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000B1 -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 Google Patents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000B1
KR101433000B1 KR1020130031989A KR20130031989A KR101433000B1 KR 101433000 B1 KR101433000 B1 KR 101433000B1 KR 1020130031989 A KR1020130031989 A KR 1020130031989A KR 20130031989 A KR20130031989 A KR 20130031989A KR 101433000 B1 KR101433000 B1 KR 101433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eel pipe
pipe
coupl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희 filed Critical 김태희
Priority to KR102013003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8Baskets or like containers of skeleton or apertured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망으로 된 하우징 내부에 석재를 채워 넣은 다음, 이를 상하 또는 좌우로 다수 개 배치하여 하천호안용, 독립벽체용, 건축벽체부착용, 식생블록매트용 등으로 이용하는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비온은 망체를 절곡하여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벽체와 망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 하부에 결합되는 밑판과 망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 상부에 결합되는 위판으로 구성되는 단위개비온; 및 상기 단위개비온 내부에 채워지는 석재; 로 구성되는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각 모서리 내면에는 강관파이프; 가 결합되어 뼈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개비온 조립체는 망체를 절곡하여 다면으로 형성되는 벽체와 망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 하부에 결합되는 밑판과 망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 상부에 결합되는 위판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개비온과, 상기 벽체의 내면에 결합되는 강관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개비온 및 상기 복수의 개비온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양측에 상기 개비온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결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수납되는 석재나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개비온을 상하로 적층하여 수직부재를 형성하는 경우 상하 개비온을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으며, 외부 하중에 의하여 각 개비온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개비온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Steel pipe contains gabion and gabion assembly}
본 발명은 철망으로 된 하우징 내부에 석재를 채워 넣은 다음, 이를 상하 또는 좌우로 다수 개 배치하여 하천호안용, 독립벽체용, 건축벽체부착용, 조경용 등으로 이용하는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개비온은 철망으로 된 하우징 내부에 석재를 채워 넣는 돌망태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하천제방, 절개지, 옹벽 등 각종 공사에서 도로법면이나 산사태가 우려되는 사면에 적당한 크기로 적재하여 사면의 활동파괴를 방지하여 사면의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담장, 벤치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개비온은 철근콘크리트에 비하여 배면에 작용하는 수압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철망이 인장 및 압축 특성에 유리하며, 소요비용이 저렴하고, 친환경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토목공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변형이 자유로운 장점을 이용하여 건축 및 조경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개비온과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11-0000311(개비온 블록의 단위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개비온 블록 및 매트리스 개비온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0475521호(보강부재를 구비한 개비온과 그 보강방법) 등 다양한 기술들이 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 개비온은 철망과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재인 석재로 구성되는 특성상, 그 운반 과정 또는 시공 과정에서 형태가 온전하게 유지되기 어려웠다. 또한, 철망 내부에 수납되는 채움재로 인하여 철망 벽면에 배부름 현상이 일어날 수 있어, 다수의 개비온을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하는 경우, 인접하는 개비온 사이에 결손되는 공간이 수반되기 마련이었다.
또한, 단위 개비온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통상적인 블록쌓기에 비하여 규준선에 따라 상하 적층시 정확한 위치에 시공하기 어려웠으며, 개비온의 시공을 완료한다고 하더라도 배면에서 작용하는 수압이나 토압 등의 하중에 의하여 개비온의 형상 또는 위치가 변형될 우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되는 석재나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개비온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수의 개비온을 상하로 적층하여 수직부재를 형성하는 경우 상하 개비온을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으며, 외부 하중에 의하여 각 개비온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개비온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장방형 망체(10)와 원형 또는 다각형 망체(20,30)를 조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망체(10)를 구부려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을 이루는 벽체(110)와, 원형 또는 다각형 망체(2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하부에 결합되는 밑판(120)과, 원형 또는 다각형망체(3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상부에 결합되는 위판(130)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석재(200)가 채워지는 단위개비온(100); 상기 벽체(110)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개비온(100)을 지지 고정하는 강관파이프(300); 일측은 