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086B1 -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 Google Patents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086B1
KR102038086B1 KR1020180123294A KR20180123294A KR102038086B1 KR 102038086 B1 KR102038086 B1 KR 102038086B1 KR 1020180123294 A KR1020180123294 A KR 1020180123294A KR 20180123294 A KR20180123294 A KR 20180123294A KR 102038086 B1 KR102038086 B1 KR 102038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g
partition
central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영
이성혁
이창길
황순종
홍기채
박보현
김준철
배영훈
윤희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시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시지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2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43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multipl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된 이중 내부격벽에 의해 직육면체 백이 내부공간에 충전된 채움재를 완전하게 감싸서 구속함으로써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보강할 수 있고, 또한, 중앙격벽 및 주위격벽으로 이루어진 이중 내부격벽을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대면적화 면에서 유리며, 또한, 직육면체 백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철도 등의 진동하중에 유리한,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FIBER REINFORCEMENT BAG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TYPE HAVING DOUBLE INNER PARTITIONS FOR IMPROVING FILLER INTERLOCKING}
본 발명은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철도 등의 진동하중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재인 직육면체 백(Rectangular Parallelepiped Bag)에 있어서, 직육면체 백의 내부에 이중 내부격벽(Double Inner Partition)을 형성함으로써 직육면체 백의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채움재를 감싸서 구속하는,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공사나 치수공사, 태풍이나 호우에 따른 자연재해의 복구공사 등에서 모래주머니를 쌓아올리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모래주머니는, 마대나 폴리에틸렌제, 폴리프로필렌제 등의 자루형, 망형 등 내구성이 우수한 모래주머니에 흙을 채우고, 테이프 등으로 그 입구를 막은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모래주머니 형상은 통상 원주형이나 풍선을 거꾸로 한 모양이기 때문에 사이에 빈틈이 있고, 내부에 흙(채움재 또는 충진재)을 채운 상태에서 운반, 하역을 위하여 인양할 경우 내부 결속력이 떨어지고 그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적재시 빈틈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모래주머니 내부에 흙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부로 인양할 경우, 내부 결속력의 약화로 인하여 모래주머니 하부의 중앙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쉽게 터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소형의 모래주머니만 제작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0)은, 직육면체 백(11)의 바닥면(12) 안의 중심부에 리프트밴드(30)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직육면체 백(11) 안의 바닥면 4개의 꼭지점(18a~18d)의 대각선상에서 각 꼭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18a1, 18b1, 18c1, 18d1)에 제1 내지 제4 트러스밴드(21a~21d)의 각 일단을 고정시키고, 바닥면(12)의 중심부와 4개의 꼭지점(18a~18d)의 5점에서 직육면체 백(11)을 지탱하며, 이때, 트러스밴드(21a~21d)의 타단은 리프트밴드(30) 상의 고정점(30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리프트밴드(30)에 의해 직육면체 백을 인양하면, 직육면체 백(11) 내부의 흙은 압축되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굳어져 직육면체 백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된다.
