등에 사용되는 개비온과 개비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중 개비온은, 상기 개비온의 외측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부에는 열십자(+) 형태의 보강편을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 내부의 개비온 저면부 중앙에는 견인부재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견인부재의 상부에는 꼭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견인부재의 꼭지부는 I볼트 형상의 견인고리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내부의 개비온 저면부 코너부에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견인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부 코너에는 보강편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비온의 저면부 메쉬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통상의 철망으로 형성된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에는 내부 크기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개비온 내부 프레임의 저면부에는 열십자(+) 형태의 보강편을 설치하고, 상기 보강편의 중심부에는 견인부재가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견인부재의 상부에는 꼭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재의 꼭지부는 I볼트 형상의 견인고리와 결합된 것을 특징 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비온 내부의 프레임 저면부 코너부에는 보강편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편 위에 피라미드 형상으로 견인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ㄱ자앵글을 이용한 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비온의 저면부 메쉬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콘크리트의 두께는 8~12c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 우측 프레임의 상, 하부에 개비온 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비온 연결공에 끼워지는 H형의 개비온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개비온 연결공은 전, 후 프레임의 저면부 중앙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개비온 연결공에 끼워지는
Figure 112005058133380-utm00001
형의 개비온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 제조장치는 돌을 개비온의 입구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돌을 개비온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하여 투입되는 돌을 수용하는 개비온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개비온 형틀몰드와;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개비온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전면부(30)와 후면부(35), 측면부(20), 저면부(40) 및 덮개부(10)의 육면체 철망상자 형태로 구성되고, 테두리선의 선재 굵기가 모재선보다 굵으며, 전면용접철망의 인장강도 및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세로철선의 선재 굵기보다 굵은 선의 전면보강철선(32)을 용착시킨 개비온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100)의 구조는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통상의 개비온(100)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100)의 외부에는 구조적 강도를 높여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개비온(100) 외부 크기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50)이 개비온의 외측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50)은 개비온(100)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ㄱ자 앵글로 제작되는데 상기 ㄱ자 앵글은 평철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50)의 저면부(40)에는 중앙에서 교차하도록 열십자(+) 형태의 보강편(44)을 설치하여 개비온(100)을 설치하였을때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종압력을 보다 잘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프레임(50)의 저면부(40) 코너 바깥쪽에는 상기 개비온(100)의 형태를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판으로 보강편(4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개비온(100)의 저면부(40) 중앙에는 수직으로 수직견인부재가 설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저면부(40)에 형성된 열십자 형태의 보강편(42)의 중앙에 상기 수직견인부재(55)를 고정결합할 수도 있도록, 끼움관(51)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수직견인부재(55)를 끼우고 볼트(53)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거나 용접등의 방 법에 의해 고정한다. 이렇게 보강편(42)의 중앙에 고정된 상기 수직견인부재(55)의 상부에는 꼭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비온(100)의 덮개부(10)와 일치하는 높이를 유지하는 지점에 고정 지지되도록 견인고리 고정대(61)가 형성되어 후술할 견인고리(60)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에는 상기 개비온(100)의 저면부(40) 각 모서리부에 대각견인부재(57)가 피라미드 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직견인부재(55)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개비온(100)을 나타낸 것으로 개비온(100)의 저면부(40)의 각모서리부 내측에서 대각견인부재(57)의 일측을 고정결합하고, 타측은 견인고리 고정대(61)에 고정결합하여 개비온(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견인부재(55)와 대각견인부재(57)가 각각 상기 개비온(100)의 저면부(40) 중앙과,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끼움관(5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꼭지부는 견인고리 고정대(61)에 연결되며, 상기 견인고리 고정대(61)의 상부에는 상기 개비온(100)을 크레인 차량(18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현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크레인 차량(180)을 