상기 강관파이프(300)에 삽입되고 타측은 지면 또는 구조물에 삽입되는 개비온 고정구(600); 및 상기 벽체(110)에는 내면 일측과 타측 중앙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형상 유지 철선(400)이 결합되고, 상기 밑판(120)과 위판(130) 사이에는 처짐방지용 철선(41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관파이프(300)와 벽체(110) 내면의 결합은, 강관파이프(300)에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310)에 철선(320)을 삽입하여 벽체(110)의 망체(10)와 결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비온 고정구(600)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삽입되는 앵커체(610); 상기 개비온과 지면 또는 구조물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앵커체(610)의 일단에 나사결합 되고, 다수의 관통공(310)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620); 일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620)에 너트(650)로 결속되고, 상기 강관파이프(300) 내부를 관통하여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봉(630); 상기 고정봉(630)의 일단이 관통하도록 내부에 다수의 관통공(310)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640); 상기 관통공(310)을 통과하여 제2플레이트(640)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봉(630)을 결속하는 너트(6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장방형 망체(10)를 구부려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을 이루는 벽체(110)와, 원형 또는 다각형 망체(2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하부에 결합되는 밑판(120)과, 원형 또는 다각형망체(3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상부에 결합되는 위판(130)으로 구성되는 단위개비온(100)과, 상기 벽체(110)의 내면에 결합되는 강관파이프(300)와, 일측은 상기 강관파이프(300)에 삽입되고 타측은 지면 또는 구조물에 삽입되는 개비온 고정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개비온(1); 상기 복수의 개비온(1)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양측에 개비온(1)이 삽입되는 삽입부(510)가 형성되는 결합구(5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500)는 ㄷ 형강 또는 H 형강으로서, 상기 결합구(500)의 일단 플랜지부(530)에 형성된 결합공(540)에 개비온 고정구(600)의 고정봉(630)이 너트(650)로 결속되고, 상기 고정봉(630)이 개비온에 구비된 강관파이프(300)를 관통하여 결합구(500)의 타단 플랜지부(530)에 형성된 결합공(540)에 너트(650)로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개비온 벽체 면 또는 모서리에 결합되는 강관파이프를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석재나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개비온에 구비된 강관파이프와 철선으로 결속시킴으로써 개비온이 확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개비온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결합구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개비온을 상하로 적층하여 수직부재를 형성하는 경우 상하좌우로 개비온을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으며, 외부 하중에 의하여 각 개비온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비온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비온에서 강관파이프와 벽체 모서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개비온 제작 방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단위개비온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단위개비온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개비온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이용된 개비온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12 와 도 13 는 각각 구조물과 경사면에 고정된 개비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비온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개비온에서 강관파이프(300)와 벽체(110) 모서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개비온(1)은 망체(10)를 절곡하여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벽체(110)와, 망체(1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하부에 결합되는 밑판(120)과, 망체(1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상부에 결합되는 위판(130)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석재(200)가 채워지는 단위개비온(100); 및 상기 벽체(110)의 각 모서리 내면에는 강관파이프(300); 가 결합되어 개비온간의 고정이나 개비온과 결합구의 고정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개비온(100)은 벽체(110), 밑판(120), 위판(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벽체(110), 밑판(120), 위판(130)을 구성하는 망체(10)는 아연도금 철선 또는 철선에 PVC 코팅을 한 철선을 절곡하거나 꼬아서 그물구조를 이루도록 만든 면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벽체(110)는 망체(10)를 절곡하여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철근벤딩기 등의 절곡기를 이용하여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고 또한, 원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도 1에는 사각형의 장방형 벽체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다각형 벽체(110)의 면 또는 모서리 부분은 모서리 내부에 위치되는 강관파이프(300)의 반경과 같은 곡률을 갖도록 곡선 형상으로 절곡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밑판(120)과 위판(130)은 각각 벽체(110)의 하부와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벽체(110)와 같이 망체(10)로 구성된다. 상기 밑판(120)과 위판(130)은 각각 벽체(110) 부분과 용접하거나, 벽체(110)를 구성하는 망체(10)의 철선을 밑판(120) 또는 위판(130) 측으로 연장하여 밑판(120) 또는 위판(130)을 구성하는 망체(10)의 철선과 꼬아서 고정한다.
상기 석재(200)는 단위개비온(100)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재로, 강자갈이나 깬 잡석, 슬래그, 폐콘크리트 등을 이용한다.