따라서 복수의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1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런히 쌓을 수 있어 작업시간이 대폭 줄어든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직육면체 백(10)의 경우, 그 형상이 1m 정도까지는 사용할 수 있지만, 1m를 초과하면 그 형상이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직육면체 백을 쌓아올려 사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크레인차 등에 의해 직육면체 백을 운반하거나 쌓아올리는 작업을 할 때, 직육면체 백 내의 흙이 움직여 직육면체 백의 형상이 변형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직육면체 백의 대형화에 따라 직육면체 백의 수직방향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직육면체 백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장착된 현수 밴드가 내부 자재를 밀어 올려 대각에 장착된 트러스밴드와의 사이에서 충분한 마찰을 발생시킬 때까지의 필요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전체가 ㄱ자 모양으로 변형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즉, 직육면체 백의 가로폭이 넓어짐에 따라 적은 수의 트러스밴드만으로는 직육면체 백의 형상을 직육면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최근에는 1m를 초과하는 초대형의 직육면체 백을 구비하고, 이러한 초대형 직육면체 백에 다량의 흙을 채워 넣은 후, 내부 결속수단을 부가함으로써, 그 중량이 크더라도 하중집중 현상을 해소함과 아울러 그 형상 변형 없이 비교적 넓은 면적에 빈틈이 없이 손쉽게 쌓을 수 있는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이 개시된 바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0-58489호에는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초대형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초대형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은, 내부에 흙이 채워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육면체 백(40); 상기 직육면체 백(40)의 대각선상에 설치된 베이스밴드(70); 베이스밴드(70)가 교차되는 교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매달음부(78)에 접속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리프트밴드(74); 리프트밴드(74)의 사각 기둥 주위를 감는 복수의 고정밴드(76); 및 각 고정밴드(76)마다 사각기둥 형상의 각각의 면에서 일단이 리프트밴드(74)와 고정밴드(76) 사이에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은 리프트밴드(74)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점에서 베이스밴드(70)에 고정되는 복수의 트러스밴드(72)를 포함한다.
이러한 초대형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에 의하면, 복수의 트러스밴드(72)를 사용함으로써, 직육면체 백 내부의 트러스밴드 주위의 흙의 압축범위를 중앙부로부터 단계적으로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초대형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52는 직육면체 백의 내부공간, 도면부호 54a 및 54b는 덮개부, 도면부호 56은 벨트, 도면부호 58은 로킹부, 도면부호 60은 홈을 나타내며, 직육면체 백의 덮개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초대형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은, 트러스밴드(72)에 의한 내부결속으로 많은 양의 흙을 담을 수 있어 대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베이스밴드(70)와 이 베이스밴드(70)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리프트밴드(74) 사이에 복수의 트러스밴드(72)들을 고정 결합시켜야 함으로써,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백의 저면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베이스밴드(70)를 재봉에 의해 고정하고, 이 베이스밴드(70)의 중앙 상부 쪽으로 리프트밴드(74)를 역시 재봉에 의해 고정하며, 또한 상기 베이스밴드(70)와 리프트밴드 (74) 사이에 재봉에 의해 트러스밴드(72)를 고정해야 하는 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제작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러스밴드(72)를 리프트밴드(74)에 재봉하여 고정시킬 경우, 별도의 고정밴드(76)를 더 재봉하여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그 제작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직육면체 백의 내부공간에 흙 등의 채움재가 채워진 상태에서 베이스밴드(70)와 트러스밴드(72) 및 리프트밴드(74)에 의해 이를 인양할 경우, 그 하중이 상기 밴드들(70, 72, 74, 76)에 집중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각 밴드들(70, 72, 74, 76)의 재봉에 의한 결합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그 재봉 부위가 뜯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초대형 직육면체 백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직육면체 백에 하중 등의 외력이 가해지거나 리프트밴드를 이용하여 직육면체 백을 인양하면, 채움재 입자들이 하중, 자중 등으로 인하여 내부공간에서 채움재 입자들이 재배치되면서 직육면체 백에 장력이 작용하고, 이러한 채움재 입자들 간에 인터로킹(Interlocking) 현상으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직육면체 백의 경우, 직육면체 백의 내부공간이 단지 단일 공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직육면체 백이 대면적화 될수록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채움재 입자들 사이의 틈이 많아져서 채움재 입자들 간의 인터로킹 현상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86913호에는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80)은,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S)을 갖고,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덮개부를 갖는 직육면체 백; 상기 직육면체 백의 내부공간을 동일체적의 복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81); 상기 직육면체 백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 걸고리(83); 및 상기 직육면체 백의 각 모서리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걸고리들(82)을 포함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8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90)는, 상부 상단에 호이스트 걸고리(96)가 형성된 수직부재(91); 및 상기 수직부재(91)의 하단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고, 각 끝단 저부에 상기 직육면체 백의 각 모서리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걸고리들과 연결되는 걸쇠들(93, 94)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수평부재들(9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들(92) 상부에 복수의 연결고리(95)가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80)에 따르면, 내부공간(S)에 채워지는 흙 등의 채움재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각 구역별로 균등하게 위치됨으로써, 호이스트에 의한 승강시 채움재가 한쪽으로 몰림에 따라 직육면체 백(80)이 터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직육면체 백 승강장치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80)의 경우, 다수의 걸고리들이 형성되어 체결 및 분리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직육면체 