이용하여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견인고리(60)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견인부재(55)와 대각견인부재(57)는 상기 개비온(100)안에 돌(120)을 채워넣었을 때 변형으로 인해 그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개비온(100)의 덮개부(10) 높이보다 더 높게 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견인고리(60)는 상기 크레인 차량(180)을 이용하여 이동 및 설치할 때, 크레인(190)으로 개비온(100)을 용이 취 급하고,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I볼트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50)을 상기 개비온(100)의 내부 크기에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개비온(100)의 내측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50)은 개비온(100)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ㄱ자 앵글로 제작되는데 상기 ㄱ자 앵글은 평철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열십자(+) 형태의 보강편(44)이 상기 개비온(100)의 내부에 설치된 프레임(50)의 저면부(40)에 설치되고, 수직견인부재(55)와 대각견인부재(57)는 상기 열십자 형태의 보강편(44)의 중심부와 상기 개비온(100) 내부의 프레임(50) 저면부(40) 코너에 각각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에 나타난 바와 동일하다. 또한 견인부재의 꼭지부, 견인고리 고정대(61), 견인고리(60), 상기 프레임(50)의 저면부(40) 코너에 부가된 보강편(42) 등의 구성 역시, 상기한 도 2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도 6에 나타난 구성은 프레임(50)을 개비온(100)의 내부에 설치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효과적인 측면에서는 상기한 프레임(50)을 개비온(100)의 외부에 설치한 구성과 거의 동일하지만,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는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 구조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또 다른 실시예와 그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개비온(100)의 저면부(40) 메쉬망(46)에는, 상기 메쉬망(46)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8 ~ 12cm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비온(100)의 하부에 콘크리트부재(70)를 형성함으로써 강도를 보강하여 개비온(100)을 시공하면, 개비온(100)의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종압력에 보다 잘 견딜 수 있고, 개비온(100)이 적층되는 바닥면을 고르게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 안정감을 더할 수 있고, 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70)의 두께를 8 ~ 12 cm로 한정한 이유는 만약 콘크리트(70)의 두께가 8cm보다 얇다면 원하는 강도를 얻기 힘들어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종압력에 견딜 수 있는 효과가 감소하게 되며, 콘크리트(70)의 두께가 12cm보다 두꺼워지면 무게가 너무 많이 나가게 되어 콘크리트(70) 자체의 하중만으로도 변형이 일어날 수도 있고, 제조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저하되게 되어 콘크리트부재(70)의 두께는 8 ~ 12 cm로 한정하는 것이 본 고안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100)을 시공할 때 상기 개비온(100)을 연결시키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프레임(50)의 좌, 우측 프레임(50a, 50b)의 상, 하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4개씩 개비온 연결공(63)을 뚫고, 상기 개비온 연결공(63) 안에 H형상의 개비온 연결구(65)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상, 하, 좌, 우 개비온(100)을 연결하여 폭우나 기타 자연재해 발생시에도 상, 하, 좌, 우 개비온(100)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연결이 풀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비온 연결공(63)의 수나 개비온 연결구(65)의 모양은 상기와 같이 한정된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를 타설한 개비온(100)에는 좌, 우 개비온(100)만 연결할 수 있는 개비온 연결구(65) 가 쓰일 수도 있고, 좌, 우, 전, 후 4개의 개비온(100)을 연결할 수 있는 개비온 연결구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도 10 및 도 11에는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100)을 지그재그로 쌓은 형태와 그 연결상태가 나타나 있는데, 상기 개비온(100)들을 지그재그로 쌓을 때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위쪽에 놓여지는 개비온(100)의 전,후 프레임(50c, 50d)의 저면부 중앙에는 개비온 연결공(64)을 더 형성하고, 상기 개비온 연결공(64) 에
Figure 112005058133380-utm00002
형의 개비온 연결구(66)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비온 연결공(64)에 상기 개비온 연결구(66)를 끼우려면 상부에 놓여지는 개비온(100)이 하부에 받쳐지는 개비온(100)의 안쪽으로 약간 들어가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 하부 개비온(100)을 전면부(30)가 평행하도록 시공할 경우에도 상기
Figure 112005058133380-utm00003
형의 개비온 연결구(66)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에 받쳐지는 개비온(100)에 형성된 개비온 연결공(63)의 앞쪽에 개비온(100)의 전면부(30)가 일치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개비온 연결공(63a)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4는 개비온 제조장치 및 개비온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개비온(100) 구조에 돌(120)을 채워넣어 완성시키고 완성된 개비온(100)을 현장으로 이동하고 설치하는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개비온(100) 제조장치는 적당한 크기의 돌(120)을 개비온(100) 내부에 채워넣기 위해 돌(120)을 개비온(100) 상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10)와, 상기 컨베이어(110)를 통해 이송된 돌(120)을 개비온(100)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한 호퍼(130)와, 상기 호퍼(130)를 통하여 투입되는 돌을 수용하는 개비온(100)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개비온 