상기 강관파이프(300)는 단위개비온(100)의 벽체(110) 각 모서리 내면에 위치되어, 외력에 의한 단위개비온(100)의 변형 또는 채움재로 인한 단위개비온(100)의 배부름을 방지하고, 벽체(110)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고, 인접하는 다수개의 개비온 모서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후술되는 결합구(500)의 플랜지부(530)에 형성된 결합공(540)에 고정구(600)의 고정봉(630)과 너트(650)를 이용하여 강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강관파이프(300)와 벽체(110) 모서리의 결합은 벽체(110)를 구성하는 망체(10)의 철선과 일체를 이루도록 강관파이프(300)의 외주면에서 철선을 감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파이프(300)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310)에 철선(320)을 삽입하여 벽체(110)의 망체(10)와 결속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상기 관통공(310)은 벽체(110)를 구성하는 망체(10)의 철선 상하에 천공되었으며, 일측 관통공(310)을 통하여 강관파이프(300) 내측으로 들어간 철선(320)은 타측 관통공(310)을 통하여 강관파이프(300) 외측으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벽체(110)를 구성하는 망체(10)의 철선 상하를 지나도록 강관파이프(300)에 삽입되는 철선(320)은 X자 형상으로 결속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개비온(1)에서 상기 단위개비온(100)의 벽체(110)에는 인접하는 각 벽체(110) 면의 중앙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형상 유지 철선(400)이 결합되고, 상기 밑판(120)과 위판(130) 사이에는 처짐방지용 철선(41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구성에 관해서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형상 유지 철선(400)은 단위개비온(100) 내부에 석재(200)를 삽입하더라도, 단위개비온(100)의 벽체(110)가 배부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에서 상기 형상 유지 철선(400)은 1층으로 배열되었으나, 상하 여러 층으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처짐방지용 철선(410)은 양단이 단위개비온(100)의 밑판(120)과 위판(130)에 고정되는 것으로, 단위개비온(100) 내부에 석재(200)를 삽입하더라도 단위개비온(100)의 밑판(120)과 위판(130)이 배부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개비온 제작 방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개비온 제작 방법은 (a) 장방형의 망체(10)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망체(10)를 절곡하여 다각형의 벽체(110)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벽체(110)의 모서리 내면에 강관파이프(300)를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벽체(110) 하부에 망체(10)로 형성되는 밑판(120)을 고정하는 단계; (e) 인접하는 상기 벽체(110)의 중앙부를 형상 유지 철선(400)으로 상호 연결하는 한편, 밑판(120)에 처짐방지용 철선(410)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단계; (f) 상기 벽체(110)와 밑판(120)으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에 석재(200)를 투입하는 단계; 및 (g) 상기 벽체(110) 상부에 망체(10)로 형성되는 위판(130)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비온 제작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장방형의 망체(10)를 제작하는 단계로 시작되며, 이후, (b) 상기 망체(10)를 절곡하여 다각형의 벽체(110)를 구성하고, (c) 상기 벽체(110)의 모서리 내면에 강관파이프(300)를 고정한다.
도 3에서 상기 벽체(110)는 사각형으로 구성하였으나, 사각형 이외에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벽체(110)의 모서리 내면에 강관파이프(300)를 고정하는 방법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d) 상기 벽체(110) 하부에 망체(10)로 형성되는 밑판(120)을 고정하고, (e) 인접하는 상기 벽체(110)의 중앙부를 형상 유지 철선(400)으로 상호 연결하는 한편, 밑판(120)에 처짐방지용 철선(410)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한다.
상기 벽체(110)에 밑판(120)을 고정하는 방법은 이들을 상호 용접하거나, 벽체(110)를 구성하는 망체(10)의 철선을 밑판(120) 측으로 연장하여 밑판(120)을 구성하는 망체(10)의 철선과 꼬아서 고정한다. 상기 형상 유지 철선(400)과 처짐방지용 철선(410)은 단위개비온(100) 내부에 석재(200)를 수납하더라도 벽체(110)와 밑판(120) 및 위판(130)이 외측으로 불룩하게 배가 부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f) 상기 벽체(110)와 밑판(120)으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에 석재(200)를 투입하고, 도 6에서와 같이, (g) 상기 벽체(110) 상부에 망체(10)로 형성되는 위판(130)을 고정하여 개비온의 제작을 마무리한다.
이렇게 제작된 개비온을 양중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함으로써, 하천호안용, 건축벽체부착용, 독립벽체용, 조경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개비온(1)을 하천호안용 또는 건축벽체부착용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면 또는 수직면에 시공되는 인접 개비온을 고정하는 개비온 고정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개비온(1)을 식생블록용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위개비온(100) 내부에 식생보강매트, 씨앗, 토사, 토사유출방지용 토목섬유 등을 함께 수납하여 식생블록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 은 상기 단위개비온(100)을 조립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 은 단위개비온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개비온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은 상기 개비온(1)을 상하로 적층하여 담장 등의 독립벽체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등과 관련된다.