백을 승강시키기 위해서 기존의 호이스트가 아닌 별도의 승강장치(90)를 제작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86913호(출원일: 2013년 6월 11일), 발명의 명칭: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0-58489호(공개일: 2010년 6월 3일), 발명의 명칭: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27166호(출원일: 2013년 2월 28일), 발명의 명칭: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32212호(출원일: 2012년 3월 29일), 발명의 명칭: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일본 등록특허번호 제10-3949156호(출원일: 2006년 12월 20일), 발명의 명칭: "형상지지형 리프트식 직육벽체 백"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철도 등의 진동하중을 보강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된 이중 내부격벽에 의해 직육면체 백이 내부공간에 충전된 채움재를 완전하게 감싸서 구속함으로써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보강할 수 있는,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앙격벽 및 주위격벽으로 이루어진 이중 내부격벽을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대면적화 면에서 유리한,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은, 철도 등의 진동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있어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격벽 영역 및 주위격벽 영역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에 채움재가 충전되는 직육면체 백 내부공간의 중앙격벽 영역을 구획하도록 상기 직육면체 백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사각형 중앙격벽; 상기 내부공간의 주위격벽 영역을 구획하도록 각각의 일단이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직육면체 백의 내벽에 연결되는 주위격벽; 상기 중앙격벽 영역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연결재 및 상기 직육면체 백의 상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현수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현수재에 의해 상기 직육면체 백을 인양하는 리프트밴드; 및 상기 연결재에 제1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을 통과하여 상기 주위격벽 영역의 바닥면에서 상기 중앙격벽 영역의 주위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2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트러스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 및 주위격벽은 이중 내부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직육면체 백에 충진되는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의 하단에는 상기 트러스밴드 각각이 통과하는 관통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밴드의 현수재를 이용하여 상기 직육면체 백을 인양할 경우, 상기 직육면체 백이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관통개구에 상기 트러스밴드가 간섭되어 일정 높이에서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육면체 백은 내구성이 있는 가용성 소재인 마대, 폴리에틸렌제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 및 주위격벽은 상기 직육면체 백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재봉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은, 철도 등의 진동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있어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격벽 영역 및 주위격벽 영역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에 채움재가 충전되는 직육면체 백; 내부공간의 중앙격벽 영역을 구획하도록 상기 직육면체 백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원형 중앙격벽; 격벽 지지를 위해서 상기 직육면체 백의 내벽에 연결되는 격벽 지지부; 상기 내부공간의 주위격벽 영역을 구획하도록 각각의 일단이 상기 원형 중앙격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격벽 지지부에 연결되는 주위격벽; 상기 중앙격벽 영역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연결재 및 상기 직육면체 백의 상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현수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현수재에 의해 상기 직육면체 백을 인양하는 리프트밴드; 및 상기 연결재에 제1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원형 중앙격벽을 통과하여 상기 주위격벽 영역의 바닥면에서 상기 중앙격벽 영역의 주위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2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트러스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원형 중앙격벽 및 주위격벽은 이중 내부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직육면체 백에 충진되는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형 중앙격벽의 하단에는 상기 트러스밴드 각각이 통과하는 관통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밴드의 현수재를 이용하여 상기 직육면체 백을 인양할 경우, 상기 직육면체 백이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관통개구에 상기 트러스밴드가 간섭되어 일정 높이에서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육면체 백은 내구성이 있는 가용성 소재인 마대, 폴리에틸렌제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중앙격벽, 주위격벽 및 격벽 지지부는 상기 직육면체 백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재봉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된 이중 내부격벽에 의해 직육면체 백이 내부공간에 충전된 채움재를 완전하게 감싸서 구속함으로써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격벽 및 주위격벽으로 이루어진 이중 내부격벽을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대면적화 면에서 유리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육면체 백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철도 등의 진동하중에 유리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초대형 형상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되는 이중 내부격벽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서 베이스밴드, 트러스밴드 및 리프트밴드의 결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채움재가 충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으로서 사각형 중앙격벽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며,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으로서 원형 중앙격벽이 형성된 것을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되는 이중 내부격벽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은, 철도 등의 진동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으로서, 직육면체 백(110), 덮개(120a, 120b, 120c, 120d), 리프트밴드(130), 사각형 중앙격벽(140) 및 주위격벽(150a, 150b, 150c, 150d)을 포함하며, 또한, 후술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밴드(160) 및 베이스밴드(170)를 포함한다.