형틀 몰드(140)와,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14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14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베이스(150)와, 상기 개비온(100)에 돌(120)이 다 채워지면 개비온(100)을 이동배출시키는 배출 컨베이어(1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3을 보면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140)와 진동베이스(150)가 보다 자세히 나타나 있는데, 우선 개비온 형틀 몰드(140)는 개비온(100) 상부로부터 돌(120)이 투입될 때, 개비온(100)이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개비온(100)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개비온(100)의 크기에 맞게 펼칠 수 있는 사각통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개비온(100)의 덮개부(10)가 자유로이 개폐될 수 있고, 상기 개비온(100)과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상면과 하면은 뚫려 있으며, 일모서리에는 형틀몰드(140)의 사가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42)이 그리고 나머지 모서리에는 절첩수단(1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베이스(150)는 상기 호퍼(130)로부터 공급되는 돌(120)이 상기 개비온(100) 내부로 투입될 때,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140)를 진동시켜 상기 개비온(100) 내부의 공극을 최소로 하고 돌(120) 사이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진동판(152)과 가진장치(154)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참고적으로 본 고안에 따르는 개비온(100)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이루어진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개비온(100)을 설치시공하기 위해서는 개비온(100)에 투입하기 용이하도록 적절한 크기의 규격 돌(120)을 컨베이어(110)를 통해 개비온 입구로 이송시키는 돌이송단계와;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140)에 개비온(100) 구조를 설치하고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140)의 고정수단(142)을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컨베이어(110)를 통해 이송된 돌(120)을 호퍼(130)를 통하여 상기 개비온(100) 구조의 내부로 투입시키면서 상기 진동베이스(150)를 작동시켜 상기 개비온(100)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돌이 채워진 개비온(100)을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14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돌이 채워진 개비온을 배출컨베이어(160)를 통해 이송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배출컨베이어(160)를 통해 이송된 개비온(100)은 크레인 차량(180)의 크레인(190)으로 개비온(100)에 설치되어 있는 견인고리(60)를 이용하여 크레인 차량(180)에 싣고, 현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개비온(100)을 설치시공하기 위해 현장으로 이송된 개비온(100)은 별도의 번거로운 하역작업없이 바로 크레인 차량(180)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바로 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는 개비온(100)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에 따르면 대부분의 작업이 자동화 및 규격화되어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높고, 제조에서부터 시공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이 상당히 단축될 수 있으며 필요한 인력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의 구조에 따르면, 기존의 개비온 구조를 이용하여 프레임, 보강편, 십자보각 등의 보강구조를 더 설치하여 구조물의 강도를 높이고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 내구성이 뛰어난 개비온을 얻을 수 있고, 상기 개비온의 저면부로부터 견인부재 및 견인고리를 설치하여 개비온의 이동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저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했을때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종압력을 잘 견딜수 있도록 하고 바닥면을 고르게 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시 안정감을 더해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에 의하면 시공시 개비온 연결공에 H형상이나 기타 시공방법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연결구를 끼워 개비온의 상, 하, 좌, 우를 연결하여 폭우나 기타 자연재해 발생시에도 단단히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개비온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에 의하면 개비온 구조로의 돌 투입시 진동베이스에 의해 개비온 형틀 몰드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개비온 내부의 공극을 줄이고, 돌 사이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개비온을 규격화 및 자동화하여 공장에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재고 확보가 가능하며, 크레인 차량을 이용한 이동 및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방법을 간소화하고, 시공 시간을 줄임으로써, 불필요한 인력과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협소공간에서의 시공과 긴급복구공사가 가능하다는 등의 매우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8)