도 9 및 도 10 의 개비온 조립체는 망체(10)를 절곡하여 다면으로 형성되는 벽체(110)와, 망체(1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하부에 결합되는 밑판(120)과, 망체(1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상부에 결합되는 위판(130)으로 구성되는 단위개비온(100)과, 상기 벽체(110)의 각 모서리 내면에 결합되는 강관파이프(300)로 구성되는 복수의 개비온(1) 및 상기 복수의 개비온(1)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양측에 상기 개비온(1)이 삽입되는 삽입부(510)가 형성되는 결합구(5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단위개비온(100) 내부에는 석재(200)가 수납되고, 상기 벽체(110)에는 인접하는 각 벽체(110) 면의 중앙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형상 유지 철선(400)이 결합되고, 상기 밑판(120)과 위판(130) 사이에는 처짐방지용 철선(41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개비온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개비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구(500)는 복수의 개비온(1)을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초 부분을 형성하는 저면의 베이스부(520)와 상기 베이스부(520) 상부의 삽입부(510), 그리고 삽입부(510) 양측 단면에 형성된 플랜지부(530), 플랜지부(530)에 형성된 결합공(5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510)는 평면에서 보아 단면이 ㄷ 또는 H인 ㄷ 형강 또는 H 형강을 이용할 수 있다.
담장 등 독립벽체의 단부에는 일측에만 개비온(1)이 위치되므로 ㄷ 형강이 삽입부(510)인 결합구(500)를 이용하며, 독립벽체의 중앙부에는 양측에 개비온(1)이 위치되므로 H 형강이 삽입부(510)인 결합구(500)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ㄷ 형강 또는 H 형강의 상하 플랜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개비온(1)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수직 규준선이 필요 없이 개비온(1)을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에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삽입부(510)의 상하플랜지에 의하여 개비온(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500)의 일단 플랜지부(530)에 형성된 결합공(540)에 개비온 고정구(600)의 고정봉(630)이 너트(650)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봉(630)이 단위개비온(100)에 구비된 강관파이프(300)를 관통하여 결합구(500)의 타단 플랜지부(530)에 형성된 결합공(540)에 너트(650)로 결속됨으로써 한층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한편, 도 11 은 본 발명에 이용된 개비온 고정구(6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개비온 고정구(600)는 상기 개비온(1)을 지면 또는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 또는 구조물에 삽입되는 앵커체(610); 상기 개비온(1)과 지면 또는 구조물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앵커체(610)의 일단에 나사결합 되는 제1플레이트(620); 일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620) 외부로 노출되는 너트로 결합되고, 상기 강관파이프(300) 내부를 관통하여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봉(630); 상기 고정봉(630)의 일단이 관통하도록 내부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640);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2플레이트(640)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봉(630)을 결속하는 너트(6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체(610)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삽입되어 개비온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통상의 다양한 앵커를 이용하되 제1플레이트와 나사 결합되어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620)와 제2플레이트(640)는 상기 개비온의 대면하는 양면 외측에 위치되며, 강관파이프(300)를 관통하는 고정봉(630)의 양단 부분과 결합한다.
상기 고정봉(630)의 단부는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4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너트(650)가 외부로 노출된 고정봉(630)의 단부에 체결되어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40)를 가압함으로써, 개비온을 지면 또는 구조물에 고정한다.
도 11 에 의하면, 상기 하나의 개비온 고정구(600)에는 4개의 고정봉(630)을 배치하고, 상기 각 고정봉(630)에 대응되도록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40)의 관통공을 4개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개비온 고정구(600)를 이용하여 최대 인접하는 4개의 개비온의 모서리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봉(630)의 개수나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40)에 형성된 관통공의 개수를 제한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2와 도 13은 각각 구조물과 경사면에 고정된 개비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비온(1)을 건축벽체부착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도 11에서와 같이, 개비온 고정구(600)를 이용하여 건축구조물 등 각 구조물의 사면 또는 수직면에 개비온(1)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비온(1)을 하천호안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도 12에서와 같이, 개비온 고정구(600)를 이용하여 하천호안의 지면에 개비온(1)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은 다음과 같이 시공될 수 있다.