직육면체 백(110)은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호이스트 등에 의해 인양 및 거치되며, 이때, 상기 직육면체 백(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격벽 영역(S1) 및 주위격벽 영역(S2a, S2b, S2c, S2d)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움재(180)가 충전된다. 이때, 상기 직육면체 백(110)은 내구성이 있는 가요성 소재, 예를 들면, 마 등의 천연 소재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화학섬유소재 외에 자루 모양을 제작할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덮개(120a, 120b, 120c, 120d)는 상기 직육면체 백(110)을 덮기 위해서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120a, 120b, 120c, 120d)는 좌우 덮개(120a, 120c) 및 전후 덮개(120b, 120d)로 이루어지고, 벨트(121), 로킹부(122) 및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121) 및 로킹부(122)의 수는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크기 및 채움재의 중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사각형 중앙격벽(140)은 내부공간의 중앙격벽 영역(S1)을 구획하도록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주위격벽(150a, 150b, 150c, 150d)은 내부공간의 주위격벽 영역(S2a, S2b, S2c, S2d)을 구획하도록 각각의 일단이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1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내벽에 연결된다.
리프트밴드(130)는 상기 중앙격벽 영역(S1)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연결재(132) 및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상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현수재(131)로 이루어지며, 호이스트 등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현수재(131)에 의해 상기 직육면체 백(110)을 인양 및 거치할 수 있다.
트러스밴드(160)는 상기 연결재(132)에 제1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중앙격벽(140)을 통과하여 상기 주위격벽 영역(S2a, S2b, S2c, S2d)의 바닥면에서 상기 중앙격벽 영역(S1)의 주위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2 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베이스밴드(170)는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트러스밴드(160)와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에서,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140)은 상기 트러스밴드(160) 각각이 통과하는 관통개구(141)가 형성되며, 상기 현수재(131)를 이용하여 상기 직육면체 백(110)을 인양할 경우 일정 높이에서 텐션(Tension)을 부여하도록 상기 관통개구(141)에 상기 트러스밴드(160)가 간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직육면체 백(110)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의 경우, 대면적화 면에서 보다 유리하고,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직육면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 내부에 충진되는 채움재(180)가 편중되지 않게 됨에 따라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의 터짐,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교통진동이나 지진진동과 같은 지진을 보다 획기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도록 중앙격벽 및 주위격벽으로 이루어진 이중 내부격벽을 구비함으로써 인터로킹,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서 베이스밴드, 트러스밴드 및 리프트밴드의 결속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채움재가 충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은, 내부에 채움재(180)가 충전되는 직육면체 백(110)과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내부를 중앙격벽 영역(S1)과 주위격벽 영역(S2a, S2b, S2c, S2d)을 방사상으로 구획하는 주위격벽(150a, 150b, 150c, 150d)과 상기 중앙격벽 영역(S1)에 배치된 리프트밴드(130)와 상기 리프트밴드(130)에 제1 단부가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주위격벽 영역(S2a, S2b, S2c, S2d)의 바닥면 복수 개소에 제2 단부가 각각 연결된 