  1. 통상의 철망으로 형성된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의 외측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부에는 열십자(+) 형태의 보강편을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 내부의 개비온 저면부 중앙에는 견인부재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견인부재의 상부에는 꼭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의 꼭지부는 I볼트 형상의 견인고리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의 개비온 저면부 코너부에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견인부재 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저면부 코너에는 보강편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7. 통상의 철망으로 형성된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의 내측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부에는 열십자(+) 형태의 보강편을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 내부의 개비온 저면부 중앙에는 견인부재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견인부재의 상부에는 꼭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의 꼭지부는 I볼트 형상의 견인고리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 내부의 프레임 저면부 코너부에는 보강편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편 위에 피라미드 형상으로 견인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ㄱ자앵글을 이용한 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의 저면부 메쉬망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의 두께는 8~12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4.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 우측 프레임의 상, 하부에 개비온 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 연결공에 끼워지는 H형의 개비온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 연결공은, 전, 후 프레임의 저면부 중앙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 연결공에 끼워지는
    Figure 112005058133380-utm00004
    형의 개비온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8. 제 1항 또는 제 7항의 개비온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돌을 개비온의 입구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돌을 개비온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하여 투입되는 돌을 수용하는 개비온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개비온 형틀몰드와;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개비온 형틀 몰드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제조장치.
KR2020050029306U 2005-10-14 2005-10-14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KR200410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06U KR200410540Y1 (ko) 2005-10-14 2005-10-14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06U KR200410540Y1 (ko) 2005-10-14 2005-10-14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362A Division KR100720746B1 (ko) 2005-10-13 2005-10-13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540Y1 true KR200410540Y1 (ko) 2006-03-14

Family

ID=4176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306U KR200410540Y1 (ko) 2005-10-14 2005-10-14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5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5757B2 (en) 2007-08-21 2013-07-16 Futoshi Nomoto Shape-retention-type hoisti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g
KR101433000B1 (ko) 2013-03-26 2014-08-27 김태희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KR101884115B1 (ko) * 2017-03-02 2018-07-31 홍완표 돌망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5757B2 (en) 2007-08-21 2013-07-16 Futoshi Nomoto Shape-retention-type hoisti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g
KR101311946B1 (ko) * 2007-08-21 2013-09-26 마츠오카 하지메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KR101433000B1 (ko) 2013-03-26 2014-08-27 김태희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KR101884115B1 (ko) * 2017-03-02 2018-07-31 홍완표 돌망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746B1 (ko)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KR101842474B1 (ko) 현장 타설 팽이말뚝용 보강재, 이를 이용한 일체형 팽이말뚝 기초 및 일체형 팽이말뚝 기초의 시공방법
CN103883034A (zh) 一种带边缘约束构件的装配式剪力墙及墙-梁连接结构
JP2006283292A (ja) 擁壁構造及び擁壁構築工法
KR200410540Y1 (ko)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CN110984692B (zh) 一种利于施工的围墙立柱
JP4347846B2 (ja) 橋脚補強方法
CN110984691B (zh) 一种围墙立柱施工方法
JP7101407B2 (ja) 現場打設補強コマ型杭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31238B1 (ko) 부벽이 구비된 구조물 시공방법
CN211598036U (zh) 拼接浇筑式围墙立柱
CN110984693B (zh) 一种在浇筑时保持围墙立柱面板对齐的方法
KR101226223B1 (ko)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71290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CN109208786A (zh) 一种便于安装的环筋扣合剪力墙结构及其安装方法
CN205502058U (zh) 拼装式塔式起重机基础
CN211473674U (zh) 围墙立柱柱体内部结构
KR20060091631A (ko)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을 이용한 수중 기초구조물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CN211549129U (zh) 一种立柱面板及立柱节段结构
KR100885909B1 (ko) 토목 섬유망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옹벽 및 이 시공 방법
KR102482691B1 (ko) 스트럿 타이 보강재를 이용한 하부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1549060U (zh) 连接耳板及面板连接结构
JP3120941U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