우선, 장방형의 망체(10)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망체(10)를 절곡하여 다각형의 벽체(110)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벽체(110)의 모서리 내면에 강관파이프(30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벽체(110) 하부에 망체(10)로 형성되는 밑판(120)을 고정하는 단계; 인접하는 상기 벽체(110)의 중앙부를 형상 유지 철선(400)으로 상호 연결하는 한편, 밑판(120)에 처짐방지용 철선(410)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벽체(110)와 밑판(120)으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에 석재(200)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벽체(110) 상부에 망체(10)로 형성되는 위판(130)을 고정하여 단위개비온(100)이 완성되는 단계; 상기 완성된 단위개비온(100)의 상부에 형성된 강관파이프(300)에 철근을 끼워 기중기의 고리를 연결한 후 시공구역에 적층하면서 개비온 고정구(600)로 상호간의 단위개비온(100)을 결속시키는 단계;를 거쳐서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이 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벽체(110) 하부에 망체(10)로 형성되는 밑판(120)을 고정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밑판(120)과 벽체(110) 내면에 부직포를 설치하고, 상기 벽체(110)와 밑판(120)으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에 석재(200)를 투입하는 단계;는 거름, 비료, 석재 또는 슬래그, 폐콘크리트를 채우고 씨앗을 뿌리는 단계;로 대신하여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이 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시공방법으로는, 장방형의 망체(10)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망체(10)를 절곡하여 다각형의 벽체(110)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벽체(110)의 모서리 내면에 강관파이프(30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벽체(110) 하부에 망체(10)로 형성되는 밑판(120)을 고정하는 단계; 인접하는 상기 벽체(110)의 중앙부를 형상 유지 철선(400)으로 상호 연결하는 한편, 밑판(120)에 처짐방지용 철선(410)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벽체(110)와 밑판(120)으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에 석재(200)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벽체(110) 상부에 망체(10)로 형성되는 위판(130)을 고정하여 단위개비온(100)을 완성되는 단계; 시공현장의 양단부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플랜지부(530)에 결합공이 형성된 ㄷ형강의 결합구(500)를 입식시키고 중간부분에는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플랜지부(530)에 결합공이 형성된 H형강의 결합구(500)를 입식시키는 단계; 상기 완성된 단위개비온(100)의 강관파이프(300)에 기중기의 고리를 연결하여 시공구역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개비온 고정구(600)의 고정봉(630)과 너트(650)만으로 상기 결합구(500)와 대면하는 단위개비온(100)를 결속시키는 단계; 적층된 단위개비온(100)들 상호간을 개비온 고정구(600)로 결속시키는 단계;를 거쳐서 강관파이프(300)가 구비된 개비온이 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벽체(110) 하부에 망체(10)로 형성되는 밑판(120)을 고정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밑판(120)과 벽체(110) 내면에 부직포를 설치하고, 상기 벽체(110)와 밑판(120)으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에 석재(200)를 투입하는 단계;는 거름, 비료, 석재 또는 슬래그, 폐콘크리트를 채우고 씨앗을 뿌리는 단계;로 대신하여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이 시공될 수도 있다.
1: 개비온
10: 망체 100: 단위개비온
110: 벽체 120: 밑판
130: 위판 200: 석재
300: 강관파이프 310: 관통공
320: 철선 400: 형상 유지 철선
410: 처짐방지용 철선 500: 결합구
510: 삽입부 520: 베이스부
530: 플랜지부 540: 결합공
600: 개비온 고정구 610: 앵커체
620: 제1플레이트 630: 고정봉
640: 제2플레이트 650: 너트

Claims (5)

  1. 장방형 망체(10)와 원형 또는 다각형 망체(20,30)를 조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망체(10)를 구부려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을 이루는 벽체(110)와, 원형 또는 다각형 망체(2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하부에 결합되는 밑판(120)과, 원형 또는 다각형망체(3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상부에 결합되는 위판(130)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석재(200)가 채워지는 단위개비온(100);
    상기 벽체(110)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개비온(100)을 지지 고정하는 강관파이프(300);
    일측은 상기 강관파이프(300)에 삽입되고 타측은 지면 또는 구조물에 삽입되는 개비온 고정구(600); 및
    상기 벽체(110)에는 내면 일측과 타측 중앙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형상 유지 철선(400)이 결합되고, 상기 밑판(120)과 위판(130) 사이에는 처짐방지용 철선(41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이프(300)와 벽체(110) 내면의 결합은
    강관파이프(300)에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310)에 철선(320)을 삽입하여 벽체(110)의 망체(10)와 결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있어서,
    상기 개비온 고정구(600)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삽입되는 앵커체(610);
    상기 개비온과 지면 또는 구조물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앵커체(610)의 일단에 나사결합 되고, 다수의 관통공(310)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620);
    일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620)에 너트(650)로 결속되고, 상기 강관파이프(300) 내부를 관통하여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봉(630);