트러스밴드들(160)을 포함하되, 이때, 상기 중앙격벽(140)에 트러스밴드들(160)이 통과하는 관통개구(141)가 마련되고, 상기 관통개구(141)가 리프트밴드(130)를 이용하여 상기 직육면체 백(110)을 인양할 경우, 상기 트러스밴드(160)와 간섭하여 상기 트러스밴드(160)에 텐션(Tension)을 부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의 경우, 베이스밴드(170)가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바닥면에 대각선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트러스밴드(160)와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되며, 또한, 트러스밴드(160)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밴드(17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리프트밴드(130)의 연결재(132)에 연결되며,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육면체 백(110)에 채움재가 충진된 후 상기 리프트밴드(130)의 현수재(131)를 통해 호이스트 등을 사용하여 인양하여 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밴드(130) 및 트러스밴드(160)를 이용하여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상적인 직육면체 형태의 섬유보강재 백은 대면적화 할수록 유리하지만, 이에 따라 채움재 입자들의 인터록킹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중앙격벽 영역(S1), 주위격벽 영역(S2a, S2b, S2c, S2d)의 이중 내부격벽으로 구획함으로써, 리프트밴드(130) 및 트러스밴드(160)를 이용하여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된 이중 내부격벽에 의해 직육면체 백이 내부공간에 충전된 채움재를 완전하게 감싸서 구속함으로써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보강할 수 있고, 또한, 사각형 중앙격벽 및 주위격벽으로 이루어진 이중 내부격벽을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대면적화 면에서 유리며, 또한, 직육면체 백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철도 등의 진동하중에 유리하다.
[제2 실시예: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200)]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200)은, 철도 등의 진동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으로서, 직육면체 백(210), 덮개(220), 리프트밴드(230), 원형 중앙격벽(240), 주위격벽(250) 및 격벽 지지부(260)를 포함하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트러스밴드 및 베이스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과 비교하면, 사각형 중앙격벽(140) 대신에 원형 중앙격벽(240)을 포함하며, 상기 주위격벽(250)을 고정하는 격벽 지지부(260)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직육면체 백(210)은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직육면체 백(210)은 중앙격벽 영역 및 주위격벽 영역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에 채움재가 충전된다.
덮개(220)는 상기 직육면체 백(210)을 덮기 위해서 상기 직육면체 백(2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원형 중앙격벽(240)은 내부공간의 중앙격벽 영역을 구획하도록 상기 직육면체 백(21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원형 중앙격벽(240)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주위격벽(250)은 내부공간의 주위격벽 영역을 구획하도록 각각의 일단이 상기 원형 중앙격벽(240)에 연결되고, 타단이 격벽 지지부(260)에 연결된다.
격벽 지지부(260)는 상기 주위격벽(250)을 지지하도록 상기 직육면체 백(210)의 내벽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격벽 지지부(260)는 상기 직육면체 백(210)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재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격벽(240)을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주위격벽(250)이 형상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주위격벽(250)의 타단이 연결되는 격벽 지지부(260)를 형성할 수 있다.
리프트밴드(230)는 상기 중앙격벽 영역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연결재 및 상기 직육면체 백(210)의 상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현수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현수재에 의해 상기 직육면체 백(210)을 인양한다.
또한, 트러스밴드는 상기 연결재에 제1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중앙격벽(240)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주위격벽 영역의 바닥면에서 상기 중앙격벽 영역의 주위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2 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된 이중 내부격벽에 의해 직육면체 백이 내부공간에 충전된 채움재를 완전하게 감싸서 구속함으로써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보강할 수 있고, 또한, 중앙격벽 및 주위격벽으로 이루어진 이중 내부격벽을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대면적화 면에서 유리며, 또한, 직육면체 백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철도 등의 진동하중에 유리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110: 직육면체 백 120a, 120b, 120c, 120d: 덮개
130: 리프트밴드 140: 사각형 중앙격벽
150a, 150b, 150c, 150d: 주위격벽
160: 트러스밴드 170: 베이스밴드
180: 채움재
121: 벨트 122: 로킹부
123: 홈 131: 현수재
132: 연결재 141: 관통개구
200: 제2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210: 직육면체 백 220: 덮개
230: 리프트밴드 240: 원형 중앙격벽
250: 주위격벽 260: 격벽 지지부
S1: 중앙격벽 영역
S2a, S2b, S2c, S2d: 주위격벽 영역

Claims (8)

  1. 철도 등의 진동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있어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격벽 영역(S1) 및 주위격벽 영역(S2a, S2b, S2c, S2d)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에 채움재(180)가 충전되는 직육면체 백(110);
    내부공간의 중앙격벽 영역(S1)을 구획하도록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사각형 중앙격벽(140);
    상기 내부공간의 주위격벽 영역(S2a, S2b, S2c, S2d)을 구획하도록 각각의 일단이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1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내벽에 연결되는 주위격벽(150a, 150b, 150c, 150d);
    상기 중앙격벽 영역(S1)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연결재(132) 및 상기 직육면체 백(110)의 상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현수재(131)로 이루어지며, 상기 현수재(131)에 의해 상기 직육면체 백(110)을 인양하는 리프트밴드(130); 및
    상기 연결재(132)에 제1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140)을 통과하여 상기 주위격벽 영역(S2a, S2b, S2c, S2d)의 바닥면에서 상기 중앙격벽 영역(S1)의 주위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2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트러스밴드(160)를 포함하되,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140) 및 주위격벽(150a, 150b, 150c, 150d)은 이중 내부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직육면체 백(110)에 충진되는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증가시키며,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140) 각 하단에는 상기 트러스밴드(160) 각각이 통과하는 관통개구(141)가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밴드(130)의 현수재(131)를 이용하여 상기 직육면체 백(110)을 인양할 경우, 상기 직육면체 백(110)이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관통개구(141)에 상기 트러스밴드(160)가 간섭되어 일정 높이에서 텐션(Tension)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 백(110)은 내구성이 있는 가용성 소재인 마대, 폴리에틸렌제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중앙격벽(140) 및 주위격벽(150a, 150b, 150c, 150d)은 상기 직육면체 백(110)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재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5. 철도 등의 진동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에 있어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격벽 영역 및 주위격벽 영역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에 채움재가 충전되는 직육면체 백(210);
    내부공간의 중앙격벽 영역을 구획하도록 상기 직육면체 백(2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원형 중앙격벽(240);
    격벽 지지를 위해서 상기 직육면체 백(210)의 내벽에 연결되는 격벽 지지부(260);
    상기 내부공간의 주위격벽 영역을 구획하도록 각각의 일단이 상기 원형 중앙격벽(2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격벽 지지부(260)에 연결되는 주위격벽(250);
    상기 중앙격벽 영역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연결재 및 상기 직육면체 백의 상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현수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현수재에 의해 상기 직육면체 백(210)을 인양하는 리프트밴드(230); 및
    상기 연결재에 제1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원형 중앙격벽(240)을 통과하여 상기 주위격벽 영역의 바닥면에서 상기 중앙격벽 영역의 주위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2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트러스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원형 중앙격벽(240) 및 주위격벽(250)은 이중 내부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직육면체 백(210)에 충진되는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증가시키며,