    상기 고정봉(630)의 일단이 관통하도록 내부에 다수의 관통공(310)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640);
    상기 관통공(310)을 통과하여 제2플레이트(640)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봉(630)을 결속하는 너트(6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4. 장방형 망체(10)를 구부려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을 이루는 벽체(110)와, 원형 또는 다각형 망체(2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하부에 결합되는 밑판(120)과, 원형 또는 다각형망체(3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110) 상부에 결합되는 위판(130)으로 구성되는 단위개비온(100)과, 상기 벽체(110)의 내면에 결합되는 강관파이프(300)와, 일측은 상기 강관파이프(300)에 삽입되고 타측은 지면 또는 구조물에 삽입되는 개비온 고정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개비온(1);
    상기 복수의 개비온(1)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양측에 개비온(1)이 삽입되는 삽입부(510)가 형성되는 결합구(5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500)는 ㄷ 형강 또는 H 형강으로서, 상기 결합구(500)의 일단 플랜지부(530)에 형성된 결합공(540)에 개비온 고정구(600)의 고정봉(630)이 너트(650)로 결속되고, 상기 고정봉(630)이 개비온에 구비된 강관파이프(300)를 관통하여 결합구(500)의 타단 플랜지부(530)에 형성된 결합공(540)에 너트(650)로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조립체.


KR1020130031989A 2013-03-26 2013-03-26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KR101433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989A KR101433000B1 (ko) 2013-03-26 2013-03-26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989A KR101433000B1 (ko) 2013-03-26 2013-03-26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000B1 true KR101433000B1 (ko) 2014-08-27

Family

ID=5175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989A KR101433000B1 (ko) 2013-03-26 2013-03-26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17B1 (ko) * 2018-12-31 2019-06-12 게비온블럭(주) 돌망태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540Y1 (ko) 2005-10-14 2006-03-14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JP2012092612A (ja) 2010-10-28 2012-05-17 Kinki Saiseki Kk 中空孔付き蛇篭及び蛇篭連結体
KR20120066298A (ko) * 2010-12-14 2012-06-22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수직 기둥구조체를 이용한 개비온 방음벽
KR20120132216A (ko) * 2011-05-27 2012-12-05 예림조경 주식회사 개비온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540Y1 (ko) 2005-10-14 2006-03-14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JP2012092612A (ja) 2010-10-28 2012-05-17 Kinki Saiseki Kk 中空孔付き蛇篭及び蛇篭連結体
KR20120066298A (ko) * 2010-12-14 2012-06-22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수직 기둥구조체를 이용한 개비온 방음벽
KR20120132216A (ko) * 2011-05-27 2012-12-05 예림조경 주식회사 개비온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17B1 (ko) * 2018-12-31 2019-06-12 게비온블럭(주) 돌망태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68417B2 (e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wall facing system and method
US7891912B2 (en) Two stage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system
JP5372289B1 (ja) 境界壁構造物
KR100998253B1 (ko)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
KR101599327B1 (ko)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1460948B1 (ko)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147459B1 (ko) 직립식 절토옹벽 시공방법
KR101433000B1 (ko) 강관파이프가 구비된 개비온 및 개비온 조립체
KR20030064063A (ko)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CA2802521C (e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wall facing system and method
JP4097212B2 (ja) 補強土擁壁の構築方法及び補強土擁壁の構造
KR20130142465A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14942B1 (ko)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방법
US8632280B2 (e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elded wire facin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JP2020026634A (ja) 免震上部基礎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フーチング構造体、並びに免震基礎の施工方法
KR20080059951A (ko)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US8579551B2 (en) MSE anchor system
KR200273547Y1 (ko) 보강토옹벽 축조구조
KR200375686Y1 (ko) 옹벽의 철판망 개비온 구조
JP3665896B2 (ja) 補強盛土堤体とその施工方法
JP2015031147A (ja) 基礎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平面状基礎構造
JPH09328761A (ja) 擁壁構造
KR20120066298A (ko) 수직 기둥구조체를 이용한 개비온 방음벽
JP7205755B2 (ja) 仕切り構造
JP2023125681A (ja) 屋根構造体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