    상기 원형 중앙격벽(240)의 하단에는 상기 트러스밴드 각각이 통과하는 관통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밴드(230)의 현수재를 이용하여 상기 직육면체 백(210)을 인양할 경우, 상기 직육면체 백(210)이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관통개구에 상기 트러스밴드가 간섭되어 일정 높이에서 텐션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 백(210)은 내구성이 있는 가용성 소재인 마대, 폴리에틸렌제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중앙격벽(240), 주위격벽(250) 및 격벽 지지부(260)는 상기 직육면체 백(210)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재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KR1020180123294A 2018-10-16 2018-10-16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KR102038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94A KR102038086B1 (ko) 2018-10-16 2018-10-16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94A KR102038086B1 (ko) 2018-10-16 2018-10-16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086B1 true KR102038086B1 (ko) 2019-10-30

Family

ID=6846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294A KR102038086B1 (ko) 2018-10-16 2018-10-16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08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4660A1 (en) * 1991-02-22 1992-09-03 Koninklijke Emballage Industrie Van Leer B.V. Block-shaped container for bulk material
US5538155A (en) * 1991-06-05 1996-07-23 Koninklijke Emballage Industrie Van Leer B.V. Flexible container for bulk material
JP2009046911A (ja) * 2007-08-21 2009-03-05 Futoshi Nomoto 形状保持型吊上げ式直方体バック
KR101232212B1 (ko) 2012-03-29 2013-02-12 시지엔지니어링(주)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JP2013194496A (ja) * 2012-03-23 2013-09-30 Unitika Ltd 保形性袋体および土嚢
KR101327166B1 (ko) 2013-02-28 2013-11-06 시지엔지니어링(주)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386913B1 (ko) 2013-06-11 2014-04-18 시지엔지니어링(주)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
CN103949156A (zh) 2014-05-12 2014-07-30 中国农业科学院兰州畜牧与兽药研究所 一种电泳凝胶转移及染色脱色装置
JP2016169513A (ja) * 2015-03-12 2016-09-23 前田工繊株式会社 土木工事用袋体及び土木工事用構造体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4660A1 (en) * 1991-02-22 1992-09-03 Koninklijke Emballage Industrie Van Leer B.V. Block-shaped container for bulk material
US5538155A (en) * 1991-06-05 1996-07-23 Koninklijke Emballage Industrie Van Leer B.V. Flexible container for bulk material
JP2009046911A (ja) * 2007-08-21 2009-03-05 Futoshi Nomoto 形状保持型吊上げ式直方体バック
KR20100058489A (ko) 2007-08-21 2010-06-03 후토시 노모토 형상 유지형 호이스트식 직육면체 백
JP2013194496A (ja) * 2012-03-23 2013-09-30 Unitika Ltd 保形性袋体および土嚢
KR101232212B1 (ko) 2012-03-29 2013-02-12 시지엔지니어링(주)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327166B1 (ko) 2013-02-28 2013-11-06 시지엔지니어링(주)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386913B1 (ko) 2013-06-11 2014-04-18 시지엔지니어링(주)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
CN103949156A (zh) 2014-05-12 2014-07-30 中国农业科学院兰州畜牧与兽药研究所 一种电泳凝胶转移及染色脱色装置
JP2016169513A (ja) * 2015-03-12 2016-09-23 前田工繊株式会社 土木工事用袋体及び土木工事用構造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757B2 (en) Shape-retention-type hoisti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g
US8262320B2 (en) Ballast-filled pipeline weight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JPH03256847A (ja) バラ荷運搬および貯蔵用パッケージ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WO2021015069A1 (ja) 土木工事用袋体および土木工事用構造体
KR102038086B1 (ko) 채움재의 인터로킹을 개선하기 위한 이중 내부격벽이 형성된 직육면체 섬유보강재 백
KR101327166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386913B1 (ko) 내부공간 분할형 직육면체 백의 승강장치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AU615652B2 (en) Flexible container comprising several lifting means
KR102067784B1 (ko) 격막식 기초 보강 백
KR101232213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JP6604698B2 (ja) 直方体フレコンバック
KR101232214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232212B1 (ko) 침하저감 및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101327171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EP3816349B1 (en) Shape-maintaining lift-type cuboid bag with multistage configuration
KR102006940B1 (ko) 컨테이너백
CN209582146U (zh) 包装箱组件及衣物处理设备
JPH11241325A (ja) 箱形袋状体及びその製作方法
KR20160022410A (ko) Ckd 화물 적재 포장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